KR200195898Y1 -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898Y1
KR200195898Y1 KR2020000003577U KR20000003577U KR200195898Y1 KR 200195898 Y1 KR200195898 Y1 KR 200195898Y1 KR 2020000003577 U KR2020000003577 U KR 2020000003577U KR 20000003577 U KR20000003577 U KR 20000003577U KR 200195898 Y1 KR200195898 Y1 KR 200195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hinge
hinge member
inser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00003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테에 템플을 절첩이 자유롭게 연결시켜주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경첩구성편들을 강성이 우수한 얇은 금속판재를 일회의 펀칭 및 절곡가공을 통해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경첩 제조공정 간소화를 실현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첩구성편들이 결속되는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의 연결부위가 콤팩트하게 제조되어 가볍고 안경의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는 얇을 안경을 제조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켜 구매욕을 일층 높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합성수지 안경테 양측 연장부에 있어 연장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끼움삽입공을 천설하데, 끼움삽입공내에 각기 직경이 다른 대구경과 소구경을 단턱지게 구성하고; 상기 끼움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엣지를 구비하고 삽입엣지와 일체로 연장되어 끼움삽입공으로부터 노출되고 구멍이 천설된 돌출편을 구성하여서된 제1경첩구성편과; 템플의 일면에 가열된 상태로 끼워져 합성수지 용융물과 융착하여 고정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으로 가압하여 끼워지는 삽입엣지를 구성하고, 삽입엣지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템플 내면에 접면하는 고정판을 마련하는 한편, 고정판 전면 상,하부에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편이 끼워지기에 적합한 공간을 마련토록 일정간격 떨어지고 상면에 구멍이 각각 천설된 한쌍의 돌출편을 마련하는 제2경첩구성편;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Hinge for connecting the spectacles frame and the temple}
본 고안은 안경테에 템플을 절첩이 자유롭게 연결시켜주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을 구성하는 경첩구성편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첩구성편이 연결고정되는 안경테와 템플의 연결부위를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어 가벼우며 안경의 미관을 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날로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한 얇은 안경을 제조하여 구매욕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2개의 원형 또는 각형 고리를 상호 연결하여 렌즈를 끼워 고정시키는 안경테를 구성하데, 그 재질은 금속이나 에폭시,셀룰로이드 아세테이트, 셀룰로이드 프로피오네이트 및 포리아미드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경테의 양측면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유단부가 착용자의 귀에 걸어지는 안경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안경테의 내측중간부에 설치되어 코등에 얹혀지는 코받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경을 착용할 시에는 상기 안경테의 양측면에 소정 각도로 절첩되는 안경다리(이하, 템플이라 약칭한다.)를 착용자의 귀에 걸어 주므로서 상기 템플이 안면 관자놀이의 양측부를 감싸는 상태로 호형으로 절곡된 그의 자유단부가 귀에 걸리게 되고, 안경테의 내측 중간부에 설치된 코받침이 착용자의 코등에 얹혀지게 되므로 렌즈가 눈앞에 정확히 위치되어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안경에 있어 본 고안과 관련한 안경테와 템플(temple)은 약 90°정도에서 절첩되는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지는 것인데, 이러한 경첩의 통상적인 일례를 도 1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합성수지 안경테(1) 양측 단부의 돌출하는 연장부(1a)에 삽입고정되는 제1경첩구성편(10)을 구비하고, 템플(2) 일단 내면에 이 또한 삽입고정되는 제2경첩구성편(20)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1,제2경첩구성편(10)(20)은 납성분이 함유되어 절삭력이 우수한 환봉을 소망하는 절삭가공과 선반가공 및 드릴가공을 거쳐 가공하데, 상기 제1경첩구성편(10)과 제2경첩구성편(20)은 각각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 일단에 삽입설치되는 복수개의 돌출 삽입엣지(11)(21)를 각각 형성하며, 이는 합성수지재로 안경테와 템플을 사출 성형함에 있어 사출성형틀의 설정위치에 넣고 사출성형하여 안경테 연장부(1a)와 템플(2) 내부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경첩구성편 전면에는 구멍(13a)을 천설한 돌출판(13)이 돌출되어진 고정판(12)을 형성하는 것이고, 제2경첩구성편은 전면 고정판(22)에 상기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판이 삽입되는 공간(24)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부에 위치하여 구멍(23a)(23a')을 각각 천설한 한 쌍의 돌출판(23)(23')을 일체로 돌출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경첩에 있어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은 안경테와 템플을 사출성형함에 있어 미리 언급한 돌출 삽입엣지(11)(21)를 각각의 안경테 및 템플 사출성형틀의 소정위치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사출성형하여 안경테의 연장부와 템플 일단에 삽입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되어진 경첩의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을 연결하여 안경테로 부터 템플을 자유롭게 절첩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경첩을 구성하는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을 가공함에 있어 절삭력이 우수하도록 납성분을 함유한 환봉을 일련의 공정인, 절삭가공과 선반가공 및 드릴가공등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가공비가 상승하며, 안경테와 템플이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게 될때 미리 언급한 두개의 돌출 삽입 엣지를 사출성형틀의 소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가 힘들고 설치위치가 정확하지 못하면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이 원활하게 연결고정되지 못하여 경첩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아울러,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의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원자재인 환봉에 다량의 납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원자재로 하여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을 가공할때 안경테의 연장부와 템플 일단 내부에 개재되는 돌출 삽입엣지의 강성을 보강코져 이들(두개의 돌출 삽입엣지)의 두께가 비대해지는 것인바, 이는 상기한 삽입엣지가 내부에 개재되는 안경테의 연장부와 템플의 일단이 비례하여 비대해짐으로서 중량이 무거워지고 안경이 컴팩트하지 못하며 재료비가 상승함은 물론, 착용성이 좋지못한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경테 양측 연장부에 템플을 절첩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는 경첩을 강성이 우수한 금속판재를 소정형상으로 일회에 걸쳐 펀칭 및 절곡하여 가공함으로서 제조공정을 줄이고 가공성이 향상되며,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 일단 내부에 개재되는 경첩구성편의 삽입엣지를 끼움식으로 신속하게 고정함으로서, 조립성이 우수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판형태의 돌출 삽입엣지를 가열한 상태에서 고정대상물에 가압하면서 끼워 합성수지 용융물이 끼움부위와 융착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을 통해 가압하여 고정토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판형의 돌출 삽입엣지에 화살촉형태의 걸림편을 수개 형성하여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삽입엣지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력을 가일층 증대시킴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 및 경첩구성편에 상호 연계하여 볼트나 핀과 같은 부수적인 보강부재를 개재함으로서 고정력을 가일층 견실하게 유지하도록 함에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 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 횡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안경테, 101 - 연장부,
110,130 - 제1경첩구성편, 111,121,131 - 삽입엣지,
112,123,124 - 돌출편, 120 - 제2경첩구성편,
122 - 고정판, 140 - 보강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 횡단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호 A 는 안경테 양측 연장부에 템플을 자유롭게 절첩되도록 연결하는 경첩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에 있어, 우선은 합성수지 안경테 양측으로 부터 일정길이 돌출하는 연장부(101)를 일체로 구성하고 연장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사각형태의 끼움삽입공(102)을 후술할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 삽입엣지가 삽입설치되기에 적합한 크기로 천설하고, 끼움삽입공내에는 각기 직경이 다른 대구경(102a)과 소구경(102b)을 단턱지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끼움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엣지(111)를 구비하고 삽입엣지와 일체로 연장되어 끼움삽입공으로부터 노출되고 구멍(112a)이 천설된 돌출편(112)을 구성하여서 된 제1경첩구성편(110)을 마련한다.
아울러, 템플(103)의 일면에 가열된 상태로 끼워져 합성수지 용융물과 융착하여 고정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으로 가압하여 끼워지는 판형의 삽입엣지(121)를 구성하데, 상기 삽입엣지(121)는 선단부가 쐐기형의 걸림편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삽입엣지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템플 내면에 접면하는 고정판(122)을 마련하는 한편, 고정판 전면 상,하부에는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편(112)이 끼워지기에 적합한 공간(125)을 마련토록 일정간격 떨어지고 상면에 구멍(123a)(124a)이 각각 천설된 한 쌍의 돌출편(123)(124)을 마련하여서 된 제2경첩구성편(120)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제1경첩구성편의 삽입엣지(111)는 안경테 연장부(101)에 형성된 끼움삽입공 소구경(102b)에 끼워지고 일단으로는 끼움삽입공 대구경(102a)에 끼워져 단턱에 걸려 삽입엣지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플랜지(113)를 일체로 구성하며, 삽입엣지 양측면으로는 삽입엣지가 끼워진후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살촉형태의 걸림편(114)을 수개 형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이고, 도 6은 동 실시예의 결합상태 횡단면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안경테 연장부에 끼움삽입공(102)을 형성하지 않고, 다만 제1경첩구성편(110)의 삽입엣지(115)를 제1실시예의 제2경첩구성편 돌출 삽입엣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삽입엣지(115)를 가열한 상태에서 안경테 연장부 내부에 가압하여 끼워 합성수지 용융물과 융착하여 고정토록 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으로 가압하여 끼움고정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한 본 고안의 제3,제4실시예는, 상기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의 돌출 삽입엣지(115)(121) 상면에 구멍(115a)(121a)을 천설하고 안경테 연장부 상면과 템플 상면에 각각 상기한 구멍과 연통하는 구멍(101a)(103a)을 천설한다.
그리고, 상기한 연장부와 템플의 구멍(101a)(103a)과 돌출 삽입엣지의 구멍(115a)(121a)에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움설치하여 고정력을 일층 증대시킨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요부발췌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경첩구성편의 고정편(122)을 일측으로 연장하고 고정편 전면에 구멍(122a)을 천설하며, 템플 내측 일면으로는 상기한 구멍과 연통하는 구멍(103b)을 형성한 상태에서 템플 내측방향으로부터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움설치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6 은 제1경첩구성편과, 제2경첩구성편의 돌출편상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움설치되는 힌지축을 도시한 것이며, 부호 103c 는 연장부와 템플 일면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 삽입엣지가 설정된 위치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안내홈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구성을 토대로 본 고안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3과 도 4와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 합성수지 안경테 연장부(101)에 형성된 끼움삽입공의 소구경(102b)으로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 삽입엣지(111)를 안경테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밀어서 끼워주며, 이때, 삽입엣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14)들이 소구경의 측벽에 긁히면서 끼워진후 걸림편 뾰족부위가 소구경 측벽에 일부 인입되어짐으로서, 삽입엣지 끼움방향의 역방향으로 빠지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삽입엣지 일단에 마련된 플랜지(113)를 통해서는 삽입엣지의 끼움방향으로부터 더이상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려진다.
그런다음 제2경첩구성편의 삽입엣지(121)를 템플(103)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03c)을 통해 템플 내부에 끼움고정시키데, 이는 삽입엣지를 수지가 용융할 수 있는 적정온도로 가열한상태에서 가압하여 끼워줌으로서 합성수지 용융물이 융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에 의해 가압하여 끼워줄 수도 있다.
이후,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편(112)을 제2경첩구성편의 고정판(122) 일면 상,하부에 돌출되어진 한 쌍의 돌출편(123)(124) 사이에 마련된 공간(125)으로 끼워준후 복수개의 돌출편상에 형성된 구멍을 상호 연통시킨상태에서 힌지축(126)을 끼워줌으로서, 안경테 양측으로 템플이 절첩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과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선 제1경첩구성편(110)의 삽입엣지(115)를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2경첩구성편 삽입엣지(121)와 동일유사한 형태로 가공한후 이러한 삽입엣지를 안경테 연장부(101) 내부에 끼움고정시키데, 이는 삽입엣지를 수지가 용융할 수 있는 적정온도로 가열한상태에서 가압하여 끼워줌으로서 합성수지 용융물이 융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에 의해 가압하여 끼워줄 수도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경첩구성편 삽입엣지 상면과 안경테 연장부 상면에 각기 천설된 구멍(115a)(101a)을 상호 연통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워줌으로서, 삽입엣지의 고정력을 일층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8과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제2경첩구성편의 삽입엣지(121)를 템플에 끼운후 각기 삽입엣지 상면과 템플(103) 상면에 천공되어진 구멍(121a)(103a)을 연통시킨상태에서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재차 축설함으로서, 삽입엣지의 고정력을 가일층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마지막 실시예인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제2경첩구성편의 고정판(122)을 일측으로 연장한후 그 연장편상에 구멍(122a)을 천설하고, 이와 대응하여 연통되는 구멍(103b)을 템플 내측면에 형성한후 측방으로부터 볼트와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워 삽입엣지의 고정력을 가일층 높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안경테 양측으로 템플을 절첩이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한 경첩에 있어 경첩구성편들을 강성이 우수한 얇은 금속판재를 일회의 펀칭 및 절곡가공을 통해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경첩 제조공정 간소화를 실현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경첩구성편들이 결속되는 안경테 연장부와 템플의 연결부위가 콤팩트하게 제조되어 가볍고 안경의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는 얇을 안경을 제조함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켜 구매욕을 일층 높이도록 한 신규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합성수지 안경테 양측 연장부(101)에 있어 연장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끼움삽입공(102)을 천설하데, 끼움삽입공내에 각기 직경이 다른 대구경(102a)과 소구경(102b)을 단턱지게 구성하고; 상기 끼움삽입공에 끼워지는 삽입엣지(111)를 구비하고 삽입엣지와 일체로 연장되어 끼움삽입공으로부터 노출되고 구멍(112a)이 천설된 돌출편(112)을 구성하여서된 제1경첩구성편(110)과; 템플(103)의 일면에 가열된 상태로 끼워져 합성수지 용융물과 융착하여 고정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으로 가압하여 끼워지는 삽입엣지(121)를 구성하고, 삽입엣지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템플 내면에 접면하는 고정판(122)을 마련하는 한편, 고정판 전면 상,하부에 제1경첩구성편의 돌출편(112)이 끼워지기에 적합한 공간(125)을 마련토록 일정간격 떨어지고 상면에 구멍(123a)(124a)이 각각 천설된 한 쌍의 돌출편(123)(124)을 마련하는 제2경첩구성편(1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구성편의 삽입엣지(111)는 안경테 연장부 끼움삽입공 소구경(102b)에 끼워지고 일단으로 대구경(102a)에 끼워져 단턱에 걸려지는 플랜지(113)를 일체로 구성하며, 측면에 수개의 걸림편(114)을 형성하여 삽입엣지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구성편(110)의 삽입엣지(115)를 가열한 상태에서 안경테 연장부 내부에 끼워 합성수지 용융물에 융착하여 고정토록 하거나, 실온에서 초음파진동으로 가압하여 끼움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구성편, 제2경첩구성편의 돌출 삽입엣지(115)(121) 상면에 구멍(115a)(121a)을 천설하고 안경테 연장부(101) 상면과 템플(103) 상면에 각각 상기한 구멍과 연통하는 구멍(101a)(103a)을 천설하여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움설치하여 고정력을 일층 증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첩구성편의 고정판(122)을 일측으로 연장하고 고정판 전면에 구멍(122a)을 천설하며, 템플 내측 일면으로 상기 구멍과 연통하는 구멍(103b)을 천공한 상태에서 템플 내측방향으로부터 볼트나 핀과 같은 보강부재(140)를 끼움설치하여 고정력을 일층 향상시키는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KR2020000003577U 2000-02-11 2000-02-11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KR200195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77U KR200195898Y1 (ko) 2000-02-11 2000-02-11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577U KR200195898Y1 (ko) 2000-02-11 2000-02-11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898Y1 true KR200195898Y1 (ko) 2000-09-15

Family

ID=1964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577U KR200195898Y1 (ko) 2000-02-11 2000-02-11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57B1 (ko) 2014-08-14 2015-12-04 전진오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557B1 (ko) 2014-08-14 2015-12-04 전진오 안경다리 힌지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067B1 (ko) 안경 프레임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KR20160051811A (ko) 제거가능한 안경 렌즈 및 프레임 플랫폼
JP2009506366A (ja) 2つの取替え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タイプの眼鏡
JP2008500568A (ja) 眼鏡のつるの屈曲用のヒンジ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EP1023626B1 (en) An eyeglass frame, an eyegla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yeglass frame
JP5596772B2 (ja) 眼鏡レンズ組立体の止着構造及び眼鏡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JP2000147436A (ja) 眼鏡用のフルリムフレ―ムのセントラルピ―ス及び眼鏡のセントラルピ―スを製造する製造方法
WO2006065072A1 (en) Glasses formed of sections
KR200195898Y1 (ko)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MX2013010903A (es) Anteojos.
US6422699B2 (en) Adjustable nose pad structure for eyeglasses
EP2543500A1 (en) Spectacles frame using a celluloid plat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3474062B1 (en) Detachable spectacle frame
US10345616B2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EP1489452B1 (en) Screwless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KR102636954B1 (ko) 안경 프레임
KR102251466B1 (ko) 코받침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TW202018378A (zh) 擬單片式鏡片的太陽眼鏡組件(二)
KR20140099632A (ko) 탄성연결부재가 일체 구성되는 금속안경테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테
GB2178864A (en) Spectacle front frames
KR101520616B1 (ko) 프레임 안경테
KR20038926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