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616B1 - 프레임 안경테 - Google Patents

프레임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616B1
KR101520616B1 KR1020130097167A KR20130097167A KR101520616B1 KR 101520616 B1 KR101520616 B1 KR 101520616B1 KR 1020130097167 A KR1020130097167 A KR 1020130097167A KR 20130097167 A KR20130097167 A KR 20130097167A KR 101520616 B1 KR101520616 B1 KR 10152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
lens frame
frame
lens
direc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818A (ko
Inventor
장용찬
Original Assignee
장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찬 filed Critical 장용찬
Priority to KR102013009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6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고정시킨 렌즈 프레임과 다리 사이의 간편하면서 안정된 연결이 도모되도록 한 프레임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브릿지의 양편에,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구가 각각 형성된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직결핀이 형성된 직결부가 형성되고,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는 직결부에 형성된 직결핀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직결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렌즈 프레임의 직결공에 전방에서 진입된 직결부의 직결핀은 렌즈 프레임의 후방에서 직결공으로 진입되는 직결부쉬의 중공 슬리브에 의해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한 연결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안경테{frame of eyeglasses}
본 발명은 프레임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를 고정한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의 선단부를 간편하게 고정시킨 프레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는 용도뿐 아니라 해변이나 야외 등에서 강렬한 태양 빛과 바람, 먼지 등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함과 동시에, 미감 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은, 렌즈 프레임에 렌즈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로 고정하고,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를 고정시킨 프레임 안경테와, 별도의 렌즈 프레임 없이 렌즈 자체에 다리를 고정시킨 무테 안경으로 구분된다.
상기 무테안경은 렌즈 프레임을 구비하지 아니하는 관계로 경량성은 확보되지만, 렌즈가 외부에 노출된 관계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렌즈 교환시 매번 렌즈 자체에 천공 등의 고정구조를 형성하여야 하고, 또 렌즈는 재질 특성상 취성이 높은 관계로 고정구조의 형성이나 착용과정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이에 대비하여, 프레임 안경테는 렌즈 프레임에 가장자리가 감싸진 관계로 외력에 의한 렌즈 손상 발생 가능성이 적고, 또 렌즈 자체의 가공이 불필요한 이점을 갖는다.
(특허문헌 1) KR 20-0125045 Y1
(특허문헌 2) KR 10-0125045 B1
(특허문헌 3) KR 10-1018290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가 간소화되게 연결되고, 또 다리의 자체적인 탄성을 통해 편안한 착용감과 휴대성을 제공하는 한편, 구조의 간소화와 경량성이 확보되도록 한 프레임 안경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는,
브릿지의 양편에,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구가 각각 형성된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와이어로 이루어진 선형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ㄱ"형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선단부에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되는 직결부가 형성되고, 다리의 후반부에는 귀 견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직결부를 통해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ㄱ"자형으로 절곡된 선형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을 통해 착용자의 두부 양편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 전면에는, 상기 다리의 직결부의 양측면과 내벽을 감싸는 규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직결부가 상기 렌즈 프레임의 규합홈부에 규합된 상태로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리는 직결부의 상하 유동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결부의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직결핀이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직결공에 직결핀을 압입시켜 렌즈 프레임의 전면에 내벽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프레임의 직결공에 전방에서 진입된 직결부의 직결핀은, 렌즈 프레임의 후방에서 직결공으로 진입되는 직결부쉬의 중공 슬리브에 의해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직결핀의 외경에는 복수의 견착돌기들이 형성되어, 직결핀에 압입되는 직결부쉬의 중공 슬리브는 견착돌기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견착돌기를 견착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선형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다리의 선단부가 각각 직결시켜,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가 직결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렌즈를 고정한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우수한 탄성을 갖는 선형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다리를 직결시켜, 다리의 탄력적인 휨에 의해 안정된 착용성과 휴대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형 탄성부재의 선단부에 직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통해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가 직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직결구조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긴밀한 고정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결부는 반복적인 착용에 의해 체결상태가 불량해지는 체결구조가 아닌, 강제 압입되는 직결부쉬에 의해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보다 긴밀하게 고착되므로, 반복적인 착용과정에 다리와 렌즈 프레임 사이의 직결상태가 해체되는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은 렌즈가 아닌 렌즈를 고정한 렌즈 프레임에 다리가 직결되도록 구성된 관계로,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렌즈를 매번 천공이나 절삭 가공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절삭 과정에 렌즈의 높은 취성에 의해 렌즈가 파손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를 구성하는 다리의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안경테에서, 'A'부분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인 조립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다리와 직결부쉬의 고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다리와 직결부쉬의 고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프레임 안경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를 구성하는 다리의 성형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안경테에서, 'A'부분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인 조립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다리와 직결부쉬의 고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다리와 직결부쉬의 고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프레임 안경테(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0)과; 상기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선단부를 직결시켜 고정되는 다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 프레임(10)은 합성 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성형방식에 있어서도 사출성형이나 절삭 가공을 통해 성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성형판을 절삭 가공하여 렌즈 프레임(10)을 제작하고 있으며, 상기 절삭 가공을 통해 렌즈 프레임(10)을 제작하며 형상이 정밀할 뿐 아니라, 별도의 금형 없이도 다양한 형상의 렌즈 프레임(10)을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렌즈 프레임(10)은 브릿지(11)의 양편에 렌즈 고정구(12)가 각각 형성된 형태로, 렌즈 고정구(12)의 내벽에는 V형의 견착홈(12a)이 형성되어, 렌즈 고정구(12)에 삽입된 렌즈를 견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프레임(10)에 형성된 각 렌즈 고정구(12)에 고정된 렌즈(L)는, 가장자리가 렌즈 고정구(12)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형성하므로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다리(20)와 렌즈(L) 사이의 별도 체결 등의 고정구조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다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취성이 높은 렌즈의 파손이 예방되고, 특히 매번 다리와의 연결을 위한 고정구조를 렌즈에 형성하는 가공공정이 불필요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리(20)와 렌즈 프레임(10) 사이에, 한 쌍의 힌지편이 힌지핀을 통해 힌지구조로 연결된 힌지 어셈블리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다리(10)의 선단부를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직결시켜 다리(20) 자체의 탄성 변형을 통해 편안한 착용감과,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직결되는 다리(20)는 선단부에는 직결부(22)가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귀 견착부(23)가 형성된 선형 탄성부재(21)로 이루어져, 다리(20)는 선형 탄성부재(21)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결부(22)를 통해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직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상기 다리(20)는 직결부(22)를 통해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직결하여 고정된 선형 탄성부재(21)의 탄성 변형을 통해 착용과정에서는 착용자의 두부 양편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휴대과정에서는 렌즈 프레임(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20)를 구성하는 선형 탄성부재(21)는 우수한 탄성에 의해 환원 복원성이 우수한 금속재 와이어나, 플라스틱재 와이어 등이 채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0.05mm 내지 4mm 내외의 직경을 갖고 베타 티탄으로 이루어진 선형 탄성부재(21)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형 탄성부재(21)에 별도 성형된 직결부(22)를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하지 아니하고, 선형 탄성부재(21)의 선단부를 단조 프레스 가공하여, 렌즈 프레임(10)과의 직결을 위한 직결부(22)를 선형 탄성부재(21)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단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선형 탄성부재(21)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직결부(22)는, ㄱ"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내벽에 내향 돌출된 한 쌍의 직결핀(22a)들이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선형 탄성부재(21)의 선단부에 단조 프레스 가공을 통해 선형 탄성부재(21)를 소성 변형되어 한 쌍의 직결핀(22a)이 내벽에 형성된 직결부(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직결부를 별도로 성형하고 또 별도 성형된 직결부를 선형 탄성부재의 선단부에 용접 등을 통해 연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작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된다.
특히, 단조 프레스 가공된 직결부(22)는 향상된 강도를 갖는 관계로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 없이 렌즈 프레임(10)과의 안정된 직결이 도모될 수 있다.
물론,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성형 탄성부재(21)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과정에 선단부에 직결부(22)가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직결부(22)를 별도 성형한 다음 선형 탄성부재의 선단부에 별도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 내지 6을 보면 상기 직결부(22)의 내벽에는 한 쌍의 직결핀(22a)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직결핀(22a)의 외경에는 복수의 걸림돌기(22a-a)들이 형성되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직결핀(22a)은 걸림돌기(22a-a)를 통해 직결부쉬(30)에 형성된 중공 슬리브(31)의 내벽에 긴밀히 고착된다.
그리고, 상기 직결부(22)에 의해 다리(20)를 직결하는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는 직결부(22)의 직결핀(22a)이 관통하는 한 쌍의 직결공(13)이 각각 형성되어서, 직결부(22)는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각 직결공(13)에 직결핀(22a)을 각각 압입시켜 렌즈 프레임(10)의 전면에 내벽을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직결부(22)의 내벽이 밀착되는 렌즈 프레임(10)의 양단 전면에는, 직결부(22)의 양측면과 내벽을 감싸는 'C'자형의 규합홈부(14)가 형성되어, 내벽을 밀착시킨 직결부(22)는 규합홈부(14)에 규합되어서 상하 유동 발생이 억제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각 직결공(13)에 직결핀(22a)을 각각 압입시킨 직결부(22)는, 렌즈 프레임(10)의 후방에서 진입되는 직결부쉬(30)에 의해 안정적인 고착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직결부쉬(30)는 통상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을 보면 상기 직결부쉬(30)의 내벽에는 직결핀(22a)을 압입시켜 고착하는 한 쌍의 중공 슬리브(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방에서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각 직결공(13)에 다리(2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직결부(22)의 직결핀(22a)을 각각 압입시킨 다음, 렌즈 프레임(10)의 후방으로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직결공(13)에 직결부쉬(30)의 중공 슬리브(31)를 압입하면, 직결공(13)에 진입된 직결핀(22a)은 직결부쉬(30)의 중공 슬리브(31)의 내벽에 고착된다.
이때, 직결부쉬(30)에 형성된 중공 슬리브(31)의 내경은 직결부(22)에 형성된 직결핀(22a)의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직결부(22)의 직결핀(22a)이 직결부쉬(30)에 형성된 중공 슬리브(31)에 강제로 억제 끼움을 통해 강제 압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형성된 직결공(13)에, 직결핀(22a)이 형성된 직결부(22)와 중공 슬리브(31)가 형성된 직결부쉬(30)를 가 조립한다.
이후,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게(P)를 통해 이들 직결부(22)와 직결부쉬(30)를 집어, 직결부쉬(30)의 중공 슬리브(31)에 직결부(22)의 직결핀(22a)이 강제로 압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직결핀(22a)의 외벽에 형성된 걸림돌기(22a-a)들은 직결부쉬(30)에 형성된 중공 슬리브(31)의 내벽에 긴밀히 고착되고, 결과적으로 외력에 의해 직결핀(22a)이 중공 슬리브(31)에서 이탈하여 다리(20)가 렌즈 프레임(10)에서 요동하거나 임의 분리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직결부쉬(30)에 형성된 각 중공 슬리브(31)의 내벽에 중공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스냅링(3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중공 슬리브(31)에 형성된 스냅링(32)은 성형된 사출을 통한 직결부쉬의 성형과정에 인서트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결부쉬(30)에 형성된 각 중공 슬리브(31)의 내벽에 중공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스냅링(32)을 형성하면, 중공 슬리브(31)에 압입되는 직결부(22)의 직결핀(22a)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스냅링(32)에 의해 스냅 피팅 구조로 보다 안정되게 고착되므로, 직결부쉬(30)와 직결부(22) 사이의 보다 긴밀한 고정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프레임의 양단부에 단일몸체로 구성된 다리를 직결시킨 형태의 프레임 안경테를 제안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를 고정하는 직결구조는, 도 7과 같이 힌지부(H)를 통해 절첩되는 절첩형 다리(20')를 렌즈 프레임(10)의 양단에 직결시킨 프레임 안경테(1')에도 공용이 가능하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예정하고 있다.
1. 프레임 안경테
10. 렌즈 프레임
11. 브릿지 12. 렌즈 고정구
13. 직결공 14. 규합홈부
20. 다리 21. 선형 탄성부재
22. 직결부 22a. 직결핀
22a-a. 견착돌기 23. 귀 견착부
30. 직결부쉬 31. 중공 슬리브
32. 스냅링

Claims (4)

  1. 브릿지의 양편에,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 고정구가 각각 형성된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레임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와이어로 이루어진 선형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ㄱ"형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며, 상기 절곡된 선단부에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되는 직결부가 형성되고, 다리의 후반부에는 귀 견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에 형성된 직결부를 통해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ㄱ"자형으로 절곡된 선형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을 통해 착용자의 두부 양편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며,
    상기 렌즈 프레임의 양단 전면에는, 상기 다리의 직결부의 양측면과 내벽을 감싸는 규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직결부가 상기 렌즈 프레임의 규합홈부에 규합된 상태로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직결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리는 직결부의 상하 유동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결부의 내벽에는 한 쌍의 직결핀이 형성되고, 렌즈 프레임의 양단에는 직결부에 형성된 직결핀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직결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렌즈 프레임의 직결공에 전방에서 진입된 직결부의 직결핀은, 렌즈 프레임의 후방에서 직결공으로 진입되는 직결부쉬의 중공 슬리브에 의해 강제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한 연결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안경테.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결핀의 외경에는 복수의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직결핀에 압입되는 직결부쉬의 중공 슬리브는 걸림돌기에 의해 소성 변형되어 걸림돌기를 견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안경테.
KR1020130097167A 2013-08-16 2013-08-16 프레임 안경테 KR10152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67A KR101520616B1 (ko) 2013-08-16 2013-08-16 프레임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67A KR101520616B1 (ko) 2013-08-16 2013-08-16 프레임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18A KR20150019818A (ko) 2015-02-25
KR101520616B1 true KR101520616B1 (ko) 2015-05-15

Family

ID=5257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167A KR101520616B1 (ko) 2013-08-16 2013-08-16 프레임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06B1 (ko) * 2018-04-20 2019-10-25 배윤수 안경의 림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44Y1 (ko) 2000-09-27 2001-03-15 김창식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100989707B1 (ko) * 2009-02-03 2010-10-26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44Y1 (ko) 2000-09-27 2001-03-15 김창식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100989707B1 (ko) * 2009-02-03 2010-10-26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18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16B1 (ko) 프레임 안경테
KR101875739B1 (ko)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101392195B1 (ko) 개량된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플라스틱 안경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720045B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콤비형 안경테
KR200313658Y1 (ko) 안경다리의 조립구조
KR101744658B1 (ko)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CN217156957U (zh) 一种稳定佩戴的眼镜
KR200175821Y1 (ko) 안경다리와 다리연결체의 결합구조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180096405A (ko) 힌지조립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안경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335222Y1 (ko) 안경 코받침 지지구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816908B1 (ko) 개량된 렌즈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테 안경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0160934Y1 (ko) 안경다리의 개량 경첩구조
KR200354839Y1 (ko)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립 가능한 부품구조를 갖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