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658B1 -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658B1
KR101744658B1 KR1020150123163A KR20150123163A KR101744658B1 KR 101744658 B1 KR101744658 B1 KR 101744658B1 KR 1020150123163 A KR1020150123163 A KR 1020150123163A KR 20150123163 A KR20150123163 A KR 20150123163A KR 101744658 B1 KR101744658 B1 KR 101744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ress
connecting rod
bridg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80A (ko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 (Inno)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to KR102015012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6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6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exchangeable or otherwise fitted to the shape of the no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브릿지에 별도로 제작된 코받침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Frame of eyeglasses having improved assembly structure of nose support}
본 발명은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브릿지에 별도로 제작된 코받침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저하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시력에 적합한 도수로 가공된 렌즈와 상기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프론트 및 프론트를 안면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는 브릿지의 양편에 렌즈 설치구인 림이 형성된 형태로, 상기 브릿지의 내벽에는 코와 브릿지 사이를 지지하여 안면의 정위치에 프론트를 위치시키는 코받침이 형성된다.
상기 코받침은 사출 성형을 통한 프론트의 성형과정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사출 성형에서 탈형에 따른 코받침 형상의 제약이 발생되므로, 최근에는 프론트와 코받침을 분리 제작한 다음, 프론트의 브릿지에 코받침을 조립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받침을 분리 제작하면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의 코받침을 프론트에 형성할 수 있어,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크기나 형상의 코받침을 프론트에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코받침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프론트의 성형을 위한 금형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지 아니하고, 단일 프론트에 분리 제작된 코받침의 조립을 통해 체형에 적합한 코받침을 갖는 안경테의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분리 제작된 코받침을 프론트에 조립하는 구조로는, 프론트의 브릿지에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코받침에 결합돌기를 견착하는 결합홀을 형성하여,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탄성 견착을 통해 코받침이 프론트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이 종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탄성 견착을 통한 코받침의 설치구조를 채택한 안경테는, 착용과정에 소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조립상태가 불량해져 코받침이 프론트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코받침과 프론트 사이의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결합돌기 또는 걸림턱의 마모 내지 파손이 발생될 경우 코받침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져 안정된 착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분리된 코받침의 재장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10-1378769(2014.03.21.(등록일))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2-0001977(2012.03.16.(공개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의 브릿지에 별도로 사출 성형된 코받침을 고정함에 있어, 브릿지에 형성된 조립홈부, 또는 조립홈부에 삽입된 코받침의 연결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를 통해 코받침이 브릿지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여, 착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받침의 유동이나 이탈 발생을 예방하면서 코받침의 간편한 교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는,
브릿지의 양단에 림이 형성된 프론트와, 연결대의 양단에 코 지지편이 형성된 코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내벽에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부에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된 조립홈부에는 전방에 코받침의 연결대를 감싸는 ㄷ자형의 고정홈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억지 끼움되어서,
상기 양단에 코받침이 형성된 코받침의 연결대는, 고정홈을 통해 연결대를 상하로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브릿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만곡지게 휘어진 곡면체로 이루어져, 브릿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조립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대를 상하로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대는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의 양단에 고착되며,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배치된 코 지지편의 내벽은 내접된 압입부재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릿지의 양단에 림이 형성된 프론트와, 연결대의 양단에 코 지지편이 형성된 코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내벽에 조립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에 좌우로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부에는, 선단에 연결대의 절개구에 압입되는 압입편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압입되어서,
상기 절개구가 형성된 연결대는 절개구에 삽입된 압입편에 의해 상하로 확장되어, 조립홈부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고착되어 브릿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만곡지게 휘어진 곡면체로 이루어져, 브릿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조립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대의 절개구에 압입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대는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의 양단에 고착되며,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배치된 코 지지편의 내벽은 내접된 압입부재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홈부의 양측 내벽과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되는 코받침의 연결대의 양측 외벽에는, 견착홈과 상기 견착홈에 견착되는 걸림턱이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된 코받침의 연결대는 걸림턱이 상기 조립홈부의 견착홈에 견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입부재의 외벽과 내접하는 조립홈부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는 압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를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의 외벽에는 압입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된 압입부재의 압입돌기가 압입홈에 압입하여 고정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는, 브릿지의 내벽에 형성된 조립홈부, 또는 조립홈부에 삽입된 코받침의 연결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를 통해 코받침이 안경테의 브릿지에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는 압입부재에 의해 브릿지에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착용과정에 반복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코받침과 브릿지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거나 코받침이 브릿지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어, 향상된 착용 안정성 및 내구성을 겸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입부재의 제거를 통해 브릿지에 고정된 코받침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코받침의 신속한 교환 설치를 통해 안경테의 신속하고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안경테에 있어, 코받침의 조립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정단면도와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가 채택된 안경테(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12)의 양단에 림(11)이 형성된 프론트(10)와, 연결대(21, 21')의 양단에 코 지지편(22)이 형성된 코받침(20, 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10)의 양측에는 힌지구조를 통해 다리(미도시)가 설치되어 안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받침(20, 20')은 프론트(10)와 코 사이를 상향 지지하여 프론트(10)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안경테(1)를 구현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받침(20, 20')을 프론트(10)의 브릿지(12)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압입부재(30, 40)를 포함하는 코받침 설치구조를 제안 및 부가하여서, 코받침(20, 20')의 간편한 조립, 및 코받침의 교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의 브릿지(12)에 별도로 사출 성형된 코받침(20, 20')을 고정함에 있어, 압입부재(30, 40)를 통해 코받침(20, 20')이 브릿지(1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코받침의 간편한 조립, 및 코받침의 교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 착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받침(20, 20')의 유동이나 이탈 발생을 예방한다.
상기 브릿지(12)에 고정되는 코받침(20, 20')은, 연결대(21, 21')의 양편에 착용자의 코를 전체적으로 감싼 상태로 지지하는 마스크형의 코 지지편(22)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플라스틱, 실리콘, 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자체적인 유연성과 탄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금속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대(21, 21')의 양단에 형성된 각 코 지지편(22)에는 신축성 재질의 캡(미도시)을 덧씌워, 캡의 신축작용에 의해 코와 코받침 사이의 완충이 도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받침(20, 20')을 고정하는 프론트(10)는 플라스틱 재질을 비롯하여 알루미늄이나 티탄 등의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브릿지(12) 내측에는 조립홈부(13)가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받침(20, 20')의 연결대(21, 21')를 조립홈부(13)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조립홈부(13)의 양측 내벽과 상기 조립홈부(13)에 삽입되는 코받침 연결대(21, 21')의 양단 외벽에는, 도 4a와 도 7a와 같이 수직으로 절개된 V형의 견착홈(13a)과 상기 V형의 견착홈(13a)에 견착되는 V형의 걸림턱(22a)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20)은 도 4a와 도 7a와 같이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에 폭방향으로 탄성 수축하여 진입한 다음 본래의 폭으로 탄성 복원하면서, 연결대(21)의 양단 외벽에 형성된 V형의 걸림턱(22a)을 V형의 견착홈(13a)에 견착시켜서, 조립홈부(13) 내에 코받침(20)은 정위치에 예비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는 일자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받침(20, 20')의 연결대(21, 21')를 만곡지게 휘어진 곡면체로 구성하여, 조립홈부(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브릿지(12)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조립홈부(13)에 안정되게 삽입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받침(20, 20')의 연결대(21, 21')는 도 4b와 도 7b와 같이 조립홈부(13)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30, 40)에 의한 가압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코받침(20)의 연결대(21, 21')는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13)의 양단에 연결대(21, 21')의 양단이 보다 안정되게 고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에는 조립홈부(13)에 예비 조립된 코받침(20)의 연결대(21)를 감싸는 압입부재(30)를 억지 끼움하여, 조립홈부(13)에 억지 끼움된 압입부재(30)에 의해 코받침(20)의 연결대(21)가 브릿지(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코받침(20)을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에 고정하는 압입부재(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에 삽입되어 예비 조립된 코받침(20)의 연결대(21)를 상하로 감싸는 ㄷ자형 고정홈(30b)이 형성된 압입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입부재(3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압입부재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부(13)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는 압입홈(13b)이 형성되고, 상기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과 마주하는 압입부재(30)의 상부외벽과 하부 외벽에는 상하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압입돌기(31, 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20)의 연결대(21)를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13)에 억지 끼움된 압입부재(30)는 도 3과 같이 압입돌기(31, 31)를 조립홈부(13)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13b)에 압입하여 보다 안정된 고정상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압입부재(30)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코받침(20)의 연결대(21)는 도 4b와 같이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13)의 양단에 연결대(21)의 양단이 보다 안정되게 고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의 조립홈부(13)에 삽입되는 코받침(20)의 연결대(21')에 절개된 절개구(21a)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구(21a)에 선단에 압입편(41)이 형성된 압입부재(40)를 삽입시켜, 도 6과 같이 절개구(21a)에 의해 상하 분할된 연결대(21')가 절개구(21a)에 압입된 압입부재(40)의 압입편(41)에 의해 상하로 확장되어 조립홈부(13)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상하 분할된 연결대(21')는 조립홈부(13)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13b)에 고착되고, 결과적으로 압입부재(40)를 통한 연결대(21')의 상하 확장을 통해서 코받침(20)의 연결대(21')를 브릿지(10)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받침(20)의 연결대(21, 21')를 감싸거나 감싸진 상태로 조립홈부(13)에 억지 끼움된 압입부재(30, 40)의 후방에는, 도 3과 도 4b, 그리고 도 6과 도 7b와 같이 브릿지(12)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그립부(32, 4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20)의 교환 설치시 펜치 등의 그립퍼(미도시)를 통해 브릿지(12)의 배면에 돌출된 그립부(32, 42)를 파지하여, 압입부재(30, 40) 및 상기 압입부재(30, 40)를 통해 브릿지(12)에 고정된 코받침(20, 20')을 브릿지(12)에서 강제로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 그리고 도 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 지지편(22)의 내측벽과 상기 코 지지편(22) 사이에 배치되는 압입부재(30, 40)의 양단에 반구형의 걸림홈(22b)과 반구형의 걸림돌기(30a, 40a)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30a, 40a)와 걸림홈(22b)의 결합을 통해 압입부재(30, 40)는 코받침(20)의 코 지지편(22) 사이에 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코받침(20)의 코 지지편(22)의 내벽은 내접된 압입부재(30, 40)의 양단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내구성이 보강되므로, 착용과정에 코 지지편(22)에 반복적인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코 지지편(22)은 압입부재(30, 40)에 의해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고, 또 압입부재(30, 40)를 통해 브릿지(11)와 코받침(20)을 구성하는 코 지지편(22)의 조립이 이루어져, 브릿지(12)에 조립된 코받침(20)의 보다 안정된 조립상태가 형성된다.
그리고, 압입부재(30, 40)의 제거를 통한 코받침(20)의 제거과정에, 코받침(20)과 압입부재(30, 40)는 조립된 상태로 브릿지에서 제거되므로, 코받침의 제거에 따른 간편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안경테
10. 프론트 11. 림
12. 브릿지 13. 조립홈부
13a. 견착홈 13b. 압입홈
20, 20'. 코받침 21, 21'. 연결대
21a. 절개구
22. 코 지지편 22a. 걸림턱
22b. 걸림홈
30. 압입부재 30a. 걸림돌기
30b. 고정홈
31. 압입돌기 32. 그립부
40. 압입부재 40a. 걸림돌기
41. 압입편

Claims (6)

  1. 브릿지의 양단에 림이 형성된 프론트와, 연결대의 양단에 코 지지편이 형성된 코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내벽에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부에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된 조립홈부에는 전방에 코받침의 연결대를 감싸는 ㄷ자형의 고정홈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억지 끼움되어서,
    상기 양단에 코받침이 형성된 코받침의 연결대는, 고정홈을 통해 연결대를 상하로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브릿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만곡지게 휘어진 곡면체로 이루어져, 브릿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조립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대를 상하로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대는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의 양단에 고착되며,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배치된 코 지지편의 내벽은 내접된 압입부재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2. 브릿지의 양단에 림이 형성된 프론트와, 연결대의 양단에 코 지지편이 형성된 코받침을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내벽에 조립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코받침의 연결대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에 좌우로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부에는, 선단에 연결대의 절개구에 압입되는 압입편이 형성된 압입부재가 압입되어서,
    상기 절개구가 형성된 연결대는 절개구에 삽입된 압입편에 의해 상하로 확장되어, 조립홈부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고착되어 브릿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대는 만곡지게 휘어진 곡면체로 이루어져, 브릿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조립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대의 절개구에 압입되는 압입부재에 의해 곡면체로 이루어진 연결대는 일자로 전개되어서, 조립홈부의 양단에 고착되며,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배치된 코 지지편의 내벽은 내접된 압입부재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부의 양측 내벽과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되는 코받침의 연결대의 양측 외벽에는, 견착홈과 상기 견착홈에 견착되는 걸림턱이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된 코받침의 연결대는 걸림턱이 상기 조립홈부의 견착홈에 견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재의 외벽과 내접하는 조립홈부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는 압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받침의 연결대를 감싼 상태로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되는 압입부재의 외벽에는 압입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조립홈부에 억지 끼움된 압입부재는 압입돌기를 조립홈부의 상부 내벽과 하부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에 압입시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5. 삭제
  6. 삭제
KR1020150123163A 2015-08-31 2015-08-31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KR10174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63A KR101744658B1 (ko) 2015-08-31 2015-08-31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63A KR101744658B1 (ko) 2015-08-31 2015-08-31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80A KR20170025980A (ko) 2017-03-08
KR101744658B1 true KR101744658B1 (ko) 2017-06-08

Family

ID=5840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63A KR101744658B1 (ko) 2015-08-31 2015-08-31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674A (ko) 2022-05-14 2023-11-21 김광석 장착의 용이성과 안전착용 기능을 겸비한 안경용 코 받침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77U (ko) 2010-09-08 2012-03-16 김형수 플라스틱안경용 코받침 결합구조
KR101378769B1 (ko) 2013-04-04 2014-03-27 이상범 안경 코받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674A (ko) 2022-05-14 2023-11-21 김광석 장착의 용이성과 안전착용 기능을 겸비한 안경용 코 받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80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3822C1 (ru) Очки с индивидуализируемой оправой
EP1127290B1 (en) Auxiliary eyewear attachment methods and apparatus
KR101799900B1 (ko) 조립식 안경
ATE480727T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stange mit einem stift
KR20070010075A (ko) 안경
KR101744658B1 (ko) 개량된 코받침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US10718954B2 (en) Modular eyewear
KR101875739B1 (ko)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EP3004969B1 (en) Eyeglasses frame and a method for mounting lenses in an eyeglasses frame
KR200416684Y1 (ko)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KR20200112809A (ko) 안경알 교체가 가능한 안경
CN107111154B (zh) 用于使用弹性垫连接件将镜片固位在眼镜架中的系统和方法
TWI604245B (zh) 眼鏡換片結構
KR200472592Y1 (ko)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JP2011064921A (ja) ノーズパッド取付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
KR20170001305U (ko) 착탈형 안경코받침
KR200427947Y1 (ko) 안경 코받침 지지대
KR101520616B1 (ko) 프레임 안경테
KR101761520B1 (ko) 안경테의 코받침
WO2015064875A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KR200339838Y1 (ko) 패드(pad)의 착탈(着脫)이 간편한 안경 코받침대
KR200286676Y1 (ko) 안경테
GB2315338A (en) Lens frame including a retaining 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