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39B1 -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 Google Patents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39B1
KR101875739B1 KR1020160137540A KR20160137540A KR101875739B1 KR 101875739 B1 KR101875739 B1 KR 101875739B1 KR 1020160137540 A KR1020160137540 A KR 1020160137540A KR 20160137540 A KR20160137540 A KR 20160137540A KR 101875739 B1 KR101875739 B1 KR 10187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fitting portion
bridge
connecto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003A (ko
Inventor
김경현
Original Assignee
김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현 filed Critical 김경현
Priority to KR102016013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은, 렌즈가 장착되는 한 쌍의 림; 상기 림의 내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릿지조립모듈; 상기 림의 외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체와, 상기 제1 연결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힌지조립모듈;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템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모듈이 규격화된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안경의 일부 파손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과 형태로 구비된 부품을 취사선택하여 특유한 자신만의 안경을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Prefabricated Eyewear Having Assembly Modules}
본 발명은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가능한 조립모듈을 통해 안경의 각 부품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는데 사용됨은 물론이고,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패션 소품의 용도로도 애용되는 장치로서, 기본적인 구성은 렌즈가 결합되는 안경테인 한 쌍의 림(Rim)과, 림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Bridge)와, 림의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귀에 걸리는 안경다리인 템플(Temple) 및 코걸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림과 템플은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에 나사로 체결되어 자유롭게 접히거나 펴지게 되는데, 이를 조립하고 분해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필요함에 따라 안경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힌지의 경우 안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관계상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 안경은 한 쌍의 림과 브릿지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템플이 림과 힌지를 통해 직결되는 관계상, 충격에 의해 림의 한쪽이나 브릿지 또는 힌지가 절단 또는 파손되는 경우 해당 부품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하기가 어려워 부득이 안경을 새로 구입해야 함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한 구조적인 취약성이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017호는 끼움식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다리와 안경테가 간단하게 끼움결합되어 접히거나 펴지고 교체를 위한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끼움결합되어 힌지작동을 하는 결합부가 파손되는 경우 안경다리 전체를 교체해야 하고, 안경본체 중 림의 한쪽 또는 브릿지가 파손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하여 안경본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017호(공개일자: 2013년05월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모듈을 규격화된 형태로 제시하여 안경의 신속하고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 있고, 안경의 일부 파손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과 형태로 구비된 부품을 취사선택하여 특유한 자신만의 안경을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렌즈가 장착되는 한 쌍의 림; 상기 림의 내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릿지조립모듈; 상기 림의 외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체와, 상기 제1 연결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힌지조립모듈;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템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브릿지조립모듈은, 막대형상의 브릿지몸체와, 상기 브릿지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되 단부에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2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결합부는, 상기 제1 끼움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과, 상기 확장부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몸체는,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로 분할되어 한 쌍의 상기 림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힌지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모듈은,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2 연결체와, 상기 템플이 내측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상기 제1,2 연결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제1,2 연결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확장부가 단부에 형성된 제2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결합부와 상기 템플은, 상기 제1 끼움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과, 상기 확장부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템플은, 제1 템플부와 제2 템플부로 분할되어 서로 회동하도록 접철조립모듈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접철조립모듈은, 상기 제1 템플부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접철체와, 상기 제1 접철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제2 템플부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접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체 간의 접촉면, 상기 제1,2 브릿지 간의 접촉면 및 상기 제1,2 접철체 간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마그넷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템플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지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다수 개의 구형자석과, 상기 구형자석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템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둘레홈과, 상기 구형자석 및 상기 둘레홈을 덮도록 이루어진 연질의 커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모듈이 규격화된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을 신속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안경의 일부 파손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과 형태로 구비된 부품을 취사선택하여 특유한 자신만의 안경을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의 접은 상태와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모듈을 각각의 형태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모듈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의 접은 상태와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립모듈을 각각의 형태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모듈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100)은, 안경의 신속하고 견고한 조립은 물론, 일부 부품의 파손시 해당 부품만의 손쉬운 교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안경 부품의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조립모듈을 규격화된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100)은, 림(110), 브릿지조립모듈(120), 힌지조립모듈(130) 및 템플(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접철조립모듈(150), 마그넷부(160), 지압부(17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림(110), 템플(140) 및 각종 조립모듈(120,130,150)은 금속을 소재로 다이캐스팅 또는 단조 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은 탄성력, 내부식성 및 가공성이 좋은 양백(Nickel silver metal),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초경량이며 탄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티타늄(Titanium), 내식성과 강도 및 탄력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내부식성과 인장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고 백색의 고광택 소재인 모넬(Mone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은 가소제 첨가로 탄력성과 가역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Celluloid), 난연성과 내광성이 우수한 아세테이트(Acetate), 인장강도와 경량이고 염색성 우수하고 항장력 및 충격강도와 열가공성이 우수한 탄소규소섬유(Si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림(110)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링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링형상의 내측에는 렌즈가 장착된다. 이러한 림(110)은 안경에 있어 외관적 디자인을 표출하는 특징적인 부분에 해당하므로, 안경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링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림(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제작된 한 쌍의 원형 링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원형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한 쌍의 원형 링체로 림(110)을 구성한 이유는, 어느 한쪽의 림(1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한쪽의 림(110)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안경테 전체를 교체하는 불합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림(110)에는 후술할 조립모듈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내측결합부(112) 및 외측결합부(114)가 각각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결합부(112)는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된 림(110)의 내측 단부 즉, 서로 마주보는 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브릿지조립모듈(120)과 탈착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측결합부(114)는,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된 림(110)의 외측 단부 즉, 서로 먼 쪽의 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힌지조립모듈(130)과 탈착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측결합부(112)는, 브릿지조립모듈(120)의 제1 끼움부(124)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112a)과, 확장부(126a)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112b)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결합부(114) 또한, 제1 삽입홈(114a)과 제2 삽입홈(114b)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조립모듈과 관련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하기로 한다.
브릿지조립모듈(120)은, 상술한 한 쌍의 림(110)을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안경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조립모듈로서, 림(110)의 내측결합부(11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브릿지조립모듈(120)의 주요 기능은, 한 쌍의 림(110)에 대한 용이하고 신속한 연결 조립은 물론, 림(110)의 손쉬운 분해 및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나아가 림(1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인 브릿지조립모듈(120)이 먼저, 파손 또는 망실되도록 하여 림(11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조립모듈(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몸체(122), 제1 끼움부(124), 제2 끼움부(126) 및 가압돌기(128)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브릿지몸체(122)는 안경의 코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대체적으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끼움부(124), 제2 끼움부(126) 및 가압돌기(128)는, 림(110)의 내측결합부(112)와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탈착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림(110)의 내측결합부(112)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112a) 및 제2 삽입홈(112b)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끼움부(124)는, 브릿지몸체(122)의 양단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결합부(112)의 제1 삽입홈(112a)에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돌출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1 끼움부(124)는 림(110)과 브릿지몸체(122)에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 뒤틀림(110)이 작용하더라도 양자 간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각형(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꼭 맞게 끼워진다.'라는 의미는 제1 삽입홈(112a)의 내측 공간과 제1 끼움부(124)의 외형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일치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양측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유격이 최소화된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하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끼움부(126)는, 제1 끼움부(124)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되 단부에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확장부(126a)가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결합부(112)의 제2 삽입홈(112b)에 대하여 확장부(126a)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질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은 후크와 같은 갈고리형상 등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2 끼움부(126)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부를 향해 유선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는 돌기형상으로 제작하되,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폭방향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삽입홈(112b)은, 확장부(126a)의 최대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2 끼움부(126)의 삽입과정에서 확장부(126a)의 수축변형을 유도하는 한편, 삽입된 이후에는 확장부(126a)의 확장변형을 유도하여 일정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끼움부(126)는 제2 삽입홈(112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유선형 구조의 제2 끼움부(126)와 제2 삽입홈(112b)을 통해 양자는 큰 저항 없이 용이하게 삽입 및 삽탈됨은 물론, 제2 삽입홈(112b)에 끼워진 이후에는 림(110)과 브릿지몸체(122)에 서로 반대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양자 간의 결합력을 소정 범위(확장부(126a)의 탄성변형력)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돌기(128)는 상술한 제1 끼움부(124)와 제1 삽입홈(112a) 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 끼움부(124)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가압돌기(128) 형성된 위치에서 제1 삽입홈(112a)의 내측면이 가압됨에 따라 브릿지조립모듈(120)과 림(110)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압돌기(128)가 위치하게 되는 제1 삽입홈(112a)의 내측면 일측에는 가압돌기(128)의 돌출길이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된 가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 살펴본 제1 끼움부(124), 제2 끼움부(126) 및 가압돌기(128)가, 내측결합부(112)의 제1 삽입홈(112a) 및 제2 삽입홈(112b)에 상호 보완적이고 중첩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어떠한 외부 충격에도 림(110)과 브릿지조립모듈(120)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과도한 외부 충격이 림(110)이나 브릿지조립모듈(120)에 가해지더라도 림(110) 자체의 파손보다 얇은 막대형상의 제2 끼움부(126)가 먼저, 파손 또는 절단됨에 따라 단순히 브릿지조립모듈(12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안경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힌지조립모듈(130)은, 상술한 한 쌍의 림(110)과 후술할 템플(140)을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템플(140)이 한 쌍의 림(110)에 대하여 내측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조립모듈로서, 림(110)의 외측결합부(114)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체(132a) 및 제1 연결체(132a)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체(1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힌지조립모듈(130)의 주된 기능은, 림(110)과 템플(140) 간의 용이하고 신속한 연결 조립과 템플(140)의 접철은 물론, 림(110)과 템플(140) 간의 손쉬운 분해 및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고, 또한, 림(110)이나 템플(14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양자의 연결부인 힌지조립모듈(130)이 먼저, 파손 또는 망실되도록 하여 림(110)이나 템플(14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종래 안경의 경우 힌지가 파손되면, 림(110)이나 템플(140)을 모두 교체하거나 아예 새제품을 구입해야만 했던 점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힌지조립모듈(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32a), 제2 연결체(132b), 힌지부(133), 제1 끼움부(134), 제2 끼움부(136) 및 가압돌기(13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2 연결체(132a,132b)는 후술할 힌지부(123,133,153)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서 상대 회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2 연결체(132a,13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회동(도 1a 참조)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절곡된 막대형상이 되어 림(110)과 템플(140)을 대략 직각상태에 놓이게 하고, 반면에 제1,2 연결체(132a,13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동(도 1b 참조)하게 되면 림(110)과 템플(140)을 서로 인접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힌지부(133)는, 템플(140)이 내측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제1,2 연결체(132a,132b)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상호 간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2 연결체(132a,132b)를 소정범위에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는 공지의 구조나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끼움부(134), 제2 끼움부(136) 및 가압돌기(138)는, 림(110)의 외측결합부(114) 및 템플(140)과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탈착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외측결합부(114) 및 템플(140)에 형성된 제1 삽입홈(114a) 및 제2 삽입홈(114b)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힌지조립모듈(130)에 형성된 제1 끼움부(134), 제2 끼움부(136) 및 가압돌기(138)는, 그 형상이나 기능에 있어 브릿지조립모듈(120)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다만, 제1 끼움부(134)는, 제1,2 연결체(132a,132b)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형성되어 제1,2 연결체(132a,13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밀착된 경우(템플(140)이 펴진 경우(도 1a 참조)) 대략 직각상태를 이루게 되고, 제1,2 연결체(132a,13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최대로 멀어진 경우(템플(140)이 접힌 경우(도 1b 참조))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나란하게 놓이게 된다는 점에서만 구별된다.
이러한 제1 끼움부(134), 제2 끼움부(136) 및 가압돌기(138)가, 외측결합부(114) 및 템플(140)의 제1 삽입홈(114a,142a) 및 제2 삽입홈(114b,142b)에 상호 보완적이고 중첩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어떠한 외부 충격에도 림(110)과 템플(140)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과도한 외부 충격이 림(110)이나 템플(140)에 가해지더라도 림(110) 또는 템플(140) 자체의 파손보다 얇은 막대형상의 제2 끼움부(136)가 먼저, 파손 또는 절단됨에 따라 단순히 힌지조립모듈(130)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림(110)과 템플(140)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은 부품의 불필요한 폐기를 방지하여 자원의 재활용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템플(140)은, 림(110)의 양측과 힌지결합되어 귀에 안착되는 안경다리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귀 부분에서 자연스럽게 걸릴 수 있도록 절곡이 이루어지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이러한 템플(140)은, 림(110)과 함께 안경에 있어 외관적 디자인을 표출하는 특징적인 부분에 해당하므로, 안경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색채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템플(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조립모듈(130)과 분리 제작된 한 쌍의 절곡형 막대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절곡형 막대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템플(140)을 힌지조립모듈(130)과 분리 제작한 이유는, 종래와 같이 템플(140)과 힌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외측으로 노출되어 파손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힌지만이 파손되더라도 멀쩡한 템플(140)이나 림(110)까지도 교체해야 했던 불합리 내지 자원낭비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템플(140)은, 상술한 힌지조립모듈(130) 특히, 제2 연결체(132b)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끼움부(134)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142a)과, 확장부(136a)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142b)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제1,2 삽입홈(142a,142b)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변형예에 따른 브릿지몸체(1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릿지(122a)와 제2 브릿지(122b)로 분할되어 한 쌍의 림(11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힌지부(1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몸체(122)의 접철구조는, 안경을 콤팩트하게 수납하기 위해 안출된 구조인데, 제1 브릿지(122a)와 제2 브릿지(122b)는, 제1 브릿지(122a)와 제2 브릿지(122b)의 접촉면이 서로 밀착된 경우 직선형태의 막대형상을 이루게 되고, 제1 브릿지(122a)와 제2 브릿지(122b)의 접촉면이 최대로 멀어진 경우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나란하게 놓이게 된다.
상술한 브릿지몸체(122)의 접철구조는, 마치 힌지조립모듈(130)과 유사하므로, 이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템플(140)은, 제1 템플부(140a)와 제2 템플부(140b)로 분할되어 서로 회동하도록 접철조립모듈(1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또한, 브릿지몸체(122)의 접철구조와 연동되어 안경을 보다 콤팩트하게 수납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철조립모듈(150)은, 제1 템플부(140a)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접철체(152a) 및 제1 접철체(152a)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제2 템플부(140b)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접철체(15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조립모듈(150)의 주된 기능은, 제1 템플부(140a)와 제2 템플부(140b) 간의 용이하고 신속한 연결 조립과 템플(140)의 접철은 물론, 템플(140)의 손쉬운 분해 및 교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고, 또한, 템플(14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인 접철조립모듈(150)이 먼저, 파손 또는 망실되도록 하여 템플(14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종래 안경의 경우 템플(140)의 일부가 파손되면, 템플(140) 전체를 교체해야만 했던 점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접철조립모듈(150)은, 힌지조립모듈(130) 등과 유사하게 제1,2 접철체(152a,152b), 힌지부(153), 제1 끼움부(154), 제2 끼움부(156) 및 가압돌기(15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2 접철체(152a,152b)는, 힌지부(153)를 기준으로 소정범위에서 상대 회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2 접철체(152a,15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회동(도 4 참조)하게 되면 제1,2 템플부(140a,140b)는 대략 직선형 막대형상을 이루게 되고, 반면에 제1,2 접철체(152a,152b) 간의 접촉면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동하게 되면 제1,2 템플부(140a,140b)는 서로 접혀져 평행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힌지부(153)는, 힌지조립모듈(130)을 통해 안경 내측으로 접혀진 템플(140)을 다시 외측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제1,2 접철체(152a,152b)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상호 간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2 접철체(152a,152b)를 소정범위에서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는 공지의 구조나 방식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끼움부(154), 제2 끼움부(156) 및 가압돌기(158)는, 제1,2 템플부(140a,140b)와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탈착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1,2 템플부(140a,140b)의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홈(142a) 및 제2 삽입홈(142b)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접철조립모듈(150)에 형성된 제1 끼움부(154), 제2 끼움부(156) 및 가압돌기(158)와, 제1 템플부(140a)와 제2 템플부(140b)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되어 제1 끼움부(154)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142a)과, 확장부(156a)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142b)은, 그 형상이나 기능에 있어 브릿지조립모듈(120)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연결체(132a,132b) 간의 접촉면, 제1,2 브릿지(122a,122b) 간의 접촉면 및 제1,2 접철체(152a,152b) 간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마그넷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부(160)는 한 쌍의 판형 자성체로 이루어지되, 어느 한쪽의 접촉면에 결합되는 N극성의 자성체와, 다른 한쪽의 접촉면에 결합되는 S극성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2 연결체, 제1,2 브릿지 및 제1,2 접철체 간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접혀진 상태에서 펴지는 작동이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템플(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지압부(1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압부(170)는, 다수 개의 구형자석(172)과, 구형자석(172)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템플(14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둘레홈(174)과, 구형자석(172) 및 둘레홈(174)을 덮도록 이루어진 연질의 커버체(1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형자석(172)은, 의료용 자석(희토류자석 또는 네오디움)으로 일측이 N극을 띠고 타측은 S극을 띠는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할 둘레홈(174)에 일부가 수용되고 타측 일부는 템플(140)(제2 템플부(140b))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외측으로 돌출된 구형자석(172)은, 안경 착용시 사용자의 귀 앞쪽의 혈자리인 곡빈혈 주변을 지압함에 따라 머리에서 몸 옆면을 따라 발끝까지 흐르는 경락을 자극하게 되어 사용자의 정신을 맑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N극의 경우 인체 조직의 수축,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인체 내의 생체전류와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에 대하여 N극의 자력선이 작용하게 되면, 그 활동력을 촉진해 어혈이나 통증 등을 완화하는 치료 작용을 하게 되며, 반면에 S극의 경우 인체 조직을 팽창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상처부위 순환을 촉진시켜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둘레홈(1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자석(172)의 극성을 선택적으로 N극과 S극으로 바꿀 수 있게 구형자석(172)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서, 템플(140)(제2 템플부(140b))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환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개의 구형자석(172)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이격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형자석(172)의 극성에 따른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구형자석(172)을 안내홈을 따라 회전시켜 N극 또는 S극으로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선택하거나 또는 구형자석(172)이 돌출되지 않은 면이 피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지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위치변경을 할 수 있다.
연질의 커버체(176)는, 구형자석(172)의 이탈을 방지하고 구형자석(172)과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부로부터 미끌림(110)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구형자석(172) 및 둘레홈(174)을 덮어 탄력지지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튜브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접혀지는 브릿지조립모듈(120)과 힌지조립모듈(130) 및 접철조립모듈(150)의 중첩적인 접힘작동으로 인해 콤팩트한 크기로 접혀져 용이한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림(110)이나 템플(140) 등에 강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다수의 조립모듈(120,130,150)이 각각의 지점에서 파손 또는 절단됨에 따라 림(110)이나 템플(140)과 같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각각의 지점에서 충격이 흡수됨에 따라 분리된 부품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손상 또한 저감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110: 림
112: 내측결합부 112a,114a,142a: 제1 삽입홈
112b,114b,142b: 제2 삽입홈 114: 외측결합부
120: 브릿지조립모듈 122: 브릿지몸체
122a: 제1 브릿지 122b: 제2 브릿지
123,133,153: 힌지부 124,134,154: 제1 끼움부
126,136,156: 제2 끼움부 126a,136a,156a: 확장부
128,138,158: 가압돌기 130: 힌지조립모듈
132a: 제1 연결체 132b: 제2 연결체
140: 템플 140a: 제1 템플부
140b: 제2 템플부 150: 접철조립모듈
152a: 제1 접철체 152b: 제2 접철체
160: 마그넷부 170: 지압부
172: 구형자석 174: 둘레홈
176: 커버체

Claims (7)

  1. 렌즈가 장착되는 한 쌍의 림;
    상기 림의 내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릿지조립모듈;
    상기 림의 외측결합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체와, 상기 제1 연결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힌지조립모듈; 및
    상기 제2 연결체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템플을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조립모듈은,
    막대형상의 브릿지몸체와, 상기 브릿지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되 단부에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2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결합부는,
    상기 제1 끼움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과, 상기 확장부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몸체는,
    제1 브릿지와 제2 브릿지로 분할되어 한 쌍의 상기 림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모듈은,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2 연결체와, 상기 템플이 내측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상기 제1,2 연결체를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제1,2 연결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중앙부에서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확장부가 단부에 형성된 제2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결합부와 상기 템플은,
    상기 제1 끼움부에 꼭 맞게 끼워지는 제1 삽입홈과, 상기 확장부가 탄성변형되며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제1 템플부와 제2 템플부로 분할되어 서로 회동하도록 접철조립모듈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접철조립모듈은,
    상기 제1 템플부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접철체와, 상기 제1 접철체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제2 템플부의 단부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접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체 간의 접촉면, 상기 제1,2 브릿지 간의 접촉면 및 상기 제1,2 접철체 간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마그넷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지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는,
    다수 개의 구형자석과, 상기 구형자석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템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둘레홈과, 상기 구형자석 및 상기 둘레홈을 덮도록 이루어진 연질의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KR1020160137540A 2016-10-21 2016-10-21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KR10187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40A KR101875739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540A KR101875739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03A KR20180044003A (ko) 2018-05-02
KR101875739B1 true KR101875739B1 (ko) 2018-07-06

Family

ID=6218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540A KR101875739B1 (ko) 2016-10-21 2016-10-21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41A (ko) 2018-11-29 2020-06-08 (주)루시드코퍼레이션 블럭 조립형 안경테
WO2021215763A1 (ko) * 2020-04-22 2021-10-28 Oh Yoon Suk 전면부의 엔드피스가 분리 가능한 안경
KR20220025535A (ko) 2020-08-24 2022-03-0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조립식 안경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4749A (en) * 1949-01-25 1950-04-18 David I Stepacoff Coupling for eyeglasses
KR200164639Y1 (ko) * 1999-08-03 2000-02-15 우기주 안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4749A (en) * 1949-01-25 1950-04-18 David I Stepacoff Coupling for eyeglasses
KR200164639Y1 (ko) * 1999-08-03 2000-02-15 우기주 안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41A (ko) 2018-11-29 2020-06-08 (주)루시드코퍼레이션 블럭 조립형 안경테
WO2021215763A1 (ko) * 2020-04-22 2021-10-28 Oh Yoon Suk 전면부의 엔드피스가 분리 가능한 안경
KR20210130354A (ko) * 2020-04-22 2021-11-01 오윤석 전면부의 엔드피스가 분리 가능한 안경
KR102512012B1 (ko) * 2020-04-22 2023-03-20 오윤석 전면부의 엔드피스가 분리 가능한 안경
KR20220025535A (ko) 2020-08-24 2022-03-0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조립식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03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83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AU2010217125B2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KR101875739B1 (ko) 조립모듈을 구비한 조립식 안경
US7524054B2 (en) Eyewear having lens retaining member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KR200347247Y1 (ko)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CN112074776B (zh) 眼镜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101929975B1 (ko) 힌지조립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안경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100626468B1 (ko) 안경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JP5717435B2 (ja) 眼鏡フレーム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KR20140000532U (ko) 안경 세트
KR20170130104A (ko) 안경렌즈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한 안경렌즈 고정방법
KR20024415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JP2005227466A (ja) メガネ、メガネ取付ツボ押し具およびツボ押圧方法
JP2012252053A (ja) 保持バンド付き眼鏡
KR200451258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KR100316684B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200184301Y1 (ko) 아이 가드
JP2017203903A (ja) インナーグラス
KR200199520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KR100829721B1 (ko) 2중 안경 탈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