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98B1 -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98B1
KR101280098B1 KR1020107023571A KR20107023571A KR101280098B1 KR 101280098 B1 KR101280098 B1 KR 101280098B1 KR 1020107023571 A KR1020107023571 A KR 1020107023571A KR 20107023571 A KR20107023571 A KR 20107023571A KR 101280098 B1 KR101280098 B1 KR 10128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holding
recess
portion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923A (ko
Inventor
노리히사 오노다
아사코 가와노
유키히로 이즈미타니
야스시 사카이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렌즈(2)의 외측 연면(2c-b)에 둘레방향으로 긴 편평한 요함부(13)를 형성한다. 렌즈유지부(9)의 선단부를 'J'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렌즈유지부(9A)로 한다. 이 렌즈유지부(9A)를 요함부(13)에 삽입하여 접착제(15)에 의해 고정한다. 따라서, 안경렌즈(2)와 렌즈유지부(9)와의 결합강도가 크고, 뒤틀림에 대해서 느슨해지거나 탈락할 우려가 없이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HOLDING STRUCTURE FOR EYEGLASS LENS, EYEGLASSES, AND METHOD OF PRODUCING 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림리스 타입(rimless type)의 안경에 적용하기 적합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야의 넓이나 경량성의 이점 등으로부터 림리스 타입의 안경(이하, 단순히 '림리스 안경'이라고도 함)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림리스 타입의 안경으로서는, 렌즈 연면(緣面, edge surface)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엔드 피스(end piece) 및 브릿지 등의 렌즈유지부재에 마련된 렌즈유지부를 삽입하고, 접착제(수지)로 고정하여, 렌즈를 유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일본국 특개평07-230062),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 참조).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는, 안경렌즈의 연면에 2개의 블라인드 홀(blind hole)을 형성하고, 안경프레임의 렌즈유지부재에 2개의 핀모양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렌즈유지부를 마련하며, 블라인드 홀에 핀모양 돌기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의 도 4 ~ 6에 기재되어 있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는, 안경렌즈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단면 원형의 두께방향구멍을 형성한다. 게다가, 렌즈의 연면에 두께방향구멍으로 연통하는 단면이 가늘고 긴 구멍 모양의 연면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안경프레임의 렌즈유지부재에 연면 구멍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연결부를 마련하고, 연면 구멍에 접착제를 충전한다. 그 후, 그 연면 구멍에 연결부를 끼워 삽입하고, 접착제의 일부를 두께방향구멍으로 유출(流出)시켜 고정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에 기재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는, 안경렌즈의 연면에 장착 구멍을 형성하고, 그 장착 구멍의 측벽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유지부재에 형성된 홈에 잠입(潛入)하는 팽출부(膨出部, protruding portion)를 가지는 록킹돌기를 형성하고, 장착 구멍에 록킹돌기를 삽입한다. 그 후, 슬라이드시켜 홈에 팽출부를 걸리게 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렌즈 연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곳에 렌즈유지부를 삽입해 접착제로 고정하여 렌즈를 유지하는 림리스 안경은, 렌즈의 광학면으로 렌즈유지부가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효시야가 넓고, 렌즈면의 닦기 작업이 용이하다. 또, 렌즈 유지에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느슨해짐이나 흔들림이 없이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이 렌즈 연면의 홈에 렌즈유지부를 끼워 넣어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구조의 경우, 렌즈유지부의 회전방지 및 누락방지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에 기재한 렌즈유지구조에서는, 렌즈유지부재에 형성된 평행한 2개의 핀모양 돌기부를 렌즈 연면에 형성된 평행한 2개의 블라인드 홀에 삽입함으로써 회전방지를 하고 있다. 또, 핀모양 돌기부와 블라인드 홀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누락방지를 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에 기재한 렌즈유지구조에서는, 렌즈 연면에 형성하는 연면 구멍을 단면이 가늘고 긴 구멍 모양으로 함과 아울러, 렌즈유지부재의 연결부를 편평(扁平)하게 형성함으로써 회전방지를 하고 있다. 또, 연결부와 연면 구멍을 접착제로 고정함과 아울러 두께방향구멍으로 유출하여 고화(固化)한 접착제가 누락방지용 앵커(anchor)로서 기능함으로써 누락방지를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에 기재한 렌즈유지구조의 경우는, 장착 구멍에 록킹돌기를 삽입한 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록킹돌기의 팽출부를 장착 구멍의 홈에 잠입시키고, 또한,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으로써 누락방지를 하고 있다. 또, 팽출부 위에 위치하는 연결재와 장치구멍의 홈 위에 위치하는 슬릿이 끼워맞춤함으로써 회전방지를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림리스 안경은, 모두 안경렌즈의 연면에 스트레이트한 구멍을 형성하고, 렌즈유지부재의 렌즈유지부를 스트레이트한 핀모양 또는 판모양으로 형성하며, 이 렌즈유지부를 구멍 또는 홈에 찔러 넣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렌즈유지부의 인발(引拔, pullout)에 대한 저항력은 접착제에 의한 결합력(구멍 내면과 렌즈유지부 외면과의 사이의 결합력이나, 접착제와 구멍 내면 또는 렌즈유지부 외면과의 계면(界面)에서의 결합력. 이하 간단히 '접착력'이라고도 함)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렌즈나 렌즈유지부재에 과도의 외력이 가해지는 등, 경화하고 있는 접착제가 렌즈유지부의 주변에서 부분적으로 파괴나 박리하여 버리면, 인발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림리스 안경의 경우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외에 홈과 팽출부와의 록킹 구조도 가진다. 따라서, 인발에 대해서는 비교적 강하지만, 렌즈의 장착 구멍이나 렌즈유지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이에 의해, 렌즈의 가공이나 렌즈유지부재의 제조가 어렵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일본국 특허 제285453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1-209009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제32428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림리스 안경은, 렌즈유지부의 렌즈 연면에 형성된 구멍으로의 삽입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과도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 렌즈유지부재나 템플(temple)의 변형 등으로 흡수할 수 없는 힘이 렌즈유지부로부터 렌즈의 구멍 내면이나 경화하고 있는 접착제에 가해져, 렌즈나 접착제를 파손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안경렌즈에 대한 렌즈유지부재의 누락방지와 회전방지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고, 안경렌즈와 렌즈유지부재와의 결합강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안경렌즈와 렌즈유지부재의 결합부분에 가해진 뒤틀림에 의한 렌즈의 파손도 저감할 수 있고, 렌즈유지부 주변의 부분적인 접착제의 박리나 파손이 생겨도 렌즈유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렌즈유지구조는, 림리스 타입의 안경에서의 안경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렌즈의 연면에는 렌즈의 두께방향으로 좁고 편평한 구멍인 요함부(凹陷部, recessed portion)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유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렌즈유지부재의 본체에 연결되어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되어 있는 선상(線狀)의 렌즈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렌즈유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요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유지부는 상기 요함부의 바닥을 따라서 절곡된 바닥부 측 절곡부와, 상기 바닥부 측 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렌즈유지부재의 본체에 연결되는 기단부와, 상기 바닥부 측 절곡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은 상기 발명에 기재한 유지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제조방법은, 안경렌즈의 연면에 요함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요함부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요함부에 렌즈유지부재의 렌즈유지부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진공탈포(眞空脫泡, vacuum degassing)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에 의하면, 안경렌즈의 연면에 편평한 요함부를 형성하고, 렌즈유지부재에는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한 선상의 부재로서, 기단부와 바닥부 측 절곡부와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렌즈유지부를 마련하고, 요함부에 렌즈유지부를 삽입하여 접착제를 충전하여 고화시켜 렌즈유지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에 더하여, 고화한 접착제가 렌즈유지부재의 요함부로부터의 누락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인장에 대해서 강하고, 안경렌즈와 렌즈유지부재의 결합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렌즈유지부의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접착제의 박리나 파손이 생겨도, 고화한 접착제가 렌즈유지부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따라서, 렌즈유지부가 누락하거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렌즈유지부는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된 선상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형이 편평하고 폭을 가진 형상이 되므로 렌즈유지부의 회전방지의 기능을 가진다. 게다가, 렌즈유지부의 뒤틀림에 대해서는 렌즈유지부의 기단부의 뒤틀림으로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누락방지와 회전방지의 기능은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렌즈유지부의 제조, 렌즈유지부의 렌즈에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서, 렌즈유지부재의 렌즈유지부에 의해서 요함부의 개구가 막히지 않고 접착제가 개구부에 이르고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중합, 수축 등에 의해 발생한 기포를 진공탈포에 의해서 요함부로부터 확실히 배출,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유지부의 절곡형상을 적당한 문자, 도형, 무늬 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없는 극히 획기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안경의 제조방법은, 접착제를 진공탈포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서 발생한 기포를 없앨 수 있어,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를 채용한 안경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안경의 프런트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안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안경렌즈의 외측 연면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유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안경렌즈의 내측 연면을 유지하는 코 측 렌즈유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안경렌즈의 외측 연면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유지부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렌즈유지구조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1은 요함부에 접착제를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안경과 렌즈유지구조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 도 6에서, 안경(1)은 좌우 한 쌍의 안경렌즈(2)와, 이들 안경렌즈(2)를 유지하는 안경프레임(3)으로 림리스 안경을 형성하고 있다.
안경렌즈(2)는 플라스틱(합성수지)에 의해서 제작된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로 이루어지고, 볼록 측 광학면(2a), 오목 측 광학면(2b) 및 연면(2c)을 가지고 있다.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로서는 디에틸렌 그릴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diethlyene glycol bisallyl carbonate)(CR-39) 또는 그 혼합계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共重合體) 등의 아릴계 렌즈, 폴리카보네이트계 렌즈, 아크릴계 렌즈, 비스페놀 A 유도체계 렌즈, 폴리우레탄계 렌즈, 폴리티오우레탄(polythiourethane)계 렌즈, 폴리우레탄 우레아(urea)계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에 바람직한 재료는 내충격성, 인장강도 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계 렌즈, 폴리티오우레탄계 렌즈, 폴리우레탄 우레아계 렌즈이다.
안경프레임(3)은 한 쌍의 안경렌즈(2)간에 배치된 브릿지(4)와, 이 브릿지(4)에 노우즈 패드 다리부(6)를 통하여 각각 장착된 좌우 한 쌍의 노우즈 패드(7)와, 각 안경렌즈(2)의 양 외측(템플 측)에 각각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엔드 피스(예를 들면 힌지 타입 엔드피스)(8)와, 각 엔드 피스(8)의 후단에 힌지(10)를 통하여 각각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템플(1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릿지(4)와 엔드 피스(8)는 렌즈(2)를 유지하는 부재이므로, 이들을 렌즈유지부재(4, 8)이라고도 한다.
브릿지(4)는 브릿지 본체와, 좌우 한 쌍의 코 측 렌즈유지부(5)로 이루어진다. 코 측 렌즈유지부(5)는 브릿지 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선상의 부분으로서, 각 안경렌즈(2)의 연면(2c) 중 내측(코 측)의 연면(2c-a)(이하, '내측 연면(2c-a)'이라고도 함)을 각각 유지한다. 엔드 피스(8)는 엔드 피스 본체와, 좌우 한 쌍의 템플 측 렌즈유지부(9)로 이루어진다. 템플 측 렌즈유지부(9)는 그 각 엔드 피스(8)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선상의 부분으로서, 안경렌즈(2)의 연면(2c) 중 외측(템플 측)의 연면(2c-b)(이하, '외측 연면(2c-b)'이라고도 함)을 유지한다. 또한, 여기서, 브릿지(4)의 브릿지 본체와, 엔드 피스(8)의 엔드 피스 본체는 각각 코 측 렌즈유지부(5), 템플 측 렌즈유지부(9) 이외의 부분으로서, 이들을 총칭하여 부르는 경우는 렌즈유지부재 본체라고 한다. 또, 코 측 렌즈유지부와 템플 측 렌즈유지부를 총칭하여 부르는 경우는 렌즈유지부라고 한다.
브릿지(4)의 재질로서는, Ti 또는 Ti합금, 철계 합금, 18금, 14금, 양은, 모넬(monel), 하이 니켈(high nickel), 스테인리스 등의 니켈 합금 또는 브론즈나 베릴륨 구리(beryllium copper) 등의 구리합금 등의 금속재료나, 폴리아미드(polyamide), PAS, PES 등의 수지 등이 이용된다. 브릿지(4)와 안경렌즈(2)와의 고정은 코 측 렌즈유지부(5)를 통하여 행해진다.
코 측 렌즈유지부(5)는 브릿지(4)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는 선재(線材)의 절곡가공이나 사출성형가공(예를 들면 재질이 수지인 경우)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 중 적어도 일부(5A, 이하 삽입부(5A)라고 함)가 안경렌즈(2)의 내측 연면(2c-a)에 형성한 요함부(12)에 삽입되며, 접착제(15)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안경렌즈(2)를 유지하고 있다.
코 측 렌즈유지부(5)로서는 브릿지(4)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별체로 형성하여 납땜(brazing) 등에 의해 브릿지 본체에 접합되는 것이어도 된다.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삽입부(5A)의 선상재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이 바람직하고, 그 직경은 0.4 ~ 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면 형상을 예를 들면 사각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안경렌즈(2)를 유지하는 부분의 형상(삽입부(5A)의 형상)으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상재를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하여 형성되는 여러 가지의 형상, 예를 들면 'J'자 형상, 'U'자 형상, 'V'자 형상, 'コ'자 형상, 'W'자 형상, 'M'자 형상, 'N'자 형상, 소용돌이 형상, 세 잎 클로버와 같은 형상, 문자 형상, 도형, 무늬 등, 혹은 그들의 조합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삽입부(5A)의 크기로서는 안경착용자의 시야를 차단하여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렌즈(2)의 요함부(12) 내로의 삽입방향의 길이(이하, '렌즈(2)로의 연결 깊이'라고도 함)가 1.5 ~ 4.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세로폭(세로방향의 폭)은 선재의 직경의 2.5 ~ 6배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안경렌즈(2)의 요함부(12)는 안경렌즈(2)의 내측 연면(2c-a)에 형성된 렌즈두께방향으로 좁은 편평한 블라인드 홀로 이루어진다. 요함부(12)의 두께폭(렌즈두께방향의 폭)은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요함부(12) 내에 삽입되는 부분(삽입부 5A)의 두께(삽입부(5A)의 선상재가 단면 원형인 경우는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요함부(12)의 깊이는 삽입부(5A)의 연결 깊이에 맞도록 설정된다(바람직하게는 1.5 ~ 4.0㎜의 범위 내). 요함부(12)의 개구 길이는 삽입부(5A)의 세로폭의 최대폭과 동일한 정도나 그것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함부(12)의 내면 형상은 렌즈두께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평행한 내벽면과, 이 한 쌍의 내벽면의 주연(周緣)을 연결하는 내연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내연면은 요함부의 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요함부의 개구에 이르는 한 쌍의 측부로 이루어진다. 요함부(12)의 폭방향 중심선으로 파단한 형상(안경렌즈(2)를 투과하여 본 형상)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도 11, 14, 22, 24), 바닥부가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반타원형(도 7 ~ 10, 도 18 ~ 19, 도 21, 25), 삼각형(도 12 ~ 13, 20), 바닥부에 적어도 1개의 변형부를 가지는 다각형 내지 대략 직사각형(도 15 ~ 17, 26 ~ 28), 바닥부가 'V'자 모양인 5각형(도 23)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요함부(12)의 한 쌍의 측부는 간격이 일정 또는 요함부 개구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져 있도록 구성하면, 요함부(12) 내에 충전된 접착제에 생긴 기포를 제거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바닥부는 평탄 또는 오목한 쪽이 요함부(12) 내에 충전된 접착제에 기포가 남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함부(12)는 엔드 밀(end mill)을 이용하여 펀칭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5A)의 선상재가 단면 원형인 경우, 엔드 밀로서는 볼 엔드 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요함부의 내연면과 삽입부(5A)의 외주에 위치하는 부분이 근접하여, 접착제층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접합력을 높게 할 수 있다. 펀칭가공에서 요함부(12)는 안경렌즈(2)의 연면(2c)에 대략 수직 혹은 렌즈(2)의 표면 측으로 경사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요함부(12)보다 전방 측의 렌즈전면(前面)두께 및 후방 측의 렌즈후면두께가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소정값 이상이 되도록 펀칭가공의 위치 및 깊이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통상 안경렌즈(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표면)(2a)에 볼록커브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이면)(2c)에 오목커브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함부(12)를 연면(2c)에 수직으로 형성하면, 요함부(12)보다 후방 측의 렌즈후면두께가 요함부(12)의 바닥 측에서 얇게 되고, 이 부분의 강도가 전방 측과 비교하여 약해져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전면두께와 렌즈후면두께가 요함부(12)의 바닥 측 및 개구 측에서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동일한 비율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술의 결점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또, 렌즈 전면의 커브를 따라서(즉, 렌즈전면두께가 요함부(12)의 바닥 측 및 개구 측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경사지게 하거나, 렌즈 후면의 커브를 따라서(즉, 렌즈후면두께가 요함부(12)의 바닥 측 및 개구 측에서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도 된다.
엔드 피스(8)는 브릿지(4)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서 평면시 'L'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전단부분이 템플 측 렌즈유지부(9)를 형성하며, 후단에 템플(11)이 힌지(10)를 통하여 접어 겹침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엔드 피스(8)는 변형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함과 아울러, 힌지(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주(角柱)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드 피스(8)와 템플 측 렌즈유지부(9)를 β티타늄 합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템플 측 렌즈유지부(9)는 엔드 피스(8)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코 측 렌즈유지부(5)와 마찬가지로, 가는 선재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중 적어도 일부(9A, 이하 삽입부(9A)라고 함)가 안경렌즈(2)의 내측 연면(2c-a)에 형성한 요함부(13)에 삽입되고, 접착제(15)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안경렌즈(2)를 유지하고 있다. 템플 측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9A)의 형상은 상술한 코 측 렌즈유지부(5)의 삽입부(5A)와 마찬가지로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하여 형성되고, 또 삽입부(5A)와 동일한 형상이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부(9A)를 구성하는 선상재의 단면 형상도 삽입부(5A)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요함부(13)는 안경렌즈(2)의 외측 연면(2c-b)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 내측 연면(2c-a)에 형성되어 있는 요함부(12)와 다를 뿐으로, 형상, 크기 자체는 동일하다. 즉, 요함부(13)는 안경렌즈(2)의 외측 연면(2c-b)의 둘레방향으로 긴 개구(14)를 가지는 렌즈두께방향으로 좁은 편평한 블라인드 홀로 이루어지며, 요함부의 두께폭이 템플 측 렌즈유지부(9)의 삽입부(9A)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접착제(15)로서는 엑폭시계(예를 들면 쓰리본드사(ThreeBond Co., Ltd.)제), 아크릴계, 시아노아크리레이트(cyanoacrylate)계(예를 들면, 쓰리본드사제), 혐기성(嫌氣性, anaerobic)계(예를 들면, 헨켈 록타이트사(Henkel Loctite Corporation)제)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엑폭시계인 것은 렌즈 재료에 관계없이 접착효과가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또, 접착제(15)를 사용할 때의 점도는, 25℃에서 3000포이즈(poise) 정도의 저점도로 투명성이 높은 것이 사용된다. 저점도인 것은 기포의 발생이 적고, 작업성에서 우수하다. 또한, 안경렌즈(2)에 아크릴계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이 아크릴계 렌즈는 일반적으로는 특정의 용제에 대해서 강하지 않으므로, 접착제(15)에는 엑폭시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착제(15)의 사용은 안경렌즈(2)와 렌즈유지부(5, 9)의 결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함과 아울러, 요함부(12, 13)의 형성시에 발생하고 있으면 상정되는 구멍 주변의 마이크로 크랙(시각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크랙)이나 광학적 일그러짐 등에 대해서 보완적인 작용이 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접착제(15)는 투명한 것이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또, 렌즈유지부(5, 9)의 삽입부(5A, 9A)의 장식적 형상을 전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명, 불투명의 접착제를 이용해도 되고, 착색된 투명, 반투명, 불투명의 접착제를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렌즈의 유지구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 7 ~ 도 30에 근거하여 상술한다.
도 7 ~ 도 30은 모두 안경렌즈(2)의 외측 연면(2c-b)을 유지하는 템플 측 렌즈유지부(9)에 의한 유지구조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안경렌즈(2)의 내측 연면(2c-a)를 유지하는 코 측 렌즈유지부(5)에 의한 유지구조에도 완전히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 7 ~ 도 30의 설명에서는 「템플 측 렌즈유지부(9)」는 간단히 「렌즈유지부(9)」라고 기재한다. 또, 도 7 ~ 도 30의 요함부(13, 30, 33, 43)는 요함부의 폭방향 중심선으로 파단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안경렌즈(2)의 요함부(13)를 바닥부(13C)가 반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양쪽의 측부(13A, 13B)를 평행하게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삽입부(9A)를 직경이 0.4 ~ 1.2㎜정도의 가는 선재가 절곡가공에 의해서 'J'자 모양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동일한 도면에서 13A, 13B, 13C는 요함부(13)의 상측의 측부(이하, '상부벽'이라고도 함), 하측의 측부(이하, '하부벽'이라고도 함) 및 바닥부이며, 14는 개구이다. 요함부(13)의 상부벽(13A)과 하부벽(13B)은 상하로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개구(14)는 삽입부(9A)의 선지름보다 약간 큰 홈폭으로 안경렌즈(2)의 둘레방향으로 길게 개구하고 있다. 요함부(13)의 개구 길이는 삽입부(9A)의 세로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렌즈유지부(9)는 렌즈유지부재 본체(엔드 피스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요함부(13) 내에 삽입되는 부분을 가진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이 기단부(2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르도록 반원호 모양으로 절곡된다. 연장부(22)는 이 바닥부 측 절곡부(21)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기단부(20)는 요함부(13)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측 기단부(20a)와, 요함부(13) 내에 위치하는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기단부(20b)는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요함부(13) 내에 삽입되고, 상부벽(13A)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그 선단면이 바닥부(13C)와 대략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반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연장부(22)는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개구(14)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됨으로써 터닝(turning)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연장부(22)는 기단부(20)와 평행하고, 길이가 내측 기단부(20b)보다 짧으며, 선단(22a)이 요함부(13)의 개구(14)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이것에 의해 삽입부(9A)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J'자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된 부분(삽입부(9A)), 즉 내측 기단부(20b),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연장부(22)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23)은 요함부(13)의 개구(14)로 개방하는 열린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삽입부(9A)와 요함부(13)와의 틈새(공간(23)을 포함함)에는 접착제(15)가 충전되어 고화되어 있다.
도 8은 연장부(22)를 길게 형성하여 그 선단(22a)을 요함부(13)의 개구(14)에 위치시킴으로써, 렌즈유지부(9)의 내측 기단부(20b)로부터 연장부(22)의 선단(22a)까지의 형상을 'U'자 모양으로 형성한 점이 도 7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다를 뿐으로, 그 외의 구성은 완전히 동일하다. 이 때문에, 동일한 구성부재,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고 나타내며,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된 부분(삽입부(9A))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23)은 요함부(13)의 개구(14)으로 개방하는 열린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9는 렌즈유지부(9)의 연장부(22)의 선단(22a)을 요함부(13)의 개구(14)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그 돌출단에 장식품(24)를 설치한 점이 도 7, 도 8에 나타낸 렌즈유지부(9)와 다를 뿐으로, 그 외의 구성은 완전히 동일하다.
장식품(24)로서는 보석, 귀금속, 가죽, 세라믹스, 합성수지 등, 또는 이들 조합이나 상표, 숫자, 장식적인 도안, 문양 등의 장식판, 끈,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 형상 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렌즈유지부(9)의 연장부(22)를 요함부(13)의 개구(14)로부터 외부로 돌출시켜 그 선단부를 위쪽으로 직각으로 절곡함으로써 절곡부(25)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25)의 선단(25a)을 외측 기단부(20a)의 하면에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한 것이다. 이 때문에, 삽입부(9A)는 내측 기단부(20b)와,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연장부(22)의 일부에 의해서 공간(23)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절곡부(25)는 안경렌즈(2)의 외측 연면(2c-b)과 이간하여 형성되며, 요함부(13)의 개구(14)와의 사이에 적당한 틈새(27)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공간(23)은, 도 7 ~ 도 9에 나타낸 공간(23)과 마찬가지로, 안경렌즈(2)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절곡부(25)에는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적당한 장식품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안경렌즈(2)의 요함부(13)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로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 즉 내측 기단부(20b),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연장부(22)를 'コ'자 모양으로 형성하며, 연장부(22)의 선단(22a)을 요함부(13)의 개구(14)의 하단에 위치시킨 점이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차이점이 있다. 기단부(20)의 내측 기단부(20b)는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보다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개구(14)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선단(22a)이 개구(14)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는 안경렌즈(2)의 요함부(30)를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벽(30A) 및 하부벽(30B)을 동일한 각도로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바닥부(30C)를 상부벽(30A)과 하부벽(30B)과의 교차부로 하고 있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직선 모양의 외측 기단부(20a)와, 상부벽(30A)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하부벽(30B)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고, 선단(22a)이 요함부(30)의 개구(31)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30)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은 요함부(30)의 내연면 형상에 따른 'V'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기단부(21)와 연장부(22)와의 접속 부분이다.
도 13은 안경렌즈(2)의 요함부(33)를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수평인 상부벽(33A)과, 기울기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하부벽(33B)과, 상부벽(33A)과 하부벽(33B)과의 교차부인 바닥부(33C)로 구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3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요함부(33)의 내연면을 따르도록 「レ」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점이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이 바닥부 측 절곡부(21)보다 하부벽(33B)을 따라서 기울기 아래쪽으로 절곡된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22)의 선단(22a)은 요함부(33)의 개구(34)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7 ~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9A)의 바닥부 측 절곡부(21)에 요함부(13, 30 또는 33)의 개구방향으로 1회 터닝된 연장부(22)를 각각 연장하여 형성한 점, 삽입부(9A)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23)을 요함부(13, 30 또는 33)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개방하는 열린 공간으로 한 점 및 기단부(20)의 내측 기단부(20b)를 요함부(13, 30 또는 33)의 상부벽(13A, 30A 또는 33A)을 따라서 요함부 내에 삽입한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하 반전한 형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요함부(33)가 상하 비대칭인 형상이기 때문에, 삽입부(9A)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하 반전한 요함부를 형성하면 된다. 또, 요함부(13, 30, 33)의 바닥부, 상측의 측부 및 하측의 측부에 대해서 삽입부(9A)의 내측 기단부, 바닥부 측 절곡부 및 연장부를 연속하여 근접시키고 있으므로, 얇은 접착제층을 내연면에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고, 삽입부(9A)와 요함부 내면과의 접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안경렌즈(2)의 요함부(13)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각진 'S'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내측 기단부(20b)의 선단보다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에서 'コ'자 모양으로 절곡된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바닥부(13C)의 대략 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22)는 절곡부(22a)와,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22b)와, 절곡부(22c)로 구성된다. 절곡부(22a)는 요함부(13)의 개구방향으로 터닝된다. 절곡부(22b)는 이 절곡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절곡부(22c)는 이 절곡부(22b)의 하단에서 요함부(13)의 깊이방향으로 터닝된다. 내측 기단부(20b),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절곡부(22a)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은 요함부(13)의 개구(14)에 개방하는 열린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길이방향 절곡부(22b)는 요함부(13)의 개구(14)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는 안경렌즈(2)의 요함부(13)를 바닥부(13)에 돌기부(35)를 가지는 이형(異形)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S'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상측 코너부는 1/4의 원호 모양의 만곡면(36)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5)는 상면이 아래쪽으로 경사지며, 하면이 수평인 쐐기(wedge)형(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9A)는 2개의 굴곡부가 반원호 모양으로 굴곡하고 있는 점에서 도 14에 나타낸 'S'자 모양의 삽입부(9A)와 차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만곡면(36)을 따라서 반원호 모양으로 절곡된다. 연장부(22)는 'U'자 모양으로 절곡된다. 연장부(22)는 절곡부(22a)와, 반원호 모양의 절곡부(22b)와, 절곡부(22c)로 구성되어 있다. 절곡부(22a)는 요함부(13)의 개구방향으로 터닝된다. 절곡부(22b)는 이 절곡부(22a)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절곡부(22c)는 이 절곡부(22b)의 하단에서 요함부(13)의 깊이방향으로 터닝된다. 절곡부(22c)의 선단은 돌기부(3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14, 15의 예에서 연장부(22)의 절곡부(22a)와 절곡부(22c)를 개구(14)로부터 돌출시켜 절곡부(22b)를 요함부(13)의 밖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안경렌즈(2)의 요함부(13)의 바닥부(13C)에 돌출형성되는 돌기부(35A)를, 도 15에 나타낸 돌기부(35)보다 길고 또한 크게 형성한 점이 차이가 난다. 돌기부(35A)의 상면(35a)은 적절한 각도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바닥면(35b)이 요함부(13)의 상부벽(13A), 하부벽(13B)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고 있다. 바닥부(13C)는 돌기부(35)의 상면(35a)와, 상부벽(13A)과 돌기부(35A)의 상면(35)을 접속하는 오목면 모양의 만곡부(34a)와, 돌기부(35A)의 바닥면(35b)과, 이 바닥면(35b)과 하부벽(13B)을 접속하는 수직인 면(34c)으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유지부(9)는 요함부(13)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이 도 14, 도 15에 나타낸 삽입부(9A)와 마찬가지로 'S'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2개의 굴곡부를 45° 각도로 굴곡시키고,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를 「レ」자 모양으로 굴곡시킨 점이 도 14, 도 15의 삽입부(9A)의 형상과 차이점이 있다. 즉,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내측 기단부(20b)의 선단으로부터 돌기부(35)의 상면(35a)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연장부(22)는 돌기부(35)의 선단에서 요함부(13)의 깊이방향으로 터닝되어, 하부벽(13B)과 돌기부(35A)의 하면(35b)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7은 요함부(13)를 'W'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요함부(13)의 내연면을 따라서 'W'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은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벽(13B)은 상부벽(13A)과 동일한 각도이지만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함부(13)의 바닥부(13C)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경사방향이 반대방향의 2개의 절곡부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기단부(20a)는 안경렌즈(2)의 연면(2c-b)과 직교한다. 내측 기단부(22b)는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절곡됨으로써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며, 선단(22a)이 요함부(13)의 개구(14)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 18은 요함부(13)를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를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한 것이다. 기단부(20)는 안경렌즈(2)의 연면(2c-b)과 직교하는 외측 기단부(20a)와, 요함부(13)에 삽입되는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내측 기단부(20b)는 도입부(38c)와,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38a)와, 깊이방향 절곡부(38b)로 구성된다. 도입부(38c)는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요함부(13) 내에 삽입된다.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38a)는 이 도입부(38c)의 안쪽 단(端)으로부터 요함부(13)의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깊이방향 절곡부(38b)는 이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38a)의 하단에서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요함부(13)의 깊이방향으로 절곡된다. 외측 기단부(20a)와 도입부(38c)에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입부(38c)는 상부벽(13A)의 길이의1/3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반원호 모양으로 만곡하고 있으며, 그 상단에 연장부(22)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요함부(13)의 개구(14) 방향을 향하여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선단(22a)이 도입부(38c)의 선단면과 대향하고 있다. 즉, 이 삽입부(9A)는 연장부(22)를 기단부(20)와 동일한 위쪽에 위치시킨 것이다.
도 19는 요함부(13)를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삽입부(9A)를 숫자의 「9」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반원호 모양의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에서 바닥부 측 절곡부(21)과 대략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연속한 원호를 형성하도록 위쪽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반원호 모양의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22)의 선단(22a)은 내측 기단부(20b)의 바로 아래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도 20은 요함부(30)를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30)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을 요함부(30)의 내벽에 따르도록 삼각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요함부(30)는 도 12에 나타낸 요함부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상부벽(30A) 및 하부벽(30B)과, 바닥부(30C)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30C)는 상부벽(30A)과 하부벽(30B)과의 교차부이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안경렌즈(2)의 연면(2c-b)과 직교하는 외측 기단부(20a)와, 요함부(30) 내에 삽입된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기단부(20b)는 도입부(40c)와,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40a)와, 깊이방향 절곡부(40b)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부(40c)는 길이가 짧고, 요함부(30)의 상단 개구부 측으로부터 요함부(30) 내에 삽입되어 있다. 요함부 폭방향 절곡부(40a)는 도입부(40c)의 안쪽 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깊이방향 절곡부(40b)는 이 폭방향 절곡부(40a)의 하단에서 하부벽(30B)을 따라서 기울기 위쪽으로 절곡되어 바닥부 측 절곡부(21)에 접속된다. 폭방향 절곡부(40a)와 깊이방향 절곡부(40b)로 「レ」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30)의 바닥부(30C)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상부벽(30A)을 따라서 기울기 위쪽으로 경사지고, 선단이 내측 기단부(20b)의 안쪽 단에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도 21은 요함부(13)를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직선 모양의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반원호 모양으로 만곡한다. 연장부(22)는 이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에서 연속한 소용돌이를 형성하도록 요함부(13)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다.
도 22는 요함부(13)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각진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한 점이 도 2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차이점이 있다.
도 23은 요함부(43)를 5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안경렌즈(2)의 연면(2c-b)에 대해서 대략 45° 경사진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요함부(43)는 상하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상부벽(43A) 및 하부벽(43B)과, 이들 벽부(43A, 43B)의 안쪽 단을 접속하는 바닥부(43C)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43C)는 90° 각도로 교차하는 상측 바닥부(43C-1)와 하측 바닥부(43C-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벽(43A)과 상측 바닥부(43C-1) 및 하부벽(13B)과 상측 바닥부(43C-2)는 각각 135°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기단부(20a)는 요함부(43)의 개구의 중앙에 위치한다. 내측 기단부(20b)는 요함부(43)의 내부에 삽입된다. 내측 기단부(20b)는 45° 각도로 기울기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43)의 바닥부(43C)를 따라서 'V'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됨으로써, 상측 바닥부(43C-1)를 따라서 기울기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상측 절곡부(21a)와, 하측 바닥부(43C-2)를 따라서 기울기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하측 절곡부(21b)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하측 절곡부(21b)의 하단에서 45° 각도로 기울기 위쪽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선단(22a)이 내측 기단부(22b)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4는 요함부(13)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를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한 것이다. 기단부(20)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내측 기단부(20b)가 요함부(13)의 상부벽(13A)을 따라서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내측 기단부(20b)의 선단에서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에서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개구(14)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선단(22a)이 요함부(13)의 개구(14)의 하단에 위치하고, 또 중간부에는 또한 아래쪽을 향하여 'コ'자 모양의 절곡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5는 요함부(13)를 반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배(pear) 형상 또는 숫자의 「8」의 아래쪽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요함부(13)의 외부에 위치하는 직선 모양의 외측 기단부(20a)와, 요함부(13) 내에 위치하는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내측 기단부(20b)의 중앙에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하는 절곡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반원호 모양으로 만곡하고 있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에서 요함부(13)의 하부벽(13B)을 따라서 연장하여 형성되며, 선단(22a)이 개구(14)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 연장부(22)의 중간부에는 위쪽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하는 절곡부(49)가 내측 기단부(20b)의 절곡부(48)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부(9A)의 절곡부(48, 4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경계부(constricted portion)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48와 49)는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로 반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직사각형의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중앙에 직사각형의 오목부(51)를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을 닫은 '十'자 모양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요함부(13)는 상하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상부벽(13A) 및 하부벽(13B)과, 이들 벽부(10A, 10B)의 안쪽 단을 접속하는 바닥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13C)는 중앙에 직사각형의 오목부(51)가 형성됨으로써 상하 양단부에 단차부(52, 53)를 가지고 있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직선 모양의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또, 내측 기단부(20b)는 외측 기단부(20a)에 연속하는 직선부(20b-1)와, 이 직선부(20b-1)의 선단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20b-2)로 구성되어 있다. 절곡부(20b-2)는 아래쪽을 향하여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직선부(20b-1)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단부(20)의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의 직선부(20b-1)는 요함부(13)의 개구(14)의 높이방향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형상에 따르도록 개구(14)를 향하여 개방하는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コ'자 모양의 절곡부(22A) 및 'L'자 모양의 절곡부(22B)로 이루어진다. 절곡부(22B)의 선단(55)은 직선부(20b-1)의 하면에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되고 있어도 되며, 근접시켜도 된다. 이 때문에,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은 닫힌 '十'자 모양의 공간(27)을 형성하고 있다.
도 27은 요함부(13)를 바닥부(13C)에 2개의 원호 모양의 오목부(56a, 56b)를 가지는 이형의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세 잎 클로버에 근사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단부(20)는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또 내측 기단부(20b)는 직선부(20b-1)와, 이 직선부(21b-1)의 선단에 아래쪽을 향하여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한 절곡부(20b-2)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형상에 따르도록 숫자의 3에 근사한 곡선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22)는 동일한 파형(波形)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선단(22a)이 요함부(13)의 개구(14)보다 내측에서 절곡부(20b-2)의 아래쪽으로 이간하여 위치하고 있다.
도 28은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삽입부(9A))을 하트형으로 굴곡시키고, 연장부(22)의 선단(22a)을 기단부(20)에 접속(예를 들면 로 납땜) 혹은 근접시킴으로써, 닫힌 하트형의 공간(27)을 형성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도 27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렌즈유지부(9)는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연장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부(20)는 직선 모양의 외측 기단부(20a)와, 기울기 위쪽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만곡한 내측 기단부(20b)로 이루어진다. 외측 기단부(20a)는 요함부(13)의 개구(14)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요함부(13)의 바닥부(13C)의 형상에 따르도록 숫자의 3자 모양으로 굴곡하고 있다. 연장부(22)는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하단으로부터 기울기 위쪽을 향하여 오목한 상태로 만곡하고 있고, 선단(22a)이 외측 기단부(20a)와 내측 기단부(20b)와의 경계부의 하면에 근접 혹은 납땜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렌즈유지부(9)에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게 한 렌즈유지구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렌즈유지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0은 도 29의 A-A선 단면도이다. 이 예는 내측 기단부(20b)에 뒤틀림 방지부(60)를 마련한 것 이외는 도 7에 나타낸 예와 같다. 이 뒤틀림 방지부(60)는 내측 기단부(20b)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그 직경보다 두께가 얇은 편평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기단부(20a)에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내측 기단부(20b)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뒤틀림 방지부(60)의 편평 모양으로 넓어지는 방향은 요함부의 내벽면에 평행하게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요함부의 두께를 넓게할 필요가 없으며, 또, 템플을 외측으로 넓히는 힘에 대해서도 강해진다. 또한, 이 뒤틀림 방지부(60)는 단면 형상이 비원형 형상이면, 상기한 편평한 모양 이외도 가능하다. 또, 이 뒤틀림 방지부(60)는 요함부(13)의 개구(14)를 걸치는 위치(즉 내측 기단부(20b)와 외측 기단부(20a)의 접속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30, 33 또는 4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을 요함부(13)(30, 33 또는 43)가 적어도 바닥부(13C)를 포함하는 내연면의 형상에 따르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기단부(20)와, 바닥부 측 절곡부(21) 및 연장부(22)로 구성한다. 이들 구성에 의해, 렌즈유지부(9)의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요함부(13)의 바닥부(13C)를 얇은 접착제(15)의 층으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렌즈유지부(9)와 요함부(13)의 결합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이들 구성에 의해, 렌즈유지부(9)의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요함부 개구 측에 렌즈유지부(9)의 삽입부(9A)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23, 27)이 형성되고, 그곳에 충전된 접착제가 고화하여 요함부의 한 쌍의 내벽면간을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바닥부 측 절곡부(21)가 요함부 개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렌즈유지부와 요함부와의 결합을 강도를 크게 함과 동시에, 만일 렌즈유지부의 주위의 접착제의 박리나 파괴가 생겼을 경우에서도 내벽면간을 결합하고 있는 접착제에 의해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로부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안경렌즈(2)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들 구성에 의해, 기단부(20)의 요함부에 곧게 삽입되어 있는 부분은 렌즈유지부(9)의 뒤틀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유지부의 뒤틀림에 의한 접착제층이나 렌즈의 파괴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들 구성에 의해, 요함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렌즈유지부(9)의 선재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요함부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렌즈유지부(9)의 회전방지를 할 수 있다.
또, 렌즈유지부(9)는 안경렌즈(2)의 광학면(2a, 2b)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광학면에 핀 또는 나사를 체결하는 투 포인트 또는 쓰리피스 타입의 림리스 안경에 비해 넓은 유효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근방시 사용 빈도가 높은 누진 렌즈나 다초점 렌즈에 대해서 바람직하다. 또, 광학면의 닦기 작업도 용이하고, 안경의 디자인을 산뜻하게 할 수 있다.
또, 요함부(13)는 안경렌즈(2)의 연면(2c)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제(15)가 요함부(13)로부터 불거져 나와도 안경렌즈(2)의 광학면(2a, 2b)을 더럽힐 우려가 적다. 이에 의해, 안경렌즈(2)의 렌즈유지부(5, 9)로의 장착작업이 용이하다.
또,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된 부분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23)이 안경렌즈(2)의 외부로 개방하는 공간의 경우는, 요함부(13, 30, 33 또는 43)에 렌즈유지부(9)가 삽입되고, 또한, 접착제(15)가 충전된 상태에서의 진공탈포공정에서 접착제(15)에 의해 발생한 기포를 확실히 탈기(脫氣)할 수 있다.
또, 렌즈유지부(9)에 뒤틀림 방지부(60)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나, 연장부(22) 선단과 기단부(20)을 결합하고 있는 경우는 기단부(20)의 뒤틀림을 억제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뒤틀림 방지부(60)이 요함부의 개구 측에 가까울수록 기단부의 뒤틀림 억제의 효과가 높다. 또 연장부(22)의 선단과 기단부(20)의 접합 위치는 요함부의 안쪽에 있을수록 뒤틀림 억제효과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요함부의 개구 측에 가까울수록 혹은 요함부의 외측에 있으면 뒤틀림 억제 효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9A)의 절곡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27)이 닫힌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는 렌즈유지부(9)의 뒤틀림에 대한 강도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렌즈유지부(9)의 요함부(13) 내에 삽입된 부분을 도 26, 도 27,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十'자 형상, 세 잎 클로버 형상, 하트 형상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절곡해 두면, 렌즈를 투과하여 시인되기 때문에 안경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유지부(9)에 뒤틀림 방지부(60)를 형성해 두면, 렌즈유지부(9)의 뒤틀림을 보다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같은 렌즈유지구조를 구비한 안경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안경렌즈(2)의 각 연면(2c-a, 2c-b)에 요함부(12, 13)(또는 30, 33, 43)를 각각 형성한다. 요함부(12, 13)의 형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 엔드 밀을 이용하여, 렌즈 내측 연면 및 외측 연면의 소정 위치 및 소정 방향으로 펀칭가공하여 형성한다.
또, 렌즈유지부(5, 9)의 삽입부(5A, 9A)를 요함부(12, 13)의 형상에 따라 도 7 ~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해 둔다. 렌즈유지부(5, 9)의 절곡형성은 적당한 치구를 이용하여 행한다.
다음으로, 요함부(12, 13)에 접착제(15)를 충전한다. 접착제(15)의 적용 방법으로서는 렌즈유지부(5, 9)가 삽입되기 전에 요함부(12, 13)에 접착제(15)를 넣어 두는 방법, 요함부(12, 13)에 삽입하기 전에 렌즈유지부(5, 9)의 삽입부(5A, 9A)에 접착제(15)를 도포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방법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접착제가 충전된 요함부(12, 13)의 두께방향의 단면도이다. 요함부(13)에는 미리 접착제(15)(예를 들면, 엑폭시계 접착제)를 요함부(13)의 개구부 부근까지 충전해 둔다. 이 상태에서 렌즈유지부(5, 9)의 삽입부(5A, 9A)를 요함부(12, 13)에 부드럽게 삽입하고, 여분의 접착제(15)를 요함부(12, 13)의 외부로 압출하여, 넘쳐 나온 접착제(15)를 깨끗이 닦아낸다. 접착제(15)가 넘쳐 나온 양이 많아, 요함부(12, 13)에 충전된 접착제(15)가 부족하게 되었을 때에는 접착제(15)를 더 보충한다.
요함부(12, 13)에 접착제(15)를 충전할 때나, 접착제가 충전된 요함부(12, 13)에 삽입부(5A, 9A)를 삽입할 때에, 요함부(12, 13) 내에 기포가 남으면 안경렌즈(2)를 투과하여 기포가 시인되어 안경렌즈의 미관을 해친다. 또, 접착제(15)에 의한 접합강도도 저하한다. 그래서, 접착제(15)가 충전된 요함부(12, 13)에 렌즈유지부(5, 9)를 삽입한 후에, 안경렌즈나 안경렌즈(2)가 장착된 렌즈유지부(5, 9)를 진공탈포장치에 넣어 진공탈포한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에 의해서 발생한 기포를 없앨 수 있어, 높은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요함부(12, 13)에 접착제(15)를 충전한 후에 렌즈유지부(5, 9)를 삽입하기 전에도 진공탈포를 행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진공탈포 후, 접착제(15)를 경화시킨다. 접착제(15)의 경화는 자연건조 또는 가열에 의한 강제건조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또한, 렌즈유지부(5, 9)를 요함부(12, 13)에 삽입하기 전에 삽입부(5A, 9A)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오존처리)를 미리 삽입부(5A, 9A)의 표면에 실시해 두면 거품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요함부(12, 13)의 삽입부(5A, 9A)와의 사이의 틈새나 공간에 존재하는 접착제(15)가 경화하면, 삽입부(5A, 9A)는 요함부(12, 13)에 고정되고, 렌즈유지부(5, 9)에 의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안경프레임(3)에 안경렌즈(2)가 장착되고, 안경(1)이 완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어떠한 특정이 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렌즈유지부(5, 9), 요함부(12, 13)의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 또는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림리스 타입(rimless type)의 안경(1)에서의 안경렌즈(2)를 유지하는 렌즈유지부재(4, 8)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렌즈(2)의 연면(緣面, edge surface)(2c-b)에는 렌즈의 두께방향으로 좁고 편평(扁平)한 구멍인 요함부(凹陷部)(12, 13)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유지부재(4, 8)는 일단이 상기 렌즈유지부재(4, 8)의 본체에 연결되어 동일 평면상에서 절곡되어 있는 선상(線狀)의 렌즈유지부(5, 9)를 가지고,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요함부(12, 13)에 직접 삽입한 상태에서 접착제(15)에 의해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유지부(5, 9)는 상기 요함부(12, 13)의 바닥을 따라서 절곡된 바닥부 측 절곡부(21)와, 상기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일단으로부터 렌즈유지부재(4, 8)의 본체에 연결되는 기단부(20)와, 상기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요함부(12, 13)의 내면은 렌즈두께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평행한 내벽면과, 이 한 쌍의 내벽면의 주연(周緣)을 연결하는 내연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연면은 상기 요함부(12, 13)의 바닥에 위치하는 바닥부(13C)와, 이 바닥부(13C)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요함부(12, 13)의 개구(14)에 이르는 한 쌍의 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바닥부 측 절곡부(21)는 상기 요함부(12, 13)의 바닥부(13C)를 따라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요함부(12, 13)의 한 쌍의 측부는 간격이 일정한 경우와, 개구(14)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져 있을 경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함부(12, 13)의 바닥부(13C)는 폭방향에서 평탕한 경우와, 오목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측 절곡부(21)의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 측에 충전되어 고화(固化)한 상기 접착제(15)가 상기 요함부(12, 13)의 렌즈두께방향에 대향하는 내벽간을 결합하여 누락방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의 선단은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의 선단은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의 선단은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보다 외부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의 선단은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의 외부에서 기단부(2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의 선단에는 장식품(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기단부(20)는 상기 요함부(12, 13) 중 한쪽의 측부에 근접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연장부(22)는 상기 요함부(12, 13) 중 다른 쪽의 측부에 근접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기단부(20)는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요함부(12, 13)의 측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요함부(12, 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요함부(12, 13)의 내연면을 따라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락방지부(60)는 상기 요함부(12, 13)의 개구(14)까지 이르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요함부(12, 13)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의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기단부(20)와 연장부(22)와의 요함부 폭방향의 간격은 일정한 경우와, 개구(14)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지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기단부(20)는 상기 요함부(12, 13)에 삽입되는 부분과, 개구(14)를 걸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단면 비원형 형상의 뒤틀림 방지부(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5, 9)의 뒤틀림 방지부(60)는 요함부(12, 13)와 평행한 편평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유지부재(4, 8)는 엔드 피스(8)와 브릿지(4)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18. 청구항 1에 기재한 안경렌즈의 유지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9. 청구항 18에 기재한 안경의 제조방법으로서,
    안경렌즈(2)의 연면(2c-b)에 요함부(12, 13)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요함부(12, 13)에 접착제(15)를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요함부(12, 13)에 렌즈유지부재(4, 8)의 렌즈유지부(5, 9)를 직접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15)를 진공탈포(眞空脫泡, vacuum degassing)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15)를 경화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제조방법.
KR1020107023571A 2008-04-22 2009-04-22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KR101280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1806 2008-04-22
JPJP-P-2008-111806 2008-04-22
PCT/JP2009/058017 WO2009131158A1 (ja) 2008-04-22 2009-04-22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眼鏡および眼鏡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923A KR20100123923A (ko) 2010-11-25
KR101280098B1 true KR101280098B1 (ko) 2013-06-28

Family

ID=4121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571A KR101280098B1 (ko) 2008-04-22 2009-04-22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56893B2 (ko)
EP (1) EP2270575B1 (ko)
JP (1) JP5183734B2 (ko)
KR (1) KR101280098B1 (ko)
CN (1) CN102047170B (ko)
AU (1) AU2009239022B2 (ko)
WO (1) WO2009131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9918B (zh) * 2012-10-29 2015-03-18 东莞鸿胜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片式组装眼镜及其制作及装配工艺
JP6125384B2 (ja) * 2013-09-17 2017-05-10 有限会社ニッキンワーク 眼鏡レンズの保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眼鏡
DE102014105062A1 (de) 2014-04-09 2015-10-15 Inomite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Befestigung zumindest eines Bügels, einer Backe und/oder Brücke eines Brillengestells an zumindest einem Brillenglas einer Randlosbrille
US9703119B2 (en) * 2014-08-13 2017-07-11 Google Inc. Compact folding architecture for head mounted device
WO2016062389A1 (en) * 2014-10-23 2016-04-28 Camillo Rattaro Eyeglasses frame
WO2017038636A1 (ja) * 2015-08-28 2017-03-09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058U (en) * 1982-08-17 1983-11-14 Weon Pyo Lee A fishing basket
JP2004054076A (ja) * 2002-07-23 2004-02-19 Nikon Eyewear Co Ltd 眼鏡レンズへの枠部品の固定機構及びツーポイント枠眼鏡
JP2004530161A (ja) * 2001-05-21 2004-09-30 ローデンスト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眼鏡および取付手段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020A (en) * 1988-12-19 1991-12-17 Paul Jorn Lindberg Eyeglasses having oblong receiving means
JP2854531B2 (ja) 1993-12-21 1999-02-03 ホーヤ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US5646706A (en) * 1994-12-21 1997-07-08 Hoya Corporation Spectacle lens holding structure
US5684559A (en) * 1996-01-31 1997-11-04 Lin; Haan-Yeou Lens positioning device for spectacles
JP3242879B2 (ja) 1998-03-23 2001-12-25 鐵夫 吉岡 眼鏡部品の取付構造
DE69911606T2 (de) * 1998-11-17 2004-06-24 Masunaga Optical Mfg.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usatzbrillenlinse
JP2001209009A (ja) 2000-01-28 2001-08-03 Nikon Eyewear Co Ltd 縁無し眼鏡
JP3737957B2 (ja) * 2000-04-25 2006-01-25 Hoya株式会社 リムレス眼鏡
US6447117B1 (en) * 2001-03-12 2002-09-10 Rene Estrada Eyeglass lens mounting system
JP4076469B2 (ja) * 2002-04-08 2008-04-16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眼鏡
MA25780A1 (fr) * 2002-06-28 2003-07-01 Daoudi Omar Drissi Nouveau procede d'habillage de verre de vue et de produits ainsi obtenus.
US7230062B2 (en) * 2004-02-12 2007-06-12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Acrylic copolymer
US7086733B1 (en) * 2005-04-13 2006-08-08 Robert Bac Three-piece spectacle frame
AT500856B8 (de) * 2005-04-25 2007-02-15 Silhouette Int Schmied Ag Nasenabstützung für eine bril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058U (en) * 1982-08-17 1983-11-14 Weon Pyo Lee A fishing basket
JP2004530161A (ja) * 2001-05-21 2004-09-30 ローデンストック.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眼鏡および取付手段
JP2004054076A (ja) * 2002-07-23 2004-02-19 Nikon Eyewear Co Ltd 眼鏡レンズへの枠部品の固定機構及びツーポイント枠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1158A1 (ja) 2011-08-18
CN102047170B (zh) 2013-05-22
EP2270575A4 (en) 2013-12-11
US20110037940A1 (en) 2011-02-17
US8256893B2 (en) 2012-09-04
WO2009131158A1 (ja) 2009-10-29
AU2009239022A1 (en) 2009-10-29
JP5183734B2 (ja) 2013-04-17
KR20100123923A (ko) 2010-11-25
EP2270575A1 (en) 2011-01-05
EP2270575B1 (en) 2018-11-14
CN102047170A (zh) 2011-05-04
AU2009239022B2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098B1 (ko)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KR0164009B1 (ko)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AU781738B2 (en) Rimless spectacles
US7819522B2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US4955706A (en) Composite polymeric spectacle parts
CN204155004U (zh) 鼻支持组件和相应眼镜框架
JP2854531B2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JP4157165B2 (ja) 眼鏡及び眼鏡の製造方法
AU2008272305B2 (en) Rimless eyeglasses
JP2009288683A (ja) 眼鏡の丁番構造および眼鏡
JP4014466B2 (ja) 多心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その製造装置
JP4169160B2 (ja) リムレス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53763B1 (ko)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CN107924065A (zh) 眼镜
CN206270606U (zh) 一种横梁多样化板材架
KR200390671Y1 (ko) 안경
KR200376230Y1 (ko) 안경테본체의 성형틀 구조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JP4596972B2 (ja) 前枠取替式眼鏡
KR200296585Y1 (ko) 안경의 골격 구조
JPH09258139A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JP2018189763A (ja) 遠近両用メガネ
JP2001194628A (ja) 縁無し眼鏡
KR20170130115A (ko)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JP2003021808A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安定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