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585Y1 - 안경의 골격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의 골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585Y1
KR200296585Y1 KR2020020026202U KR20020026202U KR200296585Y1 KR 200296585 Y1 KR200296585 Y1 KR 200296585Y1 KR 2020020026202 U KR2020020026202 U KR 2020020026202U KR 20020026202 U KR20020026202 U KR 20020026202U KR 200296585 Y1 KR200296585 Y1 KR 200296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ens
leg
vertical
van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2020020026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585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받침(15)과 다리(28)를 이용하여 안면상에 렌즈(10)를 지지하는 안경에 관련되며, 수평간(20)과 수직간(22)을 사용하고 미미(23)의 구조를 변경하는 특징을 지닌다. 보다 상세하게, 봉형태의 수평간(20)은 안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수직간(22)은 상기 수평간(20)의 중간 부분에서 각각의 코받침(15)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접합된다. 미미(23)는 상기 수평간(20)의 양단에서 각각의 다리(28)와 연결되도록 접합된다. 반테(21)는 상기 렌즈(1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이고, 상기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동시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온테는 물론 반테ㆍ무테의 프레임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하여 내구성을 증진하고 생산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의 골격 구조 {Frame construction of spectacles}
본 고안은 안경의 골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온테는 물론 반테ㆍ무테의 프레임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하여 내구성을 증진하고 생산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안경의 골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10)를 감싸서 지지하는 형태에 따라 온테, 반테, 무테로 구분되어 판매되고 있는 바, 견실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원하면 온테를 선택하는 반면 가볍고 심플한 형태를 원하면 무테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양면을 절충하여 세련미를 유지하면서도 오래 쓰려면 반테를 택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반테(11), 코다리(12), 미미(13), 코받침(15), 다리(18) 등으로 구성되는 안경의 예를 들면 양측의 반테(11)는 중간에서 코다리(12)를 이용하여 용접되고, 반테(11)의 측면에는 미미(13)가 용접되어 다리(18)와 힌지(13a)(18a)로 연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작은 부품들이 이웃하여 용접되는 구조에서는 성형성과 치수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접합부의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반테(11)의 일단에 지지대(14)를 용접한 다음 지지대(14)에 코받침(15)을 볼트로 연결하는데, 코받침(15)에 충격이 가해지면 반테(11)가 변형되기 쉬워 착용이 불편하고 눈 주위를 다칠 우려도 크다.
또한, 만일 미미(13)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직선 형태로 반테(11)에 용접한 다음 벤딩 처리하고 다시 힌지(13a)를 용접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불량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온테는 물론 반테·무테의 프레임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하여 내구성을 증진하고 생산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안경의 골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요부를 저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렌즈 11, 21: 반테
12: 코다리 13, 23: 미미
14, 24: 지지대 15: 코받침
18, 28: 다리 20: 수평간
22: 수직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코받침(15)과 다리(28)를 이용하여 안면상에 렌즈(10)를 지지하는 안경에 있어서: 안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수평간(20); 상기 수평간(20)의 양단에서 각각의 다리(28)와 연결되도록 접합되는 미미(23); 상기 수평간(20)의 중간 부분에서 각각의 코받침(15)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접합되는 수직간(22); 및 상기 렌즈(1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이고, 상기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동시에 접합되는 반테(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미미(23)는 수평간(20)의 단부와 맞물려 삽착하기 위한 결합홈(23a)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코받침(15)과 다리(28)를 이용하여 안면상에 렌즈(10)를 지지하는 안경에 관련되며, 안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수평간(20)이 사용된다. 수평간(20)은 종래의 코다리(12) 역할을 겸하도록 중간부분을 곡선화하는 것이 좋다. 수평간(20)에 사용되는 봉 부재는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단면구조를 택할 수 있다. 재질은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 플래티너와 같은 금합금, 기타 Ni-Cr합금, Cu(구리)합금, Ti(티탄)합금 중에서 선택한다. 반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비금속 재질은 본 고안의 구조에 적절하지 않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평간(20)의 양단에서 미미(23)가 접합되어 각각의 다리(28)와 연결되도록 한다. 미미(23)는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성형되며 일단에서 수평간(20)과 연결되고 타단에서 다리(28)와 연결된다. 미미(23)와 수평간(20)의 연결 구조는 도 4를 통하여 후술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평간(20)의 중간 부분에서 각각의 코받침(15)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수직간(22)이 접합된다. 한 쌍의 수직간(22)을 수평간(20)에 용접하여 연결하면 ㅠ자의 형태가 이루어진다. 수직간(22)의 상단을 약간 벤딩하여 용접하면 강도와 미관상 유리하다. 수직간(22)은 수평간(20)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지만 상호 용접성이 보장되는 다른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수직간(22)의 굵기는 수평간(20)보다 조금 가늘어도 무방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렌즈(1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의 반테(21)가 상기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동시에 접합된다. 반테(21)의 상단에서 일측면을 수평간(20)의 내면에 용접하고 하단에서 타측면을 수직간(22) 하단에 용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수평간(20), 수직간(22), 반테(21)는 3점지지 구조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되고 탄성변형도 양호하게 된다. 반테(21)의 크기도 렌즈(10)의 전체 테두리의 1/4정도를 감싸도록 축소설계가 가능하다.
렌즈(10)는 종래와 같이 낚시줄을 이용하여 반테(21)에 고정하는 방식을 택한다. 렌즈(10)가 수지재이고 두꺼운 경우 반테(21)의 2지점에서 렌즈(10)의 두께 부분을 향하여 볼트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요부를 저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는 코받침(1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4)가 반테(21) 상에서 수직간(22)과 대향되는 측면에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테(21)가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되므로 코받침(15)을 통한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반테(21)는 수평간(20)에서 지지대(14)에 이르는 최소한의 구간으로 성형하여도 강도상의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미(23)는 수평간(20)의 단부와 맞물려 삽착하기 위한 결합홈(23a)을 구비한다. 수평간(20)은 단부에서 약간 가늘어지도록 2단 구조로 하여 결합홈(23a)에 삽착할 수 있다. 결합홈(23a)은 억지끼움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평간(20)을 삽착한 후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브레이징 용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평간(20)과 미미(23)를 삽착한 후에 상호 용접하는 구성을 적용하면 결합부의 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미미(23)의 크기가 아무리 작더라도 결합홈(23a)을 이용하여 끼워맞춘 후에 용접할 수 있다. 안경의 조립과정에서 불필요한 벤딩공정이 생략되므로 시간이 단축되고 미미(23) 등의 외면이 손상될 우려도 없다.
도 4에서 미미(23)는 봉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브(23b)를 부가할 수도 있다. 안경의 착용압을 조절할 때 미미(23) 대신 수평간(20)을 적절하게 구부리거나 펴면 되므로 미미(23)에 주조품(다이캐스팅)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 경우 외면에 다양한 장식을 부여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고안은 반테(2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테나 무테에 있어서도구성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온테 안경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도 2의 상태에서 테두리만 연장하는 형태로서 별다른 용접이 필요하지 않다. 무테 안경을 생산하는 경우 도 2의 반테(21)를 생략하고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폭이 넓은 부분을 만든 후 구멍을 내고 볼트를 체결하여 렌즈(10)를 지지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수평간(20)과 미미(23)의 결합 구조는 도 4와 같게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통상의 온테는 물론 반테ㆍ무테의 프레임에 있어서 강도를 향상하여 내구성을 증진하고 생산성도 양호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코받침(15)과 다리(28)를 이용하여 안면상에 렌즈(10)를 지지하는 안경에 있어서:
    안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봉형태의 수평간(20);
    상기 수평간(20)의 양단에서 각각의 다리(28)와 연결되도록 접합되는 미미(23);
    상기 수평간(20)의 중간 부분에서 각각의 코받침(15)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접합되는 수직간(22); 및
    상기 렌즈(1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이고, 상기 수평간(20)과 수직간(22)에 동시에 접합되는 반테(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골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미(23)는 수평간(20)의 단부와 맞물려 삽착하기 위한 결합홈(2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골격 구조.
KR2020020026202U 2002-09-02 2002-09-02 안경의 골격 구조 KR200296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02U KR200296585Y1 (ko) 2002-09-02 2002-09-02 안경의 골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202U KR200296585Y1 (ko) 2002-09-02 2002-09-02 안경의 골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585Y1 true KR200296585Y1 (ko) 2002-11-29

Family

ID=7312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02U KR200296585Y1 (ko) 2002-09-02 2002-09-02 안경의 골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5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966B1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US5771086A (en) Eyeglass bridge having deformation prevention members
JP2005524863A (ja) 眼鏡のフレームアセンブリ
KR200296585Y1 (ko) 안경의 골격 구조
US6099119A (en) Eyeglasses including threading means and mechanically bonded means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JP2006195336A (ja) バネ丁番眼鏡
US5127723A (en) Eyeglass frame with dual structure bridge member
JP5643677B2 (ja) 眼鏡用蝶番及びこれを使用した眼鏡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102500182B1 (ko) 무용접 안경테
KR200330944Y1 (ko) 이종소재로 된 렌즈테와 코다리의 용접구조
US5114219A (en) Eyeglass frame having tubular connectors
KR102353763B1 (ko)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안경프레임
JP2004093741A (ja) メガネフレーム
WO1997046905A1 (fr) Structure decorative pour monture de verre
CN212623393U (zh) 柔性镜架及眼镜
CN201063074Y (zh) 眼镜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233879Y1 (ko) 초탄성 선재를 이용한 무테 안경
KR200259928Y1 (ko) 무테 안경 조립구조
JPH11231268A (ja) めがねのテンプルの製造方法
KR19990022634U (ko) 안경렌즈테와연결구의용접구조
KR20030068952A (ko) 무용접안경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