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000B1 -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000B1
KR0162000B1 KR1019960019463A KR19960019463A KR0162000B1 KR 0162000 B1 KR0162000 B1 KR 0162000B1 KR 1019960019463 A KR1019960019463 A KR 1019960019463A KR 19960019463 A KR19960019463 A KR 19960019463A KR 0162000 B1 KR0162000 B1 KR 016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roke
stem
detecting mean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490A (ko
Inventor
가시로 우레시노
히로유키 다케바야시
히사아키 오니시
히사시 미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Publication of KR97000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이 단순화된 구조물로 검출될 수 있어 비용감소 및 보수유지시 작업효율성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린더(1)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중심장치는 생타이어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블래더(5)를 팽창시킨다. 제1실린더(1)의 하향 정지위치는 선형센서(14)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은 스템(8)내에서 제1실린더(1)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된 스트로크부(12a)를 가지고, 실린더로드(1a)와 함께 스템(8)으로 진행하도록 제공된 스트로크 브래킷(12)과 스템(8)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스트로크부(12a)로부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한 선형센서(14)에 의해 검출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중심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생략된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중심장치의 변형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생략된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중심장치의 다른 변형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생략된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 중심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5도는 다른 종래 중심장치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블래더(bladder)가 생타이어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팽창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타이어는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의 폐쇄로 형성되는 공동으로 충전되어, 블래더를 생타이어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팽창시켜 생타이어의 성형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노력의 절약을 달성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성형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유형의 중심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예컨대 ①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88-163915에서 중심장치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클램프장치(52)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제1실린더(54), 제1실린더(54) 아래에 연속해서 배열된 제2실린더(55), 및 제1실린더(54)와 함께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해 제1실린더(54)의 옆으로 배열된 한쌍의 가이드로두(56)를 포함한다. 이 중심장치는 가이드로드(56) 사이의 제1실린더(54)상에 제공된 포지셔너(58)에 의해 상부 클램프장치(52)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생타이어의 성형을 수행한다.
동시에, 예컨대 ②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93-162140호에서는 다른 중심장치를 개시하는데, 이것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클램프장치(52)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제1실린더(54), 끼워 맞추는 제1실런더(54)의 실린더드(54a)를 가지고 하부 클램프장치(53)와 제1실린더(54)의 실린더 케이스(54b) 사이에 위치하는 스템(57) 및 제1실린더(54)를 위 아래로 움직이고, 스템(57)과 제1실린더(54)를 경유하여 하부 클램프장치(53)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하여 실린더 지지부재(59)를 경유하여 실린더 케이스(54b)의 저부면에 접속되고 제1실린더(54)의 측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2실린더(55)를 포함한다. 이 중심장치는 스템(57)중의 제1실린더(54)와 제2실린더(55)중의 하나에 제공된 포지셔너(58)에 의해 상부 클램프장치(52)와 하부 클램프장치(53)간의 위치관계성을 검출하면서 생타이어의 성형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4도의 구조물 ①에서와 같이 가이드로드(56) 사이에 포지셔너(58)를 제공하거나, 제5도의 구조물 ②에서와 같이 스템(57)중에 포지셔너(58)를 제공하는 것을 시도한다면, 제한된 공간에 포지셔너(58)를 통합하는 것은 복잡한 구조나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그 결과 중심장치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포지셔너(58)의 보수유지시, 포지셔너(58) 이외에 가이드로드(56) 및 스템(57)을 제거해야만 하므로 작업효율성이 낮아진다.
더욱이, 제1실린더(54)와 제2실린더(55)가 제4도의 구조물 ①에서와 같이 연속하여 배열될 경우, 중심장치가 세로방향으로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므로, 중심장치가 통합된 타이어 가황장치는 비교적 큰 크기가 되고, 그 밖에 제2실린더(55)의 수용을 위한 피트(60)가 그 만큼의 깊게 파여져야 하므로, 그 결과 제작이나 기초작업에 필요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제2실린더(55)가 제5도의 구조물 ②에서와 같이, 제1실린더(54)의 옆으로 배열된 경우, 제1실린더(54)와 제2실린더(55)가 연속해서 배열된 경우와 비교하여 중심장치가 세로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 지지부재(59)가 제1실린더(54)의 저부면에 제공되고, 그 밖에 제1실린더(54)와 제2실린더(55)가 실린더 지지부재(59)를 통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피트(60)는 거기에 제1실린더(54)와 제2실린더(55)를 수용하도록 넓게 파여져야만 한다. 그 결과 기초작업에 대하여 필요한 비용은 크게 줄어들 수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포지셔너를 통합하기 위한 구조 및 작업이 비용을 줄이고, 보수유지시 작업효율성을 개선하도록 단순화된 중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타이어 가황장치가 소형화되도록 세로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고, 기초작업을 위해 필요한 비용이 감소하도록 피트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중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장치는 블래더의 상부 에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클램프 장치, 블래더의 하부 에지를 유지하기 위한 하부 클램프장치, 실린더로드의 앞 뒤 움직임에 의하여 상부 클램프장치를 위 아래로 움직이고,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통과하는 스템으로 하부 클램프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제1실린더, 제1실린더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제2실린더 및 상부 클램프장치가 타이어 크기에 적합한 성형 높이로 아래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고, 블래더가 상부 및 하부 클램프장치 사이에 고정된 생타이어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팽창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양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수단ㅇ로 이루어진다. 위치검출수단은 스템내로부터 제1실린더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된 스트로크부를 가지고 실린더로드와 함께 스템으로 진행하도록 제공된 스트로크 브래킷과 스템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로크 브래킷의 스트로크로부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는 제2실린더가 제1실린더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실린더 지지부재를 경유하여 제1실린더의 실린더 케이스의 측면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에서는, 검출수단이 스템 외부에 남아 있는 스트로크 브래킷의 스트로크부로부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때문에, 검출수단은 스템 외부 공간에 배열된다. 따라서 검출수단이 종래 중심장치에서와 같이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해 스템내 제한된 공간내에 배열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중심장치로 검출수단을 통합하는 구조 및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고, 보수유지시 작업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제2실린더가 실린더 지지부재를 경유하여 제1실린더의 실린더 케이스의 측면에 접속되는 경우에, 피트의 면적은 종래 중심장치와 다르게 제1실린더에만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실린더 지지부재는 실린더 케이스의 저부면과 접속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본 발명의 구체예는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구체예에 따르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는 블래더(5)가 로더(21)에 의해 거기로 이송된 생타이어(22)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며 성형을 수행한다. 중심장치는 블래더(5)의 상부 에지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클램프장치로서 조력하는 상부 클램프링(3)과 상부 비드링(4) 및 블래더(5)의 하부 에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하부 클램프장치로서 조력하는 하부 클램프링(6)과 하부 비드링(7)을 포함한다. 중심기둥(2)은 그것의 상부 단부에서 상부 클램프링(3)의 중심부에 고착된다. 중심기둥(2)은 세로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1실린더(1)의 실린더로드(1a)에 접속된 하부 단부를 갖는다. 제1실린더(1)가 그것의 실린더로드(1a)를 앞 뒤(위 아래)로 움직여 상부 클램프링(3)을 중심기둥(2)을 경유라여 위 아래로 움직인다. 더욱이 중심기둥(2)은 가황성형시 열이 실린더로드(1a)를 경유하여 직접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스템(8)이 그것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클램프링(6)에 고착된다. 스템(8)은 상기한 중심기둥(2)과 실린더로드(1a)가 스템(8)내에 끼워넣어지도록 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스템(8)은 세로로 움직이도록 기초 프레임(11)에 고착되어 있는 실린더 가이드(9)에 지지된다. 스템(8)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다.
디스크 형태의 스템지지부재(10)는 스템(8)의 하부 단부에 단단히 설치되고, 제1실린더(1)의 실린더 케이스(1b)의 상부면에 고착된다. 스템지지부재(10)는 그것의 중심부에 형성된 로드삽입구멍(10a)을 갖고, 제1실린더(1)의 실린더로드(1a)는 세로로 움직이도록 로드삽입구멍(10a)에 끼워 넣어진다. 동시에, 브래킷 삽입구멍(10b)이 스템지지부재(10)의 직경 외부에 형성되고 스트로크 브래킷(12)(위치검출수단)의 스트로크부(12a)는 세로로 움직이도록 브래킷 삽입구멍(10b)에 끼워넣어진다.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스트로크부(12a)는 실리더로드(1a) 쪽으로 구부러져 실린더로드(1a)에 고착된 상부 단부를 갖는다. 스트로크부(12a)는 스템(8)내로부터 제1실린더(1)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되고, 실린더 케이스(1b)의 외면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하부 단부를 갖는다.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자석(13)(위치검출수단)이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스트로크부(12a)의 하부 단부(12c)에 제공되어,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스트로크부(12a)가 실린더로드(1a)와 함께 스템(8)으로 진행하면서,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을 스템(8) 외부의 스트로크부(12a)의 자석(13)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자석(13)은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움직임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선형센서(14)(위치검출수단, 검출수단)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선형센서(14)가 제1실린더(1)에 대한 고착상태로 센서지지부재(15)를 경유하여 제1실린더(1)의 실린더 케이스(1b)에 제공된다. 따라서, 선형센서(14)는 실린더로드(1a)와 함께 위 아래로 움직이는 자석(13),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선형센서(14)는 그렇게 검출된 스트로크 양을 제1스트로크 신호로서 제어장치(20)에 출력한다.
본 구체예의 이 방법에서, 검출수단이 스템 외부의 큰 공간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중심장치에 검출수단을 통합하는 장치 및 작업을 종래 중심장치와 비교하여 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보수유지시 작업효율성을 개선하도록 단순화할 수 있다.
더욱이, 돌출부(1c)를 제1실린더(1)의 실린더 케이스(1b)의 측면에 형성한다. 실린더(1)가 그것의 최하위치로 움직일 때 돌출부(1c)가 피트(23) 위로 위치되는 그러한 위치에 돌출부(1c)를 형성한다. 돌출부(1c)는 제1실린더(1)를 지지하기 위해 실린더 지지부재(16)에 접속된다. 실린더 지주부재(16)는 제1통과구멍(16a) 및 제2통과구멍(16b)이 실린더 케이스(1b), 선형센서(14) 등의 관통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평평한 판으로서 형성된다.
제1실린더(1)에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제2실린더(17)의 실린더로드(17a)는 실린더 지지부재(16)의 양쪽 단부에 접속된다. 제2실린더(17)는 실린더로드(17a)가 진행할 때(아래쪽으로 움직임)는 제1실린더(1)가 실린더 지지부재(16)를 경유하여 아래로 움직이고, 그러나 실린더로드(17a)가 들어갈 때(위로 움직임)는 제1실린더(1)가 실린더 지지부재(16)를 경유하여 위쪽으로 움직이도록 제1실린덤(1)에 대하여 기초프레임(11)에 한쌍의 왼쪽 및 오른쪽 위치에 고착된다. 제어장치(20)는 성형을 수행하도록 선형센서(14)로부터 제1스트로크 신호를 제어한다.
본 구체예의 이 방법에서, 제2실린더가 제1실린더에 평행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중심장치는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가 연속해서 배열된 경우에서보다 세로방향으로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실린더가 실린더 지지부재를 경유하여 제1실린더의 실린더 케이스의 측면에 접속되기 때문에, 본 구체예는 피트의 면적을 제1실린더에만 상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그 결과 기초작업에 필요한 비용이 종래의 중심장치와 같이 실린더 지지부재가 실린더 케이스의 저부면에 접속되는 다른 구조물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한 구조물을 갖는 중심장치의 조작을 기술하려 한다.
우선, 타이어 가황장치에 제공된 중심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중심장치가 기초프레임(1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중심장치의 최하위치가 타이어 가황장치의 설치평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도록 피트(23)를 판다. 이 경우에, 제1실린더(1)는 돌출부(1c)에 접속된 실린더 지지부재(16)에 의해 지지되고, 실린더 지지부재(16)는 제1실린더(1)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실린더(17)에 의해 위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중심장치의 제1실린더(1)만이 아래로 돌출된 상태이고, 중심장치는 비교적 세로방향으로 짧으므로, 제1실린더(1)에 상응하는 적은 면적의 얕은 구멍이 피트(23)로서 파여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성형을 수행하기 위해, 제1실린더(1)가 중심기둥(2)을 경유하여 상부 클램프링(3)을 들어올리도록 그것의 실린더로드(1a)를 진행한다. 그 결과, 상부 클램프링(3)은 소정의 높이위치로 될 때까지 제1실린더(1)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하부 클램프링(6)과 하부 비드링(7)에 의해 유지되는 블래더(5)는 생타이어(22)의 내부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위쪽방향으로 팽창된다.
그 후에, 생타이어(22)는 로더(21)에 의해 이송되고 블래더(5) 위로부터 아래로 움직인다. 생타이어(22)가 실질적으로 팽창된 상태의 블래더(5)의 중심의 높이위치로 아래로 움직일 때, 하향 움직임이 정지한 후 스템과 같은 압력가스가 블래더(5)에 공급된다. 그 후에, 제1실린더(1)는 그것이 실린더로드(1a)로 들어가 상부 클램프링(3)을 아래로 움직인다. 그 결과 블래더(5)는 압력가스의 압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굴곡되도록 점차적으로 변형되면서 생타이어(22)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어 생타이어(22)의 성형을 수행한다.
뒤이어,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한 선형센서(14) 및 자석(13)을 검사하고 보수할 때, 선형센서(14)의 상태가 작동자에 의해 관찰된다. 이 경우에, 선형센서(14)가 제1실린더(1)와 기초 프레임(11) 외부에 위치되므로 작동자는 제1실린더(1)으 외부에서 조차 충분히 선형센서(14)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과 같은 비정상 상태를 즉시 발견할 수 있다. 비정상 상태가 발견되면, 손상된 선형센서(14)나 자석(13)은 제1실린더(1) 외부의 넓은 공간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을 선형센서(14) 및 자석(13)을 사용하여 검출하지만,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는 수단은 특별히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로크 양은 각 한정 스위치 형태인 한쌍의 검출스위치(27)나 제1실린더(1)의 스트로크 양이 최고값이나 최저값을 나타낼 때 스트로크 브래킷(12)의 하부단부(12c)에 도달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접촉하지 않는 스위치로 검출될 수도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 양은 로터리 엔코더(26)(회전식 위치검출기)로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 브래킷(12)의 스트로크 위치(12a)에 제공된 랙기어(24)와 맞물리는 피니언(25)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포텐시오미터나 자석 스케일이 선형센서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6)

  1. 블래더의 상부 에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상부 클램프장치; 상기 블래더의 하부 에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하부 클램프장치; 실린더로드를 앞 뒤로 움직여 상기 상부 클램프장치를 위 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제1실린더; 제1실린더의 상기 실린더로드가 관통하는 상기 하부 클램프장치를 지지하는 스템; 상기 제1실린더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위한 제2실린더; 및 상기 상부 클램프장치가 타이어 크기에 적합한 성형높이로 아래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클램프장치 사이에 고정된 생타이어의 내면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상기 블래더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스템내로부터 상기 제1실린더에 평행하게 아래로 연장된 스트로크부를 가지고 상기 제1실린더의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상기 스템으로 진행하도록 제공된 스트로크 브래킷과, 상기 스템 외부에 남아 있는 상기 스트로크 브래킷의 상기 스트로크로부터 상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블래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스트로크 브래킷이 움직이는 방향에 평행하게 제공된 선형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블래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제1실린더의 스트로크 양이 최고값과 최저값을 나타낼 때 상기 스트로크 브랫킷의 하부 단부가 도달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한쌍의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블래드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상기 스트로크 브래킷의 상기 스트로크부에 제공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식 위치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가 상기 제1실린더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실린더 지지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1실린더의 실린더 케이스의 측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가 상기 제1실린더의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상기 측면에 접속되는 위치가 상기 제1실린더가 그것의 최하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실린더 지지부재가 피트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KR1019960019463A 1995-06-02 1996-06-01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KR0162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980095A JP3221816B2 (ja) 1995-06-02 1995-06-02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95-159800 1995-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490A KR970000490A (ko) 1997-01-21
KR0162000B1 true KR0162000B1 (ko) 1999-01-15

Family

ID=157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463A KR0162000B1 (ko) 1995-06-02 1996-06-01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76507A (ko)
JP (1) JP3221816B2 (ko)
KR (1) KR0162000B1 (ko)
CN (1) CN1140650A (ko)
DE (1) DE19621790C3 (ko)
ID (1) ID179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305B1 (en) * 1998-10-26 2002-07-09 Mcneil & Nrm, Inc. Tire curing press center mechanism
JP3999390B2 (ja) * 1999-01-13 2007-10-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設備
JP3569170B2 (ja) 1999-08-12 2004-09-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US6770229B2 (en) * 2001-12-07 2004-08-03 John R. Cole Method for relieving pressure in newly vulcanized tires while still in the tire press
US6841102B2 (en) 2002-04-09 2005-01-11 John R. Cole Method of utilizing adjustable height bladder securement mechanism to effect advantageous bladder movement during curing process
US7103847B2 (en) * 2002-07-18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use of a resource in a processing system
US6908584B2 (en) * 2002-08-16 2005-06-21 John R. Cole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tire vulcanizing press
US7513763B1 (en) 2007-06-04 2009-04-07 Mcneil & Nrm, Inc. Tire press center mechanism
JP4473906B2 (ja) * 2007-11-30 2010-06-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427924B2 (en) * 2013-05-16 2016-08-30 Ichimaru-Giken Co., Ltd. Direct acting mechanism of tire curing device and central mechanism of tire curing device
CN108575088A (zh) * 2017-01-11 2018-09-25 三菱重工机械系统株式会社 轮胎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8635A (en) * 1920-10-18 1922-06-06 Morgan & Wright Mold-opening device
DE2250702A1 (de) * 1972-10-16 1974-05-02 Krupp Gmbh Heizpresse
US4359675A (en) * 1980-05-07 1982-11-16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Electric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tire building machine server
US4368015A (en) * 1980-08-23 1983-01-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JPS6280010A (ja) * 1985-10-03 1987-04-13 S G:Kk タイヤ加硫機のバグシリンダ制御装置
JPH065128Y2 (ja) * 1987-04-16 1994-02-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中心機構
GB8826013D0 (en) * 1988-11-07 1988-12-14 Kobe Steel Ltd Bladderless tyre moulding apparatus & method of operating same
JPH02147209A (ja) * 1988-11-29 1990-06-06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開閉および芯出し装置
JP2520108Y2 (ja) * 1990-12-13 1996-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用ブラダ操作機構
KR950014772B1 (ko) * 1991-12-16 1995-12-14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타이어 가황기 및 타이어 성형방법
JPH05162140A (ja) * 1991-12-16 1993-06-29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シェーピング方法
US5221500A (en) * 1992-07-10 1993-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chanical in situ cu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490A (ko) 1997-01-21
DE19621790C3 (de) 2003-06-12
CN1140650A (zh) 1997-01-22
JPH08323757A (ja) 1996-12-10
DE19621790A1 (de) 1996-12-05
US5776507A (en) 1998-07-07
ID17991A (id) 1998-02-19
DE19621790C2 (de) 1999-01-21
JP3221816B2 (ja) 200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000B1 (ko)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EP0199064B1 (en) Green tire vulcanizing press
KR100474018B1 (ko) 하이드로포밍 장치 및 방법
US6530252B1 (en) Hydroforming method and hydroforming device
EP0684126A2 (en) Tire vulcanizing system
KR900001908B1 (ko) 타이어 가황기
JP3338347B2 (ja) 車両用タイヤインフレータ
JP5396070B2 (ja) ダイ取付機構及びダイ取付方法
JP3569170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KR102483837B1 (ko) 파이프 주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이프조립체
KR950014772B1 (ko) 타이어 가황기 및 타이어 성형방법
JPH03236912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におけるブラダ上部クランプ部の位置決め装置
KR100892391B1 (ko) 사출기
KR100397749B1 (ko) 타이어 가황 설비
JPH01253408A (ja) タイヤ加硫プレスの生タイヤセツト方法
EP3974164B1 (en) Tire vulcanizing method
US6770229B2 (en) Method for relieving pressure in newly vulcanized tires while still in the tire press
KR100235538B1 (ko) 조리용기 뚜껑용 링 성형장치
JPH05162140A (ja) タイヤ加硫機のシェーピング方法
JPH07314452A (ja) タイヤ搬送ローダ
JPH10156833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2703860B2 (ja) タイヤ加硫機のブラダクランプ装置
JP5707002B1 (ja) タイヤ加硫機の直動機構及び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N219335938U (zh) 一种铝合金轮毂重力铸造中的轴圈自动供料加热装置
JPH07314455A (ja) タイヤ加硫機の締付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