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749B1 - 타이어 가황 설비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749B1
KR100397749B1 KR10-1999-0029226A KR19990029226A KR100397749B1 KR 100397749 B1 KR100397749 B1 KR 100397749B1 KR 19990029226 A KR19990029226 A KR 19990029226A KR 100397749 B1 KR100397749 B1 KR 10039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tire
center mechanism
click
s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300A (ko
Inventor
다테미히로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Abstract

본 발명은 저가이고 신뢰성이 높은 중심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가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 가황중의 금형 조립체(M)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이송하는 형식으로서, 블래더 조작용 중심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있어서, 각 금형 조립체(M)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20)의 중앙 기둥(23)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구동부(2)의 중앙 기둥 실린더(45)를 착탈하는 복수의 클릭(32a)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클릭(32a)의 피치 원 지름 수축을 검출하는 센서(49)를 설치하며, 중심 기구 구동부(2)에 클릭(32a)의 확대 수축 구동 수단(31, 34, 37, 46, 47) 등을 내장하며, 해당 확대 수축 구동 수단의 브래킷(46)에 센서(49)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 설비{TIRE VULCANIZING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가황중의 금형 조립체를 이송하는 형식의 타이어 가황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래더 조작용 중심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 가황 설비는 금형에 대한 타이어의 출입시에, 블래더를 타이어 내측에 출입시키는 중심 기구가 타이어 가황기 본체 내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블래더는 타이어 가황중에, 타이어 내측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있어서는, 타이어 가황중의 복수의 금형 조립체를 일렬로 늘어놓고 계속 가황시키는 가황 스테이션과, 동일 금형 조립체에 타이어를 출입시키는 금형 개폐 스테이션을 갖고 있고, 이들 가황 스테이션과 금형 개폐 스테이션 사이를 동일 금형 조립체가 이송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 기구는 블래더의 출입을 실행하는 조작부와 동일 조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분할되어 있고, 동일 조작부는 각 금형 조립체의 중심부에 내장되고, 동일 구동부는 금형 개폐 스테이션 내의 하부에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하였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5-112440 호).
그러나,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5-112440 호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조작부와 상기 구동부를 착탈함에 있어서 클릭이 형성된 레버를 이용하고 있고, 동일 레버의 동작 상태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기술은 동일 센서의 부착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 또한, 타이어 가황시에, 블래더를 거쳐서 타이어 내측에 공급되는 가열 가압 매체(온수, 증기, 또는 증기와 불활성 가스의 혼합체)의 온도는 200℃ 전후이기 때문에, 중심 기구의 상기 조작부의 온도도 200℃ 전후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레버부가 타이어 출입시마다, 고온의 조작부에 진입하면, 상기 센서는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내열성을 가진 비용적으로 고가인 것을 사용해야 하므로, 고비용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가이고 신뢰성이 높은 중심 기구를 구비한 타이어 가황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타이어 가황중의 금형 조립체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이송하는 형식으로서, 블래더 조작용 중심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있어서, 상기 각 금형 조립체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의 중앙 기둥과, 상기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구동부의 기둥 실린더를 착탈하는 복수의 클릭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클릭의 피치 원 지름 수축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중심 기구 구동부에 상기 클릭의 확대 수축 구동 수단(擴縮驅動手段)을 내장하며, 해당 확대 수축 구동 수단에 상기 센서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의 금형 개폐 스테이션 내에 금형 조립체가 반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금형 중심선(수직선)을 포함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타이어 가황 설비의 중심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베이스 2 : 중심 기구 구동부
3 : 관로 착탈 장치 4 : 비드 리프트용 구동부
5 :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지지부 20 : 중심 기구 조작부
23 : 중앙 기둥 32a : 클릭
45a : 피스톤 로드 B : 블래더
M : 금형 조립체 T : 타이어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의 금형 개폐 스테이션 내에 금형 조립체가 반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금형 중심선(수직선)을 포함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타이어 가황 설비의 중심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M)는 타이어 가황 후의 금형 개폐 스테이션 내에 반입되는 금형 조립체로서, 동일 금형 조립체(M)의 수직 중심선(Y-Y)으로부터 좌측은 사이즈가 작은 타이어, 우측은 사이즈가 큰 타이어의 경우를 도시하고, X-X선은 동일 금형 조립체(M)의 이동 가이드면을 도시한다.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베이스(1)에는 나중에 상세히 기술하는 중심 기구 구동부(2)가 고정되어 있고, 동일 중심 기구 구동부(2)의 주변 근방에는 블래더(B)를 거쳐서 타이어 내측에 공급되는 가열 가압 매체용의 공지의 관로 착탈 장치(3)와 공지의 비드 리프트용 구동부(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일 베이스(1) 상에는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지주부(5)가 수평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고, 동일 지주부(5)에는 안내 장치(6)를 거쳐서 볼스터 플레이트(bolster plate)(7)가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볼스터 플레이트(7)에는 금형 조립체(M)에 내장된 금형이 단면 몰드(sectional mold)라고 통칭되는 트레드형을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한 형식인 경우에 사용되는 트레드형 개폐 구동 수단(8)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동일 베이스(1) 상에는 금형 조립체(M) 이송용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9)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것 이외에, 본 타이어 가황 설비에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스테이션, 금형 조립체(M)의 이송용 대차(臺車) 및 제어 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금형 조립체(M)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동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면에 고정되는 레일(11)과, 동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내장되는 가압 실린더의 피스톤(12)과, 단열판(13)을 거쳐서 피스톤(12)에 볼트 체결되는 하부 열판(14)과, 동일 하부 열판(14)에 볼트 체결되는 하부 금형(15)과,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판(19)과, 동일 상판(19)에 단열판(18)을 거쳐서 볼트 체결되는 상부 열판(17)과, 동일 상부 열판(17)에 볼트 체결되는 상부 금형(16)과,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상판(19)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시가 생략된 복수의 타이 로드(tie rod)와, 블래더(B)의 단부를 파지하여 타이어(T)의 내측에 출입하기 위해서, 하부 열판(14)의 내주부에 부착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금형 조립체(M)에 내장된 상부 및 하부 금형(16, 15)은 상하 2분할된 2피스 몰드라고 통칭되고 있지만, 상기 단면 주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심 기구 조작부(20)는 하부 열판(14)에 현가되는 외부 통(21)과, 동일 외부 통(21)의 내주부에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배치되는 내부 통(22)과, 동일 내부 통(22)의 내측에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삽입하여 배치되는 중앙 기둥(23)과, 동일 중앙 기둥(23)의 하단부에 나사식 고정되는 블록(24)과, 내부 통(22)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플랜지(22a)에 볼트 체결되는 노즐 부재(25)와, 동일 노즐 부재(25)의 하면에 고정되는 스페이서 로드(26) 및 가열 가압 매체 도입관(27)과, 블래더(B)의 하단 개구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도록, 노즐 부재(25)의 상면측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28)와, 동일 블래더(B)의 상단 개구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상부 플랜지(29)와, 동일 상부 플랜지(29)와 상기 중앙 기둥(23)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고정구(30)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상기 중심 기구 구동부(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중앙 기둥(23)을 승강 구동하는 중앙 기둥 실린더(45)와, 동일 중앙 기둥 실린더(45)와 중앙 기둥(23)을 착탈하는 클릭(32a)이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버(32)와, 동일 클릭(32a)의 피치 원 직경을 확대 수축 구동하는 실린더(47)와, 동일 클릭(32a)의 확대 수축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49)와, 이들을 접속하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의 선단부(45c) 측에는 원통형의 스프링 케이스(31)가 배치되어 있고, 동일 스프링 케이스(31)에는 상기 레버(32)가 핀(33)을 거쳐서 요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동일 레버(32)의 한쪽 단부에는 중앙 기둥(23)에 결합된 블록(24)의 플랜지(24a) 상면의 지름이 확대될 때에 결합하는 클릭(32a)이 설치되어 있다. 동일 플랜지(24a)는 블록(24)의 하단 오목부에 이것을 내측으로 돌출시킨 일체 형성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32)의 다른쪽 단부는 핀(35, 36) 및 링크(34)를 거쳐서 축(37)과 연결되어 있고, 동일 축(37)은 스프링 케이스(31)에 삽입 고정된 슬리브(38)의 내측에 미끄럼 승강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동일 축(37)에 볼트 체결된 스프링 베어링(40)과 스프링 케이스(31)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39)이 삽입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베어링(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동일 압축 스프링(39)의 압축 반력에 의해 축(37)이 스프링 케이스(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압되어 내려지고, 상기 클릭(32a)은 지름이 확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앙 기둥(23)에 대하여 스프링 케이스(31)를 상승시키면, 클릭(32a)의 배면과 상기 플랜지(24a)의 내주가 미끄럼 운동하고, 링크(34)를 거쳐서 축(37)이 끌어올려져 압축 스프링(39)이 탄발력에 저항하여 압축되며, 일단 클릭(32a)의 지름이 수축되어 블록(24) 내에 진입한 후, 압축 스프링(39)의 압축 반력에 의해 클릭(32a)의 지름이 확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 케이스(31)를 하강시켜도 지름이 확대된 클릭(32a)은 지름이 수축되지 않고, 플랜지(24a)의 상면과 결합을 유지하는 형상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중앙 기둥 실린더(45)는 상기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베이스(1)에 고정되어 있고, 동일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의 선단부(45c)에 선단 쇠장식(41)이 나사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선단 쇠장식(41)은 상기 스프링 케이스(31)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중앙 기둥(23)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작용에 의해 동일 중앙 기둥(23)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45a)의 상단 소경부(45b)에는 플랜지(42)가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동일 플랜지(42)는 상기 선단 쇠장식(41)에 형성된 구멍(41a)에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스페이서(44)를 끼운 상태로 볼트(43)에 의해 스프링 베어링(4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45a)에는 슬리브(46a)가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끼워져서 브래킷(46)과 일체화되어 있고, 동일 브래킷(46)에는 금형 개폐 스테이션의 베이스(1)에 고정된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일 베이스(1)에 미끄럼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가이드 로드(48)의 상단이 연결되며, 동일 실린더(47)의 작용에 의해 브래킷(46)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브래킷(46)이 상승하고, 슬리브(46a)의 상면이 플랜지(42)의 하면과 접촉하여 동일 플랜지(42)를 밀어 올리며, 스페이서(44) 및 스프링 베어링(40)을 거쳐서 축(37)을 밀어 올려 클릭(32a)의 지름이 수축되었을 때, 스프링 케이스(31)의 브래킷(46)에 대한 상대 높이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센서(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스위치)(49)가 동일 브래킷(46)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중앙 기둥 실린더(45)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의 중심 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금형 조립체(M)중,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된 금형 조립체(M)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이송하고, 도시가 생략되어 있는 장치에 의해 베이스(1)가 로크 상태로 되도록 하면 관로 착탈 장치(3)를 상승시켜, 가열 가압 매체 도입관(27)과 연결하고, 블래더(B)를 거쳐서 타이어(T)의 내측에 공급되어 있던 가열 가압 매체를 배출시킨다. 또한,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를 상승시켜 레버(32)의 클릭(32a)의 지름을 수축시킨 후에,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를 상승시키고, 클릭(32a)을 블록(24) 내에 삽입한다. 또, 클릭(32a)의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를 하강시키고, 동일 클릭(32a)의 지름을 확대시켜 중앙 기둥(23)과 연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타이어 내측의 가열 가압 매체의 배출이 종료되면, 볼스터 플레이트(7)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상부 금형(16)을 상승시켜 금형 조립체(M)를 개방한다. 그 동안에 비드 리프트용 구동부(4)를 상승시켜, 스페이서 로드(26)와 연결시켜 놓는다.
금형 조립체(M)의 개방이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타이어 출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까지 후퇴시킨 후에, 비드 리프트용 구동부(4)의 작용에 의해, 중심 기구 조작부(20)를 상승시켜 타이어(T)를 하부 금형(15)으로부터 벗겨낸다.
이어서, 블래더(B)의 내측을 부압으로 하고,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를 상승시켜 블래더(B)의 단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28)와 상부 플랜지(29)를 이격시키고, 블래더(B)를 신장시켜 타이어(T)의 내측으로부터 인출한 후, 도시가 생략된 언로더에 의해 가황 완료 타이어(T)를 밀어내고, 중심 기구 조작부(20)를 하강시킨 후에, 도시가 생략된 로더에 의해 다음에 가황되는 미가황 타이어(T)를 끌어들인다. 만일, 클릭(32a)을 블록(24)내에 삽입한 후, 실린더(47)의 작용에 의해 동일 클릭(32a)의 지름이 확대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피스톤 로드(45a)의 상승에 의해 브래킷(46)과 스프링 케이스(31)가 이격되고, 동일 클릭(32a)의 지름이 확대되어 피스톤 로드(45a)와 중앙 기둥(23)이 연결된다.
타이어(T)의 끌어들임이 종료되면, 블래더(B)의 내측에 미압(홀드압이라고 통칭)의 증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면서, 중앙 기둥 실린더(45)를 반대로 작용시켜 동일 블래더(B)의 단부를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플랜지(28, 29)가 미가황 타이어(T)의 비드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접근시키고, 동일 블래더(B)를 동일 타이어(T)의 내측에 삽입시켜 지름을 확대한다.
블래더(B)의 삽입이 종료되면, 금형 조립체(M)의 상부 금형(16)을 그 내주 부가 타이어(T)에 접촉할 때까지 폐쇄된다. 계속하여, 블래더(B) 내의 압력을 저압[셰이핑(shaping)압이라고 통칭]까지 상승시켜, 금형 조립체(M)를 폐쇄하면서 실행하는 공지된 정형이 실시된다. 그 동안,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는 상부 플랜지(29)를 거쳐서 상부 금형(16)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된다.
금형 조립체(M)의 폐쇄가 종료되면, 상기 도시가 생략된 타이 로드에 의해 상판(19)과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로크 상태로 한 후, 동일 금형 조립체(M)의 베이스 플레이트(10) 내의 가압 실린더에 의해 형체(型締; mold clamping)를 실시하고, 블래더(B)를 거쳐서 타이어(T)의 내측에 고압 고온의 가압 가열 매체를 공급하여 가황 공정에 들어간다.
가황 공정에 들어가면, 관로 착탈 장치(3) 및 비드 리프트용 구동부(4)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를 일단 상승시켜 클릭(32a)의 지름을 수축시킨 후에,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를 하강시키고, 중앙 기둥(23)으로부터 중심 기구 구동부(2)를 분리시킨다. 그 후에, 금형 조립체(M)를 가황 스테이션에 이송하고, 다음에 타이어(T)를 취출하는 금형 조립체(M)를 이송해 와서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있어서, 중앙 기둥(23)를 끌어올리고자 하는 힘이 중앙 기둥(23)에 작용하는 것은 타이어(T) 내에 블래더(B)를 삽입할 때에 동일 블래더(B) 내에 공급되는 미압에 의한 것만으로, 다른 것은 모두 중앙 기둥(23)을 가압하고자 하는 힘이고, 이 가압력을 블록(24)의 하면과 스프링 케이스(31)의 상면과의 접촉에 의해서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에 전달하고, 이 때, 블록(24)과 클릭(32a)의 결합면에 약간의 간극이 발생하도록 치수를 결정하여 놓으면, 당초의 타이어(T)로부터 블래더(B)를 인출할 때에, 클릭(32a)은 압축 스프링(39)의 압축 반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지름이 확대되고, 상기 중앙 기둥(23)을 끌어올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할는 때에는, 이미 중앙 기둥(23)과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의 연결은 확실히 종료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장착되는 중심 기구는 레버(32)의 동작, 즉 클릭(32a)의 확대 수축의 확인은 타이어(T)의 출입이 종료되어 중앙 기둥(23)과 중앙 기둥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와의 분리시에 클릭(32a)의 지름이 수축되어 있는 것만 확인하면 실용상 지장이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클릭(32a)을 확대 수축시키는 브래킷(46)에 센서(49)를 부착하고, 동일 클릭(32a)의 지름이 수축되었을 때의 브래킷(46)에 대한 스프링 케이스(31)의 위치를 동일 센서(49)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센서(49)가 고온으로 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20)의 내부 통(22) 내에 진입하거나, 또는 접근하는 것도 없어지고, 내열성이 요구되는 종래의 것에 비해서 저가인 시판품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실린더(47)의 스트로크도 중앙 기둥 실린더(45)에 비해서 짧게 종료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장착되는 중심 기구는 각 금형 조립체(M)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20)에 압축 스프링(39)을 이용하고, 그 압축 반력에 의해 레버(32)의 클릭(32a)의 지름이 확대되어, 중심 기구 조작부(20)와 중심 기구 구동부(2)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중심 기구보다도 높은 신뢰성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가황 설비는 타이어 가황중의 금형 조립체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이송하는 형식으로서, 블래더 조작용 중심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각 금형 조립체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의 중앙 기둥과, 상기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구동부의 기둥 실린더를 착탈하는 복수의 클릭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클릭의 피치 원 지름 수축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중심 기구 구동부에 상기 클릭의 확대 수축 구동 수단을 내장하며, 해당 확대 수축 구동 수단에 상기 센서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심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가 고온에 노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중심 기구 조작부와 상기 중심 기구 구동부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타이어 가황 설비에 비해서 비용 절감 및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타이어 가황중의 금형 조립체를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이송하는 형식으로서, 블래더 조작용 중심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타이어 가황 설비에 있어서,
    상기 각 금형 조립체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조작부의 중앙 기둥과, 상기 금형 개폐 스테이션에 내장되는 중심 기구 구동부의 기둥 실린더를 착탈하는 복수의 클릭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클릭의 피치 원 지름 수축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중심 기구 구동부에 상기 클릭의 확대 수축 구동 수단을 내장하며, 상기 확대 수축 구동 수단에 상기 센서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중심 기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 설비.
KR10-1999-0029226A 1999-01-13 1999-07-20 타이어 가황 설비 KR10039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06207 1999-01-13
JP00620799A JP3999390B2 (ja) 1999-01-13 1999-01-13 タイヤ加硫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300A KR20000052300A (ko) 2000-08-16
KR100397749B1 true KR100397749B1 (ko) 2003-09-13

Family

ID=1163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226A KR100397749B1 (ko) 1999-01-13 1999-07-20 타이어 가황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73698B1 (ko)
EP (1) EP1020274B1 (ko)
JP (1) JP3999390B2 (ko)
KR (1) KR100397749B1 (ko)
DE (1) DE6991273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17B1 (ko) 2012-11-13 2014-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손실을 방지한 타이어 가류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9808B2 (ja) * 2006-11-14 2012-06-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の配管連結構造
JP4959299B2 (ja) * 2006-11-14 2012-06-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の配管連結構造
CN103786287B (zh) * 2014-01-21 2016-03-30 青岛科技大学 电动液压轮胎硫化机及其硫化方法
CN110355915B (zh) * 2019-08-21 2024-04-09 浙江三力士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全自动套膜机的装配模块及其装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43A (en) * 1980-06-13 1982-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er
JPH0716842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JPH09123171A (ja) * 1995-10-31 1997-05-13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648A (en) * 1991-12-16 1994-05-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ing machine and method
JP3085833B2 (ja) * 1993-10-20 2000-09-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金型
FR2720326A1 (fr) * 1994-05-27 1995-12-01 Sedepro Assemblage et vulcanisation de pneumatique.
JP3221816B2 (ja) * 1995-06-02 2001-10-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743A (en) * 1980-06-13 1982-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Tire vulcanizer
JPH0716842A (ja) * 1993-06-30 1995-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JPH09123171A (ja) * 1995-10-31 1997-05-13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17B1 (ko) 2012-11-13 2014-07-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손실을 방지한 타이어 가류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0274A2 (en) 2000-07-19
EP1020274B1 (en) 2003-11-12
JP3999390B2 (ja) 2007-10-31
EP1020274A3 (en) 2001-01-31
DE69912731D1 (de) 2003-12-18
JP2000202834A (ja) 2000-07-25
DE69912731T2 (de) 2004-09-23
KR20000052300A (ko) 2000-08-16
US6273698B1 (en) 2001-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2567A (en) Vulcanizing method in tire press
EP0139050B1 (en) Tire press, loader and method
US5409361A (en) Center mechanism of tire curing press
KR100397749B1 (ko) 타이어 가황 설비
US66323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radial tires
JPH01271207A (ja) 車両用空気タイヤの加硫方法と装置
KR0162000B1 (ko) 타이어 가황장치용 중심장치
US6416305B1 (en) Tire curing press center mechanism
US3134136A (en) Tire carcass loading apparatus for tire curing press
JP3238268B2 (ja) ブラダレスタイヤ加硫機の生タイヤ装着方法及び生タイヤ把持装置
EP0827824A2 (en) Center mechanism of a tyre vulcanizer
JP3569170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3810585B2 (ja) タイヤ加硫装置
KR100943820B1 (ko) 유니포미티 및 인너라이너의 요철을 개선시킨 타이어가류장치 및 가류방법
KR920009927B1 (ko) 타이어 가황기의 그리인타이어 삽입방법 및 장치
KR100331599B1 (ko) 타이어 가류기의 중심기구
JP3009567B2 (ja) タイヤ加硫設備
EP0455126B1 (en) Center mechanism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JP4191352B2 (ja) タイヤ金型用コンテナ
JPH07232329A (ja) タイヤ加硫プレス
JPH10156833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2703860B2 (ja) タイヤ加硫機のブラダクランプ装置
CN210415158U (zh) 一种新型汽车内胎硫化装置
JPS5825586B2 (ja) タイヤ・プレス
SU563766A1 (ru) Механизм управлени съемным диафрагменным узл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