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165B1 -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165B1
KR0159165B1 KR1019950054072A KR19950054072A KR0159165B1 KR 0159165 B1 KR0159165 B1 KR 0159165B1 KR 1019950054072 A KR1019950054072 A KR 1019950054072A KR 19950054072 A KR19950054072 A KR 19950054072A KR 0159165 B1 KR0159165 B1 KR 015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crew
seat
elastic for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690A (ko
Inventor
장성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165B1/ko
Publication of KR97003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6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the shape of the sea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purpose or for particular vehicles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트레이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 시트트랙 어셈블리의 가로 방향으로 중공형의 고정부재와 가동형의 고정부재와 탄성력 조절부를 형성하여 충,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최대로 흡수함으로 인해 운전자 및 탑승객이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머리 부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나사부(1a)가 형성된 중공형의 고정부재(1)와 나사(2a')가 형성된 가이더부(2a)를 일체로 형성한 중공형의 가동부재(2)와 탄성력 조절부(3)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재(1)는 일측에 체결공(1b')을 형성한 체결부(1b)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재(2)는 일단에 구멍(2')을 형성한 절곡부(2b)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더부(2a)는 와셔(4)와 나사(2a')에 체결되는 너트(5)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력 조절부(3)는 왼나사(6a)가 형성된 핸들(6)과 스프링(7)과 조절부재(8)로 형성하되, 상기 조절부재(8)는 왼나사부(8a)와 오른나사부(8b) 를 외면에 형성하고, 단부에 스프링(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원주형의 돌기(8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시트의 탄성력 조절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Anti-Submarining)바의 탄성부가장치
제1도는 종래 구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구조의 설치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구조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구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재 1a : 나사부
1b : 체결부 1b' : 체결공
2 : 가동부재 2a' : 나사
2a : 가이더 부 2b : 절곡부
2b' : 구멍 3 : 탄성 조절부
4 : 와셔 5 : 너트
6 : 핸들 6a' : 왼나사
7 : 스프링 8 : 조절부재
8a : 왼나사부 8b : 오른나사부
8c : 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 트레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트랙 어셈블리의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안티-서브머리닝 바를 2개로 분리하고 탄성을 부가함으로서 충,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최대로 흡수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이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시트와 리어시트에 주행중인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추돌시 그 충격력을 완화함과 동시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인 안전벨트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안전벨트 하나만으로는 그 안전을 보장할 수 없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핸들 등에 2차적인 안전장치인 에어백이 점차 장착되어 상용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 추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안전벨트에 의해 운전자나 탑승자가 앞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은 방지하게 되나 충격력이 전방으로 향하게 됨으로 무릎이 전방으로 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무릎 부상을 입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제 1도 및 제2도에 도시함)(10)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 트레이 프레임(20)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트랙 어셈블리(30)의 가로 방향으로 중공의 고정용 바(40)를 체결부재(50)로 체결 고정하는 장치 즉, 안티-서브머리닝 바를 설치함으로서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무릎 부분이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나 고정용 바(40)가 탄력이 없는 관계로 인해 충격력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엉덩이와 허리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면서 머리 부분이 윈드실드나 헤드라이닝에 부딪혀서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상술한 종래의 결점을 제거키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 4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로서,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트레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트랙 어셈블리의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안티-서브머리닝 바에 있어서, 내부에 나사부(1a)가 형성된 중공형의 고정부재(1)와 나사(2a')가 형성된 가이더부(2a)를 일체로 형성한 중공형의 가동부재(2)와 탄성 조절부(3)로 대분된다.
상기, 고정부재(1)는 일측에 체결공(1b')을 형성한 체결부(1b)를 설치하고 가동부재(2)는 일단에 구멍(2b')을 형성한 절곡부(2b)를 설치하여 시트트랙을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가이더부(2a)는 고정부재(1) 내부에서 나사결합된 조절부재(8)의 돌기(8c)에 스프링(7)을 받치고 가이더부(2a)의 끝단에 와셔(4)를 끼워 나사(2a')에 체결되는 너트(5)로서 결합하여 탄성을 부가한다.
그리고, 조절부재(8)바깥의 왼나사부(8a)가 형성된 핸들(6)이 왼나사부(6a)를 결합하며 조절부재(8)의 오른나사부(8b)로서 고정부재(1)의 나사부(1a)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주행전 운전자 및 탑승자사 시트하부에 설치된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력을 강하게 조절하려고 할 때는 고정부재(1)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8)가 고정부재(1)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부(1 )에 의해 바깥으로 이동하면서 그 끝단돌기(8c)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7)을 와셔(4)를 기점으로 압축하게 된다.
또한 핸들(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절부재(8)가 아쪽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스프링(7)을 누르는 힘이 적어짐으로 탄력은 적어지게 된다.
이후, 주행중 충, 추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서 운전자가 전, 상방으로 이동되는 반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시트 언더 트레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재(1)와 가동부재(2)에 시트 언더 트레이 프레임의 일단이 걸리게 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미는 힘 즉 활과 같이 휘어지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가동부재(2)의 일단에 설치된 가이더부(2a)가 고정부재에서 빠지는 힘으로는 스프링(7)을 압축하게 됨으로 미는 힘을 다소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 트레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트랙 어셈블리의 가로 방향으로 중공형의 고정부재와 가동형의 고정부재와 탄력 부가장치를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충,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최대로 흡수함으로 인해 운전자 및 탑승객이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머리 부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프론트 시트 쿠션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있는 시트 언더 트레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트랙 어셈블리의 가로 양방향으로 고정된 안티-서브머리닝 바에 있어서, 내부에 나사부(1a)가 형성된 중공형의 고정부재(1)와, 나사 (2a')가 형성된 가이더부(2a)를 일체로 형성한 중공형의 가동부재(2)와, 탄성 조절부(3)로 대분하되, 상기 가이더부(2a)의 돌기(8c)와 조절부재(8)의 와셔(4) 사이에 스프링(7)을 탄력설치하며 상기 조절부재(8)의 왼나사부(8a)에는 핸들(6)을 나사결합하고 오른나사부(8b)는 고정부재(1)의 나사부(1a)에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KR1019950054072A 1995-12-22 1995-12-22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KR015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72A KR0159165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72A KR0159165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90A KR970036690A (ko) 1997-07-22
KR0159165B1 true KR0159165B1 (ko) 1998-12-01

Family

ID=1944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072A KR0159165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1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9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75324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1664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US11104368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0159165B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 바의 탄성부가장치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19598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시 충격완화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73276B1 (ko) 차량의 후면충돌시 충격흡수장치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0159167B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바의 충격 감쇠장치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323062B1 (ko) 자동차의무릎보호충격흡수장치
KR017359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100326372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0150900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598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20002529Y1 (ko) 자동차 실내 후사경의 취부장치
KR20015292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플리구조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80939B1 (ko) 리어 시트의 중앙석 시트벨트
KR960010002Y1 (ko) 자동차의 엔진 진입 방지장치
KR0175243B1 (ko)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접촉 노이즈 방지용 구조
KR200162532Y1 (ko) 버스 손잡이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