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681B1 -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681B1
KR100324681B1 KR1019990065086A KR19990065086A KR100324681B1 KR 100324681 B1 KR100324681 B1 KR 100324681B1 KR 1019990065086 A KR1019990065086 A KR 1019990065086A KR 19990065086 A KR19990065086 A KR 19990065086A KR 100324681 B1 KR100324681 B1 KR 10032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ushion
track structure
seat trac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215A (ko
Inventor
박운정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681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 트랙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쿠션의 하부에 가이드부재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부재는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파단가능한 파단부재가 관통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복잡한 프리텐셔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격흡수를 개선할 수 있고, 탑승자의 상해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Impact absorbing seat track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쿠션이 차체에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게 되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파단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복잡한 프리텐셔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격흡수를 개선할 수 있는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앞좌석 시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전후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쿠션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시트는 쿠션의 하부에 설치된 시트 트랙을 이용하여 전후로 신장에 맞게 길이 조절을 하게 되는데, 이 시트 트랙에는 길이 조절을 위해 트랙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는 쿠션의 위치에 따라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포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는 레버에 의해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웜 기어 등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조절식 등 여러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트랙은 쿠션이 시트 트랙 상에서 위치 조절이 끝난 상태에서는 항상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의 상해 정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충돌사고시 발생되는 상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충돌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프리텐셔너를 별도로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프리텐셔너를 설치하는데 따른 작업효율 및 비용이 늘어나게 되어 이에 대한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부 트랙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쿠션의 하부에 가이드부재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부재는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파단가능한 파단부재가 관통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 구조를 적용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 11 : 상부트랙
20 : 가이드레일 21 : 고정구멍
30 : 가이드부재 31 : 파단부재
32 : 핀부 33 : 가이드구멍
34 : 삽입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 구조를 적용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면부호 10은 쿠션을, 11은 상부 트랙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10)의 하부에 상부트랙(11)을 따라 전후에 대칭으로 가이드부재(20)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트랙(11)의 상면에는 가이드부재(20)가 끼워져서 쿠션(10)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작용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0)이 고정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상부트랙(11)의 윗면에 설치되어 쿠션(10)의 하부에 장착된 가이드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를 하는 구성요소로, 상부트랙(11) 뿐만 아니라 그 양단을 차체에 직접 체결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윗면과 하면에 각각 대응하도록 고정구멍(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구멍(21)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30)의 핀부(32)가 끼워져서 가이드부재(30)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레일(20)은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상기 상부트랙(11)의 상부에 나란하게 고정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 가이드레일(20)에는 가이드부재(30)가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가이드레일(20)에 끼워져서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부재로,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가이드레일(2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구멍(33)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30)는 각 가이드레일(20)에 대응하여 2개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쿠션(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전부와 후부에는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고정구멍(21)과 겹쳐지도록 삽입구멍(34)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부재(30)는 쿠션(1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며, 후술하는 파단부재(31)에 의해 가이드레일(20) 상에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파단부재(31)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쿠션(1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부재(30)를 가이드 레일(20) 상에 고정시켜 주는 부재로, 차량의 정면 또는 후방 충돌시 일정 하중 이상의 충격량을 받게 되면 파단되어 쿠션(10)이 앞쪽이나 뒷쪽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재(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이드부재(3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핀부(32)는 파단부재(31)가 가이드부재(30)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구멍(34)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그 단부가 삽입구멍(34)에 관통삽입되어 가이드레일(20)의 고정구멍(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단부재(31)는 가이드부재(3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단부의 핀부(32)를 용이하게 구멍(21,34)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파단부재(31)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충격량이 가해지면 파단되고 설치시 자체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파단부재(31)는 상부트랙(11) 상에 설치된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20)의 중간 부분에 쿠션(10)이 오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 핀부(32)를 바깥쪽으로 벌리면서 삽입구멍(34)과 고정구멍(21)에 일체로 끼워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쿠션(10)은 상부 트랙(11)에 의해 전후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상부 트랙(11)을 이용하지 않고 가이드레일(20)을 직접 차체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트랙(11)을 잡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체형에 가장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쿠션(10)을 이송시켜 놓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파단부재(31)을 삽입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10)은 상부트랙(1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체형에 적합한 위치로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차량에 일정 하중 이상의 충격량이 전해지게 되면 이 충격력에 의해 파단부재(31)가 파단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쿠션과 이것을 지지하는 상부 트랙 사이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쿠션이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하면서 체형에 적합한 위치에서 파단부재에 의해 고정시켜 줌으로써, 차체에 일정 하중 이상의 충격량이 전달되면 이 충격량에 의해 파단부재가 파단되면서 쿠션이 앞쪽이나 뒷쪽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더욱 높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시트에 별도의 프리텐셔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 트랙 상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쿠션의 하부에 가이드부재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부재는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파단가능한 파단부재가 적어도 1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재는 가이드부재의 외주를 감싸는 반원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대칭으로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가능하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KR1019990065086A 1999-12-29 1999-12-29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KR10032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086A KR100324681B1 (ko) 1999-12-29 1999-12-29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086A KR100324681B1 (ko) 1999-12-29 1999-12-29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15A KR20010065215A (ko) 2001-07-11
KR100324681B1 true KR100324681B1 (ko) 2002-02-27

Family

ID=1963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086A KR100324681B1 (ko) 1999-12-29 1999-12-29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6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21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045A (en) Knee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KR10041664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완충장치
US11104368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JP3672861B2 (ja) 乗物用シート案内装置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00324681B1 (ko)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KR100276236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레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410722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트랙
KR100369001B1 (ko) 자동차의 범퍼
KR19990080019A (ko) 자동차시트의 람버 서포트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9612Y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장치
KR0176032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41721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0159167B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용 안티-서브머리닝바의 충격 감쇠장치
KR100353072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030034651A (ko) 로드 리미터 기능을 갖는 시트 벨트 버클 구조
KR19990025176U (ko) 시트지지장치
KR19990036556U (ko) 자동차용 승객 보호 장치
KR19990030840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용 앵커 플레이트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