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413B1 - 우산의 봉지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우산의 봉지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413B1
KR0155413B1 KR1019940702794A KR19940702794A KR0155413B1 KR 0155413 B1 KR0155413 B1 KR 0155413B1 KR 1019940702794 A KR1019940702794 A KR 1019940702794A KR 19940702794 A KR19940702794 A KR 19940702794A KR 0155413 B1 KR0155413 B1 KR 015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ag
opening
support substrate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192A (ko
Inventor
도시유끼 무라가미
Original Assignee
무라가미 하루지
가부시끼가이샤 무라하루 세이사꾸쇼
니이구라 모도나리
니이구라 스케일스 컴패니 리미티드
구와하라 쥰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321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32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107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7326B2/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가미 하루지, 가부시끼가이샤 무라하루 세이사꾸쇼, 니이구라 모도나리, 니이구라 스케일스 컴패니 리미티드, 구와하라 쥰,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filed Critical 무라가미 하루지
Publication of KR95070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등이 불필요하며 더구나 구조가 간단하여 간편 확실하게 수납봉지내에 우산을 수납할 수가 있는 장치에 적합한 수납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 우산의 봉지수납장치에서는 우산의 수납봉지를 복수개 수용하는 본체와 그 본체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한 가동지지기판과 봉지에 수납할 우산의 끝을 맞닿게하여 상기 가동지지기판을 하강이동시키는 받이판과 상기 가동지지기판의 하강동작에 연동해서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조작레버와를 비치하며, 봉지에 수납할 우산의 끝을 상기 받이판에 맞닿게 하여 가동지지기판을 하강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개방조작레버가 작동하여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받이판이 아래쪽으로 후퇴회동하여 상기 우산이 수납봉지내로 자동적으로 삽입시키토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모우터 등을 사용함이 없이 우산을 봉지 내로 원텃치로 용이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원가를 저감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더구나 전원코드가 방해가 되거나 누전의 염려도 없으므로 지극히 실용적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호텔이나 점포 등의 입구에 설치하여 우천시에 젖은 우산을 봉지 내에 자동적으로 수납하는 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수납봉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예를 들면 호텔이나 점포 등에 있어서, 우천시에 손님이 젖은 우산을 들고 다니므로서 의복이나 바닥 또는 상품등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제의 봉지 등에 우산을 수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여기에 그 예를 들면 일본특개 소60-134817호, 동 실개 소62-125708호, 동 특개평4-31222호 공보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의 수납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자동적으로 개방하여 그 개방한 개구부에 우산을 삽입하기만 하면 수납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수단으로서, 부압으로 흡입하는 수단이나, 다수의 링크나 캠기구 등을 이용하고 있는 까닭에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 진공흡입폄프나 모우터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증대함과 함께 장치의 설치 장소 근방에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원 코드가 통행에 방해가 되며 우천시에 사용하는 것인 까닭에 누전의 염려가 있는 등의 각종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한편 비교적 가늘고 긴 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장치가 일본특개소평4-312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공개특허의 수납장치는 복수개의 수납용 봉지를 저장하는 본체와, 그 수납용 봉지는 그의 상부로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그 수납용 봉지의 맨 앞의 것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수납장치도 앞서 언급한 선행기술들과 마찬가지로 장치의 구동을 위한 서브모터의 필요성 및 수납용 봉지의 개방방식이 다르고 그의 개방을 위한 수단이 복잡한 링크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다관절의 연속 구조상 작동이 불안정하며, 전원이 필요하고 누전 등의 위험성이 따르는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원이 불필요하며, 더구나 구조가 간단하여 손쉽고 확실하게 수납봉지내에 우산을 수납할 수가 있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산 봉지 수납 장치는
그의 상부로 개구부를 가지는 우산수납봉지를 복수개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지지기판과, 상기 봉지속에 수납될 우산의 끝단에 의해 압압될 때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기판에 연결된 받이판과,
상기 가동지지기판의 하강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맨 앞에 위치하는 우산수납봉지속에 진입한 후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지지기판에 회동가능하게 달아붙인 개방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봉지개방수단과; 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받이판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는데 연동하여 상기 가동지지기판의 하강이동이 일어나 상기 우산의 끝단부가 개방된 우산수납봉지속으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그와 같은 우산의 봉지수납장치에서 사용되는 우산의 수납봉지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를 갖고, 그 개구부에 있어서의 앞쪽의 위끝부를 접어돌리는 동시에 뒤쪽의 위끝부를 앞쪽보다도 위쪽으로 돌출시켜 그 돌출부의 위테두리부에 걸림구멍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장치본체에 다수의 수납봉지를 장진하여 그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순서대로 개방하여 우산을 수납하도록 해서 장치본체에 장진할 다수의 수납봉지를 상자체내에 수용한 상태로 장치본체에 장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상기 수납봉지를 상기 상자체내에 행거에 의해 달아내려서 유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개방조작레버(C-자형상)를 상기 가동지지부재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개방조작레버로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에 그 개방조작레버를 장치본체내에 장진한 수납봉지에 맞닿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더하는 수단(예를 들면 스프링)에 대해서도 각각의 레버에 대하여 별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개방조작레버를 미끄럼성이 좋은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바켓상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소위 케이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기둥체 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둥체간에는 투명부재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우산의 봉지수납장치에 의하면, 봉지에 수납할 우산의 선단을 상기 받이판에 맞닿게 하여 가동지지기판을 하강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개방조작레버가 작동하여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한다.
그것과 동시에 상기 받이판이 아래쪽으로 후퇴회동하여 상기 우산이 수납봉지내로 자당적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모우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우산을 봉지내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우산의 수납봉지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의 위테두리부에 마련한 걸림구멍에 막대형의 행거 등을 끼워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다수매의 수납봉지를 봉지수납장치내로 용이하게 달아내려 간직하게 할 수가 있다.
그것과 함께, 수납봉지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앞쪽의 위끝부(상단부)를 접어돌린(예를 들면 U자형)것에 의해서 개방조작 레버 등을 개구부내에 확실하게 진입시켜서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것은 다수의 수납봉지를 단지 포개서 장치본체에 장진하는 것이기 때문에 왕왕 흐트러져서 수납이 곤란하며, 또 장치본체에 장진하기까지의 사이에 다수의 수납봉지를 보관하는 것이나 들고 옮기는 것이 대단히 불편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봉지 수납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에 다수의 수납봉지를 장진하여 그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순서대로 개방하여 우산을 수납하도록 하여서 장치본체에 장진할 다수의 수납봉지를 상자체내에 수용한 상태로 장치본체에 장진하도록 구성하면 다수의 수납봉지를 일괄해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장치본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장치본체에 장진하기까지에는 상자체에 들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들고 옮기거나 보관에 편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방 조작레버를 상기 가동지지부재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개방조작레버로서 구성하고, 그 개방조작레버를 장치본체내에 장진한 수납봉지에 맞닿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더하는 수단도 각각의 레버에 대하여 별개로 마련하여서 구성하면 상기 개구부에 다소 위치 어긋남 등이 생겨도 확실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작레버를 플라스틱 등의 수지재료와 같은 미끄럼성이 좋은 재료로서 일체로 형성된 바켓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우산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행하여지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봉지수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5도는 가동지지기판을 상승시키는 중추의 배치구성 등을 나타내는 종단측면도.
제6도는 요구의 분해사시도.
제7도 (a) 및 제7도(b)는 수납봉지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8도 (a)~(c)는 수납동작의 설명도.
제9도 (a) 및 (b)는 수납봉지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10도는 상자체의 외관 사시도.
제11도는 상자체내에 수납봉지를 매달아 간직하는 부재의 사시도.
제12도는 상자체를 장치 본체내에 수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상자체를 장치 본체내에 수납하는 기타의 양태의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 (a) 및 (b)는 각각 버킷상부재의 평면도와 정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수납동작의 각각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제8도에 있어서 부호(1)은 전면 중앙부가 개구되어 있는 대략 사각통상의 본체이며, 그의 케이스(1)는 바닥부재(2)위에 얹어 설치되며 케이스(1)의 위끝에는 커버(3)가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상부내면에는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지지기판(4)이 달아 붙여져 있으며 그 고정지지기판(4)에는 합성수지필름등으로 형성한 수납봉지(5)를 매달아 내려 간직하는 행거(6)가 설치되어 있다.
그 행거(6)는 막대등으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거의 ⊃자형으로 형성되며,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3)를 개방하여 ⊃자형 행거(6)의 기부(6a)를 고정지지기판(4)에 달아붙인 훅(7)에 걸게하는 동시에 양끝부(6b)(6b)를 고정지지기판(4)에 고착한 지지부재(8)의 걸림구멍(8a)에 걸어 합치게 하는 것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수납봉지(5)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5a)를 가지며, 그 개구부에 있어서의 앞쪽(51)의 위끝부(51a)는 전방 혹은 후방으로 U자형으로 접어 돌려지며, 뒤쪽(52)의 위끝부(52a)는 앞쪽(51)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여 그 돌출부의 위끝부에 한쌍의 걸림구멍(5b)이 마련되어 있다.
그 각각의 걸림구멍(5b)에 상기자형 행거(6)의 대향편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납봉지(5)가 달아내려져 있다.
그 수납봉지(5)의 배면측에는 압압판(9)이 한쌍의 가이드봉(10)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각 가이드봉에 끼워 지도록 삽입 한 코일스프링(10a)에 의해서 상기 압압판(9)이 항상 수납봉지(5)의 배면에 압접되어 있다.
상기의 고정지지가판(4) 앞면의 좌우방향 한끝측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자형의 안내레일(13)이, 다른끝측에는 지지부재(14)가 각각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고정지지기판(4)의 앞면에는 가동지지기판(11)이 배치되어 있다. 그 가동지지기판(11)은 그의 한끝측에 회전자유롭게 마련한 로울러(12)를 상기 안내레일(13)내에 배치함과 동시에 가동지지기판(11)의 다른끝측에 달아붙인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자형의 가이드부재(15)에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긴구멍(16)을 형성하여 그 각각의 긴구멍(16)내에 상기 지지부재(14)에 회전운동자유롭게 마련한 홈있는 로울러(17)를 걸어합치는 것에 의해서 가동지지기판(11)이 고정지지기판(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부재(15)의 전방에는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풀리(18)가 상기 지지부재(14)에 회전자유롭게 달아붙여지며 그 양풀리(18)에 걸려 도는 벨트(19)의 한변에 무게추(20)를 나사(20a)등으로 달아붙임과 함께 벨트(19)의 다른변을 상기 가이드부재(15)에 고착한 연결부재(21)에 나사(21a)등으로 연결시키므로서 상기 가동지지기판(11)을 항상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고정지지기판(4)에는 가동지지기판(11)의 상승움직임을 규제하여 평시에는 가동지지기판(11)을 제3도의 상승위치에 위치결정토록 계지하는 스톱퍼가 마련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생략하였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13a) 및 (14a)는 상기 안내레일(13) 및 지지부재(14)의 한끝부를 전방으로 굴곡시켜서 형성한 가동지지기판(11)의 하강움직임을 규제하는 스톱퍼이다.
또 가동지지기판(11)의 앞측 중앙상부에는 제2도~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받이부재(16)를 개재하여 한쌍의 지지축(23)(24)이 마련되며 그 한쪽의 지지축(23)에는 우산 끝의 물미를 맞닿게 하여서 가동지지기판(11)을 하강 이동시키는 받이판(25)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받이판(25)의 중앙부윗면에는 우산의 끝의 물미를 맞닿도록 하는 요홈부(25a)가 형성되며, 받이판(25)의 후부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지지기판(11)과 고정지지기판(4)과의 사이로부터 아래쪽으로 늘어지는 굴곡부(25b)가 마련되어 있다.
그 굴곡부(25b)의 아래끝부에는 요접등으로 고착시킨 축(26)을 개재하여 굴림대(27)가 회전자유롭게 마련되며, 그 굴림대(27)를 고정지지기판(4)의 전면에 맞닿도록 하므로서 받이판(25)의 윗면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시키고 있다.
또, 상기 다른쪽의 지지축(24)에는 상기 수납봉지(5)의 개구부(5a)내로 진입하여 그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한쌍의 개방조작레버(28)가 상기 받이판(25)의 양측방에 있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양 레버(28)는 그위 위끝부에 용접등으로 고착한 연결아암(29)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 실시예로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한쌍의 개방조작레버(28)를 아암(29)에 대하여 독립해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연결아암(29)의 한끝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굴곡하여 그 굴곡부(29a)의 선단부에 무게추(30)를 달아붙이는 것에 의해서 개방조작레버(28)를 제4도에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가하여 그 레버(28)의 끝(아래끝)을 상기 행거(6)로부터 달아내려진 최전방위치의 수납봉지(5)의 앞면을 누르고 있는 구성이다.
또, 상기 연결아암(29)의 굴곡부(29a)의 아래쪽에는 그의 굴곡부가 맞닿아서 개방조작레버(28)를 제4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판상의 당접편(31)이 상기 안내레일(13)의 앞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우산(U)을 수납봉지(5)내로 수납하는데 있어서는 우선 제8도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산(U) 끝의 물미(U1)를 받이판(25)의 요홈부(25a)의 윗면에 맞닿도록 하여 우산(U)을 아래쪽으로 눌러붙인다. 그러면 받이판(25)의 굴곡부(25b)에 마련한 굴림대(27)가 고정지지기판(4)의 앞면에 맞닿는 상태로 받이판(25)의 윗면이 수평상태로 유지된 채 가동지지기판(11)과 함께 무게추(20)에 해 눌러 올리힘에 대항하여 제8도(b)와 같이 하강이동한다.
그것에 수반해서 개방조작레버(28)도 하강하여, 그 끝(28a)이 최전방위치의 수납봉지(5)의 개구부(5a)의 상부앞면에 눌러접한 상태로 하강이동한다. 그러면 개방조작레버(28)의 끝(28a)이 수납봉지(5)의 개구부(5a)로부터 봉지내로 진입한다. 그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5a)에 있어서의 앞쪽(51)의 위끝부(51a)를 접어돌려 놓으면 상기 레버(28)의 끝(28a)을 개구부(5a)내로 확실하게 진입시킬 수가 있다.
개방조작레버(28)가 다시 하강하여 그 끝(28a)이 개구부(5a)내로 진입해 들어가면 수납봉지(5)의 앞쪽(51)이 점차로 전방으로 끌어내어지며, 그의 앞쪽(51)의 위끝부(51a)가 제8도(b)와 같이 개방조작레버(28)에 형성한 요(凹)부(28b)내로 들어간다. 또 그것과 거의 동시에 연결아암(29)의 굴곡부(29a)가 당접편(31)에 맞닿는다.
그런상태에서 가동지지기판(11)과 함께 개방조작레버(28)가 다시 하강이동하면 그 개방조작레버(28) 및 연결아암(29)이 무게추(30)의 눌러내리는 힘에 대항해서 지지축(24)을 중심으로 제8도(b)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조작레버(28)의 요(凹)부(28b)내로 수납봉지(5)의 앞쪽(51)의 위끝부(51a)가 들어간 상태에서 수납봉지(5)이 개구부(5a)가 제8도(c)와 같이 크게 개방된다.
또, 그것과 거의 동시에 받이판(25)이 하강하여 그 받이판(25)의 굴곡부(25b)에 마련한 굴림대(27)가 고정지지기판(4)의 중앙부의 돌출부(4a)(제3도 참조)로부터 벗어나 받이판(25)의 지지축(23)을 중심으로 제8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을 후퇴회동한다. 그것에 의해 우산(U)의 끝의 물미(U1)가 받이판(25)의 요(凹)부(25a)로부터 받이판(25)의 상면을 미끄러져서 수납봉지(5)내로 진입하고, 다시 우산(U)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수납봉지(5)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그 우산(U)을 수납한 봉지(5)는 우산(U)과 함께 본체(1)의 전방으로 약간 하강시키면서 빼내는 것에 의해서 수납봉지(5)의 걸림구멍(5b)의 상부가 찢겨져서 행거(6)로부터 벗어나서 용이하게 들어낼 수가 있다.
또 봉지(5)에 수납한 우산(U)을 전방으로 집어내는 것에 의해서 가동지지기판(11) 및 개방조작레버(28)는 각각 무게추(20)(30)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받이판(25)의 굴곡부(25b)에 마련한 굴림대(27)는 고정지지기판(4)의 전면에 이동하여 받이판(25)은 수평상태로 되돌려져서 대기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한 모우터나 진공펌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없이 우산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납봉지내로 수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는 한 예이며, 상기 각부재의 구성등은 본 발명의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의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동지지기판(11)을 상하동작이 가능하도록 간직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실시예는 로울러(12)(17)와 긴 구멍(16)과를 사용했으나 이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가동지지기판(11)을 상승이동시키는 수단 및 개방조작레버(28)를 수납봉지(5)에 압접시키는 수단으로서 실시예는 각각 무게추(20)(30)를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제9도∼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수납봉지(104)가 제9도에 나타내어 있다. 이 수납봉지(104)는 합성수지필름 등에 의하여 편평한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개구부(104a)가 마련되어져 있다. 그 개구부(104a)에 있어서의 앞쪽(14)의 위끝부(141a)는 뒤쪽(142)측으로 U자상으로 접어돌려져 있고, 그의 뒤쪽(142)의 위끝부(142a)는 앞쪽(141)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여 그 돌출부에 한쌍의 계지구멍(104b)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상자체(105)는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골판지 등에 세로길이의 직방체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자체(105) 내의 상부에는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막대형의 행거(107)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행거(107)에 상기 수납봉지(104)의 걸림구멍(104b)을 끼우고, 그 행거(107)를 상자체(105)의 상부내면에 고착한 지지판(108a)(108b)에 달아붙이는 것에 의해 다수의 수납봉지(104)가 앞쪽(141)을 제11도에 있어서의 좌측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달아내려 간직되어 있다. 그들의 수납봉지(104)의 배면측에는 압압판(109)이 배치되어 있어 그 압압판(109)은 탄성부재에 의해 다수의 수납봉지(104)를 제 11도 중의 좌측방향으로 눌려주고 있다. 그 탄성부재로서 제11도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고무밴드(110)가 사용되고 있고 고무밴드(110)의 양끝부는 상기 지지판(108a)의 좌우양측에 마련한 훅(181)에 걸려져 있다.
상기 상자체(105)의 앞면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싱눈(105a)을 따라서 개봉가능한 개봉구(151)가 마련되어 불사용시는 그 개봉구(151)를 개봉하지 않고 운반보관 등을 행한다.
한편, 사용시에 있어서는 제 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봉구(151)를 미싱눈(105a)을 따라서 개방한 후 장치본체(101)의 배면측에 마련한 개폐문짝(106)을 열어서 개봉구(151)를 개방한 상태의 상자체(105)를 장치본체(101)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장치본체(101)내에 장진한 상자체(105)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지지부재가 장치본체(101)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그 고정지지부재의 앞쪽에 상기 상자체(105)의 앞면이 닿도록 위치 결정하고 고정시킨다.
또 상기 실시예는 우산의 수납봉지를 수용한 상자체(105)를 장치본체(101)의 배면측으로부터 장진하도록 하였으나, 예를 들면 상기커버(103)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하여 장치본체(101)의 상면측으로부터 장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상자체(105)는 제1도∼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반드시 전체 외주면이 장치본체(101)에 의해 덮어씌어지도록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체(105)의 하부를 에워싸는 틀체(101b)를 장치본체(101)와 일체적으로 마련하여 그 틀체(101b)내에 상자체(105)를 장진하여 위치결정해서 간직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봉지(104)의 개구부(104a)를 개방조작레버(122)로 개방시키는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종래예와 같이 진공흡인하여 개방시키는 것 등에도 적용된다.
제14도∼제16도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 (a),(b)에 있어서 부호(128)로 나타낸 것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된 바켓상부재이다. 이 바켓상부재(128)의 형상에 기인해서 우산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바켓상부재(128)에 의해 수납봉지(5)를 개방하는 실시예가 제15도, 제16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단, 제15도, 제16도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제8도 (a)∼(c)에서 나타낸 것과 거의 같은 모양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시한 실시예를 대신해서 개방조작레버를 상기 가동 지지부재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개방조작레버로 구성하고, 그 개방조작레버를 장치본체내에 장진한 수납봉지에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힘을 더하게 하는 수단도 각각의 레버에 대해서 별개로 마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개구부에 있어서 다소의 위치 빗나감이 생겼다고 해도 수납봉지를 확실하게 개방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의 봉지수납장치는 봉지에 수납할 우산의 끝을 상기 받이판에 맞닿게 하여 가동지지기판을 하강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개방조작레버가 작동하여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받이판이 아래쪽으로 후퇴회동하여 상기 우산이 수납봉지내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종래와 같이 모우터 등을 사용함이 없이 우산을 봉지내에 원터치로 용이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작원가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전원이 없는 곳에서도 사용가능하며, 더구나 전원코드가 방해가 되거나 누전의 염려도 없으므로 극히 실용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납봉지는 상부에 개구를 가지며, 그 개구부에 있어서 앞쪽의 상단부를 U자상으로 접어돌리는 동시에 뒤쪽의 상단부를 앞쪽 보다도 위쪽으로 돌출시켜, 그 돌출부의 위테두리부에 걸림구멍을 마련하였으므로 그 걸림구멍에 막대상의 행거등을 끼워통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다수매의 수납봉지를 봉지수납장치내에 용이하게 매어 달아내려 간직시키는 것이 될 수 있는 동시에 수납봉지의 개구부에 있어서의 앞쪽의 위끝부를 U자상으로 접어돌린 것에 의해서 개방조작레버 등을 개구내에 확실하게 진입시켜서 개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장치본체에 다수의 수납봉지를 장진하여 그 수납봉지의 개구부를 순서대로 개방하여 우산을 수납하도록 하여서 장치본체에 장진할 다수의 수납봉지를 상자체내에 수용한 상태로 장치본체에 장진하도록 구성하면 다수의 수납봉지를 일관해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장치본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또 장치본체에 장진하기까지의 사이는 상자체에 채운 상태에 있으므로 운반하거나 보관에도 편리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그의 상부로 개구부를 가지는 우산수납봉지를 복수개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지지기판과, 상기 봉지속에 수납될 우산의 끝단에 의해 압압될 때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지지기판에 연결된 받이판과, 상기 가동지지기판의 하강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맨앞에 위치하는 우산수납봉지속에 진입한 후 상기 개구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지지기판에 회동가능하게 달아붙인 개방조작레버를 구비하는 봉지개방수단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받이판이 아래쪽으로 회동하는데 연동하여 상기 가동지지기판의 하강 이동이 일어나 상기 우산의 끝단부가 개방된 우산수납봉지속으로 수용되는 것을 허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수납봉지의 개구부에 접하는 전면 상부는 접어져 있고, 그의 배면의 상부는 전면 보다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걸림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수납봉지는 상자체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자체는 상기 본체 속에 이동가능하게 장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수납봉지는 상기 상자체 속에 행거에 의해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작레버는 실질적으로 바켓상부재(C-형상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KR1019940702794A 1992-12-22 1993-12-22 우산의 봉지 수납장치 KR0155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7092 1992-12-22
JP1992-92370 1992-12-22
JP1993-321071 1993-11-26
JP1993-321070 1993-11-26
JP5321071A JP2813292B2 (ja) 1993-11-26 1993-11-26 傘の袋収納装置
JP32107093A JP2777326B2 (ja) 1993-11-26 1993-11-26 傘の袋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192A KR950700192A (ko) 1995-01-16
KR0155413B1 true KR0155413B1 (ko) 1999-02-18

Family

ID=2730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794A KR0155413B1 (ko) 1992-12-22 1993-12-22 우산의 봉지 수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26631A (ko)
EP (1) EP0626315B1 (ko)
KR (1) KR0155413B1 (ko)
DE (1) DE69318135T2 (ko)
ES (1) ES2115924T3 (ko)
HK (1) HK1010452A1 (ko)
SG (1) SG47452A1 (ko)
TW (1) TW304364U (ko)
WO (1) WO1994014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4661A1 (en) * 1992-12-22 1994-07-07 Kabushiki Kaisha Muraharu Seisakusho Apparatus for getting an article received into a cover
JPH08276919A (ja) * 1995-04-04 1996-10-22 Daito Onkyo Kk 傘袋装着装置
JPH08292897A (ja) * 1995-04-20 1996-11-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US5765338A (en) * 1997-08-05 1998-06-16 Tsai; Hung-Wen Package bag expanding device
WO2005021386A1 (ja) * 2003-08-27 2005-03-10 Kabushiki Kaisha Muraharu Seisakusho 物品収納装置
JP2006151401A (ja) * 2004-11-25 2006-06-15 Niikura Keiryoki Kk 傘袋収納装置
JP6391079B1 (ja) * 2017-12-26 2018-09-19 新倉計量器株式会社 傘袋束、傘袋束の保持構造、開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788A (en) * 1959-08-18 Beebe
US3468100A (en) * 1965-09-24 1969-09-23 Atlantic Co Bagging machine
US3385428A (en) * 1966-10-03 1968-05-28 Kugler Emanuel Flexible bag
US3747298A (en) * 1971-11-17 1973-07-24 A Lieberman Bag dispensing unit and the method of opening and removing the bags therefrom
GB1373175A (en) * 1972-01-10 1974-11-06 Kristiansen A H Apparatus for the opening and securing of carrier bags during filling of commodities
BE795470A (fr) * 1972-05-12 1973-05-29 Chapuis Ets M Dispositif automatique pour la presentation de sacs sur une machine d'ensachage avant fermeture
US3783580A (en) * 1972-10-10 1974-01-08 Union Carbide Corp Close fitting article packaging system
US4368608A (en) * 1977-07-25 1983-01-18 Texas Aim, Inc. Automatic ice bagger
US4253292A (en) * 1979-06-12 1981-03-03 Arnold Lipes Automatic weighing and bagging machine
US4370845A (en) * 1979-08-15 1983-02-01 Perolls Roland F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closing bag mouths
JPS58149914A (ja) * 1982-03-03 1983-09-06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ヒドロキシポリエ−テルの製造法
JPS58149914U (ja) * 1982-03-31 1983-10-07 老月 太郎 傘収納袋
JPS60134817A (ja) * 1983-12-19 1985-07-18 鷲山精電工業株式会社 傘入れ袋の自動開口保持機
JPS62125708A (ja) * 1985-11-26 1987-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ツチ回路
FR2592367A1 (fr) * 1985-12-30 1987-07-03 Castelletta Rene Dispositif pour distribution de sacs en matiere plastique, en particulier sur des lieux de vente.
GB8621259D0 (en) * 1986-09-03 1986-10-08 W J Morray Engineering Limited Filling bag with articles
JPH01124120A (ja) * 1987-11-07 1989-05-17 Canon Inc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H01124120U (ko) * 1988-02-18 1989-08-23
JPH0725377B2 (ja) * 1990-05-21 1995-03-22 純市 滝本 傘収納袋支持装置
JPH06102449B2 (ja) * 1990-05-21 1994-12-14 純市 滝本 傘収納袋の自動開口装置
JPH0495720A (ja) * 1990-08-08 1992-03-27 Hitachi Ltd 熱線式空気流量センサ
JPH0495720U (ko) * 1991-01-10 1992-08-19
JPH057611U (ja) * 1991-01-17 1993-02-02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傘袋支持装置
JPH057611A (ja) * 1991-07-02 1993-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浴中気泡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0452A1 (en) 1999-06-17
WO1994014660A1 (en) 1994-07-07
DE69318135D1 (de) 1998-05-28
DE69318135T2 (de) 1998-08-20
EP0626315A4 (en) 1995-06-14
EP0626315A1 (en) 1994-11-30
EP0626315B1 (en) 1998-04-22
SG47452A1 (en) 1998-04-17
ES2115924T3 (es) 1998-07-01
US5526631A (en) 1996-06-18
KR950700192A (ko) 1995-01-16
TW304364U (en) 199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215B1 (ko) 간단하게 작동하는 롤 커버
KR0155413B1 (ko) 우산의 봉지 수납장치
JP2562806B2 (ja) 傘の袋収納装置
KR0155412B1 (ko) 봉지수납장치
JPH08182604A (ja) 荷物受け用ボックス
KR0167023B1 (ko) 우산의 봉지수납장치
KR102018041B1 (ko) 보조 체인 바퀴부를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JP2681871B2 (ja) 傘の袋収納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傘収納袋
CN219587960U (zh) 座包储物铰链
JP2777326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2551748Y2 (ja) 物品受取装置
JPH0717528A (ja) 傘の袋収納装置
JP2925906B2 (ja) 傘の袋収納装置
JPH07156925A (ja) 傘の袋収納装置
JP3367046B2 (ja) 傘袋被着装置
KR0134228Y1 (ko) 다용도 도어 암레스트
JP2000255526A (ja) 傘収納袋の装着装置
JPH07291240A (ja) 傘の袋収納装置
JPH07149321A (ja) 傘の袋収納装置
JPH08337222A (ja) 傘袋被着装置
JPH09272519A (ja) 傘の袋収納装置
KR19990030268U (ko) 상하 개폐식 덮개의 서포트 장치
JPH08217213A (ja) 天開き缶運搬装置
JPH0717550A (ja) 収容箱の棚・蓋の開閉機構
JPH0451909A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