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25B1 -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25B1
KR0153225B1 KR1019940018705A KR19940018705A KR0153225B1 KR 0153225 B1 KR0153225 B1 KR 0153225B1 KR 1019940018705 A KR1019940018705 A KR 1019940018705A KR 19940018705 A KR19940018705 A KR 19940018705A KR 0153225 B1 KR0153225 B1 KR 015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
signal
optical disc
detecte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248A (ko
Inventor
가즈히사 오자끼
간지 가야누마
히로후미 나가노
Original Assignee
보오가미 다구로
니홍 빅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07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6219B2/ja
Application filed by 보오가미 다구로, 니홍 빅타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보오가미 다구로
Publication of KR95000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wherein the shape of recording marks is altered, e.g. the depth, width, or length of p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5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60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phys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wherein properties of tracks are altered, e.g., by changing the wobble pattern or the track pitch, or by adding interruptions or eccentri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are linked to media defects or read/write errors
    • G11B20/0092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are linked to media defects or read/write errors wherein said defects or errors are generated on purpose, e.g. intended scr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85P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007Encryption, En-/decode, En-/decipher, En-/decypher, Scramble, (De-)compr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1Preparing a master, e.g. exposing photoresist, electro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Manufacturing Optical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다수의 나선상 정규의 피트(pit)열(列)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特異)피트열이 형성된 광디스크를 제공한다.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더욱이, 특이 피트열의 배치는 정규 피트열의 배치와는 상이하다.
또한, 트래킹 에러신호를 특이 피트열로 부터 얻는다. 이러한 특이피트를 가진 정규의 광디스크로 부터 종래의 카피(복사) 방법으로 카피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특이 피트는 카피되지 않는다. 즉, 광디스크에 특이 피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정규의 광디스크와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쉽사리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카피 방지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광디스크(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제 1 예)의 피트 형상의 설명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제 1 예의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의 설명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광디스크(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제 2 예)의 피트 형상의 설명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제 2 예의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의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체크장치와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체크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피트 형상의 설명도.
제5(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광량신호 변화를 나타낸 설명도.
제5(e)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의 두개의 포토디텍터에서 출력된 광량신호의 가산에 의해 얻은 신호 파형의 파형 설명도.
제5(f)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의 반사광량 변동신호 파형의 파형 설명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피트 형상의 설명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예 3 의 트래킹 에러신호 파형의 파형 설명도.
제7(a)도 내지 제7(e)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의 프레임과 특이 피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의 우오블신호(wobbling signal)와 노이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10도는 버스트(burst)트래킹 에러 검출회로의 한가지 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11(a)도 내지 제11(e)도는 버스트 트래킹 에러 검출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신호 파형도.
제12(a)도 내지 제12(e)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우오블신호 인식 타이밍의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실시예 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아트.
제14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실시예 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15(a)도 내지 제15(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의 특이 피트열(列)을 나타낸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의 무선 주파수(RF)신호 파형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의 설명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의 특이 피트열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실시예 4)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의 RF 신호 파형의 대칭성 변동을 검출하는 대칭성 변동 검출회로의 한가지 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20(a)도 내지 제20(c)도는 본 발명의 RF 대칭성 변동 검출회로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신호 파형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실시예 4)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22(a)도 내지 제22(f)도는 제21도의 기록회로의 동작을 각각 나타낸 설명도.
제23(a)도와 제23(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의 특이 피트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실시예 5)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25도는 광량 변동 검출회로의 한가지 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실시예 5)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
제27(a)도 내지 제27(f)도는 제26도의 기록장치의 동작을 각각 나타낸 설명도.
본 발명은 예컨대 정보 [예 : 비디오 게임(즉, 컴퓨터 게임)등의 소프트 웨어] 가 기록된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등으로 부정 복사(즉, 표절 또는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도록 한 광디스크, 더욱이 이 광디스크를 체크하여 광디스크중에 부정하게 복사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체크장치 및 이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정보신호와 아날로그 정보신호를 이용하여 음악, 화상, 문자, 데이터 등을 표현하는 동일한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탈 정보신호로 부터 정보를 복사(즉, 복제)했을 때에는 아날로그 정보신호로 부터 동일 정보를 복사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복사된 정보의 전송특성과 질에 있어서 열화(劣化)가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디지탈 정보신호로 표현된 원래의 정보의 복사(즉, 예컨대 음악을 표현한 원래의 정보와 동일한 정도로 정보를 복제하는 것)는 음악으로 표현된 정보 등의 원래의 정보에 대한 저작권 보호에 있어 현재 심각한 문제로 되어 있다. 즉, 디지탈 정보신호의 복제(또는 복사)에 대한 금지 또는 제한이 요망되고 있다.
예컨대, CD-ROM 등은 국제 표준 기구(ISO :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확립한 ISO 9660 등의 공개된 규격에 의거하여 제작되고 있다. 광디스크로 부터 원래의 디지탈 정보의 복사를 이 규격에 준거하여 방지할 경우 복사 방지용 코우드(code)를 미리 광디스크에 기록하여 두게 된다. 따라서, 이 코우드를 가진 광디스크는 정규의 디스크로 판단하고, 한편 이러한 코우드가 광디스크에 없으면 이 광디스크는 부정한 광디스크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 부정한 복사 디스크로 부터의 정보의 재생을 정지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더욱이, 현재 제품화되어 있는 CD-ROM 이나 이후 제품화될 것들은 이 규격에 따라 제조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사 방지의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위 디스크 카피(disc copy)를 할 수 있는(즉,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확히 복사 할 수 있는)복사기(copying machine)를 사용하면 간단히 정규의 디스크로서 판정받을 수 있는 광디스크의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사 방지가 약한 광디스크가 출현하게 되어 부정한 복제 디스크가 시주에 범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광디스크의 규격과 상이한 독자적인 규격을 만들어 이 독자적인 규격에 따라 제작된 광디스크가 통상적인 ISO 9660 등의 규격에 따라 제작된 CD-ROM을 판독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판독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복사 방지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물리적인 프레임(physical frame)단위로 데이터를 광디스크로 부터 읽어내어 CD-WO 형(compact disc of the write once type)등에 복사하는 복사기를 사용하면 어떠한 광디스크도 복사 또는 복제할 수 있다.
일본국의 소니사에서 개발된 직경 6.4cm의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디스크인 미니디스크(MD : mini-disc)의 경우에 있어서는 SCMS(serial copy management system)라 불리우는 또 다른 복사 방지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 SCMS는 MD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탈신호의 일부의 가부(可否)에 관한 방지 코우드를 참조함으로써 2회 이상의 디지탈 카피(digital copy)를 방지하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즉, MD의 TOC(total-of-contents)영역의 데이터중에 방지 코우드가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1)방지 코우드가 방지 없음으로 나타나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이 MD [즉, 소오스(source)MD] 로 부터 목표(target)MD에 복사할 수 있다. 더욱이, 소오스 MD로 부터 목표 MD에 복사되면 복사 방지 있음을 나타내는 방지 코우드가 목표 MD의 TOC영역에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2)MD에 기록된 방지 코우드가 복사 방지 있음을 나타내면 이 MD에 기록된 데이터는 일단 복사된 것으로서 다시 복사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MD에 기록된 디지탈신호가 2회 이상 디지탈식으로 복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위에 나온 바와 같이 SCMS 방법을 채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에 방지 코우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복사기는 MD에 기록된 방지 코우드를 참조함으로써 이 MD로 부터 데이터 또는 정보를 복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광디스크(즉, 소오스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직접 기록신호의 그대로 읽어내어 이것을 다른 광디스크에다 정확히 기록했을 경우에는 데이터 뿐만 아니라 방지 코우드도 복사되어 버린다. 그 결과, 소오스 광디스크로 부터 또 다른 광디스크에다 데이터를 몇번이나 복사할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에 관한 저작권을 침해하는 부정한 데이터 복사를 방지할 수 없다.
그런데, CD 장치(예컨대, 현재 시판되고 있는 CD 플레이어나 CD-ROM 드라이브등)용의 집적회로(IC)에서는 트래킹 에러(tracking error)를 모니터링하고 있는데, 이 트래킹 에러가 어떤 일정한 값 이상으로 커지면 이 장치는 충격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 충격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 장치의 서어보(servo)시스템의 게인(gain)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東芝 사제의 IC 인 TC 9236 AF). 또는 다른 종류의 IC에서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을 모니터링하여, 이 반사광량이 어느 정도 저하하거나 증가하여 슬루 레이드(slew rate)이상으로 변화하면 광디스크에 얼룩이나 결함이 있다고 판단해서 PLL(phase locked loop)을 호울딩하거나 뮤팅(muting)을 실행하거나 하는 대책을 강구하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의 松下 사제의 IC 인 AN8803SB).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하면 특별한 회로 설계 등을 하지 않고서도 종래의 IC 를 이용하여 복사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착안하여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신호를 종래방법으로 재생하는 것만으로는 기록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방지용 정보를 읽어낼 수 없도록 함으로써 부정한 데이터 복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광디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정한 데이터 복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러한 광디스크를 체크하는 체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정한 데이터 복사 또는 정보 복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러한 광디스크에 데이터 또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광디스크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또는 정상)피트열(列)(pit train)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特異)(비정상)피트열로 되어 있고,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열의 배치는 정규 피트열 각각의 배치와는 상이한 배치로 되어 있고, 특이 피트열로 부터 트래킹 에러신호를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광디스크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 피트열로 되어 있고,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열의 배치는 정규 피트열 각각의 배치와는 상이한 배치로 되어 있고, RF 신호 파형의 대칭성은 특이 피트열에 따라 변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의 광디스크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 피트열로 되어 있고,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열의 배치는 정규 피트열 각각의 배치와는 상이한 배치로 되어 있고, 광량신호는 특이 피트열에 따라 변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의 광디스크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 피트열로 되어 있으며,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배치는 광디스크상의 소정의 한정된 영역에 정규피트열로 기록된 번조신호의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의 광디스크의 체크장치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 피트열로 되어 있고,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배치는 정규 피트열 각각의 배치와는 상이한 배치로 되어 있는 광디스크를 체크하는 장치로서,
① 상기 특이 피트열이 배치된 영역을 재생하는 재상수단과,
② 이것에 의한 재생 결과로 부터 특이 피트열의 유무를 검출하여 이 결과에 의거하여 정규의 디스크인가 부정한 카피 디스크인가를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발명의 광디스크의 기록장치는 다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한 하나의 특이 피트열로 되어 있고, 각 열의 정규 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이 피트 각각은 정규 피트 각각의 형상과는 상이한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서 그 배치는 광디스크의 소정의 한정된 영역에 정규 피트열로 기록된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여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① 레이저광을 생성, 출력하는 레이저 광원수단,
② 디지탈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
③ 레이저 광원수단으로 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변조신호에 따라 강도변조하는 레이저광 변조수단,
④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와 동기화한 게이트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 발생수단,
⑤ 이 게이트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간헐적인 특이 피트열에 대응하여 레이저광을 변경시키는 레이저광 변경수단, 및
⑥ 레이저광 변조수단과 레이저광 변경수단에 의해 변조되고 변경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위에 조사(照射)하여 피트열을 형성하는 레이저광 조사(照射)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실시태양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1)먼저,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즉, 광디스크)에 있어서, 특이 피트열을 구성하는 각 피트는 트랙 피치 보다 작은 최대 진폭을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우오블(wobble)시킨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2)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의 우오블 주파수(wobbling frequency)는 트래킹 서어보(servo)대역(帶域)보다 높은 주파수이고 트래킹용 사이드 비임을 사용하여 광픽업(이하, 간단히 픽업 이라 할 때도 있음)으로 신호를 재생했을 때에 트래킹 에러신호에 포함되는 재생신호 성분이 극소로 되고, 또한 우오블신호 캐리어(carrier)가 극대로 되는 주파수인 광디스크.
(3)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을 디스크상에서 트래킹 에러신호에 포함되는 재생신호 성분이 작아지는 부분에 배치하는 광디스크.
(4)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을 구성하는 피트가 정규의 피트열을 구성하는 피트의 충격계수(duty ratio)와는 다른 충격계수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5)상기 특이 피트열을 구성하는 피트가 정규의 피트열을 구성하는 피트와 다른 반경방향의 폭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광디스크.
(6)본 발명의 광학장치를 체크하는 체크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로 부터 정보(또는 데이터 블록)를 읽어내서 디스크의 데이터 블록의 내용을 디코우드하는 디코우드 장치와, 디스크로 부터 얻는 서어보신호(또는 데이터신호)가 정상인가 비정상인가를 검출하는 1 차 검출장치와, 디코우드 장치와 1 차 검출장치의 출력신호가 미리 정해진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서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2 차 검출장치와, 2 차 검출장치의 검출신호로 부터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며, 정규의 피트만으로 구성된 광디스크와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로 구성된 다른 광디스크를 볼륨(volume)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7)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트래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와, 트래킹 에러 신호의 신호레벨이 거의 일정한가 또는 버스트(burst)신호상태로 변화하고 있는가를 검출하는 3 차 검출신호 및 이 신호에 따라 기록된 광디스크에 구성된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후의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광디스크내의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8)더욱이, 상기(6)의 장치의 픽업이 3 비임법(three-beam method)(즉, 3 점 트래킹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트래킹 에러신호가 거의 일정한가 또는 버스트 상태로 변화하고 있는가를 검출하는 3 차 검출장치가 밴드패스 필터회로(bandpass filter circuit)와 정류회로 및 컴파레이터(comparator)회로로 구성되고, 밴드패스 필터회로의 중심 주파수가 트래킹 에러신호에 나타나는 버스트 신호의 레벨이 극대로 되고, 또한 트래킹 에러신호에 나타나는 데이터신호의 누설이 극소로 되는 주파수에 설정되어 있는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9)또한, 상기(6)의 체크장치에 이어서 RF 신호의 중심 또는 기준 레벨 [즉, 슬라이스 레벨(slicing level), 여기에 대해서는 후술함] 에 대해 RF 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을 검출하는 3 차 검출장치와, 이 검출된 상하 대칭성에 따라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을 변동시키는 슬라이스 레벨 변동장치와,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기준내 범위인가 또는 기준밖인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 및 이 비교장치로 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기록된 디스크에 상기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광디스크내의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0)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디스크로 부터의 반사광량신호를 출력하는 반사광량신호 발생장치와, 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기준내인가 또는 기준밖인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와, 이 비교장치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확장하는 확장장치, 및 이 확장장치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기록된 광디스크 로부터 특이 피크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1)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중의 소정의 각각의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인식하여 여기에 따른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버스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가 동기(同期)하여 검출되었는가의 여부 또는 RF 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가의 여부 또는 광디스크 반사광량의 변동이 일정 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가의 여부에 따라 광디스크중의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이 피트의 존재여부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이 있는 3 차 검출장치를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2)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중의 소정의 각각의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인식하여,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기록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가 동기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슬라이스 레벨에 대해 RF 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는가를 인식한 회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것을 판단할 경우, 또는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가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인식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슬라이스 레벨에 대해 RF 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 변동이 일정한 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는 것을 인식한 회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것을 판단할 경우에는 특이 피트를 광디스크에서 검출하는 3 차 검출장치를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3)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내의 정보 피트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로 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를 미리 광디스크에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광디스크 세트시에 그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 영역을 판독하고, 그 어드레스에 버스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가의 여부 또는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가의 여부 또는 반사광량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3 차 검출장치를 가지며,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4)상기(6)의 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내의 정보 피트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가의 여부의 판단 결과로 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가 테이블로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어드레스를 미리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디스크 세트시에 그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을 판독하여 테이블로서 인식하고 이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의 영역을 판독하여 데이터 블록에서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변동 또는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검출되었는가의 여부를 검정하여 이상 피트가 검출된 광디스크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3 차 검출장치를 가지며,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광디스크의 체크장치.
(15)레이저 광원과, 디지탈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변조신호에 따라 강도변조하여기록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변조수단과, 상기 기록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상에 조사하여 광디스크상에 피트열(列)을 형성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동기(同期)한 게이트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게이트신호와 동기한 상기 특이 피트의 열(列)을 발생시키는 특이 피트 발생수단을 구비한 정보 기록장치.
(16)레이저 광원과, 디지탈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변조신호에 따라 강도변조하여 기록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변조수단과, 상기 기록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상에 조사하여 피트열을 형성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동기한 게이트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게이트신호와 동기하여 우오블신호를 발생시키는 우오블신호 발생수단 및 우오블신호에 따라 상기 광디스크상의 기록 레이저 광의 레이저 스폿(laser spot)을 광디스크상에서 반경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수단을 구비한 정보 기록장치.
(17)레이저 광원과, 디지탈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변조신호에 따라 강도변조하여 기록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변조수단과, 상기 기록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상에 조사하여 광디스크상에 피트열을 형성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동기한 게이트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신호 발생수단, 및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변조신호의 충격계수(duty factor)를 변환시키는 충격계수 변화수단을 구비한 정보 기록장치.
(18)레이저 광원과, 디지탈 데이터를 변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변조신호에 따라 강도변조하여 기록 레이저광으로 변환하는 변조수단과, 상기 기록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상에 조사하여 광디스크상에 피트열을 형성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동기한 게이트신호를 발생하는 게이트신호 발생수단, 및 게이트신호에 따라 피트열의 반경방향의 폭을 변화시키는 폭변화수단을 구비한 정보 기록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통상의 규격에 따른 피트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이 피트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특이 피트 부분에서는 트래킹 에러신호가 얻어지며, 더욱이 광량신호는 이 특이 피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특이 피트를 검출한다. 이러한 특이 피트를 가진 정규의 광디스크를 종래의 카피(copy)방법으로 카피한다 하더라고 특이 피트까지는 카피되지 않기 때문에 광디스크중에 특이 피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정규의 광디스크와 부정한 카피 디스크(copy disc)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쉽사리 검출함으로써 양호한 복사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제1(a)도 및 제1(b)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1 에서는 정규의 광디스크의 트래킹 에러를 고의로 증가시킴으로써 정규의 광디스크와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구별하도록 한 것이다.
(1)광디스크
제1(a)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서의 디스크의 피트 형상의 제 1 예가 나와 있고, 제1(b)도에는 이 광디스크의 피트의 정보를 판독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이 나와 있다. 제1(a)도에서 화살표(FA)로 나타낸 왼쪽 영역에서의 피트(PA)는 통상적인 규격에 부합되게 하여 형성된 것인데, 더욱이 이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트랙(TR)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각 피트(PA)의 상부의 폭이 이 도면의 트랙(TR)의 중앙선 아래쪽의 피트(PA)의 부분의 폭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화살표(FB)로 나타낸 오른쪽 영역내에서의 피트(PB)는 트랙(TR)에 대해 한쪽(이 예에서는 도면의 아래쪽)에 PA 각각의 아래쪽의 폭보다 폭을 크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피트열에 3 비임법(즉, 3 점 트래킹법)에 사용되는 레이저 비임 스폿(spot)(즉, 트래킹 스폿)(S1∼S3)을 조사하여 우오블된 두개의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을 빼면 공지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래킹 에러신호를 얻게 된다. 제1(a)도에 있는 피트열의 경우에 있어서 화살표(FA)로 나타낸 영역에 형성된 통상의 피트(PA)각각의 형상은 위에 나온 바와 같이 트랙(TR)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오블된 두개의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은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화살표(FA)로 나타낸 영역에서 얻게 되는 트래킹 에러신호 레벨은 제1(b)도에 있는 바와 같이 거의 0이다.
그러나, 화살표(FB)로 나타낸 변형된 피트 형상의 영역에서는 피트(PB)각각의 형상이 트랙(TR)에 대해 비대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은 같아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트래킹 에러가 증가하여 화살표(FB)로 나타낸 영역으로 부터 얻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은 제1(b)도에 있는 바와 같은 파형으로 된다.
제2(a)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서의 광디스크의 각각의 피트 형상의 제 2 예가 나와 있고, 제2(b)도에는 각 피트의 정보를 판독했을 때에 얻어지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이 나와 있다. 제2(a)도에 있어서 화살표(FA)로 나타낸 왼쪽 영역에 있는 피트(PA)는 제 1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규격에 준거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화살표(FC)로 나타낸 오른쪽 영역의 피트(PC)는 왼쪽 영역의 피트(PA)의 형상과 마찬가지 형상을 가지면서 트랙(TR)에 대해 우오블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트열에 대해 제 1 예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비임을 조사하면 화살표(FA)방향으로 나타낸 통상의 피트 형상의 영역에 대해서는 제2(b)도에 있는 바와 같이 트래킹 에러신호는 거의 0이다. 그러나, 화살표(F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된 피트 형상의 영역에서는 피트(PC)가 트랙에 대하여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이 같아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트래킹 에러가 증가하여 화살표(FC)로 나타낸 영역으로 부터 얻는 트래킹 에러 신호의 파형은 제2(b)도에 있는 바와 같은 파형으로 된다.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광디스크는 이상과 같은 형상과 배치를 하고 있는 피트(PA)의 그룹(즉, 정규의 피트 그룹)외에 피트(PB, PC)의 열(列)또는 그룹(즉, 특이 피트의 그룹)중의 최소한 하나의 피트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특이 피트, 즉 트래킹 에러를 생기게 하는 피트는 데이터 포오맷(data format)에서는 이 특이 피트가 본래 디스크에 기록되어야 하는 데이터(즉, 정규 피트의 본래의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이 피트의 길이는 이 특이 피트에 의해 생기는 트래킹 에러신호에 의하여 재생동작이 정지하는 등의 재생에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길이로 한다.
더욱이, 피트를 광디스크상의 복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특이 피트 하나만 광디스크상의 1 개 위치에 형성하면 부정 카피 디스크에 얼룩이 생기거나 제조상 흠집이 있는 경우에 정규의 디스크인 것으로 오인식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피트를 많이 형성할 수록 그러한 오인식의 확률은 감소한다.
그리고, 비임 스폿의 태양(態樣)은 위에 나온 3점 트래킹법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비임 푸쉬-푸울법(signal-beam push-pull method)으로 하여도 트래킹 검출방법의 차이가 없으면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체크장치
다음에는 제3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체크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는 실시예 1 과 관련된 체크장치와 주요 부분을 나타낸 것인데, 광디스크(10)에는 예컨대 어드레스(AD1∼AD3)에 위에서 설명한 피트(DP)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디스크(10)의 재생장치는 광디스크 세트 검출장치(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광디스크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광디스크(10)의 회전 구동은 디스크 구동부(14)에 의해 제어되며 위에 나온 3 개의 레이저 비임을 출력함과 아울러 반사광을 검출하는 픽업(16)의 구동은 픽업 구동부(18)에 의하여 제어한다.
또한, 픽업(16)의 비임검출 출력쪽은 헤드앰프회로(head amplifier circuit)( 20)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 헤드앰프회로(20)로 부터 광량신호와 트래킹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신호는 신호처리회로(22)에 공급된다. 이 신호처리회로(22)에는 마이크로컴퓨터(24)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회로(22)로부터 여기에 트래킹 에러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4)의 메모리(26)에는 상기 피트가 형성된 어드레스(AD1∼AD3)의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마이크로컴퓨터(24)는 위에 나온 디스크 구동부(14)와 픽업 구동부(18)외에 표시장치(28)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제4도의 플로우 차아트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체크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광디스크(10)가 세트되어 이 디스크(10)가 디스크 세트 검출장치(12)에서 검출하면, 이와 동시에 광디스크(10)의 세트완료가 마이크로컴퓨터(24)에 통지된다(스텝 SA).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24)에서는 이 통지에 응답하여 메모리(26)내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특이 피트(DP)의 어드레스(AD1∼AD3)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24)로 부터 디스크 구동부(14 )와 픽업 구동부(18)에 구동지시가 내려져서 첫번째의 어드레스(AD1)에 대한 피트열의 판독이 행해진다. 즉, 디스크(10)및 픽업(16)이 이들(14, 18)에 의해 구동되어 어드레스(AD1)의 피트열에 3 개의 레이저 비임 스폿이 순차로 조사된다.
각 비임 스폿의 반사광은 픽업(16)에서 수광(受光)된 다음 픽업(16)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헤드앰프회로(20)에 공급된다. 헤드앰프회로(20)에서는 입력신호로 부터 트래킹 에러신호와 광량신호가 각각 얻어져서 신호처리회로(22)에 공급된다. 그리고, 트래킹 에러신호는 신호처리회로(22)로 부터 마이크로컴퓨터(24)에 공급된다.
위에 나온 바와 같이 제3도의 특이 피트(DP)의 부분에서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현상을 이용하여 피트(DP)의 유무가 검출된다(스텝 SB). 이와 같은 특이 피트(DP)의 검출동작이 어드레스(AD2)와 어드레스(AD3)에 대해 순차로 행해진다. 그리고, 3 개의 어드레스(AD1∼AD3)에서 특이 피트(DP)가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24)에서는 광디스크(10)가 정규의 디스크라고 판단한 후에 통상적인 재생동작을 실행한다(스텝 SD).
이어서, 정규의 디스크(10)를 카피한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규의 디스크(10)(즉, 소오스 디스크)를 카피할 경우는 먼저 CD-ROM 드라이브 등으로 정규의 디스크(10)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여 얻는 재생신호를 기록장치에서 CD-WO 등의 표적 광디스크에 기록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는 특이 피트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에러가 정정된 상태에서 표적 광디스크에 카피되기 때문에 표적 광디스크에는 특이 피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겉보기에는 정규 디스크에 기록된 모든 정보가 표적 광디스크에 완전히 카피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표적 광디스크에는 특이 피트가 없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표적 광디스크를 제3도의 재생장치에 세트하면 마참가지로 어드레스(AD1∼AD3)의 부분에 액세스(access)되어 트래킹 에러신호의 검출동작이 실행된다. 그러나, 위에 나온 바와 같이 표적 광디스크의 경우는 특이 피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트래킹 에러신호도 검출되지 않는다. 즉, 겉보기에는 정규 디스크에 기록된 모든 정보가 표적 광디스크에 완전히 카피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표적 광디스크에는 특이 피트가 없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4)는 이 디스크가 정규의 카피 디스크(즉, 합법적인 카피 디스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그 메시지를 표시장치(28)에 지시함과 아울러 신호처리회로(22)에 대하여 신호출력의 정지를 지시한다(스텝 SE).
이와 같이 하여 표적 광디스크가 정규의 카피 디스크가 아닌 경우(즉, 특이 피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재생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광디스크로 부터 부정한 데이터 카피가 결과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물리적인 프레임 단위로 정규의 디스크로 부터 표적 디스크에 데이터를 카피기로 카피할 경우에 있어서, 특이 피트 부분에서 작은 트래킹 에러가 생겼다 하더라도 통상의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재생되어 카피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피기에서 얻은 카피 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였을 때, 특이 피트 부분에서 트래킹 에러가 생기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러한 부정한 카피 디스크로 부터의 데이터 재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가 위에 나온 체크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 또는 특이 피트의 어드레스 정보 또는 데이터가 잘못되어 있을 경우는 광디스크를 판독하고자 하여도 특이 피트로 인해 탐색 에러(seek error)또는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여 장치가 정지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의하면 재생장치쪽에도 특이 피트로 인한 탐색 에러 또는 데이터 에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카피 보호가 강화되게 된다.
[실시예 2]
제5(a)도 내지 제5(b)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위에 나온 실시예 1 과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 또는 실시예 1 에 대응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 2 에서는 정규의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정규의 광디스크와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구별하도록 한 것이다.
제5(a)도 내지 제5(c)도에는 실시예 2 의 광디스크의 특이 피트 형상의 예가 나와 있다. 이들 도면중에서 화살표(FA)로 나타낸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에서의 특이 피트(PA)는 통상의 규격에 부합시켜 된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화살표(FD)로 나타낸 영역에서의 특이 피트(PD)가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의한 특정적인 부분이다. 제5(a)도의 예는 특이 피트(PD)의 길이를 예컨대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에서 사용된 최단 규칙의 3T (즉, T 는 데이터 비트타임을 뜻함)보다도 짧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제5(b)도의 예는 화살표(FD)로 나타낸 영역이 피트(PD)를 형성함이 없이 거울면부(PE)인 경우이고, 제5(c)로 나타낸 영역이 피트(PD)를 형성함이 없이 거울면부(PE)인 경우기고, 제5(c)도의 예는 피트 형성시에 노광장치(도면에 없음)의 노광양을 변화하여 피트(PF)의 깊이를 얕게 한 것이다. 그리고, 거울면부(PE)도 편의상 특이 피트라 부를 때도 있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트열에 레이저 비임 스폿(S1∼S3)을 조사하여 반사광량을 구하면 제5(d)도에 있는 바와 같은 광량신호를 얻게 된다. 이 광량신호는 상기 중앙 레이저 스폿(S2)으로 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4 분할의 수광소자(도면에 없음)의 전체 광전변환신호 또는 레이저 비임 스폿(S1, S2, S3)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의 광전변환신호의 합계로서 얻어진다.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특이 피트(PD∼PF)의 부분에서는 거울면의 영향이 크므로 반사광량이 증가한다.
실시예 2 에서의 광디스크는 위에 나온 바와 같은 형상과 배치의 특이 피트(PD, PE, PF)의 열(列)또는 그룹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특이 피트, 즉 반사광량의 증대를 생기게 하는 특이 피트는 상기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포오맷상에서 본래의 디스크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부가되어 있다. 또한, 특이 피트의 길이는 특이 피트에 의해 생기는 트래킹 에러신호에 의하여 재생동작이 정지하는 등의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특이 피트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광디스크상의 복수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2 의 광디스크에 대한 체크장치는 실시예 1 의 장치의 트래킹 에러신호 대신에 광량신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의 체크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제5도중의 제5(e)도와 제5(f)도에 있는 신호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이어서, 시판되고 있는 디스크신호 처리용의 IC 를 사용하는 체크장치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일본국 東芝 사제의 TC9236AF 에서는 트래킹 에러가 항상 감시되고 있어 어떤 임계값(threshold value)과 트래킹 에러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이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검출신호를 제3도의 마이크로컴퓨터(24)에 입력하면 위에 나온 체크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 IC 에서는 광량신호 레벨과 슬루 레이트(slew rate)제한신호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면 이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검출신호를 제3도의 마이크로컴퓨터(24)에 입력하면 마찬가지로 위에 나온 체크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일본국 松下 사제의 헤드앰프 IC AN8803SB 에서는 트래킹 에러가 소정범위를 벗어나면 이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반사광량이 증대하여 상대적으로 RF 신호 레벨이 저하하면 이것을 나타내는 검출신호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신호를 이용하면 마찬가지로 위에 나온 체크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는 제6(a)도와 제6(b)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대하여 설명한다.
(1)광디스크
먼저, 제6(a)도와 제6(b)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실시예 3 에서의 디스크의 피트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6(a)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의 광디스크의 우오블 피트(wobbling pit)의 형상이 나와 있고, 제6(b)도에는 제6(a)도의 우오블 피트를 판독했을 때의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이 나와 있다. 제6(a)도에 있어서 왼쪽 영역의 피트의 형상과 배치는 CD 등의 통상의 피트의 형상 및 배치와 유사하다. 즉, 왼쪽 영역의 특이 피트열의 중심선이 트랙의 중심선과 일치하고 있다. 한편, 오른쪽 영역의 특이 피트열의 중심선은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트랙의 가상 중심선과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가상 트랙 중심선으로 부터 벗어나는 특이 피트의 중심이 우오블(wobble) 하고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왼쪽 영역의 특이 피트열에 대해 S1∼S3 의 비임 스폿을 조사함으로써 트래킹을 하여 트래킹 에러신호를 구하면 왼쪽 부분은 비임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이 서로간에 거의 같아지게 되어 트래킹 에러신호 레벨을 0이 된다. 여기에 대하여 오른쪽 영역의 피트열에 대해 비임 스폿(S1, S3)을 조사함으로써 트래킹을 하면 이들 스폿(S1, S3)의 반사광량이 서로간에 불균일하게 되어 트래킹 에러신호 레벨은 오른쪽 영역의 각각의 피트열의 가상 중심선으로 부터 벗어난 거리(이하, 편차량 이라고도 함)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피트열이 우오블하고 있는 영역 또는 부분을 재생하면 트래킹 에러신호에 우오블신호가 중첩되어 얻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우오블신호가 소정의 트랙상에 데이터 블록 단위로 주기적, 간헐적으로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신호의 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와 동기하여 간헐적으로 우오블신호가 얻어지면 이 디스크는 정규의 광디스크이고, 그 이외의 경우에서는 부정한 카피 디스크라고 판단하여, 결과적으로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우오블된 피트열에 의해 트래킹 에러가 과다하게 증가하여 탐색 에러(seek error)가 발생한다거나 피트열의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고 데이터 에러(즉, 판독 에러)로 되어서는 않되므로 지장이 없는 범위내의 편차량으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편차량(즉, 특이 피트와 트랙의 가상 중심선 사이의 폭 또는 거리)이 트랙 피치의 약 2% 이내, 특이 피트의 반경방향폭의 약 5% 이내로 되도록 설정된다.
제7(a)도 내지 제7(d)도는 우오블된 특이 피트열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특이 피트열은 예컨대 제7(a)도에 있는 프레임 단위로서 제7(d)도에 있는 바와 같이 버스트상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짝수 프레임에 특이 피트가 배치되고 홀수 프레임에는 통상의 피트열이 배치되어 있다. 특이 피트열의 우오블신호에 의한 트래킹 에러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파형은 제7(e)도에 있는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는 제8도를 참조하면서 특이 피트열에 의한 우오블신호의 주파수에 대해 설명한다. 3 비임 스폿을 이용하는 픽업으로 통상의 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했을 때의 트래킹 에러신호의 스펙트럼에는 곡선 그래프 GA 로 나타난 기록신호 성분이 존재한다. 이 기록신호 성분의 레벨은 제1(a)도에 있는 사이드 비임 스폿(side beam spot)(S1, S2)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기록신호 성분의 피이크에 해당되는 제8도중의 점 A 와 점 C 의 주파수에서는 이들 기록신호 성분이 노이즈로 되어 버려 우오블신호에 대해 양호한 C/N 비(component-to-noise ratio)를 얻을 수가 없다(GB 및 GC 참조).
그러나, 기록신호 성분 레벨의 계곡(valley)에 해당되는 점 B 의 주파수에서는 이러한 노이즈가 감소하므로 우오블신호에 대하여 양호한 C/N 을 얻을 수 있다(GD 참조). 따라서, 점 B 와 같은 기록신호 성분 레벨의 계곡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택하면 양호한 C/N을 얻는데 극히 효과적이다.
또한, 광디스크상에 형성된 리이드 인(read-in)및 리이드 아웃(read-out)등의 데이터가 0 인 부분에서는 제8도에 점선(GE)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신호 성분이 감소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양호한 우오블신호의 C/N 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우오블신호를 발생하는 특이 피트열을 리이드 인 또는 리이드 아웃 등이 데이터가 0 인 부분에 배치하면 마찬가지로 큰 효과를 얻게 된다.
(2)재생장치
제9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실시예 3 에 의한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는 위에 나온 특이 피트열을 가진 본 발명의 광디스크의 재생장치(실시예 3)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블록도가 나와 있다. 먼저, 광디스크(30)로 부터 픽업(32)에 의해 독출된 신호는 RF 처리회로(34)와 서어보(servo)처리회로(36)에 공급된다. 이어서, RF 처리회로(34)에서 출력된 RF 신호를 신호처리회로(38)에 공급되어 여기서 얻어진 서브 코우드(sub-code)와 프레임 정보는 마이크로컴튜터(40)에 공급된다.
한편, 서어보 처리회로(36)에는 통상의 CD-ROM 재생장치의 경우 트래킹 에러신호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트래킹의 편차 또는 에러가 트래킹 에러신호로서 검출된다. 이 트래킹 에러신호는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회로(42)에 공급되어, 여기서 버스트신호가 추출된 다음 마이크로컴퓨터(40)에 디지탈신호로서 공급된다.
제10도에는 상기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회로(42)의 한가지 예가 나와 있는데, 이 도면에서 버스트신호 주파수만을 추출하는 밴드패스 필터(42A), 버스트신호를 직류화하는 정류회로(42B), 기준출력회로(42C)및 컴파레이터(comparator)(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밴드패스 필터(42A)의 특성은 제8도의 점선(GF)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는데, 제8도에서는 우오블신호만을 효율이 양호하게 추출하기 위하여 중심 주파수가 점 B 에 거의 일치하여 있다. 그리고, 제8도의 GF 와 같이 사다리꼴형이 아니어도 좋고 단일 피이크 노치(notch)형이어도 좋다.
이어서, 이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회로(42)의 동작에 대하여 제11(a)도, 제11(b)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9도의 서어보 처리회로(36)로 부터는 제11(a)도에 있는 프레임중의 짝수 프레임에 존재하는 특이 피트열의 버스트에 의해 생기는 트래킹 에러신호가 제11(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출력되어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회로(42)에 공급된다. 이어서,밴드패스 필터(42A)에서는 입력에러신호로 부터 소정의 주파수 성분만이 추출됨으로써 제11(c)도에 있는 바와 같이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다.
그 후, 이 신호는 정류회로(42B)에 의해 정류된다. 따라서, 제11(d)도에 있는 바와 같이 엔빌로우프(envelope)가 추출되어 컴파레이터(42D)의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한편, 컴파레이터(42D)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기준출력회로(42C)로 부터 기준 신호(VTH)[제11(d)도 참조] 가 공급된다. 컴파레이터(42D)에서는 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엔빌로우프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는 디스크(30)로 부터 프레임이 독출되면서 이 버스트 트래킹 에러신호가 참조(즉, 판독)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는 컴파레이터(42D)로 부터 출력된 디지탈신호가 높은 레벨의 논리값 H 를 나타내면 제11(e)도에 있는 바와 같이 버스트(burst)있음 으로 인식하고 디지탈신호가 낮은 레벨의 논리값 L 을 나타내면 버스트 없음 으로 인식한다.
제12도에는 마이크로컴퓨터(40)에 의한 우오블신호의 인식 타이밍이 나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디스크(30)의 홀수 프레임에 우오블신호가 기록되지 않는 반면 짝수 프레임에는 우오블신호가 기록되어 있다. 즉, 프레임마다 기록된 우오블신호가 교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크상에는 우오블신호가 간헐적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2(a)도는 프레임 넘버, 제12(b)도는 트래킹 에러신호, 제12(c)도는 제11(e)도에 나온 버스트 트래킹 에러신호이다.
제9도의 신호처리회로(38)로 부터 제12(d)도에 나온 프레임 넘버를 받은 마이크로컴퓨터(40)는 먼저 제12(e)도의 QA 로 나타낸 타이밍에서 프레임 넘버를 취득하여 QB 로 나타낸 타이밍에서 프레임 넘버를 인식한다. 그리고, 일정한 지연시간후 QC 로 나타낸 타이밍에서 버스트 트래킹 에러신호를 판독한다. 더욱이, 짝수 프레임이면 우오블신호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 카운트를 하고, 홀수 프레임이면 우오블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카운트를 한다. 그리고, 제12(e)도중 QA, QB 및 QC 이외의 기간은 다른 적절한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는 제13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정규의 광디스크와 부정 카피 디스크의 식별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도면에 없음)이 투입되면 디스크(30)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한 후(스텝 S1), TOC 영역을 판독한다(스텝 S2). 그리고, 디스크가 CD 등의 데이터 기억(DA)인 것을 판단하면(스텝 S3)통상의 오디오 재생을 한다(스텝 S4). 그러나, 디스크가 CD-ROM인 것을 판단하면(스텝 S3) 미리 결정된 특이 피트열의 우오블이 형성된 트랙을 탐색(seek)하는 동작을 실행하고(스텝 S5), 카운트 클리어(count clear)의 후(스텝 S6)에 프레임과 버스트 트래킹 에러신호가 각각 독출된다(스텝 S7 및 S8).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는 짝수번의 프레임에 버스트가 있으면 짝수 프레임의 카운트(이하, 짝수 프레임 카운트 라 함)를 하나 증가시키고, 없으면 마이크로컴퓨터(40)는 짝수 프레임 카운트를 바꾸지 않는다(스텝 S9, S10 및 S11). 마찬가지로 홀수번의 프레임에 버스트가 있으면 마이크로컴퓨터(40)는 홀수 프레임의 카운트(이하, 홀수 프레임 카운트 라 함)를 하나 증가시키고, 없으면 마이크로컴퓨터(40)는 홀수 프레임 카운트를 바꾸지 않는다(스텝 S9, S12 및 S13). 이상의 동작이 소정 프레임이 독출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스텝 S14).
그 결과, 홀수 카운트와 짝수 카운트중 어느것이나 소정의 수 이상이면(스텝 S15, S16 의 Y), 광디스크(30)가 정상의 디스크라 인식, 판단하여(스텝 S17)컴퓨터 게임 프로그램의 재생 등의 통상의 ROM 재생동작으로 이행한다(스텝 S21). 한편, 짝수 프레임 카운트와 홀수 프레임 카운트중의 최소한 한쪽이 소정수 이상이 아닐 때는(스텝 S15, S16 의 N), 부정한 디스크라 인식, 판단하여(스텝 S18)디스크(30)의 회전장치 및 디스크(30)배출 등의 조치를 취한다(스텝 S19, S20).
그리고, 알고리즘(algorithm)은 스텝 S5 에서 탐색한 어드레스에 상응한 우오블된 특이 피트(즉, 특이 피트)의 열(列)을 하나만 디스크(30)에 가질 경우 [즉, 우오블된 특이 피트열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기억 영역 하나만이 디스크(30)에 존재할 경우] 에 적용된다. 그런, 우오블된 특이 피트열 하나가 형성된 기억 영역의 수가 디스크(30)내에 많이 있으면 디스크 결함 또는 얼룩에 의해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정규 디스크로 잘못 인식할 확률을 감소시켜 보다 정확한 광디스크 체크를 실행할 수 있다.
제13도의 예에서는 우오블 트랙의 어드레스를 재생장치에 미리 기억하여 두고 있다. 그러나, 이 광디스크는 우오블된 트랙의 수가 복수이고 이들의 어드레스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재생장치는 테이블이 기록되는 각 디스크의 어드레스만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재생장치의 동작으로서는 먼저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상응한 트랙을 탐색(seek)[즉, 액세스(access)] 하여 여기서 테이블을 판독한 다음, 복수의 우오블된 트랙에 액세스하여 우오블 특이 피트를 검출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테이블을 해독할 수 없을 경우에는 카피 코우드(copy code)검출동작을 알기가 어렵게 된다. 즉, 카피를 하기 위한 디스크 해석과 검출 불가능한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실현하는 재생장치의 분석을 극히 곤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재생장치에 의하면 특이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를 카피 하고자 통상의 CD-ROM 드라이브 등으로 독출하고자 하였을 때 특이 피트외의 데이터가 CD-WO 등의 표적 디스크상에 정확히 카피되므로 디스크 카피시 에러도 생기지 않고, 더욱이 이 표적 디스크를 마스터 디스크(master disc)로 하여 많은 수의 카피 디스크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는 표적 디스크에 정확히 카피할 수 있다 하더라도 우오블된 특이 피트 구조까지 카피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의 재생장치를 사용하여 이 표적 디스크(즉, 부정 카피 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 소정 어드레스에서 트래킹 에러가 검출되지 않아 재생동작을 실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정한 카피를 한 디스크가 효과적으로 배제된다(이것은 아래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위에 나온 바와 같이 광디스크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위에 나온 체크장치가 없거나 특이 피트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정보에 에러가 있을 경우에는 광디스크를 판독하고자 할 때 특이 피트로 인해 탐색 에러 또는 데이터 에러가 발생하여 장치가 정지한다. 또한, 이러한 재생장치는 특이 피트로 인한 탐색 에러 또는 데이터 에러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일정한 기능을 가져야만 카피 방지를 보호할 수 있다.
(3)기록장치
제14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를 얻기 위한 기록장치(즉, 원반 커팅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4도에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게임용 소프트웨어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탈 데이터는 EFM 인코우더(50)에 입력되어 EFM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한편, EFM 신호는 광변조기 드라이버(52)에 입력되어 광변조기 구동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광변조기 구동신호는 광변조기(54)에 입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EFM 신호는 서브 코우드 리이더(sub-code reader)(56)에 입력되어, 여기서 EFM 신호로 부터 서브 코우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서브 코우드를 출력한다. 이 서브 코우드 신호는 중앙처리장치(CPU)(58)와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입력된다. CPU(58)에서는 서브 코우드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정보가 항상 감지되고 있어 보호 코우드를 기록해야 하는 소정의 어드레스로 되었을 때에 제어신호(제7(b)도 참조)가 발생, 출력된다. 이 제어신호는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입력된다.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서는 CPU(58)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으면 서브 코우드 프레임과 동기하여 게이트신호 [제7(c)도 참조] 를 발생한다. 이 게이트신호가 보호 코우드에 상당하며,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예컨대 홀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L(즉, 낮은 레벨)에 대응한 낮은 신호 레벨을 가지고, 서브 코우드가 짝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H(즉, 높은 레벨)에 대응한 높은 신호 레벨을 가진다. 물론,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홀수인 경우에는 게이트 신호는 논리값 H 에 대응한 높은 레벨을 가질 수도 있고,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짝수인 경우에는 논리값 L 에 대응한 낮은 레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게이트신호는 주파수 발생기(FG)(62)에 입력된다.
또한, FG(62)는 게이트신호가 H 일 때, 즉 짝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소정의 주파수의 사인파를 발생하고, 게이트신호가 L 일 때, 즉 홀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파형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FG(6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서브 코우드 프레임과 동기한 버스트상의 우오블신호 [제7(d)도 참조] 가 된다. 이 우오블신호는 광편향기 드라이버(64)에 입력되어 광편향기 구동신호로 되어 광편향기(66)에 입력된다.
한편, 레이저 발진기(68)로 부터는 레이저광(La)이 연속적으로 광변조기(54)에 조사되어 레이저광(La)은 먼저 광변조기(54)를 통과한다. 이때, 광변조기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변조를 받아 시간적으로 레이저광(La)의 강도가 변화하고 있는 레이저광(Lb)으로 되어 이것이 광편광기(66)를 통과한다. 따라서, 레이저광(Lb)은 광편향기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편향된 레이저광(Lc)으로 된다. 이 레이저광(Lc)은 대물렌즈(70)에 의하여 원반(72)위에 미소한 스폿으로 조사된다. 이 미소 스폿은 광편향기(66)에 의하여 원반(72)위에 반경방향으로 편향되어, 결국에는 제6(a)도에 있는 바와 같은 우오블된 특이 피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특이 피트열의 우오블을 함유한 카피 보호에 적합한 원반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본 실시예의 기록장치는 보호 코우드를 광디스크에 기록하는 데이터내에 기록하는 것은 아니고 원반 커팅시에(즉, 원반 제조시에)정규의 특이 피트와는 형상과 배치가 다른 특이 피트열을 기록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에 대응시켜 배치하여 기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원반 제조업자들 이외의 제조업자들로서는 커팅공정에서 광디스크를 복제한다고 하더라도 설비투자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사실상 복제가 불가능해지므로 극히 강력한 부정 카피 방지를 할 수 있다(이하의 기록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 공개 평 2-87344 호 공보에는 우오블 부분에 어드레스를 기록하도록 한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 및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체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 3-181023호 공보의 제3도와 제4도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1 비트씩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동기회로를 필요로 하게 되고, 더욱이 데이터의 디코우딩 타이밍이 엄밀해야 하므로 전체로서 이 장치의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기록 밀도가 극히 높으므로 데이터 판독 에러 레이트(reading error rate)도 높아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위에 나온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히 장치의 회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재생장치의 제조 코스트도 적다. 또한, 데이터 포오맷에 있어서 비교적 장시간 동안 버스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기록 밀도는 크게 작아져서 다소의 디스크 결함이 있다하더라도 불편없이 디코우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크의 제조상 결함을 상당히 허용할 수가 있어, 결과적으로 디스크 제조시의 생상율이 향상되고 제조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크를 사용함에 따라 디스크 표면에 먼지와 흠집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디스크는 신호의 버스트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데이터 기록 밀도가 낮기 때문에 먼지와 흠집에 대해서도 강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1)광디스크
본 발명의 실시예 4(즉, 광디스크)에 대하여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 내지 제2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픽업으로 부터 출력되는 RF 신호의 대칭성을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먼저,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면서 디스크에 형성된 특이 피트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제15(b)도는 50%의 충격계수(duty factor)를 가진 특이 피트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6도는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특이 피트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여 얻는 RF 신호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F 신호는 그 중심선에 대해 상하가 대칭으로 되어 있는데, 즉 이 도면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마름모꼴 부분(즉, 아이(eye) 라는 부분)의 중심선을 통과하는 슬라이스 레벨(slicing level)이 신호의 중심에 있다.
제15(a)도의 예는 기록신호가 충격계수 보정을 받음으로써 생기는 특이 피트열을 나타낸 것이다. 제15(b)도의 특이 피트열에 비하면 제15(a)도의 각각의 특이 피트의 수평방향(즉, 접선방향)의 길이는 제15(b)도의 각 특이 피트의 길이보다 a 만큼 짧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5(a)도의 특이 피트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면 중심선에 대한 RF 신호의 상하 대칭성은 붕괴되어 제16도에서 슬라이스 레벨이 윗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5(a)도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5(c)도의 예도 기록신호가 충격계수 보정을 받음으로써 생성되는 피트열을 나타낸 것인데, 제15(b)도의 피트열에 비하면 제15(c)도의 피트 각각의 접선방향 길이는 제15(b)도의 피트 각각의 길이보다 b 만큼 짧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5(c)도의 피트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면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은 제16도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즉, 슬라이스 레벨은 피트의 충격계수 변화에 따라 제16도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지그재그로 된다.
제17(a)도는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이 변화하는 피트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제17(a)도에 있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나타낸 피트의 반경방향의 폭은 정상적인 피트폭 보다 크거나 작은 것이 특이 피트열로 사용된다. 제17(b)도는 제17(a)도의 피트에 기인하여 발생된 RF 신호의 파형이다. 즉, 정상적인 피트에 대응하는 RF 신호는 제17(b)도의 곡선(GH)으로 나타낸 파형을 가지며, 그 슬라이스 레벨은 SLI 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피트의 경우 보다 큰 반경방향의 폭을 가진 두꺼운 피트의 경우에서는 반사가 크고 변조도(modulation factor)가 커지므로 이 피트에 대응하는 RF 신호는 제17(b)도의 곡선(GH)으로 나타낸 파형을 가지며, 그 슬라이스 레벨은 SL2 로 된다. 또한, 정상적인 피트 보다 작은 반경방향의 폭을 가진 얇은 피트의 경우에서는 곡선(GJ)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조도가 작아져서 그 슬라이스 레벨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피트의 태양(態樣)에 있어서도 폭이 상이한 특이 피트가 교대로 존재하면 슬라이스 레벨은 정상적인 피트에 대응하는 슬라이스 레벨에 비하여 지그재그로 된다.
(2)재생장치
이어서, 제18도 내지 제20(a)도, 제20(b)도 및 제20(c)도를 참조하면서 위에 나온 RF 신호 파형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부정 카피 디스크를 체크하는 재생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8도에는 이 재생장치의 구성이 나와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9도에 있는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회로(42)대신에 RF 대칭성 변동검출회로(80)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재생장치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9도와 마찬가지이다. RF 대칭성 변동검출회로(80)는 RF처리회로(34)로 부터 RF 신호를 받아 슬라이스 레벨의 대칭성의 변동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4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19도는 RF 대칭성 변동검출회로(80)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인데,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F 대칭성 변동검출회로(80)에는 자동 슬라이스 회로(80A), 기준출력회로(80B), 비교회로(80C)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onostable multivibrator)(80D)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RF신호는 아날로그 파형인데 RF 신호를 논리 레벨로 변환할 때에 피트의 형상과 배치에 의해(즉, 특이 피트에 의해)중심신호 레벨에 대하여 RF 신호의 대칭성이 없어진다 하더라도(즉, RF 신호 파형이 중심신호 레벨에 대해 상하 비대칭으로 된다 하더라도)RF 신호의 레벨에다 슬라이스 레벨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정된 슬라이스 레벨을 얻고자 자동 슬라이스 회로(80A)를 사용한다.
다음에는 제20(a)도 내지 제20(c)도를 참조하면서 이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 또는 제17(a)도와 제17(b)도에 있는 특이 피트열을 판독하고자 할 때 RF 신호 파형의 아이(eye) 는 제16도에 있는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며, 이것이 자동 슬라이스 회로(80A)에서 검출된다. 제20(a)도에는 이러한 슬라이스 레벨 변동의 한가지 예가 나와 있다.
이어서, 비교회로(80C)에서는 이러한 슬라이스 레벨이 기준회로(80B)로 부터 출력되는 슬라이스 레벨 리밋(limit)(SLL1 및 SLL2)[제20(a)도 참조] 와 비교된다. 그 결과, 슬라이스 레벨 변동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80D)에 공급되고, 여기서 제20(c)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시정수(time constant)가 부여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스 레벨은 비교적 신속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시정수를 부여함으로써 슬라이스 레벨을 가진 이 신호의 일부는 마이크로컴퓨터(40)가 이러한 슬라이스 레벨을 검출할 수 있는 지속시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내의 소정의 트랙에 특이 피트를 기록한 후 기록된 특이 피트를 검출하는 기본적인 동작은 위에 나온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특이 피트의 검출 알고리즘은 제13도의 알고리즘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 재생장치의 경우에서는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 변동을 스텝 8 에서 검출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0)에 있어서의 특이 피트 검출의 타이밍도 제12(e)도와 마찬가지인데, 즉 타임 QC 에서 트래킹 에러검출 대신에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 변동이 검출된다.
제19도의 자동 슬라이스 회로(80A)의 실제적인 예로서는 일본국 東芝 사제의 IC TC9263F 가 있는데, 이것은 슬라이스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RF 신호의 파형이 중심 레벨에서 비대칭으로 되면 여기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IC 로 부터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재생장치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3 과 마찬가지로 RF 신호의 비대칭 파형까지 카피할 수 없다. 따라서, 부정한 카피 디스크에서는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위에 나온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부정한 카피 디스크를 배제할 수 있다.
(3)기록장치
다음에는 제21도 및 제22도를 참조하여 위에 나온 특이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의 기록장치(즉, 원반 커팅머시인 : mastering machine)에 대해 설명한다. 제21도에 있는 바와 같이 게임용 소프트웨어 등의 디지탈 데이터는 EFM 인코우더(50)에 입력되어 여기서 EFM 신호로 변환된 다음 EFM 신호로 출력된다. 한편, EFM 신호는 서브 코우드 리이더(sub-code reader)(56)와 충격계수 보정기(82)에 각각 입력된다. 또한, 서브 코우드 리이더(56)에서는 EFM 신호로 부터 서브 코우드 신호를 추출하고, 서브 코우드 신호는 CPU(58)와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각각 입력된다.
더욱이, CPU(58)에서는 서브 코우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 정보가 항상 감시되며, 서브 코우드 신호가 보호 코우드를 기록해야 하는 소정의 어드레스로 되었을 때에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출력된다. 이 제어신호는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입력된다.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서는 CPU(58)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으면 여기에 따라 서브 코우드 프레임과 동기한 게이트 신호가 발생, 출력된다. 제22(a)도 내지 제22(c)도에는 이 동작이 나와 있는데, 제22(a)도는 프레임 넘버(frame No.), 제22(b)도는 제어신호의 파형, 그리고 제22(c)도는 게이트 신호의 파형을 각각 나타낸다.
이 게이트 신호가 보호 코우드에 상당하며,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예컨대 홀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이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L 에 대응한 낮은 신호 레벨을 가지고,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짝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이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H 에 대응하는 높은 신호 레벨을 가진다. 물론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홀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H 에 대응하는 높은 신호 레벨을 가질 수도 있고, 서브 코우드 프레임이 짝수 프레임인 경우에는 게이트신호는 논리값 L 에 대응하는 낮은 신호 레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게이트신호는 충격계수 보정기(82)에 입력된다. 또한, 충격계수 보정기(82)에서는 게이트신호가 높은 레벨 H 이면(즉, 짝수 프레임인 경우)소정의 충격계수 보정을 실행한다. 그러나, 게이트 신호가 낮은 레벨 L 이면(즉, 홀수 프레임인 경우)충격계수 보정기(82)는 충격계수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보정된 기록신호가 충격계수 보정기(82)로 부터 출력 변조기 드라이버(52)에 공급된다. 또한, 출력 변조기 드라이버(52)로 부터 출력된 광변조기 구동신호가 광변조기(54)에 입력된다.
한편, 레이저 발진기(68)로 부터는 레이저광(La)이 연속적으로 광변조기(54)에 조사되므로 레이저광(La)은 광변조기(54)를 통과할 때 광변조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신호 변조를 받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강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한 레이저광(Ld)이 얻어진다. 이 레이저광(Ld)은 대물렌즈(70)에(70)에 의해 원반(72)위에 미소 스폿으로 조사되어 제15(a)도, 제15(b)도 및 제15(c)도와 제22(d)도에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충격계수를 가진 피트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로 부터 재생된 RF 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은 제22(e)도에 있는 바와 같이 제22(a)도에 있는 블록 넘버(block No.)와 동기하여 변동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스 레벨 변동신호가 제22(f)도에 있는 바와 같이 검출되면 이 디스크는 정규의 디스크이고, 그 이외의 경우는 부정 카피 디스크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1)광디스크
본 발명의 실시예 5 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의 변동을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먼저, 제5(a)도 내지 제5(d)도 및 제23(a)도와 제23(b)도를 참조하면서 디스크에 형성된 피트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사광량이 변동하는 제5(a)도 내지 제5(d)도의 피트가 특이 피트로서 이용된다. 제5(a)도의 예에서는 좌우 영역의 피트(PA)가 정상 피트이고, 중앙 영역의 피트(PD)는 변조 규칙에 따른 소정의 길이 보다 짧게 한 특이 피트이다. 제5(b)도의 예에서는 피트가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거울면 마아크(PE)가 특이 피트와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5(c)도의 예에서는 피트(PF)의 피트폭이 정상 피트 보다 깊이가 얕고(즉, 엷고), 면적이 작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도면에 나온 것들중 어느 것이나 정상 피트만 디스크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디스크로 부터의 반사광량이 증가한다.
제23(a)도와 제23(b)도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피트 형상의 다른 예가 나와 있다. 제23(a)도의 중앙 영역(FR)의 피트는 이 디스크에 있어서의 정규의 폭을 가진 피트인데 이 피트의 재생에서 얻은 신호 파형은 제23(b)도에 나와 있다. 즉, 이 파형의 윗부분에 대응한 신호의 일부의 반사율은 높고 아랫 부분에 대응한 신호의 다른 부분의 반사율은 비교적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23(a)도의 구간(FS)의 특이 피트는 구간(FR)의 통상의 피트에 비하여 그 폭이 2a 만큼 넓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재생파형은 제23(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정상 피트로 부터 재생된 신호에 비하여 진폭은 넓지만 전체 반사율은 감소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3(a)도의 구간(FT)의 특이피트는 구간(FR)의 통상의 피트에 비하여 폭이 2b 만큼 좁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재생파형은 제23(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정상 피트로 부터 재생된 신호에 비하여 전체 반사율은 증가하나 진폭이 작아진다.
(2)재생장치
이어서 제5(a)도 내지 제5(f)도, 제24도와 제25도를 참조하면서 위에 나온 특이피트에 의한 반사광량의 변동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체크하는 재생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4도에는 그 구성이 나타나 있는데, 위의 제9도에 나온 버스트 트래킹 에러검출신호(42)대신에 광량변동 검출회로(90)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재생장치의 기타 구성요소는 제9도와 마찬가지이다.
광량변동 검출회로(90)는 제25도에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서어보 처리회로(36)로 부터 공급되는 광량신호를 가산기(90A)에서 가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토디텍터(photodetector)(E, F)로 부터 출력되는 광량신호의 가산(E+F)[이것은 서브 비임(sub-beam)의 가산에 상당함] 또는 포토디텍터(A, B, C, D)로 부터 출력되는 광량신호의 가산(A+B+C+D)[이것은 메인 비임(main beam)용의 4 분할 센서의 출력의 전체 가산에 상당함] 이 가산기(90A)에서 실행된다. 또한, 이러한 가산의 결과를 나타내는 가산기(90A)의 출력신호가 광량변동신호이다. 이 광량변동신호는 컴파레이터(90B)에서 기준출력회로(90C)로 부터 출력되는 기준치(VT)와 비교된 다음 기준치를 초과하는 광량변동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40)에 공급된다.
제5(a)도 내지 제5(c)도에 있는 피트열의 광량신호는 제5(d)도에 있는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나, 대역(band width)을 좁게 함과 아울러 응답속도를 감소시킨 가산기(90A)를 통과하면(E+F)의 가산 파형은 제5(e)도에 있는 바와 같이 되고, 장시간 반사광량이 큰 경우에만 제5(f)도에 있는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진 반사광량 변동신호를 얻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내의 소정의 트랙에 특이 피트를 기록하여 이것을 검출하는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특이 피트의 검출 알고리즘은 상기 제13도의 알고리즘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이 재생장치의 경우는 스텝 8 을 반사광량 변동검출 이라 부르면 좋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0)에서의 특이 피트 검출의 타이밍도 제12(e)도와 마찬가지이다. 즉, QC 로 나타낸 트래킹 에러검출의 타이밍에서 반사광량 변동검출을 실행하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재생장치는 디스크의 반사광량을 조작하는 방법인데, 특이 피트를 적당히 짧게 하면 이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의 데이터는 보정되어 에러신호를 출력함이 없이 보정된 데이터를 CD-WO 디스크에 카피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 나온 특이 피트의 형상까지는 CD-WO 디스크에 카피되지 않기 때문에 반사광량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 디스크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제된다. 또한, 특이 피트의 크기를 커지게 하면 이러한 특이 피트를 가진 CD-WO 디스크의 재생기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 데이터 에러가 출력되어 재생동작이 정지하게 되는 등으로 인해 이러한 특이 피트를 가진 영역은 CD-WO 디스크에 카피할 수 없다. 따라서, 위에 나온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부정 카피 디스크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3)기록장치
제26도와 제27(a)도 내지 제27(f)도를 참조하여 위에 나온 특이 피트를 가진 디스크의 기록장치(원반 커팅 머시인)에 대해 설명한다. 제26도에 있는 바와 같이 게임용 소프트웨어 등의 보호에 사용되는 디지탈 데이터는 EFM 인코우더(50)에 입력되어 여기서 EFM 신호로 변환된 다음 EFM 신호로서 출력된다. 한편, EFM 신호는 제 1 광변조기 드라이버(92)에 입력되어 제 1 광변조기 구동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제 1 광변조기 구동신호는 제 1 광변조기(94)에 입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EFM 신호는 서브 코우드 리이더(56)에도 입력되어 여기서 EFM 신호내에 포함되는 서브 코우드 신호가 추출된 다음 서브 코우드 신호는 CPU(58)와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각각 입력된다. 더욱이, CPU(58)에서는 서브 코우드 신호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정보가 항상 감시되고 있으며, 서브 코우드 신호가 보호 코우드를 기록해야 하는 소정의 어드레스로 되었을 경우에 제어신호를 발생,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 입력된다.
CPU(58)로 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게이트신호 발생기(60)에서는 서브 코우드 프레임과 동기한 게이트 신호가 발생, 출력된다. 제22(a)도 내지 제22(c)도에는 이 동작이 나타나 있고, 제27(a)도는 프레임 넘버, 제27(b)도는 제어신호의 파형, 그리고 제27(c)도는 게이트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게이트신호가 보호 코우드에 상당하며 위에 나온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홀수, 짝수에 대응하는 논리값에 대응하는 값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게이트 신호는 제 2 광변조기 드라이버(96)에 입력되고, 여기서 제 2 광변조기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 2 광변조기에 공급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레이저 발진기(68)로 부터는 레이저광(La)이 연속적으로 제 1 광변조기(94)에 조사된다. 따라서, 레이저광(Le)이 먼저 제 1 광변조기(94)를 통과할 때 레이저광(La)은 제 1 광변조기 구동신호에 의해 신호변조를 받음으로써 강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레이저광(Le)을 얻는다. 이 레이저광(Le)은 제 2 광변조기(98)를 통과할 때에 제 2 광변조기 구동신호에 의해 신호변조를 받아 레이저광(Lf)으로 된다. 이어서, 레이저광(Lf)은 대물렌즈(70)에 의해 미소 스폿으로 원반(72)위에 조사되어 제27(d)도에 있는 바와 같은 폭이 상이한 피트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7(a)도의 블록 넘버와 동기한 제27(c)도의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폭이 각기 상이한 피트열을 제27(d)도와 같이 배치하면, 제27(e)도에 있는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진 재생 RF 신호가 얻어지게 되므로 재생신호의 파형의 포락선(包絡線 : envelope)이 블록 넘버와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변동한다. 이 포락선의 변동신호가 제27(f)도와 같이 검출되면 이 디스크는 정규 디스크이고, 그 외의 경우는 부정 카피 디스크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부정한 카피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제까지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있어서 기타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은 변경도 가능하게 포함된다.
(1)위의 실시예에서는 특이 피트가 형성된 어스레스 정보를 미리 체크장치에 기억하도록 하였지만, 이 특이 피트의 어드레스 정보를 디스크의 소정위치에 격납하여 체크장치에서 디스크 세트시에 디스크의 소정위치를 먼저 판독(또는 액세스)하도록 변경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이 피트가 형성된 어드레스를 디스크의 종류마다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의 카피 보호의 해석을 곤란하게 하여 부정 카피의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2)또한, 트래킹 에러신호가 얻어지는 실시예 1 의 특이 피트와 광량신호가 얻어지는 실시예 2 의 특이 피트를 한장의 디스크중에 혼재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부종 카피 디스크의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그리고, CD 의 일반적인 규격(예컨대 JIS S8605)에 의하면 에러를 어떤 일정한 범위 이상이 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위에 나온 바와 같이 에러가 소정의 범위 이내에 있는 범위에서 피트의 길이, 우오블의 정도, RF 신호의 대칭성 및 RF 반사광량의 변동을 변화시켜 조작하도록 하면 특이 피트를 형성하여도 디스크로서 특별히 불편한 점은 생기지 않는다.
(4)또한, 비데오 게임, 컴퓨터 게임 등의 기술분야에서는 컴퓨터 게임용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디스크를 디스크 재생용 장치외의 것으로 재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컴퓨터 게임용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개인용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디스크와는 호환성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 게임용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디스크가 개인용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디스크의 호환성이 없다 하더라고 실질적으로 불편은 없다.
(5)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크가 장치에 세트된 시점에서 특이 피트의 유무를 판단하여 부정한 카피 디스크인가의 여부를 체크하였으나, 이 디스크의 재생지시가 있을 때에 체크를 하는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여도 좋다.
(6)실시예 1 에 나온 특이 피트 형상을 실시예 3 등의 경우와 같이 주기적으로 랜덤하게 형성하여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는다. 더욱이, 실시예 3,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 를 실시예 1 의 경우에서와 같이 랜덤하게 배치한 특이 피트열을 주기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Claims (38)

  1. 소정수의 나선상의 정규 피트열과, 최소 1개의 특이 피트열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규 피트열의 각각은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특이 피트열의 각각은 각 정규 피트열의 형상과는 소정의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특이 피트열의 배치는 각 정규 피트열의 배치와는 다르며 트랙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이고, 상기 특이 피트열은 트랭킹 에러신호를 일으키는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특이 피트열의 각 특이 피트는 트랙피치보다 작은 최대진폭으로 반경방향에 우오블시킨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우오블 주파수는 트래킹 서어보 대역의 주파수보다 높고, 상기 우오블 주파수에서 트래킹용 사이드빔을 사용하여 광픽업으로 신호를 재생하였을 때, 트래킹 에러신호에 포함된 재생신호 성분은 최소로 되고, 역으로 우오블신호 캐리어는 최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은 디스크상에 배치되고, 트랭킹 에러신호에 포함되는 재생신호성분은 기준레벨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5. 정규의 디스크인지 부정한 디스크인지를 체크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에 있어서, 정규디스크안의 소정구역과 대응되는 체크광디스크의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재생결과로부터 특이 피트열의 존재유무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정규의 디스크인지 부정한 카피 디스크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는데, 정규디스크는 소정수의 나선상 정규의 피트열과 최소한개의 정규디스크의 소정구역안에 배치된 특이 피트열을 갖고, 정규 피트열의 각각은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특이 피트의 각각은 각 정규피트의 형상과는 소정의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 트랙중심에 대하여 비대칭이어서 부정한 카피 디스크는 정규디스크안에 배치된 특이 피트열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6. 정규의 디스크인지 부정한 디스크인지를 체크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에 있어서, 정규디스크안의 소정구역과 대응되는 체크광디스크의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재생결과로부터 특이 피트열의 존재유무를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정규의 디스크인지 부정한 카피 디스크인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는데, 정규디스크는 소정수의 나선상 정규의 피트열과 최소한개의 정규디스크의 소정구역안에 배치된 특이 피트열을 갖고, 정규 피트열의 각각은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특이 피트의 각각은 각 정규피트의 형상과는 소정의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특이 피트열은 정규의 피트열로서 기록된 변조신호의 데이터 블록 단위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역에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재생수단은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판독하고 이 데이터 블록을 디코우드하는 디코우드 장치를 가지며, 판별수단은(가)서어보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검출하는 1차 검출장치,(나)디코우드장치와 1차 검출장치의 출력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서로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2차 검출장치,(다)2차 검출장치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로부터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여, 체크할 광디스크의 볼륨으로 단지 정규의 피트만으로 구성된 광디스크 또는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트래킹 에러신호의 레벨이 거의 일정한가 또는 버스트신호의 레벨처럼 변동하는가를 검출하는 3차 검출장치 및 기록된 광디스크에 구성된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트래킹 에러신호로부터 판단하고 그 판단후에 재생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트랭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트랭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더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불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의 피트는 정규 피트열의 피트의 충격계수(duty ratio)와는 다른 충격계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의 피트는 정규 피트열의 피트와는 다른 반경방향의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의 피트는 트랙의 길이가 정규 피트열의 피트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의 피트는 깊이가 정규 피트열의 피트보다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이 피트열의 피트의 반경방향의 폭이 정규 피트열의 피트의 그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3점 트래킹법을 사용하며, 3차 검출장치는 밴드패스 필터회로, 정류회로 및 컴파레이터 회로로 구성되며, 밴드패스 필터회로의 중심주파수는 트랭킹 에러신호에서 나타내는 버스트신호의 레벨이 최대로 되고 데이터신호의 누설이 최소로 되는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가)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에 대하여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을 검출하는 3차 검출장치,(나)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을 검출된 대칭성에 따라 변동시키는 슬라이스 레벨 변동장치,(다)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기준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장치 및(라)이 비교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기록된 광디스크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가)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량을 나타내는 반사광량신호를 출력하는 반사광량 신호발생장치,(나)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기준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비교장치,(다)이 비교장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확장하는 확장장치 및(라)특이 피트가 기록된 광디스크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장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가)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랭킹 에러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나)슬라이스 레벨에 관련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대응하여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지 여부,(다)광디스크 반사광량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특이 피트가 디스크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가)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에러가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한 회수가 소정수이거나(나)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에러가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하지 않은 회수가 소정수의 이상인 경우에는,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특이 피트가 디스크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광디스크내의 정보피트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로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를 광디스크에 미리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광디스크 세트시에 그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 영역을 판독하고, 그 어드레스에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랭킹 에러신호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가의 여부 또는 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 가의 여부 또는 반사광량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광디스크내의 정보 피트에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 가의 여부의 판단결과로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가 테이블로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어드레스를 미리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디스크 세트시에 그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을 판독하여 테이블로서 인식하고 이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테이터 블록 어드레스의 영역을 판독하여 데이터 블록에서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랭킹 에러신호의 변동 또는 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검출되었는가의 여부를 검정하여 이상 피트가 검출된 광디스크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1. 제6항에 있어서, 재생수단은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판독하고 이 데이터블록을 디코우드하는 디코우드 장치를 가지며, 판별수단은(가)서어보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검출하는 1차 검출장치,(나)디코우드 장치와 1차 검출장치의 출력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서로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2차 검출장치,(다)2차 검출장치에서 출력된 검출신호로 부터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여, 체크할 광디스크의 각 볼륨이 단지 정규의 피트만을 가진 광디스크의 볼륨 또는 그곳에 미리 기록된 특이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의 볼륨인지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2. 제6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가)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에 대하여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을 검출하는 3차 검출장치,(나)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을 검출된 대칭성에 따라 변동시키는 슬라이스 레벨 변동장치,(다)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기준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비교장치 및(라)이 비교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기록된 광디스크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3. 제6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가)광디스크의 정보기록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량을 나타내는 반사광량신호를 출력하는 반사광량신호 발생장치,(나)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기준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비교장치,(다)이 비교장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확장하는 확장장치 및(라)특이 피트가 기록된 광디스크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장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4. 제6항에 있어서,(가)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랭킹 에러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나)슬라이스레벨에 관련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대응하여 슬라이스레벨의 변동이 어떤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지 여부,(다)광디스크 반사광량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에서 동기하여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특이 피트가 디스크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는데 특이 피트의 존재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5. 제6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기록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가 동기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슬라이스 레벨에 대해 RF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거나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는 가를 인식한 회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것을 판단할 경우, 또는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가 판독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인식한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슬라이스 레벨에 대해 RF신호 파형의 상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일정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변동이 일정한 규칙의 타이밍과 동기하여 검출되지 않는 것을 인식한 회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것을 판단할 경우에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6. 제6항에 있어서, 판별수단은 광디스크내의 정보 피트에서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결과로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를 광디스크에 미리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광디스크 세트시에 그 어드레스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 영역을 판독하고, 그 어드레스에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 가의 여부 또는 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 가의 여부 또는 반사광량 레벨의 변화를 데이터 블록에서 검출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광디스크내의 정보 피트에 특이 피트가 검출되는 가의 여부의 판단 결과로부터 광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 어드레스가 테이블로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어드레스를 미리 기억하여 두는 기억장치와, 디스크 세트시에 그 소정의 어드레스 영역을 판독하여 테이블로서 인식하고 이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는 데이트 블록 어드레스의 영역을 판독하여 데이터 블록에서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랭킹 에러신호의 변동 또는 RF신호의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 또는 광디스크의 반사광량신호의 변동이 검출되었는 가의 여부를 검정하여 이상 피트가 검출된 광디스크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3차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특이 피트의 유무에 따라 광디스크를 볼륨 단위로 판별하는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변동이 짝수프레임에 대응하는 일정시간에서 소정회수이상 검출되거나 버스트신호상으로 변화하는 트래킹 에러신호의 변동이 홀수프레임에 대응하는 일정 타이밍에서 소정회수 이상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제3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2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슬라이스 레벨과 관련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짝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 타이밍에서 검출되거나, 슬라이스 레벨과 관련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홀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제3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광디스크의 반사광량 변동이 짝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거나, 광디스크의 반사광량 변동이 홀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제3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3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슬라이스 레벨과 관련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짝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거나, 슬라이스 레벨과 관련한 RF신호 파형의 대칭성에 따른 슬라이스 레벨의 변동이 홀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제3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3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체크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블록의 소정의 어드레스 각각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광디스크의 반사광량 변동이 짝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거나, 광디스크의 반사광량 변동이 홀수프레임과 대응한 일정타이밍에서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특이 피트가 광디스크에서 검출된 것을 판단하는 제3검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체크장치.
  33. 소정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다수의 특이 피트열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규 피트열의 각각은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트열의 각각은 각 정규 피트열의 형상과는 소정의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특이 피트열의 배치는 각 정규 피트열의 각각은 트래킹 에러신호를 일으키는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정규 피트열과 특이 피트열은 소정의 기록신호의 데이터 블록에 대응하는 소정교번 기간에 트랙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5. 제33항에 있어서, 특이 피트우오블열의 각각 및 특이 피트열의 각각에 의하여 일으킨 트래킹 에러신호는 버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6. 제35항에 있어서, 특이 피트우오블열의 각각 및 특이 피트열의 각각에 의하여 일으킨 트래킹 에러신호는 버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7. 제34항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 블록은 기록신호를 나타내는 프레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8. 소정수의 나선상 정규 피트열과, 최소 하나 이상의 정규 피트열이 없고 미러표면을 갖는 예외구역을 포함하는데, 상기 예외구역은 트랙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두 정규 피트열 사이에 위치하며, 각열의 정규피트는 트랙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KR1019940018705A 1993-07-29 1994-07-29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KR0153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07136 1993-07-29
JP5207136A JP2806219B2 (ja) 1993-07-29 1993-07-29 光ディスク及びそのチェック装置
JP3774894 1994-02-10
JP94-37748 1994-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248A KR950004248A (ko) 1995-02-17
KR0153225B1 true KR0153225B1 (ko) 1998-12-15

Family

ID=2637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05A KR0153225B1 (ko) 1993-07-29 1994-07-29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96757A (ko)
EP (1) EP0637023B1 (ko)
KR (1) KR0153225B1 (ko)
CN (1) CN1035792C (ko)
AT (1) ATE223103T1 (ko)
DE (1) DE69431225T2 (ko)
HK (1) HK1003095A1 (ko)
SG (1) SG42776A1 (ko)
TW (1) TW24136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23B1 (ko) * 1998-12-07 2007-04-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기록매체
KR100724791B1 (ko) * 1998-12-07 2007-06-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학기록매체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0748496B1 (ko) * 2001-04-21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복제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932512B1 (ko) * 2003-03-14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9612B (ko) * 1994-09-22 1997-07-01 Nippon Bickter Kk
JPH08147704A (ja) * 1994-11-18 1996-06-07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3467964B2 (ja) * 1995-08-10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
JPH09106625A (ja) * 1995-10-06 1997-04-22 Victor Co Of Japan Ltd 光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SG83122A1 (en) * 1995-10-09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 optical disk, an optical disk barcode forming method, an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 marking forming apparatus, a method of forming a laser marking on an optical dis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disk
US6144742A (en) * 1996-05-16 2000-11-07 Mi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n optical disk barcode forming method, an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 marking forming apparatus, a method of forming a laser marking on an optical dis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disk
US5809006A (en) * 1996-05-31 1998-09-15 Cagent Technologies, Inc. Optical disk with copy protec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ame
CN1198828A (zh) * 1996-06-27 1998-11-11 菲利浦电子有限公司 包含辅助信息的信息载体,读出装置,以及制造这种信息载体的方法
JP3707137B2 (ja) * 1996-07-04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SE514352C2 (sv) 1996-07-05 2001-02-12 Ifunga Test Equipment Bv Sätt att förse en optisk databärare med identitetsinformation
EP1076902A4 (en) * 1996-08-05 2001-05-23 Ttr Technologies Ltd DIGITAL OPTICAL MEDIA AUTHENTICATION AND COPY PROTECTION PROCEDURE
US5999506A (en) * 1996-08-22 1999-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5787068A (en) * 1996-11-07 1998-07-28 Imation Corp.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eventing unauthorized duplication of optical discs using barriers
KR100257538B1 (ko) 1997-07-14 2000-06-01 구자홍 복사 방지용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방법 및 이 기록방법을 이용한 광디스크의 복제방지방법
US6646967B1 (en) * 1997-08-12 2003-11-11 Denon Digital Llc Method for making copy protected optical discs
TW408319B (en) * 1997-08-20 2000-10-11 Sanyo Electric Co Optical discs and optical disc readout units
KR100252046B1 (ko) * 1997-11-11 2000-04-15 윤종용 광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트랙킹 및 포커싱 서보 제어장치
IL122393A0 (en) 1997-12-01 1998-06-15 Ttr Technologies Ltd A code word for use in digital optical media and a method of generation thereof
US6091687A (en) * 1997-12-19 2000-07-18 Philips Electronics N.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US6587948B1 (en) 1998-02-13 2003-07-01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US6826137B1 (en) 1998-07-10 2004-11-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copy protection of optical storage medium and the optical storage medium
US6104679A (en) * 1998-10-01 2000-08-15 T.T.R. Technologies Ltd. Method for determining an unauthorized copy of an optical disc
HU225000B1 (en) * 1998-10-05 2006-05-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py protection of recorded information, as well as player, recorder an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US6665240B1 (en) * 1998-10-07 2003-12-16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k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optical disks,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from optical disks, and optical disk
ATE283532T1 (de) 1999-01-27 2004-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fzeichnungsträger, wiedergabevorrichtung und verfahrung zum aufzeichnen von informationen
JP2000311351A (ja) * 1999-04-23 2000-11-07 Optrom Inc 光ディスクの不正利用防止方法及びそれを実現する光ディスクとその製造方法
EP1950750B1 (en) * 1999-06-30 2009-08-12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isc device for reproducing an optical disc having pits of different depth formed therein
US6661768B1 (en) * 1999-10-13 2003-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in optical disk
DE60118105T2 (de) * 2000-01-14 2006-08-31 Pioneer Corp. Beschreibbare optische Platte und Aufzeichnungsverfahren
KR100762559B1 (ko) * 2000-01-31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 재생권한부여방법
JP2001266413A (ja) * 2000-03-17 2001-09-28 Toshiba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001291244A (ja) * 2000-04-04 2001-10-19 Sharp Corp 光記録媒体、光記録情報の再生方法並びに再生装置
TWI232434B (en) * 2000-04-12 2005-05-11 Matsushita Ind Co Ltd Optical disc
JP3922424B2 (ja) * 2000-07-25 2007-05-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記録媒体、光学式記録媒体製造装置及び光学式記録媒体製造方法
US7039188B2 (en) * 2001-08-31 2006-05-02 Oleg Saliahov Optical disc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U2001288104A1 (en) * 2000-09-22 2002-04-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and a reproduction metho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for the same
AU2002228872A1 (en) * 2000-11-09 2002-05-21 Burstein Technologies, Inc. Disc drive system and methods for use with bio-discs
AU2001297777C1 (en) 2000-12-14 2008-11-06 Sca Ipla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media modification
AU2002241851A1 (en) * 2001-01-11 2002-07-24 Burstein Technologies, Inc. Optical disc analysis system including related methods for biological and medical imaging
US6767695B2 (en) 2001-01-17 2004-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DROM copy protection
KR100416594B1 (ko) * 2001-04-11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구동기에 있어서 알에프 신호의 슬라이스 및슬라이스 레벨 보상 장치와 그 방법
US7092333B2 (en) * 2001-04-17 2006-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ice and program for checking optical disks
US7221632B2 (en) * 2001-07-12 2007-05-22 Burstein Technologies, Inc. Optical disc system and related detecting methods for analysis of microscopic structures
DE10140237A1 (de) * 2001-08-22 2003-03-27 Brainshield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m Kopierschutz
JP4880140B2 (ja) * 2001-09-07 2012-02-22 任天堂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ならびに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20080094974A1 (en) * 2001-11-09 2008-04-24 Burstein Technologies, Inc. Optical disc system and related detecting methods for analysis of microscopic structures
KR20030042913A (ko) * 2001-11-2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80023B2 (en) * 2001-12-21 2010-03-16 Sony Dadc Austria Ag Record medium with different latencies
JP2003217131A (ja) * 2002-01-23 2003-07-31 Sony Corp ディスク型光記録媒体およびその再生制限方法
US7716485B2 (en) 2002-02-01 2010-05-11 Sca Ipla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authentication
JP2005518064A (ja) * 2002-02-22 2005-06-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集積回路を有する記録担体
US7649824B2 (en) * 2002-07-01 2010-01-19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storage medium control data region
JP2006501592A (ja) * 2002-10-04 2006-01-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高トラック密度超解像度mo−rom媒体
US20040083377A1 (en) * 2002-10-25 2004-04-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storage media copy protection
ATE490534T1 (de) * 2003-01-23 2010-12-15 Lg Electronics Inc Aufzeichnungsmedium mit in abstunden oder abwechselnd gewobbleten pits un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aufzeichnung und wiedergabe des aufzeichnungsmediums
EP1593120A4 (en) * 2003-02-12 2007-12-19 Doug Carson & Associates Inc INSCRIPTIBLE MEDIUM HAVING A DATA RECORDING AREA INCLUDING AN INTEGRATED INTEGRATED AREA
JP4787245B2 (ja) 2004-06-03 2011-10-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omマークを有する記録担体及びromマークを検索する再生装置
US20060023598A1 (en) * 2004-07-30 2006-02-02 Babinski James 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copying of content recorded on optical recording media
ITMI20050100A1 (it) * 2005-01-25 2006-07-26 Technicolor S P A Tecnica di filigranatura di una pellicola cinematografica
CN102495982B (zh) * 2011-11-30 2014-12-24 成都七巧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进程线程的防拷贝系统和防拷贝存储介质
CN103226962B (zh) * 2013-05-08 2016-07-06 江苏新广联科技股份有限公司 只读光盘前置加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9836A (en) * 1985-06-07 1989-07-18 Software Heaven, Inc. Copy protection for computer discs
JPH0721864B2 (ja) * 1985-10-02 1995-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装置
JPH0754613B2 (ja) * 1986-07-21 1995-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イスクのコピ−防止方法
NL8800151A (nl) * 1988-01-22 1989-08-16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tekenen van een informatiesignaal.
JP2844638B2 (ja) * 1988-06-20 1999-01-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AR247311A1 (es) * 1989-09-21 1994-11-30 Philips Nv Portador de grabacion, metodo y dispositivo grabador de informacion para obtener dichos portadores y dispositivo que comprende medios de anticopiado para inhibir el copiado no autorizado
JPH03181023A (ja) * 1989-12-11 1991-08-07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担体および装置
EP0930614B1 (en) * 1991-12-02 2004-03-31 Philips Electronics N.V. Closed information system with physical copy protection
JP2751733B2 (ja) * 1992-05-27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ロッピィ・ディスク装置用データフォーマット制御コントローラ
JPH064884A (ja) * 1992-06-17 1994-01-14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TW309612B (ko) * 1994-09-22 1997-07-01 Nippon Bickter K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123B1 (ko) * 1998-12-07 2007-04-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기록매체
KR100724791B1 (ko) * 1998-12-07 2007-06-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광학기록매체의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100748496B1 (ko) * 2001-04-21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복제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932512B1 (ko) * 2003-03-14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1225D1 (de) 2002-10-02
ATE223103T1 (de) 2002-09-15
US5696757A (en) 1997-12-09
EP0637023B1 (en) 2002-08-28
CN1100549A (zh) 1995-03-22
HK1003095A1 (en) 1998-10-09
TW241360B (ko) 1995-02-21
CN1035792C (zh) 1997-09-03
EP0637023A1 (en) 1995-02-01
DE69431225T2 (de) 2003-03-20
SG42776A1 (en) 1997-10-17
KR950004248A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25B1 (ko) 광디스크, 그 체크장치 및 기록장치
US7099245B2 (en)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in optical disk
US5572507A (en) Optical disc, device for checking optical disc,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disc
EP0801382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information
US6728181B2 (en) Code judg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 medium jud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5724325A (en) Method for reducing lead in time in an optical disk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data for multiple types of disks
JP5551672B2 (ja) 記録担体、再生装置、並びに記録担体および再生装置を有する情報システム
JP3061098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KR100425008B1 (ko) 정보 기록매체
KR20040029139A (ko) 광학 데이터 저장매체와 이 매체의 판독 및 기록 방법
US7898933B2 (en) Optical disc, optical disc drive,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5359584A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liable detection of unrecorded sectors
KR100419159B1 (ko) 서보 제어 장치, 서보 제어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KR100682365B1 (ko) 동기 신호 검출 장치 및 동기 신호 검출 방법
EP1225571B1 (en) Pre-pit detecting apparatus
JP4312361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806219B2 (ja) 光ディスク及びそのチェック装置
RU21196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оптических дисков (варианты)
JP2002319145A (ja) ディスク、ディスク装置及びトラックセンター検出方法
JP2002117613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判別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WO2005104106A1 (ja) 情報記録媒体
JP2002183952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方法
JP2001184658A (ja) 光ディスク管理情報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H07130029A (ja) 光磁気記録再生装置用セクタマーク検出装置
JP2006048829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読み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