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053B1 - 점화코일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코일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053B1
KR0144053B1 KR1019950037422A KR19950037422A KR0144053B1 KR 0144053 B1 KR0144053 B1 KR 0144053B1 KR 1019950037422 A KR1019950037422 A KR 1019950037422A KR 19950037422 A KR19950037422 A KR 19950037422A KR 0144053 B1 KR0144053 B1 KR 014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oil
winding end
engi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223A (ko
Inventor
쇼지 모토다테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6001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4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 H01T13/44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devices with transformers, e.g. for high-frequency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3/0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점화전에 직접 장착되는 점화전 코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점화전(35)에 장착되는 플러그 캡(51)을 2차코일(56)로 감싸고, 이 2차코일(56)을 1차코일(59)에 의해 동심으로 감싸고, 이들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스(61)로 감싸고, 이 케이스(61)의 개구를 시일부재(37)로 시일해서 이루어진 점화코일장치(50)에 있어서, 1차코일(59)의 권회단부를 케이스(61)의 바닥부(61a) 근방까지 연장하고, 권회단부를 상기 점화전(35)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단자(66)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장치(50)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점화코일장치에 의하면, 1차코일의 권회단부나 외부배선이 시일부재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이 시일부재의 시일성이 양호해지며, 1차코일의 권회단부나 외부배선은 시일부재 등에 대해 간섭하지 않으므로, 진동 등에 의해 시일부재 등에 닿아서 마모되지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점화코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평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단자와 커플러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 관계의 작용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쿠터형 자동2륜차 2 : 차체프레임
6 : 리어프레임 26 : 연료탱크
31 : 파워유닛 32 : 엔진
35 : 점화전 36 : 엔진커버
36a : 개구부 37 : 시일부재
39 : 무단변속기 41 : 링크기구
47 : 리어쿠션 50 : 점화코일장치
51 : 플러그 캡 52 : 캡부
54 : 코어 55 : 2차코일용 보빈
56 : 2차코일 58 : 1차코일용 보빈
59 : 1차코일 59a : 권회단부(제1권회단부)
59b : 권회단부(제2권회단부) 61 : 케이스
64 : 2차코일용 플러스단자 66 : 캡용 단자
67 : 단자(1차코일용 플러스 단자) 68 : 단자(1차·2차코일용 마이너스 단자)
71 : 커플러 71a : 방수용 부츠
72 : 외부배선
본 발명은 엔진의 점화전에 직접 장착하는 점화코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화코일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소62-179364호 공보(점화코일)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동 기술은 상기 공보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전(3)에 장착된 점화전 접속캡(19)을 2차코일(14)로 감싸고, 이 2차코일(14)을 1차코일(12)로 동심으로 감싸며, 이들을 바닥이 있는 원통케이스(11)로 감싸고, 이 케이스(11)의 개구를 시일고무(28)(시일부재에 상당)로 시일한 것이다. 코일로부터 도출된 리드선(33)(외부배선에 상당)은 케이스(11)의 개구 근방을 통하여 시일고무(28)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코일로부터 도출된 리드선(33)이 시일고무(28)를 관통해서 외부로 연장되므로, 시일고무(28)의 시일성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리드선(33)은 시일고무(28)와 간섭하므로, 엔진의 진동 등에 의해 시일고무(28)와 닿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일부재의 시일성을 양호하게 하고, 코일로부터 도출하는 외부배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점화전에 장착된 플러그캡을 2차코일로 감싸고, 이 2차코일을 1차코일로 동심으로 감싸고, 이들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스로 감싸고, 이 케이스의 개구를 시일부재로 시일하여 이루어진 점화코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 근방까지 연장하고, 상기 권회단부를 상기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한 단자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장치이다.
또한, 상기 점화전을 차체프레임에 링크기구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엔진에 장착하고, 상기 단자를 커플러로 외부배선에 착탈가능하게 접속했다.
1차코일의 권회단부는 케이스의 바닥부 근방에서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단자에 접속되며, 이 단자는 외부배선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1차코일의 권회단부나 외부배선은 시일부재를 관통하지 않고, 또 시일부재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진동 등에 의해 시일부재에 닿는 일은 없다.
1차코일의 권회단부는 케이스의 바닥부 근방까지 뻗음으로써 1차코일의 권회종료 위치가 명확하다.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단자에 접속하였으므로, 케이스 바닥부 주변이 콤팩트하게 마무리된다.
점화전을 차체프레임에 링크기구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엔진에 장착하므로, 점화전의 요동범위는 좁아진다. 이 때문에, 점화코일장치의 요동범위도 좁아진다.
단자를 커플러에 의해 외부배선에 착탈가능하게 접속하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전」,「후」,「좌」,「우」는 운전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따르며,또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스쿠터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로써, 스쿠터형 자동2륜차(1)는 차체프레임(2)과, 이 차체프레임(2)을 덮는 차체커버(11)와, 전륜(21)과, 후륜(22)과, 시이트(25)와, 연료탱크(26)와, 파워유닛(31)과, 리어쿠션(47) 등으로 이루어진다.
차체프레임(2)은 헤드파이프(3)와, 이 헤드파이프(3)에 조향가능하게 지지된 프론트포크(4)와, 헤드파이프(3)로부터 하부로 뻗은 다운튜브(5)와, 이 다운튜브(5)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얻은 리어프레임(6)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포크(4)의 하단부에는 전륜(21)이 현가된다,
리어프레임(6)은 다운튜브(5)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좌우 한쌍의 프론트 프레임부(6a)(이 도면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냈다)와, 이들의 프론트 프레임부(6a)의 후부로부터 후부 상부쪽으로 뻗은 좌우 한쌍의 중간프레임부(6b)와, 이들 중간프레임부(6b)의 후단을 상호 연결하는 후부프레임부(6c)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체커버(11)는 헤드파이프(3)의 프론트 및 전륜(21)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커버(12) 및 프론트사이드커버(13)와, 운전자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시일드(14)와, 운전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풀로어보드(15)와, 차체프레임(2)의 후부 양측면을 덮는 리어하부커버(16)와, 차체프레임(2)의 후부 상부를 덮는 리어상부커버(17)로 이루어진다.
리어상부커버(17)의 후부에는 후륜(22)의 상부를 덮는 리어펜더(24)가 장착된다.
리어상부커버(17)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는 운전자가 앉는 시이트(25)로 덮이며, 이 시이트(25)는 리어상부커버(17)에 개폐기능하게 힌지장착된다.
연료탱크(26)는 프론트 프레임부(6a)에 장착되어 있다.
파워유닛(31)은 2사이클 강제공냉형 엔진(32)과, 이 엔진(32)의 출력을 후륜(22)에 전달하는 무단변속기(39)로 이루어진다.
파워유닛(31)은 엔진(32)이 프론트에 배치되며, 무단변속기(39)가 리어부에 배치되고, 이 무단변속기(39)에 후륜(22)이 장착된다.
이 자동2륜차(1)의 리어서스펜션은 파워유닛(31)을 스욍아암으로 하고, 파워유닛(31)을 리어쿠션(댐퍼)(47)에 의해 차체프레임(2) 리어부로 늘어뜨린 스윙아암방식이다.
상술하면, 파워유닛(31)의 프론트부(엔진(32))는 중간프레임부(6b)에 링크기구(41)로 전후(자동2륜차(1)의 주행방향) 요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간프레임부(6b)와 파워유닛(31)의 후부 사이에는 리어쿠션(47)이 개설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의 측면도로써 연료탱크(26)와 엔진(32)의 배치관계를 나타낸다.
링크기구(41)는 중간프레임부(6b)에 장착된 지지부(42)와, 이 지지부(42)에 전후(자동2륜차(1)의 주행방향)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링크(43)와, 이 링크(43)의 요동선단에 전후(자동2륜차(1)의 주행방향)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피봇(44)으로 이루어지며, 이 피봇(44)은 엔진(32)의 실린더블록(도시생략)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엔진(32)의 전단부에는 점화코일장치(50)가 장착되며, 이 점화코일장치(50)는 연료탱크(26)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27은 연료탱크(26)에 급유하기 위해 리어상부커버(17)의 프론트부에 배설된 리드(덮개)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의 평면도로써 연료탱크(26)에 점화코일장치(50)가 근접하기 때문에, 연료탱크(26)의 리어부를 비스듬하게 커트하여 간섭을 피하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점화코일장치(50)의 좌측(이 도면에서 하측)에는 커플러(71)가 끼워진다. 이 때문에 커플러(71) 및 외부배선(72)은 연료탱크(26)의 후단면(26a)에 닿지 않는다.
또한, 26b는 연료탱크(26)에 공급하기 위한 급유구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평단면도로써, 엔진(32)의 실린더헤드(34)에 점화전(스파크플러그)(35)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엔진(32)의 실린더블록(33) 및 실린더헤드(34)는 엔진커버(슐라우드((36))로 덮여져 있다. 이 엔진커버(36)에는 점화전(35)을 관통하기 위한 개구부(36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6a)에는 가요성을 가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시일부재(37)가 장착되어 있다.
점화코일장치(50)는 점화전(35)에 장착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플러그 캡(51)과, 이 플러그 캡(51)의 외주부에 고착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코어(54)와, 플러그 캡(51) 및 코어(54)의 외주부에 장착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2차코일용 보빈(55)과, 이 2차코일용 보빈(55)에 감긴 2차코일(56)과, 2차코일용 보빈(55) 및 2차코일(56)을 감싸는 원통형상의 1차코일용 보빈(58)과, 이 1차코일용 보빈(58)에 감긴 1차코일(59)과, 이들 부재(51)(54)(55)(56)(58)(59)를 감싸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스(61)로 이루어지며, 이들 부재(51)(54)(55)(56)(58)(59) 및 케이스(61)는 점화전(35)의 축심과 동심이 된다.
플러그 캡(51)은 전기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바닥부 중앙에 도전성 캡부(52)가 고착되고, 이 캡부(52)의 일단은 점화전(35)의 단차(35a)에 착탈가능하게 감착되며, 캡부(52)의 타단은 플러그 캡(51)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하여 캡용 단자(66)에 접속된다.
2차코일용 보빈(55)은 전기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바닥부(55a) 외부면은 단자(64 ~ 67)(제5도에서 상술함)를 배열하는 기반의 역할을 한다.
케이스(61)는 전기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바닥부(61a)의 일부에 점화전(35)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커플러 삽입구(61b)가 형성되며, 이 커플러 삽입구(61b)에 커플러(71)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커플러(71) 주변에는 가요성 방수용 부츠(7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방수용 부츠(71a)는 커플러 삽입구(61b)와 커플러(71)를 결합했을 경우 커플러 삽입구(61b)의 외주면에 밀접하여 방수성을 높인다.
케이스(61)의 개구단(61c)은 시일부재(37)를 통해 엔진커버(36)의 개구부(36a)에 삽입된다. 시일부재(37)는 케이스(61)의 개구를 시일하는 역할 및 엔진(32)의 진동을 케이스(61)에 전달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완충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61)내에는 전기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진 충전제(62)가 충전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회로도이다.
2차코일(56)은 그 제1권회단부(56a)가 2차코일용 플러스단자(64),전파잡음방지용 저항기(65), 캡용 단자(66), 캡부(52)를 통해 점화전(35)에 접속되며, 제2권회단부(56b)가 1차·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1차코일(59)은 그 제1권회단부(59a)가 1차코일용 플러스단자(67)를 통해 CDI유닛(용량방전점화장치)(69)에 접속되며, 제2권회단부(59b)가 1차·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화코일장치의 단자와 커플러의 분해사시도로써 2차코일용 보빈(55)의 바닥부(5Sa) 외부면에 단자(64)(66 ~ 68)가 고착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대략 L자형상의 2차코일용 플러스단자(64)와 캡용 단자(66)는 전파잡음방지용 저항기(65)를 통해 접속된다. 그리고, 캡용 단자(66)는 그 하부 중앙의 홀(66a)이 캡부(52)에 장착된다(캡부(52)와 접속됨).
서로 대향하는 대략 L자형상의 1차코일용 플러스단자(67)와 1차 ·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는 점화전(35)(제4도 참조)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으며, 단자(67)(68) 단부가 커플러 삽입구(61b)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67)(68)는 커플러(71)에 의해 외부배선(72)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된다.
2차코일(56)의 각 권회단부(56a)(56b)는 케이스(61)의 바닥부(61a)근방까지 뻗으며, 2차코일용 플러스단자(64)와 1차· 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또, 1차코일(59)의 각 권회단부(59a)(59b)는 케이스(61)의 바닥부(61a)(제4도 참조) 근방까지 뻗으며, 1차코일용 플러스단자(67)와 1차·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엔진(32)이 요동했을 경우 연료탱크(26)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제7(a)~(c)도는 본 발명에 관한 엔진과 연료탱크 관계의 작용설명도이다.
리어쿠션(47)(제1도 참조)이 신축방향의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기구(41)의 피봇(44)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으며, 점화코일장치(50)가 연료탱크(26)의 후단면(26a) 상단보다 상부에 있다.
리어쿠션(47)이 가장 연장된 상태에어는 제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44)이 상기 제7도(a)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또한 엔진(32)이 이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점화코일장치(50)는 연료탱크(26)의 후단면(26a) 상단 근방에 있다.
리어쿠션(47)이 가장 수축된 상태에서는 제7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44)이 상기 제7도(a)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엔진(32)은 이 도면에서 반기계방향으로 더옥 요동하므로, 점화코일장치(50)가 연료탱크(26)의 후단면(26a) 상부 근방(상기 제7도(b)보다 약간 낮은 위치 )에 있다.
이와 같이 점화전(35)(제4도 참조) 및 점화코일장치(50)를 차체프레임(2)에 링크기구(41)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엔진(32)에 장착하였으므로, 점화전(35) 및 점화코일장치(50)의 요동범위를 좁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연료탱크(26)를 엔진(32)에 접근시켜 배치함으로써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점화코일장치(50)의 작용을 제5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저전압을 CDI유닛(69)으로부터 1차코일용 플러스단자(67) → 1차코일(59) → 1차·2차코일용 마이너스단자(68)의 경로로 인가하면 2차코일(56)에 발생한 고압전류가 캡부(52)→ 점화전(35) → 어스의 경로로 흐르며, 점화전(35)은 스파크를 발생시켜 엔진(32)(제4도 참조)에 점화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1의 점화코일장치는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케이스 바닥부 근방까지 연장하며, 상기 권회단부를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단자에 접속함으로써 1차코일의 권회단부나 외부배선이 시일부재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이 시일부재의 시일성은 양호해진다.
또한, 1차코일의 권회단부나 외부배선은 시일부재 등에 대해 간섭하지 않으므로, 진동 등으로 시일부재 등에 닿아서 마모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케이스의 바닥부 근방까지 연장했으므로, 1차코일의 권회종료때까지 확실하게 감을 수 있다(권회종료 위치가 명확해진다).
또한,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단자에 접속했으므로, 케이스 바닥부 주변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2의 점화코일장치는 점화전을 차체프레임에 링크기구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장착한 엔진에 장착했으므로, 점화전의 요동범위를 좁힐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점화코일장치의 요동범위도 좁아져서 점화코일장치 주변의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단자를 커플러에 의해 외부 배선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였으므로 배선작업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배선길이가 다른 엔진에 대해서도 유용이 용이하다.

Claims (2)

  1. 점화전에 장착되는 플러그캡을 2차코일로 감싸고, 이 2차코일을 1차코일에 의해 동심으로 감싸고, 이들을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케이스로 감싸고, 이 케이스의 개구를 시일부재로 시일해서 이루어진 점화코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의 권회단부를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근방까지 연장하고, 상기 권회단부를 상기 점화전의 축심과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단자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전은 차체프레임에 링크기구를 통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엔진에 장착되며, 상기 단자는 커플러에 의해 외부배선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장치.
KR1019950037422A 1994-11-04 1995-10-26 점화코일장치 KR0144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52194A JP3481322B2 (ja) 1994-11-04 1994-11-04 点火コイル装置
JP94-271521 199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223A KR960018223A (ko) 1996-06-17
KR0144053B1 true KR0144053B1 (ko) 1998-08-17

Family

ID=1750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422A KR0144053B1 (ko) 1994-11-04 1995-10-26 점화코일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90637A (ko)
JP (1) JP3481322B2 (ko)
KR (1) KR0144053B1 (ko)
CN (1) CN1046016C (ko)
ES (1) ES2113302B1 (ko)
FR (1) FR2727160B1 (ko)
IT (1) IT1281015B1 (ko)
TW (1) TW3768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179B2 (ja) * 1996-07-12 2005-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キャップ一体型点火コイル装置の取付構造
US5706792A (en) * 1996-12-10 1998-0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ignition coil and spark plug
TW513833B (en) * 1998-09-09 2002-12-11 Honda Motor Co Ltd Mounting method of sparking plug cap and sparking plug cap
JP2001035719A (ja) * 1999-07-22 2001-02-09 Yamaha Corp ソレノイドの結線構造、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自動演奏装置
US6094122A (en) * 1999-09-08 2000-07-25 Ford Motor Company Mechanical locking connection for electric terminals
US6114933A (en) * 1999-09-08 2000-09-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ncil ignition coil assembly module environmental shield
US6178957B1 (en) 1999-09-08 2001-01-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ncil ignition coil assembly module
EP1162367B1 (en) * 2000-06-06 2002-12-18 Federal-Mogul Ignition Srl Ignition coil for motor vehicles
US6522232B2 (en) * 2001-04-26 2003-02-18 Delphi Technologies, Inc. Ignition apparatus having reduced electric field HV terminal arrangement
JP4275970B2 (ja) * 2003-03-18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ドレン構造
JP4209400B2 (ja) * 2005-03-23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5156968B2 (ja) * 2008-01-31 2013-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548547B2 (ja) 2010-07-30 2014-07-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419019B2 (ja) * 2010-10-28 2014-02-19 Smc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ポンプ
CN102501943B (zh) * 2011-11-03 2014-11-19 陈春 便捷控制型风动力冲锋舟
DE102014110962B3 (de) * 2014-07-31 2015-11-0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Entstörwiderstand für ein Zündsystem und Zündkerzenstecker mit einem solchen Entstörwiderstand
US10916370B2 (en) * 2018-03-09 2021-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ssembly with vibration-isolated ignition coil apparatus
CN111852720B (zh) * 2020-07-03 2022-05-03 天津市新阳汽车电子有限公司 双高温耐久试验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84A (en) * 1911-08-03 1911-12-12 Lindsley And Allen Electric Company Ignition device.
FR2400246A1 (fr) * 1977-08-10 1979-03-09 Denki Onkyo Co Ltd Transformateur de retour de spot avec connecteur a haute tension
JPS62179364A (ja) * 1986-02-01 1987-08-06 Minoru Oshio 牛肉の姿フライの製造法
JPS62179364U (ko) * 1986-05-07 1987-11-14
FR2613779B1 (fr) * 1987-04-08 1992-02-14 Electricfil Bloc transformateur-allumage integre pour cylindre de moteur thermique a allumage commande
IT212350Z2 (it) * 1987-12-14 1989-07-04 Magneti Marelli Spa Bobina di accensione particolarmente per motori da competizione
WO1990002261A1 (en) * 1988-08-29 1990-03-08 Robert Bosch Gmbh Ignition circuit with interference suppression
DE9004829U1 (ko) * 1989-05-02 1990-08-09 Industrie Magneti Marelli S.R.L., Mailand/Milano,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27160B1 (fr) 1998-05-07
FR2727160A1 (fr) 1996-05-24
JPH08135551A (ja) 1996-05-28
ES2113302A1 (es) 1998-04-16
IT1281015B1 (it) 1998-02-11
KR960018223A (ko) 1996-06-17
TW376859U (en) 1999-12-11
JP3481322B2 (ja) 2003-12-22
ITTO950892A0 (ko) 1995-11-03
US5590637A (en) 1997-01-07
ES2113302B1 (es) 1999-01-16
CN1129283A (zh) 1996-08-21
ITTO950892A1 (it) 1997-05-03
CN1046016C (zh) 199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053B1 (ko) 점화코일장치
US7681551B2 (en) Electric component support structure for motorcycle
JP2011196218A (ja) 鞍乗り型車両の点火装置
JP3602267B2 (ja) 点火コイル装置
EP0368453B1 (en)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19948A (ja) 内燃エンジンの点火装置取付構造
JPH1030539A (ja) プラグキャップ一体型点火コイル装置の取付構造
JP4170515B2 (ja) スイング式パワーユニットの点火コイルユニット取付構造
JP3363747B2 (ja) 自動二輪車のフルトランジスタ式点火システム
US4465331A (en) Device for prevent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rom spark plug
JPH06147083A (ja) 船外機用エンジンの電装品配置構造
JPH09126111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S6064417A (ja) 点火コイル一体形プラグキャップ
JPH09126109A (ja) 二輪車用エンジン
JP3307517B2 (ja) 内燃機関用配電器
JP4421696B2 (ja) 自動二輪車
KR100342679B1 (ko) 이륜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JP3875165B2 (ja) 自動二輪車のフルトランジスタ式点火システム
JPH0823334B2 (ja) 火花点火機関の点火装置
JPS63120863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S591112Y2 (ja) 空冷エンジンのフアンカバ−
JPS6323535Y2 (ko)
TH11248B (th) อุปกรณ์ขดลวดจุดระเบิด
JP2563155Y2 (ja) プラグキャップ
JPH01286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