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70B1 -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 Google Patents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70B1
KR0135970B1 KR1019900009470A KR900009470A KR0135970B1 KR 0135970 B1 KR0135970 B1 KR 0135970B1 KR 1019900009470 A KR1019900009470 A KR 1019900009470A KR 900009470 A KR900009470 A KR 900009470A KR 0135970 B1 KR0135970 B1 KR 013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seat
sleeve
valve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54A (ko
Inventor
카우브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마이클 에이. 카리
루카스 언더스트리스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에이. 카리, 루카스 언더스트리스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마이클 에이. 카리
Publication of KR91000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제1도는 X, Y 및 Z 부분을 별도로 확대 도시한 진공이 가하기 전의 비작동상태 단면도.
제2도는 진공이 가하여졌으나 비작동상태인 동 단면도.
제3도는 정상 브레이크작동시의 상태를 보인 동 단면도.
제4도는 비상 브레이크작동시의 상태를 보인 동 단면도.
제5도는 브레이크작동 직후의 상태를 보인 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레이크 부우스터 24, 26 : 챔버
28 : 밸브조립체 30 : 밸브하우징
32, 34 : 밸브시이트 38 : 작동부재
40 : 밸브동체 50 : 공기유입구
66 : 밸브시이트 72 : 슬리이브
80 : 배출채널
본 발명은 제1 및 제2밸브시이트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 양 밸브시이트에 밸브동체가 작용할 수 있게 된 밸브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작동부재의 한 위치에서 밸브동체가 제1밸브시이트로부터만 벗어나 브레이크 부우스터의 두 챔버를 서로 연결하고 양 챔버를 공기유입구로부터 차단하며, 작동부재의 다른 위치에서는 밸브동체가 제2밸브시이트로부터만 벗어나 두 챔버를 격리시키고 이들 챔버 중의 하나를 공기유입구에 연결하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문에서 두 챔버라함은 탠덤(tandem design)형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있는 것과 같이 별개의 두 챔버 또는 서로 연결된 두 그룹의 챔버를 일컫는다.
이러한 형태의 밸브조립체는 예를 들어 제1부재가 계속하여 부분 진공원에 연되고 밸브조립체의 휴지위치에서 제2챔버가 제1챔버에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소기되나 밸브조립체의 작동위치에서는 제1챔버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유입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사용된다. 밸브장치의 작동시에 주위공기가 제1챔버로 유입되어 이 제1챔버에서 상승된 압력이 벽을 이동시켜 두 챔버를 분리하고 마스타 브레이크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공급부재를 이동시킨다. 대개는 공기 필터가 공기 유입구에 배설되어 언제나 공기유입저항을 가지므로서 제1챔버내에서의 압력생성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두 밸브시이트의 영역에서 유입단면적이 역시 협소하게 제한되어 있으므로 공기필터를 확장시켜 유입저항을 줄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지금까지는 공지의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단순히 점진적으로 이들의 최고효율에 도달하여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에 가하여지는 힘의 일부가 비상제동의 초기단계에서 기계적인 중간 부재를 통해 마스타 브레이크 실린더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허용되어야 하였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우스터가 보다 신속히 비상제동을 보조하나 정상적인 제동하에서는 통상적인 방법과는 상이하게 작동치 않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를 창안하는데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밸브조립체에서 이 밸브조립체가 공기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게 된 브레이크 부우스터의 챔버측으로 개방되고 밸브동체를 제2밸브시이트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데 요구된 운동을 능가하는 작동부재의 운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게 된 부가적인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부가적인 배출채널을 갖는다.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인 정도를 능가하는 작동부재의 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제동에 있어서, 부가적인 공기유입이 공기유입구에 연결된 챔버측으로 유도되어 극히 짧은 시간에 챔버사이에서 최대압력 차이가 나타나도록하여 성취된다. 부가적인 공기는 주위공기로부터 유입될 수 있으나 적당한 압축공기 공급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압축공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구성은 서두에 언급된 종래의 밸브조립체의 격렬한 작동시에 채널을 통한 공기의 유속이 빨리 나타나게 되는 흡배기 잡음이 나타나지 않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특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부가적인 밸브가 밸브하우징 외측에 배설된 환상의 제3밸브시이트를 갖는다.
- 밸브하우징은 부가적인 밸브동체와 마찬가지로 밸브하우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3밸브시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된 슬리이브에 의하여 방사상 거리를 두고 둘러싸여 있다.
- 부가적인 배출채널이 밸브하우징과 슬리이브 사이에 형성된다.
- 작동부재는 전동소자에 의하여 슬리이브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는 특히 간단하고 치밀하게 구성되고 통상의 브레이크 부우스터에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제3밸브시이트가 공기유입구에 인접하여 밸브하우징의 일측단부에 배설되고 부가적인 배출채널이 공기유입구의 방사상 외측영역으로 연결되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제3밸브시이트가 작동부재에 대해 지지된 스프링에 의한 슬리이브의 탄지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밸브하우징내에서 탄지되는 관상삽입체에서 플랜지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제3밸브시이트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밸브하우징의 수정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전동소자가 제2밸브시이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밸브하우징과 슬리이브의 각 방사상 요구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장되는 경우, 밸브하우징에 대한 전동소자의 축방향 유동이 슬리이브에 대한 전동소자의 축방향 유동보다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를 갖는 통상적인 형태의 진공브레이크 부우스터를 보인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경의 제2환상밸브시이트(34)가 작동부재(38)에 의하여 축선(A)을 따라 아동가능한 푸쉬부재(36)에 제1밸브시이트(32)와 동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재(38)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패달에 연결된다.
두 밸브시이트(32), (34)에는 공통의 밸브동체(40)가 결합되고 이 밸브동체는 제1밸브시이트(32)와 함께 두 밸브시이트 사이의 환상 중간공간부(44)로부터 밸브하우징(30)내의 방사상 외측공간부(42)를 분리할 수 있고 제2밸브시이트(34)와 함께 중간공간부(44)로부터 내측공간부(46)를 분리할 수 있다. 방사상 외측공간부(42)는 전방의 챔버(24)에 연결되고 환상의 중간공간부(44)는 후방의 챔버(26)에 연결된다. 환상공기 유입구(50)내의 필터(48)를 통하여 내측공간부(46)는 대기와 항상 연통되어 있다. 밸브동체(40)는 고무 또는 탄성중합체의 슬리이브(52)에 의하여 밸브하우징(30)에 밀폐공정적으로 착설된 지지링(54)에 연결된다. 밸브동체(40)는 작동부재(38)의 턱(58)에 지지된 제1원추형 스프링(56)에 의하여 두 밸브시이트(32), (34)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관상삽입체(60)는 정상적인 설치위치에서 후방위치에 해당하는 도면의 우측에 그 단부로부터 밸브하우징(30)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체의 후단부는 플랜지형의 형태로 외향 만극되고 밸브하우징(30)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원추형 스프링(62)이 삽입체(60)의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칼라와 작동부재(38)에 착설된 고정링(64)사이에 고정된다. 제3밸브시이트(66)는 삽입체(60)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에 형성되어 있다.
벨로우즈(68)가 공기유입구(50)의 방사상 외측변부로부터 하우징 부분(14)에 형성된 칼라(70)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밸브하우징(30) 둘레의 환상공간부에 먼지나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환상공간부내에는 축선(A)을 따라 운동하는 것에 제한 없이 칼라(70)에 대하여 링 씨일(74)로 밀폐된 슬리이브(72)가 배설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72)는 하우징 부분(14)에 지지된 스프링(76)에 의하여 제3밸브시이트(66)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향되게 탄지되고 그 후단부(78)와 함께 제3밸브시이트(66)에 대해 평상시 밀폐되어 있는 부가적인 밸브동체를 형성한다. 밸브하우징(30)과 슬리이브(72)사이에는 원통형의 환상공간부가 형성되어 후방챔버(26) 측으로 개방된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을 형성한다.
푸쉬부재(36)는 환상요구를 가지며 이에 헤어핀 형태의 전동소자(82)가 유동없이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전동소자(82)는 밸브하우징(30)의 절결부(84)와 슬리이브(82)의 절결부(86)를 통하여 푸쉬부재(36)으로부터 칼라(70)의 내측벽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전동소자(82)의 운동과 푸쉬부재(36)의 운동을 제한하는 환상정지부(88)가 구성되어 있다. 전동소자(82)는 절결부(84), (86) 내에서 각각 축방향 유동되는 유동거리(B), (C)를 가지며 유동거리(B)는 유동거리 (C)보다 크다.
밸브하우징(30)의 선단영역에서, 힘공급부재(90)는 홀더(92)로 고정된다. 푸쉬부재(36)와 힘공급부재(90) 사이에는 탄성중합체의 탄성동체(94)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는 밸브하우징(30)으로 둘러싸여 있고 작동부재(38)와 힘공급부재(90) 사이에서 힘절단자를 구성한다. 가동벽(16), (18)과 밸브하우징(30)을 포함하는 전체 조립체는 복귀스프링(96)으로 후향되게 탄지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을 시동하기 전에 브레이크 부우스터(10)의 전방챔버(24)에 진공이 작용치 않는 한 브레이크 부우스터(10)와 밸브조립체(28)의 가동부분은 제1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여 있게 될 것이다. 밸브동체(40)는 제2밸브시이트(34)가 아닌 제1밸브시이트(32)에 지지되고 슬리이브(72)와 제3밸브시이트(66)로 구성되는 부가적인 밸브는 개방된다. 따라서 후방의 챔버(26)는 밸브하우징(30)의 내측공간부(46)와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을 통하여 대기에 연결된다. 두 챔버(24), (26)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오토엔진의 시동으로 전방챔버(24)내에 진공이 발생되면 가동벽(16), (18)은 작동부재(38)가 푸쉬부재(36)와 함께 그 휴지위치에 있는 동안 밸브하우징(30)과 함께 복귀스프링(96)의 작은 초기 저항에 대해 작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밸브시이트(32)상에만 지지되어 있던 밸브동체(40)는 제2밸브시이트(34)에 가볍게 지지게 되고 제3밸브시이트(66)는 그 휴지 위치에 놓여 있는 슬리이브(72)의 단부(78)에 지지된다. 제2도에 따른 평형상태에서는 전방의 챔버(24)가 진공원에 의하여 발생된 진공으로 소기되고 후방의 챔버(26)에서는 전방 챔버(24)내의 압력보다는 약간 크나 대기압력보다는 현저히 작은 압력을 얻는다. 이제 브레이크 부우스터(10)는 도시하지 않은 마스타 브레이크 실린더의 지연작용없이 작동준비가 완료되고 힘공급부재(90)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작용한다.
브레이크 페달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직동되고 작동부재(38)가 전방으로 작은 거리를 밀려 이동하게 될 때에 제2밸브시이트(34)는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밸브동체(40)로부터 분리된다. 이제 상기 동체(40)가 전적으로 제1원추형 스프링(56)의 힘으로 제1밸브시이트(32)에만 지지되어 두 챔버(24), (26)가 밀폐가능하게 완전히 상대측으로부터 분리되는 반면에 필터(48)를 통하여 흡인된 주위공기는 내측공간부(46)와 환상 중간공간부(44)를 통하여 후방의 챔버(26)측으로 보내어지고 밸브하우징(30) 및 힘공급부재(90)와 함께 가동벽(16), (18)이 밀리어 이에 연결된 마스타 브레이크 실린더를 작동시킨다. 이때에 슬리이브(72)의 후단부(78)에서 제3밸브시이트(66)의 밀폐결합이 유지되어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이 작용치 않게 된다.
그러나, 브레이크 패달이 보다 강하게 작동되어 푸쉬부재(36)의 작동부재(38)를 통하여 더욱 전방으로 밀리게되는 경우에 전동소자(82)를 슬리이브(72)의 절결부(86)의 전방변부에 닿아 슬리이브(7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슬리이브(72)의 후단부(78)는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3밸브시이트(66)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주위공기는 내측공간부(46)와 환상의 중간공간부(44)를 통하여 필터(48)의 방사상 내측영역으로부터 후방의 챔버(26)측으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주위공기가 필터(48)의 방사상 외측영역과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을 통하여 후방의 챔버(26)측으로 유입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생성된 압력이 주위압력과 같게 되고 힘공급부재(90)와 함께 가동벽(16), (18)이 신속히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브레이크 작동후에 브레이크 패달이 해제되는 경우 잠정적으로 제5도에서 보인 상태가 되고 밸브동체(40)가 제1밸브시이트(32)에서 벗어나 제2밸브시이트(34)에 밀폐되게 지지되는 한편 슬리이브(72)의 후단부(78)가 제3밸브시이트(66)에 밀폐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후방의 챔버(26)가 주위로부터 분리되고 전방의 챔버(24)에 연결되어 압력평형이 이루어지고 가동부품들이 제2도에서 보인 평형상태로 복귀된다.

Claims (5)

  1. 제1 및 제2밸브시이트(32, 34)가 구성되어 있고 이들 양 밸브시이트(32, 34)에 밸브동체(40)가 작용할 수 있게 된 밸브하우징(30)으로 구성되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10)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로서, 작동부재(38)의 한 위치에서 밸브동체(40)가 제1밸브시이트(32)로부터만 벗어나 브레이크 부우스터(10)의 두 챔버(24, 26)를 서로 연결하고 양 챔버를 공기유입구(50)로부터 차단하며, 작동부재(38)의 다른 위치에서는 밸브동체(40)가 제2밸브시이트(34)로부터만 벗어나 두 챔버(24, 26)를 격리시키고 이들 챔버 중의 하나를 공기유입구(50)에 연결하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에 있어서, 밸브조립체(28)가 공기유입구(50)에 연결될 수 있게 된 브레이크 부우스터(10)의 챔버(26)측으로 개방되고 밸브동체(40)를 제2밸브시이트(34)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데 요구된 운동을 능가하는 작동부재(38)의 운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게 된 부가적인 밸브(66, 72)에 의하여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2. 청구범우 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밸브(66, 72)가 밸브하우징(30)의 외측에 배설된 환상의 제3밸브시이트(66)를 가지고, 밸브하우징(30)은 부가적인 밸브동체와 마찬가지로 밸브하우징(3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3밸브시이트(66)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된 슬리이브(72)에 의하여 방사상 거리를 두고 둘러싸여 있으며,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이 밸브하우징(30)과 슬리이브(72) 사이에 형성되고, 작동부재(38)가 전동소자에 의하여 슬리이브(7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제3밸브시이트(66)가 공기유입구(50)에 인접하여 밸브하우징(30)의 일측단부에 배설되고 부가적인 배출채널(80)이 공기유입구(50)의 방사상 외측 영역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제3밸브시이트(66)가 작동부재(38)에 대해 지지된 스프링(62)에 의한 슬리이브(72)의 탄지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밸브하우징(30)내에서 탄지되는 관상삽입체(60)에서 플랜지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5. 청구범위 2항-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소자(82)가 제2밸브시이트(3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밸브하우징(30)과 슬리이브(72)의 각 방사상 요구(84, 86)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유동(B, C)가능하게 연장되고, 밸브하우징(30)에 대한 전동소자(82)의 축방향 유동(B)이 슬리이브(72)에 대한 전동소자(82)의 축방향 유동(C)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립체.
KR1019900009470A 1989-06-30 1990-06-26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KR0135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8908040U DE8908040U1 (ko) 1989-06-30 1989-06-30
DEG8908040.8 198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54A KR910000454A (ko) 1991-01-29
KR0135970B1 true KR0135970B1 (ko) 1998-05-01

Family

ID=684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470A KR0135970B1 (ko) 1989-06-30 1990-06-26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056413A (ko)
EP (1) EP0405603B1 (ko)
JP (1) JPH0624922B2 (ko)
KR (1) KR0135970B1 (ko)
CN (1) CN1041186C (ko)
AU (1) AU627040B2 (ko)
BR (1) BR9003073A (ko)
CZ (1) CZ279418B6 (ko)
DD (1) DD296252A5 (ko)
DE (2) DE8908040U1 (ko)
ES (1) ES2062201T3 (ko)
RU (1) RU2048327C1 (ko)
SK (1) SK278488B6 (ko)
ZA (1) ZA904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7972B1 (fr) * 1992-02-27 1994-05-27 Automotive Prod France Dispositif de servo-assistance pneumatique au freinage a joint de clapet unique et deformable, et servo-frein equipe d'un tel dispositif.
DE4211849A1 (de) * 1992-04-08 1993-10-14 Lucas Ind Plc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elektromagnetischer Hilfssteuer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2584072Y2 (ja) * 1993-10-05 1998-10-30 日信工業株式会社 タンデム型負圧ブースタ
FR2712549B1 (fr) * 1993-11-16 1996-01-05 Alliedsignal Europ Services Servomoteur pneumatique à fonctionnement silencieux.
DE4410769C2 (de) * 1994-03-28 1998-04-09 Lucas Ind Plc Ventilbaugruppe zum Steuern eines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s mit einer elektromagnetischen Betätigungseinrichtung
JPH07290520A (ja) * 1994-04-20 1995-11-07 Yuushin Seiki:Kk 樹脂成形品のゲート切断方法
DE9417819U1 (de) * 1994-11-07 1996-03-07 Lucas Ind Plc Ventilbaugruppe
DE4440657A1 (de) * 1994-11-14 1996-05-15 Lucas Ind Plc Betätigungsbaugruppe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FR2727924A1 (fr) * 1994-12-09 1996-06-14 Alliedsignal Europ Services Servomoteur dote d'une entree d'air additionnel a debit adaptatif
FR2731668B1 (fr) * 1995-03-17 1997-05-16 Alliedsignal Europ Services Servomoteur dote d'une entree d'air directe a debit adaptif
US5570622A (en) * 1995-06-08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booster with guided power piston
GB2320539B (en) * 1996-12-21 2000-08-02 Delphi France Automotive Sys Vacuum brake booster
US5878650A (en) * 1997-05-21 1999-03-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booster sealing mechanism
DE19816767A1 (de) 1998-04-16 1999-10-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baugruppe für einen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DE19844233A1 (de) 1998-09-26 2000-03-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WO2006077896A1 (ja) * 2005-01-12 2006-07-27 Advics Co., Ltd. 負圧式倍力装置
JP4492459B2 (ja) * 2005-06-22 2010-06-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JP4858099B2 (ja) * 2005-12-26 2012-01-1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DE102006041029B3 (de) * 2006-09-01 2008-02-07 Lucas Automotive Gmbh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Notbremshilfe
FR2940946B1 (fr) * 2009-01-15 2012-07-13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a vanne trois voies pour servofrein de vehicule muni d'un conduit d'air
CN102923114A (zh) * 2012-11-07 2013-02-13 柳州市菱宝汽车部件有限责任公司 真空助力器
US9555787B2 (en) * 2014-04-08 2017-01-31 Robert Bosch Gmbh Brake booster with tunable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5705A1 (de) * 1969-03-27 1970-10-01 Bosch Gmbh Robert Ventildichtung
US3780620A (en) * 1972-11-13 1973-12-25 Bendix Corp Pressure differential assist for a servomotor
US3831489A (en) * 1972-11-13 1974-08-27 Bendix Corp Tubular push rod means for servomotor
US4608825A (en) * 1983-10-07 1986-09-02 Fail Safe Brake Corporation Automatic brake actuator with controlled release
JPS60125271U (ja) * 1984-02-02 1985-08-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タンデム型倍力装置
BR8502639A (pt) * 1984-06-05 1986-02-12 Lucas Ind Plc Reforcador pneumatico,especialmente para sistemas de frenagem em veiculos motorizados
JPS63258258A (ja) * 1987-04-15 1988-10-25 Tokico Ltd 気圧式倍力装置
GB8726722D0 (en) * 1987-11-14 1987-12-16 Lucas Ind Plc Brake servo boo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54A (ko) 1991-01-29
AU5766190A (en) 1991-01-03
DE8908040U1 (ko) 1990-10-31
EP0405603A2 (de) 1991-01-02
EP0405603A3 (en) 1991-05-02
AU627040B2 (en) 1992-08-13
DD296252A5 (de) 1991-11-28
US5056413A (en) 1991-10-15
RU2048327C1 (ru) 1995-11-20
SK278488B6 (en) 1997-07-09
CN1041186C (zh) 1998-12-16
ES2062201T3 (es) 1994-12-16
JPH03128756A (ja) 1991-05-31
BR9003073A (pt) 1991-08-27
CZ279418B6 (cs) 1995-04-12
CS324490A3 (en) 1991-11-12
JPH0624922B2 (ja) 1994-04-06
CN1048525A (zh) 1991-01-16
DE59007547D1 (de) 1994-12-01
ZA904846B (en) 1991-04-24
EP0405603B1 (de)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970B1 (ko) 공압브레이크 부우스터 제어용 밸브조립체
US4005638A (en) Vacuum-suspended tire servo-motor
JPH0418934Y2 (ko)
US4757748A (en) Vacuum booster for automobiles
JP3940872B2 (ja)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H08239029A (ja) 負圧式倍力装置
JPH02182566A (ja) ブースタ用制御装置
US2784702A (en) Fluid pressure operated motor
JP2004034962A (ja) オフセットされた吸気バルブシート及び均しバルブシートを具備する空気圧ブースタ
JP4206877B2 (ja) 気圧式倍力装置
JPH10508553A (ja) 弁装置
US5802950A (en) Brake booster for vehicles
JPH1086812A (ja) 負圧式倍力装置
US7063002B2 (en) Negative pressure type booster
JP3358642B2 (ja) 倍力装置
JPH11503984A (ja) 内部弁を備えた空気圧ブースタ装置
JPH1059164A (ja) 倍力装置
KR200285910Y1 (ko) 차량용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입력축
KR200400886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부스터
JPH08324418A (ja) 負圧式倍力装置
JPH08127334A (ja) 倍力装置
JPH06336160A (ja) 負圧式倍力装置
JP3661714B2 (ja) 自動ブレーキ倍力装置
JPH07137626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11217074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