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65B1 -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65B1
KR0135065B1 KR1019930018606A KR930018606A KR0135065B1 KR 0135065 B1 KR0135065 B1 KR 0135065B1 KR 1019930018606 A KR1019930018606 A KR 1019930018606A KR 930018606 A KR930018606 A KR 930018606A KR 0135065 B1 KR0135065 B1 KR 013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ving
post
processing apparatus
receiv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792A (ko
Inventor
겐이찌 하야시
요시후미 다께하라
가쯔히또 가또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4000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65H39/11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in superpose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42C1/125Sheet sorters combined with bin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1Skewing, correcting skew, i.e. changing slightly orient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65H2301/51611Binding processes involving at least a binding element traversing the handled material, e.g. sta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1Cam mechanisms involving cylindrical cam, i.e. cylinder with helical groove at its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3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with variable location in space of the bins relative to a stationary in-fe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4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 B65H2408/114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performing alignment in the totality or a large number of bins at a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2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stap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Abstract

본 발명의 종이 후처리 장치는 종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에 종이에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기와,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상기 장치의 전방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종이 이동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소터의 단면도.
제3도는 소터의 단면도.
제4도는 저장소 유니트의 사시도.
제5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6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7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8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9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0도는 제2종이 세트에 대한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1도는 제2종이 세트에 대한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2도는 비스테이플 모드 작동시 종이 세트의 집결을 도시한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제14도는 상기 장치의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5도는 상기 장치의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6도는 상기 장치의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터의 정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터의 정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터의 정면도.
제22도는 순차적 작동 흐름도.
제23도는 종래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래퍼 4 : 헬리컬 캠
7 : 스테이플러 8 : 저장소 유니트
9 : 기부 프레임 10 : 트레이
11 : 지지판 12,13 : 아암
14,15 : 회전축 16 : 섹터 기어
17,25 : 펄스 모터 18 : 기어
19 : 정렬봉 20 : 차단판
22 : 기준봉 23 : 안내 레일
24 : 벨트 26,27 : 풀리
30,31 : 덮개 32 : 기준판
33,34 : 종이 이동 수단 36 : 마찰 재료
37 : 한정 부재 100 : 소터
200 : 화상 형성 장치 300 : 자동 원고 급지기
303 : 원고 트레이 b : 트레이
본 발명은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종이 후처리 장치는 복사기, 인쇄기 또는 레이저 비임 인쇄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복사지와 같은 종이 재료를 수용하고 그리고/또는 저장소 트레이에 소트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종이 후처리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종이 후처리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설명한다.
제23도는 화상 형성 장치(J2)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를 소트시켜서 수용하는 종래의 종이 후처리(J1)[저장소 이동형(movable bin type)]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저장소 트레이(J3)밖으로 종이를 꺼내려고 할 때 사용자가 종이를 X방향으로 꺼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장치에서는 작업자와 종이 사이에 기준판(J4), 스테이플러(J5), 헬리컬 캠(J6), 외부 덮개(J7) 등이 있으므로 종이를 X방향으로 꺼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의 측면 단부로 이동해서 종이를 Y방향으로 꺼내야 했다. 이에 따라 조작성에 대한 개량이 필요하였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종이 배출측에 결합된 종래의 종이 후처리 장치(소터)는 제한된 수의 저장소 트레이를 포함하므로 저장소 트레이의 수를 초과하는 종이 세트 수를 분류해서 수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이 제안되었다.
(1) 어느 한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된 종이를 이동 수단으로 다른 트레이(일예로, 적충 트레이)에 이동시켜서 차후에 배출될 종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소 트레이를 비운다. 상기 적층 트레이로의 이동을 반복하면 저장소 트레이의 수를 초과하는 종이 세트 수를 처리할 수 있다.
(2) 종이 배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모두 움직일 수 있는 저장소 트레이를 구비한 마무리 장치와 원고를 자동으로 순환시키는 자동급지기의 조합 장치에 있어서, 저장소 트레이 위치를(원고) 서류의 매 1회 순환마다 직각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인접하는 종이 세트들을 서로 어긋나게 하므로 복수 개의 종이 세트들이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될 수 있다.
(3) 복수 개의 소터를 연결하면 가용 트레이 수가 늘어난다.
그러나 종이 세트를 상기 장치의 측면 쪽에서만 꺼낼 수 있는 구조인 경우, 조작성은 양호하지 않다.
상기 (1)항에서 설명한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적충 트레이 이외에 별도의 저장소 트레이가 필요한데, 그 결과 장치가 대형화 된다. 이러한 것은 화상형성 장치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작아야 하는 경우에는 특히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장치의 대형화는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상기 (2)항의 구조에 있어서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저장소 트레이를 지지하는 장치 전체가 움직여야 한다. 또한 자동 급지기는 매 복사 세트마다 원고를 순환시켜야 한다. 복사할 세트 수가 많으면 원고가 손상된다.
상기 (3)항의 구조에 있어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소터가 직렬로 연결되므로 보다 큰 공간이 필요하며 게다가 제조 비용도 비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조작성이 양호하며 또한 저장소 트레이의 수를 초과하는 수의 종이 세트가 분류되어 수용될 수 있는 소형이며 저렴한 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인접하는 것들과의 사이의 공간에 종이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로 종이를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 수단과, 종이가 경사진 방향에서 전방 쪽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통로와, 종이가 상기 통로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경사지게 하는 종이 경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은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 내의 종이 모두를 서로 경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트레이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의 종이 후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종이가 수용 트레이에 의하여 어긋나게 수용되어서 종이 수용 트레이의 수를 초과하는 수의 세트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또 다른 개량된 사항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가 분류된 후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는 헬리컬 캠, 스테이플러, 덮개 등과 같은 장치의 부재들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앞쪽)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앞쪽에서 종이를 꺼낼 수 있으므로 조작성은 향상된다. 복수의 종이 세트가 하나의 종이 수용 트레이 상에 정렬되어 수용될 수 있고, 소형이며 가격이 저렴한 소트 및 수용 장치가 종이 수용 트레이 수를 초과하는 수의 종이 세트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하기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숙지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종이 후처리 장치(100)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200)와, 원고 자동 급지기(300)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를 자동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원과 자동 급지기(300)는 주 조립체(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주 조립체의 하류측에는 20개의 저장소 트레이(b : b1, b2, ..., b19, b20)를 구비하는 소터(100)가 설치된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200)의 주조립체는 공지의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므로 상기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다. 평판 유리(208)상에 놓인 원고의 화상은 도시되지 않은 광학 시스템을 통해 감광 드럼(201)에 투영되어서 정전기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잠상은 감광 드럼(201)에 인접한 현상장치(202)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되는데, 이것은 결국 전사 전극(203)에 의해 종이 위에 전사된다. 상기 전사된 화상은 정착 장치(205)에 의해 영구 화상으로 정착된다. 도시되어 있는 소터(100)는 수직으로 정렬된 저장소 트레이(b)들이 그 각각에 마련된 헬리컬 캠(4)의 1회전 마다 저장소를 하나씩 올리거나 또는 내리는 저장소 이동형으로 되어 있다.
주 조립체(200)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거친 종이는 배출 롤러(205')에 의하여 소터(100)로 보내지고, 플래퍼(1, 제2도)에 의해 선택적으로 소트 경로(6a)나 또는 비소트 경로(6b)로 보내어진다. 비소트 모드에서는 플래퍼(1)가 쇄선 위치에 유지되어 모든 종이가 비소트 경로(6b)를 통과하여 비소트 트레이(10)로 배출된다. 소트 모드에서는 플래퍼(1)가 실선 위치에 유지되어 모든 종이가 소트 경로(6a)를 통과하여 배출 롤러에 의해 배출되어서 동기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된다.
도면 부호 7로 도시된(파선)부분은 종이를 스테이플링하는 전동식 스테이플러인데, 이것은 저장소 트레이(b)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소터의 평면도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러(7)는 저장소 트레이 영역 밖의(실선의) 후퇴 위치(7a)와 상기 저장소 트레이(b)의 구석에 형성된 절결부(A) 안의(쇄선의) 작동위치(7b)사이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시스템에 의해 가동되어서 스테이플링 작업을 수행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 트레이(b)를 지지하는 저장소 유니트(8)는 비소트 트레이(10)로부터 기부 프레임(9)까지의 양 측면에 안내판(50)을 구비하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저장소 트레이(b)의 양 측면에 고정된 (트러니언)핀이 안내판(50)의 개구부(50a)에 삽입된다. 트레이는 종이 배출 방향의 상류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기부 프레임(9)의 후방 및 기부 측면에는 지지판(11)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판(11) 상에서, 회전축(14)이 상기 지지판(11) 상의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과 비소트 트레이(10)의 하부 측의 회전축(15)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4)의 상단부는 상부 아암(12)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하부 아암(13)에 고정된다. 섹터기어(16)가 지지판(11)상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위해 지지판(11) 상에 장착된다. 섹터 기어(16)는 하부 아암(13)에 고정된다. 지지판(11) 아래에는 펄스 모터(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펄스 모터(17)의 출력축에 고정된 기어(18)는 섹터 기어(16)와 맞물린다. 하부 아암(13)의 자유단과 상부 아암(12)의 자유단 사이에는 정렬봉(19)이 저장소 트레이(b)안에 형성된 절결부(B)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상기 정렬봉(19)은 섹터 기어(16)의 회전에 의해 선회한다. 하부 아암(13)에는 경량의 차단판(20)이 설치된다. 상기 경량의 차단판(20)이 하부 아암(13)과 하께 선회하면 기부 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된 원위치 센서(21)가 켜지고 꺼진다.
정렬봉(19)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저장소 트레이(b)에 형성된 절결부(A)를 관통하는 기준봉(22)이 설치된다. 상기 기준봉(22)은 종이 배출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레일(23)과 맞물려서 비소트 트레이(10) 아래 위치에 지지된다. 기준봉(22)의 한 단부는 안내 레일(23)과 평행으로 연장된 벨트(24)에 고정된다. 상기 벨트(24)는 비소트 트레이(8) 아래에 설치된 펄스 모터(25)의 풀리(26)와 공전 풀리(27) 둘레에서 진행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 정렬봉(22)은 저장소 트레이 영역 밖에 (스토퍼(b') 뒤에) 있는 원위치(P1)와 종이를 정렬시키고 종이를 밀어내도록 작동하는 작동위치(P2) 사이에서 움직인다. P1 위치는 센서로 감지되고 P2 위치는 소정의 펄스수를 공급하는 펄스 모터(25)로 감지된다. 안내 레일(23)은, 기준봉(22)이 저장소 트레이(b) 상에 (종이 배출 방향으로)종이를 밀어낼 때 이송 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위치(P1)와 위치(P2)가 수평 방향으로 짧은 거리 K만큼 약간 편의 (위치(P1)가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기준봉(22)의 방향이 경사 저장소 트레이와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어지게 한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주 조립체인 화상 형성 장치(200)와 종이 소터(100)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회로 CPU가 제어 및 통신을 위해 마련된다.
[실시예 1]
제5도 내지 제9도 및 제22도를 참조하여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1(S1)에서, 사용자는 서류 또는 원고(D)를 제1도에 도시된 자동 원고 급지기(300)의 원고 트레이(303)위에 놓는다. 행하려고 하는 복사 매수(n), 스테이플링 모드(예, 아니오) 등을 화상 형성 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조작 판넬에 입력하고서 사용자는 시작 키이를 작동시킨다.
스텝 2(S2)에서, 원고 매수(N1)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제어 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가 원고 매수를 입력하거나 또는 자동 원고 급지기(300)가 원고 매수를 검출하게 한다.
스텝 3(S3)에서, 제어 회로는 설정 매수(n)를 근거로 한 하나의 저장소에 수용되는 종이 세트의 수(N2)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장소 트레이 수는 20이다. 따라서 n=0-20이면 N2=1, n=21-40이면 N2=2, n=41-60이면 N2=3이다.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의 최대 수용 가능 수(N3)는 경험적으로 결정되어서 제어 회로에 저장된다. N1×N2N3인지 그 여부에 대하여 판별을 한다.
스텝 4(S4)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3(S3)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되는 종이 수는 수용 가능 한계를 초과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경고(소리 또는 표시)를 발한다.
스텝 5(S5)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3(S3)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원위치에 있는 기준봉(22)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을 위한 기준 위치인 위치(P2)로 이동한다. 정렬봉(19)이 그 원위치에서 배출되는 종이의 크기에 대응하는 준비 위치(19a)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예비 작동이 완결된 후에 스텝 6(S6) 및 스텝 7(S7)의 작동이 실행된다. 주 조립체인 화상 형성 장치(200)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들이 분류된다. 설정 매수(n)가 저장소 트레이의 수 20보다 크면 제1의 20세트가 분류되고, 설정 매수가 20 보다 작으면 n세트가 분류된다. 자동 원고 급지기(300)가 바닥부 종이를 분리해서 경로(301)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200)의 평판 유리(208)상에 급지하는데, 상기 바닥부는 원고의 마지막 페이지이다. 원고가 평판 유리(208)상에서 정지하면 도시하지 않은 광학 시스템이 작동하여 화상 형성 작업을 개시한다. 화상이 전사되어서 현상된 종이가 소트 경로(6a,제6도)를 통하여(배출 롤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저장소 트레이(b1)로 배출된다. 저장소 트레이(b1)로 배출된 종이는 저장소 트레이가 경사져 있어서 낮은 위치(쇄선)에 있게 되는 스토퍼(b')까지 자중에 의해 이동한다.
위치(19a)의 정렬봉(19)이 종이 크기에 대응하는 수의 펄스를 기준으로하여 작동하는 펄스 모터(17)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동하기 시작한다. 정렬봉이 종이의 측면에 맞닿은 후에 상기 정렬봉은 제1종이 위치(19b)로 이동해서 기준봉(22)에 종이의 반대쪽 단부가 맞닿게 된다(제6도). 이에 후속하여 정렬봉(19)이 준비 위치(19a)로 복귀하여 다음의 종이 배출을 준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장의 종이가 저장소 트레이에 적층된다. 후속해서 다음의 저장소 트레이가 헬리컴 캠(4)의 회전에 의해 배출 롤러 쌍과 정렬되고, 마지막 페이지의 원고에 대응하는 화상을 갖는 전사 종이는 그 측방 모서리가 기준봉(22)에 맞닿고 그 뒤쪽 모서리가 스토퍼(b')에 맞닿은 상태로 필요한 저장소 트레이 각각에 수용된다.
원고의 마지막 페이지의 화상 전사가 모두 완결되면 평판 유리(208) 위의 원고는 경로(302)를 통하여 급지되어 원고 트레이(303)상의 원고(D) 세트의 최상부면으로 배출된다.
복사한 원고와 복사하지 않은 원고 사이에 분할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기 원고들이 서로 구분되게 한다.
상기 작동은 원고의 매수 만큼 반복되는데, 이에 따라 소정의 복사 매수가 적충 및 정렬된다. 이 때에 원고 세트의 1회 순환이 자동 원고 급지기(300)에 의해 완료되고, 제 1페이지가 위에 놓인다.
스텝 8(S8)에 대해 설명한다. 스테이플링 모드가 스텝 1(S1)에서 선택된 경우 작동은 스텝 9(S9)로 진행하고,반면에 비스테이플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작동은 스텝 11(S11)로 진행한다.
스텝 9(S9) 및 스텝 10(S10)에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7a)에 있는 스테이플러(7)는 제어 회로 CPU로부터 작동 개시 신호를 받아서 작동 위치(7b, 파선)로 이동한다. 그 다음 스테이플러는 종이의 뒤쪽 구석에서 스테이플링한다. 이 때 종이는 기준봉(22)과 종이의 측방 모서리에 있는 정렬봉(19)에 의하여 한정되므로 종이들은 이것들이 스테이플링될 때라도 어긋나지 않는다. 스테이플링 후에 스테이플러(7)는 원위치(7a)로 복귀한다. 헤리컬 캠(4)이 완전한 1회전을 해서 다음 트레이상의 종이들을 스테이플링하기 위하여 저장소 트레이를 1단계 들어올린다.
상기 작동들을 반복하면 모든 종이들이 각각 스테이플링 된다.
스텝 11(S11)에서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기준 위치(P2)에 있는 종이의 측방 모서리에 맞닿는 기준봉(22)이 펄스 모터(25)에 의해 원위치(P1)로 이동한다. 기준봉(22)의 이동 경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거리(K)를 둠으로써 종이 세트의 측방 모서리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종이들은 이 이동 중에 어긋나지 않는다.
스텝 12(S12)에서 정렬봉(19)이 펄스 모터(17)에 의해 정렬 위치(19b)로부터 소정 거리 L1(L1K)에 있는 위치(19C) 만큼 이동한다. 정렬봉(19)이 이동하면 종이의 측방 모서리가 가압되어서 종이 세트가 장치의 전방 쪽을 향하여 스토퍼(b')를 따라서 제7도에 도시된 제2종이 위치로 밀린다.
스텝 13(S13)에서, 스텝 11(S11)에서의 후퇴 위치 (P1)에 있는 기준봉(22)은 위치(P2)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종이 후단부가 올라간다. 종이의 후단부는 기준봉(22)과 스토퍼(b')에 의하여 한정되고, 그 측방 모서리는 정렬봉(19)에 의하여 한정되어서 종이들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 트레이 상에서 경사지게 놓인다(제3종이 위치).
스텝 14(S14)에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봉(19)이 화살표(19d)로 나타낸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L2만큼 이동한다. 전방 덮개(30,31) 사이와 소터(100)의 경사면(30a,31a) 사이에는 종이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정렬봉(19)이 거리 L2 만큼 이동하면 종이의 끝부분(Sa)이 장치 밖으로 완전히 밀려 나오게 된다(제4 종이 위치). 정렬봉(19)과 기준봉(22)이 저장소 트레이 모두를 관통하므로 이에 따라서 상기한 작동들을 거쳐서 모든 저장소 트레이 상의 종이 세트는 헬리컬 캠(4), 스테이플러(7), 덮개 등을 우회하여 전방을 향하여 밀린다.
스텝 15(S15)에서 종이의 설정 매수(n)가 모두 분류되면 장치의 작동은 완결된다. 한편, 분류할 나머지 횟수가 남아 있으면 스텝 5(S5)로부터 스텝 14(S14)까지가 반복된다.
복수의 종이 세트가 저장소 트레이 각각에 적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한 작동을 거쳐서 제2종이 세트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저장소 트레이 상에서 경사져 있는 제4종이 위치에 있는 저장소 안의 제1세트 위에 정렬 및 적층된다. 스테이플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스테이플러(7)는 제4종이 위치(제1세트)와 제1종이 위치(제2세트)가 중첩되지 않는 위치(Sb)를 스테이플링하므로 제1종이 위치(제2세트)에 있는 종이는 스테이플링되지 않는다.
스텝 11(S11)과 유사하게 기준봉(22)이 원위치(P1)로 이동한다. 제1종이 세트의 후단부는 덮개(30)의 의하여 단부(30a)에 의하여 한정되므로 경사 위치는 흐트러지지 않는다(제11도). 후속해서 스텝 12(S12)부터 스텝 14(S14)가 작동하면 저장소 내의 제2종이 세트는 제4종이 위치로 밀어내어 진다. 제3 및 후속하는 세트에 대해서도 작동은 동일하므로 복수의 종이 세트가 각각의 저장소 트레이 상에 중첩되어서 스테이플로 묶음이 이루어진다.
정렬봉(19)이 제4종이 위치를 향아여 밀어내는 거리는 L2이지만 비소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 거리는 L2-Δℓ2이며 스텝 14(S14)에서 제3세트에 대해서는 L2-2×Δℓ2이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저장소 트레이 상의 복수의 세트가 Δℓ2만큼 어긋나서 구분되어 무리 묶음을 이룬다(제12도).
Δℓ2 만큼 어긋나게 하여 구분하는 무리 묶음은 스테이플링 모드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장치가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 상의 종이 세트들 사이에 공간적 구분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제4종이 위치의 종이들은 상기 종이 세트의 일부를 장치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일례로 상기 종이들은 종이 세트의 및 비경사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 2]
이전의 실시예에서 정렬봉(19)은 소트 작동을 완료한 후에 종이들을 제1종이 위치로부터 제2종이 위치로 또는 제3 종이 위치로부터 제4종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제1종이 이동 수단)의 기능을 한다. 또한 기준봉(22) 부재는 종이 정렬 작동 중에 종이의 측방 모서리를 위치시키는 기능을 하고 또한 소트 작동을 완료한 후에 종이들을 제2종이 위치로부터 제3종이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이 이동 수단(제2종이 이동 수단)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단들은 독립된 수단들이다. 다른 부재들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그에 대응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3도를 참고하여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종이 이동 수단(34)이 봉이 단부에 형성되어서 각각의 트레이 안에 형성된 개구부(B)를 정렬봉(19)과 함께 관통한다. 상기 수단은 구동 모터(펄스모터 등)에 의하여 축(35)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한다. 정렬봉(19)과 제1종이 이동 수단(34)은 간격을 가지고 분리되어서 별개의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방해되는 경향은 없다.
제2종이 이동 수단(33)은 제1실시예의 기준봉(2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종이 배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실선 위치와 쇄선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한다. 기준판(32)은 제2종이 이동 수단의 전방 쪽에서 덮개(30)의 안쪽에 고정되어서 정렬봉(19)과 대향된다. 본 실시예 장치의 작동은 제1실시예의 장치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9단계에서 소트 작동이 개시되면 저장소 트레이(b)로 배출된 종이는 정렬봉(19)에 의하여 밀리므로 종이의 한 단부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판(32)에 맞닿는다(제1종이 위치). 이 때 제1종이 이동 수단(34)과 제2종이 이동 수단(33)이 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작동에 대한 방해를 피한다. 스텝 11(S11)과 스텝 12(S12)의 작동은 생략된다. 스텝 13(S13)에서 제1종이 위치에 있는 종이들은 제2종이 이동 수단(33)에 의해 제3종이 위치로 보내어진다(제15도). 이에 후속하여 제1종이 이동 수단(34)에 의하여 제4종이 위치로 보내어진다(16도). 2이상의 종이 세트들을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에 상기 종이 세트들을 구분하여 무리지어서 수용하는 작동은 동일하다.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실시예는 처리 시간이 (스텝 11(S11)과 스텝 12(S12)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 만큼) 짧아진다. 또한 기준판(32)의 종이 접촉면은 (동일한 간격을 기준으로 비교할 때) 이전의 실시예의 기준봉(22)의 종이 접촉면보다 크다. 이러한 사실은 정렬 성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2에서처럼 정렬봉(19)과 제1종이 이동 수단(34)용의 구동원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정렬 작동(고속 및 저부하)과 종이 밀어내기 작동(저속 및 고부하)이 모두 실행될 수 있다(독립된 작동이 가능하다).
실시예 1의 정렬 및 밀어내기 작동 기능을 갖는 정렬봉(19)을 이용하며 또한 실시예 2의 기준판(32) 및 제2종이 이동 수단(33)을 구비하는 소터에도 동일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1의 정렬 및 밀어내기 기능을 갖는 기준봉(22)을 구비하며 또한 실시예 2의 정렬봉(19)과 제1종이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소터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덮개(30)의 단부(30a)는 복수의 종이들이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되는 경우(제12도) 제4종이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었지만,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접촉면에 부착된(일례로 고무인)고 마찰 재료(36)를 구비한 한정 부재(37)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4 종이 위치의 종이 세트들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한정 부재(37)는 제4종이 위치의 종이 세트(제18도)에 대해 후퇴가능하다. 이 경우 제4종이 위치의 종이들이 기준봉(22)의 위치(P2)에 지지었을 때에, 상기 한정 부재(37)가 종이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36a)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서 정렬봉(19)과 종이 밀어 내기 작동 사이에는 방해가 없게 된다.
기준봉(22) 부재가 위치(P1)로 후퇴하면 상기 한정 부재(37)는 종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위치(36b)로 이동하여 조절된다. 상기 한정 부재(37)를 구동시키는 플런저와 그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설치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제1정렬봉(19)과 제1종이 이동 수단(34)이 축을 중심으로 호형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지만 랙과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선형 이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하나의 저장소 트레이에 수용되는 종이 세트의 수가 2까지로 제한되면 그 제1 세트는 제3 또는 제4종이 위치(경사져 있음)에 배치되고, 그 제2세트는 정렬 위치(제1 종이 위치)에 배치된다(스텝9(S9)). 이렇게 하면 명확한 분리 묶음이 달성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제3종이 위치에서 제4종이 위치로의 밀어내기 작동(스텝14(S14))은 앞쪽에서 종이를 꺼내는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종이 세트들을 제3 종이 위치에서 용이하게 꺼낼 수만 있다면
그와 같은 밀어내기 작동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그 유리한 효과를 리드 캠(lead cam)을 이용하는 저장소 이동형 소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기구(950)에 의하여 인접하는 저장소들 사이의 간격이 확장된(일례로, 일본국 특허 공개 제17063/1983호와 같은) 종류, 제20도에 도시된 제네바형 소터(일본국 특허 공개 제223764/1985호), 저장소 고정형 마무리기 또는 1트레이 마무리기(일본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20046/1987호), 제21도에 도시된 2개의 소터 유니트(900)를 구비하며 소트대(901)와 종이 후처리대(902)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이동 가능한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1295/199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무제한 소터(903)용의 종이 후처리대에도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그 상세한 설명에 한정 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 또는 개량의 목적 범위 내에 속하는 변경 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종이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것들과의 사이의 공간에 종이를 수요하기 위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로 종이를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 수단과, 종이가 경사진 방향에서 전방 쪽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통로와, 종이가 상기 통로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경사지게 하는 종이 경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은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 내의 종이 모두를 서로 경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종이 배출 방향이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이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상기 종이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이동시킨 후에 상기 종이 경사 수단에 의해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종이가 경사지게 된 후에 상기 종이 이동 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종이를 경사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평행 이동한 거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경사 방향으로 종이를 평행 이동시키는 평행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종이가 경사진 후에 경사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종이 평행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평행 이동 수단에 의하여 평행 이동한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스테이플링하기 위한 스테이플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종이 배출 방향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변위기키는 변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은, 상기 변위 수단에 의하여 변위된 종이의 일부를 밀어냄으로써 종이를 경사지게 하는 경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종이를 경사 방향으로 평행 이동 시키는 평행 이동 수단과, 평행 이동하는 종이를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수단이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로 기준 위치에 하나씩 배출되는 종이를 정렬시키는 정렬 수단으로써 기능하며, 상기 정렬된 종이를 변위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이 정렬을 위한 기준 수단으로 기능하며, 종이가 변위되었을 때 후퇴 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수단은 종이가 상기 종이 경사 수단에 의하여 경사진 후에 이동 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는 종이 수용 측에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은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를 관통하며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의 경사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7.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종이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수단과, 인접하는 것들과의 사이의 공간에 종이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로 종이를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 수단과, 종이가 경사진 방향에서 전방 쪽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통로와, 종이가 상기 통로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경사지게 하는 종이 경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경사 수단은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 내의 종이 모두를 서로 경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종이 수용 트레이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 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18. 제17항 있어서, 복사할 원고를 순환시키는 자동 원고 급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종이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종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로 종이를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 수단과,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종이 배출 방향과 엇갈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종이 이동 수단과, 종이가 상기 장치의 전방 측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꺼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이가 상기 제1종이 이동 수단에 의하여 이동된 후에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제2종이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 장치.
  20. 종이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종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이 수용 트레이와,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로 종이를 배출시키는 종이 배출 수단과, 종이가 상기 장치의 전방 측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꺼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종이 수용 트레이 상의 종이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종이 이동 수단과, 종이가 경사지게 된 후에 경사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종이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후처리장치.
KR1019930018606A 1992-09-17 1993-09-16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0135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48006A JP2608367B2 (ja) 1992-09-17 1992-09-17 シート後処理装置
JP92-248006 1992-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792A KR940006792A (ko) 1994-04-25
KR0135065B1 true KR0135065B1 (ko) 1998-04-25

Family

ID=1717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606A KR0135065B1 (ko) 1992-09-17 1993-09-16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6579A (ko)
EP (1) EP0588340B1 (ko)
JP (1) JP2608367B2 (ko)
KR (1) KR0135065B1 (ko)
DE (1) DE6931199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50B1 (ko) * 2004-06-15 2007-07-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인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5913A (en) * 1994-07-06 2000-07-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cking apparatus capable of shifting sheets on bins
US5881337A (en) * 1996-04-18 1999-03-09 Minolta Co., Ltd. Sheet aligning apparatus and processing apparatus used for copying machine
JP3887251B2 (ja) * 2002-03-14 2007-02-28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9194A (ja) * 2005-03-17 2006-09-28 Ricoh Co Ltd 紙有通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22745A (ja) * 2005-07-15 2007-02-0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整合装置及び用紙後処理装置
JP4759345B2 (ja) * 2005-08-31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946568B2 (en) * 2007-11-08 2011-05-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stopper with two conveyors
US8955836B2 (en) * 2007-12-19 2015-02-17 Xerox Corporation Output tray nudging mechanism
JP2015137158A (ja) * 2014-01-21 201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5212203A (ja) * 2014-04-16 2015-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68A (en) * 1892-11-08 Railway-switch apparatus
US3774906A (en) * 1971-07-28 1973-11-27 Emf Corp Sorting and collating apparatus
US4015724A (en) * 1975-08-21 1977-04-0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ubstacks of business forms to develop balanced stacks
JPS5475761A (en) * 1977-11-28 1979-06-16 Ricoh Co Ltd Sheet receiver for copying machine
US4208122A (en) * 1977-11-28 1980-06-17 Ricoh Company, Ltd. Reproduction apparatus comprising sorting device
JPS6045103B2 (ja) * 1977-12-08 1985-10-07 株式会社リコー コピー仕分け制御方法
US4318539A (en) * 1977-12-01 1982-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llating sorting and stacking sheets concurrently
CA1100433A (en) * 1977-12-01 1981-05-05 Richard A. Lamos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llating sorting and stacking sheets concurrently
JPS54159966A (en) * 1978-06-05 1979-12-18 Canon Kk Sorter
JPS5640146A (en) * 1979-09-12 1981-04-16 Hitachi Ltd Air bubble massager
US4382592A (en) * 1979-09-24 1983-05-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llating sheets into sets and finishing thereof
US4376529A (en) * 1980-03-31 1983-03-15 Xerox Corporation Output station for reproducing machine
JPS57156957A (en) * 1981-03-20 1982-09-28 Hitachi Ltd Paper sheet holding device
JPS57195064A (en) * 1981-05-26 1982-11-30 Fuji Xerox Co Ltd Sorter in copying machine
JPH0234859B2 (ja) * 1981-07-22 1990-08-07 Canon Kk Shiitobunruisochi
JPS60102364A (ja) * 1983-11-08 1985-06-06 Canon Inc ソ−タ
JPS60223764A (ja) * 1984-04-20 1985-11-08 Canon Inc シ−ト分配装置
JP2560315B2 (ja) * 1987-03-09 1996-12-04 ミノルタ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
EP0301594B1 (en) * 1987-07-30 1996-06-1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orting apparatus with a stapler
JPH0395066A (ja) * 1989-09-05 1991-04-19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89453B2 (ja) * 1989-10-18 1996-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分類装置
JPH03293259A (ja) * 1990-04-11 1991-12-24 Duplo Corp 排紙スタッ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50B1 (ko) * 2004-06-15 2007-07-0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인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US8228514B2 (en) 2004-06-15 2012-07-2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int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bitmap data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1991T2 (de) 1998-02-05
EP0588340B1 (en) 1997-07-09
JP2608367B2 (ja) 1997-05-07
KR940006792A (ko) 1994-04-25
DE69311991D1 (de) 1997-08-14
EP0588340A3 (en) 1994-06-08
JPH0692540A (ja) 1994-04-05
EP0588340A2 (en) 1994-03-23
US5836579A (en) 199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7310B2 (ja) 多段ビンソータ
EP0298510B1 (en) Sheet sorter with stapler
US3944207A (en) Limitless sorter
KR0135065B1 (ko) 종이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JPH07187476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6227736A (ja) 用紙後処理装置
EP0666510B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2589305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7232852A (ja) ソーター
JPH07112864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H0620970B2 (ja) ステープラ付シート分類装置
JPH09309663A (ja) フィニッシャ
JP2872560B2 (ja) シート束移送手段を備えるシートとじ装置
EP0636499A2 (en) Sorter incorporating a stapler
JP3287677B2 (ja) シート束移送手段を備えるシート後処理装置
JP3709233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S6077065A (ja) シ−ト束処理装置
JP2551635B2 (ja) シート分類装置
JPH04128096A (ja) 用紙綴じ装置
JPH0768003B2 (ja) シート分類・綴じ装置
JP3363643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776455A (ja) シート記録・仕分装置
JPH069253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450872A (ja) フィニッシャ付きソータ
JPH053916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