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516B1 -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516B1
KR0128516B1 KR1019920019799A KR920019799A KR0128516B1 KR 0128516 B1 KR0128516 B1 KR 0128516B1 KR 1019920019799 A KR1019920019799 A KR 1019920019799A KR 920019799 A KR920019799 A KR 920019799A KR 0128516 B1 KR0128516 B1 KR 012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ar
layer
stretched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033A (ko
Inventor
마사오 다까시게
다께오 하야시
가쓰미 우쓰끼
다께히로 이와모도
Original Assignee
홍고오 무쓰미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고오 무쓰미, 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홍고오 무쓰미
Publication of KR93000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8Blends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28Next to second layer of polya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28Next to second layer of polyamide
    • Y10T428/31732At least one layer is nyl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39Nylon type
    • Y10T428/31743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46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 Y10T428/3175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757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나일론(Ny)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MXD6)를 40∼85 : 15∼60의 중량비로 함유하고 MD방향과 TD방향으로 모두 2.8배 이상의 배율로 연신시킨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다. 나일론(Ny)의 구체적인 예를 나일론 66(Ny66), 나일론 6-66 공중합체(Ny 6-66)등으로 구성한다. 이 인열 용이성 연신필름의 제조 방법의 기본은 튜우불러법에 의한 2축 연신 공정에 있어서 원 필름을 가열할 때, 버블을 겹쳐 포갰을 때의 폭방향 끝부분의 가열 온도가 후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가열 온도 보다 낮아지도록 버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어되어 있다. 필름에 열처리를 하는 공정에서는 튜우블러법 또는 텐터법에 따라 필름에 120℃∼190℃의 온도에서 제1단계 열처리를 하는 공정과 텐터법에 따라 필름에 190℃∼22℃의 온도에서 제2단계 열처리를 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5]
[표 6]
[표 7]
[표 8]
[표 9]
[표 10]
[표 11]
[표 12]
[표 13]
[표 14]
[표 15]
[표 16]
[표 17]
[표 18]
[표 19]
[표 20]
[표 21]
[표 22]
[표 23]
[표 24]
[표 25]
[표 26]
[표 27]
[표 28]
[표 29]
[표 30]
[표 31]

Description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제1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도.
제13도는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14도 및 제15도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다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도.
제16도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히이터에 의한 버블의 가열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제17도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버블의 겹쳐 포갠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제18도는 인열 용이성 연신의 필름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홈붙이 로울러의 사시도.
제19도는 2축 연신시의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을 나타낸 측면도.
제20도는 2축 연신시의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을 나타낸 정면도.
제21도는 보우잉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제22도는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다름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장지의 개략도.
제24도는 다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보우잉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인열 용이성(引裂容易性)필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자면 식품, 약품, 공업 제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대(包袋)의 기재(基材)필름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필름이 식품, 약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대의 시일(seal) 기재 (시일란트 : sealant)필름으로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LDPE 필름은 시일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안전하기는 하나 인열 저항이 너무 크기 때문에 포대의 개봉시에 잘린곳을 따라 똑바르게 절단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인열하기가 쉽고, 똑바르게 잘라지기 쉬운 특성을 필름에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발명이 이전부터 제안되어 있었다. 그 예로서 (가) 1축 연신(一軸延伸)필름을 중간층 필름으로 이용한 라미네이트 필름(일본국 특허 공고 소 58-38320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고 소 55-31725호 공보), 표면에 사용하는 필름에 기재 필름의 표면쪽에 미세한 상처를 내어 이 상처에 의하여 개봉하기 쉽도록 한 라미네이즈 필름, (다) 개봉되는 부분에 개봉용 테이프를 붙여둔 라미네이즈 필름 등을 들수 있다.
위에 나온 (가)의 라미네이즈 필름을 중간층이 하나 추가되기 때문에 재료비나 라미네이즈를 위한 가공비가 많이 소요된다. 중간층 필름으로서 1축 연신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1축 연신 필름의 사용은 강도면에서 전체적으로 기여하는 바는 없다. 위에 나온 (나)의 라미네이즈 필름에 있어서는 설사 표면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에 대하여 미세한 상처를 냄으로써 개봉성이 향상된다 하더라도 직선 커트(cut)특성은 기재의 특성에 따라 지배된다. 표면에 만들어주는 상처가 설사 약간 정도라 하더라도 강도 저하의 우려는 피할 수 없다. 위에 나온 (다)의 필름에 있어서는 개봉용의 테이프가 부가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부터 플라스틱 필름은 그 칫수 안정성을 얻을 목적으로 튜우블러(tubullar)법 등으로 2축 연신한 후에 필름 분자의 배향(背向)을 고정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를 하였다. 이러한 열처리를 있어서 편평하게 겹쳐 포갠 튜우브되면 상하 필름이 열에 용융되어 착 달라붙어버려 2매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의한 처리가 된 필름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플라스틱 필름이 특히 폴리아미드계와 같은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필름인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 텐터법(일본의 특허 공고 소 46-15439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튜우브 형상으로 2축 연신한 후에 편평하게 겹쳐 포갠 필름을 그 쪽방향의 양끝을 절개함으로써 2매의 각각의 필름으로 분리한 다음 각 필름 사이에 공극(空隙)을 가지도록 각 필름의 양끝을 클립(clip)으로 유지한상태에서 텐터에 도입한다. 그리고, 개량 텐터법외에 압축 공기 주입에 의하여 버블(bubble)형상으로 형성된 튜우브 형상의 필름에 대하여 열처리를 하는 튜우블러법을 채용하더라도 열에 의하여 착 달라 붙어버리는 문제를 피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위에 나온 개량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에 있어서는 열에 의하여 필름들이 서로 달라붙어버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으나, 보우잉(bowing)현상 (필름을 이동방향으로 연신할 때 중앙부의 연신이 양쪽 끝에 비하여 늦어지는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내리면 자연히 보우잉들은 저하하지만 보일(boi1), 레토르트(retort)등의 열처리시에 수축율이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본 발명은 우수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을 가지며, 충분한 충격 강도 실험까지 가진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과 이러한 특성이 양호하게 나타나도록 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 본 발명에 따른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나일론(Ny)과 메타크리실렌 아디프아미드 (MXD6)로 된 필름의 것으로, 상기 Ny과 상기 MXD6의 중량비는 40∼85 : 60∼15이고, 또한 이와 같은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의 MD방향(필름의 이동방향)과 TD방향(필름의 폭방향)쪽으로의 연신 배율이 각각 2.8배 이상이다.
(A-a) 나일론(Ny)이 나일론66(Ny66)인 경우.
Ny 66과 MXD6와의 중량비는, 예를 들자면 40∼85 : 60∼15이지만, 50∼80 : 50∼20의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MXD6의 비율이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MXD6의 비율이 60보다 클 경우에는 충격 강도가 대폭으로 저하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하게 된다. 한편, Ny66은 인열이 용이한 필름의 내열성을 목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인열이 용이한 연신 필름의 제조는 Ny66과 MXD6를 중량비 40∼85 : 60∼15로 먼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여 냉각한 원(原)필름(raw film)을 MD 방향과 TD방향으로 함께 2.8배 이상의 배율로 연신함으로써 실시하게 된다. 더욱이 원 필름은 MD방향과 TD방향으로 함께 2.8배 이상으로 연신하지만, 바람직하게는 3.0배 이상이다. 그 이유는 연신 배율이 2.8배 보다 작으면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함께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충격 강도도 마찬가지로 저하하므로 실용상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상의 설명중에서 사용된 연신이라는 용어는 튜우블러법에 의한 동시 2축 연신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적절히 가할 수가 있다. 이용 가능한 첨가제로서는 안티블록킹제(예 : 무기 충전제 등), 발수제(撥水劑) (예 :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 에스테르등), 윤활제(예 : 스테아르산 칼슘 등)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인열이 용이한 연신 필름은 다른 필름과의 적층(積層)이 가능하다.
(A-b) 는 나일론(Ny)이 나일론 6-66 공중합체(Ny6-66)인 경우
Ny6-66과 MXD6와의 중량비는, 예를 들자면 40∼85 : 60∼15이지만 50∼80 : 50∼20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MXD6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의 특성은 위의 (A-a)에서 이미 설명한 Ny이 Ny66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Ny6-66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수축성을 부여함을 목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제조 조건은 Ny이 Ny66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앞서 나온 Ny66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도 2층, 3층 등의 복수층의 필름으로 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내의 하나의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한가지 예로서 제1층 필름이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제2층 필름이 각종 기재 필름, 그리고 제3층 필름이 각종 시일란트 필름으로 구성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1층 필름과 제2층 필름과의 구성은 역(逆)으로 되어도 좋다. 제2층 필름으로서의 기재 필름의 재료로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EVOH(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누화물), PVA(폴리비닐 알코올), PP(폴리프로필렌), PVDC(폴리염화 비닐리덴),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PS(폴리스티렌)등의 2축 혹은 1축 연신 필름 또는 무연신 필름이 적당하다. 그 외에 알루미늄 박(箔)과 같은 금속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3층 필름으로서의 시일란트 필름의 재료로는 L-LDPE(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B(폴리부텐-1), CPP(미연신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머,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적당하지만, 이들의 혼합물을 시일란트 필름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필름이 층상으로 적층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방식으로서는 익스쿠루젼 라미네이트(extrusion lamination), 핫멜트(hot-melt) 라미네이트, 드라이(dry)라이네이트, 웨트(wet)라미네이트등이 적절하다.
(A-c) 인열 용이성 필름에서의 나일론(Ny)이 나일론 6(Ny6)인 경우.
특히, 이것이 2층내의 제1층으로 사용되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로 된 제2층과 두께비율 2 : 1∼1 : 2로 적층될 경우.
이 경우에 있어서, 제1층에서의 Ny6과 MXD6가 위의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의 특성은 위의 (A-a)에서 설명한 Ny이 Ny66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EVOH로 된 층을 적층하면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가스 배리어성(gas barrier성(性))을 기대할 수 있다. 제2층에 있어서의 EVOH의 에틸렌 함유율은 예컨대 25∼45몰 %이지만, 29∼38몰 %인 쪽이 보다 좋다. 에틸렌 함유율이 25몰 %보다 작으면 2층 성형이 곤란하고, 또한 45몰 %보다 크면 가장 중요한 가스 배리어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제1층과 제24층의 두께 비율에 관하여 제1층이 두께가 제2층의 두께의 1/2보다 작게 되면 본 발명의 본래의 목적인 인열 용이성이 저하한다. 그리고, 제1층과 제2층을 일체로 적층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적층은 임의로 가능하다. 그 예가 제1도 내지 제4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1도는 제2층(32)의 양면에 제1층(31)이 각각 적층된 3층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는 제1층(31)과 제2층(32)이 적층된 2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3층 구조의 양면에 Ny6등의 제3층(33)을 적층한 5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제1층(31)의 양면에 제2층(32)을 각각 적층한 3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들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와 있는 각 필름의 두께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데, 표준으로서 대략 8∼50㎛정도이다. 그리고, 제1층과 제2층이 일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다른 필름과 적층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예로서는 제5도와 제6도에 나와 있다.
이들 도면에서 위에 나온 구성을 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설명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을 구성하는 복수 필름내의 하나로서 취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5도는 2매의 기재 필름(41,42),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43), 시일란트 필름(44)의 순서로 적층된 4종류의 필름으로 구성된 인열이 용이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6도는 1매의 기재 필름(41)에 대하여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43)과 시일란트 필름(44)의 순서로 적층된 3종류의 필름으로 구성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A-d) 나일론(Ny)이 나일론 6(Ny6)인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중간의 제2층으로 취급하고, 제2층의 양면에 제1층과 제3층으로서의 Ny6 및 MXD6을 포함하는 층이 다시 적층될 경우.
제1층과 제3층에 있어서의 Ny6과 MXD6의 중량비는 60∼95 : 40∼5이다. 단, 제2층에서의 MXD6의 Ny6에 대한 함유량은 제1층과 제3층에 있어서의 MXD6의 함유량 보다 많다.
이 경우, 제1층과 제3층에 있어서의 Ny6과 MXD6와의 중량비는 예컨대 60∼95 : 40∼5이지만 70∼90 : 30∼10의 쪽이 바람직하다. 제1층과 제3층에 있어서의 Ny6의 비율이 60보다 작으면 내(耐) 핀홀성(pinhole 성(性)) 저하한다. 역으로 Ny6의 비율이 95보다 많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인 직선 커트 특성이 저하한다. 제1층과∼제3층의 두께의 비율은 예컨대 1 : 8 : 1∼4 : 2 : 4지만, 15 : 70 : 15∼35 : 30 : 35의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또는 제3층)과 제2층과의 두께의 비율은 예컨대 1 : 8∼2 : 1이지만, 15 : 70∼35 : 30의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비율이 1/8보다 작을 경우에는 내핀혹성이 저하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제1층과 제3층의 두께의 비율은 1 : 2∼2 : 1이다. 제7도는 제1층(31), 제2층(32) 및 제3층(33)의 순서로 적층된 3층 구조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나타내고 있는데, 각 층의 적층 순서는 이들 제1층∼제3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는 특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있어서도 앞서 나온 (A-a)∼(A-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층∼제3층이 일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다른 필름과의 적층은 가능하다.
(A-e) 나일론 (Ny)을 나일론 6(Ny6)으로 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시일란트 필름이 적층되고 더욱이 다른 필름도 복수 적층될 경우.
제8도와 제9도에 그 예가 나와 있다. 제8도는 제1층 필름으로서의 각종 시일란트 필름(44), 제2층 필름으로서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43), 제3층 필름으로서의 각종 기재(41)의 순서로 적층된 3층 구조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9도는 제2도 필름으로서의 각종 기재 필름(41,42), 제3층 필름으로서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43), 제4층 필름으로서의 각종 시일란트 필름(44)의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조 필름을 나타내고 있다.
(B) 본 발명에 따른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나일론(Ny)과 메타크실렌 아디프아미드(MXD6)를 40∼85 : 60∼15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로 부터 용융 합출하여 원(原) 필름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원 필름을 튜우블러법을 이용하여 MD 방향과 TD 방향으로 함께 2.8배 이상의 배율로 2축 연신하고, 연신된 필름을 편평하게 겹쳐 포갠 다음 열처리하는 공정으로 되어 있다.
(B-a) 압출기에 의한 용융 압출 공정전에는 원료 혼합물을 3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부가하여도 좋다.
후공정 단계에서 실시되는 연신 공정전에 300℃ 이하의 온도에서의 원료 혼합물의 용융 혼련 공정을 두면 양호한 두께 정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원료 혼합물의 용융 혼련 공정에서 사용되는 혼련기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지만,2축 혼련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융 혼련시의 용융물의 온도는 300℃ 이하로 유지하여 둘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온도가 300℃ 이상이 되면 연신시의 성형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제조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충격 강도와 직선 커트 특성도 악화한다.
(B-b) 튜우블러법으로 2축 연신하는 공정에 있어서 버블(bubble) 형상의 원 필름을 겹쳐 포갤 때의 쪽방향 끝부분의 가열 온도가 나중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분의 가열 온도 보다 낮아지도록 버블형상의 원 필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온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시의 가열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후공정 단계에서의 열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보우잉 현상과는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이 계획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보우잉율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기대하기 위한 히이터와 나중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를 각각 온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의 폭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의 온도는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 보다 10∼100℃, 바람직하게는 20∼90℃ 낮게 한다. 또한, 제품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의 온도는 전체 히이터의 핑균 온도 보다 10∼100℃, 바람직하게는 20∼90℃ 높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각 히이터의 온도 차이가 10℃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낮게 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효과, 즉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이 기대하는 정도까지 나타나지 않고 100℃를 넘어서 낮게 하면 연신층의 버블의 형상이 안정되지 않는다. 필름을 겹쳐 포갤 때의 폭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와 제품으로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를 개별적으로 온도 제어하자면, 예컨대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의 폭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하여 2개, 그리고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하여 2개, 모두 4개의 히이터를 설치한다. 또한, 버블 형상의 원 필름 전체 주위에 걸쳐 온도 기울기는 될 수 있는 한 완만한 쪽이 좋으므로 히이터를 4개 이상 설치하여 필름에 대한 가열 제어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필름의 폭방향의 가장 끝부분의 가열 온도가 최저가 되고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의 대략 중앙부의 가열 온도가 최고가 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원 필름의 열처리는 필름의 융점 (220℃)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B-c) 편평하게 겹쳐 포갠 필름의 열처리는 튜우블러법에 의한 120∼190℃의 온도하에서의 제1단계 열처리 공정과 텐터법에 의한 190∼190℃의 온도하에서의 제2단계열처리 공정의 두가지 공정에 걸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2단계 열처리는 결과적으로 보우잉 현상을 낮게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품으로 제조된 필름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직선 커트 특성은 향상된다. 또한, 열처리 단계에서 많이 발생하는 점착과 융착이 미연에 방지된다. 튜우블러법에 따라 실시되는 제1단계 열처리는 예컨대 120∼190℃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40∼190℃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40∼190℃이다. 온도가 120℃보다 낮을 경우에는 필름이 말리는 경향, 즉 커얼링(curling)경향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양쪽 끝을 제자리에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온도가 190℃보다 높을 경우에는 필름끼리 융착되기 때문에 제1단계 열처리후에 필름을 2매로 1매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열처리 시간은 1초 이상이 바람직 하다. 1초 이하일 경우에는 열고정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EEH한, 처리시간의 상한은 특히 없지만 처리 시간이 길수록 큰 연신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열처리 시간은 대략 1∼30초 정도가 표준이다. 제1단계열처리에서 필름의 이완율은 15%이하(MD방향 및/ 또는 TD 방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설정한다. 필름의 양간 이완시킨 상태에서 열처리를 함으로써 필름의 결정화도가 높아지고 수축율의 저하가 달성된다. 그 결과, 칫수 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은 튜유블러법에 의한 열처리에는 보우잉율이 0이다. 더욱이, 수축응력이 저하하므로 제2단계 열처리에 의한 보우잉율이 결과적으로 감소한다. 즉, 필름쪽 방향에 있어서의 물성의 이방성(異方性)이 감소하고, 그 결과 직선 커트 특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텐터법에 따라 실시되는 제2단계 열처리는 190∼220℃의 온도 범위에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90∼215℃이다. 190℃보다 낮을 경우에는 수축율이 크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220℃보다 높을 경우에는 필름끼리의 융착이 발생하여 2매의 제품으로 권취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열처리 시간에 대해서의 조건은 위에 나온 제1단계와 제2단계 열처리 공정 사이에 필름의 폭방향 양끝을 각각 절개하여 2매의 필름으로 분리하고 양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개재한 상태에서 제2단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편평하게 겹쳐 포개진 필름의 열처리 공정에 관하여 제1단계 열처리를 위에 나온 튜우블러법 대신 텐터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열처리 온도는 예컨대 120℃∼190℃가 바람직하다. 120℃보다 낮으면 제2단계 열처리에 2매의 필름이 융착을 일으켜 폭방향의 직선 커트 특성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역으로 190℃보다 높으면 제1단계 열처리 공정에서 2매의 필름의 융착이 발생한다. 더욱이,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 시간과 필름 이완율의 조건은 튜우블러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와 비교예의 설명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과 제3항에 관한 시험예는 실험예 1∼실험예 11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1∼비교예 8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과 제5항에 관한 실험예는 시험예 12∼실험예 12∼실험예 22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9∼비교예 16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제8항에 관한 실험예는 시험예 23∼실험예 40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17∼비교예 30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과 제10항에 관한 실험예는 실험예 41∼실험예 59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31∼비교예 41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에 관한 실험예는 실험예 60∼실험예 67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42∼비교예 48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2항에 관한 실험예는 실험예 68∼실험예 73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49∼비교예 52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제17항과 관련된 실험예는 실험예 74∼실험예 80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53∼비교예 58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8항에 관한 실험예는 실험예 81∼실험예 86이고, 이들의 비교예는 비교예 59∼비교예 63 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9항에 관한 실험예는 실험예 87∼실험예 93이고, 이들의 비교예 64∼비교예 70이다.
실험예 1
나일론 66(Ny66)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 (MXD6)를 80 : 20의 중량비율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중에서 28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다음, 이 용융물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하고, 이어서 물로 급냉함으로써 원(原) 필름(11) (제12도 참조)을 먼저 제조한다.
Ny66으로서 사용한 것은 일본국의 字部與産(株) 제의 나일론 66 [UBE 나일론 2026(상품명), 상대점도 ηr=3.5]이다. 또한, MXD6로서 사용한 것은 일본국의 三菱가스화학(株)제의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 [MX 나일론 6007(상품명), 상대점도 ηr=2.7]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원 필름(11)을 제12도에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핀치 로울러(12) 사이를 통과 시킨 후, 내부에 기체가 압입된 상태에서 히이터(13)로 외부에서 가열한다. 원 필름(11)이 2축 연신되기 시작하여 버블(16)로 성장하는 개시점 근처에서 에어 링(air ring)(14)으로부터 에어(15)가 송입된다. 그리고, 버블 (16)은 하류쪽의 한쌍의 핀치 로울러(17)에서 연속적으로 끌어당긴다. 이러한 공정을 거침으로써 튜우블러법에 의한 MD 방향과 TD 방향으로 동시 2축 연신을 실시하게 되며, 이때의 배율은 양방향 어느쪽이나 3.0배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2축 연신 필름은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로에 보내진다. 이때, 필름은 210℃의 온도에서 열고정되고 2축 연신 필름으로 된다. 그리고, 이 2축 연신 필름은 Ny66과 MXD6를 함유하는 단층의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두께 15㎛)은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되고,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필름[Unilax LS-722(상품명), 일본국의 出光石油化學(株) 제의 두께 50㎛]과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따라 적층되어 본 실험예에서의 인열이 용이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다.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대기(製袋機)에서 인열이 용이한 포대(包袋)로 된다. 첨부된 표 1에는 제조된 단층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인열(引裂)강도와 충격 강도 [필름 임펙트(film Impact)]의 측정 결과, 인열 용이성 및 직선 커트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도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을 마찬가지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2에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의 실용성을 목적으로 낙하 강도 시험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그리고, 인열 강도는 필름의 연신 방향에서의 JIS-ZI702 에 준한 엘레멘도르프 인열강도(kg/cm)를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또한, 충격 강도는 일본국의 東洋精機(株)제의 필름 임팩트 테스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이 경우 고정된 링 형상의 필름쪽을 향하여 반원구상의 진자(振子) (직경 1/2인치, 중량 30kg-cm)가 충격을 가해 필름에 구멍이 나는데 소요된 충격 강도가 측정되어 있다. 측정 결과는 충격 강도가 4500kg·cm/cm 이상인 경우에는 ○표, 또한 4500kg·cm/cm미만인 경우에는 ×표로 나타내었다. 충격강도가 4500kg·cm/cm 보다 작으면 표면용기재로서의 성능이 저하하기 때문에 액체 포장용 기재로서의 실용성은 부족하다. 인열 용이성의 평가는 엘레멘도르프 인열 강도값 E가 E≤7kg/cm인 경우에는 ×표, 그리고 7kg/cm E≥9kg/cm 인 경우에는 ○표, 그리고 7kg/cmE9kg/cm인 경우에는 △표, E≥9kg/cm인 경우에는 ×표로 나타내었다. 값 E가 9kg/cm 이상이 되면 인열 용이성이 현저하게 악화함과 아울러 직선 커트 특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직선 커트 특성 평가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한다. 제13도에 있는 바와 같이 폭 20cm인 필름(11)에 예컨대 2cm의 소정 간격(Ws)으로 절단자국(21)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필름 (11A)이 이들 절단자국(21)을 따라 한쪽 끝에서부터 인열된 후의 필름편 (11A)의 다른쪽 끝(22)의 폭(We)을 측정한다. 필름편 (11A)의 한쪽 끝의 폭 (Ws)과 다른쪽 끝의 폭(We)의 편차(α)는 아래식으로 구할 수 있다.
α= [(Ws-We)/Ws] × 100
본 실험예에서는 이와 같은 측정을 10매의 필름편 (11A)에 대하여 하고 있는데, 이 경우 편차(α)의 평균치는 10% 미만인 경우에는 ◎표(직선커트 극성이 극히 양호), ±10%≤α≤±30%의 경우에는 ○표(직선 커트 특성이 양호),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직선커트 특성이 불량)를 각각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평균치가 ±30%를 초과하여 버리면 필름(11)을 똑바로 절단하기가 곤란하다. 낙하 강도 시험은 물과 부동액이 같은 양으로 혼합된 액체 150cc가 들어있는 인열 용이성 포대 (130mm×150mm)가 포대 표면과 뒷면이 지상의 낙하점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높이 2m의 위치로 부터 반복하여 20회 낙하했을 때 포대가 파멸되는가 아닌가의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실시한다. 단, 시험 온도는 -20℃이다. 낙하 시험은 준비된 포대 10개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다. 그 결과는 포대가 파멸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표 (실용적으로 적합), 포대 1개 또는 2개가 파멸된 경우에는 ○표 (실용적인 내구성이 있음), 포대 3개 이상이 파멸된 경우에는 ×표 (실용적인 내구성이 없음)를 각각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1과 표 2의 종합 평가란에서 사용된 기호에 있어서, ◎는 극히 양호, ○는 양호, ×는 불량을 각각 의미한다.
실험예 2∼실험예 11
실험예 2∼실험예 11에 의한 단층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위의 실시예 1에서의 Ny66과 MXD6의 혼합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1에 있는 바와 같이 변경하여 제조한다. 그리고, 그 제조 방법은 위에 나온 실험예 1과 같다. 또한, 이 연신 필름(두께 15㎛)이 표면용 기재 필름으로 이용되고, 표 2에 있는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각 필름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됨으로써 각 실험실에 따른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이 제조된다. 더욱이, 실험예 2∼실험예 9에 있어서 기재 필름에 적층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가 50㎛인 L-LDPE필름이다. 또한, 실험예 10에서 사용된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가 60㎛인 캐스트 폴리프로릴렌 (CPP)이다. 또한, 실험예 11에서 사용된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가 60㎛인 L-LDPE에 대하여 두께 20㎛의 PE를 적층한 필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신 필름은 PE 쪽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대기(製袋機)에서 포대로 제조 된다. 실험예 2∼실험예 11의 조건에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대해서도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각종 특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표 2에는 실험예 2∼실험예 11에서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되어 있다. 또한, 포대의 낙하 강도 실험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비교예 1∼비교예 8
비교예 1∼비교예 8은 위의 실험예 1에 있어서 Ny66과 MXD6의 혼합 비율과 연신 배율이 표 3에 있는 바와 같이 변경된 경우의 단층 연신 필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제조 공정은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 기재 필름으로 이용하여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필름 (두께 50㎛)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비교예 1∼비교예 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각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비교예 1∼비교예 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포대를 제조할 수 있다. 비교예 1∼비교예 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해서도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와 있다. 그리고, 표 4에는 비교예 1∼비교예 8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 및 직선 커트 특성이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되어 있다. 또한,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도 아울러 실시하였는데 이들 결과는 표 4에 나와 있다.
실험예 1∼실험예 11 및 비교예 1∼비교예 8의 고찰
표 1로 부터 아래의 사항을 고찰할 수 있다. 실험예 1∼실험예 1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단층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Ny66과 MDX6을 40∼85 : 60∼15의 중량비로 함유하고 제조 공정에서 실시되는 2축 연신시의 배율이 MD방향과 TD방향중 어느쪽의 방향에서도 2.8배 이상이므로 어느쪽의 실험결과를 보더라도 인열 강도가 7.0kg/cm이하로서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다. 또한,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하다. 더욱이, 충격 강도가 어느것이나 5000kg·cm/cm 이상으로서 우수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표 2에서 본 실시예 1∼실시예 1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포대로 가공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다. 또한,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하다. 낙하 실험에서도 포대 파열은 거의가 전혀 없고 충분한 실용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3에서 아래의 사항을 고찰 할 수가 있다. 비교예 1,2 및 3에 의한 연신 필름은 연신 배율이 본 발명내에서 기도하고 있는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Ny66의 함유 비율이 85이상이고 MXD6의 함유 비율이 15이하(0도 포함)이므로 충격 강도는 충분하지만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4와 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연신 배율이 본 발명내에서 기도하고 있는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Ny66의 함유 비율이 40이하(0도 포함)이고 MXD6의 함유 비율이 60이상이므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은 양호하지만 충격 강도가 불충분하다. 비교예 6,7 및 8의 조건으로 제조 되는 연신 필름에 관해서는 Ny66과 MXD6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내에서 기도 하고 있는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으나 연신 배율이 어느것이나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범위보다 작기 때문에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가 불량하다. 표 4로 부터는 비교예 1,2 및 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낙하 시험에서는 포대 파열이 나타나지 않고 실용 강도는 충분하나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4와 비교예 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과 직선 거트 특성이 우수하나 낙하 시험에서의 포대 파열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실용 강도가 불량하다. 비교예 6,7 및 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하다.
실험예 12
나일론 6-66 공중합체(Ny6-66)와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 (MXD6)를 80 : 2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중에서 260℃의 온도에서 먼저 용융 혼련한다. 이 용융물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한 후 물로 급냉하여 원 필름 (11)을 제조 한다. Ny6-66는 일본국의 字部與産(株)제의 나일론 6-66 공중합체 [UBE나일론 5023(상품명), 상대점도 ηr=3.6]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원 필름(11)을 제12도에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의 공정에 따라 동시 2축 연신하는데, 이때의 연신 배율은 MD방향과 TD방향중 어느쪽 방향에 대해서도 3.0배이다. 이 연신된 필름을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속으로 도입하여 160℃의 온도에서 열고정함으로써 본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얻게 된다. 이 연신 필름은 단층 구성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다. 이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이용하여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 필름[Unilax LS-722C(상품명), 두께 50㎛]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적층함으로써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한다.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製袋)하여 인열 용이성 포대를 제조한다. 표 5와 표 6에는 연신 필름에 관한 인열 강도와 충격 강도의 측정 결과가 나와 있다. 또한, 인열 용이성 및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그리고, 표 7에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연신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가되어 있다. 더욱이,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도 실용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신 필름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본 결과 MD방향/TD방향 =30%/29%라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축율은 MD방향/TD방향 =26%/25%이었다. 더욱이, 수축율은 필름 표면에 10cm간격으로 그은 표선(漂線)의 열수(熱水)처리전의 길이(lo)와 95℃에서의 열수 처리후의 길이(ls)와의 차이 △ls를 구하여 식(△ls/lo)×100(%)에 따라 계산하여 구하였다.
실험예 13∼실험예 22
이들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단층의 인열 용이성 필름은 상기 실험예 12에서의 Ny6-66과 MXD6과의 혼합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5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험예 12와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여 표7에 나와 있는 각 필름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에 따라 적층함으로써 각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이 된다. 더욱이, 실험예 13∼실험예 20에 있어서 기재 필름에 적층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L-LDPE필름이다. 그리고, 실험예 22에서 사용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60㎛의 L-LDPE 필름에 대하여 PE가 두께 20㎛로 적층된 필름(단, 인열 용이성 필름은 PE쪽에 적층됨)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함으로써 실험예 13∼실험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포대로 가공된다. 실험예 13∼실험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포대로 가공된다. 실험예 13∼실험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해서도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실험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5와 표 6에 나와 있다. 또한, 실험예 13∼실험예 22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해서도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을 실험예 12와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더욱이,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도 하였는데 이들 결과는 표 7에 나와 있다. 그리고, 실험예 1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의 수축율은 MD/TD=32%/30% 이었다. 이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축율은 MD/TD=28%/26% 이었다. 또한, 실험예 17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의 수축율은 MD/TD=33%/33%이었다. 이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축율은 MD/ TD=29%/29% 이었다.
비교예 9∼비교예 16
비교예 9∼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단층의 연신 필름은 상기 실험예 12에서의 Ny6-66와 MXD6와의 혼합 비율과 연신 배율을 표 8이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험예 12와 마찬가지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이들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여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필름 (두께 50㎛)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비교예 9∼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포대로 가공한다. 표 8과 표 9에는 비교예 9∼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한 각종 특성의 측정 결과와 평가가 실험예 12와 마찬가지로 나타나 있다. 표 10에는 비교예 9∼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실험예 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가되어 있다.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도 실시하였다. 비교예 14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의 수축율을 측정한 결과 MD/TD=29%/28%이었다. 비교예 1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의 수축율은 MD/TD=31%/30%이었다. 또한, 비교예 9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축율은 측정한 결과 MD/TD=25%/23%이었다. 비교예 1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경우는 MD/TD=27%/26% 이었다.
실험예 12∼실험예 22 및 비교예 9∼비교예 16의 고찰
표 5와 표 6으로부터 실험예 12∼실험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Ny6-66와 MXD6를 40∼85 : 60∼15의 비율로 함유하고, 2축 연신할 때의 연신 배율이 MD방향과 TD방향 모두 2.8배 이상이다. 따라서, 이들중 어느 한가지 실험예에서 제조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도 인열 강도가 7.5kg/cm이하라는 우수한 인열 용이성을 나타낸다. 또한,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한 것으로 고찰된다. 그리고, 충격 강도에 관해서도 6000kg·cm/cm 이상의 높은 충격 강도를 보이고 있다. 표 7로부터 실험예 12∼실험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고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하다. 또한, 이와 같은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가공된 포대의 낙하 시험 결과에서는 포대 파열이 거의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제조된 포대는 충분한 실용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에 대하여 표 8과 표 9의 비교예 9∼비교예 11에서 나타나 있는 조건하에서 제조되는 연신 필름으로 부터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찰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본 발명이 예정하는 범위내에 들어가지만 Ny6-66의 함유 비율이 85이상이고 MXD6의 함유 비율이 15이하(0도 포함)이어서, 결과적으로 이들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충격 강도는 충분하나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또한, 표 10으로 부터는 아래의 사실을 고찰할 수 있다. 즉, 비교예 9∼비교예 1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하여 낙하 시험에서의 포대 파열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실용 강도는 충분하다고 판단되나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12와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연신 필름에 관해서는 연신 배율은 본 발명이 예정하는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으나, Ny6-66의 함유 비율이 40이하(0도 포함)이고, MXD6의 함유 비율이 60이상이므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은 양호하지만 충격 강도는 불충분하다. 비교예 12와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은 양호하지만 충격 강도는 불충분하다. 비교예 12와 비교예 1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은 양호하지만 낙하 시험에 있어서 포대 파열이 상당 회수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실용 강도가 불충분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14∼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연신 필름에 관해서는 Ny6-66와 MXD6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범위내에 포함되지만 이들중 어느것이나 그 연신 배율은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범위보다 작기 때문에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가 양호하지 아니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9∼비교예 1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하다.
실험예 23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아래와 같이 해서 제조한다. 나일론 6(Ny6)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MXD6)를 60 : 4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직경 40mm)를 사용하여 27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고,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을 다른 압출기(직경 30mm)를 사용하여 22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이들 용융물을 직경 90mm의 다층(多層) 서어큘러 다이에서 Ny6+MXD6/EVOH/Ny6+MXD6(층의 두께비는 2 : 1 : 2)의 3층 필름으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함으로써 원통상의 원 필름(11)을 먼저 제조한다. 그 구조는 제1도에 나와 있다. 사용된 Ny6은 일본국의 字部興産(株) 투라레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bar F(상품명) : 에틸렌 함유율 32몰%]이다. 이어서, 원 필름(11)을 제12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설명한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동시 2축 연신하는데, 이때의 연신 배율은 MD방향과 TD방향 모두 3.0배이다. 연신된 필름을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로에 보내서 여기서 210℃의 온도에서 열고정함으로써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단층 구조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 된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아래와 같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 기재 필름으로 이용하고, L-LDPE필름[Unilax LS-722C(상품명), 두께 50㎛]을 시일란트 필름으로 이용하여 이 두가지를 드라이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로 가공하면 인열 용이성 포대를 제조할 수 있다. 표 12에는 본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인열 강도 충격 강도의 측정 결과 및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또한, 표 13에는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고,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실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도 하였다.
실험예 24∼실험예 40
이들 실험예의 대상이 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상기 실험예 23에서의 Ny6과 MXD6의 혼합 비율, EVOH의 에틸렌 함유율, 층의 두께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11에 있는 바와 같이 바꾸어 제조한 것이다. 그 제조 방법은 실험예 23과 동일하다. 표에서 원료 조성의 란에서 제1층과 제3층의 수치는 중량 비율을 나타낸다. 제2층의 수치는 에틸렌 함유율(몰%)을 나타낸다. EVOH로 사용된 것은 일본국의 (株)쿠라레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Ebar F(상품명) : 에틸렌 함유율 32몰%, Ebar L : 29몰%, Ebar H : 38몰%, Ebar E : 45몰%]이다. 이들 실험예에서 규정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고 표 13에 있는 각 필름을 시일란트 필름으로 사용하여 이들 두가지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실험예 24∼실험예 38에서 사용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L-LDPE필름이다. 실험예 39에서 사용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EVA필름이다. 실험예 40에서 사용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60㎛의 L-LDPE필름에 대하여 PE가 두께 20㎛로 적층된 필름(단, 인열 용이성 필름은 PE쪽에 적층됨)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함으로써 인열 용이성 포대를 제조한다. 표 11에는 실험예 24∼실험예 4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3층 구조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각종의 특성 측정과 평가도 아울러 나와 있다. 또한, 표 13에는 실험예 24∼실험예 40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과의 평가 결과와 위와 같이하여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의 낙하 강도 시험 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고,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가스 배리어 성(gas barrier性)을 측정해 본 결과, 산소 투과도(cc/㎡ 24Hr)는 실험예 26의 경우 0.79, 실험예 33의 경우 0.48, 실험예 34의 경우 0.31, 실험예 35의 경우 2.06이었다.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도 마찬가지로 측정해 본 결과, 산소 투과도(cc/㎡ 24Hr)는 실험예 26의 경우 0.79, 실험예 33의 경우 0.48, 실험예 34의 경우 0.31, 실험예 35의 경우 2.06, 실험예 36의 경우 6.14이었다. 산소 투과도의 측정에는 모콘(Mocon) 사제조의 산소 투과 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측정 조건은 온도 23℃, 상대 습도 0%이었다.
비교예 17∼비교예 30
이들 비교예에서 제조되는 각 연신 필름은 상기 실험예 23에서의 Ny6과 MXD6의 혼합 비율, EVOH의 에틸렌 함유율, 층의 두께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14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킨 상태에서 실험예 23과 마찬가지 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EVOH로 사용한 것은 일본국의 (株) 쿠라레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bar F(상품명) : 에틸렌 함유율 32몰%, Ebar H : 38몰%]이다. 이들 비교예의 조건에 따른 라미네이트 필름은 각 비교예의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여 표 16에 있는 각 필름과 드라이 파미네이트법에 따라 시일란트 필름과 적층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L-LDPE필름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함으로써 표대로 가공한다. 표 14와 표 15에는 비교예 17∼비교예 3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한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고, 표 16에는 비교예 17∼비교예 3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필름의 가스 배리어 성을 측청한 결과, 산소 투과도(cc/㎡ 24Hr)는 비교예 17의 경우가 1.56, 비교예 23의 경우가 0.30, 비교예 24의 경우가 61.0이었다. 라미네이트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한 결과, 산소 투과도(cc/㎡ 24Hr)는 비교예 17의 경우가 1.56, 비교예 23의 경우가 0.30, 비교예 24의 경우가 61.0, 비교예 35의 경우가 2.06, 비교예 36의 경우가 6.14이었다.
실험예 23∼실험예 40 및 비교예 17∼비교예 30의 고찰
실험예 23∼실험예 4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나일론 6(Ny6)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MXD6)가 40∼85 : 60∼15의 중량 비율로 함유된 제1층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로 된 제2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층과 제2층의 두께 비율이 2 : 1∼1 : 2이고, 2축 연신시의 필름의 연신 배율이 MD방향과 TD방향 모두 2.8배 이상이다. 이와 같은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어느것이나 인열 강도가 8.9kg/cm 이하로서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고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함을 표11과 표12로 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충격 강도는 어느것이나 5000kg·cm/cm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표 13으로부터 실험예 23∼실험예 4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고,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각 실시예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의 낙하 시험에서는 포대 파열이 거의 전혀 보이지 않아 충분한 실용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14와 표 15로부터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먼저, 비교예 17∼비교예 2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해서는 연신 배율은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나, Ny6과 MXD6의 양쪽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층이 없기 때문에 설사 충격 강도가 충분하다 하더라도 인열 강도가 크고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21과 비교예 2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Ny6과 MXD6를 함유하는 층을 가지고 있으나, 성분 비율이 본 발명이 예정하는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열 강도는 크고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도 불량하다. 그리고, 비교예 2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XD6의 성분 비율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충격 강도도 불량해진다. 비교예 23∼비교예 2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단일 물질로 된 필름이다. 즉, 제1층과 제2층의 조합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열 강도,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중 한가지 이상이 불량하다. 비교예 26∼비교예 2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설사 제1층과 제2층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연신 배율이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범위 이하이므로 인열 강도,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중 한가지 이상이 불량하다. 비교예 29와 비교예 3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연신 필름은 제1층과 제2층을 가지고 있으나 각 층의 두께 비율이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인열 강도,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중 한가지 이상이 불량하다. 그리고, 표 16으로부터는 아래와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7∼비교예 2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또한, 비교예 22에서는 낙하 시험에서의 포대 파열이 상당히 나타나고 있다. 비교예 23∼비교예 25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각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중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하다. 비교예 26∼비교예 2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중 적어도 두가지가 불량하다. 비교예 29와 비교예 3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는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중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하다.
실험예 41
본 실험예에서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세가지 층으로 구성되며,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제1층에는 Ny6 및 MXD6을 95 : 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다. 제2층에는 Ny6 및 MXD6를 40 : 6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다. 제3층에는 Ny6 및 MXD6을 95 : 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의 세가지 원료 혼합물을 3대의 압출기(직경 40mm)에 각각 공급하여 27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직경 90mm의 다층 서어큘러 다이로부터 제1층/제2층/제3층(두께비 1 : 2 : 1)의 3층 상태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한다. 이와 같이하여 먼저 원통상의 원 필름(11)을 제조한다. 이 필름의 층 구조는 제7도에 나와 있다. 이어서, 이 원 필름(11)을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동시 2축 연신한다(제12도 참조). 그리고, 2축 연신 배율은 MD방향 모두 3.0배이다. 이 2축 연신 필름을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로에 보내 210℃의 온도에서 열고정함으로써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단층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으로 된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본 실험예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고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필름 [Unilax LS-722C(상품명), 두께 50㎛]과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함으로써 제조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製袋)함으로써 인열 용이성 포대로 가공된다. 표 18에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인열 강도와 충격 강도 측정 결과 및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또한, 표 19에는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고, 이 표에서는 본 실험예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에 관한 실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낙하 강도 시험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실험예 42∼실험예 59
이들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상기 실험예 41에서의 제1층∼제3층의 Ny6과 MXD6의 혼합 비율, 층의 두께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17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험예 41과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하고 표 19에 있는 각 시일란트 필름과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적층함으로써 제조된다. 더욱이 실험예 42∼실험예 59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L-LDPE 필름이다. 실험예 56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EVA필름이다. 실험예 57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60㎛의 무연신(無延伸) PP이다. 실험예 58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60㎛의 L-LDPE필름에 대하여 PE가 두께 20㎛로 적층된 필름(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PE쪽에 적층됨)이다. 실험예 59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80㎛의 L-LDPE필름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제대함으로써 인열 용이성 포대로 가공된다. 표 18에 나와 있는 실험예 42∼실험예 59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를 실험예 4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또한 표 19에는 실험예 42∼실험예 59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의 평가 결과와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한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비교예 31∼비교예 41
이들 비교예에서 규정되는 단층의 각 연신 필름은 상기 실험예 41에서의 제1층∼제3층의 Ny6과 MXD6의 혼합 비율, 층의 두께 비율 및 연신 배율을 표 20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켜 실험예 41과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이다. 또한, 이들 비교예에서 규정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비교예 31∼비교예 4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두께 15㎛)을 표면용의 기재 필름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표 22에 있는 각 시일란트 필름과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비교예 31∼비교예 41에서 사용한 시일란트 필름은 두께 50㎛의 L-LDPE필름이다. 또한, 이와 같이하여 제조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재대기에서 제대함으로써 이들 비교예에서의 포대로 가공된다. 비교예 31∼비교예 4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에 관해서도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실험예 4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21에 나와 있다. 또한, 표 22에는 비교예 31∼비교예 41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실험예 41과 마찬가지로 평가되어 있다. 그리고, 포대에 관한 낙하 강도 시험 결과도 아울러 나와 있다.
실험예 41∼실험예 59 및 비교예 31∼비교예 41의 고찰
표 18과 표 19로부터 실험예 41∼실험예 59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어느 것이라도 인열 강도가 7.0kg/cm 이하로서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고,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충격 강도는 어느것이라도 6500kg·cm/cm 이상으로 높은 충격 강도를 가지고 있다. 표 19로부터 본 실험예 41∼실험예 59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이 우수하고 직선 커트 특성도 양호 내지 극히 양호하며, 또한 포대로 만들었을 경우에 있어서 낙하 시험에서의 포대 파열이 전혀 없으므로 충분한 실용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20과 표 21로부터 비교예 31과 비교예 3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Ny6만으로 된 단층 필름이기 때문에 인열 강도가 크고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3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MXD6의 배합량이 10%인 단층 필름이기 때문에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34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MXD6로 된 단층 필름이기 때문에 충격 강도가 불량하다. 비교예 35∼비교예 37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제1층∼제3층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 층의 Ny6과 MXD6의 함량 비율이 본 발명에서 예정하고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3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제1층∼제3층을 가지고 있으나 제1층과 제3층에 있어서의 Ny6과 MXD6의 함량 비율이 본 발명에서 예정하는 범위에서 벗어나고, 또한 층의 두께 비율도 본 발명이 예정하고 있는 범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비교예 39∼비교예 4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연신 필름은 제1층∼제3층에 있어서의 Ny6과 MXD6의 함량 비율이 본 발명에서 예정하고 있는 범위내에 포함되고 제1층∼제3층의 두께 비율이본 발명에서의 범위내에 있으나, 2축 연신시의 필름의 연신 배율이 MD방향과 TD방향 모두 2.8배 이하이기 때문에 인열 강도, 직선 커트 특성 및 충격 강도중 어느 한가지 이상이 불량하다. 그리고, 표 22로부터 비교예 31∼비교예 41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인열 용이성, 직선 커트 특성 및 낙하 강도중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0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아래와 같이하여 제조한다. Ny6과 MXD6를 80 : 20 비율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27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함으로써 먼저 원 필름을 제조한다. 이 원 필름(11)을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동시 2축 연신한다 (제12도 참조). 2축 연신 배율은 MD방향과 TD방향 모두 3.0배이다. 2축 연신된 필름을 텐터법에 의한 열처리로에 공급하여 210℃의 온도에서 열고정함으로써 본 실험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은 3층 구조를 가지며 제1층의 시일란트 필름으로서의 L-LDPE필륨 [Unilax LS-722C(상품명), 두께 50㎛]에 대하여 제2층과 제3층으로서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두께 각각 15㎛)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제조한 것이다. 또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대기에서 인열 용이성 포대로 제조한다. 표 23에는 본 실시예에서 규정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관한 직선 커트 특성 및 인열 저항의 평가 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고, 인열 저항은 직선 커트 특성 시험에서의 필름의 인열 상태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즉, 최후까지 필름이 원만하게 잘라진 것은 ◎표, 도중에서 한번 이상 걸렸으나 최후까지 잘라진 것은 ○표, 도중에서 걸려 최후까지 잘라지지 않는 것은 ×표로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61∼실험예 67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상기 실험예 60과 마찬가지로하여 제조한 후 제1층의 시일란트 필름으로서 표 23에 있는 각 필름(L-LDPE, CPP), 제2층으로서 연신 필름, 제3층과 제4층의 기재 필름으로서 표 23에 있는 각 필름(ONy,PEP,O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실험예 61 및 실험예 67의 조건에 따라 제조되는 3층 또는 4층 구조의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험예 61∼실험예 63, 실험예 66∼실험예 67은 제10도에 있는 3층 구조, 실험예 64와 실험예 65는 제11도에있는 4층 구조에 해당한다. 또한, 표중의 N-M은 본 발명의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L-LDPE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ONy는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CPP는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각각 나타낸다. 이어서, 각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대기에서 시일란트 필름이 내층이 되도록 하여 인열 용이성 포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61∼실험예 67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하여 실험예 60과 마찬가지로 직선 커트 특성과 인열 저항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23에 나와 있다.
비교예 42∼비교예 48
이들 비교예에서의 3층 또는 4층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연신 필름을 상기 실험예 60과 마찬가지로하여 제조한 후 제10도와 제11도에 있는 바와 같이 연신 필름(18)을 제1층의 시일란트 필름(44)과 인접하지 않도록, 즉 연신 필름(18)과 시일란트 필름(44)과의 사이에 기재 필름(41,42)이 1층 이상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표 23에 있는 각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비교예 46∼비교예 48의 경우, 연신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3층 또는 4층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한 것이다. 각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대기에서 시일란트 필름이 내층이 되게하여 이들 비교예에 의한 포대를 제조한다. 비교예 42∼비교예 4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60과 마찬가지로 직선 커트 특성과 인열 저항을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3에 나와 있다.
실험예 60∼실험예 67 및 비교예 42∼비교예 48의 고찰
표 23으로부터 실험예 60∼실험예 67에 의하면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과 시일란트 필름이 인접하도록하여 복수층 적층된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자체가 가지는 양호한 직선 커트 특성과 작은 인열 저항을 인열 용이성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2∼비교예 45는 라미네이트 필름중에 연신 필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직선 커트 특성과 작은 인열 저항을 얻을 수 있으나 연신 필름과 시일란트 필름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험예 60∼실험예 67과 같은 보다 양호한 직선 커트 특성과 작은 인열 저항을 얻을 수 없다. 비교예 46∼비교예 48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중에 연신 필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직선 커트 특성과 인열 저항중 적어도 한가지가 불량하다.
실험예 68
Ny6과 MXD6를 60 : 40의 비율로 함유하는 원료 혼합물을 2축 혼련기(일본국 池貝鐵工(侏)제, 토출량 30kg/Hr)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 후 수지 펠릿(pellet)을 제조하였다. 용융 혼련시의 수지 온도는 275℃이다. 수지 펠릿을 압출기(직경 40mm)중에서 27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용융 혼련물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하여 물로 급냉함으로써 원 필름(11)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12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이 원 필름(11)에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하여 동시 2축 연신을 하였다.연신시의 배율은 MD방향 3.5배, TD방향 3.0배이었다. 2축 연신중 버블(16)은 안정하여 양호한 성형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이 필름을 텐터식 열처리로에 넣어 210℃에서 열고정을하여 본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에 대하여 두께 정밀도와 충격 강도를 측정, 평가하고 또한 직선 커트 특성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24와 표 25에 나와 있다. 두께 정밀도는 원 필름의 원주 방향(TD)으로 5mm간격으로 두께를 측정하여 최대치와 최소치를 구하고 전체 평균치로부터 α=(최대치-최소치)/평균치×100으로 산출하였다. 따라서, α가 ±6% 이하인 것은 ○표, ±6%(α±9%인 것은 △표, α가 ±9% 이상인 것은 ×표로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69∼실험예 73
상기 실험예 68에서 Ny6과 MXD6의 혼합 비율 및 압출 성형전의 용융 혼련시의 수지 온도를 표 24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실험예 68과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실험예 69∼실험예 7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69∼실험예 7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에 관해서도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을 평가하고 또한 실험예 68과 마찬가지로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4와 표 25에 나와 있다. 그리고, 표 24의 연신 성형 안정성의 란에서 ○표는 성형 안정성의 양호, ×표는 성형 안정성의 불량을 각각 나타낸다.
비교예 49∼비교예 52
상기 실험예 68에서 Ny6과 MXD6의 혼합 비율을 표 24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실험예 68과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비교예 49∼비교예 5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비교예 51만 압출 성형전의 용융 혼련을 하였고, 비교예 49와 비교예 50에서는 용융 혼련 대신 압출 성형전의 드라이 블렌드를 하였으며, 비교예 52에서는 압출 성형전의 혼련을 하지 않았다. 비교예 49∼비교예 52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에 관해서도 2축 연신시의 연신 성형성을 평가하고 또한 실험예 68과 마찬가지로 각종 특성의 측정과 평가를 하였는데, 이들 결과는 표 24와 표 25에 나와 있다.
실험예 68∼실험예 73 및 비교예 49∼비교예 52의 고찰
표 24와 표 25로부터 실험예 68∼실험예 73에 의하면 Ny6과 MXD6의 혼합물을 압출기에서 용융 압출하기 전에 혼합물을 3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둠으로써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이 양호하고 제조된 인열 용이성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 68∼실험예 73에 의하여 권취된 형태가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색 인쇄시에 핏치(pitch) 어긋남이 생기든가 라미네이트시에 소위 터널링(tunnelting)(필름 사이에 공기가 함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2차 가공상의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인열 용이성 필름의 제조 공정에 이와 같은 압출전의 용융 혼련 공정을 부가하더라도 제조된 인열 용이성 필름의 충격 강도나 직선 커트 특성은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양호하다. 여기에 대하여 비교예 49와 비교예 50에 의하면 압출 성형전의 용융 혼련 대신에 드라이 블랜드를 하였기 때문에 제조된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1에 의하면 압출 성형전의 용융 혼련을 하였으나 이때의 수지 온도가 300℃이상이므로 2축 연신시의 성형 안정성이 불량하고 제조된 필름의 충격 강도와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하다.
실험예 74
도면을 참조하여 실험예 74∼실험예 80에서 사용하는 제조 장치를 설명한다. 제14도와 제15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치는 원 필름(11)을 튜우블러법으로 2축 연신하는 장치(110)와, 텐터법으로 이 필름(11)을 열처리하기 위한 제1가열 장치(120)와, 이 필름(11)의 폭방향 양단부를 절개하여 2매의 필름(11A,11B) 사이에 공기를 개재시키기 위한 장치(140)와, 텐터법으로 양 필름(11A,11B)의 양단부를 파지하여 열처리하기 위한 제2가열 장치(150) 및 열처리를 한 필름(11A,11B)의 권취기(160)를 가지고 있다. 2축 연신장치(110)에는 윗쪽에 배치된 한쌍의 제1핀치 로울러(111)와, 원 필름(11)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112)가 설치된 가열장치(113)와, 필름(11)을 편평하게 겹쳐 포개기 위한 V자형의 안내판(114) 및 안내판(114)의 하단에 배치된 한쌍의 제2핀치 로울러(115)가 설치된다. 제16도에 있는바와 같이 이 가열 장치(113)의 히이터(112)는 버블(16)의 외주면을 따라 근접하여 설치된 4개의 히이터(112A∼112D)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히이터(112A∼112D)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쪽의 한쌍의 히이터(112A,112B)는 버블(16)을 편평하게 겹쳐 포갤 때에 필름(11)의 폭방향 단부(11X,11Y)(제17도 참조)가 되는 부분(16A,16B)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로 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다른쪽의 한쌍의 히이터(112C,112D)는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로 한다. 이들 히이터(112A∼112D)로서는 적외선 히이터 등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제1가열 장치(120)에는 편평하게 겹쳐 포갠 필름(11)의 폭방향 양단부(11X,11Y)를 파지하기 위한 텐터(121)와, 필름(11)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로(122)가 설치된다. 트리밍 장치(130)는 편평 필름(11)을 2매의 필름(11A,11B)으로 분리하기 위한 블레이트(131)을 가지고 있다. 이 트리밍 장치(130)와 제1가열 장치(120)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가이드 로울러(105)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개재 장치(140)는 상하로 떨어져 배치된 한쌍의 로울러(141A,141B)를 가지고 구성된다. 제2가열 장치(150)는 그 내부에 필름(11A,11B)의 양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텐터(151)와 필름(11A,11B)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로(152)가 설치된다. 제2가열 장치(150)와 공기 개재 장치(140)와의 사이에는 나선상으로 홈(141)이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로울러(142)(제18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붙이 가이드 로울러(142)는 홈붙이 가공후 표면에 크롬등의 도금 처리를 한 것이다. 이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해서 2축 연신 및 열처리를 하였다. 먼저, 나일론6(Ny6)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MXD6)를 60 : 4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압출기에서 27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용융물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하여 원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14도와 제15도에 있는 바와 같이 튜우블러법에 의한 2축 연신 장치(110)에서 가열 장치(113)로 가열된 튜우브상의 필름(11)을 소정의 내압에 의해 버블(16)로 팽창시킴으로써 TD방향으로 연신시킴과 아울러 상하의 핀치 로울러(111,115)의 인취(引取)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MD방향으로 연신시켜 2축 연신을 하였다. 2축 연신된 버블(16)을 안내판(114)과 제2핀치 로울러(115)에 의하여 편평하게 겹쳐 포개어 편평한 필름(11)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튜우블러법으로 하기 위한 필름(11) 안으로의 공기 주입법은 임의로 할 수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64-71727호 공보 참조) 이 가열 장치(113)에 의한 가열시에 버블(16)의 폭방향 단부(11X,11Y)가 되는 부분(16A,16B) 쪽에 배치된 히이터(112A,112B)의 온도를 280℃로 설정하는 한편,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배치된 히이터(112C,112D)의 온도를 320℃로 설정하였다. 이 경우,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는 300℃이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가열, 연신함으로써 제19도와 제20도에 있는 바와 같이 연신전에 필름(11)의 TD방향으로 당겨진 직선(X1)이 연신시에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을 중심으로하여 MD방향으로 이동하여 곡선(X2)으로 되는 보우잉 현상이 생긴다. 이어서, 제1가열 장치(120)에 의한 제1단계 열처리에서 텐터(121)에서 필름(11)의 폭방향 양단부(11X,11Y)를 파지하면서 열풍로(122)에서 150℃의 열처리를 하였다. 이 열처리에 있어서, 2축 연신시의 보우잉 현상을 제거하는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이 생긴다. 이 열처리시에 필름(11)의 이완율은 5%(TD방향)로 설정하였다. 필름(11)을 약간 이완시킨 상태에서 열처리를 함으로써 필름(11)의 결정화도를 증가시켜 수축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칫수 안정성이 양호한 필름(11)을 제조하게 된다. 이어서 트리밍 장치(130)에 있어서 이 필름(11)의 폭방향 단부(11X,11Y)를 블레이드(131)로 절개하여 2매의 필름(11A,11B)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이 필름(11)의 절개는 접은 금 부분으로부터 약간 안쪽으로 블레이드(131)를 위치하게 함으로써 한 부분의 폭방향 단부편(端部片)이 생기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필름(11)의 접은 금 부분에 블레이드(131)를 위치하게 함으로써 폭방향 단부편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이 단계에서의 트리밍에 의하여 후공정에서의 트리밍 로스(trimming loss)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공기 개재 장치(140)에 있어서 로울러(141A,141B)의 상하에 각각 필름(11A,11B)을 분리하여 통과시킴으로써 각 필름(11A,11B)의 내면에 공기를 접촉시킨 다음 제18도에 있는 홈붙이 로울러(142)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양 필름(11A,11B) 사이에 공기를 개재시키면서 양 필름(11A,11B)을 중첩시켰다. 이와 같이 홈붙이 로울러(142)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홈(141)을 통하여 필름(11A,11B)과 공기와의 양호한 접촉 상태를 얻게 되고 필름(11A,11B) 끼리의 융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어서 제2가열 장치(150)에 의한 제2단계 열처리에 있어서 중첩된 상태의 필름(11A,11B)을 텐터(151)에서 폭방향 양단부(11A,11Y)를 파지하면서 210℃에서 이들 2매의 필름(11A,11B)을 열처리하였다. 이 열처리에 있어서도 2축 연신시의 보우잉 현상을 제거하는 역방향의 보우잉 현상이 생기는데, 결과적으로 양방향의 보우잉 현상이 상쇄되어 핑름(11A,11B)의 이완율을 5%(TD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최후로 권취기(160)에서 필름(11A,11B)을 권취하였다. 본 실험예에 있어서 2층 연신시의 버블(16)의 성형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연신후의 필름(11)과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A,11B)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A,11B)의 폭방향의 중앙부와 단부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6과 표 27에 나타내었다. 보우잉율은 제21도에 있는 바와 같이 필름(11)에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 폭의 표선(標線)(S1)을 긋고 [제21(A)도 참조], 제2단계 열처리후에 있어서의 표선(S2)의 변화량△b과 폭(ℓ)을 측정하여 [제21(B)도 참조],(△b/ℓ)×100%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그리고, 본 실험예에서는 먼저 2축 연신 공정에서의 보우잉 현상에 의하여 -△b1만큼의 보우잉이 생기고, 이어서 제1단계와 제2단계 열처리후의 +△b2만큼의 역방향의 보우잉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후의 △b는 결국 │△b2 -△b1│에 상당한다. 직선 커트 특성은 다음과 같이하여 평가하였다. 즉, 제22도에 있는 바와 같이 20cm폭의 필름(171)에 2cm간격(Ws)으로 절단 자국(172)을 만들어 이들 절단 자국(172)을 따라 필름(171)을 인열한후 필름(173)의 다른쪽 끝(174)의 폭(We)을 측정하여 원래의 간격(Ws)과의 편차(α)를 아래식에 따라 구한다.
α=[ (Ws - We )/Ws] × 100
이 측정을 10매의 필름 조각(173)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표 27의 직선 커트 특성의 란에서 그 평균치의 α(%)가 ±10% 미만인 것은 ◎표(직선 커트 특성이 극히 양호), ±10%≤2≤±30%인 것은 ○표(직선 커트 특성이 양호,α(%)가 ±30% 이상인 것은 ×표(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로하여 평가하였다. α(%)가 ±30% 이상이면 필름(11)을 똑바로 자르기가 곤란해 진다. 또한, 커트 특성 평가의 란에서 ◎표는 직선커트 특성이 중앙부와 끝부분중 어느 것이라도 ○이상인 경우이고, △표는 직선 커트 특성이 중앙부 또는 끝부분중 어느 하나가 ×인 경우이며, ×표는 직선 커트 특성이 중앙부와 끝부분중 어느 것이라도 ×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버블의 성형 안정성의 란에서 ○표는 버블의 절경(折徑) 변동이 ±1%이하로서 버블의 파열, 불안정 현상(상하 이동, 옆방향 요동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표는 버블의 파열 또는 불안정 현상(상하 이동, 옆방향 요동 동)이 발생하므로 인해 연속 안정 성형이 곤란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종합 평가의 란에서 ◎표는 버블의 성형 안정성이 ○로서 제2단계 열처리후의 보우잉율이 5% 미만인 경우이고, ×표는 버블의 성형 안정성이 ×인 경우 또는 제2단계 열처리후의 보우잉율이 5% 이상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75∼실험예 80
상기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 표 26에 있는 조성의 원 필름을 압출기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2축 연신하여 각 실험예의 인열 용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연시시에 있어서 가열 장치(113)의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쪽에 배치된 히이터(112A,112B)의 온도와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배치된 히이터(112C,112D)의 온도를 표 26에 있는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이어서, 이들 인열 용이성 필름(11)에 대하여 표 26에 있는 온도와 이완율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를 하고, 기타는 상기 실험예와 마찬가지로하여 각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11A,11B)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험예 75∼8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 2축 연신시의 버블(16)의 성형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연신후의 필름(11)과 제2단계 열처리후의 인열 용이성 필름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으며, 그리고 필름(11A,11B)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6과 표 27에 나와 있다.
비교예 53∼비교예 58
상기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 표 26에 있는 조성의 원 필름을 압출기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2축 연신하여 각 비교예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연신시에 있어서 가열 장치(113)의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쪽에 배치된 히이터(112A,112B)의 온도와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배치된 히이터(112C,112D)의 온도를 표 26에 있는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이어서, 이들 필름에 대하여 표 26에 있는 온도와 이완율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를 하고, 기타는 상기 실험예와 마찬가지로하여 비교예 53∼비교예 58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 2축 연신시의 버블의 성형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연신후의 필름과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으며, 그리고 필름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6과 표 27에 나와 있다.
실험예 74∼실험예 80 및 비교예 53∼비교예 58의 고찰
표 26과 표 26로부터 실험예 74∼실험예 80에 의하면 2축 연신에서 원 필름(11)을 가열할 경우에 있어서, 버블(16)을 겹쳐 포갤 때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의 가열온도를 필름(11)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의 가열 온도 보다 낮아지도록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쪽에 배치된 한쪽의 한쌍의 히이터(112A,112B)의 온도를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300℃)보다 10∼100℃ 낮게 설정함과 아울러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배치된 다른쪽의 한쌍의 히이터(112C,112D)의 온도를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보다 10∼100℃ 높게 설정함으로써 2축 연신시의 버블(16)이 안정하고, 더욱이 제2단계 열처리후의 최종적인 보우잉율이 저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험예에 의하면 보우잉율을 작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열 용이성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와 끝부분의 어느쪽에 있어서도 양호한 직선 커트 특성을 얻게 된다. 여기에 대하여 비교예 53과 비교예 54에 의하면 실험예 74∼실험예 80의 본 발명과는 역으로 버블(16)을 겹쳐 포갰을 때에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의 가열 온도를 필름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의 가열 온도 보다 높아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후의 최종적인 보우잉율이 높아지고, 특히 필름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5에 의하면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쪽에 배치된 한쪽의 한쌍의 히이터(112A,112B)의 온도가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300℃)보다 100℃이상 낮게 설정되는 한편,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배치된 다른쪽의 한쌍의 히이터(112C,112D)의 온도가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보다 100℃이상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버블(16)의 안정성이 불량하였다. 비교예 56과 비교예 57에 의하면 필름이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선 커트 특성이 필름의 중앙부와 끝부분중 어느쪽에 있어서도 불량하였다. 비교예 58에 의하면 필름이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은 외에도 2축 연신에 있어서 필름을 가열할 경우 버블(16)을 겹쳐 포갰을 때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의 가열 온도가 필름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의 가열 온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보우잉율이 높아져서 필름의 중앙부와 끝부분의 어노쪽에 있어서도 직선 커트 특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실험예 74∼실험예 80에 있어서는 예컨대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쪽에 각각 2개,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쪽에 각각 3개 합계 10개의 히이터를 배치하여 가열 장치(113)를 구성하여도 좋은데, 이렇게 함으로써 버블(16)의 가열 상태의 온도 제어성이 보다 향상되어 필름 전체 주위에 걸쳐 그 온도 기울기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험예 74∼실험예 80에 있어서는 예컨대 적외선 히이터의 코일의 권선 밀도를 조정하여도 버블(16)의 폭방향 끝부분(11X,11Y)이 되는 부분(16A,16B)과 버블(16)의 제품에 상당하는 부분(16C,16D)의 가열 온도를 각각 제어할 수가 있다. 더욱이, 실험예 74∼실험예 80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가열 장치(120,150)에 열풍로(122,152)를 설치하였으나, 예컨대 적외선 히이터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실험예 81
도면을 참조하여 실험예 81∼실험예 86에서 사용하는 제조 장치를 설명한다. 제23도에 있는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지는 원 필름(11)을 튜우블러법으로 2축 연신하는 장치(210)와, 튜우블러법으로 원 필름(11)을 열처리하기 위한 제1가열 장치(220)와, 제16도에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 74∼실험예 80과 동일한 트리밍 장치(130)와, 공기 개재 장치(140)와, 텐터법으로 열처리하기 위한 제2가열 장치(150) 및 권취기(160)를 가지고 있다. 2축 연신 장치(210)에는 윗쪽에 배치된 한쌍의 제1핀치 로울러(211)와, 필름(11)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212)와, 필름(11)을 편평하게 겹쳐 포개는 V자형의 안내판(213)과, 안내판(213)의 하단에 배치된 한쌍의 제2핀치 로울러(214)가 설치된다. 가열로(212)의 가열 장치는 적외선 히이터 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1가열 장치(220)에는 윗쪽에 배치된 한쌍의 제1핀치 로울러(221)와, 제1핀치 로울러(221)로부터 역V자형으로 장착된 안내판(222)과, 필름(11)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로(223)와, 필름(11)을 편평하게 겹쳐 포개는 V자형의 안내판(224)가 설치된다. 제1가열 장치(220)와 2축 연신 수단(210)과의 사이에는 가이드 로울러(205)가 설치된다. 이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해서 2축 연신과 열처리를 하였다. 먼저 나일론(Ny6)과 메타크실릴렌 아디프아미드 (MXD6)를 각각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압출기에서 27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용융물을 직경 90mm의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하여 원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제23도에 있는 바와 같이 튜우블러법에 의한 2축 연신 장치(210)에 있어서 가열 장치(212)에서 가열된튜우브상의 필름(11)을 소정의 내압에 의하여 버블(16)로 팽창시킴으로써 TD방향으로 연신시킴과 아울러 상하의 핀치 로울러(211,214)의 인취(引取) 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MD방향으로 연신시켜 2축 연신을 하였다. 2축 연신된 버블(16)을 안내판(213)과 제2핀치 로울러(214)에 의하여 겹쳐 포개어 편평한 필름(11)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튜우블러법에 의한 제1가열 장치(220)에 있어서 열풍로(223)에 의하여 필름(11)의 이완율은 0%(MD방향 및 TD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제1단계 열처리에 의하여 필름(11)의 결정화도가 증가하므로 중첩된 필름끼리의 미끄럼 특성이 양호하게 되어 융착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제1단계 열처리를 튜우블러법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제1단계 열처리의 보우잉율을 0으로 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필름의 보우잉율도 감소한다. 이어서, 제15도에 있는 바와 같이 트리밍 장치(130)와 공기 개재 장치(140)를 거쳐서 텐터법에 의한 제2가열 장치(150)에서는 겹쳐진 필름(11A,11B)을 텐터(151)에서 양단부를 파지하면서 210℃에서, 이들 2매의 필름(11A,11B)을 열처리하였다. 이러한 제2단계 열처리에서 필름(11A,11B)의 이완율을 10%로 설정하였다. 최후로 권취기(160)에서 인열 용이성 필름(11A,11B)을 권취하였다. 본 실험예에 있어서 제1단계 열처리시의 버블(16)의 안정성과 제2단계 열처리시의 필름(11A,11B)의 융착 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A,11B)의 폭방향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8과 표 29에 나타내었다. 보우잉율은 제24도에 있는 바와 같이 필름(11)에 그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소정 폭의 표선(S)를 긋고 [제24(A)도 참조], 제2단계 열처리후에 있어서의 표선(S)의 변화량△b과 폭(ℓ)을 측정하여 [제24(B)도 참조], (△b/ℓ)×100%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직선 커트 특성은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82∼실험예 86
상기 실험예 51과 마찬가지로 표 28에 있는 조성의 원 필름을 압출기에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2축 연신하여 각 실험에의 필름(11)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필름(11)에 대히여 표 28에 있는 온도와 이완율로 튜우블러법에 의한 제1단계 열처리와 텐터법에 의한 제2단계 열처리를 하고 기타는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하여 실험예 82∼실험예 8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실험예 82∼실험예 86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 제1단계 열처리시의 버블(16) 안정성과 제2단계 열처리시의 필름(11A,11B)의 융착 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1단계와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11A,11B)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8과 표 29에 나와 있다.
비교예 59∼비교예 63
상기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 표 28에 있는 조성의 원 필름을 압출기에서 제조한 후, 이 필름을 2축 연신하여 각 비교예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필름에 대하여 표 28에 있는 온도와 이완율로 튜우블러법에 의한 제1단계 열처리 및/또는 텐터법에 의한 제2단계 열처리를 하고, 기타는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하여 비교예 59∼비교예 6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비교예59∼비교예 6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 제1단계 열처리시의 버블의 안정성과 제2단계 열처리시의 필름의 융착 상태를 평가하였다. 또한, 제1단계와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림의 보우잉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특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28과 표 29에 나와 있다.
실험예 81∼실험예 86 및 비교예 59∼비교예 63의 고찰
표 28과 표 29로부터 실험예 81∼실험예 86에 의하면 필름(11)에 튜우블러법에 의하여 120∼190℃의 온도에서 제1단계열처리를 한 후, 텐터법으로 190∼220℃의 온도에서 제2단계 열처리를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1단계 열처리시의 버블(16)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더욱이 제2단계열처리후의 최종적인 보우잉율이 저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예 81∼실험예 86에 의하면 보우잉율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필름(11)의 폭방향의 중앙부와 끝부분중의 어느쪽에서도 양호한 직선 커트 특성이 나타난다. 여기에 대하여 비교예 59에 의하면 제1단계 열처리의 온도가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온도 범위 이상이기 때문에 버블의 안정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0과 비교예 61에 의하면 튜우블러법에 의한 제1단계 열처리를 하지 아니하고 텐터법에 의한 제2단계 열처리만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시에 있어서 필름의 융착이 발생하였다. 또한, 보우잉율이 높고 직선 커트 특성이 끝부분에서 불량하였다. 비교예 62와 비교예 63에 의하면 사용하는 필름의 조성의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조성과는 다르기 때문에 직선 커트 특성이 중앙부와 끝부분중 어느쪽에서도 불량하였다.
실험예 87
실험예 87∼실험예 93에서 사용하는 필름 제조 장치는 압출기, 튜우블러법에 의한 2축 연신 장치(제12도 참조), 텐터법의 제1가열 장치(제14도 참조), 트리밍 장치, 공기 개재 장치, 텐터법의 제2가열 장치(제15도 참조)와 권치기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조 장치를 사용한 본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Ny6과 MXD6를 각각 60 : 4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을 압출기에서 270℃에서 용용 혼련한 후 용융물을 직경 90mm이 다이스로부터 원통상의 필름으로 압출한 다음 물로 급냉하여 원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원 필름을 한쌍의 핀치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킨 후 속으로 기체를 압입하면서 히이터로 가열함과 아울러 연신 개시점에서 에어 링으로부터 에어를 송입하여 버블 상태를 팽창시키고, 이 버블을 안내판을 통하여 편평하게 겹쳐 포갠 다음 아래쪽의 핀치 로울러에서 인취향으로써 튜우블러법에 의한 MD방향과 TD방향의 동시 2축 연신을 하였다. 이러한 연신시의 배율은 MD방향과 TD방향 모두 3.0배 이었다. 이어서, 이 편평 필름을 제1가열장치로 보내서 여기서 양끝 부분을 텐터로 파지하면서 필름에 120℃에서 5초 동안 제1단계 열처리를하였다(제14도 참조). 이때의 필름의 이완율은 5%이었다. 이어서, 편평 필름의 양끝 부분을 트리밍 장치로 절개하여 2매의 필름으로 분리하였다. 그 다음에는 이들 필름을 로울러로 격리시키고 내면을 공기와 접촉시킨 후 계속하여 홈붙이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다시 중첩시겼다. 이어서, 이들 필름을 제2가열 장치로 보내서 여기서 양끝부분을 텐터로 파지하면서 필름에 210℃에서 10초 동안 제2단계열처리를 하였다(제15도 참조). 이때의 필름의 이완율은 5%이었다. 그 다음에는 열처리된 이들 인열 용이성 필름을 권취기로 권취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예에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시의 필름의 융착 상태를 평가하였고, 또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의 보우잉율과 제조된 필름에 관한 폭 방향의 중앙부와 끝부분에서의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한 결과는 표 31에 나와 있다. 융착란에서 ○표는 융착이 발생하지 아나한 것, △표는 융착이 발생하나 힘을 가하면 박리하는 정도의 것, ×표는 융착이 발생한 것을 각각 나타낸다. 보우잉율은 실험예 81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직선 커트 특성은 실험예 74와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88∼실험예 93
상기 실험예 87에 있어서 Ny6과 MXD6의 혼합 비율과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 온도와 이완율을 표 30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실험예 87과 마찬가지의 제조 공정에 의하여 실험예 88∼실험예 9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각 실험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87과 마찬가지로 융착 상태, 보우잉율 및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31에 나와 있다.
비교예 64∼비교예 70
상기 실험예 87에 있어서 Ny6과 MXD6의 혼합 비율과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 온도와 이완율을 표 30에 있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실험예 87과 마찬가지로 제조 공정에 의하여 비교예 64∼비교예 70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을 제조하였다. 각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필름에 관해서도 실험예 87과 마찬가지로 융착 상태, 보우잉율 및 직선 커트 특성을 측정,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31에 나와 있다.
실험예 87∼실험예 93 및 비교예 64∼비교예 70의 고찰
표 30과 표 31로부터 실험예 87∼실험예 93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제조 방법예 의하면 제1단계 열처리시에 있어서도, 또한 제2단계 열처리시에 있어서도 인열 용이성 필름의 융착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단계 및 제2단계 열처리후의 인열 용이성 필름의 중앙부와 끝부분중 어느쪽에 있어서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대하여 비교예 64에 의하면 제1단계 열처리 온도가 본 발명의 온도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이 열처리시에 필름의 융착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5에 의하면 제2단계 열처리시의 이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직선 커트 특성이 필름의 끝부분에서 불량하였다. 비교예 66에 의하면 분리된 양필름 사이에 공기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제2단계 열처리를 하였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시에 융착이 발생하여 상품화 할 수 없었다. 비교예 67에 의하면 제2단계 열처리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후의 필름의 보우잉이 크고, 이로 인해 직선 커트 특성이 필름의 끝부분에서 불량하며 이 부분의 상품화가 불가능 하였다. 비교예 68에 의하면 열처리를 분리된 양필름 사이에 공기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하였기 때문에 열처리후의 필름의 보우잉이 크고, 마찬가지로 직선 커트 특성이 필름의 끝부분에서 불량하였다. 비교예 69에 의하면 제1단계 열처리 온도가 본 발명의 온도 범위 이하이기 때문에 제2단계 열처리시에 필름의 융착이 발생하고, 또한 열처리후의 필름의 보우잉이 크며, 마찬가지로 직선 커트 특성이 필름의 끝부분에서 불량하였다. 비교예 70에 의하면 필름의 조성이 어느쪽에 있어서도 불량하였다.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에 의하면 우수한 인열 용이성과 직선 커트 특성을 가짐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조되는 인열 용이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열 용이성 필름이 가지는 이들 특성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9)

  1. 나일론(Ny) 및 메타크리실렌 아디프아미드(MXD6)로 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Ny과 상기 MXD6의 중량비가 40∼85 : 60∼15이고, 필름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MD방향(필름의 이동 방향) 및 TD방향(필름의 폭 방향) 쪽으로의 연신 배율이 각각 2.8배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Ny)이 나일론 66(Ny66)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 다른 필름과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Ny)이 나일론 6-66 공중합체(Ny6-66)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용이성 연신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성 필름이 다른 필름과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Ny)이 나일론 6(Ny6)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제1층으로서의 상기 나일론 6(Ny6)에는 제2층으로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이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단, 상기 제1층과 제2층과의 두께 비율은 2 : 1∼1 : 2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제2층이 일체로 적층된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이 다른 필름과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9. 제6항에 있어서, 중간의 제2층으로서의 상기 나일론 6(Ny6)의 양면에는 제1층과 제3층으로서의 Ny6 및 MXD6를 함유하는 층이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단, 상기 제1층과 제3층에서의 Ny6과 MXD6의 중량비는 60∼95 : 40∼5(단, 제2층에서의 MXD6의 함유량은 제1층과 제3층에서의 MXD6의 함유량보다 많음)이고, 상기 제1층∼제3층의 두께 비율은 1 : 8 : 1∼4 : 2 : 4이며, 제1층 또는 제3층과 제2층의 두께 비율은 1 : 8∼2 : 1이고, 제1층과 제3층의 두께 비율은 1 : 2∼2 : 1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제3층이 일체로 적층된 인열 용이성 필름이 다른 필름과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은 다른 복수의 필름과 적층되고, 시일란트 필름과는 인접하여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12. 나일론(Ny)과 메타크리실렌 아디프아미드(MXD6)를 40∼85 : 60∼15의 중량 비율로 함유하고 원료 혼합물을 압출기로 부터 용융하여 원 필름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원 필름을 튜우블러법을 사용하여 MD방향 및 TD방향으로 모두 2.8배 이상의 배율로 2축 연신하며, 연신 된 필름을 편평하게 겹쳐 포개고, 이 겹쳐 포갠 필름을 열처리하는 공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에 의한 용융 압출 공정은 그 앞의 공정으로서 상기 원료 혼합물을 300℃이하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튜우블러법을 이용한 2축 연신 공정에서는 2축 연신된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을 편평하게 겹쳐 포갰을 때의 폭방향 끝부분의 가열 온도가 후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의 가열온도 보다 낮도록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튜우블러법을 이용한 2축 연신 공정에서는 2축 연신된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을 편평하게 겹쳐 포갰을 때의 폭 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와 후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와 후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의 온도를 각각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단, 버블 형상 원 필름의 폭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는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 보다 10∼100℃낮다.
  16. 제12항에 있어서, 튜우블러법을 이용한 2축 연신 공정에서는 2축 연신된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을 편평하게 겹쳐 포갰을 때의 폭방향 끝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와 후에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를 각각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단,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히이터 온도는 전체 히이터의 평균 온도 보다 10 ∼ 100℃ 높다.
  17. 제12항에 있어서, 튜우블러법을 이용한 2축 연신 공정에서는 버블 형상의 원 필름을 겹쳐 포갰을 때의 폭방향의 최단부(最端部)의 가열온도가 최저이고 제품으로 사용되는 기타 부분의 거의 중앙부에 가열 온도가 최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 필름의 열처리는 튜우블러법에 따라 120℃∼19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는 제1단계 열처리 공정과, 텐터법에 따라 190℃∼220℃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는 제2단계 열처리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 필름의 열처리는 편평 필름의 양단부를 텐터법으로 파지하면서, 120℃∼190℃ 및 이완율 15%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제1열처리 공정과, 편평 필름의 양단부를 절개하여 2매의 필름으로 분리하는 공정과, 2매의 필름 사이에 공기가 개재한 상태에서 양필름의 양단부를 텐터법으로 파지하면서 190℃∼220℃ 및 이완율 15%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는 제2열처리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20019799A 1991-10-28 1992-10-27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012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842791 1991-10-28
JP91-308427 1991-10-28
JP91-313675 1991-10-31
JP31367591 199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033A KR930008033A (ko) 1993-05-20
KR0128516B1 true KR0128516B1 (ko) 1998-04-04

Family

ID=2656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799A KR0128516B1 (ko) 1991-10-28 1992-10-27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541011A (ko)
EP (3) EP0676438B1 (ko)
KR (1) KR0128516B1 (ko)
AU (3) AU2734992A (ko)
CA (1) CA2081536C (ko)
DE (3) DE69212429T2 (ko)
DK (2) DK0540293T3 (ko)
ES (1) ES2092058T3 (ko)
TW (1) TW2086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27B1 (ko) * 2003-12-31 2008-06-17 주식회사 효성 직선 커트성이 우수한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972A (ja) * 1994-06-03 1996-02-20 Unitika Ltd 2軸配向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DK0818508T3 (da) * 1996-07-11 2001-11-19 Wolff Walsrode Ag Polyamidblandinger indeholdende faststofpartikler
US5779832A (en) * 1996-11-25 1998-07-14 W. R. Grace & Co.-Con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eelable film
JP3227413B2 (ja) 1997-09-19 2001-11-1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易裂性シュリンク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袋製品
WO1999026783A1 (en) * 1997-11-26 1999-06-03 Cryovac, Inc. Multilayer heat-shrinkable thermoplastic film
CA2336181C (en) * 1998-06-23 2007-09-04 First Green Park Pty. Ltd. Orientation of films to improve barrier and uv stability
KR100470045B1 (ko) * 1999-12-28 2005-02-04 주식회사 포스코 컴퓨터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고분자필름의 결정화도 예측방법
DE50203463D1 (de) 2001-08-08 2005-07-28 Bayer Ag Evoh und evm in ein- oder mehrschichtigen erzeugnissen
US6824734B2 (en) * 2001-10-09 2004-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producing latent elastic, cross-direction-oriented films
US7329621B2 (en) 2002-12-26 2008-02-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film laminat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tretchable film laminates
DE10301786A1 (de) 2003-01-20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hrschichtige transparente,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02033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und Poly(m-xylol-adipinamid)-haltiger Deckschich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GB2400341B (en) * 2003-04-08 2006-03-22 Univ Warwick Laminate material
EP2058106B1 (en) * 2006-08-14 2012-06-13 Idemitsu Unitech Co., Ltd. Biaxially oriented nylon film, laminate wrapp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nylon film
CA2605628C (en) * 2006-09-28 2015-03-1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eded polyamide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DE102006062140A1 (de) * 2006-12-22 2008-06-26 Dow Wolff Cellulosics Gmbh Celluloseetheradditive für die Extrusion keramischer Massen
WO2011096333A1 (ja) * 2010-02-05 2011-08-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ピロー包装用ケーシング材及びピロー包装体
EP2682252B1 (en) * 2011-03-01 2018-01-10 Toyobo Co., Ltd. Stretched polyamide film
FI125678B (fi) * 2011-08-26 2016-01-15 Bioretec Oy Bioabsorboituva, orientoitu, muotoiltava kiinnitysmateriaali ja -levy
CN107685432A (zh) * 2016-09-28 2018-02-13 陈善文 一种三层共挤板材保护膜配方
JP7218724B2 (ja) * 2017-07-31 2023-02-0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易裂性フィルム、多層フィルム、包装材料および容器
TWI667289B (zh) 2018-04-18 2019-08-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聚醯胺組成物及薄膜與其形成方法
CN111497405B (zh) * 2020-04-30 2021-12-31 厦门长塑实业有限公司 一种高阻隔型直线易撕裂尼龙薄膜及其制备方法
CN112793141B (zh) * 2020-12-24 2022-07-19 重庆瑞霆塑胶有限公司 用于吹塑薄膜的压辊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546A (en) * 1970-08-26 1972-07-25 Kohjin Co Apparatus for heat-setting biaxially stretched films of thermoplastic materials
JPS5519948B2 (ko) * 1973-02-06 1980-05-29
JPS5190370A (ja) * 1975-02-06 1976-08-07 Nijikuenshinhoriamidofuirumunoseizoho
GB1550246A (en) * 1975-10-11 1979-08-08 Toyo Boseki Production of biaxially drawn film of polyamide blend
JPS5531725A (en) 1978-08-23 1980-03-06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
JPS5662129A (en) 1979-10-27 1981-05-27 Toyobo Co Ltd Manufacture of polyamide film
JPS5838320A (ja) 1981-08-29 1983-03-05 Nissan Motor Co Ltd 直接噴射式デイ−ゼル機関
JPS5838302A (ja) * 1981-08-29 1983-03-05 Shimadzu Corp 遠心式羽根車装置
JPS58158224A (ja) * 1982-03-16 1983-09-20 Unitika Ltd ポリアミド2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IT1153003B (it) * 1982-11-03 1987-01-14 Grace W R & Co Pellicole laminate per imballaggio e relativi manufatti a migliorata resistenza a trattamenti termici
US4908272A (en) * 1987-04-27 1990-03-13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Gas-barrier multilayered structure
JPS6471727A (en) 1987-09-11 1989-03-16 Idemitsu Petrochemical Co Method and device for tubular orientation of thermoplastic resin
JP2543544B2 (ja) * 1987-11-30 1996-10-1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ガスバリヤ―性多層構造物
AU610366B2 (en) * 1988-03-31 1991-05-16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axially oriented film
EP0386759B1 (en) * 1989-03-10 1995-08-16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nylon film
JP2545462B2 (ja) * 1989-05-17 1996-10-16 帝人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アミドフイルム
US5158637A (en) * 1989-09-20 1992-10-2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thermally processing crystalline thermoplastic resin film
JP2821243B2 (ja) * 1990-06-15 1998-11-05 三菱化学株式会社 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4115926A (ja) * 1990-09-07 1992-04-16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U649710B2 (en) * 1990-09-11 1994-06-0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film therefrom
JPH04169231A (ja) * 1990-11-02 1992-06-17 Sumitomo Bakelite Co Ltd 内層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327B1 (ko) * 2003-12-31 2008-06-17 주식회사 효성 직선 커트성이 우수한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9605D1 (de) 1999-08-19
DE69212429T2 (de) 1997-02-13
EP0675154A1 (en) 1995-10-04
CA2081536A1 (en) 1993-04-29
AU3830597A (en) 1997-12-18
EP0676438A1 (en) 1995-10-11
ES2092058T3 (es) 1996-11-16
EP0540293A1 (en) 1993-05-05
EP0676438B1 (en) 1999-07-14
EP0540293B1 (en) 1996-07-24
TW208684B (ko) 1993-07-01
DE69231163T2 (de) 2000-11-16
AU2734992A (en) 1993-04-29
DE69229605T2 (de) 1999-12-16
EP0675154B1 (en) 2000-06-07
DK0540293T3 (da) 1996-12-09
KR930008033A (ko) 1993-05-20
DE69231163D1 (de) 2000-07-13
US5925305A (en) 1999-07-20
AU684222B2 (en) 1997-12-04
CA2081536C (en) 1996-03-19
AU695911B2 (en) 1998-08-27
US5541011A (en) 1996-07-30
DK0676438T3 (da) 2000-02-07
DE69212429D1 (de) 1996-08-29
AU3299795A (en) 199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516B1 (ko) 인열 용이성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SE454662B (sv) Vermekrympbar flerskiktsforpackningsfilm, som er baserad pa etensampolymerer
US6365248B1 (en) Easily tearable laminated barrier film and bag product using the same
KR101342748B1 (ko) 이열성 연신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자루,및 이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358328B1 (ko) 이열성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6317A (ko) 이열성 연신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자루,및 이열성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H05200958A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WO2013099698A1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易裂性包装袋
JP2845683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2845680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2661844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2845681B2 (ja) 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易裂性袋
JP2845682B2 (ja) 易裂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3789A (ja) 多層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多層延伸フィルム
JP5183022B2 (ja) 直線カット性ポリアミド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9492A (ja) 易裂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9327B1 (ko) 직선 커트성이 우수한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및 이의제조방법
JP5041858B2 (ja) 直線カット性ポリアミド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4259691A1 (en) Polyamide composition useful for the manufacture of film for food packaging
JP5041859B2 (ja) 直線カット性ポリアミド系熱収縮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47957A (zh) 雙軸延伸尼龍膜、積層膜、積層包裝材及雙軸延伸尼龍膜之製造方法
JP2020082678A (ja) 多層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8684A (ko) 직선커트 특성이 우수한 2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JPH0699486A (ja) 易裂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0995A (ja) 手切れ性に優れた積層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