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50B1 - 차량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50B1
KR0128050B1 KR1019930013621A KR930013621A KR0128050B1 KR 0128050 B1 KR0128050 B1 KR 0128050B1 KR 1019930013621 A KR1019930013621 A KR 1019930013621A KR 930013621 A KR930013621 A KR 930013621A KR 0128050 B1 KR0128050 B1 KR 012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afety device
integration
integra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454A (ko
Inventor
미네하루 시바타
켄지 소다이
준이치 미야와키
에쯔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와다 요시히로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하타 사치오
날덱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요시히로,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하타 사치오, 날덱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94000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1/013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by integrating the amplitude of the input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04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integrat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16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a value which is a function of two or more values, e.g. product or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에 작동되어서 승무원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의 작동을 적절한 시기에 행할 수 있도록한 차량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G센서(GS)의 출력값이 제1적분회로(S7)에 의해서 적분되고, 얻어진 제1적분값 A를 판정회로도(S8)에 있어서 소정의 판정레벨과 비교하므로서, 안정장치를 작동시키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제1적분회로(S7)에서의 적분에 있어서는, 전회적분값을 소정값만큼 감소시켜서, 금회의 적분값을 얻을 수 있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제3도)

Description

차량의 안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제어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예를 표시한 순서도.
제3도는 G센서출력에 의거한 연산부분과 판정부분을 블록도로 표시한 도면.
제4도(a),(b)는 적분방법의 일례를 표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인플레이터(에어백용), (6),(7) : 스위칭트랜지스터(기폭용),
(11) : CPU, U : 제어유니트,
(S2) : 하이패스필터, (S3) : 제2적분회로,
(S4) : 제2판정회로, (S5) : 제1하이패스필터,
(S6) : 증폭회로, (S7) : 제1적분회로,
(S8) : 제1판정회로, α : 감소계수,
β : 감소계수, a : 감소값,
b : 감소값, G(5) : G센서출력의 금회값
본 발명의 충돌시에 작동되어 승무원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서는 차량의 충돌시에 작동되어서 승무원의 보호를 도모하기 위한 안정장치를 장비한것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이 안전장치로서는 충돌시에 차실내에 전개되는 에어백이나, 충돌시에 강제적으로 인장상태(긴장상태)로 되는 프리텐션식시이트밸트등이 있다.
상술한 안전장치는 승무원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충돌시에는 확실히 작동되는 한편, 범퍼가 약간 변형하는 정도의 가벼운 충돌에서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차체에 장착한 G센서(가속도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이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안정장치를 작동시키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3-148348호 공보, 동 특개평 114944호 공보에는 G센서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적분을 행하여, 적분값을 소정의 판정레벨과 비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상기 적분값에 의거해서 충돌형태나 충돌에너지를 보므로서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충돌상태인지 또는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충돌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안전장치에 의한 승무원의 적절한 보호를 하기 위해서는 안전장치룰 적절한 시기에 작동시키는 일이 요망된다. 예를들면 고속정면충돌과 같은 때는 저속정면충돌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빠른 시기에 안정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차체의 일부에 충돌이 발생하는 폴충돌과 같은 때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요망되는 것이다.
그러나, 적분수단에 의한 적분을, 늦은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요구에 맞추어서 설정한때는, 급격한 G센서출력이 있었던 때에 신속히 안전장치를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고, 반대로 안정장치를 빨리 작동시키도록 설정한 때는, 늦은 시기에 안전장지를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장치를 적절한 시기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차체에 장착된 G센서와, 전회의 적분값을 소정값만큼 적게해서 금회의 적분값을 얻도록, 전회 G센서의 출력값을 적분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으로 얻어진 적분값에 의거해서, 승무원보호용의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적분수단이, 제1 적분수단과 제2 적분수단과의 2종류의 적분수단으로 되어서, 제1 적분수단의쪽이 제2적분수단에 비해서 전회의 적분값을 작게 하는 정도가 크게 되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판정수단이 제1적분수단으로 얻어진 제1적분값에 의거해서 판정을 행하는 제1판정수단과, 상기 제2적분수단으로 얻어진 제2적분값에 의거해서 판정을 행하는 2종류의 판정수단으로 되고, 상기 2종류의 판정수단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서 안전장치를 작동시킨다고 판정되었을때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기 G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저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1하이패스필터와, 상기 제2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시 G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상기 제1하이패스필터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저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2하이패스필터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기 G센서의 출력값을 이 출력값이 클때는 작을때에 비해서 큰 증폭율로 증폭하는 증폭수단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충돌당초부터의 충돌량을 적분값에 의해서 보므로서 늦은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되게 하는 층돌에 대응하면서 최신의 G센서출력값을 증시한 적분값을 얻고, 빨리 안전장치를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구성으로 하므로서 안전장치를 빠른 시기에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와 늦은 시기에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에 대하여 2개의 적분수단에 의해서 기능분담하므로서 한층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과 같이 판정수단을 2개의 적분수단에 대응해서 하나하나 독립해서 설치하므로서, 예를들면 2개의 적분값을 가산해서 이 가산값에 의거해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안전장치를 빠른 시기에 작동시키는 요구와 늦은 시기에 작동시킨다고 하는 요구에 대해서 보다 정밀도 좋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의 발명과 같이 2종류의 적분에 맞추어 G센서로부터의 출력값을 하나하나 따로따로 필터처리하므로서, 한층더 명확하게, 안전장치의 빠른 시기의 작동과 늦은 시기의 작동이라고 하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발명의 구성으로 하므로서 빠른 시기에서의 안전장치의 작동이라고 하는 요구에 대해서 한층더 확실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1),(2)는 각각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압을 얻기 위한 인플레이터이며, (1)은 운전석에어백용,(2)는 조수석에어백용으로 되어 있다.
(3)은 배터리,(4)는 이그니션스위치이며, 이그니션스위치(4)를 경유한 후의 배터리전압이, 승압회로(5)에 의해서 승압된다. 승압회로(5)에서 승압된 전압은, 인프레이터(1),(2)의 기록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승압회로(5)로부터 인플레이터(1),(2)에 대한 급전경로에는, 서로 직렬로, 스위치트랜지스터(6)과 (7) 및 저 G 스위치(8)이 접속되어 있다.
저 G 스위치(8)는, G볼을 이용한 기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차체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항상 OFF로되는 한편, 차체에 비교적 작은 G, 예를 들면 중력가속도의 4배의 가속도가 되는 4G가 발생하였을때에 ON 으로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이그니션스위치(4)가 ON으로 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해서, 각 스위칭트랜지스터(6),(7) 및 저 G 스위치가 각각 ON 되었을때에, 승압회로(5)로부터의 높은 전압이 인플레이터(1),(2)에 인가되어서 당해 인플레이터(1),(2)가 기폭되고, 대응하는 에어백이 차실내로 팽창, 전개되게 된다.
인플레이터(1),(2)에 대한 기폭용 전원으로서, 콘덴서를 이용한 백업전원(9)이 구성되고, 스위칭트랜지스터(10)가 ON되므로서 이그니션스위치(4)가 OFF로 되어 있어도 잠시동안은, 당해 백업전원으로부터 인프레이터(1),(2)에 대해서 기폭용 전압이 급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U는 마이크로콤퓨터를 이용해서 구성된 제어유니트로서, 그 CPU가 부호(11)로 표시된다. 이 CPU(11)에는 차체에 장착한 G센서(가속도센서)(GS), 모니터회로(12),(1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CPU(11)로부터는, 상기 승압회로(5), 스위칭트랜지스터(6),(7),(10)의 외에, 경보램프(14), 경보버져(15)에 대해서 출력된다. 상기 모니터회로(12)는 인플레이터(1),(2)의 급전회로의 단선 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다. 모니터회로(13)는 경보램프(14)에의 급전경로의 단선등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이며, 경보램프(14)가 작동하지 않을때에, CPU(11)는 버져(1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CPU(11)의 이상이 워치독타이머(16)에 의해 감시된다.
제어유닛트 U, 즉 CPU(11)에 의한 제어내용의 개략을 제2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먼저, P1(스텝-이하동일)에 있어서 200μsec 마다의 소정 타이밍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 P1의 판별에서 YES일때는, P2에 있어서, G센서(GS)로부터의 신호가 도입되고, 그후 P3에 있어서, G센서(GS)에 의해서 4G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P3의 판별에서 YES 일때는, P4에 있어서, 후술하는 출력파형을 위한 계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P5에 있어서, P4에서의 계산결과가 소정의 판정값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P5의 판별에서 YES일때는, P6에 있어서 스위칭트랜지스터(6),(7)을 ON으로 하므로서 인플레이턴(1),(2)를 기폭시킨다. 그후, P7에 있어서, P6에서의 스위칭트랜지스터(6),(7)의 ON 개시후 300msec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 P7의 판별에서 NO일 때는 P6으로 되돌아가고, 스위칭 트랜지스터(6),(7)이 계속 ON으로 작동된다. P7의 판별에서 YES로 되면, 스위칭트랜지스터(6),(7)이 OFF되어 이 이상의 인플레이터(1),(2)로의 기폭작용이 정지된다.
상기 P5의 판별에서 NO일 때는, P9에 있어서, 4G의 가속도검출로부터 200msec 경과하였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 200msec는, 4G의 가속도검출로부터 에어백을 전개시키는데 요구되는 최장시간보다도 긴시간, 즉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 확인된 후의 시간이 된다. 이 P9의 판별에서 YES 일때는, P10에 있어서 각종 파라미터가 클리어된다.
P3의 판별에서 NO일때는, P11에 있어서, 모니터회로(12),(13)등을 이용한 제어계의 고장진단이 행해진다.
P1의 판별에서 NO일때는, P12에 있어서, 송압회로(5)에 대한 승압을 위한 제어가 행해진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서 제2도의 P4와 P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G센서(GS)로부터의 출력신호(출력값)가 로우패스필터(S1)를 통과해서 쓸모없는 고주파성분이 제거된다. 그후 고속대응을 중시한 처리(S5∼S8)와, 저속대응을 중시한 처리(S2∼S4)가 하나하나 따로따로 행해여진다.
고속대응을 중시한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하이패스필터(S5)에 있어서, 1Hz이상의 고주파성분만이 통과된다. 이어서, 증폭회로(S6)에 있어서, G센서출력값의 증폭이 행해진다. 증폭회로(S6)에서의 증폭은,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표시한 증폭회로(S6)에 부가한 식에 따라서 지수함수적으로 행하도록 하고있다. 여기에 있어서 exp는 자연 대수의 밑수로 불리워지는 값을 나타낸다.
이 식에 있어서는, 20G의 곳에서 증폭율이 1로 되고, 20G를 초과하는 큰 G가 입력되었을때는 입력값이 클수록 증폭율이 크게 된다(피이크값의 강조). 또한 입력값이 20G보다 작을때에는 증폭율이 1보다도 작고, 입력값이 작을수록 증폭율도 작게 된다(실질적으로 이 영역은 감쇠가 된다).
상기 20G의 설정은, 험로주행등에서 노이즈로서 단발적으로 나타나는 피이크값이 10G 전후인 것을 감안해서 이 노이즈가 증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식 중의 20은 10∼20정도의 범위에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증폭율의 변경은, 선형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후, 제1적분회로(S7)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분이 행해져서, 제1적분값 A를 얻게 된다. 이후, 판정회로(S8)에 있어서, 제1적분값 A이 소정의 판정레벨(실시예에서는 일정값)보다도 크게 된시점에서, 인플레이터(1),(2)를 기폭시키는 기폭신호가 출력된다.
저속대응을 중시한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하이패스필터(S2)에 의해서, 40Hz 이상의 고주파성분만이 통과된다. 이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적분회로(S3)에 의해서 적분이 행해져서 제2분값 B가 산출된다. 그리고, 판정회로(S4)에 의해서 제2적분값 B이 소정의 판정레벨(실시예에서는 일정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인플레이터(1),(2)를 기폭시키는 기폭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제1적분회로(S7)에서의 적분은 제4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먼저 스탭 T1에 있어서, G센서출력값 G(n)이 상기의 증폭회로(S6)을 통해서 금회의 값 : G(n)·exp이 판독된다. 이후 스텝 T2에 있어서, 금회의 적분계산값 A가 산출된다. 이 계산은 상술의 스텝 T1에 있어서 판독된 값 : G(n)·exp에, 전회의 계산적분값에 대하여 소정의 감소계수α(0α1)가 승산된 것을 가산하므로서 행하여진다.
즉, 제2도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를 기폭시키는지 아닌지의 판정에 사용되는 적분계산값 A는 과거의 G센서출력값을 단순히 적산해서 얻개 되는 적분값으로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금회 판독된 G센서출력값을 가산하는 대상의 전회의 계산적분값의 크기는 그 값을 작게 하는 처리가 가해져 있다(보다 작은 계수 α가 곱해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감소계수 α를 사용하는 대신에, 감소값 a(0)를 전회계산적분값으로부터 감산하므로서 그 값을 작게 하는 처리가 가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T2에 상당하는 계산은 금회지분계산값 : A=G(n)·exp+ (전회계산적분값-a)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감소값 a를 사용할 때는, 그때의 적산값의 크기에 관계없이, 당해 감소값 a만큼 감산되어 버리므로, 안정된 감소를 행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감소계수 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감소값 a를,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서서히 커지도록하면 안정된 감소를 얻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제2적분회로(S3)의 적분은, 제4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술의 제4도(a)에서 표시하는 제1적분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단지, 이 경우 제3도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G센서출력값이 증폭회로를 개재하지 않고, 그대로 판독되기 때문에, 스텝 Q1에 의해서 판독되는 금회의 입력값은 G(n)이 된다. 그리고, 스텝 Q2에서 행하여지는 전회계산적분값의 크기를 작게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소 계수로서는 β가 사용되고, α와 β의 관계는 0αβ1로 된다. 또한, 이 경우도 제1적분값과 마찬가지로, 감소계수를 사용하는 대신에, 감소값 b를 전회계산적분값으로부터 감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Q2에 상하는 계산은, 금회적분계산값 : B=G(n)+(전회계산적분값-b)로 표시된다. a와 b의 관계는, 0ba로 된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이미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적분회로(S7),(S3)에서는, 전회적분값이 소정값만큼 감소되게 되나, 이 감소정도는 제1적분분회로(S7)쪽이 제2적분회로(S3)보다도 크게 된다(제2적분회로(S3)에서는, β=1 또는 b=0로 하므로서 실질적으로 감소를 행하지 않는 것도 가능).
또한,α β의 바람직한 값의 예로는, α=0.99, β=0.996를 들 수 있다. 고속대응 중시의 (S5)∼(S8)의 처리에서는 제1적분회로(S7)에서 얻어지는 제1적분값 A가 금회값 G(n)·exp을 중시한 형태로 되므로, G센서로부터의 출력값이 급격히 크게 되었을때에 신속하게 대응해서 제1적분값 A가 재빨리 커져서, 안전장치로서의 에어백을 신속하게 작동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적분을 행하고 있으므로 충돌당초로부터의 충격량도 제1적분값 A에 반영되어서, 저속충돌시에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안전장치로서의 에어백이 작동되게 된다.
상술한 것은 저속충돌 대응중시의 (S2)∼(S4)에서도 동일하나 제2적분회로(S3)가 제1적분회로(S7)에 비해서, 제2적분값 B에 차지하는 금회값 G(n)의 반영정도를 보다 작게 하고 있으므로, 느린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 추가해서, 하이패스필터(S5)에서는, (S2)에 비해서 통과하는 고주파성분이 저주파성분을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 즉 제1적분값 A가 크게 되는 경향을 조장하는 것으로 되어서 빠른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데 보다 적합한 것으로 된다(S2)를 포함하는 처리에서는 이와 반대의 관계가 된다).
또 증폭회로(S6)에서는, G센서출력값이 피이크값을 보다 중시한 제1적분값 A를 얻게 되므로, 이 경우도 빠른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데 보다 적합한 것으로 된다(중폭회로 (S6)을 가지지 않은 저속대응 중시의 처리에서는 이와 반대의 관계로 된다).
또한, 판정회로(S8),(S4)와 같이 각각 따로따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1적분값 A와 제2적분값 B를 가산해서 1개의 판정회로에 의해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서, 안전장치의 작동시기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분회로(S7)에서 얻어지는 제1적분값 A는, 차체의 일부가 충돌하는, 소위 폴충돌에 대응하는 데에도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폴충돌시는, G센서(GS)로부터의 출력값은, 일단 비교적 큰 피이크값을 나타낸 후, 차체 변형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은, 작은 출력값을 나타내고, 차체변형이 한계에 왔을 시점에서 다시 비교적 큰 피이크값이 나타난다. 이 경우 다시 나타나는 비교적 큰 피이크값에 의거해서 제1적분값 A가 크게 되어서 차체의 변형한계가 오는 적절한 시기에 안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한다면, 안전장치를 작동시키지 않는 극저속정면충돌시는, 충돌당초에 비교적 큰 피이크값이 출현하지만, 그후는 큰 피이크값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극저속정면충돌로서 구별해서 폴충돌시에 안전장치를 확실하게 작동시기는 데 있어서도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이점은, 증폭회로(S6)에 의한 피이크값을 강조한 증폭에 의해서 더욱 조장되게 된다.

Claims (5)

  1. 차체에 장착된 G센서와, 전회의 적분값을 소정값만큼 작게 해서 금회의 적분값을 얻도록 상기 G센서의 출력값을 적분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으로 얻게된 적분값에 의거해서, 승무원 보호용의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수단이 제1적분수단과 제2적분수단의 2종류의 적분수단으로 되어서, 제1적분수단쪽이 제2적분수단에 비해서, 전회의 적분값을 작게 하는 정도가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제1적분수단으로 얻게된 제1적분값에 의거해서 판정을 행하는 제1판정수단과, 상기 제2적분수단으로 얻게된 제2적분값에 의거해서 판정을 행하는 2종류의 판정수단으로 되고, 상기 2종류의 판정수단이 적어도 한쪽에서 안전장치를 작동시킨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안전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시 G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저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1하이패스필터와, 상기 제2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기 G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상기 제1하이패스필터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저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2하이패스필터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분수단으로 적분되기전에, 상기 G센서의 출력값을 이 출력값이 클때는 작을때에 비해서 큰 증폭율로 증폭하는 중폭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장치.
KR1019930013621A 1992-07-21 1993-07-20 차량의 안전장치 KR0128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15581 1992-07-21
JP4215581A JPH0640308A (ja) 1992-07-21 1992-07-21 車両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54A KR940005454A (ko) 1994-03-21
KR0128050B1 true KR0128050B1 (ko) 1998-04-04

Family

ID=1667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621A KR0128050B1 (ko) 1992-07-21 1993-07-20 차량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02343A (ko)
JP (1) JPH0640308A (ko)
KR (1) KR0128050B1 (ko)
DE (1) DE4324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850B1 (ko) * 1998-06-22 2005-09-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측면 충돌 감지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452B2 (ja) * 1994-03-10 1999-07-2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制御装置
JP2889119B2 (ja) * 1994-06-20 1999-05-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US5559699A (en) * 1994-08-26 1996-09-2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Matched filter for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US5608629A (en) * 1994-12-27 1997-03-04 Ford Motor Company Vehicle crash data generator
JP3014313B2 (ja) * 1995-12-25 2000-02-2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衝突判別装置
JP3090037B2 (ja) * 1996-04-24 2000-09-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9817686A1 (de) * 1998-04-21 1999-10-28 Wabco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Vergleichsgröße
US6272412B1 (en) 1998-11-09 2001-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assive restraint control system for vehicles
CN1134356C (zh) * 1998-12-15 2004-01-14 美国西门子汽车公司 气囊启动事件判断系统
JP3811449B2 (ja) * 2000-09-06 2006-08-23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の車体の環境圧の変化を指示する電気信号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168944B2 (ja) * 2004-01-28 2008-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保護システムおよび判定装置
DE102004031678A1 (de) * 2004-06-30 2006-01-26 Sick Ag Sicherungsverfahren und Sicherungsvorrichtung
US7477974B2 (en) * 2004-07-27 2009-01-13 Robert Bosch Gmbh Vehicle restraint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dynamically determined threshold
JP6153431B2 (ja) * 2013-09-25 2017-06-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KR102524291B1 (ko) 2017-01-25 2023-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백 점화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점화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159A (en) * 1970-11-10 1972-01-04 Gen Motors Corp Vehicle air cushion actuation and monitoring circuit
US3767002A (en) * 1972-08-10 1973-10-23 A Gillund Seat occupancy responsive air cushion actuation and monitoring circuit
DE2808872C2 (de) * 1978-03-02 1986-01-23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Auslöseschaltung für eine Insassenschutzeinrichtung in Kraftfahrzeugen
FR2504474A1 (fr) * 1981-04-28 1982-10-29 Renault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de collision et de commande de dispositifs de securite
DE3621580C2 (de) * 1986-06-27 1995-06-29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uslösen von Insassenschutzsystemen
DE3816587A1 (de) * 1988-05-16 1989-11-23 Messerschmitt Boelkow Blohm Einrichtung zur ausloesung einer passiven sicherheitseinrichtung
US5225985A (en) * 1989-01-24 1993-07-06 Diesel Kiki Co., Ltd. Vehicle safety device actuating apparatus with adaptive reference level
DE3924507A1 (de) * 1989-02-18 1990-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loesung von rueckhaltemitteln
JPH03114944A (ja) * 1989-09-28 1991-05-16 Nissan Motor Co Ltd エアバック制御装置
JP2543839B2 (ja) * 1990-01-29 1996-10-16 センサ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衝突センサ
JPH03253440A (ja) * 1990-03-01 1991-11-12 Zexel Corp 車両安全装置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JP2990381B2 (ja) * 1991-01-29 1999-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判断回路
US5202831A (en) * 1991-07-09 1993-04-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ing real time vector analy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850B1 (ko) * 1998-06-22 2005-09-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측면 충돌 감지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54A (ko) 1994-03-21
JPH0640308A (ja) 1994-02-15
DE4324511A1 (de) 1994-01-27
US5402343A (en) 199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8050B1 (ko) 차량의 안전장치
JP4022050B2 (ja) 不感ボックスを有する速度/変位に基づいた安全機能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920284B2 (ja) 歩行者保護装置
JPH0867227A (ja) 乗物搭乗者用拘束装置を展開させる展開信号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3392180B2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391029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ユニット
JP3858870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US6270115B1 (en) Air bag suppression system
JP3120716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2877145B2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3324220B2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JP3466563B2 (ja) 多段階制御を有する輸送手段乗客保護装置
JP3342889B2 (ja) 車両の安全装置
JP2003043060A (ja) 車両用衝突判定装置
JP3342890B2 (ja) 車両の安全装置
JP3482435B2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
JP3305366B2 (ja) 車両の安全装置
JP2005528274A (ja) 膨張式拘束システムのための衝突パルスエネルギ演算方式
JPH0632201A (ja) 車両の安全装置
JP335802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制御装置
JP2953215B2 (ja) 乗員拘束装置の制御装置
JPH0632202A (ja) 車両の安全装置
JPH07257315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00600311B1 (ko) 에어백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139246A (ja) 車両衝突波形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