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06Y1 - 아암 레스트용 트랙 - Google Patents

아암 레스트용 트랙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06Y1
KR0127706Y1 KR2019940027092U KR19940027092U KR0127706Y1 KR 0127706 Y1 KR0127706 Y1 KR 0127706Y1 KR 2019940027092 U KR2019940027092 U KR 2019940027092U KR 19940027092 U KR19940027092 U KR 19940027092U KR 0127706 Y1 KR0127706 Y1 KR 012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rm rest
track
longitudinal direction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36U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7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706Y1/ko
Publication of KR960013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의 콘솔 박스상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본 고안은 콘솔 박스(1)상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일(110), 상기 제1레일(110)에 대응하도록 아암 레스트(2)의 하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레일(120), 상기 제2레일(120)이 상기 제1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일(110)과 제2레일(120)의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롤러, 상기 제1레일(110)의 걸림구멍(111)에 삽입또는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 수단(140), 상기 록킹 수단(140)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조정시킬수 있도록 상기 아암 레스트(2)의 일측면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레버(150)로 이루어져 있는 아암 레스트용 트랙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암 레스트용 트랙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서 아암 레스트에 설치된 트랙의 고정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 레스트용 트랙의 해제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아암 레스트용 트랙 110 : 제1레일
120 : 제2레일 130 : 롤러
140 : 록킹 수단 150 : 레버
본 고안은 자동차용 콘솔 박스상에 부착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아암 레스트가 상기 콘솔 박스위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콘솔 박스상에 설치된 트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암 레스트는 자동차의 탑승자가 그의 팔을 보다 편안한 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콘솔 박스상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아암 레스트는 상기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가 시트 트랙의 최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콘솔 박스상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를 상기 시트 트랙의 최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아암 레스트는,상기 탑승자가 그의 팔을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못하므로, 그의 본래의 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 레스트는 상기 콘솔 박스상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신체 조건이 상이한 탑승자들은 상기 아암 레스트의 기능에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탑승자가 그의 팔을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아암 레스트의 위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레스트와 상기 콘솔 박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용 트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암 레스트용 트랙은 콘솔 박스상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에 대응하도록 아암 레스트의 하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이 상기 제1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롤러, 상기 제1레일의 걸림구멍에 삽입또는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 수단, 상기 록킹 수단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아암 레스트의 일측면에 고정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레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아암 레스트용 트랙상을 활주하여 이동하는 아암 레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아암 게스트용 트랙(100)은 콘솔 박스(1)상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일(110), 상기 제1레일(110)에 대응하도록 아암 레스트(2)의 하부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레일(120), 상기 제1레일(110)의 걸림구멍(111)에 삽입또는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 수단 (140), 상기 록킹 수단(140)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아암 레스트(2)의 일측면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레버(15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레일(120)이 상기 제1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수 있도록 상기 제1레일(110)과 제2레일(12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롤러(130)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 수단(140)은 상기 제2레일(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격실 및 상기 제2레일(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격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레일(12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141)와 상기 크라켓트(141)의 제1격실 내부를 따라서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142)와 상기 제1피스톤(142)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143)과 상기 브라켓트(141)의 제2격실의 내부를 따라서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제2피스톤(144)과 상기 제2피스톤(144)을 지지하고 있는 제2스프링(145)을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142)의 일단부는 상기 레버(150)와 와이어(160)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버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록킹 수단(140)도 작동된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위치에 있는 레버를 제2도에 도시된 해제위치로 위치로 위치 변경시키면, 이와 연동하여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제1스프링의 팽창력을 극복하여서 록킹 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위치 변동하며 또한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2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위치 변동한다. 따라서 상기 아암 레스트를 상기 콘솔 박스상의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 변경시킬수 있다.
이후에 해제위치의 상기 레버를 유지시키기 위한 힘을 제거시키면 상기 브라켓트의 제1격실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피스톤은 록킹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피스톤 상기 제2격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활주식으로 위치 변경하여 그의 단부와 대응하는 걸림 구멍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록킹 부재는 록킹 상태로 된다(제1도 참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트랙이 설치되어 있는 아암 레스트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탑승자는 그의 팔을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콘솔 박스(1)상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레일(110), 상기 제1레일(110)에 대응하도록 아암 레스트(2)의 하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레일(120), 상기 제1레일(110)의 걸림구멍(111)에 삽입 또는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록킹수단(140), 상기 록킹 수단(140)의 작동을 원격적으로 조정시킬수 있도록 상기 아암 레스트(2)의 일측면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레버(15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레스트용 트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110)과 제2레일(12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롤러(1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레스트용 트랙.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140)은 상기 제2레일(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격실 및 상기 제2레일(1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격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레일(12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트(141)와 상기 브라켓트(141)의 제1격실 내부를 따라서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제1피스톤(142)와 상기 제1피스톤(142)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143)과 상기 브라켓트(141)의 제2격실의 내부를 따라서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한 제2피스톤(144)과 상기 제2피스톤(144)을 지지하고 있는 제2스프링(14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레스트용 트랙.
KR2019940027092U 1994-10-18 1994-10-18 아암 레스트용 트랙 KR0127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092U KR0127706Y1 (ko) 1994-10-18 1994-10-18 아암 레스트용 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092U KR0127706Y1 (ko) 1994-10-18 1994-10-18 아암 레스트용 트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36U KR960013936U (ko) 1996-05-17
KR0127706Y1 true KR0127706Y1 (ko) 1998-10-15

Family

ID=1939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092U KR0127706Y1 (ko) 1994-10-18 1994-10-18 아암 레스트용 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7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034A (ko) * 2002-09-02 200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36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368A (en) 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KR950000459A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 시트
KR19980058088A (ko) 자동차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DE69401601T2 (de) Lageeinstell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JP3831827B2 (ja) 可動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用スライダー
JPS58149842A (ja) 自動車用の安全ベルト装置
KR0127706Y1 (ko) 아암 레스트용 트랙
US4354695A (en) Seat belt system
JPS62194955A (ja) 自動車用コンソ−ルボツクス
KR19980022805U (ko)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3430860B2 (ja) トレイ取付装置
KR100472231B1 (ko) 자동차용 룸미러 구조
KR100195024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
KR100195037B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
JP2827398B2 (ja) 自動車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960009591Y1 (ko) 자동차 의자의 고정장치
JPH0424135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KR0143850B1 (ko) 이동형 콘솔 박스
KR200149385Y1 (ko) 차량용 콘솔 박스 커버 개폐장치
KR0117339Y1 (ko) 자동차의 시트백 이동장치
JP3473651B2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装置
JPH06276Y2 (ja) アジャスタブルショルダアンカ装置のピラ−トリム取付構造
KR20230170246A (ko) 이동식 레일장치
KR200145165Y1 (ko) 차량의 리어시트
KR100361983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프리텐셔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