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46A - 이동식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46A
KR20230170246A KR1020220070520A KR20220070520A KR20230170246A KR 20230170246 A KR20230170246 A KR 20230170246A KR 1020220070520 A KR1020220070520 A KR 1020220070520A KR 20220070520 A KR20220070520 A KR 20220070520A KR 20230170246 A KR20230170246 A KR 20230170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ving
shaft
movab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구
정재철
변승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2007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46A/ko
Publication of KR2023017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설치되며 차체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를 구비하는 고정레일, 고정레일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대상물이 장착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에 구비되며 이동레일이 길이방향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할 때 벤딩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윈도우부재를 포함하여 고정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가 필요한 차종이 늘어나더라도 금형이 추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레일장치{Movable rail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가 필요한 차종이 늘어나더라도 금형이 추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식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레일장치를 구성하는 레일 구조물은 크게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 위치의 고정레일, 및 고정레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정레일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레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레일 구조물은 하부레일인 고정레일(2)과 상부레일인 이동레일(1) 사이의 접촉부위에 베어링 조립체(3)를 설치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상대 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하고 최적의 동작 성능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레일(1)은 릴리즈레버와 연결된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레일(2)에 록킹되어 이동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릴리즈레버가 작동하면 록킹장치가 해제되며 이동레일(1)이 고정레일(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록킹장치의 해제시 이동레일(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고정레일(2)에 스토퍼(4)가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4)는 고정레일(2)의 베어링 조립체(3)가 안착되는 면 중 두 곳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그 사이가 이동레일(1)의 이동거리가 되고, 베어링 조립체(3)가 고정레일(2)을 따라 이동하다가 고정레일(2)에 형성된 두개의 스토퍼(4)에 각각 지지되면서 이동레일(1)의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스토퍼 사이의 거리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고정레일의 길이 연장이 필요하고 스토퍼의 위치를 변경해야 해서 고정레일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동식 레일장치가 설치되는 설치환경, 즉, 차량의 다양한 차종에 따라 이동레일의 이동거리가 다르게 설정되어, 각각의 사이즈를 갖는 고정레일의 제작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금형이 추가되며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0012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고정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가 필요한 차종이 늘어나더라도 금형이 추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식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동레일을 고정레일에 고정하는 록킹장치에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구조가 마련되고, 이동레일의 록킹 해제시 이동레일의 이동거리가 제한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이동식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레일장치는 차체에 설치되며 차체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를 구비하는 고정레일, 고정레일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대상물이 장착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에 구비되며 이동레일이 길이방향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할 때 벤딩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윈도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레일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한쌍의 스토퍼는 윈도우부재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동레일의 이동량 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벤딩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레일은 이동레일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록킹돌기를 구비하고, 윈도우부재는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어 록킹돌기가 삽입되어 구속되며 샤프트의 회전시 록킹돌기와 분리되어 구속 해제되는 복수 개의 록킹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식 레일장치는 일측이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측이 케이블과 연결되어 케이블이 당겨지면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릴리즈레버, 일측이 이동레일에 연결되고 타측이 릴리즈레버의 타측과 연결되어 릴리즈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부재는 록킹돌기에 구속되거나, 릴리즈레버 작동시 회전하여 록킹돌기와 분리되며 이동레일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레일은 일측단에 폭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샤프트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샤프트지지부, 제1 샤프트지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샤프트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샤프트지지부는 폭방향 일측단에서 고정레일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리턴스프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윈도우의 길이를 변경하여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가 필요한 차종이 늘어나더라도 금형이 추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레일을 고정레일에 고정하는 록킹장치에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구조가 마련되고, 이동레일의 록킹 해제시 샤프트가 회전하여 이동레일의 이동거리가 제한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식 레일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이동식 레일장치의 스토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해 도 3의 B-B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레일장치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레일장치(10)는 차체에 설치되며 차체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120)를 구비하는 고정레일(100), 고정레일(10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대상물이 장착되는 이동레일(200), 이동레일(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300)에 구비되며 이동레일(200)이 길이방향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할 때 벤딩부(120)에 지지되는 한쌍의 스토퍼(420)를 구비하는 윈도우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식 레일장치(10)는 차체에 이동 대상물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마련되며 고정레일(100)과 이동레일(20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레일(100)은 차실내의 플로워패널과 같은 차체에 고정프레임을 매개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대략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폭방향 양측단이 접히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접힌 양측에 이동레일(200)과 구름 접촉하는 다수 개의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레일(100)은 차체의 반대측인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120)와 벤딩부(120)에서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래크(110)를 구비한다.
벤딩부(120)는 고정레일(100)에 형성된 벤딩부(120) 수용홀(120a)의 내측면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수직으로 벤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레일(100)은 벤딩부(120) 수용홀(120a)에서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래크(110) 수용홀(110a)이 형성되고, 래크(110) 수용홀(110a)의 내측면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수직으로 벤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래크(110)가 구비된다.
래크(110)는 돌출된 단부에서 돌기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록킹돌기(111)를 구비하며, 록킹돌기(111)는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록킹돌기(11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110)의 돌출된 단부에서 더 돌출되어 형성되며 4개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레일(100)은 벤딩부(120)가 벤딩되게 가공되기 전에 벤딩부(120) 수용홀(120a)에 수용되고, 래크(110)가 벤딩되게 가공되기 전에 래크(110) 수용홀(110a)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벤딩부(120)와 래크(110)는 고정레일(100)을 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100)의 벤딩부(120) 수용홀(120a)과 래크(110) 수용홀(110a) 내에 마련되고, 벤딩부(120)와 래크(110)를 고정레일(100)에서 수직으로 접으며 벤딩되게 가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벤딩부(120)와 래크(110)는 고정레일(100)의 일부가 절개된 후 벤딩되게 가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레일(200)은 고정레일(100)의 상측에서 고정레일(10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면이 대략 디귿자 형태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레일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레일(200)은 이동 대상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마운팅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대상물은 차실내에 위치하는 무빙콘솔이나 시트류 등의 차량의 내장물품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 대상물이 무빙콘솔인 경우 이동식 레일장치(1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1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서 후방에 위치한 2열 시트 사이의 공간에 이르기까지 그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레일(200)은 후술할 샤프트(300)와 윈도우부재(400)가 설치되어 고정레일(100)에 록킹되며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길이방향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샤프트(300)는 이동식 레일장치(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동레일(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방 단부에 릴리즈레버(500)가 구비된다.
릴리즈레버(500)는 일측이 샤프트(3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케이블과 연결되어 케이블이 당겨지면 샤프트(3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이동 대상물이 무빙콘솔인 경우 케이블은 콘솔바디의 후방에 설치되는 노브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할 경우 케이블이 당겨지며 샤프트(300)가 회전한다.
그리고, 케이블이 당겨지지 않을 때 릴리즈레버(500)가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501)이 설치된다.
리턴스프링(501)은 일측이 이동레일(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릴리즈레버(500)의 타측과 연결되어 릴리즈레버(5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윈도우부재(400)는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레일(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샤프트(300)에 용접 등의 열융착 방식을 통해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윈도우부재(400)는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스토퍼(420)를 구비한다. 이때, 일정거리는 이동레일(200)의 이동량이며, 한쌍의 스토퍼(4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부재(400)는 폭방향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록킹홀(410)을 구비한다.
록킹홀(410)은 록킹돌기(1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록킹돌기(111)의 길이방향 이격거리와 대응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홀(410)은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윈도우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이러한 록킹홀(410)은 록킹돌기(111)가 삽입되면 윈도우부재(400)가 고정레일(100)에 구속되어 이동레일(2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록킹돌기(111)가 분리되면 윈도우부재(400)가 고정레일(100)에서 구속 해제되어 이동레일(2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동레일(200)에는 샤프트(300), 릴리즈레버(500), 및 리턴스프링(501)이 설치되도록 제1 샤프트지지부(210), 제2 샤프트지지부(220), 돌출부(211)가 마련된다.
이동레일(200)은 길이방향의 일측단인 후방 단부에 폭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샤프트(3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샤프트지지부(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레일(200)은 제1 샤프트지지부(21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샤프트(30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지지부(220)를 구비한다.
즉, 제1 샤프트지지부(210)와 제2 샤프트지지부(220)는 서로 이격되되 길이방향으로 샤프트(300)의 길이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에 샤프트(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샤프트지지부(210)는 이동레일(200)의 후단을 연결하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의 일측단에서 고정레일(10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리턴스프링(501)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돌출부(211)를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이동식 레일장치(10)의 작동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사용자의 노브 조작에 따른 이동레일(200)의 록킹구조를 보여주며, 도 6의 (a)는 사용자가 노브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레일(200)이 고정레일(100)에 록킹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릴리즈레버(500)는 케이블을 통해 당겨지지 않아서 리턴스프링(501)의 탄성력이 작용되고, 샤프트(300)와 윈도우부재(400)도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력이 작용된다.
이에 따라 록킹홀(410)에 록킹돌기(111)가 삽입되며 윈도우부재(400)의 폭방향 타측이 래크(110)의 단부에 안착되며 리턴스프링(501)에 의해 이동레일(200)이 고정레일(100)에 구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윈도우부재(400)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420)는 벤딩부(120)의 단부 보다 높게 위치하여 이동레일(2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벤딩부(120)에 지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하게 되면 케이블이 당겨지며 리턴스프링(501)은 늘어나면서 릴리즈레버(5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6의 (b)와 같이 샤프트(300)와 윈도우부재(400)도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윈도우부재(400)의 일측단이 고정레일(100)에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노브 조작시 윈도우부재(400)의 일측단이 고정레일(100)에 지지되면서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스토퍼(420)는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안착부(4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부재(400)가 회전하여 록킹홀(410)에서 록킹돌기(111)가 분리되며 고정레일(100)에 대한 이동레일(200)의 구속이 해제되어 이동레일(20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윈도우부재(400)의 일측이 하향 경사지며 한쌍의 스토퍼(420)의 높이가 벤딩부(120)의 끝단 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대상물의 길이방향 위치를 변경할 때 노브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하며 위치를 변경해야 하며, 노브에 외력을 제거한 순간 리턴스프링(501)에 의해 릴리즈레버(500), 샤프트(300), 및 윈도우부재(400)가 함께 원래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레일(200)이 고정레일(100)에 구속되고 이동 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처럼 윈도우부재(400)는 록킹돌기(111)에 구속되거나, 릴리즈레버(500) 작동시 회전하여 록킹돌기(111)와 분리되며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제한함에 따라 간단한 구조를 통해 두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7은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한 상태(록킹홀(410)에서 록킹돌기(111)가 분리되어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이동레일(200)이 길이방향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할 때 벤딩부(120)에 지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a)는 이동레일(200)이 최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동레일(20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스토퍼(420)가 벤딩부(120)에 지지되며 이동레일(2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도 7의 (b)는 이동레일(200)이 최전방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동레일(2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한 스토퍼(420)가 벤딩부(120)에 지지되며 이동레일(20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이처럼 한쌍의 스토퍼(420)가 벤딩부(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되어 있어서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이 제한되고, 이동레일(200)이 고정레일(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종에 따라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변경해야 할 경우에는 윈도우부재(400)를 변경하여 한쌍의 스토퍼(4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이동레일(200)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보다 수월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정레일을 교체하지 않고 윈도우의 길이를 변경하여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어서 설치가 필요한 차종이 늘어나더라도 금형이 추가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레일을 고정레일에 고정하는 록킹장치에 이동레일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구조가 마련되고, 이동레일의 록킹 해제시 샤프트가 회전하여 이동레일의 이동거리가 제한됨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며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동식 레일장치 100: 고정레일
110: 래크 111: 록키돌기
120: 벤딩부 200: 이동레일
210: 제1 샤프트지지부 211: 돌출부
220: 제2 샤프트지지부 300: 샤프트
400: 윈도우부재 410: 록킹홀
420: 스토퍼 421: 안착부
500: 릴리즈레버 501: 리턴스프링

Claims (7)

  1. 차체에 설치되며, 차체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벤딩부를 구비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대상물이 장착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레일이 길이방향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위치할 때 상기 벤딩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윈도우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스토퍼는 상기 윈도우부재에서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이동량 만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벤딩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은 상기 이동레일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록킹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부재는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록킹돌기와 분리되어 구속 해제되는 복수 개의 록킹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타측이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릴리즈레버; 및
    일측이 상기 이동레일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릴리즈레버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릴리즈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재는 상기 록킹돌기에 구속되거나, 상기 릴리즈레버 작동시 회전하여 상기 록킹돌기와 분리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방향 이동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은,
    일측단에 폭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샤프트지지부; 및
    상기 제1 샤프트지지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지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지지부는 폭방향 일측단에서 상기 고정레일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레일장치.
KR1020220070520A 2022-06-10 2022-06-10 이동식 레일장치 KR20230170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20A KR20230170246A (ko) 2022-06-10 2022-06-10 이동식 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20A KR20230170246A (ko) 2022-06-10 2022-06-10 이동식 레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46A true KR20230170246A (ko) 2023-12-19

Family

ID=8938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520A KR20230170246A (ko) 2022-06-10 2022-06-10 이동식 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120B1 (ko) 2005-05-11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120B1 (ko) 2005-05-11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864A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
JP5654764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US7165753B2 (en) Locking device of seat track for vehicles
JP2013023039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090234544A1 (en) Vehicle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ith a locking linkage
US7543874B2 (en) Vehicular sliding console
EP2292462B1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KR20230170246A (ko) 이동식 레일장치
WO2008093918A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 track for vehicle
WO2014125507A2 (en) An internal bottom locking type sliding system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071488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6756830B2 (ja) 車両用シート
JP349529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JP311546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80170221A1 (en) Anti-rattle bumper for vehicle armrest assembly
US11613188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restraint system for the adjustment and suspension device
WO2004039626A1 (en) Activ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JP7472821B2 (ja) 車室仕切装置
KR102115952B1 (ko) 자동차의 시트 장치
WO2008116112A1 (en) Seat track assembly with load pins
JP425924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240026771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 장치
KR100693627B1 (ko) 자동차의 2열 시트 워크인구조
KR100785625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