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311A1 -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245311A1 WO2019245311A1 PCT/KR2019/007471 KR2019007471W WO2019245311A1 WO 2019245311 A1 WO2019245311 A1 WO 2019245311A1 KR 2019007471 W KR2019007471 W KR 2019007471W WO 2019245311 A1 WO2019245311 A1 WO 2019245311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polarizing plate
- leakage
- sensitive adhesive
- adhesive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otective film layer is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release film layer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quantifying whether or not the polarizer adhesive leaked 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fference in the frictional forc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larizing plate 100 showed an excellent correlation with the leakage or the degree of leakage of the adhesive 151 visually confirmed.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highly accurate criterion 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은 (a)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b)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c)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d)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값으로부터 점착제 유출 판별기준을 도출한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양측에 부착된다.
편광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A 소재로 이루어진 편광자층 (130), 편광자층(130)의 양면에 부착된 상·하부 지지체층(120, 140), 상부 지지체층(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편광자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층(110), 하부 지지체층(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점착층(150), 그리고 점착층(1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점착층(150)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층(160)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편광판(100)은 현장의 생산라인에서 양산되어 적용 제품의 크기에 맞게 재단된 후 패널에 부착되는데, 편광판(100)을 재단하는 과정, 그리고 이송 설비(1)를 따라 편광판(100)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도 2와 같이 점착층(15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될 수 있다. 특히, TV 패널에 사용되는 대형 편광판(100)의 경우에는 복수의 편광판(100)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적층시킨 상태로 이송시킬 때 하부에 위치한 편광판(1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점착제(151) 유출이 더욱 문제된다.
편광판(100) 점착층(150)의 두께는 약 20㎛ 수준으로 재단 또는 이송 과정에서 편광판(100)으로부터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점착제(151)가 유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송 설비(1)는 한 번 고정 설치되면 변경이 어렵게 되어 이송 설비(1) 상으로 미량의 점착제(151)가 유출되는 것만으로도 편광판(100)이 부착 공정이나 클리닝 공정을 위한 의도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지 못하여 제품의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점착제 유출 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점착제에 포함된 세그먼트 조성 비율을 변경하여 하드한 형태의 점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벌크 모듈러스(bulk modulus)의 증가에 따른 점착력 저하, 내구성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점착제 유출 정도는 점착제의 성분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도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예를 들어, 테이퍼(Taper) 각도) 또는 편광판의 휨 내지 쳐짐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컬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 및 컬의 크기 조건에 따라 점착제 유출이 어느 정도 일어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송 설비 상에서 편광판이 이동하는 상황을 편광판과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장치로 모식화하여,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마찰력 측정값을 기초로 점착제 유출에 대한 판별기준을 도출한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은 (a)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b)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c)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d)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 단계는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편광판의 재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 타입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는 편광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은 양면 중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층이 위치하며, 다른 일면에 이형필름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c) 단계는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편광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e) 단계는 편광판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과, 편광판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e) 단계는 가이드부 상에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된 경우의 마찰력 정보와,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의 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은 점착제 유출에 대한 판별기준을 도출함으로써 실제 이송 설비 상에서 편광판을 이송시킴에 있어 판별기준에 따라 점착제가 유출되지 않거나 점착제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적용하여 점착제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는 육안으로 확인한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와 우수한 연관성을 보였는바,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에 대한 정확도 높은 판별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이송 설비 상에 점착제가 유출되는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편광판의 이동 상황을 모식화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편광판 제공부를 가이드부에 인접시키는 방향으로의 편광판 이동거리 별로 편광판 컬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 실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컬의 크기 조건 별로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 마련된 편광판의 다양한 재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컬의 크기 조건 및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 조건 별로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는 도 9a 내지 9c의 측정 결과를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이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편광판의 이동 상황을 모식화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값으로부터 점착제(151) 유출 판별기준을 도출한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a) 점착층 (150)을 포함하는 편광판(100)을 준비하는 단계(S100), (b)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100)을 제공하는 단계(S200), (c) 가이드부(200) 상에서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단계(S300), (d)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 그리고 (e)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편광판 (100)의 점착제(151)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를 위한 실험은 도 4에 따른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도 4의 실험 장치는 실제 이송 설비(1) 상에서의 편광판(100)의 이동을 모식화 한 것으로서, 편광판(100), 가이드부(200), 그리고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을 제공하는 편광판 제공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의 일면에는 글래스(210)가 형성될 수 있고, 편광판(100)의 일단부는 가이드부(200)의 글래스(210)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편광판 제공부(300)는 가이드부(200)와 소정의 간격(l)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하 방향(이하 '수직방향') 또는 좌·우 방향(이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제공부(300)는 편광판(1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클램프 (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단계: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S100)
(a) 단계는 점착층(150)을 포함하는 편광판(100)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구조의 편광판(100)을 준비할 수 있다.
편광판(100)은 제조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규격과 실험 규모를 반영하여 이에 적합한 크기로 준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을 위해 6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 규격(가로 143.97cm x 세로 80.90cm)의 비율을 적용하여, 가로 1.8cm x 세로 1.0cm 규격의 편광판(100)을 준비하였다.
또한, 점착제(151)의 유출 정도는 편광판(100)의 재단면(170)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험을 위해 다양한 재단면 (170) 형상을 갖는 편광판(100)을 준비할 수 있다. 편광판(100)의 재단면(170) 형상은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상기 편광판(100)의 재단면(170)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재단면(170) 형상(이하 '테이퍼 각도(θ)')을 갖는 편광판(100)을 준비할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는 전술한 편광판(100)의 재단면(170) 형상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편광판(100)의 재단면(170)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일면은 보호필름층(110) 이거나 이형필름층(160)일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 있어서 테이퍼 각도(θ)는 편광판(100)의 재단면(170)과 편광판(100)의 양면 중 이형필름층(160)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실험을 위해 테이퍼 각도(θ)가 51˚, 76˚, 85˚, 95˚, 108˚, 132˚(도 8 참조), 그리고 90 ˚인 편광판(100)을 준비하였다.
(b) 단계: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S200)
(b) 단계는 가이드부(200)에 준비된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100)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편광판 제공부(300)를 가이드부(200) 측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100)을 제공한다. 이 때, 가이드부(200)에 제공되는 편광판(100)의 일단부는 편광판 (100)의 재단면(170)이고, 편광판(100)의 타단부는 클램프(3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200)에 제공되는 편광판(100)의 일단부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이드부(200)에 제공될 때 휨 현상(또는 쳐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컬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며, 휨 정도에 따라 편광판(100)으로부터 유출되는 점착제(151) 양이 상이해질 수 있다.
도 5는 편광판 제공부를 가이드부에 인접시키는 방향으로의 편광판 이동거리 별로 편광판 컬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편광판(100)이 가이드부(200)에 제공될 때 발생하는 휨 또는 쳐짐 현상에 의해 편광판(100)의 양면을 이루는 보호필름층(110) 또는 이형필름층(160)이 밀리게 되면서 점착층(150)이 노출되어 편광판(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실제 설비 상에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에 제공될 때 편광판의 타단부가 고정된 클램프의 위치에 따라 편광판과 가이드부가 이루는 각도(이하 '컬의 크기(c)')가 상이해지고, 컬의 크기(c)에 따라 편광판(100) 양면의 밀림 정도가 상이해져,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컬의 크기(c)는 편광판(100)의 일단부를 포함하여 일단부로부터 직선 구간으로 취급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과 가이드부(200) 상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이에,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은 편광판 이송 시의 상황을 모식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c)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c)를 15˚, 30˚, 및 50˚로 조절하면서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을 제공하였다.
(c) 단계: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S300)
(c) 단계는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편광판 (100)의 일단부가 가이드부(200)에 접하도록 제공된 후, 편광판 제공부(3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부(200) 상에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편광판(100)을 이동시킨다. 본 실험에서 편광판 제공부(300)는 가이드부(200) 상에서 편광판(100)을 300mm/min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은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편광판(100)의 일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은 편광판(100)의 이형필름층(160)이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경우를, 제2방향은 편광판(100)의 보호필름층(110)이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한다.
실제 편광판(100)은 이송 설비(1) 상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도 편광판 제공부(300)를 기준위치(P)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200) 상에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d) 단계: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
(d) 단계는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200)에 접하는 순간부터 가이드부(200)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마찰력 측정은 편광판 (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각 이루어졌다.
본 실험에서는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해 TA XT PLUS(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편광판 제공부(300)에 TA XT PLUS(Texture analyzer)를 설치하여 편광판 제공부(300)가 300mm/min의 이동속도로 이동할 때, TA XT PLUS (Texture analyzer)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마찰력 값의 단위는 gf/cm이다.
(e) 단계: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S500)
(e) 단계는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편광판(100)의 점착제(151)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로서, (d) 단계에서 측정된 마찰력 값으로부터 편광판(100)의 점착제(151)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였다.
본 단계는, 편광판(1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측정된 마찰력 값과 편광판(10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을 제외한 테이퍼 각도 (θ) 및 컬의 크기(c)는 동일한 조건일 수 있다.
한편, 편광판 (100)의 이동방향이 상이한 경우, 가이드부(200)에는 서로 다른 편광판(100)의 층, 보호필름층(110) 또는 이형필름층(160)이 접하게 되는데, 보호필름층(110)과 이형필름층(160)의 마찰계수는 서로 상이하므로, 이동방향을 제외한 테이퍼 각도(θ) 및 컬의 크기(c) 조건이 동일하더라도 측정된 편광판 (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의 마찰력 값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에 차이가 있다고 하여 편광판(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된 것으로 볼 수 없고, 마찰력 값의 차이가 실제 점착제(151)의 유출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별도의 단계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단계는 가이드부(200) 상에 편광판(100)의 점착제(151)가 유출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계를 통해 편광판(100)의 점착제(151)가 유출된 경우의 마찰력 정보와, 편광판(100)의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의 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편광판(100)의 점착제(151) 유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 상에 편광판(100)의 점착제(151)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판(100)이 제공되는 가이드부(200)의 일면에 글래스(210)를 형성하여,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착제(151)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는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 실험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의 마찰력 값이 측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그래프에서, A구간은 편광판 (10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운동 마찰력을 나타내고, B구간은 편광판 (10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운동 마찰력을 나타낸다.
본 그래프에서, 마찰력 값이 0인 구간은 편광판(100)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지기 전을 의미하고, 마찰력의 크기가 증가하는 구간은 편광판(100)의 정지마찰력을 나타내는 구간으로, 이 구간의 마찰력 크기는 곧 편광판(100)에 대하여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그래프에서, A구간은 B구간 보다 마찰력 값이 더 크게 측정되었는데, 이러한 마찰력 값의 차이는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접촉 마찰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거나,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접촉 마찰력 및 점착제(151) 유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한 후, 점착제(151)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침으로써 마찰력 값의 차이가 실제 점착제(151) 유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컬의 크기 별로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 마련된 편광판의 다양한 재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컬의 크기 조건 및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 조건 별로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는 도 9a 내지 9C의 측정 결과를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이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사용한 편광판(100)의 스펙은 [표 1] 같다.
전체 두께(단위: ㎛) | 154 ± 20 |
보호필름층(PET) | 70 |
상부 지지체층(TAC) | 64 |
편광자층(PVA) | 25 |
하부 지지체층(Acryl) | 40 |
점착층(PSA) | 25 ± 5 |
이형필름층(PET) | 40 |
상기 표에서 상부 지지체층(TAC)은 기능성 코팅층(ASG5)을 포함한 두께로, 본 실험에서는 상부 지지체층(TAC) 60㎛, 기능성 코팅층 4㎛ 두께인 편광판을 사용하였다. 한편, 테이퍼 각도(θ) 및 컬의 크기(c)는 변경해가면서 실시하였다.도 7은 테이퍼 각도(θ)가 90˚인 편광판(100)에 대하여 컬의 크기(c)를 각각 15˚, 30˚, 50˚로 조절하면서 마찰력 값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며,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컬의 크기(c) |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 마찰력 차이 (|A-B|) |
15 | 60.9 | 55.2 | 5.7 |
30 | 27.9 | 24.7 | 5.2 |
50 | 58.7 | 27 | 31.7 |
마찰력 유출 여부의 판별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컬의 크기(c) 조건을 [표 2]과 같이 변경해가면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 A, B를 각각 측정한 후,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A-B|)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마찰력 값의 차이(|A-B|)는 편광판(100)이 컬의 크기(c)가 15˚ 및 30˚인 경우 각각 5.7 및 5.2로 유사하였고, 컬의 크기(c)가 50˚인 경우에는 31.7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한편, 마찰력 값의 차이(|A-B|)를 산출한 후 실제 편광판(100)으로부터 가이드부(200)의 글래스(210) 상에 점착제(151)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컬의 크기(c)가 15˚ 및 30˚인 경우에는 글래스(210) 상에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았고, 컬의 크기(c)가 50˚인 경우에는 점착제(151)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의 실험 결과로부터, 테이퍼 각도(θ)가 90˚인 편광판(100)의 경우,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적어도 하기 <식 1>의 범위를 만족할 때, 편광판(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식 1>
0 ≤|A-B|< 31.7
한편, 도 9a 내지 9c 및 도 10은 컬의 크기(c) 및 테이퍼 각도(θ)를 변경해가면서 도 7과 동일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9A 내지 9C 및 도 10에 따른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 내지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테이퍼 각도 (θ) |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 마찰력 차이 (|A-B|) |
51˚ | 46.8 | 49.8 | 3 |
76˚ | 58 | 78.5 | 20.5 |
85˚ | 57.3 | 70.3 | 13 |
95˚ | 80.5 | 58.3 | 22.2 |
108˚ | 53.3 | 51.9 | 1.4 |
132˚ | 125.3 | 42.1 | 83.2 |
테이퍼 각도 (θ) |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 마찰력 차이 (|A-B|) |
51˚ | 42.8 | 40 | 2.8 |
76˚ | 50 | 65.7 | 15.7 |
85˚ | 57.5 | 64.6 | 7.1 |
95˚ | 96 | 43.5 | 52.5 |
108˚ | 97.2 | 38.9 | 58.3 |
132˚ | 74.3 | 38 | 36.3 |
테이퍼 각도 (θ) |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 마찰력 차이 (|A-B|) |
51˚ | 39.9 | 62.9 | 23 |
76˚ | 36 | 40.8 | 4.8 |
85˚ | 41.7 | 50.9 | 9.2 |
95˚ | 63 | 35.5 | 27.5 |
108˚ | 60.3 | 33 | 27.3 |
132˚ | 38 | 36.9 | 1.1 |
테이퍼 각도(θ) 및 컬의 크기(c)를 변경해가면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을 측정한 후,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A-B|)를 산출하고, 글래스(210) 상의 점착제(151) 유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 3]의 경우, 테이퍼 각도(θ)가 51˚ 및 108˚인 편광판(100)은 [표 2]의 실험 결과 보다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작게 산출되었고, 실제 육안으로도 글래스(210) 상에 점착제(151) 유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편광판(100)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13으로 산출된 테이퍼 각도(θ)가 85˚인 편광판(100)의 경우에도 글래스(210) 상에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테이퍼 각도(θ)가 76˚, 95˚, 및 132 ˚인 편광판(100)은 점착제(151)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적어도 하기 <식 2>의 범위를 만족할 때, 편광판(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식 2>
0 ≤|A-B|< 20.5
[표 4] 관련하여, 편광판(100)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15.7으로 산출된 테이퍼 각도(θ)가 76˚인 편광판(100)의 경우, 육안 확인 결과 글래스(210) 상에 점착제(151)는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에 따르면, 테이퍼 각도(θ)가 76˚, 85˚, 및 132˚인 편광판 (100)의 경우에는 육안상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테이퍼 각도(θ)가 51˚, 95˚, 및 108˚의 경우에는 점착제(151)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어떠한 테이퍼 각도(θ) 및 컬의 크기(c) 조건에서도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값의 차이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편광판(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출된 편광판(100) 점착제(151) 유출 여부의 판별기준에 해당할 수 있다.
<식 3>
0 <|A-B|≤ 20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점착제(151) 유출 정도는 마찰력 차이(|A-B|)에 비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바, 마찰력 차이(|A-B|)가 클수록 해당 조건에서 편광판(100) 이동 시 점착제(151) 유출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은 점착제(151) 유출에 대한 판별기준을 도출함으로써 실제 이송 설비(1) 상에서 편광판(100)을 이송시킴에 있어 판별기준에 따라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거나 점착제(151)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조건을 적용하여 점착제(151)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100)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는 육안으로 확인한 점착제(151)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와 우수한 연관성을 보였는바, 점착제(151)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에 대한 정확도 높은 판별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 (a)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b) 가이드부에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c)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d)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편광판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e) 상기 측정된 마찰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상기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상기 편광판의 재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 타입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상기 편광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편광판은 양면 중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층이 위치하며, 다른 일면에 이형필름층이 위치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상기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e) 단계는,상기 편광판을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과, 상기 편광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e) 단계는,상기 가이드부 상에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된 경우의 마찰력 정보와,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가 유출되지 않은 경우의 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편광판의 점착제 유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기준을 도출하는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978,179 US11828699B2 (en) | 2018-06-22 | 2019-06-21 | Method for detecting adhesive agent leak fro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quantifying degree of leakage |
JP2020547379A JP7005101B2 (ja) | 2018-06-22 | 2019-06-21 | 偏光板の粘着剤の流出の有無または流出の程度の定量化方法 |
EP19823163.1A EP3712691B1 (en) | 2018-06-22 | 2019-06-21 | Method for quantifying whether adhesive of polarization plate leaks or leakage degree |
CN201980017263.4A CN111837072B (zh) | 2018-06-22 | 2019-06-21 | 定量粘合剂是否从偏光板泄漏或粘合剂泄漏程度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250 | 2018-06-22 | ||
KR1020180072250A KR102294142B1 (ko) | 2018-06-22 | 2018-06-22 |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245311A1 true WO2019245311A1 (ko) | 2019-12-26 |
Family
ID=6898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9/007471 WO2019245311A1 (ko) | 2018-06-22 | 2019-06-21 |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828699B2 (ko) |
EP (1) | EP3712691B1 (ko) |
JP (1) | JP7005101B2 (ko) |
KR (1) | KR102294142B1 (ko) |
CN (1) | CN111837072B (ko) |
WO (1) | WO201924531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09486A (ja) * | 2018-06-22 | 2021-03-2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偏光板の適正裁断条件の導出方法 |
WO2022085726A1 (ja) * | 2020-10-23 | 2022-04-28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の製造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0972A (ko) * | 2010-12-22 | 2012-07-02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접착 테이프 |
US20130020118A1 (en) * | 2010-04-14 | 2013-01-24 | Takeshi Ito |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dhesive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dhesive sheet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nd printed wiring board including adhesive or adhesive sheet as adhesive layer |
KR20170060518A (ko) * | 2015-11-24 | 2017-06-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768273B1 (ko) * | 2014-07-31 | 2017-08-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용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KR20170112435A (ko) * | 2016-03-31 | 2017-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편광판 검사 방법 및 편광판 검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3118B2 (ja) | 1999-07-19 | 2004-04-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部材 |
JP2005291883A (ja) | 2004-03-31 | 2005-10-20 | Shin Nisseki Ekisho Film Kk | 光学フィルムの検査方法 |
TW200632002A (en) * | 2004-11-30 | 2006-09-16 | Fuji Photo Film Co Ltd |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JP4631602B2 (ja) | 2005-08-23 | 2011-02-16 | 住友化学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重畳体の包装体および包装方法 |
JP4814000B2 (ja) | 2006-07-26 | 2011-11-09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4832338B2 (ja) * | 2007-03-05 | 2011-12-07 | 日東電工Csシステム株式会社 | セパレーター剥離用粘着テー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パレーター剥離方法 |
US9348167B2 (en) * | 2007-03-19 | 2016-05-24 | Via Optronics Gmbh | Enhance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methods |
US8188194B2 (en) * | 2007-07-11 | 2012-05-29 |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having adhesive layer |
JP5236318B2 (ja) * | 2008-03-09 | 2013-07-17 | 三菱樹脂株式会社 | 離型フィルム |
CN101900657B (zh) * | 2009-05-31 | 2013-06-05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耐磨性能测试装置 |
JP5376653B2 (ja) * | 2009-06-09 | 2013-12-25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TWI486417B (zh) * | 2009-11-17 | 2015-06-01 | Soken Kagaku Kk | A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
JP5487915B2 (ja) | 2009-11-30 | 2014-05-14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保護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
WO2011105805A2 (ko) * | 2010-02-23 | 2011-09-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
CN103748487B (zh) * | 2011-08-19 | 2017-05-17 | Lg化学株式会社 | 偏光板 |
JP2014162821A (ja) * | 2013-02-22 | 2014-09-08 | Nitto Denko Corp | 表面保護フィルム |
JP5999272B2 (ja) * | 2013-06-19 | 2016-09-28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粘着剤組成物 |
JP2015122162A (ja) * | 2013-12-20 | 2015-07-02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接着剤の漏出予測方法及び端子台 |
JP2015184438A (ja) | 2014-03-24 | 2015-10-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
JP2015229237A (ja) | 2014-06-09 | 2015-12-21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レンズシートの切断方法、レンズシート及び切断刃 |
CN107076901B (zh) | 2014-09-09 | 2019-08-16 | 住友化学株式会社 | 偏振板以及液晶面板的制造方法 |
JP6804843B2 (ja) * | 2015-01-30 | 2020-12-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セパレータ付き光学用表面保護フィルム |
KR101802575B1 (ko) | 2015-03-30 | 2017-11-2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2018
- 2018-06-22 KR KR1020180072250A patent/KR1022941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6-21 WO PCT/KR2019/007471 patent/WO2019245311A1/ko unknown
- 2019-06-21 JP JP2020547379A patent/JP7005101B2/ja active Active
- 2019-06-21 EP EP19823163.1A patent/EP3712691B1/en active Active
- 2019-06-21 US US16/978,179 patent/US11828699B2/en active Active
- 2019-06-21 CN CN201980017263.4A patent/CN111837072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20118A1 (en) * | 2010-04-14 | 2013-01-24 | Takeshi Ito |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dhesive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dhesive sheet containing resin composition for adhesive, and printed wiring board including adhesive or adhesive sheet as adhesive layer |
KR20120070972A (ko) * | 2010-12-22 | 2012-07-02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접착 테이프 |
KR101768273B1 (ko) * | 2014-07-31 | 2017-08-3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용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KR20170060518A (ko) * | 2015-11-24 | 2017-06-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112435A (ko) * | 2016-03-31 | 2017-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편광판 검사 방법 및 편광판 검사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09486A (ja) * | 2018-06-22 | 2021-03-2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偏光板の適正裁断条件の導出方法 |
WO2022085726A1 (ja) * | 2020-10-23 | 2022-04-28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408672A1 (en) | 2020-12-31 |
EP3712691A1 (en) | 2020-09-23 |
JP2021516371A (ja) | 2021-07-01 |
US11828699B2 (en) | 2023-11-28 |
EP3712691A4 (en) | 2021-06-02 |
CN111837072A (zh) | 2020-10-27 |
JP7005101B2 (ja) | 2022-01-21 |
KR102294142B1 (ko) | 2021-08-26 |
EP3712691B1 (en) | 2022-03-09 |
CN111837072B (zh) | 2023-02-21 |
KR20200000222A (ko) | 2020-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245311A1 (ko) |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 |
WO2014204164A1 (ko) |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WO2014204165A9 (ko)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TW201139973A (en) | Method for inspecting polarizer bonding precision and bonding precision inspection apparatus | |
WO2017026610A1 (ko) | 플렉서블 촉각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 |
WO2009091162A2 (ko)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
WO2019013604A1 (ko) | 액정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10027979A (ko) | 마스크 불량 검사 장치 | |
WO2010079920A2 (ko) |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
WO2016099187A1 (ko) | 점착제 조성물 | |
WO2011152616A2 (ko) |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
WO2019245312A1 (ko) |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 |
WO2019209029A1 (ko) | 광학 디바이스 및 이의 용도 | |
WO2016122126A1 (ko) | 탄성 박판을 이용한 필름부착기용 파렛트식 공정대응유닛 | |
WO2019017619A1 (ko) |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 |
WO2017164572A1 (ko) | 윈도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WO2016204404A1 (en) | Strain inspection device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 |
WO2012121489A1 (ko) | 시트 필름 검사용 정렬장치 | |
CN101542230A (zh) | 畸变测量成像的方法和装置 | |
WO2019059586A1 (ko) | 표면파 분산특성을 이용한 박막의 접착강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101657184B1 (ko) |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
WO2017099449A1 (ko) |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
WO2018012865A1 (ko) | 곡면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 |
WO2019017607A9 (ko) |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 |
Greene et al. | 45.3: Thin LCD Substrates Reduce Edge‐Light Mu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98231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198231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617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 202054737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