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98727A1 -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 Google Patents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98727A1
WO2019098727A1 PCT/KR2018/014050 KR2018014050W WO2019098727A1 WO 2019098727 A1 WO2019098727 A1 WO 2019098727A1 KR 2018014050 W KR2018014050 W KR 2018014050W WO 2019098727 A1 WO2019098727 A1 WO 20190987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am
weight
parts
less
si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0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범두
송헌식
박효순
이남정
정재식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8879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05514A4/en
Priority to US16/764,593 priority patent/US11667765B2/en
Priority to JP2020526594A priority patent/JP6991643B2/ja
Priority to CN201880073859.1A priority patent/CN111356730B/zh
Publication of WO20190987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98727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2Expandable microspheres, e.g. Expanc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08J2207/02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1/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 tape comprising a foam layer comprising a foam composition and a cured product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foam tape comprising a foam layer comprising a foam composition and a cured product thereof.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lefin resin having a density of 0.7 g / cm 3 or more and 0.9 g / cm 3 or les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 or less, and a melting point of 50 ⁇ ⁇ or more and 125 ⁇ ⁇ or less; And hollow microspheres.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am tape comprising a foam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foam composition.
  • the foam t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ld resistance.
  • the foam t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durability.
  • monomeric polymerization unit may mean a form in which the monomer undergoes a polymerization reaction to form a skeleton of the polymer, for example, a main chain or a side chain.
  • the unit “weight part” may mean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each component.
  • (meth) acrylate may mean acrylate or methacrylate.
  • monomer may mean a monomer for forming a polymer, and may mean a prepolymer composed of the same repeating unit.
  • the thickness of a certain member can be measured by a thickness gaug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 alkyl group may mean that it includes a carbon chain structure in which no unsaturated bond exists in the functional group, and includes a straight chain or branched carbon chain structure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 cycloalkyl group may include a carbon ring structure in which an unsaturated bond is not present in the functional group, and may include a monocyclic ring or polycyclic ring having 2 to 20 carbon atoms May mean to include.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efers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specimen is heated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Q-1000, TA Instrument) And may be a value determin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at a rate of 10 ° C / min and determining the midpoint of the DSC curve.
  •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measured in terms of polystyrene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case of producing a foam tape including a styrenic rubber composed of a styrenic block copolymer such as styrene-butadiene-styrene or styrene-isoprene-styrene in the foam layer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
  • the conventional method is not suitable for weight reduction of a vehicle body when the foam tape is applied to an automobile member due to the high density characteristics of the styrene-based rubber.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e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n unremitting effort to improve i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when a foam tape is produced using a low density olefin resin instead of styrene-based rubber, it has excellent durability, high adhe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and can be reduced in weight, .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lefin resin having a density of 0.7 g / cm 3 or more and 0.9 g / cm 3 or les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 ⁇ or less, and a melting point of 50 ⁇ ⁇ or more and 125 ⁇ ⁇ or less; And hollow microspheres.
  • the foam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lefin resin, specifically, the olefin resin having the density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range, thereby ensuring the durability of the foam tape comprising the foam layer produced using the olefin resin And at the same time, the weight of the deposited member can be realized.
  • the foam composition contains the olefin res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am tape having excellent adhesive force and tensile strength because of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bonding strength with an acrylic copolymer contained in an adhesive layer of a foam tape as described below .
  • the olefin resin may be one in which a double bond of an olefin unit containing a double bond is converted into a single bond and is included as a polymerization unit to form a chain.
  • the density of the olefin resin is 0.7 g / cm < 3 > 0.9 g / cm < 3 > 0.7 g / cm < 3 > More than 0.85 g / cm 3 or less, 0.8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and 0.85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or 0.87 g / cm 3 at least 0.89 g / cm 3 or less.
  • the density of the olefin resin may mean the mass of the olefin resin relative to the volume, and may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ASTM D1505 standard.
  • the foam tape including the foam layer produced using the foam composition containing the olefin resin within the above-mentioned density range can realize weight reduction of the body when applied to an automotive member.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lefin resin may be -30 ° C or less, specifically -100 ° C or more and -30 ° C or less, -100 ° C or more and -40 ° C or less, -70 ° C to -30 ° C, -70 ° C to -40 ° C, -70 ° C to -50 ° C, -60 ° C to -30 ° C, -60 ° C to -40 ° C, -55 ° C ° C to -45 ° C, or -60 ° C to -50 ° C.
  • the foam layer produced using the foam composition containing the olefin resin within the abov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can realize flexible properties and improve the bendability of the foam tape.
  • the olefin resin is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a problem may arise in the peelability of the foam tape described below.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lefin resin is in excess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So that it may be difficult to realiz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deposited member.
  • the melting point (Tm) of the olefin resin is in the range of 50 ° C to 125 ° C, 50 ° C to 100 ° C, 50 ° C to 91 ° C, 50 ° C to 80 ° C, 55 ° C to 125 ° C, 55 ° C to 100 ° C, 55 ° C to 80 ° C, or 55 ° C to 70 ° C.
  • the foam composition comprises hollow microspheres.
  • bubbles can be formed in the foam layer included in the foam tape when the foam composition is cured, thereby imparting stretch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to the foam tape.
  • the hollow microspheres may be hollow polymer microspheres.
  • Hollow means hollow form
  • Microsphere may refer to micro sized spherical particles.
  • 'spherical shape' does not mean a geometrically perfect spherical shape, but may mean a shape that is usually recognized as a spherical shape.
  • the hollow form means that no liquid or solid component is contained, and a gas component that is not visually recognized can be included.
  • the hollow polymeric microspheres have a low density and have a low specific gravity. Therefore, they can be lightweight, easy to process, and can be supplied in a relatively small amount to reduce production costs.
  • the particle size of the hollow microspheres may be 30 ⁇ m or more and 200 ⁇ m or less, 30 ⁇ m or more and 85 ⁇ m or less, 55 ⁇ m or more and 200 ⁇ m or less, or 55 ⁇ m or more and 85 ⁇ m or less.
  • the hollow microspheres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in the foam composition and the impact resistance and stretchability of the foam layer including the cured product of the foam composition can be realized.
  • the particle size of the hollow microspheres may refer to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hollow microspheres measured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forth in Technical Bulletin No. 8b provided by AkzoNobel.
  • the sphere density of the hollow microspheres was 0.01 g / cm 3 at least 0.05 g / cm 3 or less, 0.01 g / cm 3 at least 0.04 g / cm 3 or less, 0.03 g / cm 3 at least 0.05 g / cm 3 or less, or 0.03 g / cm 3 or more and 0.04 g / cm 3 or less.
  • the foam composition can prevent scattering of the microspheres and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in the foam layer.
  • the density of the hollow microspheres may refer to the mass per unit volume of the hollow microspheres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presented in the technical bulletin No. 26 provided by Akzo Nobel.
  • the content of the hollow microspheres is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Or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foam composition can be made into a foam layer which is easily shrunk and has high durability.
  • the hollow microspheres can be dispersed evenly in the foam composition, so that the foam layer can be laminated with th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below with a high bonding force.
  • the olefin resi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non-modified polyolefin and a silane modified polyolefin.
  • the foam composition can be chemically bonded to the acrylic copolym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below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oam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foam tape, Crosslinking in the foam composition can be promoted by the acrylic copolymer.
  • the foam composition is cured and chemically bonded to the acrylic copolym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below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oam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foam tape And cross-linking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foam layer can be promoted as the foam composition is cured.
  • the foam composition when the olefin resin includes the unmodified polyolefin, the foam composition can be chemically bonded to the acrylic copolym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below while curing through electron beam irradiation, Cross-linking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foam layer can be promoted as the foam composition is cured through electron beam irradiation.
  • the unmodified polyolefin may mean that no additional functional group other than the olefin unit is bonded when the olefin unit is polymerized.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mean that a functional group containing silane is bonded when the olefin unit is polymerized with the polyolefin, or a functional group containing silane is substituted or added to the polymerized polyolefi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one obtained by graft polymerizing a polymerized unit derived from an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n the unmodified polyolefi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mean that the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graft-polymerized on one main chain of the olefin polymerization unit contained in the unmodified polyolefin. That is,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include an olefin polymerization unit modified with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an unsaturated silane compound.
  • the modified polyolefin may be one obtained by chemically bonding a carbon radical of one side main chain of the olefin polymerization unit contained in the unmodified polyolefin and a silicon radical derived from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specifically, by radical bonding.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non-modified polyolefin, an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a radical initiator.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using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unmodified polyolefin,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the radical initiator. More specifically,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by reactive extrusion of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one obtained by forming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atmosphere in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to induce a reaction in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and extruding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prepared through the reactio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separately and introduced into the foam composition by reactive extrusion of a separate silane-modified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by adding an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a radical initiator to a foam composition containing the unmodified polyolefin to react them, and may be produced by specifically extruding the reaction product.
  • the radical initiator may induce each of the unmodified polyolefin and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to form a radical, and the unmodified polyolefin in which the radical is formed and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re chemically bonded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may be prepared.
  •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propoxysilane, vinyltriisopropoxysilane, vinyltributoxysilane, vinyltripentoxysilane , Vinyltriphenoxysilane, and vinyltriacetoxysilane. ≪ / RTI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ilane-containing compound capable of inducing silane modification of the unmodified polyolefi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radical initiato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butyl quercum peroxide, di-t-butyl peroxide, di-cumyl peroxide, 2,5- 2,5-di (t-butoxy) hexane, 2,5-dimethyl-2,5-di (t-peroxy) hexane,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benzene hydroperoxide, Oxy hexane, t-butyl hydroperoxide, bis-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octanoyl peroxide, benzoyl peroxide, o-methylbenzoyl peroxide, 2,4- butyl peroxy isobutyrate, t-butyl peroxyacetate, t-butyl peroxy-2-ethylhexanoate, t-butyl peroxypivalate, t-butyl
  • the content of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is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6 parts by weight or less, and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unmodified polyolefin , Or 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content of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may mean the conten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n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when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s produced by reactive extrusion of a separate silane-modified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may mean the conten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n the foam composition when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the radical initiator are added to the foam composition containing the unmodified polyolefin to react therewith .
  • the compatibility with the adhesive layer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ensuring compatibility with the acrylic copolymer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foam composition within the content range of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Further, within the content range of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the unmodified polyolefin is sufficiently denatured, and durability of the foam layer can be ensured.
  • the content of the radical initiator is 0.0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 part by weight or less, 0.01 part by weight or more and 0.2 parts by weight or less, 0.0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 part by weight or less , Or 0.0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2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content of the radical initiator may mean the conten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n the silane-modified composition when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s prepared by reacting and extruding a separate silane-modified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radical initiator may refer to the conten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n the foam composition when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is produced by charging the foam composition containing the unmodified polyolefin with an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a radical initiator.
  • a polymerization unit capable of bonding to the unmodified polyolefin is sufficiently generated within the content of the radical initiator, and the unmodified polyolefin is sufficiently modified with the unsaturated silane compound And the chemical stability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can be ensured.
  • the unmodified polyolef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 ULDP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LC 168, LC 175, LC 565, LC 875 LC 100, LC 160, LC 161, LC 170, LC 180, LC 670, LC 180 and LF 100 Lt
  • RTI ID 0.0 &gt
  • / or &lt / RTI &gt
  •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low-density polyolefin elastom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a manufacturer commonly known in the art, such as Mitsui Chemicals, Dow Chemical Company.
  • the 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has a density of about 0.86 g / cm 3 to 0.915 g / cm 3 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792 standard,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has a density of about 0.916 g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2 standard / cm 3 to 0.935 can mean g / cm 3 of polyethylene.
  • elastomer may refer to a polymer having the property of stretch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exerted and returning to its original length upon removal of external force.
  • the foam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oloring agent.
  • a coloring agent By including the colorant, the colo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including the foam layer produced using the foam com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product.
  • the colorant may be at least one pigment, a dye or a mixture thereof.
  • the colora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iron oxide, titanium oxide, chromium oxide, and aniline black as a black pigment.
  • the colorant may be an azo dyestuff, an anthraquinone dyestuff, a metal complex azo dyestuff, a chromium dyestuff, an indigo dyestuff or an azoic dyestuff as an organic dye.
  • the colorant may be an azo pigment, a phthalocyanine pigment, a lake pigment, a thioindigo pigment, a perinone pigment, a quinacridone pigment or a quinaphthalone pigment as the organic pigment.
  • the colora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mine 6B (CI12490), phthalocyanine green (CI 74260), phthalocyanine blue (CI 74160), perylene black (BASF K0084.K0086), cyanine black, 21090), Linol Yellow GRO (CI 21090), Benzidine Yellow 4T-564D, Victoria Pure Blue (CI42595), CI PIGMENT RED 3, 23, 97, 108, 122, 139, 140, 141, 142, 143, 144, 149, 166, 168, 175, 177, 180, 185, 189, 190, 192, 220, 221, 224, 230, 235, 242, 254, 255, 260, 262, 264, 272; C.I.
  • the coloring agent may be a phthalocyanine-based complex compound having copper as a central metal or a phthalocyanine-based complex compound having zinc as a central metal.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lorant may be a conventional pigment or dy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am tap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am tape comprising a foam layer comprising a cured product of the foam composition.
  • the foam layer may comprise a cured product of the foam composition.
  • the foam layer may be prepared using the foam composition, and specifically, the foam layer may be one prepared by curing the foam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the foam layer may be prepared by extruding the foam composition, processing it into a film form, and then curing the foam composition.
  • the foam layer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foam composition in an extruder, specifically, a twin extruder, extruding the extruded product into a film form, and curing the extruded product.
  • an extruder specifically, a twin extruder
  •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hollow microspheres contained in the foam layer can be smoothly mixed, and the hollow microspheres can be appropriately dispersed in the foam layer.
  • the foam tape when the foam tape includes the foam layer, its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when it is applied to an automotive member,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 the cured product of the foam composition may comprise a silane crosslinked polyolefin.
  • the silane crosslinked polyolefin may be one in which one silane modified polyolefin and another silane modified polyolefin are crosslinked.
  • the silane crosslinked polyolefin may be one in which silicon in a polymerization unit of one silane-modified polyolefin and silicon in a polymerization unit of another silane-modified polyolefin are chemically bonded, specifically, radically bonded.
  • the density of the foam layer is 0.2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0.2 g / cm 3 at least 0.8 g / cm 3 or less, 0.3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or 0.3 g / cm 3 or more and 0.8 g / cm 3 or less.
  • the flexibility property of the foam tape can be realized within the density range of the foam layer of the foam tape within the density range of the foam layer and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secured and the weight of the member to which the foam tape is attached can be reduced .
  • the density of the foam layer may be measured through a density measurement method generally known in the art.
  • the foam tap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oam layer. That is, the foam tap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oam layer.
  • the density of the foam tape is a 0.2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0.2 g / cm 3 at least 0.8 g / cm 3 or less, 0.3 g / cm 3 at least 0.9 g / cm 3 or less, or 0.3 g / cm 3 or more and 0.8 g / cm 3 or less.
  • the density of the foam tap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flexible property of the foam tape can be realized,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ensured, and the weight of the member on which the foam tape is adhered can be reduced.
  • the density of the foam tape may be measured through a density measuring method generally known in the ar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 cured product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and an olefin resin.
  • the adhesive layer may be prepared by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layer may be prepared by extrud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form a film, and then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extruder, specifically, a twin extruder, extru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to a film form, and curing it.
  •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olefin resin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mixed smoothly.
  • the olefin resin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olefin resin.
  • the acrylic copolymer may mean a hot-melt type acrylic resin generally known in the art. That is,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melted when heated and appropriately dispersed in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rylic copolymer.
  • the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merized units of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polymerized units of a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polymerization units of a polar functional group- have.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at least one of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may be on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alkyl group is bonded to the (meth) acrylate monomer.
  •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and isooctyl (meth) acrylate.
  • the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may be one wherein the above-mentioned cycloalkyl group is bonded to a (meth) acrylate monomer.
  • the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hexyl acrylate (CH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isobornyl acrylate (IBOA), isobornyl methacrylate (IBOMA), isobornylmethyl (meth) acrylate, and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 CHMA cyclohexyl methacrylate
  • IBOA isobornyl acrylate
  • IBOMA isobornyl methacrylate
  • 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a monomer to which a polar functional group is bonded.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is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carboxyethyl acrylic acid, 3- carboxypropyl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butyric acid, and acrylic acid diester.
  • the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isocyanatoethyl (meth) acrylate, 3-isocyanatopropyl (meth) acrylate, 4-isocyanatobutyl Acrylate, and (meth) acrylamide.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copolymer is in the range of -90 ° C to -20 ° C, -90 ° C to -30 ° C, -80 ° C to -20 ° C, or -80 ° C or more -30 deg. C or less.
  •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 g / mol or more and 700,000 g / mol or less, 50,000 g / mol or more and 600,000 g / mol or less, 100,000 g / mol or more and 700,000 g / mol or less , Or from 100,000 g / mol to 600,000 g / mol.
  •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oduced us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effectively laminated with the foam layer, and the foam tape compris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adhered .
  • the content of the olefin resin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3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5 parts by weight or less, 4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60 parts by weight or less, 4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parts by weight or less , Or 4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5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olefin resin within the above range can simultaneously realize high adhesive strength and low density characteristics of the foam tape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produced using the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tackifier.
  • a tackifier By including the tackifi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foam layer and / or the member to be adhered can be improved.
  • the kind of the tackif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mmon rosin-based, terpene-based, hydrocarbon-based, phenol-based and ketone-based tackifiers.
  • the content of the tackifier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olefin resin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or less, 9 parts by weight or more and 40 parts by weight or less, 9 Not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or not less than 9 parts by weight and not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 th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the tackifier within the above range can maximize the adhesive force improving effect of the foam tape comprising the adhesive layer produc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layer is sufficiently bonded to the foam layer, whereby the durability of the foam tape can be ensured and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ensured.
  • the foam tape may be produced by processing each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oam composition into a film form, and then laminating them.
  • the foam tape is manufactured by extruding each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foam composition using a separate extruder, processing the resultant into a film form, laminating it sequentially, pressing and laminating it, and then curing it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 the dose of the electron beam may be 40 kGy or more and 100 kGy or less, 40 kGy or more and 100 kGy or less, 50 kGy or more and 100 kGy or less, or 50 kGy or more and 60 kGy or less.
  • the thickness ratio of the adhesive layer to the foam layer may be 1: 1 to 1:10 or 1: 2 to 1: 5.
  • the high adhesive strength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can be ensured within the range of the thickness ratio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weight property can be realized.
  • the thickness of the foam layer is 0.2 mm to 5 mm, 0.2 mm to 3 mm, 0.2 mm to 1.5 mm, 0.5 mm to 5 mm, 0.5 mm to 3 mm, 0.5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0.7 mm or more and 5 mm or less, 0.7 mm or more and 3 mm or less, or 0.7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0.02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0.02 mm or more and 0.3 mm or less, 0.02 mm or more and 0.15 mm or less, 0.05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0.05 mm or more and 0.15 mm or less, 0.07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0.07 mm or more and 0.3 mm or less, or 0.07 mm or more and 0.15 mm or less.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as to exhibit the thickness ratio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oam layer.
  •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 or the foam composition may be solventless. That is,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 or the foam composition may not contain a separate solvent.
  • the foam composition and / or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mixed in a separate extruder, they can be smoothly mixed without any additional solvent to form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respectively.
  • th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may be chemically bonded.
  • the foam composition includes a non-modified polyolefin
  • the un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foam composition and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chemically bonded through the curing according to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
  • the foam composition comprises a silane-modified polyolefi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foam composition and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are chemically bonded, Can be coupled through a reaction.
  •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chemically bond th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and chemically bonding may be possible without irradiation of a separate electron beam.
  • silane-modified polyolefin 0.87 g / cm < 3 > About 4 parts by weight of vinyltrimethoxy silane (VTMS) and about 0.1 (weight percent) peroxide radical initiato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olefin elastomer having a density of about -50 DEG C,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55 DEG C, Were reacted and extruded to prepare a silane-modified polyolefin.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had a density of 0.88 g / cm 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54 ° C,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51 ° C.
  • a polyolefin elastomer having a density of 0.89 g / cm 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45 ⁇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91 ⁇ was used instead of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 silane-modified polyolefin .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2 had a density of 0.90 g / cm 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46 ⁇ ,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92 ⁇ .
  •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3 had a density of 0.94 g / cm 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47 ⁇ ,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93 ⁇ .
  • a foam composition comprising about 4.5 parts by weight hollow microspheres (Expancel 950 DE 120, Akzo Nobel)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was prepared.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copolymerized with 2-ethylhexyl acrylate and acrylic acid as an acrylic resin, a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s a polyolefin resin, and a tackifier (regalite s1000, Eastman) was prepared.
  •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resin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about 42.8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content of the tackifier was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olefin resin .
  •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reactive extrusion at a thickness of about 0.1 mm using a twin-screw extruder to form a film-form adhesive layer.
  • the foam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reaction extrusion at a thickness of about 1 mm using a twin-screw extruder to form a film- .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to produc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film and a foam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e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was used instead of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s a polyolefin resi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and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aving a dose of 60 kGy to prepar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a foam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in the production of the foam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s a polyolefin resi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and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aving a dose of 60 kGy to prepar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a foam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was used instead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in the production of the foam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was used instead of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s a polyolefin resi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and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aving a dose of 60 kGy to prepar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Example 2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tyrene-isoprene-styrene rubber (vector 4111, manufactured by TRSC / Dexco) was used instead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in the production of the foam composition, a film- Layer.
  • a styrene-isoprene-styrene rubber (vector 4111, manufactured by TRSC / Dexco) was used instead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1 in the production of the foam composition, a film- Lay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and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aving a dose of 60 kGy to prepar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a foam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in the production of the foam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fil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silane-modified polyolefin according to Production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polyolefin elastomer used in Production Example 1 as a polyolefin resi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foam layer were pressed and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aving a dose of 60 kGy to prepare a foam tape having a density of about 0.5 g / cm 3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 foam layer and an adhesive layer.
  • A is the weight of the foam tape specimen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to Comparative Example 2 cut to a size of 5 cm x 5 cm and the weight of the polyethylene bottle containing the xylene solvent It was measured by the weight and the weight difference of the polyethylene bottle containing only the xylene solvent,
  • B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steel mesh net # 200 cut to a size of 14 cm x 14 cm
  • And C is a weight measured after the steel mesh net having the residue of the specimen is dried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110 ° C for 2 hours after filtering the specimen with the steel mesh net.
  • the specimens were stor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25 ° C and 50% RH for 24 hours.
  • the specimens were measured for peel strength at a peel rate of 300 mm / min and a peel angle of 90 °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25 ° C and 50 RH% using an Instron measuring machine.
  • the foam tap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were cut into a dog shape having a width of 0.635 mm at the middle portion to prepare specimens for measuring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 the end of the specimen was fixed to an Instron measuring instrument and pulled at a tensile rate of 300 mm / min to measure the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the specimen and the elongation at break (%) through the tensile length at break. Were measured.
  • Example 1 70 87 8.0 920 Example 2 94 95 8.5 900 Example 3 92 93 8.5 800 Example 4 87 84 8.3 880 Comparative Example 1 90 68 5.0 500 Comparative Example 2 88 33 4.5 300
  • the foam tapes of Examples 1 to 4 had a sufficient degree of crosslinking to realize impact resistan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oam tapes of Examples 1 to 4 had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specifically high peel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 foam layers prepared using a foam composition
  • a foam composition comprising a silane modified polyolefin prepared using linear polyethylene having a density of 0.93 g / cm < 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25 DEG C and a melting point of about 130 DEG C
  • the peel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he Examples, though the degree of crosslinking was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in Examples.
  • the foa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olefin resin having a controlled density,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 melting point, thereby realizing a foam tape having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while realizing weight reduction characteri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본 명세서는 2017년 11월 17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7-0154106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부재를 접합하여 차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부재 사이에 폼 테이프를 위치시켜 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차체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얇은 두께 및 낮은 밀도를 가지는 폼층을 가지는 폼 테이프를 통하여, 차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는 폼 테이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최근의 기술적 추세에 부합하기 위하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고무를 이용하는 방법이 대두된 바 있다. 다만, 상기의 방법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는 스티렌계 고무를 이용하므로 차체의 경량화 성능 및 내충격성이 다소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차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한 폼 테이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630호
본 발명은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0.7 g/cm3 이상 0.9 g/cm3 이하의 밀도, -30 ℃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 및 50 ℃ 이상 125 ℃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올레핀 수지; 및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폼 테이프는 내한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폼 테이프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폼 테이프는 자동차용 부재의 접착용으로 사용될 경우, 자동차 차체(車體)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단량체 중합단위"는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단량체"는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동일한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프리폴리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재의 두께는 해당 부재의 단면을 두께 게이지(gauge)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탄소 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20 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 사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시클로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탄소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탄소수 2 내지 20 의 단일 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 고리(polycyclic ring)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는 해당 시편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Q-1000, TA Instrument社)를 이용하여 -70 ℃ 내지 150 ℃ 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속도 10 ℃/min으로 승온하여 측정하여 DSC 곡선의 중간점으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중량평균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측정되는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방식과 같이 폼층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스티렌계 고무를 포함하여 폼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의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식은 상기 스티렌계 고무의 고밀도 특성 때문에 폼 테이프를 자동차용 부재에 적용시 차체의 경량화에 적절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스티렌계 고무 대신 저밀도의 올레핀 수지를 이용하여 폼 테이프를 제조하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고, 높은 점착력과 인장 강도를 가지며, 차체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0.7 g/cm3 이상 0.9 g/cm3 이하의 밀도, -30 ℃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 및 50 ℃ 이상 125 ℃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올레핀 수지; 및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폼 조성물은 상기 올레핀 수지, 구체적으로 상기 범위 내의 밀도 및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는 올레핀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피착 부재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 조성물은 상기 올레핀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은 폼 테이프의 점착층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물리적·화학적 결합력이 우수하여 높은 점착력 및 인장 강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올레핀 수지는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 단위체의 이중결합이 단일결합으로 전환되어 중합단위로 포함되어, 사슬(Chain)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 수지의 밀도는 0.7 g/cm3 이상 0.9 g/cm3 이하, 0.7 g/cm3 이상 0.85 g/cm3 이하, 0.8 g/cm3 이상 0.9 g/cm3 이하, 0.85 g/cm3 이상 0.9 g/cm3 이하, 또는 0.87 g/cm3 이상 0.89 g/cm3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 수지의 밀도는 올레핀 수지의 부피에 대한 질량을 의미할 수 있으며, ASTM D1505 규준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밀도 범위 내의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는 자동차용 부재에 적용시 차체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 수지의 밀도가 상기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폼 테이프의 내구성이 떨어져 폼 테이프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올레핀 수지의 밀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폼 테이프의 충분한 점착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30 ℃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 ℃ 이상 -30 ℃ 이하, -100 ℃ 이상 -40 ℃ 이하, -100 ℃ 이상 -50 ℃ 이하, -70 ℃ 이상 -30 ℃ 이하, -70 ℃ 이상 -40 ℃ 이하, -70 ℃ 이상 -50 ℃ 이하, -60 ℃ 이상 -30 ℃ 이하, -60 ℃ 이상 -40 ℃ 이하, -55 ℃ 이상 -45 ℃ 이하, 또는 -60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범위 내의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폼층은 유연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폼 테이프의 굽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에 미달되는 경우 하기 설명하는 폼 테이프의 타발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폼층의 유연 물성을 구현하지 못하게 되어 피착 부재의 경량화 구현이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 수지의 녹는점(melting point, Tm)은 50 ℃ 이상 125 ℃ 이하, 50 ℃ 이상 100 ℃ 이하, 50 ℃ 이상 91 ℃ 이하, 50 ℃ 이상 80 ℃ 이하, 50 ℃ 이상 70 ℃ 이하, 55 ℃ 이상 125 ℃ 이하, 55 ℃ 이상 100 ℃ 이하, 55 ℃ 이상 80 ℃ 이하, 또는 55 ℃ 이상 7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의 녹는점 범위 내에서, 내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인장 강도 및 점착력을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 수지의 녹는점 범위 내에서, 상기 폼 테이프의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폼 테이프가 곡면 등의 형태를 가지는 다양한 부재에도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조성물은 중공 미소구를 포함한다.
상기 폼 조성물이 중공 미소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 시 폼 테이프에 포함되는 폼층 내에 기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폼 테이프에 신축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미소구는 중공형 고분자 미소구(Hollow Polymer Microspher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공(Hollow)"은 속이 비어 있는 형태를 의미하고, 용어 "미소구(Microsphere)"는 미세크기의 구형 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구형'은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구의 형상을 의미한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구의 형상으로 인식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속이 비어 있는 형태는 액체 또는 고체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는 기체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고분자 미소구는 저밀도의 고분자 조성인 것으로서, 낮은 비중을 가지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가공이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 투입되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미소구의 입자 크기는 30 ㎛ 이상 200 ㎛ 이하, 30 ㎛ 이상 85 ㎛ 이하, 55 ㎛ 이상 200 ㎛ 이하, 또는 55 ㎛ 이상 8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공 미소구의 입자 크기 범위 내에서, 상기 중공 미소구가 상기 폼 조성물 내에서 적절히 분산될 수 있고,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의 내충격성 및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중공 미소구의 입자 크기는 AkzoNobel 사에서 제공되는 기술 회보(Technical Bulletin) 제 8b 호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측정되는 중공 미소구의 입자 지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미소구의 밀도는 0.01 g/cm3 이상 0.05 g/cm3 이하, 0.01 g/cm3 이상 0.04 g/cm3 이하, 0.03 g/cm3 이상 0.05 g/cm3 이하, 또는 0.03 g/cm3 이상 0.04 g/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밀도 범위 내의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은 미소 중공구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폼층 내에서 적절히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중공 미소구의 밀도는 AkzoNobel 사에서 제공되는 기술 회보 제 26 호에 제시된 기준에 따라 측정되는 중공 미소구의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미소구의 함량은 상기 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의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은 수축이 용이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폼층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 범위 내의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공 미소구가 상기 폼 조성물 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폼층은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은 점착층과 높은 결합력으로 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 수지는 무변성 폴리올레핀 및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 수지가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착 조성물 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폼 테이프의 폼층과 점착층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의하여 폼 조성물 내의 가교 결합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 수지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착 조성물 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폼 테이프의 폼층과 점착층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폼 조성물이 경화되면서 폼층 내의 성분 사이의 가교 결합이 촉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레핀 수지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이 전자 빔(Electron Beam) 조사를 통하여 경화되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착 조성물 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폼 조성물이 전자 빔 조사를 통하여 경화되면서 폼층 내의 성분 사이의 가교 결합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위체의 중합 시 올레핀 단위체 외의 별도의 작용기가 결합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위체의 폴리올레핀으로의 중합 시 실란을 포함하는 작용기가 결합되거나, 중합된 폴리올레핀에 실란을 포함하는 작용기가 치환 내지 추가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중합단위가 그래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포함된 올레핀 중합단위의 일측 주쇄에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중합단위가 그래프트 중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중합단위로 변성된 올레핀 중합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포함된 올레핀 중합단위의 일측 주쇄의 탄소 라디칼과,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규소 라디칼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 구체적으로 라디칼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무변성 폴리올레핀, 불포화 실란 화합물 및 라디칼 개시제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불포화 실란 화합물 및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실란 변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에 고온·고압 분위기를 조성하여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 내의 반응을 유도하고, 상기 반응을 통하여 제조된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실란 변성 조성물을 반응 압출함으로써,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폼 조성물에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폼 조성물에, 불포화 실란 화합물 및 라디칼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시켜서 제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반응 압출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및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 각각이 라디칼을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라디칼이 형성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과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은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 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 비닐트리부톡시 실란, 비닐트리펜톡시 실란, 비닐트리페녹시 실란, 및 비닐트리아세톡시 실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의 실란 변성을 유도할 수 있고, 실란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퍼옥시)헥산, 큐멘 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벤젠 히드로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히드로퍼옥시)헥산,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 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o-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 아이소 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 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피바레이트, t-부틸퍼옥시 옥토에이트, t-부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부틸퍼옥시프탈레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신, 메티에틸케톤 퍼옥사이드, 사이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및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에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당업계에서 알려진 라디칼 개시제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또는 2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별도의 실란 변성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여 제조되는 경우,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에 대한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폼 조성물에 불포화 실란 화합물 및 라디칼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시켜서 제조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에 대한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량 범위 내에서, 폼 조성물에 포함된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점착층 내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상기 점착층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의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이 충분히 변성되도록 하여, 폼층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 0.01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하, 0.02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 또는 0.02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별도의 실란 변성 조성물을 반응 압출하여 제조되는 경우, 상기 실란 변성 조성물에 대한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폼 조성물에 불포화 실란 화합물 및 라디칼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시켜서 제조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에 대한 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결합될 수 있는 중합단위,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중합단위가 충분히 생성되어,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 충분히 변성시킬 수 있고,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tra Low Density Polyethylene; 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은 등록상표 LUCENE 의 제품명 LC 168, LC 175, LC 565, LC 875, LC 100, LC 160, LC 161, LC170, LC180, LC 670, LC 180 및 LF100(이상, 엘지화학 사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쓰이화학, 다우케미칼사 등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조사에서 시판되는 저밀도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 규준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약 0.86 g/cm3 내지 0.915 g/cm3 인 폴리에틸렌을,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 규준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약 0.916 g/cm3 내지 0.935 g/cm3 인 폴리에틸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엘라스토머"는 외력을 가하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는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조성물은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를 포함함으로써, 최종 제조 물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폼층을 포함하는 다층 점착 테이프의 색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착색제는 1종 이상의 안료,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착색제는 흑색 안료로서 카본 블랙,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크롬, 아닐린 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유기 염료로서 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금속착염 아조계 염료, 크롬계 염료, 인디고계 염료 또는 아조익계 염료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착색제는 유기 안료로서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레이크계 안료, 티오인디고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또는 퀴나프탈론계 안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착색제는 카민 6B(C.I.12490), 프탈로시아닌 그린(C.I. 74260), 프탈로시아닌 블루(C.I. 74160), 페릴렌 블랙(BASF K0084. K0086), 시아닌 블랙, 리놀옐로우(C.I.21090), 리놀 옐로우GRO(C.I. 21090), 벤지딘 옐로우4T-564D, 빅토리아 퓨어 블루(C.I.42595), C.I. PIGMENT RED 3, 23, 97, 108, 122, 139, 140, 141, 142, 143, 144, 149, 166, 168, 175, 177, 180, 185, 189, 190, 192, 202, 214, 215, 220, 221, 224, 230, 235, 242, 254, 255, 260, 262, 264, 272; C.I. PIGMENT GREEN 7, 36, 58; C.I. PIGMENT blue 15:1, 15:3, 15:4, 15:6, 16, 22, 28, 36, 60, 64; C.I. PIGMENT yellow 13, 14, 35, 53, 83, 93, 95, 110, 120, 138, 139, 150, 151, 154, 175, 180, 181, 185, 194, 213; 또는 C.I. PIGMENT VIOLET 15, 19, 23, 29, 32, 37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색제는 구리를 중심 금속으로 하는 프탈로시아닌계 착화합물 또는 아연을 중심 금속으로 하는 프탈로시아닌계 착화합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착색제는 통상의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폼 테이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층은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층은 상기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폼층은 상기 폼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폼층은 상기 폼 조성물을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층은 상기 폼 조성물을 압출기, 구체적으로 이출 압출기(Twin Extruder)에서 혼합한 후,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폼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및 중공 미소구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폼층 내에 상기 중공 미소구가 적절히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폼 테이프가 상기 폼층을 포함함으로써, 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자동차용 부재에 적용하는 경우, 차체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조성물의 경화물은 실란 가교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 가교 폴리올레핀은 하나의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과 다른 하나의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이 가교결합 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가교 폴리올레핀은 하나의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합단위 내의 규소와 다른 하나의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합단위 내의 규소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 구체적으로 라디칼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층의 밀도는 0.2 g/cm3 이상 0.9 g/cm3 이하, 0.2 g/cm3 이상 0.8 g/cm3 이하, 0.3 g/cm3 이상 0.9 g/cm3 이하, 또는 0.3 g/cm3 이상 0.8 g/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폼층의 밀도 범위 내에서, 상기 폼 테이프의 폼층의 밀도 범위 내에서, 상기 폼 테이프의 유연 물성을 구현할 있고,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폼 테이프가 부착되는 부재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폼층의 밀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도 측정 방법을 통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테이프는 상기 폼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구비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폼 테이프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폼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테이프의 밀도는 0.2 g/cm3 이상 0.9 g/cm3 이하, 0.2 g/cm3 이상 0.8 g/cm3 이하, 0.3 g/cm3 이상 0.9 g/cm3 이하, 또는 0.3 g/cm3 이상 0.8 g/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폼 테이프의 밀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폼 테이프의 유연 물성을 구현할 있고,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폼 테이프가 부착되는 부재의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폼 테이프의 밀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도 측정 방법을 통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 조성물을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 조성물을 압출기, 구체적으로 이출 압출기(Twin Extruder)에서 혼합한 후,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 수지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의 올레핀 수지는 전술한 올레핀 수지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열용융(hot-melt, 핫멜트)형 아크릴계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내에서 적절히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합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합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중합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전술한 알킬기가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전술한 시클로알킬기가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이소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극성 관능기가 결합된 단량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산, 3-카르복시프로필 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및 아크릴산 이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아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90 ℃ 이상 -20 ℃ 이하, -90 ℃ 이상 -30 ℃ 이하, -80 ℃ 이상 -20 ℃ 이하, 또는 -80 ℃ 이상 -3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층의 유연 물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 사이의 화학적 결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폼층과 점착층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 g/mol 이상 700,000 g/mol 이하, 50,000 g/mol 이상 600,000 g/mol 이하, 100,000 g/mol 이상 700,000 g/mol 이하, 또는 100,000 g/mol 이상 60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층은 상기 폼층과 효율적으로 합지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는 피착 대상 부재에 우수한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하, 또는 40 중량부 이상 4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의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의 높은 점착력 및 저밀도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이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점착층의 상기 폼층 및/또는 부착 대상 부재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 페놀계 및 케톤계 점착 부여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 수지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또는 9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의 점착력 향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점착층이 상기 폼층과 충분히 결합됨으로써, 상기 폼 테이프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테이프는 상기 점착 조성물 및 상기 폼 조성물 각각을 필름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합지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폼 테이프는 점착 조성물 및 폼 조성물 각각을 별도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필름 형태로 가공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압착하여 합지한 다음, 이에 전자 빔 조사를 통하여 경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자 빔의 선량은 40 kGy 이상 100 kGy 이하, 40 kGy 이상 100 kGy 이하, 50 kGy 이상 100 kGy 이하, 또는 50 kGy 이상 60 kGy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의 두께비는 1 : 1 내지 1 : 10 또는 1 : 2 내지 1 : 5 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의 두께비 범위 내에서, 다층 점착 테이프의 높은 점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경량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층의 두께는 0.2 mm 이상 5 mm 이하, 0.2 mm 이상 3 mm 이하, 0.2 mm 이상 1.5 mm 이하, 0.5 mm 이상 5 mm 이하, 0.5 mm 이상 3 mm 이하, 0.5 mm 이상 1.5 mm 이하, 0.7 mm 이상 5 mm 이하, 0.7 mm 이상 3 mm 이하, 또는 0.7 mm 이상 1.5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0.02 mm 이상 0.5 mm 이하, 0.02 mm 이상 0.3 mm 이하, 0.02 mm 이상 0.15 mm 이하, 0.05 mm 이상 0.5 mm 이하, 0.05 mm 이상 0.3 mm 이하, 0.05 mm 이상 0.15 mm 이하, 0.07 mm 이상 0.5 mm 이하, 0.07 mm 이상 0.3 mm 이하, 또는 0.07 mm 이상 0.15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폼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두께비를 나타내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 조성물 및/또는 상기 폼 조성물은 무용제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점착 조성물 및/또는 상기 폼 조성물은 별도의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조성물 및/또는 점착 조성물은 별도의 압출기에 투입되어 혼합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용매 없이도 원활하게 혼합되어 각각 폼층 및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폼 조성물이 무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전자 빔 조사에 따른 경화를 통하여 상기 폼 조성물에 포함된 무변성 폴리올레핀과,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폼 조성물이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폼 조성물에 포함된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과,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화학적으로 결합, 구체적으로 실란 축합 반응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이 화학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전자 빔 조사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전자 빔 조사 없이도 화학적으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제조예 1] -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제조
0.87 g/cm3 의 밀도, 약 -55 ℃ 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약 50 ℃ 의 녹는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 대비, 약 4 중량부의 비닐트리메톡시 실란(Vinyltrimethoxy Silane; VTMS) 및 퍼옥사이드계 라디칼 개시제 약 0.1 중량부를 반응 압출하여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0.88 g/cm3,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4 ℃ 및 녹는점은 약 51 ℃이었다.
[ 제조예 2] -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0.89 g/cm3 의 밀도, 약 -45 ℃ 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약 91 ℃ 의 녹는점을 가지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0.90 g/cm3, 유리 전이 온도는 약 -46 ℃ 및 녹는점은 약 92 ℃이었다.
[ 제조예 3] -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0.93 g/cm3 의 밀도, 약 -25 ℃ 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약 130 ℃ 의 녹는점을 가지는 선형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밀도는 0.94 g/cm3, 유리 전이 온도는 약 -47 ℃ 및 녹는점은 약 93 ℃이었다.
[ 실시예 1] - 폼 테이프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약 4.5 중량부의 중공 미소구(Expancel 950 DE 120, AkzoNobel 社)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아크릴계 수지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이 공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점착 부여제(regalite s1000, Eastman 社)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 조성물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비 약 42.85 중량부였고,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수지 총합 100 중량부 대비 약 10 중량부이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약 0.1 mm의 두께로 반응 압출하여 필름 형태의 점착층을 형성하였고, 상기 폼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약 1 mm 의 두께로 반응 압출하여 필름 형태의 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여,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폼 테이프의 제조
점착 조성물 제조 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점착층 및 필름 형태의 폼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고, 선량 60 kGy 의 전자 빔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폼 테이프의 제조
폼 조성물 제조 시,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 제조예 2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폼층을 형성하였다.
점착 조성물 제조 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제조예 2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고, 선량 60 kGy 의 전자 빔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폼 테이프의 제조
폼 조성물 제조 시,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폼층을 형성하였다.
점착 조성물 제조 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고, 선량 60 kGy 의 전자 빔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폼 테이프의 제조
폼 조성물 제조 시,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vector 4111, TRSC/Dexco 사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폼층 및 필름 형태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고, 선량 60 kGy 의 전자 빔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폼 테이프의 제조
폼 조성물 제조 시, 제조예 1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 제조예 3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폼층을 형성하였다.
점착 조성물 제조 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제조예 1에서 사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대신 제조예 3에 따른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 및 폼층을 압착하고, 선량 60 kGy 의 전자 빔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층, 폼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약 0.5 g/cm3 의 밀도를 가지는 폼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가교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폼 테이프의 가교도는 하기 식 1 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식 1]
가교도(%) = (C-B)/A
식 1 에 있어서,
상기 A 는 5 cm × 5 cm 의 크기로 재단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폼 테이프 시편의 무게로서, 상기 시편이 투입된 크실렌 용매가 담긴 폴리에틸렌 소재의 병의 무게와 크실렌 용매만 담긴 폴리에틸렌 소재의 병의 무게의 차이로 측정된 것이고,
상기 B 는 14 cm × 14 cm 의 크기로 재단한 #200 의 철재 그물망의 무게를 의미하며,
상기 C 는 상기 시편을 상기 철재 그물망으로 여과한 후, 상기 시편의 잔여물이 남아 있는 상기 철재 그물망을 110 ℃ 의 항온 조건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한 후에 측정한 무게를 의미한다.
박리 강도 측정
두께 50 ㎛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상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폼 테이프를 적층한 후, 적층된 폼 테이프의 타면을 테이프 스트립으로 연마된 가로 2.5 cm X 세로 11 cm 인 스테인레스 스틸 기재에 부착하여 박리 강도 측정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25 ℃ 및 50 RH% 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편을 Instron 측정기를 이용하여 25 ℃ 및 50 RH% 의 항온 항습 조건 하에서 300 mm/min 의 박리 속도, 90 ° 의 박리 각도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의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폼 테이프를 중간 부분에서 너비가 0.635 mm인 도그본 형상으로 재단하여 시편을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의 말단을 Instron 측정기에 고정시킨 후, 300 mm/min 의 인장 속도로 잡아당겨, 상기 시편이 파단될 때의 강도를 인장 강도로, 파단될 때의 인장된 길이를 통하여 파단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따른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 과 같다.
구분 가교도(중량%) 180 ° 박리 강도(N/2.5 cm) 인장 강도(MPa) 파단 연신율(%)
실시예 1 70 87 8.0 920
실시예 2 94 95 8.5 900
실시예 3 92 93 8.5 800
실시예 4 87 84 8.3 880
비교예 1 90 68 5.0 500
비교예 2 88 33 4.5 300
표 1 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폼 테이프는 내충격성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가교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폼 테이프는 우수한 점착 물성, 구체적으로 높은 박리 강도,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지 않고, 스티렌계 고무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폼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폼 테이프의 경우, 가교도 측면에서는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지만, 박리 강도,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은 실시예에 훨씬 미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0.93 g/cm3 의 밀도, 약 -25 ℃ 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약 130 ℃의 녹는점을 가지는 선형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폼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폼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폼 테이프의 경우에도, 가교도 측면에서는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지만, 박리 강도,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은 실시예에 훨씬 미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폼 조성물은 밀도, 유리 전이 온도 및 녹는점이 조절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경량화 특성을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점착 물성을 가지는 폼 테이프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0.7 g/cm3 이상 0.9 g/cm3 이하의 밀도, -30 ℃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 및 50 ℃ 이상 125 ℃ 이하의 녹는점을 가지는 올레핀 수지; 및 중공 미소구를 포함하는 폼 조성물.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는 무변성 폴리올레핀 및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폼 조성물.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에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중합단위가 그래프트 중합된 것인 폼 조성물.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무변성 폴리올레핀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폼 조성물.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실란 화합물은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 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 비닐트리부톡시 실란, 비닐트리펜톡시 실란, 비닐트리페녹시 실란 및 비닐트리아세톡시 실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폼 조성물.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중공 미소구의 함량은 상기 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폼 조성물.
  7. 청구항 1 에 따른 폼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폼 테이프는 상기 폼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구비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폼 테이프.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폼 테이프.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폼 테이프.
  11.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폼 테이프.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상기 올레핀 수지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인 것인 폼 테이프.
  13.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과 상기 폼층의 두께비는 1:1 내지 1:10 인 것인 폼 테이프.
  14.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폼층의 두께는 0.2 mm 이상 5 mm 이하인 것인 폼 테이프.
PCT/KR2018/014050 2017-11-17 2018-11-16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WO20190987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79643.7A EP3705514A4 (en) 2017-11-17 2018-11-16 COMPOSITION OF FOAM AND TAPE OF FOAM INCLUDING A LAYER OF FOAM INCLUDING AN ASSOCIATED CURED PRODUCT
US16/764,593 US11667765B2 (en) 2017-11-17 2018-11-16 Foam composition and foam tape including foam layer including cured product thereof
JP2020526594A JP6991643B2 (ja) 2017-11-17 2018-11-16 フォーム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を含むフォーム層を含むフォームテープ
CN201880073859.1A CN111356730B (zh) 2017-11-17 2018-11-16 泡沫组合物和包括包含其固化产物的泡沫层的泡沫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06 2017-11-17
KR1020170154106A KR102190867B1 (ko) 2017-11-17 2017-11-17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727A1 true WO2019098727A1 (ko) 2019-05-23

Family

ID=6653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050 WO2019098727A1 (ko) 2017-11-17 2018-11-16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7765B2 (ko)
EP (1) EP3705514A4 (ko)
JP (1) JP6991643B2 (ko)
KR (1) KR102190867B1 (ko)
CN (1) CN111356730B (ko)
WO (1) WO2019098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1985A1 (en) * 2021-12-21 2023-06-28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suitable for cable insul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976A1 (en) * 1994-09-19 2003-05-08 Sentinel Products Corp., A New York Corporation Silane-grafted materials for solid and foam applications
KR100914078B1 (ko) * 2002-02-04 2009-08-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연신 이형가능 포움, 그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19736A (ko) * 2008-05-30 2011-02-28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점탄성 폴리올레핀 후면을 갖는 접착 테이프
KR20140133630A (ko) 2013-05-07 2014-11-20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KR20140144214A (ko) * 2012-03-16 2014-12-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량 물품, 복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4278A (en) * 1991-03-20 1993-1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adiation-curable acrylate/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ated tapes adherable to paint coated substrates
US6169138B1 (en) * 1994-12-15 2001-01-0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Foamed pressure sensitive tapes
KR100418322B1 (ko) * 1995-04-24 2005-05-18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폴리올레핀표면용감압성접착제
CA2203595A1 (en) 1996-04-26 1997-10-26 Robert F. Hurley Cross-linked polyolefin tape
US6841234B2 (en) 2000-08-04 2005-01-11 Scapa Tapes North America Inc. Heat-activated adhesive tape having an acrylic foam-like backing
US6544643B1 (en) 2000-09-26 2003-04-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poly(1-alkene) elastomer and multifunctional (meth)acrylate,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a method of making
JP4300065B2 (ja) 2002-06-28 2009-07-2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自動車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体
JP2007289357A (ja) * 2006-04-24 2007-11-08 Diatex Co Ltd 除塵用クリーナー
AU2007308909B2 (en) * 2006-10-25 2011-05-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dispersions, froths, and foams
JP5235294B2 (ja) * 2006-11-1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09263542A (ja) 2008-04-25 2009-11-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メタ)アクリル系粘着性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60956A (ja) * 2008-08-04 2008-10-30 Riken Technos Corp ゾル溶媒組成物及びゾル状熱可塑性樹脂組成物
DE102009028353A1 (de) * 2009-08-07 2011-04-14 Wacker Chemie Ag Bindemittel auf der Basis von silangruppenhaltigen hochverzweigten Polyolefinen
KR102162852B1 (ko) 2011-12-22 2020-10-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계 감압 접착제
EP2964715A2 (en) 2013-03-05 2016-01-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fferential dual functional foam tapes
EP2832780B1 (en) * 2013-08-01 2019-09-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ubb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KR20150016880A (ko)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KR102090663B1 (ko) * 2014-09-30 2020-03-1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 및 점착 테이프
EP3156466B1 (en) * 2015-10-15 2020-1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am tape for outdooor applications
CA3046013A1 (en) * 2016-12-10 2018-06-1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Polyolefin elasto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7976A1 (en) * 1994-09-19 2003-05-08 Sentinel Products Corp., A New York Corporation Silane-grafted materials for solid and foam applications
KR100914078B1 (ko) * 2002-02-04 2009-08-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연신 이형가능 포움, 그를 포함하는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19736A (ko) * 2008-05-30 2011-02-28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점탄성 폴리올레핀 후면을 갖는 접착 테이프
KR20140144214A (ko) * 2012-03-16 2014-12-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량 물품, 복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33630A (ko) 2013-05-07 2014-11-20 (주)엘지하우시스 아크릴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적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05514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1643B2 (ja) 2022-01-13
CN111356730A (zh) 2020-06-30
EP3705514A1 (en) 2020-09-09
JP2021503031A (ja) 2021-02-04
EP3705514A4 (en) 2020-11-25
CN111356730B (zh) 2022-09-13
US20200385542A1 (en) 2020-12-10
KR20190056799A (ko) 2019-05-27
KR102190867B1 (ko) 2020-12-14
US11667765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108A1 (ko)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WO2012111963A2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68423A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543072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光学用表面保護シート及び表面保護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
WO2013012273A2 (ko) 터치 패널
WO2013012274A2 (ko) 터치 패널
WO201420421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14402A1 (ko)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WO2009131393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9240386A1 (ko)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의 제조방법
WO2012111964A2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098727A1 (ko) 폼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는 폼 테이프
WO2018056675A2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1060876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59693A2 (ko)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WO2018062744A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0153757A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WO2014051228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WO2021141406A1 (ko) 아크릴 계 에멀젼 점착제 조성물
WO2016068661A2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66267A1 (ko) 점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211A1 (ko) 광 경화성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 필름
WO2019132455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WO2013077694A1 (ko) 수지 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9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2659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79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