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51228A1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51228A1
WO2014051228A1 PCT/KR2013/002662 KR2013002662W WO2014051228A1 WO 2014051228 A1 WO2014051228 A1 WO 2014051228A1 KR 2013002662 W KR2013002662 W KR 2013002662W WO 2014051228 A1 WO2014051228 A1 WO 20140512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6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이리나
김원
최승집
하경진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53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0222B1/ko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40512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512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from, and an optical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 Polarizing plates are used inside and outside the liquid crystal cell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vibration direction of light in order to visualize the display patter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development of the adhesive which adheres a polarizing plate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inues.
  • the acrylic copolymer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s is prepared by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 the acrylic copolymer prepared by this method may include a copolymer having a small molecular weight having a large polydispersity (PDI), and as a result, the polarization plate may be lifted, attracted, bubbled, cracked, etc., resulting in poor durability.
  • the conventional acrylic copolymer has a limit in minimizing light leakag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3689 discloses a low light leakage effect by includ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800,000 to 2 million g / mol, including an aromatic group-containing acrylic copolymer and an optically anisotropic compound having a melting point of less than or equal to room temperature.
  • One adhesive composition is disclo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that can minimize the light leakage and implement a hig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realiz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can minimize the lifting, attraction, bubbles, crack generation, shrinkage, etc. of the polarizing plat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s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ithiocarbonate structure in the copolymer main chain.
  • Another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 protective film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 vinyl monomer having a heterocyclic ring Including a copolymer of a monomer mixtur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light leakage numerical value ( ⁇ 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about 0 or more and 0.1 or less.
  • ⁇ L [(a + b + d + e) / 4] / c-1
  • a, b, d and e are the luminance measur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panel on which the polarizers are stacked, and c is the luminance of the center of the panel where the polarizers are stacked before the reliability input.
  • the optical display member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or the polarizing plate formed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inimizing light leakage, high durability, and enabling an adhesive layer to minimize lifting, crack generation, and shrinkage of the polarizing plat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light leakage measuring positions on a panel for measuring light leakag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display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and 'lower'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upper' may be changed to 'lower' and 'upper' according to the viewing time.
  •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s which are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can contain a (meth) acrylic-type copolymer and a hardening
  • 'substituted' 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ay mean that one or more hydrogen atoms are substituted with a C1-C10 alkyl group, a C1-C10 cycloalkyl group, a C6-C10 aryl group, a halogen or a hydroxy group.
  • the 'vinyl monomer' may include a vinyl group, an acrylate group or a methacrylate-containing monomer.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600,000 g / mol or less, preferably about 100,000 to 600,000 g / mol, more preferably about 200,000 to 400,000 g / mol. .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good stress relaxation to the polarizing plate, increase adhesion to the glass to provide high shrinkage resistance and minimize light leakage at the same time.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polydispersity (PDI) of less than about 2.5, preferably about 1.9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1.1-1.9, and most preferably about 1.4-1.9. Within this range, there is no detachment at the corners and ends of the polarizing plate, no bubbles and wrinkles form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Generally, the polydispersity of copolymers prepared without the trithiocarbonate structure will be at least 2.5.
  • the (meth) acrylic copolym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50 ° C or higher, preferably about -40 ° C to + 20 ° C, more preferably about -35 ° C to + 10 ° C, and most preferably about -35 ° C. May be from -15 [deg.] C.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good stress relaxation to the polarizing plate, increase adhesion to the glass to provide high shrinkage resistance and minimize light leakage at the same time.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n acid value of about 60 KOHmg / g or less, preferably about 7-30 KOHmg / g. Within this range, there may be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on and reliability.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t least one trithiocarbonate structure in the copolymer main chain. Trithiocarbonate is inserted into the copolymer backbone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the (meth) acrylate copolymer. Trithiocarbonate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r end of the copolymer backbone.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 trithiocarbonate structure at the center of the copolymer main chain and have a symmetrical gradient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trithiocarbonate.
  • the gradient structure is a trithiocarbonate structur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olymer chain, a common aromatic group (eg, benzyl group) derived from a trithiocarbonate compound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copolymer, trithiocarbonate and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polymer are polymerized between the aromatic groups and include structures arranged in order of reactivity.
  • a common aromatic group eg, benzyl group
  • the (meth) acrylic copolymer has a structure in which monomers are polymerized on both trithiocarbonate structures. As the monomer has a higher polymerization reaction rate, the monomer is sequentially polymerized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toward the trithiocarbonate structure.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as the monomer, a vinyl monomer having a heterocycle, a vinyl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a vinyl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or a mixture thereof. .
  • the vinyl monomer having the heterocycle is a vinyl monomer having an aliphatic or cycloaliphatic saturated or unsaturated heterocycle having 2 to 10 carbon atoms having a heteroatom (eg, at least one of nitrogen, oxygen, and sulfur), or the heteroatom. It may be a monomer having an aromatic heterocyclic ring having 4 to 20 carbon atoms.
  • the heterocycle may include pyrrolidone, furyl, tetrahydrofurfuryl, pyridine, morpholine, maleimide and the like.
  • the vinyl monomer having the heterocycle may be a vinyl monomer having an aliphatic or cycloaliphatic saturated or unsaturated heterocycle having 2 to 10 carbon atoms.
  • the vinyl monomer having pyrrolidone may include N-vinylpyrrolid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Monomers having furyl or tetrahydrofurfuryl include (meth) acrylic monomers having furyl or tetrahydrofurfuryl groups including furyl (meth) acrylate or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furyl isocyanate, furyl pro But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pionate or furyl pentanoate.
  • the vinyl monomer with pyridine can be, but is not limited to, vinyl pyridine, including 2-vinylpyridine, 3-vinylpyridine, 4-vinylpyridine and the like.
  •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morpholine may be acryloyl morpholin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inyl monomer having maleimide is N-substituted maleimide, and maleimide in which N of the maleimide is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 aryl group having 6 to 10 carbon atoms, or a cycloalkyl group having 5 to 10 carbon atoms. N-phenyl maleimide and the like.
  • the vinyl monomer having a heterocycle will be N-vinylpyrrolidone, acryloylmorpholine, vinylpyridine, tetrahydroperfuryl (meth) acrylate, N-phenylmaleimide, or a mixture thereof.
  • N-vinylpyrrolidone acryloylmorpholine
  • vinylpyridine vinylpyridine
  • tetrahydroperfuryl (meth) acrylate vinylpyridine
  • tetrahydroperfuryl (meth) acrylate N-phenylmaleimide, or a mixture thereof.
  • N-phenylmaleimide N-phenylmaleimide
  • the vinyl monomer having the heterocycle may be included in about 7-28% by weight, preferably about 7-20%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8-15% by weight of the copolymer. Within this range, light leakage can be minimiz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rework characteristics can be good.
  • the vinyl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is a (meth) acrylic monomer, and may include a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a (meth) acrylic acid ester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may be included in about 60-90% by weight, preferably about 65-90%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70-90% by weight of the copolymer. Within this range, adhesion and tackiness may be good.
  • the polymerization ratio (by molar number or weigh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to the vinyl monomer having a heterocycle in the (meth) acrylic copolymer is about Greater than 1, preferably about 2-30, more preferably about 2-25, most preferably about 5-9. This is due to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polymeriz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RAFT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 Vinyl-based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is a (meth) acrylate-based monomer, (meth)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 cycloalkyl group having 5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terminal or structure Acrylic esters.
  •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may be included in about 0-20% by weight, preferably about 0.1-10%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1-5% by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may mean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 acrylic acid and ⁇ -carboxyethyl (meth) acrylate as the (meth) acrylic mono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may be included in about 0-10% by weight, preferably about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3%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The result which raises the adhesive force of an adhesive within the said range can be obtained.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structure of Formula 1:
  • R One And R 2 Is the same or different,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20 ar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7-C20 aryl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2-C10 alkene 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C10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iphatic heterocycl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kyl Thio group,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monoalkyl, or Dialkylamino group,
  • R 11 and R 12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represent units derived from a mixture comprising a vinylic monomer having at least one heterocycle,
  • n and m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integers from 1-1000)
  • R 11 and R 12 are derived from the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the above-described vinyl- or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heterocycle, a vinyl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a vinyl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nd a vinyl monomer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It may be a unit.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structure of Formula 2: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structure of Formula 3:
  • R 1 and R 2 are as defined above,
  • R 21 and R 22 are units derived from vinyl (containing vinyl or (meth) acryl group) monomers having alkyl groups,
  • R 31 and R 32 are units derived from vinyl monomers having heterocycles
  • R 41 and R 42 are units derived from vinyl monomers having carboxylic acid groups
  • R 51 and R 52 are units derived from vinyl monomers having a hydroxy group
  • n1 to n4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integers of 0-6000,
  • the (meth) acrylic copolymer has about 7-28 mol% of a vinyl monomer having a heterocycle, about 60-90 mol% of a vinyl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about 0-5 mol% of a vinyl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nd a carboxylic acid group. And about 1-5 mol% of vinyl monomers.
  •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prepared by adding a RAFT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agent and a conventional initiator to the monomer mixture and then RAFT polymerizing.
  • RAFT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 the RAFT formulations include, for example, trithiocarbonate formulations, and include trithiocarbonate, which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in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 1 and R 2 are C7-C20 arylalkyl groups, more preferably benzyl groups.
  • the RAFT formulation may be dibenzyl trithiocarbonate.
  • the RAFT formulation may be synthesized by a conventionally known synthetic method or purchased and used as a commodity.
  • the RAFT formulat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001-2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0.01-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 the initiato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n initiator capable of initiating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 azobisisobutyronitrile dimethyl 2,2'-azobis (2-methylpropionat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 benzoyl peroxide dilau Loyl peroxide
  • tertiary-butyl- (2-ethylhexyl) monoperoxycarbonate tertiary-amyl- (2-ethylhexyl) monoperoxycarbonate
  • 1,1-di (tertiary-butylperoxy) Cyclohexane 1,1-di (tertiary-amylperoxy) cyclohexane, tertiary-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1,1-di (tertary-butyl peroxy)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 the initiator is about 0.001-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0.01-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May be included.
  • the RAFT polymerization may be performed at about 60-100 ° C. for about 1 hour to 6 hours by adding a RAFT initiator and a conventional initiator to the monomer mixture.
  • RAFT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in a solvent-free or organic solvent, which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isole, methyl ethyl ketone, diethyl ether, dioxane, dimethoxyethane, acetonitrile, ethyl acetate, and the like. .
  • the cur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1-7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0.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Within this range,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is high, there is no problem of appearance defects, and there may be holding power (a degree capable of withstanding shear stress).
  • the cur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yanate based, carbodiimide based, epoxy based, aziridine based, melamine based, amine based, imide based, amide based and mixtures thereof.
  • isocyanate curing agent conventional on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us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0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0.01-1 part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about 0.01-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Within this rang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be excellent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meth) acrylic copolymer may be excellent.
  • the silane coupling agent can use a conventional thing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Silicon compounds which have epoxy structures such as 3-glycidoxy propyl trimethoxysilane, 3-glycidoxy oxymethyl methyl dimethoxysilane, and 2- (3, 4- epoxycyclohexyl) ethyl trimethoxysilane
  •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vinyl trimethoxysilane, vinyl triethoxysilane, and (meth) acryloxy propyl trimethoxysilane
  • Amino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 (2-aminoethyl)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N- (2-aminoethyl) -3-aminopropyl methyl dimethoxysilane
  • 3-chloro propyl trimethoxysilane and the like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ethyl ethyl ketone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ultraviolet absorbers and antioxidant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material.
  •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used as a PS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adhering a polarizing plate to a panel (e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also be used as an adhesive for adher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in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85 °C and after curing 10 -3 To 10 2
  • the minimum value of the storage modulus (G ') at rad / s frequency is approximately 1 x 10 4 It can be more than Pa.
  • the storage modulus is about 1 x 10 4 Pa-5 x 10 5 Pa, more preferably about 1 x 10 4 To 1 x 10 5 Pa, most preferably about 1.5 x 10 4 ⁇ 7.0 x 10 4 Can be Pa. Within this range, the storage modulus is high to provide good stress relaxation to the polarizer.
  • Storage modulus can be measured by conventional methods.
  • the cur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cut into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8 mm or more by cutt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ed in a thickness of 70 ⁇ m or more, preferably 70 ⁇ m to 1 mm to prepare a specimen.
  • oscillation is performed at 85 °C and angular velocity of 10 -3 ⁇ 10 2 rad / s for the frequency sweep test. Find the minimum value of the storage modulu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can be cured by standing for 3 days at 35 ° C. and 45% relative humid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polarizer, a protective film, and an adhesive layer.
  • the polarizing plate has a conventional known structure. In general,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nd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 the polarizing plate may be laminated on a substrate including a panel and the like through the adhesive layer.
  • the 'protective film' may be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retardation film having a phase difference.
  • the polarizer is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method.
  • the polarizer can use modified polyvinyl alcohol films, such as a partially formalized polyvinyl alcohol film and an acetoacetyl-group modified polyvinyl alcohol film.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 is preferably about 1,500-4,000. Within this range, it can function as a polarizing substrate and do not deviate from optical properties when produced with a polarizing film.
  • the polarizer is manufactured by dyeing iodine or dichroic dye o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stretching i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pecifically, it is prepared through the swelling process, the dyeing step, the stretching step. Methods of performing each step are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preferably be about 10-50 ⁇ m.
  • the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 the protective film is a cyclic polyolefin-based, poly (meth) acrylate-based, polycarbonate-based, polyester-based,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including polycyclic olefin polymer (COP), etc.
  •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 COP polycyclic olefin polymer
  • the ether sulfone type, polysulfone type, polyamide type, polyimide type, polyolefin type, polyarylate type, polyvinyl alcohol type, polyvinyl chloride type, polyvinylidene chloride type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 it may be a cyclic polyolefin type, polycarbonate type, poly (meth) acrylate type, or polyester type.
  •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bout 10-200 ⁇ m, preferably about 30-120 ⁇ m.
  •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y dr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polarizing plate.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about 5 ⁇ 100 ⁇ m after drying. Drying may be performed at about 90 ° C. for about 4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er includes a polarizer 1; A first protective film 2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second protective film 3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nd an adhesive layer 4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3.
  • the adhesive layer 4 may be stacked on on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er includes a polarizer 1; A first protective film 2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second protective film 3a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1; A first adhesive layer 4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film 3a; A third protective film 3b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4; It may include a second adhesive layer (5)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protective film (3b).
  • At least on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4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5 may be formed of the adhesive for the polarizing plate.
  • the second adhesive layer 5 may be stacked on on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film, the second protective film, and the third protective film may be replaced with a retard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function.
  • a retardation film commonly known in a polarizing plate may be used.
  • it may be a cyclic polyolefin type, polycarbonate type, poly (meth) acrylate type, or polyester type.
  • the polarizing plate may minimize light leakage when attached to a panel (eg, a panel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light leakage numerical value ( ⁇ L)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about 0 to about 0.5, preferably about 0 to 0.1.
  • ⁇ L [(a + b + d + e) / 4] / c-1
  • a, b, d and e are the luminance measur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panel on which the polarizers are stacked, and c is the luminance at the center of the panel before the reliability is applied.
  • Light leakage can be meas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specimen When measuring light leakage, the specimen may be measured after being left at 250 ° C. for 250 hours at 85 ° C. or 250 hours at 60 ° C. and 90%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 the optical display member may include the polarizing plate.
  • the optical display membe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TFT-LCD and the lik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tical display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member may include a panel 200; It may include a polarizing plate 1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the polarizing plate 110 may be adhered to the panel 200 by an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the polariz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panel.
  • (A) (meth) acrylic copolymer (A1) copolymer of Preparation Example 1, (A2) copolymer of Preparation Example 2, (A3) copolymer of Preparation Example 3, (A4) copolymer of Preparation Example 4
  • Curing agent trimethylolpropane adduct coronate L of diisocyanate which is an isocyanate curing agent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Japan)
  • silane coupling agent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Shin-Yetsu Chemical Co., Ltd.)
  •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as shown in Table 2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coated with a thickness of 20 ⁇ m on the polarizing plate.
  • the adhesive is cured by aging at 35 ° C./45% RH (relative humidity) for 5 days.
  • the cured samples were cut into 50 mm ⁇ 40 mm (2.5 ⁇ vertically) and 125 mm ⁇ 100 mm (7 ⁇ vertically) and laminated onto a glass substrate.
  • the samples for measuring light leakage we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glass plate such that the light absorption axes we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o ensure good adhesion, it was maintained at 323 K for 1000 seconds in a vacuum autoclave. After 250 hours at 80 ° C. or 250 hours at 60 ° C.
  •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25 ° C. for 1 hour or more (reliability conditions).
  • the luminan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as measured at a height of 1 m using a luminance measuring device (RISA, Hiland). Specifically, the luminance (c) of the panel center portion and the luminance (a), (b), (d) and (e) of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light leakage appeared were measured.
  • the luminance measurement point is located at the center position of each side of the panel as shown in FIG. 3, and each side of the panel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uminance measurement circ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measurement radius is 0.5 cm. In FIG.
  • a, b, c, d and e represent luminance measurement points.
  • the degree of light leakage ( ⁇ L) was quantifi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The lower ⁇ L is, the better the light leakage is. It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 ⁇ L [(a + b + d + e) / 4] / c-1
  • ⁇ -opaque spring with ⁇ L of 0 or more and 0.1 or less.
  • ⁇ ⁇ L is less than 0.1 and less than 0.3 low light leakage.
  • ⁇ - ⁇ L is 0.3 or more, and light leakage is sever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e (meth) acrylic 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have a light leakage phenomenon, and the reliability was good.
  • Comparative Example 1-2 containing a copolymer prepared by a conventional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other than RAFT polymerization including a trithiocarbonate structure did not have good light leakage and / or reli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턴을 가시화하기 위해 광의 진동 방향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액정 셀의 안팎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액정 표시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점착제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용 점착제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free radical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PDI)가 커서 작은 분자량의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고, 그 결과 편광판의 들뜸, 끌림, 기포, 크랙 등이 발생하여 내구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빛샘 현상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03689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만 내지 200만g/mol이고,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녹는점이 상온 이하인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저빛샘 효과를 구현한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이 높은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판의 들뜸, 끌림, 기포, 크랙 발생, 수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공중합체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L)가 약 0 이상 0.1 이하가 될 수 있다.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층 또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이 높으며, 편광판의 들뜸, 크랙 발생, 수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빛샘을 측정하기 위한 패널 상의 빛샘 측정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중 '치환'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C1-C10 알킬기, C1-C10 시클로알킬기, C6-C10 아릴기, 할로겐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60만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만-60만g/mol,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만-40만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을 제공하고,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여 높은 수축 저항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빛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PDI)가 약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9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1.9,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4-1.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의 코너와 말단에서의 탈착, 버블과 주름 형성이 없어 내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없이 제조된 공중합체의 다분산도는 2.5 이상이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1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을 제공하고,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여 높은 수축 저항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빛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산가가 약 60 KOHmg/g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7-30 KOHmg/g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착력과 신뢰성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트리티오카보네이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합 과정에서 공중합체 주쇄 내에 삽입된 것이다. 트리티오카보네이트는 공중합체 주쇄의 중심부 또는 말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주쇄 중심부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트리티오카보네이트에 대해 대칭형의 gradien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gradient 구조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가 중합체 사슬의 중심에 위치하고, 공중합체의 양 끝 말단부에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통상의 방향족기(예를 들면, 벤질기)가 위치하고, 트리티오카보네이트와 상기 방향족 기 사이에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중합되되, 반응성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양쪽에 단량체가 중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량체는 중합 반응 속도가 빠른 단량체일수록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최 외곽에서부터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쪽으로 순차적으로 중합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로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중합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헤테로원자(예:질소, 산소, 황 중 하나 이상)를 갖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상기 헤테로원자를 갖는 탄소수 4-20의 방향족 헤테로고리를 갖는 단량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테로고리는 피롤리돈, 푸릴, 테트라히드로퍼푸릴, 피리딘, 모르폴린, 말레이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롤리돈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을 갖는 단량체는 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푸릴기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푸릴 이소시아네이트, 푸릴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푸릴 펜타노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리딘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을 포함하는 비닐 피리딘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르폴린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말레이미드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치환 말레이미드로서 말레이미드의 N이 탄소수 1-5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5-10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말레이미드로서, 예를 들면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피리딘,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약 7-28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8-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워크 특성이 좋을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약 60-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65-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70-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성(adhesion)과 택크성(tackiness)이 좋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한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비(몰수 또는 중량 기준)는 약 1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2-3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9가 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상술될 RAFT(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중합에 의한 것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분자량이 낮고 다분산도가 낮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능하고, 그 결과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말단 또는 구조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20의 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약 0-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가교 사이트를 제공하여 가교도가 높고 점착제의 부착력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 및 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약 0-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1-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제의 부착력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1
(상기에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2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지방족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티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모노알킬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고,
R11과 R1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나타내고,
n과 m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1-1000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R11과 R12는 상술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또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2
(상기에서, R11, R12, n 및 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3
(상기에서,
R1과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1과 R22는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기 함유)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31과 R32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41과 R42는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51과 R52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n1 내지 n4, m1 내지 m4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0-6000의 정수이고,
n1 내지 n4가 모두 0인 경우, m1 내지 m4가 모두 0인 경우는 제외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약 7-28 mol%,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약 60-90 mol%,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약 0-5 mol%,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약 1-5 mol%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RAFT(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제제와 통상의 개시제를 첨가하고 RAFT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예를 들면 트리티오카보네이트 제제로서, 트리티오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구체예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4
(상기에서, R1과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R1과 R2는 C7-C20의 아릴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벤질기이다.
상기 RAFT 제제는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통상의 알려진 합성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상품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01-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비닐계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개시제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1,1-디(터셔리-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1-디(터셔리-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터셔리-부틸 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1,1-디(터셔리-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칼륨퍼설페이트, 나트륨퍼설페이트, 암모늄퍼설페이트 및 아조계 수용성 개시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시제는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AFT 중합은 단량체 혼합물에, RAFT 개시제와 통상의 개시제를 첨가하고 약 60-100℃에서 약 1시간-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RAFT 중합은 무용매 또는 유기 용매 하에 수행될 수 있는데, 유기 용매로는 아니솔, 메틸에틸케톤,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아세토니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화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높아 외관 불량의 문제가 없고, holding power(shear stress에 버틸 수 있는 정도)가 있을 수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르보디이미드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멜라민계, 아민계, 이미드계, 아미드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1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액정 패널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메틸에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을 패널(예: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기 위한 PSA 점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복수 개의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복수의 보호필름을 점착하기 위한 점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85℃ 및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 G')의 최소값이 약 1 x 104 Pa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모듈러스는 약 1 x 104 Pa - 5 x 105 Pa,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x 104 ~ 1 x 105 Pa,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x 104 ~ 7.0 x 104 Pa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저장 모듈러스가 높아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stress relax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모듈러스는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경화된 점착제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mm의 두께로 적층된 점착 시트를 지름 8mm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한다. Physica社의 MCR-501 장비를 사용하여 85℃ 및 10-3 ~ 102 rad/s의 각속도로 oscillation하여 frequency sweep 테스트를 진행한다. 저장 모듈러스의 최소값을 구한다.
저장 모듈러스 측정에서 편광판용 점착제는 35℃, 상대습도 45% 조건에서 3일 동안 방치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통상의 알려진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보호필름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다. 점착층을 매개로 편광판이 패널 등을 포함하는 기재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위상차를 갖는 통상의 위상차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제조 방법에 관계 없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약 1,500-4,000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 기재로 기능할 수 있고 편광 필름으로 제조시 광학적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팽윤 과정, 염색 단계, 연신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각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0-50㎛가 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또는 이들의 혼합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가 될 수 있다.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약 10-200㎛, 바람직하게는 약 30-120㎛가 될 수 있다.
점착층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건조 후 약 5~100㎛가 될 수 있다. 건조는 약 90℃에서 약 4분 동안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편광판은 편광자(1); 상기 편광자(1)의 상부 면에 적층되는 제1보호필름(2); 상기 편광자(1)의 하부 면에 적층되는 제2보호필름(3); 및 상기 제2보호필름(3)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점착층(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4)은 액정표시패널(도시되지 않음)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편광판은 편광자(1); 상기 편광자(1)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제1보호필름(2); 상기 편광자(1)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2보호필름(3a); 상기 제2보호필름(3a)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1점착층(4); 상기 제1점착층(4)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3보호필름(3b); 상기 제3보호필름(3b)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2점착층(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점착층(4)과 제2점착층(5)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점착층(5)은 액정표시패널(도시되지 않음)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보호필름, 제2보호필름, 제3보호필름 중 하나 이상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 위상차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가 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패널(예: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널)에 부착시 빛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 (△L)가 약 0 이상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0.1이 될 수 있다.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빛샘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빛샘 측정시 상기 시편은 85℃에서 250시간 또는 내습열 조건인 60℃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50시간을 방치한 후, 25℃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측정할 수도 있다.
빛샘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하기 실험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TFT-LCD 등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부재는 패널(200); 상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편광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광판(110)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상기 패널(200)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패널의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합성예: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의 제조
황화나트륨(sodium sulfide, 5.85g, 0.075mol)을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0.30g)에 첨가하고 이황화탄소(carbon bisulfide, 3.54g, 0.046mmol)에 첨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3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벤질 클로라이드(10.08g, 0.08mol)을 15분 동안 적가하였다. 3-4시간 동안 온도를 올려 반응을 진행시키고,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0.15g)을 첨가하였다. 수용액 상을 버리고, 에탄올로 수세, 여과, 및 건조시켜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를 결정으로 얻었다.
제조예 1:(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7.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Aldrich) 10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 합성예의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1.5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메틸에틸케톤(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4시간 동안 그리고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2:(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Aldrich)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 합성예의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1.5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4시간 동안 그리고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3:(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4:(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4중량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다분산지수, 유리전이온도, 공중합체 중 NVP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중량평균분자량(g/mol) 22만 25만 26.5만 65만
다분산도 1.5 1.4 2.9 4.2
유리전이온도(℃) -30.2 -29.1 -42.6 -28.7
공중합체 중 NVP 함량(중량%) 10 15 15 15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제조예 1의 공중합체, (A2) 제조예 2의 공중합체, (A3) 제조예 3의 공중합체, (A4) 제조예 4의 공중합체
(B)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코로네이트 L(Nippon Polyurethane Industry, Japan)
(C)실란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신예츠화학공업사)
실시예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에 경화제 2.4중량부를 넣고, 실란커플링제 0.1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2) 100중량부에 경화제 1.0중량부를 넣고, 실란커플링제 0.1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에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종류, 경화제의 함량을 하기 표 2(단위:중량부, 고형분 기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 비교예
1 2 1 2
(A) (A1) 100 - - -
(A2) - 100 - -
(A3) - - 100 -
(A4) - - - 100
(B) 2.4 1.0 1.0 1.0
(C) 0.1 0.1 0.1 0.1
실험예: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용 점착제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빛샘: 상기 점착제를 편광판 위에 20㎛ 두께로 코팅한다. 35℃/45% RH(상대습도)에서 5일 동안 에이징(aging)하여 점착제를 경화시킨다. 경화시킨 시료를 50mmx40mm(가로x세로, 2.5 인치)와 125mmx100mm(가로x세로, 7 인치)로 자른 후 유리 기판 위에 라미네이션시켰다. 빛샘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시료를 광 흡수 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유리판의 양면에 라미네이션시켰다. 접착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의 오토클레이브에서 323K, 1000초 동안 유지하였다. 80℃에서 250시간 또는 내습열 조건인 60℃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50시간을 방치한 후, 25℃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사용하였다(신뢰성 조건). 시편에 대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킨 후 휘도 측정 장치(RISA, Hiland)를 사용하여 1m 높이에서 표시 패널 전면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패널 중앙부의 휘도(c)와 빛샘이 나타나는 코너부의 휘도(a), (b), (d), (e)를 측정하였다. 휘도 측정 포인트는 도 3과 같이 패널 각 변의 중앙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패널 각 변과 휘도 측정 원의 원주가 서로 접하도록 하였으며, 측정 반경은 0.5cm가 되도록 하였다. 도 3에서 ⓐ, ⓑ, ⓒ, ⓓ, ⓔ는 휘도 측정 포인트를 나타낸다. 하기 식 1에 따라 빛샘의 정도(△L)를 정량화하였다. △L이 낮을 수록 빛샘이 우수하다.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식 1>
△L = [(a + b + d + e)/4]/c-1
(상기에서 a, b, d, e는 도 3의 휘도 측정 포인트 ⓐ, ⓑ, ⓓ, ⓔ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중앙부 ⓒ의 휘도이다.
○ - △L이 0 이상 0.1 이하인 무빛샘.
△ - △L이 0.1 초과 0.3 미만인 저빛샘.
× - △L이 0.3 이상으로 빛샘이 심함.
(2)내구 신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을 10cm x 8cm(가로x세로)로 절단한다.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리판에 부착한 후, 50℃ 및 3.5기압에서 밀착시킨다. 건열 조건인 85℃에서 250시간, 내습열 조건인 60℃/90% 상대습도에서 250시간, 25℃에서 1시간 이상 동안 방치한다. 편광판 단부에서 점착층의 들뜸, 기포 발생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단부가 들뜸 및 기포 발생이 없음
△:단부가 약간 들뜸, 기포가 부분적으로 발생
×:단부가 많이 들뜸, 기포가 많이 발생
(3)저장 모듈러스(Pa):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형 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20㎛ 두께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35℃ 및 상대습도 45%의 조건에서 3일간 보관하여 점착제를 경화시켰다. 경화된 점착층 여러 개를 겹쳐 1mm 두께의 경화된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 시트를 지름 8mm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저장 탄성율 측정기(MCR-501, Physica사)를 사용하여, 85℃의 온도,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frequency sweep test를 실시하여 저장 탄성율을 측정하고 최소값을 구한다.
(4)Rework:목시 검사로 하여 점착층이 적층된 기판 표면에 리워크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경우 ○, 잔유물이 남아있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
표 3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빛샘 2.5 inch
빛샘 7.0 inch ×
빛샘 2.5 inch(△L) 0.04 0.03 0.08 0.12
빛샘 7.0 inch(△L) 0.02 0.01 0.07 0.54
내구신뢰성 내열
내습열
저장모듈러스(Pa) 3 x 104 4.5 x 104 5.1 x 104 5.9 x 104
Rework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빛샘 현상이 없었고, 신뢰성도 좋았다.
반면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RAFT 중합이 아닌 통상의 라디칼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1-2의 조성물은 빛샘 및/또는 신뢰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0)

  1.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가 중합된 공중합체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약 7 내지 28중량%로 중합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중심으로 대칭형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만 내지 60만g/mol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가 약 1.9 이하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50℃ 이상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 또는 탄소수 4-20의 방향족 헤테로고리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피리딘,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트리티오카보네이트 제제 하의 공중합체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5
    (상기에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2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지방족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티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디알킬아미노기이고,
    R11과 R1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나타내고,
    n과 m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1-1000의 정수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2662-appb-I000006
    (상기에서,
    R1과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1과 R22는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31과 R32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41과 R42는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51과 R52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n1 내지 n4, m1 내지 m4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0-6000의 정수이고,
    n1 내지 n4, m1 내지 m4가 모두 0인 경우는 제외한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약 0.1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이미드계 경화제, 아미드계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6.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L)가 약 0 이상 0.1 이하인 편광판: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85℃ 및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저장 모듈러스의 최소값이 약 1.5 x 104 ~ 7.0 x 104 Pa인 편광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약 7 내지 28중량%로 중합되는 편광판.
  20. 제16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PCT/KR2013/002662 2012-09-26 2013-03-29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WO20140512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7436 2012-09-26
KR10-2012-0107436 2012-09-26
KR1020130025317A KR101590222B1 (ko) 2012-09-26 2013-03-08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KR10-2013-0025317 2013-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228A1 true WO2014051228A1 (ko) 2014-04-03

Family

ID=5038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662 WO2014051228A1 (ko) 2012-09-26 2013-03-29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512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863A1 (en) * 2013-09-20 2015-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ithiocarbonate-containing addition-fragmentation agents
WO2018062642A1 (ko) * 2016-09-30 2018-04-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1234727A (zh) * 2020-03-30 2020-06-05 上海保立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环保丙烯酸乳液压敏胶保护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346A1 (en) * 2003-12-18 2005-08-25 Tesa Aktiengesellschaft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acrylate block copolymers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90112916A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20100003689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137520A (ko) * 2008-03-20 2010-12-3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작용기의 위치가 조절된 아크릴 중합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346A1 (en) * 2003-12-18 2005-08-25 Tesa Aktiengesellschaft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acrylate block copolymers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137520A (ko) * 2008-03-20 2010-12-3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작용기의 위치가 조절된 아크릴 중합체
KR20090112916A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20100003689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863A1 (en) * 2013-09-20 2015-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ithiocarbonate-containing addition-fragmentation agents
US9532929B2 (en) 2013-09-20 2017-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ithiocarbonate-containing addition-fragmentation agents
WO2018062642A1 (ko) * 2016-09-30 2018-04-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1234727A (zh) * 2020-03-30 2020-06-05 上海保立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性环保丙烯酸乳液压敏胶保护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108A1 (ko)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WO201420425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9506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004091A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0002197A2 (ko) 광학부재용 아크릴계 조성물, 광학부재용 보호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204253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2189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49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159918A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420425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09131393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2091283A2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804385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09918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03057A1 (ko) 광학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4051228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WO2017018672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2128595A2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90222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WO2022139403A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709946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21132965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088653A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415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415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