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222B1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222B1
KR101590222B1 KR1020130025317A KR20130025317A KR101590222B1 KR 101590222 B1 KR101590222 B1 KR 101590222B1 KR 1020130025317 A KR1020130025317 A KR 1020130025317A KR 20130025317 A KR20130025317 A KR 20130025317A KR 101590222 B1 KR101590222 B1 KR 10159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meth
sensitive adhesive
group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630A (ko
Inventor
남이리나
김원
최승집
하경진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26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51228A1/ko
Priority to TW102134759A priority patent/TWI510586B/zh
Publication of KR2014004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패턴을 가시화하기 위해 광의 진동 방향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액정 셀의 안팎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액정 표시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시키는 점착제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용 점착제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free radical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PDI)가 커서 작은 분자량의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고, 그 결과 편광판의 들뜸, 끌림, 기포, 크랙 등이 발생하여 내구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빛샘 현상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03689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만 내지 200만g/mol이고, 방향족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녹는점이 상온 이하인 광학 이방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저빛샘 효과를 구현한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이 높은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판의 들뜸, 끌림, 기포, 크랙 발생, 수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공중합체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L)가 0 이상 0.1 이하가 될 수 있다.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층 또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이 높으며, 편광판의 들뜸, 크랙 발생, 수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착층의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빛샘을 측정하기 위한 패널 상의 빛샘 측정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중 '치환'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C1-C10 알킬기, C1-C10 시클로알킬기, C6-C10 아릴기, 할로겐 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닐계 단량체'는 비닐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60만g/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만-60만g/mol, 더 바람직하게는 20만-40만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을 제공하고,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여 높은 수축 저항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빛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PDI)가 2.5 미만,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1.9, 가장 바람직하게는 1.4-1.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의 코너와 말단에서의 탈착, 버블과 주름 형성이 없어 내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없이 제조된 공중합체의 다분산도는 2.5 이상이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20℃, 더 바람직하게는 -35℃~+10℃, 가장 바람직하게는 -35℃~-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을 제공하고, 유리에 대한 접착력을 높여 높은 수축 저항성을 동시에 제공하고 빛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산가가 60 KOHmg/g 이하, 바람직하게는 7-30 KOHmg/g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착력과 신뢰성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트리티오카보네이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합 과정에서 공중합체 주쇄 내에 삽입된 것이다. 트리티오카보네이트는 공중합체 주쇄의 중심부 또는 말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주쇄 중심부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트리티오카보네이트에 대해 대칭형의 gradient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gradient 구조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가 중합체 사슬의 중심에 위치하고, 공중합체의 양 끝 말단부에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유래하는 통상의 방향족기(예를 들면, 벤질기)가 위치하고, 트리티오카보네이트와 상기 방향족 기 사이에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가 중합되되, 반응성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양쪽에 단량체가 중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량체는 중합 반응 속도가 빠른 단량체일수록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최 외곽에서부터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 쪽으로 순차적으로 중합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로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중합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헤테로원자(예:질소, 산소, 황 중 하나 이상)를 갖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상기 헤테로원자를 갖는 탄소수 4-20의 방향족 헤테로고리를 갖는 단량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테로고리는 피롤리돈, 푸릴, 테트라히드로퍼푸릴, 피리딘, 모르폴린, 말레이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롤리돈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푸릴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을 갖는 단량체는 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푸릴기 또는 테트라히드로퍼푸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푸릴 이소시아네이트, 푸릴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푸릴 펜타노에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피리딘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을 포함하는 비닐 피리딘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르폴린을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말레이미드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치환 말레이미드로서 말레이미드의 N이 탄소수 1-5의 알킬기, 탄소수 6-1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5-10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말레이미드로서, 예를 들면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피리딘,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7-28중량%, 바람직하게는 7-2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8-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리웍 특성이 좋을 수 있다 .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60-90중량%, 바람직하게는 65-9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70-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성(adhesion)과 택크성(tackiness)이 좋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에 대한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비는 1 초과, 바람직하게는 2-30, 더 바람직하게는 2-25, 가장 바람직하게는 5-9가 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상술될 RAFT(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중합에 의한 것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분자량이 낮고 다분산도가 낮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능하고, 그 결과 빛샘을 최소화하고, 내구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 말단 또는 구조 내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탄소수 2-20의 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상기 공중합체 중 0-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가교 사이트를 제공하여 가교도가 높고 점착제의 부착력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메타)아크릴산 및 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0-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제의 부착력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0651136-pat00001
(상기에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2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지방족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티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모노알킬 또는 디알킬아미노기이고,
R11과 R1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나타내고,
n과 m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1-1000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R11과 R12는 상술한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또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혼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20651136-pat00002
(상기에서, R11, R12, n 및 m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0651136-pat00003
(상기에서,
R1과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1과 R22는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기 함유)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31과 R32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41과 R42는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R51과 R52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
n1 내지 n4, m1 내지 m4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0-6000의 정수이고,
n1 내지 n4가 모두 0인 경우, m1 내지 m4가 모두 0인 경우는 제외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7-28 mol%, 알킬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60-90 mol%,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0-5 mol%,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1-5 mol%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RAFT(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제제와 통상의 개시제를 첨가하고 RAFT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예를 들면 트리티오카보네이트 제제로서, 트리티오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구체예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20651136-pat00004
(상기에서, R1과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R1과 R2는 C7-C20의 아릴알킬기, 더 바람직하게는 벤질기이다.
상기 RAFT 제제는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통상의 알려진 합성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상품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AFT 제제는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비닐계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개시제라면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터셔리-아밀-(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1,1-디(터셔리-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1-디(터셔리-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터셔리-부틸 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1,1-디(터셔리-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칼륨퍼설페이트, 나트륨퍼설페이트, 암모늄퍼설페이트 및 아조계 수용성 개시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시제는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AFT 중합은 단량체 혼합물에, RAFT 개시제와 통상의 개시제를 첨가하고 60-100℃에서 1시간-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RAFT 중합은 무용매 또는 유기 용매 하에 수행될 수 있는데, 유기 용매로는 아니솔, 메틸에틸케톤,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디메톡시에탄, 아세토니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화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점착층의 저장 모듈러스가 높아 외관 불량의 문제가 없고, holding power(shear stress에 버틸 수 있는 정도)가 있을 수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카르보디이미드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멜라민계, 아민계, 이미드계, 아미드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탈-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1-0.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액정 패널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메틸에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을 패널(예: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기 위한 PSA 점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복수 개의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복수의 보호필름을 점착하기 위한 점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85℃ 및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저장 모듈러스(storage modulus, G')의 최소값이 1 x 104 Pa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 모듈러스는 1 x 104 Pa - 5 x 105 Pa, 더 바람직하게는 1 x 104 ~ 1 x 105 Pa,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x 104 ~ 7.0 x 104 Pa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저장 모듈러스가 높아 편광판에 양호한 스트레스 완화력(stress relax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모듈러스는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경화된 점착제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mm의 두께로 적층된 점착 시트를 지름 8mm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시편을 준비한다. Physica社의 MCR-501 장비를 사용하여 85℃ 및 10-3 ~ 102 rad/s의 각속도로 oscillation하여 frequency sweep 테스트를 진행한다. 저장 모듈러스의 최소값을 구한다.
저장 모듈러스 측정에서 편광판용 점착제는 35℃, 상대습도 45% 조건에서 3일 동안 방치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필름, 및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통상의 알려진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되고, 보호필름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다. 점착층을 매개로 편광판이 패널 등을 포함하는 기재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위상차를 갖는 통상의 위상차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제조 방법에 관계 없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편광자는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1,500-4,000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편광 기재로 기능할 수 있고 편광 필름으로 제조시 광학적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팽윤 과정, 염색 단계, 연신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각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50㎛가 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또는 이들의 혼합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가 될 수 있다.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200㎛, 바람직하게는 30㎛-120㎛가 될 수 있다.
점착층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건조 후 5㎛~100㎛가 될 수 있다. 건조는 90℃에서 4분 동안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편광판은 편광자(1); 상기 편광자(1)의 상부 면에 적층되는 제1보호필름(2); 상기 편광자(1)의 하부 면에 적층되는 제2보호필름(3); 및 상기 제2보호필름(3)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점착층(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4)은 액정표시패널(도시되지 않음)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편광판은 편광자(1); 상기 편광자(1)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제1보호필름(2); 상기 편광자(1)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2보호필름(3a); 상기 제2보호필름(3a)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1점착층(4); 상기 제1점착층(4)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3보호필름(3b); 상기 제3보호필름(3b)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제2점착층(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점착층(4)과 제2점착층(5)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편광판용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점착층(5)은 액정표시패널(도시되지 않음)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보호필름, 제2보호필름, 제3보호필름 중 하나 이상은 위상차 기능을 갖는 위상차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위상차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가 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패널(예: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패널)에 부착시 빛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 (△L)가 0 이상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이 될 수 있다.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빛샘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빛샘 측정시 상기 시편은 85℃에서 250시간 또는 내습열 조건인 60℃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50시간을 방치한 후, 25℃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측정할 수도 있다.
빛샘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하기 실험예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는 TFT-LCD 등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부재는 패널(200); 상기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편광판(1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광판(110)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상기 패널(200)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패널의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합성예 :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의 제조
황화나트륨(sodium sulfide, 5.85g, 0.075mol)을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0.30g)에 첨가하고 이황화탄소(carbon bisulfide, 3.54g, 0.046mmol)에 첨가하였다. 얻은 반응 혼합물을 3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벤질 클로라이드(10.08g, 0.08mol)을 15분 동안 적가하였다. 3-4시간 동안 온도를 올려 반응을 진행시키고,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0.15g)을 첨가하였다. 수용액 상을 버리고, 에탄올로 수세, 여과, 및 건조시켜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를 결정으로 얻었다.
제조예 1:(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7.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Aldrich) 10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 합성예의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1.5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메틸에틸케톤(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4시간 동안 그리고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2:(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Aldrich)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 합성예의 디벤질 트리티오카보네이트 1.5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4시간 동안 그리고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3:(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6중량부를 MEK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제조예 4:(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1L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8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0.5중량부, 및 아크릴산(AA) 2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 MEK 50중량부를 투입하여 65℃ 승온 유지하였다. 개시제인 Dimethyl 2,2'-azobis(2-methylpropionate) (V601, Wako Chemical) 0.04중량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희석하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6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전체 반응 공정은 질소 10cc/분으로 투입하면서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다분산지수, 유리전이온도, 공중합체 중 NVP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중량평균분자량(g/mol) 22만 25만 26.5만 65만
다분산도 1.5 1.4 2.9 4.2
유리전이온도
(℃)
-30.2 -29.1 -42.6 -28.7
공중합체 중 NVP 함량
(중량%)
10 15 15 15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1) 제조예 1의 공중합체, (A2) 제조예 2의 공중합체, (A3) 제조예 3의 공중합체, (A4) 제조예 4의 공중합체
(B)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 코로네이트 L(Nippon Polyurethane Industry, Japan)
(C)실란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신예츠화학공업사)
실시예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1) 100중량부에 경화제 2.4중량부를 넣고, 실란커플링제 0.1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2) 100중량부에 경화제 1.0중량부를 넣고, 실란커플링제 0.1중량부를 더 첨가하고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에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종류, 경화제의 함량을 하기 표 2(단위:중량부, 고형분 기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A) (A1) 100 - - -
(A2) - 100 - -
(A3) - - 100 -
(A4) - - - 100
(B) 2.4 1.0 1.0 1.0
(C) 0.1 0.1 0.1 0.1
실험예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용 점착제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빛샘: 상기 점착제를 편광판 위에 20㎛ 두께로 코팅한다. 35℃/45% RH에서 5일 동안 에이징(aging)하여 점착제를 경화시킨다. 경화시킨 시료를 50x40mm(가로x세로, 2.5 인치)와 125x100mm(가로x세로, 7 인치)로 자른 후 유리 기판 위에 라미네이션 시켰다. 빛샘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시료를 광 흡수 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유리판의 양면에 라미네이션시켰다. 접착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의 오토클레이브에서 323K, 1000초 동안 유지하였다. 80℃에서 250시간 또는 내습열 조건인 60℃ 및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250시간을 방치한 후, 25℃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사용하였다(신뢰성 조건). 시편에 대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킨 후 휘도 측정 장치(RISA, Hiland)를 사용하여 1m 높이에서 표시 패널 전면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패널 중앙부의 휘도(c)와 빛샘이 나타나는 코너부의 휘도(a), (b), (d), (e)를 측정하였다. 휘도 측정 포인트는 하기 그림과 같이 패널 각 변의 중앙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패널 각 변과 휘도 측정 원의 원주가 서로 접하도록 하였으며, 측정 반경은 0.5cm가 되도록 하였다. 도 3에서 ⓐ, ⓑ, ⓒ, ⓓ, ⓔ는 휘도 측정 포인트를 나타낸다. 하기 식 1에 따라 빛샘의 정도(△L)를 정량화하였다. △L이 낮을 수록 빛샘이 우수하다.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식 1>
△L = [(a + b + d + e)/4]/c-1
(상기에서 a, b, d, e는 도 3의 휘도 측정 포인트 a, b, d, e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중앙부 c의 휘도이다.
○ - △L이 0 이상 0.1 이하인 무빛샘,
△ - △L이 0.1 초과 0.3 미만인 저빛샘.
× - △L이 0.3 이상으로 빛샘이 심함.
(2)내구 신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을 10cm x 8cm(가로x세로)로 절단한다.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리판에 부착한 후, 50℃ 및 3.5기압에서 밀착시킨다. 건열 조건인 85℃에서 250시간, 내습열 조건인 60℃/90% 상대습도에서 250시간, 25℃에서 1시간 이상 동안 방치한다. 편광판 단부에서 점착층의 들뜸, 기포 발생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단부가 들뜸 및 기포 발생이 없음
△:단부가 약간 들뜸, 기포가 부분적으로 발생
×:단부가 많이 들뜸, 기포가 많이 발생
(3)저장 모듈러스(Pa):상기 제조한 편광판용 점착제를 이형 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90℃에서 4분 동안 건조시켜, 20㎛ 두께의 점착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35℃ 및 상대습도 45%의 조건에서 3일간 보관하여 점착제를 경화시켰다. 경화된 점착층 여러 개를 겹쳐 1mm 두께의 경화된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 시트를 지름 8mm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저장 탄성율 측정기(MCR-501, Physica사)를 사용하여, 85℃의 온도,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frequency sweep test를 실시하여 저장 탄성율을 측정하고 최소값을 구한다.
(4)Rework:목시 검사로 하여 점착층이 적층된 기판 표면에 리워크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경우 ○, 잔유물이 남아있는 경우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빛샘 2.5 inch
빛샘 7.0 inch ×
빛샘 △L 2.5 inch 0.04 0.03 0.08 0.12
빛샘 △L 7.0 inch 0.02 0.01 0.07 0.54
내구신뢰성 내열
내습열
저장 모듈러스(Pa) 3×104 4.5×104 5.1×104 5.9×104
Rework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빛샘 현상이 없었고, 신뢰성도 좋았다.
반면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는 RAFT 중합이 아닌 통상의 라디칼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1-2의 조성물은 빛샘 및/또는 신뢰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0)

  1. 주쇄에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가 중합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7중량% 내지 28중량%로 중합된 것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트리티오카보네이트 구조를 중심으로 대칭형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60만g/mol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다분산도가 1.9 이하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 또는 탄소수 4-20의 방향족 헤테로고리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피리딘, 테트라히드로퍼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트리티오카보네이트 제제 하의 공중합체인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20651136-pat00005

    (상기에서, R1과 R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2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지방족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티오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디알킬아미노기이고,
    R11과 R1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나타내고,
    n과 m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1-1000의 정수이다).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이미드계 경화제, 아미드계 경화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16.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 및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점착층은 85℃ 및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저장 모듈러스의 최소값이 1 x 104 Pa ~ 4.5 x 104 Pa이고,
    상기 점착층은 제1항, 제4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빛샘 수치(△L)가 0 이상 0.1 이하인 편광판:
    <식 1>
    △L = [(a + b + d + e)/4]/c - 1
    (상기에서 a, b, d, e는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각 변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이고, c는 신뢰성 투입 전 편광판이 적층된 패널 중앙부의 휘도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85℃ 및 10-3 ~ 102 rad/s 진동수에서 저장 모듈러스의 최소값이 1.5 x 104 Pa ~ 4.5 x 104 Pa인 편광판.
  18. 삭제
  19. 삭제
  20. 제16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KR1020130025317A 2012-09-26 2013-03-08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9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662 WO2014051228A1 (ko) 2012-09-26 2013-03-29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TW102134759A TWI510586B (zh) 2012-09-26 2013-09-26 用於偏光板的黏合劑組合物、包含含有其之黏合層的偏光板以及包含其之光學顯示構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7436 2012-09-26
KR1020120107436 201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30A KR20140042630A (ko) 2014-04-07
KR101590222B1 true KR101590222B1 (ko) 2016-02-01

Family

ID=5065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317A KR101590222B1 (ko) 2012-09-26 2013-03-08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0222B1 (ko)
TW (1) TWI5105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560B1 (ko) 2014-07-23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54493B1 (ko) * 2014-08-29 2018-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2524650B1 (ko) 2018-01-24 2023-04-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합물,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843B1 (ko) * 2008-01-11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EP2268758B1 (en) * 2008-03-20 2013-12-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Acrylic polymers having controlled placement of functional groups
KR20100003689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30A (ko) 2014-04-07
TWI510586B (zh) 2015-12-01
TW201418395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020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22019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868880B2 (en)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TWI617639B (zh) 用於偏振板的黏合劑膜、包括其的偏振板和包括其的光學顯示器
KR101665166B1 (ko)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296929B2 (en) Optical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48011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201610066A (zh) 壓感接著膜及使用其的顯示構件
US9250370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er plate, polarizer plate including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822698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765244B2 (en)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2144525A (zh) 黏著保護膜、包括其的光學構件以及包括其的光學顯示器
KR101499247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5450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590222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42620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2544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1622004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45136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60234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