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69368A1 -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 Google Patents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69368A1
WO2018169368A1 PCT/KR2018/003133 KR2018003133W WO2018169368A1 WO 2018169368 A1 WO2018169368 A1 WO 2018169368A1 KR 2018003133 W KR2018003133 W KR 2018003133W WO 2018169368 A1 WO2018169368 A1 WO 20181693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und
electrolyte
lithium
formula
bo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1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영민
이철행
김하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L18767604T priority Critical patent/PL3514883T3/pl
Priority to EP18767604.4A priority patent/EP3514883B1/en
Priority to US16/339,830 priority patent/US11476499B2/en
Priority to CN201880004053.7A priority patent/CN109891655B/zh
Publication of WO20181693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69368A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2Boron compounds without C-boron lin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e additive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battery and a nonaqueous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the secondary battery ma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and exhibit a discharge voltage at least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a battery using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 Lithium metal oxide is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metal, a lithium alloy, crystalline or amorphous carbon or a carbon composite material is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with a suitable thickness and length, or the active material itself is applied in a film shape to form an electrode group by winding or laminating together with a separator, which is an insulator, and then injecting an electrolyte into a can or a similar container.
  •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progress while repeating a process of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from a lithium metal oxide of a positive electrode to a graphite electrode of a negative electrode.
  • lithium is highly reactive and reacts with the carbon electrode to generate Li 2 CO 3 , LiO, LiOH and the like to form a film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 a film is called a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film, and the SEI film formed at the beginning of charging prevents the reaction between lithium ions and a carbon anode or other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t also acts as an ion tunnel, allowing only lithium ions to pass through.
  • the ion tunnel serves to prevent the organic solvents of a high molecular weight electrolyte which solvates lithium ions and move together and are co-intercalated with the carbon anode to decay the structure of the carbon anode.
  • a solid SEI film must be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nce formed, the SEI membrane prevents the reaction between lithium ions and the negative electrode or other materials during repeated charge and discharge cycles by using a battery, and serves as an ion tunnel that passes only lithium ions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ill be per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electrolyte additive for improving the high rate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suppress the amount of gas generated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and to improve the life characteristics, and when used together, synergistic effect on performance improvement
  • a novel electrolyte additive for improving the high rate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suppress the amount of gas generated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and to improve the life characteristics, and when used together, synergistic effect on performance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a nitril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2, and an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is provided that does not include a phosphate compound.
  • Y 1 to Y 4 are each independently O or S.
  • 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high rate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novel electrolyte additive and the nitrile compound mixed with it, and can suppress the amount of gas generated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 the lif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in high temperature operation.
  • a novel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includes a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And a nitril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and do not include a phosphate compound.
  • Y 1 to Y 4 are each independently O or S.
  • 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includes a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 Y 1 to Y 4 are each independently O or S. Preferably, Y 1 to Y 4 may be equal to O.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y be included as an additive in the electrolyte, and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forms a uniform and thin film o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inly acts on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SEI to reduce the positive electrode reaction of other materials. Form a thin film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s described above may specificall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a.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y be appropriately us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additive generally added to the electrolyte.
  • the content of about 0.01 to 2 parts by weight may be appli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lyte.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includes a nitrile-based compound.
  • the nitrile compound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R 1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 the nitrile-based compound is a compound containing two nitrile groups, and the linking group connecting the two nitrile groups is an alkylene group and may have 1 to 5, preferably 2 to 4 carbon atoms.
  • the nitrile compound having 2 to 4 carbon atoms of the alkylene group as the linking group may be succinonitrile, glutaronitrile, or adiponitrile,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unds may be included as one component of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Of these, succinonitrile or adiponnitrile may be preferably applied.
  • the nitrile compound is a compound that can give a synergistic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erformance of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an additive applied to the nonaqueous electrolyt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suppressing the dissolution of a positive electrode transition metal. Effects can be realized, and when used together with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such as improvement of high temperature characteristics by positive / cathode film stabilization.
  • the nitrile-based compound may play a role of a supplement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SEI film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y serve to suppress the decomposition of the solvent in the electrolyte, lithium ions It can serve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 the content of about 0.01 to 10 parts by weight may be appli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electrolyte,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or 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Preferably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forms a uniform and thin film o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in particular, mainly acts to form the anode SEI to reduce the anode reaction of other materials to form a uniform and thin film. Form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 the SEI film of the negative electrode inorganic component is first formed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lithium cations and to form a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a single material. Accordingly, by implementing an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by mixing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the nitrile-based compound that can help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film together, to stabilize the SEI film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verall performance improvement such as high rate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and lifetime characteristics can be achieved.
  • the film is stably formed as described above, side reactions such as decomposition of the solvent in the electrolyte around th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so that even if stored for a long time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amount of gas generat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such storag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lifespan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y be stable without decomposing even at a high temperature, and thus there is no side reaction such as decom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surface or oxidation of the electrolyte,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irreversible capacity of the battery, thereby increasing the reversible capacity. can see.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 phosphate-based compound.
  • the phosphate compound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 a 1 to A 3 are each independently, -Si (R 2 ) n (R 3 ) 3-n , or propynyl group (-C ⁇ C), and R 2 and R 3 are each independently It is a C1-C4 alkyl group, and n is an integer of 0-3.
  • the phosphate-based compound may be, for example, tris (trimethylsilyl) phosphate, tris (triethylsilyl) phosphate, tris (tripropylsilyl) phosphate, bis (trimethylsilyl) (triethylsilyl) phosphate, bis (triethylsilyl) ( Trimethylsilyl) phosphate, bis (tripropylsilyl) (trimethylsilyl) phosphate, bis (tridimethylsilyl) (tripropylsilyl) phosphate and the like.
  • Such a phosphate compound may have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the aging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lyte itself, and in addition to the adverse effects on the aging change,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act to inhibit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the nitrile-based compound.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sphate-based compound is not included in view of improving the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of the battery, and particularly, tributyl phosphate or tris (trimethylsilyl) phosphate is not included.
  • the weight ratio of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the nitrile-based compound may be 1: 0.5 to 1: 6, preferably 1: 1 to 1: 5, and more preferably 1 : 2 to 1: 5.
  • the ratio range When the ratio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apacity retention rate at high temperatures and to suppress the amount of gas generated at high temperatures, thereby improving the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That is, by adjusting the weight ratio of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the nitrile-based compou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lectrolyte capable of satisfying both battery performanc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 which is more likely to implement the more of the above range. Can be.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fluorinated carbonate-based compound
  • the fluorinated carbonate-based compound may be, for example, fluoro ethylene carbonate, or difluoro ethylene carbonate, preferably fluoro ethylene carbonate Can be.
  • a content of about 0.01 to 10 parts by weight may be appli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ectrolyte,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or 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i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and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1: 0.5 to 1: 6 by weight ratio within this content range, preferably 1: 1 to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4.
  • fluorinated carbonate-based compound in particular fluoroethylene carbonate
  • an improvement in capacity retention at high temperatures that is, improvement in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may be additionally achieved.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the nitril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and a fluorinated carbonate-based compound.
  • a carbonate compound, a borate compound, a sulfite compound, a sultone compound, a sulfone compound, or a fluorinated benzene compound may be applied. Mixtures of two or more may be applied.
  • the fluorinated benzene compound may be a benzene compound in which fluorine is substituted for hydrogen, such as fluorobenzene, difluoro benzene, and trifluoro benzene.
  • the borate compound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 a 4 to A 6 are each independently, -Si (R 2 ) m (R 3 ) 3-m , or propynyl group (-C ⁇ C), and R 3 and R 3 are each independently It is a C1-C4 alkyl group, and m is an integer of 0-3.
  • the borate compound is, for example, tris (trimethylsilyl) borate, tris (triethylsilyl) borate, tris (tripropylsilyl) borate, bis (trimethylsilyl) (triethylsilyl) borate, bis (triethylsilyl) ( Trimethylsilyl) borate, bis (tripropylsilyl) (trimethylsilyl) borate, bis (tridimethylsilyl) (tripropylsilyl) borate and the like can be applied, and the alkyl groups of the respective silyl group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borate compound dipropynyl ethyl borate, diethyl propynyl borate, or the like may be applied.
  • the borate compound may promote ion pair separation of lithium salts to improve the mobility of lithium ions, reduce interfacial resistance of the SEI film, and may be generated between battery reactions, but may not be easily separated. By dissociating the substance as well, problems such as generation of hydrofluoric acid gas can be solved.
  • the sulfite compound, the sultone compound, and the sulfone compound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 Y 5 and Y 6 are each independently a direct bond, C or O,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4 to 7 membered ring, n is 1 or 2.
  • the sulfite-based sulfur-containing compound may include methylene sulfite, ethylene sulfite, trimethylene sulfite, tetramethylene sulfite, or sulfite having a substituent bonded to these alkylene groups.
  • the sulfone-based sulfur-containing compound is a dialkyl sulfone bonded to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diaryl sulfone bonded to an aryl group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 sulfone having a substituent bonded to the dialkyl or diaryl.
  • the sultone-based sulfur-containing compound may be applied to a 1,3-propane sultone, 1,3-propene sultone, 1,4-butane sultone, 1,5-pentane sultone, or a substituent bonded to these alkylene groups. Sultone can be applied.
  • the sulfite-based, sulfone-based, and sulfone-based compounds may generally play a role of complementing the SEI film 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anode,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stable SEI film like the above-described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thus, the high temperature storage performance, Effects such as high rate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can be expressed.
  •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Lithium salts; And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5% by weight, preferably 0.5 to 1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0 to 7.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lectrolyte. It may be included in weight percent.
  • the nitrile compound in order for the nitrile compound to complement the borate lithium compound and produce synergistic effects, at least 0.1% by weight of each compound must be included, and when each compound exceeds 15% by weight, it is relatively organic. Since the content of the solvent and the lithium salt can be reduced, there is a fear of deteriorating the basic performance of the battery beyond the role of the additiv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content within the range of 0.1 to 15% by weight as possible.
  •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n organic solvent of the kind that can be used as a non-aqueous electrolyte when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content thereof may also be included as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generally usable range.
  •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include conventional organic solvents that can be used as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cyclic carbonate solvent, linear carbonate solvent, ester solvent or ketone solvent, these alone as well as 2 It can mix and use species or more.
  • conventional organic solvents that can be used as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such as cyclic carbonate solvent, linear carbonate solvent, ester solvent or ketone solvent, these alone as well as 2 It can mix and use species or more.
  • the cyclic carbonate solvent is one, two or more mixed solu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carbonate (EC), vinylene carbonate (VC),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propylene carbonate (PC) and butylene carbonate (BC) Can be mentioned.
  • EC ethylene carbonate
  • VC vinylene carbonate
  • FEC fluoroethylene carbonate
  • PC propylene carbonate
  • BC butylene carbonate
  • the linear carbonate solvent is composed of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ethyl methyl carbonate (EMC), methyl propyl carbonate (MPC) and ethyl propyl carbonate (EPC)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mixed solution selected from the group is mentioned.
  • DMC dimethyl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DPC dipropyl carbonate
  • EMC ethyl methyl carbonate
  • MPC methyl propyl carbonate
  • EPC ethyl propyl carbonate
  • ester solvent i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 -butyrolactone, ⁇ -valerolactone, ⁇ -caprolactone, ⁇ -valerolactone and ⁇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mixed solution chosen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caprolactone is mentioned.
  • polymethylvinyl keton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ketone solvent.
  • the non-aqueous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 mixed organic solvent in which three kinds of carbonate-based solvent is mixed, and may be more preferable when using a ternary non-aqueous organic solvent, for example, to be used for mixing Compounds that may be include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vinylene carbonate, fluoroethylene carbonate, methylpropyl carbonate or ethylpropyl carbonate and the like.
  • a mixed solvent in which three kinds of the carbonate-based compounds are mixed may be applied.
  • the lithium sal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lyte may provide a predetermined lithium ion conductivity, and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ose used in the electrolyt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 an anion of the lithium salt F -, Cl -, Br -, I -, NO 3 -, N (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 PF 4 -, (CF 3) 3 PF 3 -, (CF 3) 4 PF 2 -, (CF 3) 5 PF -, (CF 3) 6 P -, 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2 N - , (FSO 2) 2 N - , CF 3 CF 2 (CF 3) 2 CO -, (CF 3 SO 2) 2 CH -, (SF 5) 3 C -, (CF 3 SO 2) 3 C -, CF 3 (CF 2) (CF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may be provided,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a separato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thereby preparing an electrolyte in which a lithium salt is dissolved.
  • 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a solvent, a binder, a conductive agent, and a dispersant in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then applying (coating) to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material, compressing, and drying to prepare a cathode.
  • the positive electrode is prepared by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llowed by drying.
  • the lithium-containing transition metal oxide may be coated with a metal or metal oxide such as aluminum (Al).
  • a metal or metal oxide such as aluminum (Al).
  • sulfide, selenide, halide,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 m.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and a metal that can easily adhere to the slurry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y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not reactive a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a foil made of aluminum, nicke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olvent for forming the positive electrode includes an organic solvent such as NMP (N-methyl pyrrolidone), DMF (dimethyl formamide),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and these solvents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be mixed and used.
  • organic solvent such as NMP (N-methyl pyrrolidone), DMF (dimethyl formamide),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and these solvents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Can be mixed and used.
  •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s sufficient to dissolve and disperse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agent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lurry and the production yield.
  • the conductive material may generall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art, for example, artificial graphite, natural graphite,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denka black, thermal black, channel black, carbon fiber, metal fiber, Aluminum, tin, bismuth, silicon, antimony, nickel, copper, titanium, vanadium, chromium, manganese, iron, cobalt, zinc, molybdenum, tungsten, silver, gold, lanthanum, ruthenium, platinum, iridium, titanium oxide, polyaniline, poly Thiophene, polyacetylene, polypyrrole or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binder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 copolymer of polyhexafluoropropylene-polyvinylidene fluoride (PVDF / HFP), poly ( 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oxid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pyridine, alkylated polyethylene oxide, polyvinylether, poly (methylmethacrylate), poly (ethylacrylate), polytetrafluoroethylene ( PTFE), polyvinylchloride, polyacrylonitrile, styrene-butadiene rubbe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fluorine rubber,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 sulfonated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carboxymethylcellulose (CMC ), Regenerated cellulose,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 the positive electrode may further add a filler to the mixture, if necessary.
  • the filler is optionally used as a component for inhibiting expan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filler include olefinic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are used.
  •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a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a solvent, a binder, a conductive agent, and a dispersant i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f necessary, and then applying the coating (coating) to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material, compressing, and drying the same.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s amorphous carbon or crystalline carbon, specifically, carbon such as non-graphitized carbon, graphite carbon; Li x Fe 2 O 3 (0 ⁇ x ⁇ 1), Li x WO 2 (0 ⁇ x ⁇ 1), Sn x Me 1-x Me ' y O z (Me: Mn, Fe, Pb, Ge; Me' Metal complex oxides such as Al, B, P, Si, Group 1, Group 2, Group 3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halogen, 0 ⁇ x ⁇ 1; 1 ⁇ y ⁇ 3; 1 ⁇ z ⁇ 8); Lithium metal; Lithium alloys; Silicon-based alloys; Tin-based alloys; SnO, SnO 2 , PbO, PbO 2 , Pb 2 O 3 , Pb 3 O 4 , Sb 2 O 3 , Sb 2 O 4 , Sb 2 O 5 , GeO, GeO 2 , Bi 2 O 3 , Bi 2 O 4 ,
  •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 m.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surface of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and the like, and aluminum-cadmium alloys.
  • fin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o enhanc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 separator that insulates the electrode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polyolefin-based separators commonly used in the art, or a composite separator in which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layer is formed on an olefin-based substrate may be used.
  • the non-aqueous electrolyte may be injected to manufacture a pouch-type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ppearanc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cylindrical or square using a can can be applied, a coin (coin) and the like can be applied.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lithium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and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ttery modul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be used in a battery module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small device, but may also be used as a unit cell in a medium-large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t can be used as a high voltage power source for small devices, and can be a more suitable electrolyte system compared to that used for power sources for medium and large devices.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s of Examples 7 and 8 were prepared by further mixing fluoro ethylene carbonate in Example 3 as shown in the weight ratio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electrolyte additiv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as prepared by adjusting the type and content of the additive as described in Table 1 below.
  • PC Propylene carbonate
  • EP Ethyl propionate
  • DMC Dimethyl carbonate
  • N-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prepared by adding to methyl-2-pyrrolidone (NMP).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 thin film of aluminum (Al), which i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 m, dri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nd then subjected to roll press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Al aluminum
  •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prepared by adding carbon powder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VDF as a binder, and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agent at 97 wt%, 2 wt%, and 1 wt%, respectively, to NMP as a solvent.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 copper (Cu) thin film,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10 ⁇ m,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and then roll-roll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Cu copper
  • the electrolyte prepared in '1)' was injected to complete the production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electrolyte additives of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applied were charged up to 4.45 V / 112 mA at 45 ° C. under 1.0 C / 4.45 V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CC / CV) conditions, and then 3.0 to 1.0 C. Discharging up to V was repeated 400 cycles and the capacity retention rate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 Capacity retention rate (%) (discharge capacity after 400 cycles) / (initial discharge capacity) ⁇ 100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wit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electrolyte additives of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were applied was charged to 4.45V / 112 mA under a condition of 0.2C / 4.45V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CC / CV) at room temperature. And discharged to 3.0V at 0.2C to measure the initial discharge capacity.
  • the battery was charged to 4.45V / 112 mA in a condition of 0.2C / 4.45V constant current / constant voltage (CC / CV)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stored at 60 ° C. for 21 days, and the secondary batteries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0.2C / 4.45V constant current.
  • Capacity retention (%) discharge capacity (mAh) / initial discharge capacity (mAh) after 21 days of storage
  • each cell was set to 50% SOC based on the discharge capacity, and the thickness thereof was defined as the initial thickness, and the cell thickness measured at 60 ° C. after high temperature storage at 100% SOC was final. Defined by thickness, the thickness increase rate (%) of the battery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3.
  • Thickness increase rate (%) (final thickness-initial thickness / initial thickness) ⁇ 100 (%)
  • Examples 1 to 8 in which a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a nitrile-based compound (succinonitrile) were mixed at a ratio of 1: 0.5 to 1: 6, did not apply the nitrile-based compound or phosphate-based compound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1 to 7 to which the compound was further appli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was excellent in both the high temperature life characteristics and the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phosphate-based compound was used together with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of Formula 1a without applying the nitrile-based compound,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life characteristics and the storage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were very poo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normality occurred in the battery because the gas generation amount is excessive.
  • Example 1 to 8 the above data showed the effect by applying a ratio of 1: 0.5 to 1: 6 to the borate-based lithium compound and the nitrile-based compound of Formula 1a, but 1: When it is applied to 1 to 1: 5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preferable, and in the case of additionally applying fluoro ethylene carbon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temperature life characteristics and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improv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신규한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니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전해질에 사용될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과 고온 저장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7년 03월 17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2017-0034037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실현되고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들의 전력원으로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이차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 기존의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전지보다 2배 이상 높은 방전 전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활물질을 적당한 두께와 길이로 집전체에 도포하거나 또는 활물질 자체를 필름 형상으로 도포하여 절연체인 분리막과 함께 감거나 적층하여 전극군을 만든다음, 캔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넣은 후, 전해질을 주입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의 리튬 금속 산화물로부터 리튬 이온이 음극의 흑연 전극으로 삽입(intercalation)되고 탈리(deintercalation)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충방전이 진행된다. 이때 리튬은 반응성이 강하므로 탄소 전극과 반응하여 Li2CO3, LiO, LiOH 등을 생성시켜 음극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피막을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막이라고 하는데, 충전 초기에 형성된 SEI 막은 충방전중 리튬 이온과 탄소 음극 또는 다른 물질과의 반응을 막아준다. 또한 이온 터널(Ion Tunnel)의 역할을 수행하여 리튬 이온만을 통과시킨다. 이 이온 터널은 리튬 이온을 용매화(solvation)시켜 함께 이동하는 분자량이 큰 전해질의 유기용매들이 탄소 음극에 함께 코인터컬레이션되어 탄소 음극의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의 고온 사이클 특성 및 저온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에 견고한 SEI 막을 형성하여야만 한다. SEI 막은 최초 충전시 일단 형성되고 나면 이후 전지 사용에 의한 충방전 반복시 리튬 이온과 음극 또는 다른 물질과의 반응을 막아주며, 전해질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만을 통과시키는 이온 터널(Ion Tunnel)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열악한 특성의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해질의 경우 불균일한 SEI 막의 형성으로 인해 저온 출력 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전해질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그 투입량을 필요량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전해질 첨가제로 인해 고온 반응시 양극 표면이 분해되거나 전해질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이차 전지의 비가역 용량이 증가하고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음극에 견고한 SEI 피막을 형성하여 고율 충방전 특성이나, 고온 성능 특성, 그리고 수명 특성과 같은 전반적인 전지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전해질의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에 대한 개발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고, 고온 저장시의 가스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명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전해질 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함께 혼용되면 성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첨가제를 제공함으로써, 위와 같은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니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Y1 내지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신규한 전해질 첨가제와 이와 함께 혼합되는 니트릴계 화합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 저장시의 가스 발생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고온 작동시 수명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본 명세서에 따르면, 신규한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이 제공되고, 이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니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Y1 내지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다.
1)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본 명세서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Y1 내지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Y1 내지 Y4는 동일하게 O일 수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전해질에 첨가제로써 포함될 수 있고, 이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양극 및 음극에 균일하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며, 특히 양극 SEI 형성에 주로 작용하여 다른 물질의 양극 반응을 저감 시켜 균일하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전지의 내구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전지 구동시 음극 표면에서 견고한 SEI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견고하게 형성된 피막으로 인하여 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6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전해질 첨가제가 전해질에 일반적으로 투입되는 함량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해질 총 중량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2 중량부의 함량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부, 또는 0.1 내지 2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을 적용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에 견고한 SEI 피막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니트릴계 화합물
본 명세서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에는 니트릴계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니트릴기를 2개 함유하는 화합물로서, 2개의 니트릴기를 연결하는 연결기로는 알킬렌기이며 탄소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연결기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 내지 4인 니트릴계 화합물은 숙시노 니트릴, 글루타로 니트릴 또는 아디포 니트릴이며, 이들 화합물들 중 1 이상이 포함되어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숙시노 니트릴 또는 아디포 니트릴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의 리튬 이차전지 성능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줄 수 있는 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 전해질에 적용되는 첨가제로서, 양극 전이금속 용출 억제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양/음극 피막 안정화로 고온특성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이 발현하는 효과에 더불어 음극 SEI 피막을 형성하는 데에 보완제 역할을 할 수 있고, 전해질 내 용매의 분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리튬 이온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전해질에 포함되는 경우, 전해질 총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내지 1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양극 및 음극에 균일하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며, 특히 양극 SEI 형성에 주로 작용하여 다른 물질의 양극 반응을 저감 시켜 균일하고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전지의 내구성을 향상 시킨다.
다만, 활성화 시에 음극 무기성분의 SEI 피막을 먼저 형성하여 리튬 양이온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나, 단일물질로 위와 같은 효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음극 피막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을 함께 혼용하여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구현함으로써, 양극 및 음극의 SEI 피막을 안정화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고율 충방전 특성, 고온 저장 특성, 수명 특성과 같은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정적으로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해질 내의 용매가 전극 주변에서 분해되는 등의 부반응이 억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온 환경에서 장기간 저장하더라도, 가스 발생량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 특성 향상으로 인하여 수명 성능 역시 함께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고온에서도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일 수 있어서, 양극 표면이 분해되거나 전해질이 산화되는 등의 부반응이 없어서 전지의 비가역 용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역 용량 상승의 효과를 볼 수 있다.
3) 기타
본 명세서에 따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포스페이트(phosphate)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8
상기 화학식 3에서, A1 내지 A3는 각각 독립적으로, -Si(R2)n(R3)3-n, 또는 프로피닐기(-C≡C)이고, 상기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인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예컨대, 트리스(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에틸실릴) 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프로필실릴) 포스페이트, 비스(트리메틸실릴)(트리에틸실릴) 포스페이트, 비스(트리에틸실릴)(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 비스(트리프로필실릴)(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 비스(트리디메틸실릴)(트리프로필실릴) 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전해질 자체의 경시 변화 특성에 상당한 악영향을 줄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시 변화에의 악영향 외에도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니트릴계 화합물의 시너지 효과를 저해하는 작용을 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전지의 고온 성능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스(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니트릴계 화합물의 중량비가 1:0.5 내지 1: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용량 유지율의 향상과 고온 저장시 가스 발생량을 억제하여 고온 저장 특성에서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니트릴계 화합물의 중량비 조절을 통해서 고온에서의 전지 성능과 저장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전해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범위들 중 바람직한 범위에 속할수록 구현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불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불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예컨대,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또는 디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불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은 전해질에 포함되는 경우, 전해질 총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내지 1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는 이 함량 범위 내에서, 중량비로써 1:0.5 내지 1:6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불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특히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용량 유지율, 즉 고온 성능 특성의 개선이 부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4) 기타 첨가제
본 명세서에 따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니트릴계 화합물, 그리고 불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외에도 다른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카보네이트계 화합물, 보레이트계 화합물, 설파이트(sulfite)계 화합물, 설톤(sultone)계 화합물, 설폰(sulfone)계 화합물 또는 불화벤젠계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선택된 2 이상의 혼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면, 비닐렌 카보네이트, 또는 비닐에틸렌 카보네이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에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와 같은 치환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불화 벤젠계 화합물은 플루오로 벤젠, 디플루오로 벤젠, 트리플루오로 벤젠 등 불소가 수소 대신 치환된 벤젠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09
상기 화학식 4에서, A4 내지 A6은 각각 독립적으로, -Si(R2)m(R3)3-m, 또는 프로피닐기(-C≡C)이고, 상기 R3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인 알킬기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보레이트계 화합물은, 예컨대, 트리스(트리메틸실릴) 보레이트, 트리스(트리에틸실릴) 보레이트, 트리스(트리프로필실릴) 보레이트, 비스(트리메틸실릴)(트리에틸실릴) 보레이트, 비스(트리에틸실릴)(트리메틸실릴) 보레이트, 비스(트리프로필실릴)(트리메틸실릴) 보레이트, 비스(트리디메틸실릴)(트리프로필실릴) 보레이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실릴기의 알킬기가 서로 상이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레이트계 화합물은 디프로피닐 에틸 보레이트, 디에틸 프로피닐 보레이트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레이트계 화합물은 리튬염의 이온쌍 분리를 촉진시켜, 리튬 이온의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SEI 피막의 계면 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전지 반응간 생성될 수 있으나, 잘 분리되지 않는 LiF 등의 물질도 해리시킴으로써, 불산 가스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설파이트계 화합물, 설톤계 화합물 및 설폰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10
상기 화학식 5에서, Y5 및 Y6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 C 또는 O이고,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4원환 내지 7원환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화학식 5에서, n이 1이어서 S=O 결합이 1개이고, R5와 R6가 서로 연결되어 환을 형성함과 동시에, Y5 및 Y6가 O인 경우에는 설파이트(sulfite) 계열의 황 함유 화합물이 될 수 있고, n이 2이어서 S=O 결합이 2개이고, R5와 R6가 서로 연결되어 환을 형성함과 동시에, Y5 또는 Y6 중 어느 하나가 탄소이고 다른 하나가 산소인 경우에는 설톤(sultone)계열의 황 함유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이 2이어서 S=O 결합이 2개이면서 R5 및 R6가 환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설폰(sulfone) 계열의 화합물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설파이트 계열의 황 함유 화합물은 메틸렌 설파이트, 에틸렌 설파이트, 트리메틸렌 설파이트, 테트라메틸렌 설파이트 또는 이들 알킬렌기에 치환기가 결합된 설파이트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폰 계열의 황 함유 화합물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가 결합된 디알킬 설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가 결합된 디아릴 설폰 또는 상기 디알킬 또는 디아릴에 치환기가 결합된 설폰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설톤 계열의 황 함유 화합물은 1,3-프로판 설톤, 1,3-프로펜 설톤, 1,4-부탄 설톤, 1,5-펜탄 설톤, 또는 이들 알킬렌기에 치환기가 결합된 설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파이트계, 설톤계 및 설폰계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음극 표면에 SEI 피막 형성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SEI 피막 형성에 기여하여, 고온 저장 성능, 고율 충방전 특성 등의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본 명세서에 따르면, 전술한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리튬염; 및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이 제공된다.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다만,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의 함량 관련하여,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니트릴계 화합물이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을 보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합물이 적어도 0.1 중량% 이상은 포함되어야 하며, 각각의 화합물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유기용매와 리튬염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첨가제의 역할을 넘어, 전지의 기본 성능을 열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0.1 내지 15 중량%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함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본 명세서에 따른 전해질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 제조시 비수성 전해질로 사용 가능한 종류의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함량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환형 카보네이트 용매, 선형 카보네이트 용매, 에스테르 용매 또는 케톤 용매 등 리튬 이차전지의 비수성 유기용매로 사용 가능한 통상의 유기용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비닐렌 카보네이트(VC),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F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C) 및 부틸렌 카보네이트(B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액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용매로는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카보네이트(MPC)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액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δ-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액을 들 수 있다. 또한, 케톤 용매로는 폴리메틸비닐 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카보네이트 계열 용매를 3 종 혼합한 혼합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3원계 비수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혼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플루오르에틸렌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또는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등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카보네이트계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3 종을 혼합한 혼합 용매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에 포함될 수 있는 리튬염은, 소정의 리튬 이온 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으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F3SO3 -, CF3CF2SO3 -, (CF3SO2)2N-, (FSO2)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2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리튬염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
본 명세서에 따르면, 전술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게재된 분리막 및 전술한 전해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여 리튬염이 용해되어 있는 전해질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활물질에 용매, 필요에 따라 바인더, 도전제,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 및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활물질을 양극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양극활물질은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xCoO2(0.5<x<1.3), LixNiO2(0.5<x<1.3), LixMnO2(0.5<x<1.3), LixMn2O4(0.5<x<1.3), Lix(NiaCobMnc)O2(0.5<x<1.3, 0<a<1, 0<b<1, 0<c<1, a+b+c=1), LixNi1-yCoyO2(0.5<x<1.3, 0<y<1), LixCo1-yMnyO2(0.5<x<1.3, 0≤y<1), LixNi1-yMnyO2(0.5<x<1.3, O≤y<1), Lix(NiaCobMnc)O4(0.5<x<1.3, 0<a<2, 0<b<2, 0<c<2, a+b+c=2), LixMn2-zNizO4(0.5<x<1.3, 0<z<2), LixMn2-zCozO4(0.5<x<1.3, 0<z<2), LixCoPO4(0.5<x<1.3) 및 LixFePO4(0.5<x<1.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xLi2MO3(1-x)LiMeO2(M은 Ni, Co 또는 Mn이며, Me는 Ni, Co, Mn, Cr, Fe, V, Al, Mg,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전이금속이고, 0<x<1임)와 같이 특정 전이 금속이 고함량인 활물질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은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이나 금속산화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슬러리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는 금속으로 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반응성이 없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이 있다.
상기 양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는 NMP(N-메틸 피롤리돈), DMF(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슬러리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전극활물질, 바인더, 도전제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도전재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조 흑연, 천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덴카 블랙, 써멀 블랙, 채널 블랙, 탄소 섬유, 금속 섬유, 알루미늄, 주석, 비스무트, 실리콘, 안티몬, 니켈, 구리, 티타늄, 바나듐, 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란타늄, 루테늄, 백금, 이리듐, 산화티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피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일반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 (PVDF/HFP),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딘, 알킬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EPDM) 술폰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재생 셀룰로오스,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극은,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한편, 음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극 활물질에 용매, 필요에 따라 바인더, 도전제,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 및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비정질 카본 또는 정질 카본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계 재료, 또는 Li-Ti-O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에 포함되는 바인더 및 도전재는 양극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 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 전극들을 절연시키는 분리막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이나, 또는 올레핀계 기재에 유무기 복합층이 형성된 복합 분리막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파우치 외장재에 수납한 다음, 상기 비수성 전해질을 주입하여 파우치형 전지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고, 캔을 사용한 원통형 또는 각형이 적용될 수 있고, 코인(coin)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응용 제품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은 전술한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모듈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단위전지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바람직하게는 산화 안정성이 우수하여 소형 디바이스의 고전압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에 비하여 보다 적합한 전해질 시스템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6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을 전체 전해질 대비 1.0 중량%, 그리고 숙시노 니트릴을 전체 전해질 대비 1.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실시예 1로 하였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숙시노 니트릴을 혼합하여 실시예 2 내지 8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a]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11
실시예 7 및 8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와 같이 실시예 3에서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더 혼합하여 실시예 7 및 8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하여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함량1) 첨가제중량비6) 총량1)
화학식 1a SN2) FEC3) TBP4) TMSP5)
실시예 1 1.0 0.5       1:0.5 1.5
실시예 2 1.0 1.0       1:1 2
실시예 3 1.0 2.0       1:2 3
실시예 4 1.0 3.0       1:3 4
실시예 5 1.0 5.0       1:5 6
실시예 6 1.0 6.0       1:6 7
실시예 7 1.0 3.0 1.0     1:3:1 4
실시예 8 1.0 3.0 2.0     1:3:2 6
비교예 1 1.0     0.5   1:0.5 1.5
비교예 2 1.0       0.5 1:0.5 1.5
비교예 3 1.0 3.0   0.5   1:3:0.5 4.5
비교예 4 1.0 3.0     0.5 1:3:0.5 4.5
비교예 5 3.0 - 3.0
비교예 6 1.0 2.0 - 3.0
비교예 7 1.0 0.5 - 1.5
1)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한 중량%
2) SN: 숙시노 니트릴
3) FEC: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4) TBP: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5) TMSP: 트리스(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
6) 화학식 1a의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에 대한 첨가제들의 중량비
실험예: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 평가
(1) 전해질의 제조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프로피오네이트(EP): 디메틸 카보네이트(DMC)=2:4:4 (중량비)의 조성을 갖는 비수성 유기 용매에 비수성 전해액 총량을 기준으로 LiPF6 1 mole/ℓ 첨가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첨가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양극 활물질로서 Li(Ni0.33Co0.33Mn0.33)O2의 혼합물 89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8 중량%,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20㎛ 정도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바인더로 PVDF,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각각 97 중량%, 2 중량% 및 1 중량%로 하여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10㎛의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양극과 음극을 폴리올레핀 분리막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작 후, '1)'에서 제조된 상기 전해질을 주액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를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이 포함된 리튬 이차전지를 하기의 항목에 대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3) 평가 항목
1) 고온 수명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 첨가제가 적용된 리튬 이차전지를 45℃에서 1.0C/4.45V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으로 4.45V/112 mA까지 충전하고 1.0C로 3.0 V까지 방전시키는 것을 400 사이클 반복하고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용량 유지율을 계산하였다.
[식 1]
용량 유지율(%) = (400 사이클 후 방전 용량)/(초기 방전 용량) × 100
2) 고온 저장 특성 평가
(a) 용량 유지율(%)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 첨가제가 적용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를 상온에서 0.2C/4.45V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으로 4.45V/112 mA까지 충전하고 0.2C로 3.0 V까지 방전하여 초기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0.2C/4.45V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으로 4.45V/112 mA까지 충전한 다음 60℃에서 21일간 저장하였고, 저장 후 상기 이차전지들을 상온에서 0.2C/4.45V 정전류/정전압(CC/CV) 조건으로 4.45V/112 mA까지 충전하고 0.2C로 3.0 V까지 방전하여 저장 후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식 2]
용량 유지율(%) = 21일 저장 후 방전 용량(mAh) / 초기 방전 용량(mAh)
(b) 두께 증가율
위 (a) 실험에서 초기 충방전 후 각 전지를 방전용량 기준으로 SOC 50%으로 설정하여 두께를 측정하여 이를 초기두께로 정의하고, SOC 100%에서 고온 저장 이후 60℃에서 측정한 전지 두께를 최종두께로 정의하여, 전지의 두께 증가율 (%)을 하기 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3]
두께 증가율(%) = (최종두께-초기두께 / 초기두께) × 100(%)
(4) 평가 결과
상기 평가 항목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7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이 적용된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량 유지율(%) 용량 유지율(%) 두께 증가율(%)
45℃, 400 cycle 60℃, 21일 60℃, 21일
실시예 1 79.4 76.3 15.2
실시예 2 82.5 88.5 12.1
실시예 3 84.7 90.7 11.2
실시예 4 85.2 91.4 10.7
실시예 5 83.4 85.9 10.3
실시예 6 86.8 87.6 11.8
실시예 7 88.0 86.4 12.6
실시예 8 76.2 80.5 10.4
비교예 1 70.1 63.2 25.8
비교예 2 69.6 - Vent1)
비교예 3 74.8 68.9 19.9
비교예 4 75.8 57.3 30.7
비교예 5 62.5 75.1 10.2
비교예 6 79.1 - Vent1)
비교예 7 72.5 59.8 33.1
1) vent: 과량의 가스 발생으로 전지의 두께 증가가 심각하여 평가 불능이 된 상태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니트릴계 화합물(숙시노 니트릴)을 1:0.5 내지 1:6의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8이, 니트릴계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았거나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추가로 적용한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하여 고온 수명 특성과 고온 저장 특성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트릴계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고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화학식 1a의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함께 적용한 비교예 1과 2의 경우,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과 저장 특성이 모두 상당히 열악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비교예 2의 경우 가스 발생량이 과다하여 전지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니트릴계 화합물을 적용하였으나,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추가로 더 적용한 비교예 3과 4는 용량 유지율이 비교예 1 및 2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하기는 하나, 역시 실시예들에 비해서는 수준이 크게 낮으며, 특히 용량 회복율과 두께 증가율이 열악하여 고온 저장 특성이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전해질 첨가제로써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화학식 1a의 화합물만을 적용한 비교예 5와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6 및 7의 경우, 고온에서의 사이클 성능이 열악하거나, 고온 저장시 가스 발생량이 상당하여 전지가 vent되거나 또는 두께 증가가 심각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위 데이터를 보면 화학식 1a의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과 니트릴계 화합물을 1:0.5 내지 1:6의 비율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1:1 내지 1:5로 적용한 경우가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플루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고온 수명 특성과 고온 저장 특성이 보다 더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니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Y1 내지 Y4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또는 S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화학식 1a]
    Figure PCTKR2018003133-appb-I00001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계 화합물은 숙시노 니트릴, 글루타로 니트릴 및 아디포 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플루오르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니트릴계 화합물은 중량비가 1:0.5 내지 1:6인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레이트계 리튬 화합물 및 니트릴계 화합물은 중량비가 1:1 내지 1:5인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스(트리메틸실릴) 포스페이트인 것인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8. 제1항의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 리튬염; 및 비수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첨가제 조성물은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10. 제8항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CT/KR2018/003133 2017-03-17 2018-03-16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WO20181693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8767604T PL3514883T3 (pl) 2017-03-17 2018-03-16 Dodatek do elektrolitu i zawierający go elektrolit dla akumulatora litowego
EP18767604.4A EP3514883B1 (en) 2017-03-17 2018-03-16 Electrolyte additiv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US16/339,830 US11476499B2 (en) 2017-03-17 2018-03-16 Electrolyte additive and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201880004053.7A CN109891655B (zh) 2017-03-17 2018-03-16 电解质添加剂和包括该电解质添加剂的用于锂二次电池的电解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37 2017-03-17
KR20170034037 2017-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368A1 true WO2018169368A1 (ko) 2018-09-20

Family

ID=635224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133 WO2018169368A1 (ko) 2017-03-17 2018-03-16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PCT/KR2018/003134 WO2018169369A1 (ko) 2017-03-17 2018-03-16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134 WO2018169369A1 (ko) 2017-03-17 2018-03-16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31628B2 (ko)
EP (3) EP3512026B1 (ko)
KR (2) KR102430424B1 (ko)
CN (2) CN109891655B (ko)
PL (3) PL3514883T3 (ko)
WO (2) WO2018169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375A (ko) 2018-10-10 2020-04-2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온 전지용 전해질 및 리튬 이온 전지
WO2020096411A1 (ko) * 2018-11-09 2020-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34070B1 (ko) * 2018-11-09 2022-08-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89062B1 (ko) 2020-01-20 2021-08-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물질의 제조방법, 상기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2531212B (zh) * 2020-12-09 2021-12-07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兼顾高温特性与低阻抗的非水电解液、其应用及锂离子电池
US20220399574A1 (en) * 2021-06-15 2022-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lyte for lithium metal batteries
CN113394457B (zh) * 2021-06-15 2023-02-24 杉杉新材料(衢州)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14447435A (zh) * 2022-01-21 2022-05-06 恒实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用于锂二次电池的非水电解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4516793A (ja) 2022-03-17 2024-04-17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695943B1 (ko) 2022-03-17 2024-08-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827B1 (ko) * 2007-04-05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90039211A (ko) * 2007-10-17 200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이차전지
KR20100016393A (ko) * 2007-05-11 2010-02-12 내셔날 리서치 카운실 오브 캐나다 넓은 전위 윈도우를 갖는 플라스틱 결정 전해질
US20140113202A1 (en) * 2012-10-22 2014-04-24 Ut-Battelle, Llc Electrolyte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140116720A (ko) * 2013-03-25 2014-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1537848B1 (ko) * 2013-01-04 2015-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43070D1 (de) * 2000-10-03 2010-10-28 Central Glass Co Ltd Elektrolyt für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US7172834B1 (en) * 2002-07-29 2007-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ditive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chemical cells
KR100726889B1 (ko) * 2005-07-22 2007-06-14 한국과학기술원 리튬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0736909B1 (ko) * 2006-02-02 2007-07-10 한국과학기술원 리튬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N101202359B (zh) * 2006-12-14 2010-05-19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添加剂组合物以及含该添加剂组合物的电解液和锂离子二次电池
KR100793010B1 (ko) * 2007-02-16 2008-01-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5390131B2 (ja) * 2008-06-26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水電解液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並びに該バインダー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及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212037B2 (ja) * 2008-11-17 2013-06-1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EP2437340B1 (en) * 2009-05-27 2016-03-23 GS Yuasa International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2108505A1 (ja) * 2011-02-10 2012-08-16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CN102522590B (zh) 2011-12-26 2014-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水有机电解液、包含它的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和终端通讯设备
CN102709588B (zh) * 2012-01-12 2016-04-2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电解液
KR101492686B1 (ko) 2012-05-30 2015-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24720A (ko) * 2012-08-21 2014-03-03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14185A (ko) *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액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3682443B (zh) 2013-12-31 2016-03-16 东莞市杉杉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含双氟磺酰基亚胺锂的锂离子电池电解液
US9666906B2 (en) 2014-05-15 2017-05-30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High voltage electrolyte and lithium ion battery
KR102509895B1 (ko) * 2014-05-23 2023-03-15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환형 설페이트 및 리튬 보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 조성물
KR101797271B1 (ko) 2014-09-26 2017-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0308587B2 (en) * 2015-02-03 2019-06-04 Blue Current, Inc. Functionalized fluoropolymers and electrolyte compositions
CN104600364B (zh) * 2015-02-06 2017-08-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液及应用该电解液的锂离子电池
CN105119018B (zh) * 2015-08-19 2018-07-24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电解液及锂离子电池
KR101702406B1 (ko) 2015-09-18 2017-02-03 울산과학기술원 리튬 이차 전지
CN105552439A (zh) * 2015-12-16 2016-05-04 东莞市杉杉电池材料有限公司 一种快速充电的锂离子电池电解液
CN106129456B (zh) * 2016-07-21 2019-04-23 中航锂电(洛阳)有限公司 一种电解液用功能添加剂,长循环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JP7233359B2 (ja) * 2016-08-19 2023-03-06 ソルヴェイ(ソシエテ アノニム) シリルオキサレートを含有する非水性電解質組成物
EP3396770B1 (en) * 2016-11-15 2020-02-26 LG Chem, Ltd.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827B1 (ko) * 2007-04-05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00016393A (ko) * 2007-05-11 2010-02-12 내셔날 리서치 카운실 오브 캐나다 넓은 전위 윈도우를 갖는 플라스틱 결정 전해질
KR20090039211A (ko) * 2007-10-17 200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이차전지
US20140113202A1 (en) * 2012-10-22 2014-04-24 Ut-Battelle, Llc Electrolyte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537848B1 (ko) * 2013-01-04 2015-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20140116720A (ko) * 2013-03-25 2014-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14883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3635B (zh) 2021-12-24
WO2018169369A1 (ko) 2018-09-20
EP3514883A1 (en) 2019-07-24
EP3514883B1 (en) 2021-01-20
US20190296397A1 (en) 2019-09-26
PL3514883T3 (pl) 2021-06-14
EP3512026A1 (en) 2019-07-17
CN109891655A (zh) 2019-06-14
PL3893313T3 (pl) 2022-11-21
KR20180106972A (ko) 2018-10-01
EP3893313A1 (en) 2021-10-13
KR102402107B1 (ko) 2022-05-26
US11476499B2 (en) 2022-10-18
EP3512026B1 (en) 2021-07-28
EP3512026A4 (en) 2020-02-12
KR20180106973A (ko) 2018-10-01
US20200052331A1 (en) 2020-02-13
US11031628B2 (en) 2021-06-08
CN109863635A (zh) 2019-06-07
EP3893313B1 (en) 2022-09-21
PL3512026T3 (pl) 2021-11-22
KR102430424B1 (ko) 2022-08-09
CN109891655B (zh) 2022-02-11
EP3514883A4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9368A1 (ko)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WO2018169370A1 (ko) 전해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WO2018169371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43733A1 (ko) 고온 저장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WO201821242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167428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197278A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22092688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40388A1 (ko)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009155A2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22055258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068807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2021396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5064987A1 (ko) 리튬 이차전지
WO2022050712A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1720459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25682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8131952A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149677A1 (ko)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104987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07838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72650A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2149740A1 (ko)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WO202110117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159284A1 (ko)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67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67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415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