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0286A2 -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 Google Patents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0286A2
WO2014200286A2 PCT/KR2014/005172 KR2014005172W WO2014200286A2 WO 2014200286 A2 WO2014200286 A2 WO 2014200286A2 KR 2014005172 W KR2014005172 W KR 2014005172W WO 2014200286 A2 WO2014200286 A2 WO 201420028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formula
inte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1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200286A3 (ko
Inventor
유정은
신정규
정승표
김영제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4811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87795B1/en
Priority to JP2016519443A priority patent/JP6156897B2/ja
Priority to US14/652,741 priority patent/US9782767B2/en
Publication of WO201420028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0286A2/ko
Publication of WO201420028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028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15Sulfur-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22Sulfur-containing compounds comprising sulfo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0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07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oxygen atom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09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oxygen atom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10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oxygen atom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with the oxy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etherified hydroxy groups further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C07F1/06Potass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20Polysulfones
    • C08G75/23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C08J5/2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containing fluor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48Ion-conducting additives, e.g. ion-conducting particles, heteropolyacids, metal phosphate or polybenzimidazole with phosphor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J23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J2371/12Polyphen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sulfonate compound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the same.
  • Solid polymer fuel cells are power generation devices that generate power by chemical reaction of fuel gas (e.g., hydrogen) and oxygen. It is greatly expected in the fields of industry and automobile industry.
  • fuel gas e.g., hydrogen
  • oxygen oxygen
  • the fuel cell is composed of two catalyst layers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andwiched between these two catalyst layers as basic units.
  • the wet stat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nstituting the fuel cell is changed as the fuel cell starts and stops.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alternately generate swelling and shrinkage due to absorption and drying, thereby causing a defect in which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catalyst layer is microscopically broken.
  • the fuel cell may be broken.
  •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ed for a fuel cell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express ion conductivity efficiently with a water absorption rate small enough to reduce swelling shrinkage (absorption dimension change) by absorption drying.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ulfonate compound and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the same.
  • A1 to A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group,
  • R 1 is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cyclic
  • L is a linker comprising one or more of O, S and SO 2 ,
  • Z 1 to Z 4 are each independently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 R2 is one of Group 1 elements of the periodic table
  • N is an integer of 0 or more
  • M is an integer of 0 or more
  • P is an integer of 1 or more
  • ⁇ (n ⁇ p) + (m ⁇ p) ⁇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20 or less.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a polymer including a monomer derived from the sulfonate compound.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anode; A cathode provided opposite the anode; And an electrolyte membrane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wherei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stack comprising a bipolar plate interposed between two or more of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A fuel supply unit supplying fuel to the stack; And it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an oxid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xidant to the stack.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using the sulfonate comp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asily forms a hydrophilic-hydrophobic phase separation structur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ulfonat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fficiently forms a hydrophilic channel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controlling the phase separation structur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excellent ion conductivity.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low ion exchange capacity (IEC) value.
  • the fuel cell includ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efficiency.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 fuel cell.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fuel cell.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ulfon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L in Formula 1 may be S, O or SO 2 .
  • R1 may be hydrogen
  • the R2 may be H, Na or K.
  • R2 may be connected to oxygen adjacent to the ionic bond.
  • L may be a linking group of -O-, -S-, or -SO 2- .
  • Z1 to Z4 of Chemical Formula 1 are each independently F; Cl; Br; And I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sulfonate-based compoun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nclu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en the Z 1 to Z 4 of the sulfonate-based compound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element (F, Cl, Br, I), electrons are well attracted to hydrogen ions. It can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Z1 to Z4 are fluorine, the advantages may be maximized.
  • n in Chemical Formula 1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and 5 or less.
  • m in Formula 1 may be an integer of 0 or more and 5 or less.
  • n in Formula 1 is an integer of 2 or more
  • the structures in two or more parentheses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n in Formula 1 is an integer of 2 or more
  • structures in two or more parentheses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p in Chemical Formula 1 may be an integer of 1 or more and 5 or less.
  • a chain composed of carbon and oxygen of Formula 1 may play a role of facilitating phase separation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chain composed of carbon and oxygen of Formula 1 may serv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hydrogen ion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 (n ⁇ p) + (m ⁇ p) ⁇ of a chain composed of carbon and oxygen of Formula 1 exceeds 20
  • a hydrophilic block may be form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ver-problem may occur. Therefore, when ⁇ (n ⁇ p) + (m ⁇ p) ⁇ of Formula 1 is 1 or more and 20 or less, proper phase separation may occur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 (n ⁇ p) + (m ⁇ p) ⁇ of Chemical Formula 1 may be an integer of 3 or more and 10 or less.
  • the A1 is fluorine.
  • A2 is fluorine
  • A3 is fluorine
  • A4 is fluorine
  • the sulfonat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2-1 to 2-3.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omprising the sulfonate compound.
  • the sulfonate compound may be included as a monomer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r as an additive.
  • the electrolyte membrane may be a block polymer because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hase separation is important, but in a hydrocarbon-based block polymer, phase separation is difficul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chain and the sulfone group is close.
  • the sulfonate-based compound may provide an electrolyte membrane having improved phase separation because a halogen group, in particular, a linking group containing fluorine, particularly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fluorine, exists between an phenyl group and a sulfone group, which are aromatic groups.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include a polymer including a monomer derived from the sulfonate compound.
  • the polymer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may be a homopolymer of the sulfonate compoun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onomers.
  • additional comonomers those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In this case, one or two or more kinds of comonomers may be used.
  • Examples of the comonomer include perfluorosulfonic acid polymer, hydrocarbon-based polymer, polyim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er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oxide, polyphosphazin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ster, doping Polybenzimidazoles, polyetherketones, polysulfones, monomers thereof, or bases thereof.
  • the polymer may further include other sulfonate compounds, in addition to the sulfonate compounds.
  • the polymer may be 4,4'-difluorobenzophenone and 3,5-bis (4-fluorobenzoyl) phenyl (4- together with the sulfonate compound.
  • Fluorophenyl) methanone (3,5-bis (4-fluorobenzoyl) phenyl (4-fluorophenyl) methanone) may be a polymer polymerized.
  • sulfonate-based compounds such as hydroquinone sulfonic acid potassium sal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olymer, together with the sulfonate-based compound, 4,4'-difluorobenzophenone (4,4'-difluorobenzophenone) and 3,5-bis (4-fluorobenzoyl) phenyl ( 4,4'-difluorobenzophenone (4,4'-) to a polymer polymerized with 4-fluorophenyl) methanone (3,5-bis (4-fluorobenzoyl) phenyl (4-fluorophenyl) methanone) Difluorobenzophenone), 9,9-bis (hydroxyphenyl) fluorine and 9,9-bis (hydroxyphenyl) fluorine and 3,5-bis (4-fluorobenzoyl) phenyl (4-fluorophenyl) -methanone (3,5-bis (4-fluorobenzoyl) phenyl (4-fluorophenyl) -methanone) may be a multi-block copolymer obtained by adding and reacting.
  •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comonomer in the polymer may be greater than 0 wt% and less than 95 wt%.
  • the content of the sulfonate compound and the additional comonomer in the polym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IEC (ion exchange capacity) value required for the electrolyte membrane for the fuel cell to be applied.
  • the monomer content in the polymer can be selected to be within the range of 0.5 ⁇ IEC ⁇ 3.
  • the sulfonate-based compound may be used to design an electrolyte membrane having a low IEC value while showing the same ion conductivity value.
  • the polymer including the sulfonate-based compou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ens of thousands to millions. Specifical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100,000 to 1 million.
  • the polymer containing the sulfonate compound is a block copolymer.
  • the polymer including the sulfonate-based compound may be synthesized by a condensation polymerization method in which, for example, a monomer containing a halogen element reacts with F to react with HF or HCl.
  • the sulfonate-based compound when inclu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luorine in 1 and 3 positions of the phenyl group may fall, thereby forming a repeating unit.
  • the sulfonat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when inclu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t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1 below.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include a polymer including a monomer derived from the sulfonat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 A1, A4, R1, R2, Z1 to Z4, n, m and p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1 is the same as that of Formula 1.
  • the fluorine at positions 1 and 3 in Formulas 2-1 to 2-3 may be repeatedly separated from the sulfonate-based compound. Units may be formed.
  • the fluorine substituted by the phenyl group of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1 may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by smoothly moving the hydrogen ions due to the ability to attract atoms.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h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manufactured using the polymer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prepared by adding a solvent to the polymer to form a polymer solution, and then forming a polymer solution using a solvent casting method. If necessary, an acid treatment can be used to convert the SO 3 M group to an SO 3 H group.
  • the content range i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more than 10% and less than 70%.
  • the ion conductivity effect is insignificant, and in the case of 70% or more, the sulfonate-based compound is excessively difficult to be applied to the membrane due to the low mechanical strength.
  • it when added as an additive within the above range, it has an ionic conductivity effect and mechanical strength suitable for application to the membrane.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a perfluorosulfonic acid polymer, a hydrocarbon-based polymer, polyim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One or more polymers of oxides, polyphosphazines, polyethylenenaphthalates, polyesters, doped polybenzimidazoles, polyetherketones, polysulfones, acids or bases thereof.
  • it includes a polymer containing a monomer derived from the sulfonate-based compound.
  • the monomer derived from the sulfonate-based compound is included 20 mol% to 40 mol% of the total polymer. Polymers containing monomers derived from sulfonate-based compounds within this range have mechanical strength and high ionic conductivity.
  • a material added to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example, a monomer or an additive included in the polymer It may be designed to an appropriate value depending on the type of.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 fuel cell, it may be designed as 0.5 ⁇ IEC ⁇ 3, 0.5 ⁇ IEC ⁇ 2.5,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lected as an appropriate value as necessary.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a low IEC value while exhibiting an ion conductivity value equivalent to or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 the ion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0.03 s / cm or more and 0.2 s / cm or less.
  • the IEC valu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0.5 or more and 3 or less.
  • the chain in p brackets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SO 3 R 2 is directly bonded to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 SO 3 R 2 phase separation is easy, so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is high.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using materials or methods in the art except for including the sulfonate compound.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have a thickness of several microns to several hundred microns.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be a block copolymer including a hydrophilic block and a hydrophobic block.
  • hydrophilic block herein is meant a block having an ion exchange group as a functional group.
  • the functional groups are -SO 3 H, -SO 3 - M +, -COOH, -COO - M +, -PO 3 H 2, -PO 3 H - M + , and -PO 3 2- 2M + the group consisting of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 M may be a metallic element. That is, the functional group may be hydrophilic.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ilic block may be 1,000 to 500,000 (g / mol),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hydrophobic block may be 1,000 to 500,000 (g / mol).
  • block having an ion exchange group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block containing an average of 0.5 or more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ion exchange groups per structural unit constituting the block, and an average of 1.0 or more ions per structural unit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n exchanger.
  • hydrophobic block herein is meant the polymer block which is substantially free of ion exchange groups.
  • block having substantially no ion exchange group means a block having an average of less than 0.1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ion exchange groups per structural unit constituting the block, and more preferably 0.05 or less on average. More preferable is a block having no ion exchange group.
  • a "block type copolymer” means that one block forms a main chain structure and the other block has a side chain structure.
  • the concept also includes the copolymer of the copolymerization mode of the graft superposition
  • the polymer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block copolymer, a polymer containing a fluorine-based element may also be used. In this case, the polymer including the fluorine-based element may also include a functional group, the functional group may be hydrophilic.
  • the functional group is -SO 3 H, -SO 3 - M a +, and -PO 3 2- 2M + - M + , -COOH, -COO - M +, -PO 3 H 2, -PO 3 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M may be a metallic element.
  • O oxygen
  • N nitrogen
  • S sulfur
  • Si silicon
  • H hydrogen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sulfonat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the main chain of the hydrophilic block.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in the main chain of the hydrophilic block in the form of the repeating unit of Formula 1-1.
  •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ay include a polymer includ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3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4.
  • a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 a ' is an integer of 0 or more, a: a' is 1000: 0 to 5: 1, l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000 or less,
  • z is an integer greater than 0,
  • Z ' is an integer of 0 or more
  • z: z' is 1000: 0 to 5:
  • l '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0,000 or less
  • A, D, and V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3-1 to 3-4,
  • X 1 is a direct bond, or one of —C (Z 5) (Z 6) —, —CO—, —O—, —S—, —SO 2 — and —Si (Z 5) (Z 6) —,
  • Z5 and Z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group, a trifluoromethyl group (-CF 3 ), or a phenyl group,
  • S1 and S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b and b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S3 to S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c, c ', d and d'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S7 to S10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e, e ', f and f'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S11 is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cyclic
  • b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U is represented by any one of monomers derived from the following formulas 4-1 to 4-4 and the sulfonate compound,
  • X2 is a direct bond, -CO- or -SO 2- ,
  • g and g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h, h ', i and i'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j and j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3 or less,
  • k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T1 to T9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each independently at least one -SO 3 H, -SO 3 - M +, -COOH, -COO - M +, -PO 3 H 2, -PO 3 H - M + or -PO 3 2- 2M + a, wherein M is a metallic element, and the other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
  • B may be an all-fluorine compound or a partial fluorine compound, or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5-1 to 5-3,
  • X3 to X5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direct bond, -CO- or -SO 2- ,
  • Y1 is a direct bond or an alkylene group of C1 to C60
  • E1 to E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q, r and r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s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3 or less
  • X6 is a direct bond, -CO- or -SO 2- ,
  • Y2 is a direct bond or an alkylene group of C1 to C60
  • E5 and E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t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3 or less
  • t '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X7 is a direct bond, -CO- or -SO 2- ,
  • Y3 is a direct bond or a C1 to C60 alkylene group
  • E7 and E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eavy hydrogen; Halogen group; Cyano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Hydrox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yclo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il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boron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alk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amine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 u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3 or less
  • u ' is an integer of 0 or more and 4 or less
  • W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1 in Formula 3, a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2 in Formula 4,
  • o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000 or less
  • the definition of A and U is the same as the definition of A and U of Formula 1,
  • o is an integer of 1 or more and 100,000 or less, and the definitions of D and V are the same as the definitions of D and V of the formula (2).
  • Chemical Formula 3-1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1-1.
  • Chemical Formula 3-2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2-1.
  • Chemical Formula 3-3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3-3-1.
  • A, D, and V of Formulas 3 and 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R3 to R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may be independently a nitro group (-NO 2 ) or a trifluoromethyl group (-CF 3 ).
  • A, C, and V of Formulas 3 and 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R7 and R8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independently a nitro group (-NO 2 ) or a trifluoromethyl group (-CF 3 ).
  • Chemical Formula 4-1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1-1.
  • Chemical Formula 4-2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2-1.
  • T3 to T6, h, h ', i and i' are the same as in Chemical Formula 4-2.
  • Chemical Formula 4-3 may be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4-3-1 to 4-3-3.
  • T7, T8, j and j ' are the same as in Formula 4-3.
  • Chemical Formula 4-4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4-4-1.
  • Q1 to Q11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SO 3 H, -SO 3 - M +, -COOH, -COO - M +, -PO 3 H 2, -PO 3 H - M + and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 3 2- 2M +,
  • M may be a metallic element.
  • Q1 to Q11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SO 3 H, -SO 3 - M +, -COOH, -COO - M +, -PO 3 H 2, -PO 3 H - M + and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 3 2- 2M +,
  • M may be a metallic element.
  • Chemical Formula 5-1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1-1.
  • X3 to X5, Y1, E1 to E4, W, q, s, r, and r ' are the same as in Formula 5-1.
  • Chemical Formula 5-2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2-2.
  • Chemical Formula 5-3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5-3-1.
  • Y1 to Y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direct bond or a C1 to C60 alkylene group,
  • W is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6-1 in Formula 3, and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6-2 in Chemical Formula 4,
  • o is an integer of 1 or more, 10,000 or less, the definition of A and U is the same as the definition of A and U of Formula 3,
  • o ' is 1 or more, an integer of 100,000 or less, and the definition of D and V may be the same as the definition of D and V of the formula (4).
  • the block of Formula 3 and the block of Formula 4 may be arranged alternately, in a graft form, or randomly.
  • M may be the sum of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Formula 3 optionally arranged in the block copolymer polymer.
  • N may be the sum of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Formula 2 optionally arranged in the block copolymer polymer.
  • the aryl group may be monocyclic or polycyclic, and the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6 to 60.
  • Specific examples of the aryl group include monocyclic aromatic and naphthyl groups such as phenyl group, biphenyl group, and terphenyl group, naphthyl group, anthracenyl group, phenanthrenyl group, pyrenyl group, peryllenyl group, tetrasenyl group, chrysenyl group, Polycyclic aromatics, such as a fluorenyl group, an acenaphthacenyl group, a triphenylene group, and a fluoranthene group, etc. are mention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 the fluorenyl group may be substituted, and adjacent substituent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ring.
  • the heterocyclic group is a heterocyclic group including one or more of O, N, and S as a hetero atom, and the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to 60 carbon atoms.
  • the heterocyclic group include thiophene group, furan group, pyrrole group, imidazole group, thiazole group, oxazole group, oxadiazole group, triazole group, pyridyl group, bipyridyl group, pyrimidyl group, triazine group, triazole group, Acridyl group, pyridazine group, pyrazinyl group, quinolinyl group, quinazoline group, quinoxalinyl group, phthalazinyl group, pyrido pyrimidinyl group, pyrido pyrazinyl group, pyrazino pyrazinyl group, isoquinoline group , Indole group, carbazole group,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chain,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0. Specific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t-butyl, pentyl, hexyl and heptyl groups.
  • the alkenyl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chain,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to 50. Specific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lkenyl groups in which aryl groups such as stylbenyl and styrenyl groups are substituted.
  • the alkoxy group may be linear or branched chain, carbon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0.
  • the cyclo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has 3 to 60 carbon atom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cyclopentyl group and a cyclohexyl group.
  • examples of the halogen group include fluorine, chlorine, bromine or iodine.
  •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0.
  • Specific examples of the amine group include methylamine group, dimethylamine group, ethylamine group, diethylamine group, phenylamine group, naphthylamine group, biphenylamine group, anthracenylamine group, and 9-methyl-anthracenylamine group. , Diphenylamine group, phenylnaphthylamine group, ditolylamine group, phenyltolylamine group, triphenylamine group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carbon number of an arylamine group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6-50.
  • Examples of the arylamine group mea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onocyclic diar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polycyclic diarylamine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onocyclic and polycyclic diarylamine group.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rein is deuterium; Halogen group; An alkyl group; Alkenyl groups; An alkoxy group; Cycloalkyl group; Silyl groups; Aryl alkenyl group; Aryl group; Boron group; Alkylamine group; Aralkyl amine groups; Arylamine group; Arylamine group; Aryl group; Heterocycle; Nitrile group; Nitro group; It means that it is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 group and a cyano group or has no substituent.
  • substituted means that a hydrogen atom bonded to a carbon atom of the compound is replaced with another substituent, and the position to be substituted is not limited to a position where the hydrogen atom is substituted, that is, a position where a substituent can be substituted, if two or more substituted , Two or mor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metallic element may be an alkali metal, an alkaline earth metal, a lanthanide metal, an actinium metal, a transition metal or a post-transition metal.
  • the alkali metal may be Li, Na, K, Rb, Cs or Fr.
  • the alkaline earth metal may be Be, Mg, Ca, Sr or Ba.
  • the lanthanide metal may be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or Lu.
  • the actinium group metal may be 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or Lr.
  • the transition metal is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Lu, Hf, Ta, It may be W, Re, Os, Ir, Pt, Au, Hg, Lr, Rf, Db, Sg, Bh, Hs, Mt, Ds, Rg or Cn.
  • the post-transition metal may be Al, Si, P, S, Ga, Ge, As, Se, In, Sn, Sb, Te, Tl, Pb, Bi or Po.
  • the partial fluorine-based means that the fluorine atom is introduced only to a part of the side chain attached to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 the all-fluorine system means that a fluorine atom is introduced into all the side branches of the main chain.
  • one having a structure of-(-CF 2 -CF 2- ) n -like PTFE is an all fluorine system, and one having a structure of-(-CH2-CF2-) n -like PVDF is partially. It can be called fluorine-based. Or in the case of copolymers of two or more polymers, when one or more of the polymers used in the copolymer is used in the copolymer simultaneously with a polymer containing fluorine atoms and not containing fluorine atoms, can see.
  • the block copolymer is polystyrene (PS); Polyisoprene (PI); Polyalkylenes; Polyalkyleneoxides; Polyalkyl (meth) acrylates; Poly 2-vinylpyridine (P2VP); Poly 4-vinylpyridine (P4VP); Polyacrylic acid (PAA); Polyalkylacrylic acid; Polydialkylsiloxanes; Polyacrylamide (PAM); Polycaprolactone (PCL); Polylactic acid (PLA);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actic glycolic acid (poly (lactic-co-glycolic acid) (PLGA)).
  •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n anode; A cathode provided opposite the anode; And an electrolyte membrane provid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wherei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comprises a cathode; Anode; And an electrolyte membrane position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wherein the electrolyte membrane i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 Membrane-electrode assembly is an electrode (cathode and anode) in which the electrochemical catalytic reaction between fuel and air occurs and a polymer membrane in which hydrogen ions are transferred.
  • the electrode (cathode and an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are bonded together. It is a single unitary unit.
  •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form in which the catalyst layer of the anode and the catalyst layer of the cathode are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anode electrode may include an anode catalyst layer and an anode gas diffusion layer.
  • the anode gas diffusion layer may again include an anode microporous layer and an anode electrode substrate.
  • the cathode electrode may include a cathode catalyst layer and a cathode gas diffusion layer.
  • the cathode gas diffus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athode microporous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substrate.
  •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electricity generation of a fuel cell.
  • the most basic unit for generating electricity i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hich is an electrolyte membrane (M)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M). It consists of an anode (A) and a cathode (C) electro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An oxidation reaction of hydrogen or fuel F such as hydrocarbons such as methanol and butane occurs at an anode (A) electrode to generate hydrogen ions (H + ) and electrons (e ⁇ ).
  •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is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which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membrane 1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ovided.
  • the anode electrode is composed of the anode catalyst layer 20 and the anode gas diffusion layer 50
  • the anode gas diffusion layer 50 is composed of the anode microporous layer 30 and the anode electrode substrate 40 again.
  • the anode gas diffusion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anode catalyst lay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 the cathode electrode is composed of the cathode catalyst layer 21 and the cathode gas diffusion layer 51, and the cathode gas diffusion layer 51 is composed of the cathode microporous layer 31 and the cathode electrode substrate 41.
  • the cathode gas diffusion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cathode catalyst layer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 the catalyst layer of the anode electrode is where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fuel occurs, the catalys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tinum, ruthenium, osmium, platinum-ruthenium alloy, platinum-osmium alloy, platinum-palladium alloy and platinum-transition metal alloy. Can be used.
  • the catalyst layer of the cathode electrode is where the reduction reaction of the oxidant occurs, platinum or platinum-transition metal alloy may be preferably used as a catalyst.
  • the catalysts can be used on their own as well as supported on a carbon-based carrier.
  • the introduction of the catalyst layer may be carried out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catalyst ink may be directly coated on the electrolyte membrane or coated on the gas diffusion layer to form the catalyst layer.
  • the coating method of the catalyst in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ray coating, tape casting, screen printing, blade coating, die coating or spin coating may be used.
  • Catalytic inks can typically consist of a catalyst, a polymer ionomer, and a solvent.
  • the gas diffusion layer serves as a passage for the reaction gas and water together with a role as a current conductor, and has a porous structure. Therefore, the gas diffusion layer may include a conductive substrate. As the conductive substrate, carbon paper, carbon cloth, or carbon felt may be preferably used.
  • the gas diffusio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microporous layer between the catalyst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The microporous layer may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in low-humidity conditions, and serves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of the gas diffusion layer so that the electrolyte membrane is in a sufficient wet state.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fuel cell including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
  • 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stack including a bipolar plate interposed between two or more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 fuel supply unit supplying fuel to the stack; And it provides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an oxidant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oxidant to the stack.
  • the fuel cell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using the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 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
  • it may be prepared by configuring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and a bipolar plate (bipolar plate) prepared above.
  • the fuel cell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stack, a fuel supply unit and an oxidant supply unit.
  •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fuel cell, in which the fuel cell includes a stack 60, an oxidant supply unit 70, and a fuel supply unit 80.
  • the stack 60 includes one or two or mor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two or more separators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wo or mor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are included.
  • the separator serves to prevent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ro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and to transfer fuel and oxidant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the oxidant supply unit 70 serves to supply the oxidant to the stack 60.
  • Oxygen is typically used as the oxidizing agent, and may be used by injecting oxygen or air into the pump 70.
  • the fuel supply unit 80 serves to supply fuel to the stack 60, and to the fuel tank 81 storing fuel and the pump 82 supplying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81 to the stack 60.
  • fuel hydrogen or hydrocarbon fuel in gas or liquid state may be used.
  • hydrocarbon fuels include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or natural gas.
  • the fuel cell may be a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 direct liquid fuel cell, a direct methanol fuel cell, a direct formic acid fuel cell, a direct ethanol fuel cell, or a direct dimethyl ether fuel cell.
  •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a material of various materials, or may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preparing other materials.
  • a sulfonate compound (0.001 m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nthesized with 1,4-biphenol (1,4-Biphenol) (0.001 mol) was polymerized at 140 ° C. for 4 hours at 175 ° C. for 15 hours.
  • Methyl sulfoxide (DMSO) was used as a solvent, and then polymerized. After cooling sufficiently at room temperature, a secondary monomer (0.0001 mo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addition of toluene and dimethyl sulfoxide (DMSO). It reacted and superposed
  • the synthesized resin was coated with a 10 wt% solution (solvent DMSO) solution. It was dried in an oven at 100 degrees for 24 hours. After immersing the ion transfer membrane in 1M sulfuric acid (H 2 SO 4 ) solution for 24 hours at 80 degrees, rinsed with distilled water (DI water) several times, the ion conductivity was measured. The counterion of sulfonic acid was substituted for H + instead of K + .
  • 1,4-biphenol (1,4-Biphenol) (0.001 mol) and sulfonate tetrafluorine monomer (0.001 mol) were polymerized at 140 degrees for 4 hours and 175 degrees for 15 hours to solvent dimethyl sulfoxide (DMSO). After the polymerization, the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a secondary monomer (0.0001 mol) was added thereto, and toluene and dimethyl sulfoxide (DMSO) were added at 140 degrees for 4 hours and 175 degrees. It reacted for time and superposed
  • DMSO solvent dimethyl sulfoxide
  • the ion-exchange resin was polymerized using the monomer which does not contain a novel monomer and has a sulfonic acid group attached directly to the main chain. Using the polymerized resin, an ion exchang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 Table 1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H + ion conductivity of the prepared ion exchange membrane. (25 degrees, 100% humidification con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본 명세서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2013년 6월 14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3-006854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고체 고분자형 연료전지(이하, 경우에 따라 「연료전지」라고 한다)는 연료 가스(예컨대, 수소를 들 수 있다)와 산소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전시키는 발전 장치로, 차세대 에너지의 하나로서 전기 기기 산업이나 자동차 산업 등의 분야에서 크게 기대되고 있다. 연료 전지는 2개의 촉매층과, 이들 2개의 촉매층에 끼워진 고분자 전해질막을 기본 단위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인 연료전지로서, 수소를 연료 가스로서 이용하는 연료전지의 발전 메커니즘을 간단히 설명하면, 한쪽의 촉매층에서 수소가 이온화되어 수소 이온이 생성되고, 생성된 수소 이온이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해 다른 쪽의 촉매층에 전도(이온전도)되며, 여기서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형성한다. 이때, 2개의 촉매층을 외부 회로에 접속하고 있으면, 전류가 흘러 외부 회로에 전력이 공급된다.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는, 고분자 전해질막 중에 있는 친수성 채널을 통해 물의 이동과 함께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발현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이온 전도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습윤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 메커니즘에 의해,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연료 전지의 기동·정지에 따라 그의 습윤 상태가 변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분자 전해질막의 습윤 상태가 변화되면, 고분자 전해질막은 흡수·건조에 의해 팽윤과 수축이 교대로 생기게 되어 고분자 전해질막과 촉매층의 계면이 미시적으로 파괴되는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고장으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는, 흡수 건조에 따르는 팽윤 수축(흡수 치수 변화)을 보다 저감할 수 있을 정도의 적은 흡수율로 효율적으로 이온 전도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 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A1 내지 A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이고,
상기 R1은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L은 O, S 및 S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기이고,
상기 Z1 내지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R2는 주기율표상 1족의 원소 중 하나이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p는 1 이상의 정수이며,
{(n × p) + (m × p)}는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다.
본 명세서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에 대향하여 구비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둘 이상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소수성 상분리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분리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친수성 채널을 효율적으로 고분자 전해질막 중에 형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낮은 IEC(ion exchange capacity)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는 내구성 및 효율이 우수하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전해질막
20, 21: 촉매층
30, 31: 미세 기공층
40, 41: 전극 기재
50, 51: 기체확산층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 탱크
82: 펌프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상기 L은 S, O 또는 SO2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1은 수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2는 H, Na 또는 K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R2는 이온결합으로 인접한 산소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L은 -O-, -S-, 또는 -SO2- 의 연결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상기 Z1 내지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F; Cl; Br; 및 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의 상기 Z1 내지 Z4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F, Cl, Br, I)이면, 전자를 잘 끌어 수소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분자 전해질막의 구조를 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Z1 내지 Z4가 불소인 경우, 상기 장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n은 0 이상 5 이하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m은 0 이상 5 이하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n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m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p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p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2 이상의 괄호 내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체인(chain)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상분리 현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체인은 고분자 전해질막의 수소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탄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체인(chain)의 {(n × p) + (m × p)}가 20을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 전해질막에서 친수성 블록이 과다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화학식 1의 상기 {(n × p) + (m × p)}가 1 이상 20 이하인 경우, 적절한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상기 {(n × p) + (m × p)}은 3 이상 10 이하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1은 불소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2는 불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3는 불소이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A4는 불소이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2
[화학식 2-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3
[화학식 2-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4
본 명세서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에 단량체로 포함되거나, 첨가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중 기존의 불소계 전해질막은 가격이 비싸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탄화수소계 전해질막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전해질막은 친수성과 소수성의 상분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블록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탄화수소계 블록 고분자에 있어서, 주사슬과 술폰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상분리가 어렵다. 그러나,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방향족기인 페닐기와 술폰기 사이에 할로겐기, 구체적으로 불소를 포함하는 연결기, 특히 불소를 포함하는 지방족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향상된 상분리성을 갖는 전해질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고분자 내에 중합된 단량체인 경우,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의 호모 중합체일 수도 있고, 그외 추가의 공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공단량체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공단량체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의 예로는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또는 이들의 염기를 구성하는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이외에, 다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과 함께, 4,4'-디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 및 3,5-비스(4-플루오로벤조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3,5-bis(4-fluorobenzoyl)phenyl(4-fluorophenyl)methanone)이 중합된 고분자일 수 있다. 여기에, 하이드로퀴논 술폰산 칼륨염과 같은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과 함께, 4,4'-디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 및 3,5-비스(4-플루오로벤조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3,5-bis(4-fluorobenzoyl)phenyl(4-fluorophenyl)methanone)이 중합된 고분자에, 다시 4,4'-디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 9,9-비스(히드록시페닐)플루오린(9,9-bis(hydroxyphenyl)fluorine) 및 3,5-비스(4-플루오로벤조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3,5-bis(4-fluorobenzoyl)phenyl(4-fluorophenyl)-methanone)을 넣고 반응시켜 얻은 멀티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가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이외에 추가의 공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고분자 중 상기 추가의 공단량체의 함량은 0 중량% 초과 9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고분자 내의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과 추가의 공단량체의 함량은 적용하고자 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 막에 요구되는 적정한 IEC (ion exchange capacity) 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연료전지용 분리막 제조를 위한 고분자 합성의 경우, IEC (ion exchange capacity) meq./g = mmol/g의 값을 계산하여 고분자를 디자인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다르지만, 0.5 ≤ IEC ≤ 3 의 범위 내가 되도록 고분자 내의 단량체 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동일한 이온전도도 수치를 나타내면서 낮은 IEC 값을 갖는 전해질막을 디자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수만에서 수백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만에서 100만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는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는 예컨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사용하여 상기 단량체의 F가 반응하여 HF 또는 HCl이 빠져나오면서 결합하게 되는 축중합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페닐기의 1, 3 위치의 불소가 떨어지면서,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경우, 하기의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5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A1, A4, R1, R2, Z1 내지 Z4, n, m 및 p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의 정의와 같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단량체로서 고분자의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2-1 내지 2-3 중 1,3 위치의 불소가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떨어지면서 반복단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페닐기에 치환된 불소는 원자를 끄는 성질로 인하여 수소이온이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에 용매를 가하여 고분자 용액을 만든 후, 용매 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막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산처리를 하여 SO3M 기를 SO3H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고분자 전해질막에 첨가제로 첨가되는 경우, 전해질막 내의 함량 범위는 10% 초과 70% 미만이다. 10% 이하인 경우에는 이온 전도도 효과가 미미하고, 70% 이상인 경우에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과다하여 기계적 강도가 떨어져 멤브레인으로 적용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 첨가제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멤브레인으로 적용하는데에 적절한 이온 전도도 효과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고분자 전해질막에 첨가제로서 첨가되는 경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이들의 산 또는 이들의 염기 중 1 이상의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는 전체 고분자의 20 몰% 내지 40 몰% 포함된다. 상기 범위 내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는 기계적 강도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 및 IEC(ion exchange capacity)가 최종 적용되는 연료전지의 용도에 따라, 또한 고분자 전해질막에 첨가되는 재료, 예컨대 고분자에 포함되는 단량체 또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연료전지에 적용시, 0.5 ≤ IEC ≤ 3, 0.5 ≤ IEC ≤ 2.5로 설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종래의 것과 동등 또는 우수한 이온전도도 수치를 나타내면서, 낮은 IEC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0.03 s/cm 이상 0.2 s/cm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IEC 값은 0.5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상기의 단위로 고분자 전해질 막에 포함되는 경우에, 고분자의 주쇄에 SO3R2 가 직접적으로 결합된 경우와 비교하여, p 괄호 내의 체인(chain)으로 연결되어, SO3R2끼리 상분리(phase seperation)가 용이하여, 고분자의 이온 전도도가 높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의 재료 또는 방법이 이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두께가 수 마이크론에서 수백 마이크론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형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친수성 블록"은 작용기로 이온 교환기를 갖는 블록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작용기는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및 ―PO3 2-2M+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M은 금속성 원소일 수 있다. 즉, 작용기는 친수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블록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0 (g/mol)이고, 소수성 블록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이온 교환기를 갖는 블록"이란, 해당 블록을 구성하는 구조 단위 1개당 있는 이온 교환기수로 나타내어 평균 0.5개 이상 포함되어 있는 블록인 것을 의미하고, 구조 단위 1개당 평균 1.0개 이상의 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으면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소수성 블록"은 이온 교환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상기 고분자 블록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이온 교환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블록"이란, 해당 블록을 구성하는 구조 단위 1개당 있는 이온 교환기수로 나타내어 평균 0.1개 미만인 블록인 것을 의미하고, 평균 0.05개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이온 교환기를 전혀 갖지 않는 블록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블록형 공중합체"란,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이 주쇄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공중합 양식의 것에 더하여, 한쪽의 블록이 주쇄 구조를 형성하고 다른 쪽의 블록이 측쇄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그래프트 중합의 공중합 양식의 공중합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는 상술한 블록형 공중합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소계 원소를 포함하는 고분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원소를 포함하는 고분자도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작용기는 친수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용기는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및 ―PO3 2-2M+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M은 금속성 원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학식에서 표시되는 O는 산소, N은 질소, S는 황, Si는 규소, H는 수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는 친수성 블록의 주쇄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1의 반복단위의 형태로 친수성 블록의 주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6
[화학식 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7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a는 0 초과의 정수이고,
a'는 0 이상의 정수이며, a : a'는 1000 : 0 내지 5 : 1이고, l은 1 이상 10,000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z는 0 초과의 정수이고,
Z'는 0 이상의 정수이며, z : z'는 1000 :0 내지 5 : 1이고, l'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3 및 4에 있어서, A, D 및 V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1 내지 화학식 3-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고,
[화학식 3-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8
[화학식 3-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09
[화학식 3-3]
[화학식 3-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1
상기 화학식 3-1 내지 3-4에 있어서,
X1은 직접결합이거나, -C(Z5)(Z6)-, -CO-, -O-, -S-, -SO2- 및 -Si(Z5)(Z6)- 중 어느 하나이고,
Z5 및 Z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페닐기 중 어느 하나이며,
S1 및 S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b 및 b'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3 내지 S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c, c', d 및 d'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7 내지 S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e, e', f 및 f'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11은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b"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U는 하기 화학식 4-1 내지 화학식 4-4 및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4-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2
[화학식 4-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3
[화학식 4-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4
[화학식 4-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5
상기 화학식 4-1 내지 4-4에 있어서,
X2는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g 및 g'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h, h', i 및 i'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j 및 j'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며,
k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T1 내지 T9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는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또는 ―PO3 2-2M+ 이며, 상기 M은 금속성 원소이고, 나머지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화학식 3 및 4에 있어서, B는 전불소계 화합물 또는 부분불소계 화합물이거나, 하기 화학식 5-1 내지 화학식 5-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5-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6
[화학식 5-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7
[화학식 5-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8
상기 화학식 5-1 내지 5-3에 있어서,
X3 내지 X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1은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1 내지 E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q, r 및 r'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고,
s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며,
X6은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2는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5 및 E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t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t'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X7은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3은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7 및 E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u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u'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W는 화학식 3에서는 하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것이고, 화학식 4에서는 하기 화학식 6-2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6-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19
[화학식 6-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0
상기 화학식 6-1에 있어서, o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정수이며, A 및 U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의 A 및 U의 정의와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6-2에 있어서, o'는 1 이상 100,000 이하의 정수이며, D 및 V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2의 D 및 V의 정의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1은 하기 화학식 3-1-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1-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1
상기 화학식 3-1-1에 있어서, X1, S1, S2, b 및 b'는 상기 화학식 3-1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2는 하기 화학식 3-2-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2-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2
상기 화학식 3-2-1에 있어서, S3 내지 S6, c, c' d 및 d'는 상기 화학식 3-2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3은 하기 화학식 3-3-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3-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3
상기 화학식 3-3-1에 있어서, S7 내지 S10, e, e' f 및 f'는 상기 화학식 1-3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 및 4의 상기 A, D 및 V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5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R3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니트로기(―NO2)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 및 4의 A, C 및 V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6
또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7
일 수 있으며, 상기 R7 및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니트로기(-NO2)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CF3)이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1은 하기 화학식 4-1-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1-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8
상기 화학식 4-1-1에 있어서, X2, T1, T2, g 및 g'은 상기 화학식 4-1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2는 하기 화학식 4-2-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2-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29
상기 화학식 4-2-1에 있어서, T3 내지 T6, h, h', i 및 i'는 상기 화학식 4-2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3는 하기 화학식 4-3-1 내지 4-3-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3-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0
[화학식 4-3-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1
[화학식 4-3-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2
상기 화학식 4-3-1 내지 화학식 4-3-3에 있어서, T7, T8, j 및 j'는 상기 화학식 4-3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4-4는 하기 화학식 4-4-1 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4-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3
상기 화학식 4-4-1에 있어서, T9 및 k는 상기 화학식 4-4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상기 U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4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Q1 내지 Q1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및 ―PO3 2-2M+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금속성 원소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상기 U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5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Q1 내지 Q1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및 ―PO3 2-2M+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금속성 원소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5-1은 하기 화학식 5-1-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1-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6
상기 화학식 5-1-1에 있어서, X3 내지 X5, Y1, E1 내지 E4, W, q, s, r 및 r'는 상기 화학식 5-1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5-2는 하기 화학식 5-2-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2-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7
상기 화학식 5-2-1에 있어서, X6, Y2, E5, E6, W, t 및 t' 는 상기 화학식 5-2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5-3은 하기 화학식 5-3-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3-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8
상기 화학식 5-3-1에 있어서, X7, Y3, E7, E8, W, u 및 u'는 상기 화학식 5-3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 및 2에 있어서, 상기 B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39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Y1 내지 Y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W는 화학식 3에서는 하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4에서는 하기 6-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이며,
[화학식 6-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0
[화학식 6-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1
상기 화학식 6-1에 있어서, o는 1 이상이고, 10,000 이하인 정수이며, A 및 U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3의 A 및 U의 정의와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6-2에 있어서, o'는 1 이상이고, 100,000 이하인 정수이며, D및 V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4의 D 및 V의 정의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형 공중합체 고분자에서 화학식 3의 블록과 화학식 4의 블록은 교대로(alternating), 그라프트(graft) 형태로 또는 임의로(randomly) 배열될 수 있다. 상기 m은 블록형 공중합체 고분자에서 임의로 배열된 화학식 3의 반복단위 개수의 총합일 수 있다. 상기 n은 블록형 공중합체 고분자에서 임의로 배열된 화학식 2의 반복단위 개수의 총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기 치환기들의 예시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아릴기는 단환식 또는 다환식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6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닐기, 비페닐기, 터페닐기 등의 단환식 방향족 및 나프틸기, 비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테트라세닐기, 크라이세닐기, 플루오레닐기, 아세나프타센닐기, 트리페닐렌기, 플루오란텐(fluoranthene)기 등의 다환식 방향족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레닐기는 치환될 수 있으며, 인접한 치환기들이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레닐기가 치환되는 경우,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3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 고리기는 이종 원소로 O, N 및 S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 고리기로서,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2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테로 고리기의 예로는 티오펜기, 퓨란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티아졸기, 옥사졸기, 옥사디아졸기, 트리아졸기, 피리딜기, 비피리딜기, 피리미딜기, 트리아진기, 트리아졸기, 아크리딜기, 피리다진기, 피라지닐기, 퀴놀리닐기, 퀴나졸린기, 퀴녹살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피리도 피리미디닐기, 피리도 피라지닐기, 피라지노 피라지닐기, 이소퀴놀린기, 인돌기, 카바졸기, 벤조옥사졸기, 벤조이미다졸기, 벤조티아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티오펜기, 디벤조티오펜기, 벤조퓨라닐기, 페난쓰롤린기(phenanthroline), 티아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페노티아지닐기 및 디벤조퓨라닐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및 헵틸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케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스틸베닐기(stylbenyl), 스티레닐기(styrenyl)기 등의 아릴기가 치환된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3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할로겐기의 예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민기는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아민기, 디메틸아민기, 에틸아민기, 디에틸아민기, 페닐아민기, 나프틸아민기, 비페닐아민기, 안트라세닐아민기, 9-메틸-안트라세닐아민기, 디페닐아민기, 페닐나프틸아민기, 디톨릴아민기, 페닐톨릴아민기, 트리페닐아민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아민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6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릴아민기의 예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식의 디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환식의 디아릴아민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환식 및 다환식의 디아릴아민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시클로알킬기; 실릴기; 아릴알케닐기; 아릴기; 붕소기; 알킬아민기; 아랄킬아민기; 아릴아민기; 아릴아민기; 아릴기; 헤테로고리;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및 시아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었거나 또는 어떠한 치환기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치환"이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 즉,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 치환되는 경우, 2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4
는 인접한 치환기와 결합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금속성 원소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란탄족 금속, 악티늄족 금속, 전이 금속 또는 전이후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은 Li, Na, K, Rb, Cs 또는 Fr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Be, Mg, Ca, Sr 또는 Ba일 수 있다.
상기 란탄족 금속은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또는 Lu일 수 있다.
상기 악티늄족 금속은 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또는 Lr일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Lu, Hf, Ta, W, Re, Os, Ir, Pt, Au, Hg, Lr, Rf, Db, Sg, Bh, Hs, Mt, Ds, Rg 또는 Cn일 수 있다.
상기 전이후 금속은 Al, Si, P, S, Ga, Ge, As, Se, In, Sn, Sb, Te, Tl, Pb, Bi 또는 Po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분불소계란 고분자의 주쇄에 붙어있는 곁가지(side chain)의 일부분에만 불소 원자가 도입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불소계란 주쇄의 곁가지 전부에 불소원자가 도입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PTFE와 같이 -(-CF2-CF2-)n- 의 구조를 가지는 것은 전불소계라 할 수 있고, PVDF와 같이 -(-CH2-CF2-)n-의 구조를 가지는 것은 부분불소계라 할 수 있다. 또는 두가지 혹은 그 이상의 고분자의 공중합체의 경우, 공중합체에 이용된 고분자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고분자가 불소 원자를 포함하고,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와 동시에 공중합체에 이용된 경우, 부분 불소계로 볼 수 있다.
이외에, 상기 블록형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PI)); 폴리알킬렌(polyalkylene); 폴리알킬렌옥사이드(polyalkyleneoxide);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polyalkyl(meth)acrylate); 폴리 2-비닐피리딘(poly(2-vinylpyridine)(P2VP)); 폴리 4-비닐피리딘(poly(4-vinylpyridine)(P4VP)); 폴리(메타)아크릴산(polyacrylic acid(PAA)); 폴리알킬(메타)아크릴산 (polyalkylacrylic acid); 폴리디알킬실록산(polydialkylsiloxan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PAM)); 폴리카프로락톤(poly(ε-caprolactone)(PCL));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PLA)); 및 폴리락틱글리콜산(poly(lactic-co-glycolic acid)(PLGA))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하여 막-전극 접합체(MEA)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에 대향하여 구비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막-전극 접합체는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과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질 막은 전술한 본 명세서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막이다.
막-전극 접합체(MEA)는 연료와 공기의 전기화학 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캐소드와 애노드)과 수소 이온의 전달이 일어나는 고분자 막의 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극(캐소드와 애노드)과 전해질막이 접착된 단일의 일체형 유니트(unit)이다.
본 명세서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애노드의 촉매층과 캐소드의 촉매층이 전해질막에 접촉하도록 하는 형태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100 내지 400℃로 열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기체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기체확산층은 다시 애노드 미세 기공층과 애노드 전극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은 캐소드 촉매층과 캐소드 기체확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기체확산층은 다시 캐소드 미세 기공층과 캐소드 전극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막 전극 접합체(MEA)인데, 이는 전해질막(M)과 이 전해질막(M)의 양면에 형성되는 애노드(A) 및 캐소드(C) 전극으로 구성된다.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A) 전극에서는 수소 또는 메탄올,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등의 연료(F)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수소 이온(H+) 및 전자(e-)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M)을 통해 캐소드(C) 전극으로 이동한다. 캐소드(C) 전극에서는 전해질막(M)을 통해 전달된 수소 이온과, 산소와 같은 산화제(O)및 전자가 반응하여 물(W)이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용 막 전극 접합체는 전해질막(10)과, 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을 구비한다.
애노드 전극은 애노드 촉매층(20)과 애노드 기체확산층(50)으로 구성되고, 애노드 기체확산층(50)은 다시 애노드 미세 기공층(30)과 애노드 전극 기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애노드 기체확산층은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구비된다.
캐소드 전극은 캐소드 촉매층(21)과 캐소드 기체확산층(51)으로 구성되고, 캐소드 기체확산층(51)은 다시 캐소드 미세 기공층(31)과 캐소드 전극 기재(41)로 구성된다. 여기서, 캐소드 기체확산층은 캐소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의 촉매층은 연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의 촉매층은 산화제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백금 또는 백금-전이금속 합금이 촉매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계 담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촉매층을 도입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촉매 잉크를 전해질막에 직접적으로 코팅하거나 기체확산층에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촉매 잉크의 코팅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레이 코팅, 테이프 캐스팅, 스크린 프린팅, 블레이드 코팅, 다이 코팅 또는 스핀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 잉크는 대표적으로 촉매, 폴리머 이오노머(polymer ionomer) 및 용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전류전도체로서의 역할과 함께 반응 가스와 물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다공성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기재로는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 천(Carbon cloth) 또는 탄소 펠트(Carbon felt)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체확산층은 촉매층 및 도전성 기재 사이에 미세기공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층은 저가습 조건에서의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기체확산층 밖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양을 적게 하여 전해질막이 충분한 습윤 상태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둘 이상의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연료전지는 본 출원의 막-전극 접합체(MEA)를 사용하여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MEA)와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구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연료전지는 스택,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연료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전지는 스택(60), 산화제 공급부(70) 및 연료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택(60)은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막 전극 접합체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는 막 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 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 공급부(70)는 산화제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산소 또는 공기를 펌프(70)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료 공급부(80)는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81) 및 연료 탱크(81)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펌프(82)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연료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를 들 수 있다.
상기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직접 액체 연료전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직접 개미산 연료전지, 직접 에탄올 연료전지, 또는 직접 디메틸에테르 연료전지 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화합물은 다양한 소재의 재료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다른 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5
상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6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7
1,4-비페놀(1,4-Biphenol) (0.001 mol) 과 합성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0.001 mol)을 140 도에서 4시간 175 도에서 15시간 중합하여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를 솔벤트로 이용하여, 중합하였고, 이 후,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 후, 2차 모노머 (0.0001 mol)를 투입하고, 톨루엔(toluene)과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를 추가하여 140 도 4시간, 175 도 15시간 반응하여 중합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식힌 후, 에탄올에 침전하여, 고분자 수지를 얻을 수 있었다.
합성된 수지를 10wt% 용액 (용매 DMSO) 용액 코팅 하였다. 100도 오븐(oven)에 24시간 건조하였다. 1M 황산(H2SO4) 용액에 80도에서 24시간 동안 이온 전달 분리막을 담근 후, 증류수(DI water)로 여러 번 헹군 후,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술폰산의 짝이온이 K+가 아닌 H+ 치환 되었다.
비교예 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8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49
1,4-비페놀(1,4-Biphenol) (0.001 mol) 과 술포네이트계 테트라 플로린 모노머 (0.001 mol)을 140 도에서 4시간 175 도에서 15시간 중합하여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를 솔벤트로 이용하여, 중합하였고, 이 후, 상온에서 충분히 식힌 후, 2차 모노머 (0.0001 mol)를 투입하고, 톨루엔(toluene)과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를 추가하여 140 도 4시간, 175 도 15시간 반응하여 중합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식힌 후, 에탄올에 침전하여, 고분자 수지를 얻을 수 있었다.
신규 모노머를 포함 하지 않고 주사슬에 바로 술폰산 그룹이 붙어 있는 모노머를 이용하여, 이온 교환 수지를 중합하였다. 중합된 수지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온 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온 교환막은 H+ 이온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5도, 100% 가습 조건)
표 1
실시예 1 비교예 1 나피온 21
H+ 이온 전도도 0.12 0.08 0.10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상기의 단위로 고분자 전해질 막에 포함되는 경우에, 고분자의 주쇄에 SO3R2 에 대응하는 치환기가 직접적으로 결합된 경우와 비교하여, p 괄호 내의 체인(chain)으로 연결된 경우가 고분자의 이온 전도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SO3R2끼리 상분리(phase seperation)가 용이하여 이온 전도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결과로, 본 명세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이 연료 전지의 H+ 이온 전달 분리막 적용에 있어서, 우수한 효율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0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A1 내지 A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기이고,
    상기 R1은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L은 O, S 및 S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기이고,
    상기 Z1 내지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R2는 주기율표상 1족의 원소 중 하나이고,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p는 1 이상의 정수이며,
    {(n × p) + (m × p)}는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Z1 내지 Z4는 각각 독립적으로, F; Cl; Br; 및 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화학식 2-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1
    [화학식 2-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2
    [화학식 2-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3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퍼플루오르술폰산 폴리머, 탄화수소계 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술폰 및 이들의 산 또는 이들의 염기 중 1 이상의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막.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형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블록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0 (g/mol)이고, 소수성 블록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단량체는 친수성 블록의 주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이온 전도도는 0.03 s/cm 이상 0.2 s/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IEC 값은 0.5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전해질막:
    [화학식 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4
    [화학식 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5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a는 0 초과의 정수이고,
    a'는 0 이상의 정수이며, a : a'는 1000 : 0 내지 5 : 1이고, l은 1 이상 10,000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z는 0 초과의 정수이고,
    Z'는 0 이상의 정수이며, z : z'는 1000 :0 내지 5 : 1이고, l'은 1 이상 100,000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3 및 4에 있어서, A, D 및 V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3-1 내지 화학식 3-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고,
    [화학식 3-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6
    [화학식 3-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7
    [화학식 3-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8
    [화학식 3-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59
    상기 화학식 3-1 내지 3-4에 있어서,
    X1은 직접결합이거나, -C(Z5)(Z6)-, -CO-, -O-, -S-, -SO2- 및 -Si(Z5)(Z6)- 중 어느 하나이고,
    Z5 및 Z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 및 페닐기 중 어느 하나이며,
    S1 및 S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b 및 b'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3 내지 S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c, c', d 및 d'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7 내지 S1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e, e', f 및 f'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S11은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b"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U는 하기 화학식 4-1 내지 화학식 4-4 및 상기 술포네이트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단량체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4-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0
    [화학식 4-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1
    [화학식 4-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2
    [화학식 4-4]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3
    상기 화학식 4-1 내지 4-4에 있어서,
    X2는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g 및 g'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h, h', i 및 i'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j 및 j'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며,
    k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T1 내지 T9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는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또는 ―PO3 2-2M+ 이며, 상기 M은 금속성 원소이고, 나머지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상기 화학식 3 및 4에 있어서, B는 전불소계 화합물 또는 부분불소계 화합물이거나, 하기 화학식 5-1 내지 화학식 5-3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5-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4
    [화학식 5-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5
    [화학식 5-3]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6
    상기 화학식 5-1 내지 5-3에 있어서,
    X3 내지 X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1은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1 내지 E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q, r 및 r'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고,
    s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며,
    X6은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2는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5 및 E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며,
    t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t'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X7은 직접결합이거나, -CO- 또는 -SO2-이고,
    Y3은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E7 및 E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고,
    u는 0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u'는 0 이상 4 이하의 정수이며,
    W는 화학식 3에서는 하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것이고, 화학식 4에서는 하기 화학식 6-2로 표시되는 것이며,
    [화학식 6-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7
    [화학식 6-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8
    상기 화학식 6-1에 있어서, o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정수이며, A 및 U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1의 A 및 U의 정의와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6-2에 있어서, o'는 1 이상 100,000 이하의 정수이며, D 및 V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2의 D 및 V의 정의와 동일하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A, D 및 V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69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70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R3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독립적으로 니트로기(-NO2)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C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U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71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Q1 내지 Q11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SO3H, ―SO3 -M+, ―COOH, ―COO-M+, ―PO3H2, ―PO3H-M+ 및 ―PO3 2-2M+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금속성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B는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7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Y1 내지 Y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직접결합 또는 C1 내지 C60의 알킬렌기이고,
    W는 화학식 3에서는 하기 화학식 6-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이고, 화학식 4에서는 하기 6-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이며,
    [화학식 6-1]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73
    [화학식 6-2]
    Figure PCTKR2014005172-appb-I000074
    상기 화학식 6-1에 있어서, o는 1 이상이고, 10,000 이하인 정수이며, A 및 U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3의 A 및 U의 정의와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6-2에 있어서, o'는 1 이상이고, 100,000 이하인 정수이며, D및 V의 정의는 상기 화학식 4의 D 및 V의 정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16. 애노드; 상기 애노드에 대향하여 구비된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막은 청구항 4의 고분자 전해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전극 접합체.
  17. 청구항 16에 따른 둘 이상의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택;
    연료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화제를 상기 스택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PCT/KR2014/005172 2013-06-14 2014-06-12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4200286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11213.9A EP2987795B1 (en) 2013-06-14 2014-06-12 Sulfonate-based compound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JP2016519443A JP6156897B2 (ja) 2013-06-14 2014-06-12 スルホネート系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US14/652,741 US9782767B2 (en) 2013-06-14 2014-06-12 Sulfonate-based compound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47 2013-06-14
KR20130068547 2013-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286A2 true WO2014200286A2 (ko) 2014-12-18
WO2014200286A3 WO2014200286A3 (ko) 2015-04-23

Family

ID=5202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172 WO2014200286A2 (ko) 2013-06-14 2014-06-12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2767B2 (ko)
EP (1) EP2987795B1 (ko)
JP (1) JP6156897B2 (ko)
KR (1) KR101747492B1 (ko)
WO (1) WO2014200286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7424A (zh) * 2015-01-27 2017-09-26 株式会社Lg化学 包含芳环的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聚电解质膜
JP2018502053A (ja) * 2015-01-30 2018-01-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芳香族環を含む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JP2018509488A (ja) * 2015-01-26 2018-04-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芳香族環を含む化合物、これを含む高分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JP2019516809A (ja) * 2016-03-29 2019-06-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ブロック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高分子電解質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3435B1 (en) 2005-03-30 2012-04-10 Tracer Detection Technology Corp. Methods and articles for identifying objects using encapsulated perfluorocarbon tracers
KR101947605B1 (ko) * 2015-01-26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할로겐화 화합물,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1839184B1 (ko) * 2015-01-27 2018-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2068872B1 (ko) * 2015-09-22 2020-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KR102059226B1 (ko) * 2015-12-22 2019-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블록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2026510B1 (ko) * 2016-03-31 2019-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해질막
KR102063048B1 (ko) * 2016-05-24 202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 전지 또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분리막용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55159B (zh) * 2016-10-14 2020-11-20 徐州工程学院 一种含硅主链芳醚腈共聚物及其制备方法
KR102088080B1 (ko) * 2016-11-04 2020-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2186093B1 (ko) * 2016-11-07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팅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CN111164132B (zh) * 2017-11-17 2022-12-16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和包含聚合物的聚合物隔膜
KR102481620B1 (ko) * 2017-11-28 2022-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755B1 (ko) * 2017-11-28 2022-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
CN108878936B (zh) * 2018-07-03 2021-02-19 大连理工大学 一种疏水侧链修饰烷基磺化聚苯并咪唑两性膜及其制备方法
WO2023146885A1 (en) * 2022-01-25 2023-08-03 1S1 Energy, Inc. Functionalized polybenzimidazole polymers for ionomer and proton exchange membrane applications
KR20230143045A (ko) * 2022-04-04 2023-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신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3769A (en) 1949-01-04 1951-11-06 Union Carbide & Carbon Corp Herbicide
NL275658A (ko) 1961-03-10
WO1999067304A1 (en) * 1998-06-25 1999-12-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omatic polymers with pendant fluorinated ionic groups
JP4233208B2 (ja) * 2000-08-11 2009-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
FR2843399B1 (fr) * 2002-08-06 2004-09-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olymeres de type polyphenyle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membranes et dispositif de pile a combustible comprenant ces membranes
US7488549B2 (en) * 2003-05-03 2009-02-10 Korea Chungang Educational Foundation Proton conducting polymer, polymer membrane comprising the sam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ymer membrane, and fuel cell using the polymer membrane
EP1687377A4 (en) * 2003-11-20 2009-05-06 Virginia Tech Intell Prop MULTIPLOCK COPOLYMERS WITH HYDROPHIL HYDROPHOBIC SEGMENTS FOR PROTONATE EXCHANGE MEMBRANES
CA2562124A1 (en) * 2004-04-06 2005-10-2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arylene polymer and use thereof
US7473714B2 (en) * 2004-05-03 2009-01-06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aterials for use as proton conducting membranes for fuel cells
KR100657740B1 (ko) * 2004-12-22 2006-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브랜치된 술폰화 멀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전해질막
DE102006016258A1 (de) * 2005-05-14 2007-02-15 Universität Stuttgart Herstellung monomerer, oligomerer und polymerer Phosphon-säureester, Phosphonsäuren und Sulfonsäuren durch nucleophile aromatische Substitution
WO2007041415A2 (en) * 2005-09-30 2007-04-1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olymers for use in fuel cell components
JP2007149653A (ja) * 2005-10-26 2007-06-14 Sumitomo Chemical Co Ltd 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用電解質及び、それを使用した直接メタノール型燃料電池
US20080004443A1 (en) * 2006-07-03 2008-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Sulfonated polyaryletherketone-block-polyethersulfone copolymers
KR100969475B1 (ko) * 2007-10-16 2010-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 종류의 발수성을 갖는 연료전지용 캐소드 전극 및 그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US20090163692A1 (en) * 2007-12-21 2009-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Aromatic polyethers
US7985805B2 (en) * 2008-05-09 2011-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lyelectrolyte membranes comprised of blends of PFSA and sulfonated PFCB polymers
KR101403723B1 (ko) * 2011-12-02 2014-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790323B2 (en) 2012-08-02 2017-10-17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Polymer conductor for lithium-ion batteri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987795A4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9488A (ja) * 2015-01-26 2018-04-0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芳香族環を含む化合物、これを含む高分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US10418656B2 (en) 2015-01-26 2019-09-17 Lg Chem, Ltd. Compound comprising aromatic ring having sulfonamide and ion transport group, polymer comprising same, and poly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CN107207424A (zh) * 2015-01-27 2017-09-26 株式会社Lg化学 包含芳环的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聚电解质膜
EP3252035A4 (en) * 2015-01-27 2018-08-01 LG Chem, Ltd. Compound comprising aromatic ring, and poly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US10428016B2 (en) 2015-01-27 2019-10-01 Lg Chem, Ltd. Compound comprising aromatic ring, and poly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JP2018502053A (ja) * 2015-01-30 2018-01-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芳香族環を含む化合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高分子電解質膜
EP3252036A4 (en) * 2015-01-30 2018-06-20 LG Chem, Ltd. Compound comprising aromatic ring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using same
JP2019516809A (ja) * 2016-03-29 2019-06-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ブロック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高分子電解質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6897B2 (ja) 2017-07-05
EP2987795A4 (en) 2017-01-25
KR20140145997A (ko) 2014-12-24
WO2014200286A3 (ko) 2015-04-23
JP2016527339A (ja) 2016-09-08
US9782767B2 (en) 2017-10-10
EP2987795A2 (en) 2016-02-24
KR101747492B1 (ko) 2017-06-27
EP2987795B1 (en) 2019-11-13
US20150328630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0286A2 (ko)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6089153A1 (ko) 고분자 전해질막
WO2014073934A1 (ko)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WO2016099218A2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3081437A1 (ko)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16089155A1 (ko) 고분자 전해질막
WO2014081235A1 (ko) 2개 이상의 술폰화 방향족기로 치환된 페닐 펜던트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WO2017183806A1 (ko)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8236100A1 (ko) 유기 태양 전지
WO2021112420A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42067A1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8199458A1 (ko)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WO2019004781A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WO2015190762A2 (ko) 축합고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4181986A1 (ko)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WO2015016626A1 (ko)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6068606A1 (ko) 고분자 중합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6068605A1 (ko) 브랜처용 불소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9225989A1 (ko)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유기 발광 소자
WO2018164353A1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6089156A2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WO2016175573A2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WO2019098771A1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리막
WO2016089123A1 (ko)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WO2016144097A2 (ko)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12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52741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112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1944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