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73420A2 -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73420A2
WO2012173420A2 PCT/KR2012/004719 KR2012004719W WO2012173420A2 WO 2012173420 A2 WO2012173420 A2 WO 2012173420A2 KR 2012004719 W KR2012004719 W KR 2012004719W WO 2012173420 A2 WO2012173420 A2 WO 201217342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ea
intaglio
wiring electrode
touch screen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7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73420A3 (ko
Inventor
장경현
최형배
유성진
박기원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JP201451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53518B2/ja
Priority to EP12800960.2A priority patent/EP2722734B1/en
Priority to US14/125,566 priority patent/US9395830B2/en
Priority to CN201280002663.6A priority patent/CN103221909B/zh
Publication of WO201217342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420A2/ko
Publication of WO201217342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7342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5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using a substrate provided with a shape pattern, e.g. grooves, banks, resist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36Recesses or grooves i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45Locally raised area or protrusion of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08Male die used for patterning, punching or trans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으로서,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극에 관한 것이며, 또한 배선전극이 형성되는 기재의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형성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외부의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에 관한 것으로, 만곡 영역을 포함하거나 미소돌기들을 포함하는 배선전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형(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다.
저항막 방식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두 장의 기판으로 구성되며, 손가락이나 펜을 통해 압력을 주면 그 부위의 기판이 서로 달라붙는 것에 의해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저항막 방식은 조작의 불편함과, 위치 인식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점차로 사용이 저하되는 추세이다.
정전용량 방식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신호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신호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투과성이 좋으며 반응시간이 빠른 장점이 있어, 오늘날 터치 스크린 패널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감지패턴들이 스크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신호감지패턴에 의한 터치신호를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된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외부 구동회로에 전달하기 배선전극이 스크린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구비되는 배선전극은 도 1(도 1은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을 통해 설명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감지패턴(1,2)이 기재(10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신호감지패턴(1,2)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미도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10,30,50)을 구비한다. 배선전극은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감지패턴(1,2)와 접촉하는 접촉부(10)와,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부(50) 및 상기 접촉부(10)와 본딩부(50)를 연결하는 신호전송부(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선전극은 기재(100)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기재(100)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음각 영역에 대응하는 양각의 몰드를 사용하여 이형을 시행하는데, 종래의 배선전극의 신호전송부(30)은 꺾임 영역(11)이 형성됨이 일반적인데, 이형을 위한 몰드에도 꺾임 영역(11)에 대응하는 양각이 구비되므로 이형 중 양각이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각 영역에는 단순히 음각의 홈이 형성되고 여기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는 것에 의해 배선전극이 형성되므로, 충진된 전도성 재료가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공정 중에 쉽게 이탈되어 신호감지패턴(1,2)에서 감지된 터치 신호가 정확하게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재에 적층 형성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의 배선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각의 몰드가 이형 중 부러짐을 방지하며, 상기 음각 영역에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전도성 재료(paste)를 충진하는 경우 충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을 제공함을 제1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전극 형성을 위한 기재의 음각 영역에서 전도성 재료가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배선전극을 제공함을 제2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으로서,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전도성 재료가 음각 영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상기 신호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본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만곡 영역이 형성된 신호전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딩부의 선폭은 상기 신호전송부의 선폭보다 넓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 본딩부 및 신호전송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딩부, 접촉부 및 신호전송부의 음각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도성 재료가 상기 음각 영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딩부를 형성하는 음각 영역 내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의 넓이는 상기 신호전송부를 형성하는 음각 영역 내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의 넓이보다 넓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으로서,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재료가 상기 음각 영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음각 영역의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상기 신호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본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본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딩부의 선폭은 상기 신호전송부의 선폭보다 넓으며, 상기 본딩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 넓이는 상기 신호전송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 넓이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한 효과>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으로부터 파악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에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이 형성되게 하여 배선전극에 꺾임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재에 적층 형성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의 배선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각의 몰드가 이형 중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음각 영역에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전도성 재료(paste)를 충진하는 경우 직선형의 꺽임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전도성 재료의 충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전극에 복수개의 미소돌기가 포함되도록 하여 배선전극 형성을 위한 기재의 음각 영역에서 전도성 재료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감지된 신호를 터치 스크린 패드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외부 구동회로로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선전극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도 8은 배선전극에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의 충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바로 연결될 수도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기재(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여기의 기재는 기판과 동일한 의미이며 기재는 투명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등 소재의 제한없이 사용됨이 가능하다.
배선전극은 신호감지패턴(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10), 외부 구동회로(미도시)로 신호감지패턴(1)에서 감지된 터치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본딩부(50) 및 상기 접촉부(10)와 본딩부(50)를 연결하는 신호전송부(30)을 포함한다.
접촉부(10)는 신호감지패턴(1)의 일단에 접촉되는 패드로서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본딩부(50)는 외부 구동회로(미도시)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기재(100)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딩부(50)의 선폭은 신호전송부(30)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딩부(50)의 선폭을 신호전송부(30)의 선폭보다 넓게 형성하는 이유는 본딩부(50)에 접속되는 접속장치(미도시)가 보다 안정적으로 본딩부(5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접속장치에는 본딩부(50)에 대응하는 전도성 연결라인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도성 연결라인과 본딩부(50)가 신호전송부(30)과 같이 미세한 선폭을 갖는 경우보다는 다소 넓은 선폭을 갖는 경우에서 더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신호전송부(30)는 상술한 접촉부(10)와 본딩부(50)를 연결하는 라인(line)으로 접촉부(10)와 본딩부(50)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신호전송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12)이 포함되는데, 만곡 영역(12)은 신호전송부(30)을 완만하게 굴곡하여 형성되는 영역이다. 만곡 영역(12)에서 신호전송부(30)의 굴곡정도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신호전송부(30)에 만곡 영역(12)을 형성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접촉부(10)와 신호전송부(30) 및 본딩부(50)를 포함하는 배선전극은 기재(100)의 일면에 수지층(90)을 적층하고, 여기의 수지층(90)에 음각 영역(92)을 형성하여 전도성 재료(93)를 충진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기재(100)의 수지층(90)에 배선전극을 형성할 음각 영역(92)을 가공하는데, 음각 영역(92)을 형성하기 위해서 음각 영역에 대응하는 양각의 몰드(80)를 사용하여 이형을 시행하게 된다. 이 때, 미세한 라인의 신호전송부(30)이 형성되는 음각 영역(92)을 수지층(90)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라인의 양각의 몰드를 사용하여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신호전송부(30)에 직각으로 꺾여있는 꺾임 영역(도 1의 11참조)이 형성되어 이형 중 양각의 몰드(80)의 양각 부분이 쉽게 부러졌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전극에는 신호전송부(30)에 꺾임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12)이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신호전송부(30)에 만곡 영역(12)을 형성하는 다른 이유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배선전극이 직선형으로 꺽인 형태인 경우 전도성 재료가 음각에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 (B)는 배선전극에 만곡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 전도성 재료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5의 (A)의 경우, 신호전송부(30)에는 전도성 재료가 전도성 재료가 충진된다. 그러나, 신호전송부(30)가 직선형으로 꺽여져 있기 때문에 신호전송부(30)의 일부 영역에서는 전도성 재료가 미충진 되는 영역(32)이 발생한다. 따라서, (A)의 경우에는 전도성 재료의 충진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 채택한 구조인 배선전극에 만곡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배선전극에 꺽임부가 없기 때문에 전도성 재료가 신호전송부(30)에 완전하게 충진되며, 미충진 영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선전극의 배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미소돌기(32,5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배선전극의 신호전송부(30) 및 본딩부(50)에는 각각 복수개의 미소돌기(32,52)가 포함된다. 미소돌기(32,52)는 상술한 배선전극의 형성을 위한 음각 영역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에 적층된 수지층(도 3의 90참조) 일부가 음각 영역 내부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미소돌기(32,52)는 상술한 몰드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몰드의 양각에 의해 수지층에 형성되는 음각 영역과 동시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몰드의 양각부에 상기 미소돌기(32,52)의 형성을 위한 음각의 홈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수지층에 음각 영역 및 상기 음각 영역의 내부에 돌출된 형태의 미소돌기(32,52)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소돌기(32,52)를 형성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 있듯이, 배선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재(100)의 수지층(도 3 90 참조)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한다. 이 때,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페이스트 상태로 음각 영역에 충진되고 경화과정을 거쳐 배선전극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런데, 배선전극의 신호전송부(30) 및 본딩부(50)의 선폭은 신호감지패턴을 형성하는 그리드(grid)의 선폭보다 그 선폭이 넓어 충진된 전도성 재료가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기재(100)의 세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스퀴징 과정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기재의 수지층(도 3 참조)의 음각 영역에 충진된 전도성 재료가 음각 영역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선전극의 신호전송부(30)과 본딩부(50)에 복수개의 미소돌기(32,52)를 형성하여 전도성 재료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배선전극부의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32,52)를 형성하게 되면, 신호감지패턴의 그리드보다 넓은 선폭을 갖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전도성 재료의 이탈현상이 방지된다. 이는 복수개의 미소돌기(32,52)로 인해 신호전송부(30) 및 본딩부(50)의 선폭이 축소되는 효과와 전도성 재료가 미소돌기(32,52)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효과에 의해 전도성 재료의 이탈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음각에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의 두께에 대한 설명을 도 5를 이용하여 개시한다.
도 8의 (A)는 배선전극의 미세돌기와 음각에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의 충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의 (B)는 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소돌기(52)의 높이와, 음각에 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형성된 전극은 그 높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미소돌기(52)의 높이보다 전극의 높이가 낮게 되도록 전도성 재료가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본딩부(50)에 충진되는 전도성 재료는 미소돌기(52)와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서 전극 충진안정성 및 전도성 재료가 본딩부(50)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8은 도 7에서 특히 본딩부에 형성된 미소돌기(52)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 7의 신호전송부(30)와 여기에 형성된 미소돌기(32)에 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설명임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미소돌기(32,52)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미소돌기(32,52)의 단면 형상을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반타원형, 반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재료인 전도성 재료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향상시켜 충진 안정성을 확보하고 전도성 재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소돌기는 형상구현이 용이한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신호전송부(3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미소돌기(32)는 신호전송부(30)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본딩부(5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미소돌기(52)도 신호전송부(30)에 구비되는 미소돌기(32)와 같이 그 형상 및 배열 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딩부(50)의 선폭이 신호전송부(30)의 선폭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본딩부(50)에 형성되는 미소돌기(52)가 신호전송부(32)의 미소돌기(32)보다 더 넓은 수평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된 수평 단면적이란, 미소돌기를 수지층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에 나타나는 미소돌기의 수평 절단 면적을 의미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과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만곡 영역(12)은 배선전극의 신호전송부(30)에 형성되며, 미소돌기(32,52)는 신호전송부(30) 및 본딩부(50)에 각각 형성된다.
즉,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의 특징을 합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이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적 범주에 속한다.

Claims (14)

  1.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으로서,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만곡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상기 신호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상기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본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만곡 영역이 형성된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선폭은 상기 신호전송부의 선폭보다 넓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본딩부 및 신호전송부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 접촉부 및 신호전송부의 음각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를 형성하는 음각 영역 내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의 넓이는 상기 신호전송부를 형성하는 음각 영역 내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의 넓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11. 터치 스크린 패널의 신호감지패턴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외부 구동회로로 전송하는 배선전극으로서,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수지층에 음각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 영역에 전도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되며, 상기 음각 영역의 내부에 복수개의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소돌기는
    상기 음각 영역 내부에서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은
    상기 신호감지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
    상기 외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본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본딩부를 연결하며 상기 미소돌기를 포함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부의 선폭은 상기 신호전송부의 선폭보다 넓으며, 상기 본딩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 넓이는 상기 신호전송부의 미소돌기의 수평 단면 넓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극.
PCT/KR2012/004719 2011-06-15 2012-06-15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WO2012173420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15757A JP6153518B2 (ja) 2011-06-15 2012-06-15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用配線電極
EP12800960.2A EP2722734B1 (en) 2011-06-15 2012-06-15 Wired electrode for a touch screen panel
US14/125,566 US9395830B2 (en) 2011-06-15 2012-06-15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CN201280002663.6A CN103221909B (zh) 2011-06-15 2012-06-15 触摸屏板的引线电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92A KR101797651B1 (ko) 2011-06-15 2011-06-15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2011-0057992 2011-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420A2 true WO2012173420A2 (ko) 2012-12-20
WO2012173420A3 WO2012173420A3 (ko) 2013-04-04

Family

ID=4735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719 WO2012173420A2 (ko) 2011-06-15 2012-06-15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95830B2 (ko)
EP (1) EP2722734B1 (ko)
JP (2) JP6153518B2 (ko)
KR (1) KR101797651B1 (ko)
CN (2) CN103853385B (ko)
TW (1) TWI559485B (ko)
WO (1) WO201217342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6421A (zh) * 2013-05-17 2013-08-14 汕头超声显示器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触控功能的偏光片及其制造方法
JP2015520444A (ja) * 2013-03-28 2015-07-16 ナンチャン オー−フィルム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793783A (zh) * 2014-01-22 2015-07-22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
US9395830B2 (en) 2011-06-15 2016-07-19 Mirae Nano Technologies Co., Ltd.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JP2016534542A (ja) * 2013-12-27 2016-11-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366B (zh) * 2013-03-28 2015-04-08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电容式透明导电膜及其制造方法
US20140307178A1 (en) * 2013-04-12 2014-10-16 Shenzhen O-Film Tech Co., Ltd Touch screen sens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453020B1 (ko) * 2013-06-18 2014-10-22 크루셜텍 (주) 정전기 보호 기능을 가진 터치 검출 장치
KR102187923B1 (ko) * 2013-07-16 2020-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2131256B1 (ko) * 2013-07-29 2020-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CN104345939A (zh) * 2013-07-31 2015-02-1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CN104345938A (zh) * 2013-07-31 2015-02-11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导电膜及其引线电极
KR102142855B1 (ko) 2013-08-29 2020-08-31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0384A1 (ko) * 2013-08-29 2015-03-05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820B1 (ko) * 2014-01-23 2021-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961B1 (ko) * 2014-01-23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4281322B (zh) * 2014-09-29 2017-10-27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导电结构制作方法
CN104391607A (zh) * 2014-12-11 2015-03-04 山东华芯富创电子科技有限公司 防止银线断路触摸屏及其制作方法
KR101693263B1 (ko) * 2015-02-23 2017-01-06 (주)뉴옵틱스 도전성 시트
KR20160103214A (ko) * 2015-02-23 2016-09-01 (주)뉴옵틱스 전도성 시트
KR102313951B1 (ko) * 2015-06-26 2021-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JP2017076187A (ja) * 2015-10-13 2017-04-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パターン基板の製造方法、金属パターン基板、及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101817527B1 (ko) * 2015-11-19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WO2019069696A1 (ja) * 2017-10-03 2019-04-11 株式会社ワコム ペンが送信したペン信号を検出するためのセンサパネル
CN109144323B (zh) * 2018-09-03 2021-08-3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制造电极薄膜之方法
KR102621685B1 (ko) * 2018-09-18 202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N109960438B (zh) * 2019-03-19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057U (ja) * 1981-11-02 1983-05-09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
JP2003243785A (ja) 2002-02-18 2003-08-29 Hitachi Cable Ltd 樹脂接着用銅箔、銅箔/樹脂接着フィルム、および樹脂接着用銅箔の製造方法
JP4449616B2 (ja) * 2004-07-21 2010-04-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7630207B2 (en) * 2005-09-15 2009-12-08 Fujifilm Corporation Wiring board,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and liquid ejection head
JP2008077332A (ja) * 2006-09-20 2008-04-03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JP4682285B2 (ja) * 2007-08-30 2011-05-11 日立電線株式会社 配線及び層間接続ビアの形成方法
KR100936078B1 (ko) * 2007-11-12 2010-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090065896A (ko) 2007-12-18 2009-06-23 성낙훈 미세 회로가 형성된 필름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014230B2 (ja) * 2008-04-01 2012-08-29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US8240036B2 (en) * 2008-04-30 2012-08-14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circuit board
JP5370752B2 (ja) * 2008-06-25 2013-12-18 日立化成株式会社 導体層パターン付き基材、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波遮蔽部材
TWI420373B (zh) * 2008-07-24 2013-12-21 Henghao Technology Co Ltd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JP5350138B2 (ja) * 2008-08-26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回路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電気回路基板
US8319747B2 (en) * 2008-12-11 2012-11-27 Apple Inc. Single layer touch panel with segmented drive and sense electrodes
JP2010182137A (ja) * 2009-02-06 2010-08-19 Sony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8314779B2 (en) 2009-02-23 2012-11-20 Solomon Systech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ouch panel
JP2011028474A (ja) * 2009-07-24 2011-02-10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3034B1 (ko) 2009-10-23 2016-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TWI416206B (zh) 2009-11-12 2013-11-21 Wintek Corp 觸控式顯示面板
TWM379119U (en) 2009-12-11 2010-04-21 Minlad Invest Ltd Touch panel and the substrate thereof
US20120086649A1 (en) * 2010-10-12 2012-04-12 Innovation & Infinity Global Corp. Conductive circuits for a touch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97651B1 (ko) 2011-06-15 2017-11-15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722734A4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5830B2 (en) 2011-06-15 2016-07-19 Mirae Nano Technologies Co., Ltd.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JP2015520444A (ja) * 2013-03-28 2015-07-16 ナンチャン オー−フィルム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246421A (zh) * 2013-05-17 2013-08-14 汕头超声显示器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触控功能的偏光片及其制造方法
JP2016534542A (ja) * 2013-12-27 2016-11-0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99898B2 (en) 2013-12-27 2017-07-04 Lg Chem, Ltd. Condu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793783A (zh) * 2014-01-22 2015-07-22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
CN104793783B (zh) * 2014-01-22 2019-06-07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3385A (zh) 2014-06-11
US9395830B2 (en) 2016-07-19
EP2722734B1 (en) 2018-01-03
JP6153518B2 (ja) 2017-06-28
EP2722734A4 (en) 2015-03-25
JP2017142837A (ja) 2017-08-17
EP2722734A2 (en) 2014-04-23
KR20120138485A (ko) 2012-12-26
TWI559485B (zh) 2016-11-21
CN103853385B (zh) 2015-07-15
WO2012173420A3 (ko) 2013-04-04
US20140131075A1 (en) 2014-05-15
JP2014519670A (ja) 2014-08-14
CN103221909B (zh) 2016-11-02
JP6359143B2 (ja) 2018-07-18
KR101797651B1 (ko) 2017-11-15
CN103221909A (zh) 2013-07-24
TW201301473A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73420A2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WO2013141634A1 (en) Touch panel
WO2011046391A2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155413B (zh) 触控显示装置以及触控显示装置的驱动方法
WO2014051247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002609A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85227A1 (en) Electrode pattern of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17708A1 (en)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05404430B (zh) 3d压感触摸屏及其制造方法以及3d压感触控实现方法
KR200482910Y1 (ko) 투명 전도성 필름
WO2015190741A1 (ko) 비정형 센서 패턴을 구비한 터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CN108955969A (zh) 电阻应变片、感应组件、力传感器和滑板
WO2010038957A2 (ko)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
KR20180000039A (ko) 폴더블 표시 장치
WO2012008704A2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 일체형의 정전용량 터치 패널
JP2013208862A (ja) 導電パターンが積層された積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積層構造体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
WO2020017748A1 (ko) 정전용량방식(pacp) 및 전자기유도방식(emr)을 융합한 터치 센서
WO2012157811A1 (ko)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KR10129503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WO2015016473A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57858A (ko)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205407776U (zh) 一种显示装置电路板
KR2015010485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KR20150059308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전극
CN216450052U (zh) 一种低成本的电容式触摸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00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157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2556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00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