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820B1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820B1
KR102302820B1 KR1020140008167A KR20140008167A KR102302820B1 KR 102302820 B1 KR102302820 B1 KR 102302820B1 KR 1020140008167 A KR1020140008167 A KR 1020140008167A KR 20140008167 A KR20140008167 A KR 20140008167A KR 102302820 B1 KR102302820 B1 KR 102302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ensing electrode
touch window
conductive pattern
lin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945A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20B1/ko
Priority to US14/601,833 priority patent/US9857906B2/en
Priority to CN201510032708.XA priority patent/CN104793783B/zh
Publication of KR2015008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폭은 상기 배선들간의 거리보다 좁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폭은 상기 배선들간의 거리보다 좁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 그 실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디바이스 내부의 금속배선 패턴이나 LCD의 칼라필터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포토리소그라피 또는 인쇄 등의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한 방법은 포토레지스트의 적층 및 노광, 현상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공정의 복잡성을 수반하며, 아울러 미세 패턴의 형성에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한편, 패턴 내에 재료를 충진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패턴 내부로 충진되는 재료의 양이 균일하게 충진되지 않아 충진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폭은 상기 배선들간의 거리보다 좁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의 폭은 상기 배선들간의 거리보다 좁다.
실시예에서 감지전극은 인쇄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증착 및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비해 공정 수,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이 전도성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터치 윈도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선과 상기 감지전극이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통해 음각부 내에 충진되는 배선물질의 잉크 흐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들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구동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기판(100),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1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위에 감지전극(200) 및 배선(300) 등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기재(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110)는 감지전극(200) 및 배선(3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110)는 제1 음각부(201) 및 제2 음각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각부(201) 및 상기 제2 음각부(301)는 임프린팅(imprinting)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음각부(201) 및 상기 제2 음각부(301)는 수지(resin) 상에 몰드를 위치시키고 이를 임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음각부(201) 및 상기 제2 음각부(301)는 각각 다른 종류의 몰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전극(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110)의 상기 제1 음각부(201) 내에 상기 감지전극(2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00)은 상기 제1 음각부(201) 내에 감지전극물질을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증착 및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비해 공정 수,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감지전극(200)이 바(bar)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20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감지전극(200)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200)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200)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지전극(200)의 두 종류의 감지전극(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제1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전극(20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은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아레 현상이란, 주기적인 줄무늬가 겹쳐져서 생기는 무늬로, 이웃한 줄무늬들이 겹쳐지면서 줄무늬의 굵기가 굵어져 다른 줄무늬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도성 패턴 형상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전극(200)은 전도성 패턴 개구부(OA) 및 전도성 패턴 선부(L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T1)이 0.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T1)이 0.1 ㎛ 이하인 전도성 패턴 선부(LA)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T1)이 10 ㎛ 이하일 경우, 감지전극(2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LA)의 선폭(T1)은 1 ㎛ 내지 10 ㎛ 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도성 패턴이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도성 패턴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도성 패턴 내에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전극(200)은 다양한 형상의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감지전극(200)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00)이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200)이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200)이 전도성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고품질의 터치 윈도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상기 감지전극(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들이 배치된다. 즉, 상기 배선(300)은 상기 감지전극(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은 상기 기재(110)의 제2 음각부(3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300)은 상기 제2 음각부(301) 내에 배선물질을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증착 및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비해 공정 수,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배선(300)은 상기 감지전극(200)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300) 및 상기 감지전극(200)이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됨으로써, 공정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각부(201) 및 상기 제2 음각부(301)의 깊이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300)이 배치되는 상기 제2 음각부(301)의 깊이(D2)가 상기 감지전극(200)이 배치되는 상기 제1 음각부(201)의 깊이(D1)보다 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선(300)의 선폭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배선(300)의 선폭을 기존보다 좁게 하더라고 상기 제2 음각부(301)의 깊이(D2)를 통해 이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300)의 선폭이 좁아지더라도 동일한 배선물질이 충진될 수 있고, 동일한 저항값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배선(300)의 선폭을 줄여 베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300)의 선폭(W1)을 상기 감지전극(200)의 전도성 패턴의 선폭(T1)과 유사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300)의 선폭(W1)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T1)은 0.5:1 내지 5:1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잉크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고, 감지전극(200) 및 배선(300)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기존에는, 전도성 패턴의 선폭과 배선(300)의 선폭 차이가 커서 잉크 충진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배선(300)의 선폭(W1)이 상기 감지전극(200)의 전도성 패턴의 선폭(T1)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 음각부(301)의 깊이(D2)가 상기 상기 제1 음각부(201)의 깊이(D1)보다 깊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배선(300)의 선폭(W1)이 상기 감지전극(200)의 전도성 패턴의 선폭(T1)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음각부(301)의 깊이(D2)가 상기 상기 제1 음각부(201)의 깊이(D1)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은 상기 감지전극(200)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배선(300) 및 상기 감지전극(20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선(300)의 선폭(W1)은 상기 배선(300)들간의 거리(S)보다 좁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선(300)의 폭(W1)은 20 ㎛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의 폭(W1)이 20 ㎛보다 작을 경우, 배선(300)의 저항이 증가하거나, 상기 배선(300)의 폭(W1)이 30 ㎛보다 클 경우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300)들간의 거리(S)는 상기 배선(300)의 선폭(W1)보다 큰 30 ㎛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배선(300)들간의 거리(S)가 30 ㎛보다 작을 경우, 배선(300) 형성 시, 서로 인접하는 배선(300)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300)들간의 거리(S)가 50 ㎛보다 클 경우, 베젤(bezel)전체의 폭이 넓어져 디자인에 한계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의 끝단에는 전극 패드(400)가 위치한다. 이러한 전극 패드(40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어느 일면에는 접속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전극 패드(400)는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400)는 상기 접속 단자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배선(310)은 제2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선(31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T2)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T1)의 비는 0.5 : 1 내지 5 : 1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T2)은 감지전극(210)의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T1)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T2)은 감지전극(210)의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T1)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각부(201) 및 제2 음각부(301) 내에 각각 감지전극물질 및 배선물질을 충진할 때, 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배선(320)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320)은 직선이 아닌 굽은 선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음각부 내에 충진되는 배선물질의 잉크 흐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320) 및 감지전극(220)은 전도성 패턴이 아닌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감지전극(220) 및 배선(320)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20) 및 상기 배선(320)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전극(220)의 음각부 내에는 감지전극물질이, 상기 배선(320)의 음각부 내에는 배선물질이 각각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배선(330)은 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330)은 선폭이 서로 다른 제1 선폭(W2) 및 제2 선폭(W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선폭(W2)이 제2 선폭(W3)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배선(330)은 선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다양하게 포함함으로써, 음각부 내에 충진되는 배선물질의 잉크 흐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330) 및 감지전극(230)은 전도성 패턴이 아닌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감지전극(230) 및 배선(330)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30) 및 상기 배선(330)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전극(230)의 음각부 내에는 감지전극물질이, 상기 배선(330)의 음각부 내에는 배선물질이 각각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배선(340)은 형상이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선(340)은 직선 형상 및 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 형상의 배선(340)의 선폭(W4)과 원 형상의 배선(340)의 선폭(W5)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배선(340)은 형상이 서로 다른 부분 및 선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다양하게 포함함으로써, 음각부 내에 충진되는 배선물질의 잉크 흐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340) 및 감지전극(240)은 전도성 패턴이 아닌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감지전극(240) 및 배선(340)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40) 및 상기 배선(340)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전극(240)의 음각부 내에는 감지전극물질이, 상기 배선(340)의 음각부 내에는 배선물질이 각각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배선(350)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 배선부(351) 및 상기 제1 배선부(351)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선부(3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배선부(351) 및 상기 제2 배선부(352) 사이의 각도(θ1)는 10 °내지 170 °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선(350)은 상기 제2 배선부(35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배선부(352)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3 배선부(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배선부(352) 및 상기 제3 배선부(353) 사이의 각도(θ2)는 10 °내지 170 °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선(350)은 상기 제3 배선부(35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 배선부(353)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4 배선부(3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배선부(353) 및 상기 제4 배선부(354) 사이의 각도(θ3)는 10 °내지 170 °일 수 있다. 상기 배선부들(351, 352, 353, 354) 사이의 각도(θ1, θ2, θ3)가 10 °보다 작거나, 170 °보다 클 경우, 음각부 내에 배선물질 충진 시, 잉크가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잉크 충진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350) 및 감지전극(250)은 전도성 패턴이 아닌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선(350)은 방향성이 달라지는 변곡부(C1, C2, C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곡부(C1, C2, C3)의 수는 상기 배선(350)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음각부 내에 충진되는 배선물질의 잉크 흐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감지전극(250) 및 배선(350)은 전도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전극(250) 및 상기 배선(350)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전극(250)의 음각부 내에는 감지전극물질이, 상기 배선(350)의 음각부 내에는 배선물질이 각각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율 및 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20)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20)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20)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21) 및 하부기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22)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21)은 하부기판(22)과 접합되어 하부기판(22)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패널(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1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제2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은 제2 전도성 패턴들 간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은 20㎛ 내지 30㎛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의 비는 0.5 : 1 내지 5 : 1인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음각부 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2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상기 제2 음각부 내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각부 및 상기 제2 음각부의 깊이가 서로 다른 터치 윈도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각부의 깊이가 상기 제1 음각부의 깊이보다 깊은 터치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형상이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폭이 서로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곡선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1 배선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배선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부 및 상기 제2 배선부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170 °인 터치 윈도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배선부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3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 및 상기 제3 배선부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170 °인 터치 윈도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선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 배선부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제4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선부 및 상기 제4 배선부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170 °인 터치 윈도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방향성이 달라지는 변곡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부의 수는 상기 배선의 수보다 적은 터치 윈도우.
  23.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1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제2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은 제2 전도성 패턴들 간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은 20㎛ 내지 30㎛이고,
    상기 제2 전도성 패턴의 선폭과 상기 제1 전도성 패턴의 선폭의 비는 0.5 : 1 내지 5 : 1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08167A 2014-01-22 2014-01-23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2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67A KR102302820B1 (ko) 2014-01-23 2014-01-23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4/601,833 US9857906B2 (en) 2014-01-22 2015-01-21 Touch window
CN201510032708.XA CN104793783B (zh) 2014-01-22 2015-01-22 触摸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167A KR102302820B1 (ko) 2014-01-23 2014-01-23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945A KR20150087945A (ko) 2015-07-31
KR102302820B1 true KR102302820B1 (ko) 2021-09-16

Family

ID=5387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167A KR102302820B1 (ko) 2014-01-22 2014-01-23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5906A1 (en) 2006-11-30 2010-02-25 Tsuyoshi Tokuda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US20140131075A1 (en) 2011-06-15 2014-05-15 Mirae Nano Technologies Co., Ltd.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20B1 (ko) * 2012-04-18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5906A1 (en) 2006-11-30 2010-02-25 Tsuyoshi Tokuda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US20140131075A1 (en) 2011-06-15 2014-05-15 Mirae Nano Technologies Co., Ltd. Wired electrode of touch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945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194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09187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191575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194213A1 (en) Touch-sensing panel and touch-sensing display apparatus
KR101813785B1 (ko) 터치 디바이스
CN106338848B (zh) 液晶显示装置
KR2015003690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7923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103977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468204A (zh) 一种显示模组、显示装置
CN107533392A (zh) 触摸窗以及具有触摸窗的显示器
KR102053226B1 (ko) 터치 윈도우
KR102098383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713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2820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90578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181198B (zh) 触控模组及电子设备
KR102237908B1 (ko) 터치 패널
KR10223779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961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544B1 (ko) 터치패널
KR20200017998A (ko) 초박형 터치 패널의 적층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8843B1 (ko) 터치 윈도우
KR10223778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45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