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2733A -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2733A
KR980012733A KR1019970032823A KR19970032823A KR980012733A KR 980012733 A KR980012733 A KR 980012733A KR 1019970032823 A KR1019970032823 A KR 1019970032823A KR 19970032823 A KR19970032823 A KR 19970032823A KR 980012733 A KR980012733 A KR 980012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flat cable
connector according
housing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094B1 (ko
Inventor
미츠노리 마츠모토
히로유키 반나이
다케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가타오까 마사타까
알프스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까 마사타까, 알프스 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까 마사타까
Publication of KR98001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복수개의 플랫케이블을 사용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각 플랫케이블을 감아 조이거나 혹은 되감을 때에, 이동테를 수납부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키는 것.
(해결수단) 외측원통부(6)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1)과 내측원통부(7)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2)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10)내에, 제1및 제2트인구멍부(14,15)가 형성된 이동체(5)를 회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제1트인구멍부(14)의 폭 치수(Wl)와 제2트인구멍부(15)의 폭 치수(W2)를 "Wl (W2")로 설정한다. 양단부가 외측원통부 (6)와 내측원통부(7)의 둘레면에 각각 고정된 제1및 제2플랫케이블(3,4)을 수납부(10)내에 감겨진 상태로 수납 하되, 각 플랫케이블(3,4)의 반전부(3a,4a)를 각각 제1트인구멍부(14)와 제2트인구멍부(15)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제1플랫케이블(3)의 내측단부를 내측원통부(9)의 둘레면에 직접 감고, 제2플랫케이블(4)의 내측단부를 상기대략 1회전시켜 감은 제1플랫케이블(3)을 사이에 두고 내측원통부(9)에 감아서 각 플랫케이블(3,4)의 내측원통부(9)에 대한 권취(권취)지름을 다르게 한다.

Description

회전커넥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끼워맞춰져서 에어 백 시스템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내에서 플랫케이블이 반전부를 사이에 두고 역방향으로 감겨진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측 하우징 사이에 플랫케이볼을 감겨진 상태로 수납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끼워맞춰져서 회전수가 한정되어 있는 핸들에 장착된 에어백 인프레이터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플랫케이블은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는 밴드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플랫케이블을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은 것과 도중에서 역방향으로 반전하여 감은 2타입이 알려져 있는데, 후자의 반전타입이 필요로 하는 플랫케이블의 길이를 현저하게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전타입의 회전커넥터는 통상 1개의 플랫케이블이 사용되어 왔으나, 다회로화됨에 따라 도체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이 도체의 개수에 따라서 플랫케이블의 폭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 전체의 박형화가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미국특허 3,763,455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회전커넥터에서는 2개의 플랫케이블에 각 도체를 나눔으로써 다회로화에 대응하고 있다.
도 4는 상기 특허명세서에 기재된 케이블릴(cable reel)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외측원통부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100)에 대하여 원통형상의 내측원통부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10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측 하우징(100)과 가동측 하우징 (171) 사이에 형성된 환형상의 수납부(102)내에는 제1플랫케이블(103)과 제2플랫케이블(104)이 수납되어 있다. 이들 플랫케이블(103,104)은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측원통부와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측원통부에 감겨지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 상태로 수납부(102)내에 수납되며, 이 감겨지는 방향이 반전되는 위치에 "U"자 형상의 반전부(103a,10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양 플랫케이블(103,104)의 내측단부는 가동측 하우징(101)의내측원통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케이블취출부(107,108)에 접속되며, 이들 케이블취출부(107,108)를 통하여 가 동측 하우징(101)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한편, 양 플랫케이블(103,104)의 외측단부는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측원통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케이블취출부(109,110)에 접속되며, 이들 케이블취출부(109,110)를 통하여 고정측 하우징(100)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02)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롤러(105,106)군 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플랫케이블(103)의 반전부(103a)가 일측 롤러(105)군의 1개에 감겨겨 있고, 제2플랫케이블(104)의 반전부(104a)가 타측 롤러(106)군의 1개에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는, 예를 들어 가동측 하우징(171)을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랫케이블(103,104)의 반전부(103a,104a)가 가동측 하우징(101)보다도 적은 회동량만큼 수납부(102)내를 시계방향으로이동하게 됨으로써, 플랫케이블(103,104)은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측원통부측이 많이 감겨져 조여지는 조임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가동측 하우징(101)을 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플랫케이블(103,104)의 반전부(103a,104a)가 가동측 하우징(101)보다도 적은 회동량만큼 수납부(102)내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플랫케이블(103,104)은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측원통부측이 많이 감겨지는 되감김상태가 된다. 또 한, 이와 같이 감아 조이거나 되감을 때에, 각 롤러(105,106)는 플랫케이블(103,104)의 반전부(103a,104a)로부터의 힘을 받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회전커넥터는, 양 플랫케이블(103,104)의 지름방향으로의 변형이 복수의 롤러(105,106)군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양 플랫케이볼(103,104)을 수납부(102)의 둘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복수의 롤러(105,106)군은 서로 분리된 독립상태로 수납부(102)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넥터에 진동이 가해지면 각 롤러(105,106)군이 서로 부딪쳐서 충돌음을 발생한다든지, 조립작업성도 나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롤러(105,106)군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도 5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트인구멍부(111a,111b)를 가지는 이동체(111)를 수납부(102)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하고, 양 플랫케이블(103,104)의 반전부(103a,104a)를 이들 트인구멍부(111a.111b)에 통과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111)는 링형상의 회전판(112)과 이 회전판(112) 위에 숙지지된 복수의 롤러(113)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 트인구멍부(111a,111b)는 이들 롤러(113)군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트인구멍부(llla,lIIb)를 가지는 이동체(111)를 사용한 경우, 회전판(112)과 롤러(113)군을 일체물로서 취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롤러(113)군의 충동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회전커넥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이와 같은 회전케넥터에서는,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측원통부의 지름을 "D", 플랫케이블(103,104)의 두게 치수를 "t"라 하면,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측원통부에 직접 감겨지는 제1플랫케이블(103)의 권취지름 (여기서 말하는 권취지름이란 플랫케이블이 가동측 하우징의 내측원퉁부에 감겨진 상태에서의 지름을 말하 며, 이하 권취지름이라 한다)은 "D"가 되지만, 대략 1회전시켜 감은 제1플랫케이블(103)을 사이에 두고 감겨지는 제2플랫케이블(104)의 권취지름은 "D+2t"가 되기 때문에, 양 플랫케이블(103,104)의 권취지름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동측 하우징(101)을 회전동작시켰을 때에, 양 플랫케이블(103,104)이 내측원퉁부에 감겨 조여지는 조임량 또는 내측원통부로부터 풀려나와 외측원통부에 되감기는 되감김량에 차이가 생겨서,권취지름이 큰 제2플랫케이블(104)의 반전부(104a)가 권취지름이 작은 제1플랫케이블(103)의 반전부(103a)보다도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플랫케이블(103,104)이 내측원통부로부터 풀려나와 외측원통부에 되감길 때, 이동속도가 빠른 제2플랫케이블(104)의 반전부(104a)는 트인구멍부(111b)의 단부에 위치하는 롤러(113)와 맞닿게 되지만, 이동속도가 느린 제1플랫케이블(103)의 반전부 (1103a)는 트인구멍부(111a)내에서만 이동하게 되어 롤러(113)와 맞닿지 않게 되므로, 이동체(111)를 양 반전부 (103a,104a)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종래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종래에 제안된 회전커넥터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 하우징 2 - 가동측 하우징
3 - 제1플랫케이블 3a - 반전부
4 - 제2플랫케이블 4a - 반전부
5 - 이동체 8 - 외측원통부
9 - 내측원통부 10 - 수납부
11 - 회전판 12 - 롤러
13 - 고정원통부 14 - 제1트인구멍부
15 - 제2트인구멍부 16 - 고정측 접합부
17 - 가동측 접합부
본 발명은, 수납부에 배치된 이동체에 복수개의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트인구멍부를 형성하고, 이들 트인구멍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적어도 1개가 다른 것보다도 짧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체의 각 트인구멍부의 폭 치수를 모두 같은 폭 치수로 하지 않고, 권취지름이 큰 플랫케이블의 반전부에 대응하는 트인구멍부를 기준으로 하여, 권취지름이 작은 플랫케이블의 반전부에 대응하는 트인구멍부를 그것보다도 폭을 좁게 설정하면, 감아 조이거나 또는 되감을 때에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를 이 동체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는 수납부내를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외측원통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과, 이 제1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환형상의 수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원통부에 대향하는 내측원통부를 가지는 제2하우징과 : 상기 수납부내에 도중에서 감겨지는 방향을 반전하는 상태로 감겨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외측원통부와 상기 내측원통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플랫케이블과 : 상기 수납부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트인구멍부를 가지는 이동체 :를 구비하고, 상기 각 트인구멍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적어도 1개가 다른 것보다도 짧게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이동체는 각 플랫케이블이 수납부내에서 지름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회전판에 복수의 롤러군이 축지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쌍의 롤러간에 트인구멍부가 형성된 다. 또, 각 롤러군의 몇몇개를 고정원통부로 치환하고, 이 고정원통부와 롤러간에 트인구멍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랫케이블의 개수를 "N"개로 하면, 이동체에는 "N"개의 트인구멍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 트인구멍부를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대략 동일한 간격, 즉 약 360/N도로 나누어서 형성하면,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균형있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내측원통부에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함부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를 통하여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도출시키면,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 하우징(1)과, 고정측 하우징 (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측 하우징(2)과, 양 하우징(1,2)간에 수납된 제1및 제2플랫케이블(3,4)과 양 하우징(1,2)간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체(5)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1)은 서로 일체화된 상부케이스(6)와 하부케이스(7)로 구성되며, 상부케이스(6)에는 원통형상의 외측원통부(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측 하우징(2)에는 원통형상의 내측원통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외측원통부(8)와 내측원통부(9)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어 양 원통부(8,9)간에 환형상의 수납부 (10)가 형성된다. 이 수납부(10)내에는 이동체(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동체(5)는 링형상의 회전판(11)과 회전판(11) 위에 축지지된 복수의 롤러(12)군 및 1쌍의 고정원통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일측의 고정원통부(13)와 롤러(12) 사이에는 제1트인구멍부(14)가, 타측의 고정원통부(13)와 롤러(12) 사이에는 제2트인구멍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트인구멍부(14,15)는 약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트인구멍부(14)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Wl", 제2트인구멍부(15)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W2"라 하면, 이들은 Wl (W2로 설정되어 있다.
제1및 제2플랫케이블(3,4)은 PET등의 절연성 테이프로 된 베이스 필름의 한쪽 면에 구리(Cu)등으로 된 복수개의 도체를 연이어 형성한 밴드형상체이고, 도면에서는 편의상 제1플랫케이블(3)을 흑색으로 표시하고 제2플 랫케이블(4)을 백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양 플랫케이블(3,4)의 외측단부는 외측원통부(8)에 고정된 고정측 접합부(16)에 접속되며, 이 고정측 접합부(16)를 통하여 고정측 하우징(1)의 외부로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 양 플랫케이블(3,4)의 내측단부는 내측원통부(9)에 고정된 가동측 접합부(17)에 접속되며, 이 가동측 접합부(17)를 통하여 가동측 하우징(2)의 외부로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양 플랫케이블(3,4)은, 제1플랫케이블(3)을 외측으로 한 상태로 고정측 접합부(16)에서 외측원통부(8)의 내벽을 따라 시계반대 방향으로 감겨진 후, 도중에서 분기되어 제1롤랫케이블(3)은 제1트인구멍부(14)를 통과하여 롤러(12)군의 1개에 "U"자형상으로 반전되고(이하, 이것을 반전부(3a)라 한다), 제2플랫케이블(4)은 제2트인구 멍부(15)를 통과하여 롤러(12)군의 다른 1개에 "U"자형상으로 반전되고{이하, 이것을 반전부(4a)라 한다.), 또한 제2플랫케이블(4)을 외측으로 한 상태로 내측원통부(9)의 둘레면에 시계방향으로 감겨진 후, 가동측 접합부(17)에 도달하도록 수납부(10)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플랫케이블(3)의 내측단부는 내측원통부(9)의 둘레면에 직접 감겨지지만, 제2플랫케이블(4)의 내 측단부는 대략 1회전시켜 감은 제1플랫케이블(3)를 사이에 두고 내측원통부(3)에 감겨지게 두고 내측원통부(3)에 감겨지게 된다. 즉, 가동측 하우징(2)의 내측원통부(9)의 지름을 "D", 플랫케이블(3,4)의 두게 치수를 "t"라 하면, 제1플랫케이블(3)의 권취 지름은 "D"가 되지만 제2플랫케이블(4)의 권취지름이 "D+2t"가 되기 때문에, 내측원통부(9)에 대한 양 플랫케이블(3,4)의 권취지름은 제2플랫케이블(4)측이 커지게 된다. 상기한 제1및 제2트인구멍부(14,15)의 폭 치수(Wl,W2)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권취지름이 작은 제1플랫케이블(3)의 반전부(3a)가 통과하는 제 1트인구멍부(14)의 폭 치수(Wl)를 권취지름이 큰 제2플랫케이블(4)의 반전부(4a)가 롱과하는 제2트인구멍부 (15)의 폭 치수(W2)보다도 좁게 설정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1)이 스티어링장치의 스데이터부재에 고정되며, 고정측 접합부(16)에 도시하지 않은 차체측의 외부커넥터가 접속된다. 또, 가동측 하우징(2)은 스티어링장치의 로터부재인 핸들에 고정되며, 가동측 접합부(17)에 도시하지 않은 핸들측의 외부커넥터가 접속된다.
사용시에, 핸들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가동측 하우징(2)에 전달되므로, 가동측 (2)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핸들의 중립위치에서 가동측 하우징(2)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및 제2플랫케이블(3,4)의 반전부(3a,4a)가 가동측 하우징(2)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들 반전부(3a,4a)를 따라서 이동체(5)도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이들 이동량의 약 2배 길이의 플랫케이블(3,4)이 내측원퉁부(9)측으로부터 풀려나와 외측원통부(8)측에 되감기게 되는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 경우, 권취지름이 큰 제2롤랫케이블(4)의 반전부(4a)측이 권취지름이 작은 제1플랫케이블(3)의 반전부(3a)보다도 빠르게 이동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14,15)의 폭 치수가 WlW2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반전부(3a,4a)가 각각 트인구멍부(14,15)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고정원통부(13)를 동시에 밀어내게 되므로 이동체(5)는 양 반전부 (3a,4a)로부터의 힘을 받아서 수납부(10)내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반대로, 핸들의 중립위치에서 가동측 하우징(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및 제2플랫케이볼(3,4)의 반전부(3a,4a)가 가동측 하우징(2)보다도 적은 회전량만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들 반전부(3a,4a)을 따라서 이동체(5)도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이들 이동량의 약 2배 길이의 플랫케이블(3,4)이 외측원퉁부(8)측 으로부터 풀려나와 내측원통부(9)측에 감겨 조여지게 되는 조임상태가 된다. 이 경우, 권취지름이 큰 제2폴랫케이블(4)의 반전부(4a)측이 권취지름이 작은 제1플랫케이블(3)의 반전부(3a)보다도 빠르게 이동하지만, 상기 한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14,15)의 폭 치수가 WIW2로 설정되어 있기 메문에. 양 반전부(3a,4a)가 각각 트인구멍부(14,15)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롤러(12)를 동시에 잠아당기게 되므로 이동체(5)는 양 반전부(3a.4a)로부터의힘을 받아서 수납부(10)내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플랫케이볼(3,4)의 내측원통부(9)에 대한 권취지름의 차이에 대응하여 이들 플랫케이블(3,4)의 반전부(3a,4a)가 통과하는 제1및 제2트인구멍부(14,15)의 폭 치수(Wl,W2)를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측 하우징(2)의 회전동작시에, 이동체(5)의 회전구동이 주로 권취지름이 큰 플랫케이블 (4)의 반전부(4a)의 주도에 의해서 실행되지만, 권취지름이 작은 플랫케이블(3)의 반전부(3a)에 의해서도 제 1트인구멍부(14)의 단부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 플랫케이블(3,4)의 반전부(3a,4a)로부터의 힘을 이동체(5)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제1및 제2트인구멍부(14,15)가 이동체(5)의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5)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양 플랫케이블(3,4)의 각 내측단부를 가동측접합부(17)의 1개소에 집약하였기 때문에, 핸들측의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플랫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플랫케이블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 플랫케이블의 내측원통부에 대한 권취지름의 차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트인구멍부의 폭 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수납부에 배치된 이동체에 복수개의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트인구멍부를 형성하고, 이들 트인구멍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적어도 1개가 다른 것보다도 짧게 되도록 설정하면, 감아 조이거나 되감을 때에,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권취지름의 차이에 기인하여 상이한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이들 복수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각 트인구멍부를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대략 통일한 간격으로 형성하면,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균형있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내측원통부에 각 플댓케이욜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를 동하여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도출시키면,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16)

  1. 외측원통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과 ; 이 제1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환형상의 수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원통부에 대향하는 내측원퉁부를 가지는 제2하우징과 ; 상기 수납부내에 도중에서 감겨지는 방향을 반전하는 상태로 감겨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외측원통부와 상기 내측원통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개의 플랫케이블과 , 상기 수납부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트인구멍부를 가지는 이동체 :를 구비하고, 상기 각 트인구멍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적어도 1개가 다른 것보다도 짧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트인구멍부를 상기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원퉁부에 상기 각 폴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인구멍부의 적어도 1개는 상기 플랫케이블이 반전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상기 플랫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고정원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인구멍부의 적어도 1개는 상기 플랫케이블이 반전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상기 플랫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고정원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외측원통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과 : 이 제1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환형상의 수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원통부에 대향하는 내측원퉁부를 가지는 제2하우징과 : 상기 수납부내에 도중에서 감겨지는 방향을 반전하는 상태로 감겨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외측원통부와 상기 내측원통부에 각각 고정된 2개의 플랫케이블과 : 상기 수납부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2개의 트인 구멍부를 가지는 이동체 :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트인구멍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폭 치수를 일측이 타측보다 짧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트인구멍부를 상기 이동체의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측원통부에 상기 각 플랫케이블의 일단부를 1개소에 집약하는 접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5. 청구함 9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트인구멍부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플랫케이블이 반전되는 를러와 이 를 러에 상기 플랫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고정원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트인구멍부는 적어도 일측이 상기 플랫케이블이 반전되는 롤러와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고정원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한 것임.
KR1019970032823A 1996-07-15 1997-07-15 회전커넥터 KR100240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99696 1996-07-15
JP184996 1996-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733A true KR980012733A (ko) 1998-04-30
KR100240094B1 KR100240094B1 (ko) 2000-01-15

Family

ID=1616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823A KR100240094B1 (ko) 1996-07-15 1997-07-15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2216A (ko)
EP (1) EP0820125B1 (ko)
KR (1) KR100240094B1 (ko)
DE (1) DE697366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797B1 (en) * 1994-07-19 2001-04-10 Methode Electronics, Inc. Clockspring having non-compliant and compliant roller members
JP3408949B2 (ja) * 1997-06-09 2003-05-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GB2328330B (en) * 1997-07-10 2002-10-30 Alps Electric Co Ltd Rotatable connector
DE19882022B4 (de) * 1997-11-28 2010-05-06 Furukawa Electric Co., Ltd., Verwendung eines Drehverbinders in einer Fahrzeug-Lenkvorrichtung
JP3518673B2 (ja) 1999-06-23 2004-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4716541B2 (ja) * 2000-04-14 2011-07-0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2034139A (ja) 2000-07-17 2002-01-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EP1247697A3 (en) 2001-04-03 2003-10-22 Tyco Electronics AMP GmbH Rotary loop back connector
JP2003197339A (ja) * 2001-12-26 2003-07-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回転コネクタ
US7232312B2 (en) * 2003-04-16 2007-06-1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having an integral fuse
US8500054B2 (en) * 2004-09-27 2013-08-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set improvements
JP4602176B2 (ja) * 2005-07-01 2010-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4448882B2 (ja) * 2008-01-08 2010-04-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7758364B1 (en) * 2009-08-04 2010-07-20 Seagate Technology Llc Rotary positioning
JP6066543B2 (ja) 2010-11-24 2017-01-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ハーネス巻取装置
JP5624972B2 (ja) * 2011-10-31 2014-1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890258B2 (ja) * 2012-06-11 2016-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6487224B2 (ja) * 2014-05-01 2019-03-2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11495930B2 (en) * 2021-02-05 2022-11-08 American Furukawa, Inc. Auto-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455A (en) * 1971-12-17 1973-10-02 Gen Motors Corp Electrically coupled steering column
JP3050688B2 (ja) * 1992-02-20 2000-06-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JP2540938Y2 (ja) * 1992-09-04 1997-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TW317043B (ko) * 1994-07-19 1997-10-01 Methode Electronics In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0125B1 (en) 2006-09-13
DE69736648D1 (de) 2006-10-26
MX9705329A (es) 1998-08-30
US5882216A (en) 1999-03-16
EP0820125A2 (en) 1998-01-21
KR100240094B1 (ko) 2000-01-15
EP0820125A3 (en) 1999-09-22
DE69736648T2 (de) 200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094B1 (ko) 회전커넥터
US5944544A (en) Rotary connector
JPH05207632A (ja) ケーブルリール
JP3518673B2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KR100454401B1 (ko) 회전커넥터
KR100296757B1 (ko) 회전커넥터
JPH113762A (ja) 回転コネクタ
JPH08227775A (ja) 回転コネクタ
US5690500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rotor with stator through cable
JP2006216370A (ja) 回転コネクタ
JP277472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3518655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0150098A (ja) 回転コネクタ
JP303778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2001015239A (ja) 回転コネクタ
JP3408941B2 (ja) 回転コネクタ
JPH0917542A (ja) 回転コネクタ
JP3518659B2 (ja) 回転コネクタ
JP2702626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299960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H118036A (ja) 回転コネクタ
JP2001112156A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MXPA97005329A (en) Rotary connector
JPH113761A (ja) 回転コネクタ
JP2503013Y2 (ja) ケ―ブル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