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757B1 - 회전커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757B1
KR100296757B1 KR1019980027548A KR19980027548A KR100296757B1 KR 100296757 B1 KR100296757 B1 KR 100296757B1 KR 1019980027548 A KR1019980027548 A KR 1019980027548A KR 19980027548 A KR19980027548 A KR 19980027548A KR 100296757 B1 KR100296757 B1 KR 10029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ble
flat
pressing portion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704A (ko
Inventor
미츠노리 마츠모토
히로유키 반나이
다케히코 이토
노부오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538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86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1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매의 플랫 케이블을 사용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각 플랫 케이블의 감아 조이기 또는 되감을 때에, 이동체를 수납부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통벽(6)을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1)과 내통벽(7)을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2)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수납부(10) 내에, 제 1 및 제 2 개구(14, 15)가 설치된 이동체(5)를 회동 자유롭게 배치하고, 제 1 개구(14)의 폭 치수(W1)와 제 2 개구(15)의 폭 치수(W2)를 W1〈 W2로 설정한다. 상기 수납부(10)에, 양단이 외통벽(6)과 내통벽(7)의 둘레면에 각각 고정된 제 1 및 제 2 플랫 케이블(3, 4)을 두루 감고, 각 플랫 케이블(3, 4)의 반전부(3a, 4a)를 각각 제 1 개구(14)와 제 2 개구(15)에 통과시킨다. 그리고, 제 1 플랫 케이블(3)의 안쪽끝을 내통부(9)의 둘레면에 직접 감고 제 2 플랫 케이블(4)의 안쪽끝을 약 1턴분의 제 1 플랫 케이블(3)을 거쳐 내통부(9)에 감음으로써, 각 플랫 케이블(3, 4)의 내통부(9)에 대한 감김지름을 다르게 한다.

Description

회전커넥터{ROT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되어 에어 백 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측 하우징과 가동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수납부 내에서 플랫 케이블이 반전부를 거쳐 역방향으로 감겨진 회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과 이 고정측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가동측 하우징과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을 수납·감은 것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되어, 회전수가 유한인 핸들에 장착된 에어 백·인플레이터 등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플랫 케이블은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는 스트랩형상체이고, 이 플랫 케이블의 감김법을 소용돌이형상으로 한 것과, 도중에서 역방향으로 반전한 2가지 타입이 알려져 있으나, 후자의 반전타입쪽이 필요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길이를 특히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전타입의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통상 1매의 플랫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회로화에 따라 도체의 수가 증가하면 도체 수에 따라 플랫 케이블의 폭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회전커넥터 전체의 박형화(薄型化)가 방해받는다. 이에 대하여 미국특허 3,763,455호 명세서에 개시된 회전커넥터에서는, 2매의 플랫 케이블로 각 도체를 분할함으로써 다회로화에 대응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특허명세서에 개시된 케이블 릴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외통부를 가지는 고정측 하우징(100)에 대하여 원통형상의 내통부를 가지는 가동측 하우징(101)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이들 고정측 하우징(100)과 가동측 하우징(101)과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환상(環狀)의 수납부(102) 내에는 제 1 플랫 케이블(103)과 제 2 플랫 케이블(104)이 수납되어 있다. 이들 플랫 케이블(103, 104)은 수납부(102) 내에서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통부와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통부에 감기는 방향을 역방향으로 한 상태로 수납되고, 그 감김 방향이 전환되는 위치에 U자 형상의 반전부(103a, 10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안쪽끝은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통부에 근접 배치된 케이블인출부(107, 108)에 접속되고, 이들 케이블인출부(107, 108)를 거쳐 가동측 하우징(101)의 외부로 도출되고 있다. 한편,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바깥쪽끝은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통부에 근접 배치된 케이블인출부(109, 110)에 접속되고, 이들 케이블인출부(109, 110)를 거쳐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부로 도출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02)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105, 106)군이 배치되어 있고, 제 1 플랫 케이블(103)의 반전부(103a)는 한쪽의 롤러(105)군의 하나에 루프되고, 제 2 플랫 케이블(104)의 반전부(104a)는 다른 쪽의 롤러(106)군의 하나에 루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동측 하우징(101)이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103, 104)의 반전부(103a, 104a)는 가동측 하우징(101)보다 적은 회동량만큼 수납부(102) 내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랫 케이블(103, 104)의 감김 상태는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통부쪽이 많아진 감아조인 상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가동측 하우징(101)이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플랫 케이블(103, 104)의 반전부(103a, 104a)는 가동측 하우징(101)보다 적은 회동량만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랫 케이블(103, 104)의 감김 상태는 고정측 하우징(100)의 외통부쪽에 많이 감겨진 되감김상태가 된다. 또한, 이러한 감아 조임, 되감김 시에 각 롤러(105, 106)는 플랫 케이블(103, 104)의 반전부(103a, 104a)로부터의 힘을 받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종래의 회전커넥터는,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지름방향의 변형이 복수의 롤러(105, 106)군에 의하여 규제되기 때문에,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을 수납부(102)의 둘레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복수의 롤러(105, 106)군은 서로 분리 독립된 상태로 수납부(10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넥터에 진동이 가해지면 각 롤러(105, 106)군이 서로 부딪쳐 충돌음을 발생하기도 하고 조립작업성도 나쁜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분리 독립한 롤러(105, 106)군을 사용하는 대신에, 적어도 2개의 개구(111a, 111b)를 가지는 이동체(111)를 수납부(102)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하고,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반전부(103a, 104a)를 이들 개구(111a, 111b)에 통과시키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상기 이동체(111)는 링형상의 회전판(112)과 이 회전판(112) 위에 축지지된 복수의 롤러(113)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 개구(111a, 111b)는 이들 롤러(113)군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개구(111a, 111b)를 가지는 이동체(111)를 사용하였을 경우, 회전판(112)과 롤러(113)군을 일체물로서 취급할 수 있는 동시에, 롤러(113)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한 종래의 회전커넥터가 가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와 같은 회전커넥터에 있어서는, 가동측 하우징(101)의 내통부의 직경을 D, 플랫 케이블(103, 104)의 두께 치수를 t라 하면, 내통부에 직접 감겨지는 제 1 플랫 케이블(103)의 감김 지름은 D가 되나, 약 1턴분의 제 1 플랫 케이블(103)을 거쳐 내통부에 감겨지는 제 2 플랫 케이블(104)의 감김 지름은 (D+2t)가 되어,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감김 지름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가동측 하우징(101)을 회전 동작시켰을 때에 양 플랫 케이블(103, 104)의 내통부에의 감아조임량, 또는 내통부로부터의 되감김량에 차이가 나게 되어, 감김 지름이 큰 제 2 플랫 케이블(104)의 반전부(104a)쪽이 감김 지름이 작은 제 1 플랫 케이블(103)의 반전부(103a)보다도 빨리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103, 104)이 내통부에서 풀려 나와 외통부에 되감겨질 때, 제 2 플랫 케이블(104)의 반전부(104a)는 개구(111b)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롤러(113)와 맞닿으나, 이동속도가 느린 쪽의 제 1 플랫 케이블(103)의 반전부(103a)는 개구(111a) 내를 이동하는 것만으로 롤러(113)에 맞닿지 않게 되어, 이동체(111)를 양 반전부(103a, 104a)로부터의 힘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종래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종래 제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측 하우징 2 : 가동측 하우징
3 : 제 1 플랫 케이블 3a : 반전부
4 : 제 2 플랫 케이블 4a : 반전부
5 : 이동체 8 : 외통벽
9 : 내통벽 10 : 수납부
11 : 회전판 12 : 롤러
13 : 고정통 13a, 13b : 케이블누름부
14 : 제 1 개구 15 : 제 2 개구
16 : 고정측 조인트부 17 : 가동측 조인트부
본 발명은, 수납부에 배치된 이동체에 복수 매의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를 설치하고, 이들 개구의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동체의 각 개구의 폭치수를 모두 같게 하지 않고, 감김 지름이 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기준으로 하여, 감김 지름이 작은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그것보다도 폭이 좁게 설정하면, 감아 조임 또는 되감김 시에,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를 이동체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체는 수납부 내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본 발명의 회전커넥터에서는, 외통부를 가지는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환상의 수납부를 거쳐 상기 외통부에 대향하는 내통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에 도중에서 감김 방향을 반전하는 상태로 감겨져, 그 양단이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 매의 플랫 케이블과, 상기 수납부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이동체를 구비하여, 상기 각 개구의 둘레방향 에 따른 폭 치수를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한다.
상기 이동체는 각 플랫 케이블이 수납부 내에서 지름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회전판에 복수의 롤러군이 축지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어, 이 경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개구가 형성된다. 또, 각 롤러군의 몇 개를 고정통에 치환하고, 이 고정통과 롤러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매수를 N이라 하면, 이동체에는 N개의 개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이들 개구를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 즉 약 360/N도로 분할하여 설치하면,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균형 좋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내통부에 각 플랫 케이블의 한쪽 끝단을 1 개소에 집약하는 조인트부를 설치하고, 이 조인트부를 거쳐 각 플랫 케이블의 한쪽 끝단을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도출하면,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면, 이동체의 안쪽과 바깥쪽에 감겨지는 플랫 케이블 중 특히 안쪽의 플랫 케이블이 큰 개구 내에서 소망하지 않게 변형하는 것을 케이블누름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작은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도 동일한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고, 이 케이블누름부를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개구쪽의 케이블누름부보다 작게 설정하면, 플랫 케이블의 변형을 이동체의 전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체에 개구를 거쳐 대향하는 회전 자유로운 롤러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주(柱)를 설치하여, 이 롤러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를 루프시키면, 반전부로부터의 압압력이 고정주를 거쳐 이동체에 확실하게 전달되어, 이동체를 수납부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으나, 이 고정주에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회전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회전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는 고정측 하우징(1)과, 고정측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가동측 하우징(2)과, 양 하우징(1, 2) 사이에 수납된 제 1 및 제 2 플랫 케이블(3, 4)과, 양 하우징(1, 2) 사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된 이동체(5)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하우징(1)은 서로 일체화된 상케이스(6)와 하케이스(7)로 구성되고, 상케이스(7)에는 원통형상의 외통부(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측 하우징(2)에는 원통형상의 내통부(9)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외통부(8)와 내통부(9)는 동축 상에 배치되어, 양 통부(8, 9) 사이에 환상의 수납부(10)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10) 내에는 이동체(5)가 배치되어 있고, 이 이동체(5)는, 링형상의 회전판(11)과 회전판(11) 위에 축지지된 복수의 롤러(12)군 및 고정주로서의 한 쌍의 고정통(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고정통(13)과 롤러(12)와의 사이에는 제 1 개구(14)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고정통(13)과 롤러(12)와의 사이에는 제 2 개구(15)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개구(14, 15)는 약 180도의 대향위치에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개구(14)의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W1, 제 2 개구(15)의 둘레방향을 따른 폭 치수를 W2라 하면, 이들은 W1〈 W2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플랫 케이블(3, 4)은 PET 등의 절연성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의 한쪽면에 구리(銅)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도체를 연장 설치한 스트랩형상체이고, 편의상, 제 1 플랫 케이블(3)을 검게 칠하고, 제 2 플랫 케이블(4)을 흰색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양 플랫 케이블(3, 4)의 바깥쪽끝은 외통부(8)에 고정된 고정측 조인트부(16)에 접속되고, 그 고정측 조인트부(16)를 거쳐 고정측 하우징(1)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 양 플랫 케이블(3, 4)의 안쪽끝은 내통부(9)에 고정된 가동측 조인트부(17)에 접속되고, 상기 가동측 조인트부(17)를 거쳐 가동측 하우징(2)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이 때, 양 플랫 케이블(3, 4)은 제 1 플랫 케이블(3)을 바깥쪽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측 조인트부(16)로부터 외통부(8)의 내벽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진 후, 그곳으로부터 분기되어 제 1 플랫 케이블(3)은 제 1 개구(14)를 통과하여 롤러(12)군의 하나에 U자 형상으로 반전되고(이하, 이것을 반전부 3a라고 함), 제 2 플랫 케이블(4)은 제 2 개구(15)를 통과하여 롤러(12)군 중의 다른 하나에 U자 형상으로 반전되고(이하, 이것을 반전부 4a라고 함), 다시 제 2 플랫 케이블(4)을 바깥쪽으로 한 상태로 내통부(9)의 둘레면에 시계방향으로 감겨진 후, 가동측 조인트부(17)에 이르도록 수납부(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플랫 케이블(3)의 안쪽끝은 내통부(9)의 둘레면에 직접 감겨지나, 제 2 플랫 케이블(4)의 안쪽끝은 약 1턴분의 제 1 플랫 케이블(3)을 거쳐 내통부(9)에 감겨지게 된다. 즉, 가동측 하우징(2)의 내통부(9)의 직경을 D, 플랫 케이블(3, 4)의 두께 치수를 t라 하면, 제 1 플랫 케이블(3)의 감김 지름은 D가 되나, 제 2 플랫 케이블(4)의 감김 지름은 (D+2t)가 되어, 내통부(9)에 대한 양 플랫 케이블(3, 4)의 감김 지름은 제 2 플랫 케이블(4)쪽이 커진다. 상기한 제 1 및 제 2 개구(14, 15)의 폭 치수(W1, W2)는 이것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감김 지름이 작은 제 1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가 통과하는 제 1 개구(14)의 폭 치수(W1)를 감김 지름이 큰 제 2 플랫 케이블(4)의 반전부(4a)가 통과하는 제 2 개구(15)의 폭 치수(W2)보다 좁게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고정측 하우징(1)은 스티어링장치의 스테이터부재로 고정되고, 고정측 조인트부(16)에 차체쪽의 도시생략한 외부커넥터가 접속된다. 또, 가동측 하우징(2)은 스티어링장치의 로터부재인 핸들에 고정되고, 가동측 조인트부(17)에 핸들쪽의 도시생략한 외부커넥터가 접속된다.
사용에 있어서, 핸들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가동측 하우징(2)에 전달되어, 가동측 하우징(2)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면, 핸들의 중립위치로부터 가동측 하우징(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및 제 2 플랫 케이블(3, 4)의 반전부(3a, 4a)는 가동측 하우징(2)보다 적은 회전량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들 반전부(3a, 4a)에 추종하여 이동체(5)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들의 이동량의 약 2배의 길이의 플랫 케이블(3, 4)이 내통부(9)쪽으로부터 풀려 나와 외통부(8)쪽에 되감겨져 되감김상태가 된다. 이 경우, 감김 지름이 큰 제 2 플랫 케이블(4)의 반전부(4a)의 쪽이 감김 지름이 작은 제 1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보다 빠르게 이동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W1〈 W2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반전부(3a, 4a)는 각각 개구(14, 15)의 한쪽 끝단에 위치하는 고정통(13)을 압압하여, 이동체(5)는 양 반전부(3a, 4a)로부터의 힘을 받아 수납부(10) 내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상기와는 반대로, 핸들의 중립상태로부터 가동측 하우징(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양 플랫 케이블(3, 4)의 반전부(3a, 4a)는 가동측 하우징(2)보다 적은 회전량만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들 반전부(3a, 4a)에 추종하여 이동체(5)도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이들의 이동량의 약 2배인 길이의 플랫 케이블(3, 4)이 외통부(8)로부터 풀려 나와 내통부(9)에 감겨지고, 감아조임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도 감김 지름이 큰 제 2 플랫 케이블(4)의 반전부(4a)쪽이 감김 지름이 작은 제 1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보다 빠르게 이동하나, W1〈 W2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 반전부(3a, 4a)는 각각 개구(14, 15)의 타단에 위치하는 롤러(12)를 잡아당겨, 이동체(5)는 양 반전부(3a, 4a)로부터의 힘을 받아 수납부(10) 내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매의 플랫 케이블(3, 4)의 내통부(9)에 대한 감김 지름의 차에 따라, 이들 플랫 케이블(3, 4)의 반전부(3a, 4a)가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개구(14, 15)의 폭 치수(W1, W2)를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가동측 하우징(2)의 회전동작시에, 이동체(5)의 회전구동은 주로 감김 지름이 큰 플랫케이블(4)의 반전부(4a)의 주도에 의하여 행하여지나, 또하나의 플랫 케이블(3)의 반전부(3a)도 회전 중에 제 1 개구(14)의 끝단부에 맞닿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양 플랫 케이블(3, 4)의 반전부(3a, 4a)로부터의 힘을 이동체(5)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고, 특히 제 1 및 제 2 개구(14, 15)가 이동체(5)의 180도 대향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양 플랫 케이블(3, 4)의 안쪽끝을 가동측 조인트부(17)로 1개소에 집약하였기 때문에, 핸들쪽의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회전커넥터의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개구(14)를 거쳐 롤러(12)와 대향하는 고정통(13)의 직경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케이블누름부(13a)가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제 2 개구(15)를 거쳐 롤러(12)와 대향하는 고정통(13)의 직경방향에 따른 양단부에도 케이블누름부(1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후자의 케이블누름부(13b)쪽이 전자의 케이블누름부(13a)보다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특히 양 케이블누름부(13b) 중, 안쪽의 케이블누름부(13b)는 제 2 개구(15)의 안쪽의 간극을 충분히 작게 하도록 연장되고 있다. 또, 회전판(11)의 안쪽둘레가장자리에 복수의 케이블규제벽(18)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케이블규제벽(18)은 제 1 및 제 2 개구(14, 15)를 제외한 롤러(12) 사이 및 롤러(12)와 고정통(13) 사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커넥터의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나, 2매의 플랫 케이블(3, 4)의 내통부(9)에 대한 감김지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 반전부(3a, 4a)로부터의 힘을 이동체(5)에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제 2 개구(15)의 지름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케이블누름부(13b)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개구(15)의 안쪽과 바깥쪽을 지나는 제 1 플랫 케이블(3)이 폭치수가 큰 제 2 개구(15) 내에서 소망하지 않게 변형하는 것을 케이블누름부(13b)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변형되기 쉬운 안쪽의 제 1 플랫 케이블(3)에 대하여 안쪽의 케이블누름부(13b)를 충분히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플랫 케이블(3)의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개구(14)는 제 2 개구(15)에 대하여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어, 제 1 개구(14)의 안쪽과 바깥쪽을 지나는 제 2 플랫 케이블(4)이 제 1 개구(14) 내에서 소망하지 않게 변형될 가능성은 적으나, 제 1 개구(14)의 지름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도 케이블누름부(13a)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플랫 케이블(4)의 변형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개구(14, 15)를 제외한 회전판(11)의 안쪽둘레가장자리에 복수의 케이블규제벽(1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케이블누름부(13a, 13b)의 기능과 더불어 양 플랫 케이블(3, 4)의 변형을 이동체(5)의 전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2매의 플랫 케이블을 사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3매 이상의 플랫 케이블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각 플랫 케이블의 내통부에 대한 감김 지름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의 폭 치수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수납부에 배치된 이동체에 복수 매의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를 설치하고, 이들 개구의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하면, 감아 조임 또는 되감기 시에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감김 지름의 차이에 기인하여 다른 속도로 이동한다고 해도 이들 복수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각각 작용시킬 수 있어, 이동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각 개구를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하면,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로부터의 힘을 이동체에 균형 좋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내통부에 각 플랫 케이블의 한쪽 끝단을 한 개소에 집약하는 조인트부를 설치하고, 이 조인트부를 거쳐 각 플랫 케이블의 한쪽 끝단을 제 2 하우징의 외부로 도출하면, 외부커넥터와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면, 이동체의 안쪽과 바깥쪽에 감겨지는 플랫 케이블 중, 특히 안쪽의 플랫 케이블이 큰 개구 내에서 소망하지 않게 변형하는 것을 케이블누름부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작은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도 동일한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고 이 케이블누름부를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개구쪽의 케이블누름부보다 작게 설정하면, 플랫 케이블의 변형을 이동체의 전 둘레에 걸쳐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체에 개구를 거쳐 대향하는 회전 자유로운 롤러와 회전하지 않는 고정주를 설치하고 이 롤러에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를 루프시키면, 반전부로부터의 압압력이 고정주를 거쳐 이동체에 확실하게 전달되어, 이동체를 수납부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으나, 이 고정주에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Claims (15)

  1. 외통부를 가지는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환상의 수납부를 거쳐 상기 외통부에 대향하는 내통부를 가지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 내에 도중에서 감김 방향을 반전하는 상태로 감겨지고, 그 양단이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에 각각 고정된 복수 매의 플랫 케이블과; 상기 수납부 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이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구의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구를 상기 이동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에 상기 각 플랫 케이블의 한쪽 끝단을 1 개소에 집약하는 조인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작은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그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고 이 케이블누름부를 둘레방향에 따른 폭 치수가 가장 큰 개구쪽의 상기 케이블누름부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8. 제 2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큰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을 따른 끝단부에,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작은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을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고, 이 케이블누름부를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큰 개구쪽의 상기 케이블누름부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2. 제 3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큰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을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작은 상기 개구의 지름방향을 따른 끝단부에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반전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케이블누름부를 설치하고, 이 케이블누름부를 둘레방향을 따른 폭치수가 가장 큰 개구쪽의 상기 케이블누름부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누름부를 상기 이동체에 고정한 고정주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커넥터.
KR1019980027548A 1997-07-10 1998-07-09 회전커넥터 KR100296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538997A JP3518655B2 (ja) 1996-07-15 1997-07-10 回転コネクタ
JP9-185389 199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04A KR19990013704A (ko) 1999-02-25
KR100296757B1 true KR100296757B1 (ko) 2001-08-07

Family

ID=1616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548A KR100296757B1 (ko) 1997-07-10 1998-07-09 회전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2716B1 (ko)
KR (1) KR100296757B1 (ko)
GB (1) GB2328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9008B2 (ja) * 1999-02-05 2004-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1341945A (ja) * 2000-05-30 2001-12-1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WO2006037109A2 (en) * 2004-09-27 2006-04-06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set improvements
JP2008021555A (ja) 2006-07-13 2008-01-31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
JP4448882B2 (ja) 2008-01-08 2010-04-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5123071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123070B2 (ja) * 2008-06-19 2013-01-16 ナイルス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624972B2 (ja) * 2011-10-31 2014-1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DE102012201695A1 (de) * 2012-02-06 2013-08-08 Robert Bosch Gmbh Drehübertrager für Robo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631A (ja) * 1995-10-20 1997-05-02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938Y2 (ja) * 1992-09-04 1997-07-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体と固定体間の伝送装置
TW317043B (ko) * 1994-07-19 1997-10-01 Methode Electronics Inc
US5882216A (en) * 1996-07-15 1999-03-16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631A (ja) * 1995-10-20 1997-05-02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813084D0 (en) 1998-08-19
US6302716B1 (en) 2001-10-16
GB2328330A (en) 1999-02-17
GB2328330B (en) 2002-10-30
KR1999001370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094B1 (ko) 회전커넥터
JPH0321544A (ja) 配線装置
JP2826009B2 (ja) ケーブルリール
KR100239030B1 (ko) 회전 커넥터
KR100296757B1 (ko) 회전커넥터
JP3518673B2 (ja) 車載用回転コネクタ
JP2710911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3199595B2 (ja) 回転コネクタ
JPH113762A (ja) 回転コネクタ
US5690500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rotor with stator through cable
JP3518655B2 (ja) 回転コネクタ
JP2911025B2 (ja) 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JP2000150098A (ja) 回転コネクタ
JP3234858B2 (ja) 回転コネクタ
JP3518659B2 (ja) 回転コネクタ
JP3035155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3037784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3408941B2 (ja) 回転コネクタ
JP2001015239A (ja) 回転コネクタ
JP3273425B2 (ja) 回転コネクタ
JP3017000B2 (ja) ケーブルリール
JPH05326093A (ja) ケーブルリール
JPH0917542A (ja) 回転コネクタ
JPH118036A (ja) 回転コネクタ
JPH113761A (ja) 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