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2405A -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 Google Patents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2405A
KR970072405A KR1019970015405A KR19970015405A KR970072405A KR 970072405 A KR970072405 A KR 970072405A KR 1019970015405 A KR1019970015405 A KR 1019970015405A KR 19970015405 A KR19970015405 A KR 19970015405A KR 970072405 A KR970072405 A KR 97007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nes
terminals
memory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024B1 (ko
Inventor
소따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7007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강유전체 메모리에서, 반도체 메모리 셀은 행렬 어레이로 배열되며 플레이트선, 워드선, 및 비트선에 각각 접속되어 있어 동작 전압에 응답하여 어드레스된 메모리 셀의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를 변경시킨다. 제1세트의 도전 소자는 제1전위가 제1단자에 인가될 때 제1단자에서 플레이트선으로의 분기로를 만들고, 제2세트의 도전 소자는 제2전위가 제2단자에 인가될 때 제2단자로부터 워드선으로의 분기로를 만든다. 제3세트의 도전 소자는 제3전위가 제3단자에 인가될 때 제3단자에서 비트선으로의 분기로를 만든다. 메모리 셀중 적어도 하나의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단락 상태이면 충분한 전류가 이상 상태를 복구하기 위해 셀내로 흐르게 된다.

Description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성 메모리 어레이의 회로도.

Claims (10)

  1. 복수의 플레이트선들(13); 복수의 워드선들(15); 복수의 비트선들(14); 각각 강유전성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은 상기 플레이트선들, 상기 워드선들 및 상기 비트선들에 각각 접속되어 있어 각 메모리 셀의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를 상기 메모리 셀에 인가된 동작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변화시키고; 제1, 제2 및 제3단자(17, 19, 21;61, 64, 67); 상기 제1단자에 제1전위가 인가될 때 상기 제1단자(17;61)에서 상기 플레이트선들(13)로의 복수의 경로를 각각 만들기 위한 복수의 제1도전 수단들(16;60); 상기 제2단자에 제2전위가 인가될 때 상기 제2단자(19;64)로부터 상기 워드선들(15)로의 복수의 경로를 각각 만들기 위한 복수의 제2도전 수단들(18;63); 및 상기 제3단자에 제3전위가 인가될 때 상기 제3단자(21;67)로부터 상기 비트선들(14)로의 복수의 경로를 각각 만들기 위한 복수의 제3도전 수단들(20;6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는 상기 메모리 셀들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단락 경로를 가지면 상기 단락 경로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전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도전 수단 각각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도전 수단 각각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중 하나는 전압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는 상기 메모리 셀의 동작 전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6. 복수의 플레이트선들(13); 복수의 워드선들(15); 복수의 비트선들(14); 각각 강유전성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은 상기 플레이트선들, 상기 워드선들 및 상기 비트선들에 각각 접속되어 각 메모리 셀의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를 상기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변경시키고; 제1, 제2 및 제3단자(17, 19, 20); 상기 제1단자(17)에 접속된 제1도전형의 제1반도체 영역(30)과, 상기 제1반도체 영역에서 상기 플레이트선들(13)에 접속된 상기 제1도전형과 반대인 제2도전형의 복수의 제2반도체 영역들(31); 상기 제2단자(19)에 접속된 상기 제1도전형의 제3반도체 영역(35)과, 상기 제3반도체 영역에서 상기 워드선들(15)에 접속된 상기 제2도전형의 복수의 제4반도체 영역들(36); 및 상기 제3단자(21)에 접속된 상기 제1도전형의 제5반도체 영역(40)과 상기 제5반도체 영역에서 상기 비트선들(14)에 접속된 상기 제2도전형의 복수의 제6반도체 영역들(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7. 복수의 플레이트선들(13); 복수의 워드선들(15); 복수의 비트선들(14); 각각 강유전성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은 상기 플레이트선들, 상기 워드선들 및 상기 비트선들에 각각 접속되어 각 메모리 셀의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를 상기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변경시키고; 제1쌍의 단자(61, 62); 제2쌍의 단자(64, 65); 제3쌍의 단자(67, 68); 상기 제1쌍의 단자(61)중 하나에 접속된 제1반도체 영역(70A), 상기 플레이트선들(13)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제2반도체 영역들(71A) 및 상기 제1과 제2반도체 영역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1쌍의 단자(62)중 다른 하나의 접속된 제1도전영역(72A); 상기 제2쌍의 단자(64)중 하나에 접속된 제3반도체 영역(70B), 상기 워드선들(15)에 각각 접속된 제4반도체 영역들(71B) 및 상기 제3과 제4반도체 영역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2쌍의 단자(65)중 다른 하나에 접속된 제2도전 영역(72B); 및 상기 제3쌍의 단자(67)중 하나에 접속된 제5반도체 영역(70C), 상기 비트선들(14)에 각각 접속된 제6반도체 영역들(71C) 및 상기 제5와 제6반도체 영역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3쌍의 단자(68) 중 다른 하나에 접속된 제3도전 영역(7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8. 복수의 플레이트선들(13), 복수의 워드선들(15), 복수의 비트선들(14), 각각 강유전성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셀들(10)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셀들은 상기 플레이트선들, 상기 워드선들 및 상기 비트선들에 각각 접속되어, 각 메모리 셀의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를 상기 메모리 셀과 제1, 제2 및 제3단자(17,19,21;61,64,67)에 인가된 동작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를 통해 변경시키고 있는 메모리에서, 상기 메모리의 이상 상태를 복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17:61)에서 상기 플레이트선들(13)로의 복수의 경로를 만들어 제1전위를 상기 제1단자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2단자(19;64)에서 상기 워드선들(15)로의 복수의 경로를 만들어 제2전위를 상기 제2단자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단자(21;67)에서 상기 비트선들(14)로의 복수의 경로를 만들어 제3전위를 상기 제3단자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는 상기 메모리 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셀의 강유전성 커패시터가 단락 경로를 가지면 상기 단락 경로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전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이상 상태 복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중 하나는 전압 펄스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이상 상태 복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위는 상기 메모리 셀의 상기 동작 전압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의 이상 상태 복구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15405A 1996-04-25 1997-04-24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KR100230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04880 1996-04-25
JP8104880A JP2937254B2 (ja) 1996-04-25 1996-04-25 強誘電体メモリの修復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405A true KR970072405A (ko) 1997-11-07
KR100230024B1 KR100230024B1 (ko) 1999-11-15

Family

ID=1439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405A KR100230024B1 (ko) 1996-04-25 1997-04-24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68175A (ko)
JP (1) JP2937254B2 (ko)
KR (1) KR100230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1754A (en) * 1998-11-02 2000-02-29 Celis Semiconductor Corporation Ferroelectric memory with increased switching voltage
KR20000044902A (ko) 1998-12-30 2000-07-15 김영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US6515889B1 (en) * 2000-08-31 2003-02-04 Micron Technology, Inc. Junction-isolated depletion mode ferroelectric memory
KR100762225B1 (ko) * 2001-06-30 2007-10-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셀 플레이트 전압 안정화 회로
JP2005339588A (ja) * 2004-05-24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記憶装置の検査方法と半導体記憶装置
JP4647313B2 (ja) * 2005-01-06 2011-03-09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470B1 (ko) * 1989-03-28 1993-04-02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전기적인 독출/기록동작이 가능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정보독출방법
DE4110407A1 (de) * 1990-03-30 1991-10-02 Toshiba Kawasaki Kk Halbleiter-speicheranordnung
JPH05249490A (ja) * 1992-03-06 1993-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Tft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JP2953316B2 (ja) * 1994-08-12 1999-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強誘電体メモリ
JP3183076B2 (ja) * 1994-12-27 2001-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強誘電体メモ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024B1 (ko) 1999-11-15
US5768175A (en) 1998-06-16
JPH09293396A (ja) 1997-11-11
JP2937254B2 (ja) 199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4835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40004645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40016841A (ko) 정적 램 셀 및 메모리 소자
KR840003894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1000699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KR890008849A (ko) 퓨우즈 상태 검출회로
NL8006634A (nl) Geintegreerde halfgeleider keteninrichting met regelsignaalopwekketens.
US20200083236A1 (en) Memory cell,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memory cell
KR890016573A (ko) 반도체기억장치
KR880000974A (ko) 휴즈회로와 그 내의 휴즈상태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갖는 반도체장치
KR960002796A (ko) 반도체 소자의 컬럼 리던던시 장치
KR930020695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890005743A (ko) 저잡음 반도체 메모리
KR850003611A (ko) 반도체 기억장치의 메모리 셀(cell) 캐패시터 전압인가회로
KR93002044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라인 프리차아지방식
KR850008566A (ko) 대치용장 회로를 가진 반도체집적 회로
KR20010053585A (ko) 강유전성 기억 장치
KR930014610A (ko) 반도체 집적회로
US3990056A (en) High speed memory cell
US6404667B1 (en) 2T-1C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970072405A (ko) 이상 복구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KR850003046A (ko) 다이나믹 메모리(dynamic memory)
US4597059A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64376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기준 비트라인 셀
KR870002654A (ko) 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