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95B1 -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95B1
KR970006295B1 KR1019930011912A KR930011912A KR970006295B1 KR 970006295 B1 KR970006295 B1 KR 970006295B1 KR 1019930011912 A KR1019930011912 A KR 1019930011912A KR 930011912 A KR930011912 A KR 930011912A KR 970006295 B1 KR970006295 B1 KR 97000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rtridge
toner
cylindrical body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926A (ko
Inventor
마모루 와타나베
미치히로 후지이
히데유키 난바
마사토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세키자와 스토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세키자와 스토무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4Arrangements for purging used developer from the develop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5Generally cylindrical container shape having two e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구조에서 중요 부분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현상 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서 도시된 형상 장치에서 교반 스크루와 토너 농도 센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7a도는 제6도의 교반 스크루의 사시도.
제7b도는 제6도의 토너 농도 센서의 사시도.
제8도는 제3도에 도시된 드럼 유닛의 전방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드럼 유닛의 측단면도.
제10a도는 제9도에 도시된 폐토너 회수 기구의 전방 단면도.
제10b도는 제9도에 도시된 폐토너 회수 기구의 측단면도.
제11도는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된 폐토너 회수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제9도에 도시된 폐토너 회수 기구의 변형의 설명도.
제13도는 제9도에 도시된 폐토너 회수 기구의 다른 변형의 설명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형상제 카트리지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 드럼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내부 드럼의 설명도.
제17도는 제14도에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부 케이스의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외부 케이스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4도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배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측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현상제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3도는 제19도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의 설명도.
제24도는 현상 장치에 설치된 제19도의 현상제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제25도는 설치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구동기 사이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제26a도 내지 제26c도는 현상제 카트리지의 방출 스크루의 설명도.
제27도는 제23도에 도시된 폐토너 반송 기구의 설명도.
제28도는 제27도에 도시된 폐토너 반송 기구의 중요 부분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9a, 29b, 30a 및 30b도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31도는 현상제 카트리지 교환 순서의 설명도.
제32a도 및 제32b도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부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33a 내지 제33f도는 현상제 카트리지 교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34a도 및 제34b도는 현상제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제35a도 및 제35b도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부착될 때의 카트리지 판별을 설명하는 도면.
제36도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부착될 때의 자동 세팅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37도는 제19도의 구동기의 정면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구동기의 정면도.
제39도는 제37도의 구동기의 하부측면도.
제40도는 제37도의 구동기의 좌측면도.
제41도는 제37도에 도시된 현상 장치의 구동축의 설명도.
제42a도 내지 제42d도는 제37도에 도시된 패들 축의 설명도.
제43도 및 제44도는 제37도의 구동기의 캠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4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선도.
제46도 및 제47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교환 동작의 타임챠트.
제48a, 48b, 49a, 49b, 50a, 50b, 51a, 51b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교환 동작의 설명도.
제52a도 내지 제52d도는 현상제 교환 동작에서 캠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현상 장치 5 : 카트리지
30 : 감광 드럼 44 : 투입 포트
45 : 방출 포트 46 : 방출 셔터
60 : 현상제 저장실 61 : 토너 저장실
71 : 폐현상제 저장실 72 : 현상제 투입 포트
73 : 토너 투입 포트 74 : 회수 셔터
75 : 폐토너 회수 포트 78 : 방출 스크루
본 발명은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 현상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현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 장치내의 현상제를 교환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 현상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과 같은 잠상 캐리어 위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상 장치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현상제는 토너 및 캐리어 두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현상제의 토너가 현상 공정에 소비되므로, 토너가 보충되어야 한다. 이것은 토너 카트리지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현상 장치내의 현상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저하되기 때문에 화상의 질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구현상제를 신현상제로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 이 교환은 종종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조작자의 손을 더럽히지 않고 현상제 교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반적으로, 현상제 교환은 다음과 같다. 미사용된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내의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해 비어 있는 회수 카트리지가 현상 장치내에 위치된다. 그 다음, 현상 장치의 현상제가 회수 카트리지에 회수된 후, 미사용된 현상제가 현상제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장치내로 공급된다. 이 방법은 두개의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따라서 교환을 까다롭게 한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5,109,254호 및 일본국 미심사 특허 공보 118675/1992에는 현상제의 자동교환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단일 카트리지로 설계된 상기 두개의 카트리지를 갖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현상제 교환 구역이 현상 장치의 측면에 제공된다. 현상제 카트리지는 원통형 부분과, 원통형 부분 위에 배치되고 사용된 현상제가 이곳에 머물게 되는 현상제 저장실, 및 상기 원통형 부분 아래에 위치된 회수실을 포함한다. 이 현상제 카트리지는 현상 장치의 현상제 교환 구역에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현상제 카트리지의 원통형 부분은 현상 장치의 현상제 교환 구역에 끼워 맞춰진다. 현상제 카트리지의 회수실의 셔터(shutter)가 개방될 때, 현상 장치내의 사용된 현상제는 현상제 교환 구역으로부터 회수실내로 떨어진다. 그후에, 회수실의 셔터는 폐쇄되고 현상제 저장실의 셔터는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현상제 저장실내의 미사용된 현상제는 현상 장치내로 공급되도록 현상제 교환 구역내로 떨어진다. 현상 장치내의 현상제는 이 방법으로 미사용된 현상제와 교환된다.
전술된 일본 미심사 특허공보 118675/1992는 보충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실이 현상제 저장실 다음에 제공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교환될 현상제의 양과 보충되는 토너의 양이 적을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그러나, 교환될 많은 양의 현상제와 많은 양의 토너 보충이 있을 때, 현상제 저장실과 토너 저장실 및 현상제 카트리지의 회수실을 길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현상제 카트리지는 반드시 길게 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제 카트리지의 취급 문제점이 발생하며, 현상제 카트리지의 저장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감광 드럼 주위의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내에 현상제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생기며, 그 결과 현상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또한, 현상 장치의 현상제 교환 구역을 현상 장치의 추가 부분으로 인해 더욱 작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작아진 교환 영역내에서 현상제를 교환한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더우기, 토너가 이렇게 작은 현상제 교환 구역을 사용하여 보충되기 때문에, 보충 가능한 토너의 양은 작아지고, 그 결과 토너 보충이 제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루기 편리한 형상을 지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현상제의 교환 및 토너의 보충이 용이해지도록 설계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장치내에 자유 공간(free space)를 이용하여 현상제의 교환 및 토너의 보충을 확실히 실시하도록 설계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의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설계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는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의 보충을 부드럽게 실시하도록 설계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연장된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제공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실린더를 구비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제1현상제 저장실의 통로와 제2현상제 저장실의 통로와 연관되어 각각 제공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현상제 저장용 제1현상제 저장실과 토너 저장용 제2현상제 저장실은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현상제 카트리지의 크기는 더욱 작아진다. 따라서, 현상제 카트리지의 취급이 더욱 쉬워지며, 이 현상제 카트리지를 자유 공간에 자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순환 잠복 캐리와; 정전 잠상을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상에 형성시키는 수단들과; 정전 잠상을 순환 잠복 화상에 현상시키는 수단들과; 현상제의 교환과 토너의 보충을 실시하는 현상 수단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그리고 사용한 현상제를 미사용한 현상제로의 교환 및 토너 보충을 위해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원통형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이 연장된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제공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실린더를 구비한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는 제1현상제 저장실의 통로와 제2현상제 저장실의 통로와 연관되어 각각 제공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명세서의 일부분에 포함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에 주어진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에 서술될 양호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하며,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도울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고, 제2도는 제1도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구조에서 중요 부분의 장치를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기의 구성요소이다. 이 인쇄기는 인쇄용지를 보유하는 3개의 용지 카세트(10)와, 인쇄기의 좌측 및 우측문(11,12)와, 인쇄된 용지를 보유하기 위해 상부에 제공된 스태커(13) 및 인쇄기를 작동시키는 작동패널(14)를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기는 회전가능 감광 드럼(30), 감광 드럼(30)을 대전시키는 사전충전기(31), 잠상을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30)상에 광화상을 기록하는 레이저 광학 유닛(32), 감광 드럼(30)상의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 장치(4), 감광 드럼(30)의 토너 화상을 공급될 용지상에 전사하고 이 용지를 분리하는 전사/분리 유닛(33) 및 화상 전사후 감광 드럼(30)을 소제하는 클리너(34)를 갖는다. 현상제 카트리지(5)는 현상제를 회수 및 공급하고 토너를 보충하며 폐토너를 회수하기 위해 현상 장치(4)에 부착된다.
용지 공급 시스템은 용지 카세트(10)에서 용지를 빼내기 위한 피크 롤러(20), 빼낸 용지를 유지 롤러(22)로 공급하는 공급 롤러(21) 및 토너 화상 전사후 용지를 열적으로 정착하는 열 롤러 정착 장치(23)를 갖는다. 이 용지 공급 시스템은 또한 용지의 후방 단부를 열 롤러 정착 장치(23)로부터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쪽으로 향하게 하는 블레이드 휠(24), 열 롤러 정착 장치(23)으로부터 용지를 방출 방향으로 공급하고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스위치백 롤러(25), 용지의 방출을 안내하는 안내 롤러(27), 인쇄된 용지를 스태커(13)으로 방출하는 방출 롤러(28), 공급 롤러를 사용하여 스위치백 롤러(25)로부터의 용지를 유지 롤러(22)로 공급하기 위한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을 구비한다.
이 인쇄기의 동작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감광 드럼(30)이 사전충전기(31)에 의해 대전된 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학 시스템 유닛(32)에 의해 광화상이 드럼(30)상에 기록된다. 그 다음, 감광 드럼(30)은 토너 화상을 갖도록 현상 장치(4)에 의해 현상된다. 그 사이에, 인쇄 용지는 피크 롤러(20)에 의해 관련된 용지 카세트(10)으로부터 빼내져서 공급 롤러(21)에 의해 유지 롤러(22)로 공급된다. 이 용지는 감광 드럼(30)상의 토너 화상과 동시성을 갖도록 유지 롤러(22)에 의해 유지된다.
전사/분리 유닛(33)은 감광 드럼(30)의 토너 화상을 유지 롤러(22)에 의해 공급된 용지상에 전사하고, 그 후에 그 용지를 감공 드럼(3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토너 화상이 열 롤러 정착 장치(23)에 의해 정착된 후, 그 용지는 스위치백 롤러(25)쪽으로 공급된다. 또한, 그 용지는 스위치백 롤러(25)에 의해 스태커(13)쪽으로 공급된다. 용지의 후방 단부가 블레이드 휠(24)에 도달할 때, 스위치백 롤러(25)는 용지 공급을 중지한다. 용지 공급이 중지될 때, 용지의 후방 단부는 블레이드 휠(24)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쪽으로 향하게 된다. 스위치백 롤러는 용지를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으로 공급하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용지는 또한 배면 인쇄 급지 통로(26)의 공급 롤러에 의해 유지 롤러(22)로 공급된다.
그후, 전사/분리 유닛(33)은 감광 드럼(30)의 토너 화상을 용지의 배면상에 전사하고 용지의 전면 인쇄와 같이 용지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토너 화상이 열 롤러 정착 장치(23)에 의해 정착된 후, 그 용지는 스위치백 롤러(25)쪽으로 공급된다. 또한, 그 용지는 스위치백 롤러(25)에 의해 스태커(13)쪽으로 공급되고 방출 롤러(28)에 의해 스태커(13)상에 방출된다. 양면 인쇄는 이 방식으로 용지상에 실행된다. 단면 인쇄에 있어서는 단지 용지의 윗면만 인쇄된 후 그 용지가 스태커(13)상에 방출된다.
이 인쇄기에 있어서, 용지 카세트(10)은 앞쪽으로부터 인쇄기 내로 설치되고 용지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태커(13) 위로 방출된다. 이렇게 설계된 인쇄기는 어느 쪽면에도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간을 가능한 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방출 통로가 스위치백 통로로 사용되므로, 양면 인쇄기는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제3도를 참조하여, 현상 장치(4) 및 현상제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고 함)(5)가 기술될 것이다. 현상 장치(4)는 현상제를 감광 드럼(30)상에 공급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40), 토너 및 캐리어로 이루어진 현상제를 교반하는 한쌍의 교반 스크루(41), 현상 롤러로부터 현상제를 벗기고 그 벗겨진 현상제를 교반 스크루(41)로 되돌리는 회수 블레이드(48) 및 토너를 현상 장치(4)내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롤러(43)를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5)로부터 현상제 및 토너를 수용하는 투입 포트(44)가 현상 장치의 우측 상부에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이 투입 포트(44)는 나중에 기술될 카트리지(5)의 출구포트(72,73)에 면해 있다. 현상제를 방출하는 방출 포트(45) 및 방출 포트(45)를 덮는 방출 셔터(46)이 현상 장치(4)의 교반 스크류(41) 아래에 제공된다. 방출 포트(45) 및 방출 셔터(46)는 카트리지(5)의 회수 구역(77)에 면한다.
이 카트리지(5)는 현상 장치(4)의 감광 드럼(30)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단지 현상 장치(4)를 감광 드럼(30) 주위 공간에 배치하고 그 주위의 자유 공간에 카트리지(5)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광 드럼(30) 주위의 좁은 공간에 카트리지(5)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이것은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데 기여한다.
카트리지(5)가 자유 공간에 위치되므로, 비교적 큰 카트리지(5)가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카트리지(5)는 현상 장치(4)에 의해 배치되고, 카트리지(5)는 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다.
감광 드럼(30), 사전 충전기(31) 및 클리너(34)는 단일 드럼 유닛(3)으로 조립되고, 그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클리너(34)에 의해 제거된 감광 드럼(30)상의 잔류 토너(폐토너)를 반송하는 폐토너 반송 파이프(35)가 클리너(34)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파이프(35)는 카트리지(5)에 폐토너를 방출하도록 카트리지의 상부에 제공된 폐토너 방출 구역(38)에 연결된다.
이렇게 설계됨으로써 현상 장치(4)에 토너가 공급되고, 현상제도 공급된다. 게다가, 클리너(34)로부터 카트리지(5)로 폐토너의 회수 뿐만 아니라 현상 장치(4)로부터 카트리지(5)로 현상제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상 장치(4)는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제4도는 현상 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토너 농도 센서의 설명도, 제7a도는 교반 스크루의 사시도, 및 제7b도는 토너 농도 센서의 사시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교반 스크루(41a,41b)는 각각 나선형 스크루로 이루어진다. 교반 스크루(41a,41b)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격벽(41c)는 교반 스크루(41a,41b) 사이에 제공된다. 교반 스크루(41b)는 도면에서 현상제를 우측으로 반송하는 동안 현상제를 교반한다. 교반 스크루(41b)에 의해 반송되는 현상제는 격벽(41c)를 넘어 교반 스크루(41a) 위에 반송된다. 교반 스크루(41a)는 현상제를 현상 롤러(40)으로 공급하기 위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동안 현상제를 교반한다. 이렇게 설계된 스크루는 현상제가 충분히 교반되도로 하여 교반되지 않는 현상제를 최소화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스크루(41a,41b)에 대응하는 현상 장치(4)의 컨테이너(49) 부분은 각각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교반되지 않는 현상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현상제가 회수될 때, 현상 장치(4)내의 현상제는 교반 스크루(41a,41b)의 반송력에 의해 방출 포트(45)로부터 방출된다. 컨테이너(49)의 하부가 U자 형상을 가지므로, 방출되지 않을 현상제는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현상제를 교환하는 효율성은 향상될 수 있다.
현상 롤러(40)은 정착 자기 롤러와 자기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슬리브를 갖는다. 슬리브상의 자기 브러시의 높이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40-1)에 의해 제한된다. 제7b도에 도시한 토너 농도 센서(47)는 교반 스크루(41a) 아래에 제공된다. 이 토너 농도 센서(47)은 자기 센서로 구성되고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검출한다. 토너 농도 센서(47)이 제공되는 이유는 현상 롤러상의 토너 농도가 정확히 검출될 수 있도록 현상 롤러(40)에 근접하여 토너 농도를 감지하는데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농도 센서(47)은 그것의 상단부가 컨테이너(49)의 U자 형상 하부 아래에 위치되지 않도록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토너 농도 센서(47)은 교반 스크루(41a)와 접촉을 피하기 위해 컨테이너(49)의 하부 약간 아래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현상제는 컨테이너(49)의 하부와 센서(47) 사이의 간극에 있고, 토너 농도는 정확히 검출될 수 없다. 이 점에서, 토너 농도 센서(47)는 그것의 상단부가 컨테이너(49)의 U자 형상 하부 아래에 위치되지 않도록 부착된다. 이 배치에서 토너 농도 센서(47)은 교반 스크루(41a)와 접촉할 것이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토너 농도 센서(47)에 면하는 교반 스크루(41a)의 외부 표면은 스크루(41a)가 토너 농도 센서(47)의 상단부에 대해 부딪치지 않도록 절단된다.
이제 드럼 유닛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제8도는 드럼 유닛의 정면도, 제9도는 드럼 유닛의 측면도, 제10a도는 폐토너 회수 기구의 정면도, 제10b도는 토너 회수 기구의 측면도, 제11도는 토너 회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토너 회수 기구의 변형예의 설명도, 제13도는 토너 회수 기구의 또 다른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제8도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유닛(3)은 감광 드럼(30), 사전 충전기(31) 및 단일 유닛으로 조립된 클리너(34)를 갖는다. 클리너(34)는 감광 드럼(30)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벗겨 내는 스크레핑 블레이드(scraping blade)(34-1), 감광 드럼(30)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클리닝 롤러(34-2), 블레이드(34-1) 및 롤러(34-2)에 의해 제거되고 클리너(34)에 축적되는 토너를 방출하는 폐토너 방출 스크루(37)를 갖는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방출 기구(38)은 드럼 유닛내의 클리너(34)의 폐토너 방출 스크루(37)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이 토너 방출 기구(38)은 드럼 유닛(3)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토너 방출 기구는 방출 스크루(37)의 말단부 주위에 제공된 토너 방출 파이프(381), 드럼 유닛(3)의 돌출 블록(380), 토너 방출 파이프(381)의 말단부를 씌위기 위한 핀(383)으로 돌출 블록(380)상에 지지되는 캡(382)을 갖추고 있다.
이 캡(382)은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드럼 유닛(3)이 교환을 위해 그것으로부터 분리될 때 토너를 클리너(34)로부터 새지 않게 하기 위해 토너 방출 파이프(381)의 말단부를 씌우도록 제공된다.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장치의 프레임(15)에는 클리너(34)의 토너 방출 기구(38)이 삽입되는 구멍, 그 구멍의 상부에 제공된 결합 돌출부(16), 구멍을 덮기 위해 제공되는 폐토너 반송 블록(39)이 있다.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어진 폐토너 반송 파이프(35)는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토너 반송 블록(39)에 연결된다. 구동축(351)에 의해 회전되는 반송 스크루(350)이 이 파이프(35)에 배치되어 있다.
이제 토너 반송 동작에 관해 기술할 것이다. 제9도에서 드럼 유닛(3)은 교체를 위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장치내에 삽입된다. 클리너(34)의 토너 방출 기구(38)은 프레임(15)의 홀에 들어간다. 따라서, 토너 방출 기구(38)의 캡(382)의 결합 레버(382a)는 프레임(15)의 결합 돌출부(16)에 접촉하고, 그것에 의해 제10a도 및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383) 주위에 캡(382)을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방출 파이프(381)의 말단부는 토너가 방출 스크루(37)에 의해 개방부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된다. 이것은 제11도에 나타나 있다. 드럼 유닛(3)이 설치됨에 따라, 방출 파이프(381)의 말단부의 하부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파이프(381)의 하부(394)로부터 폐토너를 방출하기 위해 캡(382)에 의해 자유롭게 된다. 방출된 토너는 폐토너 반송 블록(39)내에 떨어지고 제3도에 도시된 폐토너 방출 구역(36)으로 반송하도록 반송 스크루(350)에 의해 폐토너 반송 파이프(35) 내부에 반송된다.
제12도는 토너 방출 기구(38)의 변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절결부(381b)는 방출 파이프(381)의 말단부에 제공되고 캡(392)는 이러한 변형으로 돌출부(382a)에 제공된다.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캡(382)가 개방될 때, 단지 방출 파이프(381)의 단부면의 하부만이 개방된다. 토너가 물을 흡수하고 유동성이 낮아질 때, 토너는 전술한 개방부(384)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캡(382)로 반송될 것이다. 토너가 방출 스크루(37)에 의해 캡(382)로 압착되므로, 토너는 캡(382)상에 견고하게 고착된다. 이것은 방출 파이프(381)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변형예에서, 경사진 절결부(381b)는 개방부를 더 넓게 하기 위해 방출 파이프(381)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토너 방출 포트는 토너가 확실히 방출될 수 있도록 더 넓어진다. 심지어 토너가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을 흡수해도, 토너가 캡(382)상에 견고하게 고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3도는 토너 방출 기구(38)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변형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파이프(381)의 전방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보조 파이프(381c)를 갖는다. 이 보조 파이프(381c)는 방출 파이프(38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린다. 보조 파이프(381c)는 드럼 유닛(3)의 돌출 블록(380a)에 제공된 스프링(381d)에 연결되고 캡(382)쪽으로 가해진다. 그러므로, 보조 파이프(381c)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파이프(381)을 씌우기 위해 캡(382)에 대해 인접해 있다. 드럼 유닛(3)이 설치될 때, 캡(282)는 결합 돌출부(16)에 의해 회전되고 보조 파이프(381c)는 스프링(381d)를 압축하도록 프레임(15)상에 제공된 다른 결합 돌출부(17)에 인접하고 방출 파이프(381)의 정면 단부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방출 파이프(381)의 개방부는 따라서 더 넓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토너 방출 포트는 제12도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토너가 확실히 방출되도록 넓어진다. 심지어 토너가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물을 흡수해도, 토너가 견고하게 캡(382)상에 고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제 전술한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카트리지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제15도는 카트리지의 내부 드럼의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내부 드럼의 설명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외부 케이스의 정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외부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핸들(51)은 조작자의 손에 쉽게 잡히도록 카트리지(5)의 상부에 제공되고, 카트리지(5)를 손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카트리지(5)의 우측 측면상에 제공된다. 카트리지(5)는 내부 드럼(6) 및 폐현상제 저장실(71)을 보유하도록 내부 드럼 유지 구역(70)을 갖는 외부 케이스(7)과 내부 드럼(6)을 포함한다. 이 폐현상제 저장실(71)은 현상 장치(4)의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외부 케이스(7)는 내부 드럼 유지 구역(70)의 하부에 토너 투입 포트(73)과 현상제 투입 포트(72)를 포함하고, 드럼 유지 구역(70)의 상부에 폐토너 회수 포트(75)가 있다. 외부 케이스(7)의 폐현상제 저장실(71)에는 회수 포트(77)을 덮는 회수 셔터(74)가 제공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드럼(6)의 내부는 격벽(62)에 의해 좌측부 및 우측부로 분할된다. 하나는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제 저장실(60)이고 , 다른 하나는 보충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저장실(61)이다. 현상제 저장실(60)에는 미사용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통로(63) 및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한 패들(64)가 제공된다. 토너 저장실(61)에는 보충 토너를 방출하기 위한 토너 공급 통로(65) 및 토너를 방출하기 위한 패들(66)이 제공된다.
양패들(64,66)을 구동하기 위한 패들 축(64a)가 내부 드럼(6)의 센터에 배치된다. 측면핸들(51)은 내부 드럼(6)의 우측 단부에 제공된다. 내부 드럼(6)의 좌측 단부에는 잠금 돌출부(67a)를 갖고 내부 드럼(6)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과 결합되는 회전가능한 결합부(67), 카트리지의 신/구 여부를 판별하는 신/구 판별구역(68) 및 잠금 포올(69)가 제공된다.
제1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기에는 내부 드럼(6)의 좌측 단부상에 제공된 3개의 현상제 공급 통로(63)과 그 통로(62) 주위에 위치된 누출 방지 밀봉부(63a)가 있다. 제1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기에는 내부 드럼(6)의 우측 단부에 제공된 4개의 토너 공급 통로(65)와 그 통로(65) 주위에 위치된 누출 방지 밀봉부(65a)가 있다. 현상제 공급 통로(63)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드럼(6)의 회전 방향으로 120도로 토너 공급 통로(65)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7)에는 상부 핸들(50), 내부 드럼(6)을 유지하는 드럼 내부 유지 구역(70) 및 전술한 바와 같이 폐현상제를 저장하는 폐현상제 저장실(71)이 제공된다. 내부 드럼 유지 구역(70)의 상부에는 폐토너 회수 포트(75), 폐토너 방출 구역(36)의 방출 셔터를 개방하기 위한 셔터 개방/폐쇄 돌출부(75a) 및 외부 케이스 잠금 포올(76)이 제공된다. 거기에는 내부 드럼 유지 구역(70)의 하부에 제공되는 3개의 현상제 투입 포트(72)와 4개의 토너 투입 포트(73)이 있다. 돌출 블록(71a)는 폐현상제 저장실(71)에 제공된다. 사용된 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 포트(77) 및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실(71)로 안내하는 방출 스크루(78)은 돌출 블록(71a)의 좌측부에 제공된다. 또한 폐현상제 저장실(71)의 바닥부(71b)는 돌출 블록(71a)의 회수 포트(77)의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외부 케이스(7)을 갖는 카트리지 어셈블리 및 함께 조립된 내부 드럼(6)이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제19도는 제14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배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배면도, 제21도는 제19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측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는 내부 드럼 유지 구역(70)에 내부 드럼(6)을 위치시킴으로써 완전하게 된다. 카트리지(5)는 그것이 상부에 상부 핸들(50), 폐토너 회수 포트(75), 셔터 개방/폐쇄 돌출부(75a) 및 외부 케이스 잠금 포올(76)을 구비한다. 카트리지(5)에는 또한 하부에 현상제 투입 포트(72) 및 토너 투입 포트(73)이 있다. 게다가, 회수 셔터(74)는 카트리지(5)의 하부에 있는 폐현상제 저장실(71)에 제공된다. 이 회수 셔터(74)는 그것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현상 장치의 돌출부와 결합하는 돌출부(74a)를 갖는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스크루(78)은 폐현상제 회수 포트(77)의 하부에 제공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기에는 폐토너 회수 포트(75)를 덮기 위한 밀봉 탭(a1) 및 포트(77,72,73) 각각을 밀봉하도록 현상제 투입 포트(72) 및 토너 투입 포트(73)를 덮기 위한 밀봉 탭(a2)가 있다. 또한, 제19, 21 및 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출부(67a)를 갖는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은 카트리지(5)의 좌측 단부에 제공되고, 패들 축(64a), 신/구 판별 구역(68), 잠금 포올(69) 및 저장된 현상제 토너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세팅 구역(79)은 카트리지(5)의 좌측 단부에 제공된다.
이제 이 카트리지(5)를 설치하는 동작에 관하여 기술할 것이다. 제23도는 제19도의 카트리지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구동기의 설명도이고, 제24도는 현상 장치에 설치된 제19도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5도는 설치된 카트리지와 구동기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6a도 내지 제26c도는 카트리지의 방출 스크루의 설명도이고, 제27도는 제23도에 도시한 폐토너 반송 기구의 설명도이며, 제28도는 제27도에 도시한 폐토너 반송 기구의 중요부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3도에서, 카트리지(5)를 세팅하는 프레임(9)는 카트리지(5)를 구동시키기 위해 배면에 제공되는 구동기(8)를 갖는다. 이 프레임(9)에는 회전가능 결합부(67) 및 카트리지(5)의 결합 돌출부(67a)가 고정될 설치 구멍(90)과, 내부 드럼(6)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카트리지(5)의 외부 케이스 잠금 포올(76)을 풀리게 하는 잠금 해제 로드(91) 및 신/구 세팅 구역(68)을 작동시키는 신/구 세팅 로드(92)가 제공된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8)에는 구동축(80)이 제공된다. 이 구동축(80)은 패들 구동축(80a) 및 구동 돌출부(80b)를 갖는다. 패들 구동축(80a)는 패들 축(64a)을 회전시키도록 카트리지(5)의 패들 축(64a)과 결합한다. 구동 돌출부(80b)는 내부 드럼(6)을 회전시키도록 카트리지(5)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과 결합한다. 구동기(8)에는 또한 현상 장치(4)의 토너 공급 롤러(43)를 구동하기 위한 현상 장치 구동축(81)(제25도 참조), 현상 장치(4)의 방출 셔터(46)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셔터 개방/폐쇄 레버(82)(제25도 참조) 및 카트리지(5)의 방출 스크루(78)을 회전시키기 위한 방출 스크루 구동기(83)이 제공된다.
구동기(8)은 또한 카트리지(5)의 특성 세팅 구역(79)의 세팅을 검출하기 위한 특성 검출 스위치(84), 내부 드럼(6)의 우측 회전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우측 단부 센서(CP1), 내부 드럼(6)의 좌측 단부 회전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좌측 단부 센서(CP2) 및 카트리지(5)의 신/구 세팅 구역(68)에 의해 작동되는 신/구 판별 스위치(CS)를 갖는다. 폐토너 방출 구역(36)은 구동기(8)의 상부에 제공된다.
이제 카트리지(5)의 설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카트리지(5)는 카트리지(5)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이 프레임(9)의 설치 구멍(90)에 끼워지도록 프레임(9)에 삽입된다. 그후에, 카트리지(5)는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결합 돌출부(67a)가 카트리지(5)를 잠그기 위하여 프레임(9)과 결합하도록 우측으로 돌려지며, 그로 인해 카트리지(5)를 제거할 수 없게 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5)의 토너 투입 포트(73)은 현상 장치(4)의 수용 포트(44)에서 토너 공급 롤러(43)에 면하고, 반면에 카트리지(5)의 현상제 투입 포트(72)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의 수용 포트(44)에서 토너 공급 롤러(43)의 축(43a)에 면한다. 구동기(8)의 폐토너 방출 구역(36)은 카트리지(5)의 폐토너 회수 포트(75)에 면한다. 또한, 카트리지(5)의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은 구동기(8)의 구동축(80)의 구동 돌출부(80b)와 결합하기 때문에 내부 드럼은 회전될 수 있다. 카트리지(5)의 내부 드럼(6)의 패들 축(64a)는 패들 축(64a)가 회전하도록 구동축(80)의 패들 구동축(80a)와 결합한다.
이같은 설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5)의 폐현상제 횟 포트(77)을 덮고 있는 회수 셔터(74)의 돌출부(74a)는 현상 장치(4)의 하부 부분과 접하고, 그로 인해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 셔터(74)를 개방시킨다. 이때에 방출스크루(78)이 구동기(8)의 스크루 구동축(83)에 연결된다. 카트리지(5)의 베어링부(52)는 제26a도 및 제2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스크루(78)의 스크루축(78a)에 대해 큰 부분으로 세팅되어 스크루축(78a)이 이동하도록 간극을 제공한다. 비록, 스크루축(78a)의 중심이 제2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구동축(83)의 중심과 일렬로 정렬되어 있지 않는다 하더라도, 스크루 구동축(83)이 회전할 때, 중심 조정이 이루어져 축중심이 상호 정열된다.
제27도 및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치 동작에 의해, 폐토너 방출 구역(36)의 방출 포트를 덮고 있는 셔터(36a)는 폐토너 회수 포트(75)의 셔터 구동 돌출부(75a)에 의해 밀려 스프링(36b)을 압축하는 동안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폐토너 방출 구역(36)의 방출 포트가 개방되고, 폐토너 회수 포트(75)와 마주한다.
제29a도 및 제2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전에, 카트리지(5)내의 내부 드럼(6)의 잠금 포올(pawl)(69)는 내부 드럼(6)의 회전을 제한하는 외부 케이스(7)의 잠금 포올(76)과 맞붙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5)의 설치 전에, 조작자에 의한 내부 드럼(6)의 회전이 억제되고 외부 케이스(7)과 내부 드럼(6) 사이의 위치관계가 유지된다. 제30a도 및 제3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동작을 통해, 프레임(9)의 잠금해제 로드(91)이 외부 케이스(7)의 잠금 포올(76)을 들어 올려 외부 케이스(7)의 잠금 포올(76)으로부터 내부 드럼(6)의 잠금 포올(69)가 잠금상태가 풀려짐으로써 내부 드럼(6)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한 동작이 이하에 기술된다.
제31도는 카트리지 교환 순서의 설명도(No.1)를 나타내고 있고, 제32a도 및 제32b도는 카트리지의 부착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제33a도 내지 제33f도는 카트리지 교환 동작(No.2)의 설명도이고, 제34a도 및 제34b도는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방법을 설명한 도해이고, 제35a도 및 제35b도는 카트리지가 부착될 때 카트리지 판별을 설명한 도해이고, 제36도는 카트리지가 부착될 때 자동 세팅 동작을 설명한 도해이다. 제31도에 예시된 교환 순서를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카트리지(5)의 탭(a1,a2)를 구부린 다음 카트리지(5)를 밖으로 당긴다. 그러면 외부 케이스(7)의 폐토너 회수 포트(75), 현상제 투입 포트(72) 및 토너 투입 포트(73)이 개봉된다. 그 후에, 제3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자가 카트리지를 장치속에 설치한다. 만약, 설치시에 카트리지(5)가 새것이라면 신/구 세팅구역(68)의 활주 돌출부(68a)는 제36도의 좌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68)의 우측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구동기(8)의 신/구 판별 스위치(CS)는 제3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에 세팅되어 장치가 새로운 카트리지(5)가 설치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어 교환순서가 시작된다. 반면에 만약 카트리지(5)가 사용하던(낡은) 것이라면, 신/구 세팅 구역(68)의 활주 돌출부(68a)는 제36도의 우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68)의 좌측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 구동기(8)의 신/구 판별 스위치(CS)는 제3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에 세팅되지 않게 되어 교환 순서가 시작되지 않는다.
카트리지(5)가 설치되어 설치방향에서 보이는 것처럼 좌측으로(화살표 A방향으로) 향하게 될 때 활주 돌출부(68a)는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9)의 신/구 세팅로드(92)에 의해 도면의 좌측으로 활주함으로써 카트리지(5)는 낡은 것으로서 세팅된다. 따라서, 일단 카트리지(5)가 장치속에 설치되면, 그것은 낡은 것으로서 세팅됨으로써, 비록 이 카트리지가 나중에 새로 설치되더라도, 그것은 낡은 것으로 판별되고 교환 순서가 시작되지 않게 되어 이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없게 해 준다. 따라서, 교환 순서로 하여금 작동자에 의한 낡은 카트리지(5)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설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5)의 현상제 회수 셔터(74)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고, 폐토너 방출구역(36)의 셔터(36a)는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제3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7)의 잠금 포올(76)은 잠금해제 로드(91)에 의해 내부 드럼(6)의 잠금 포올(69)와 분리되어 내부 드럼(6)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② 작동자가 제3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의 내부 드럼(6)을 우측으로 돌리면,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는 프레임(9)과 결합하여 카트리지(5)가 잠겨진다. 그 결과로서, 카트리지(5)는 장치속에 확실하게 위치된다. 그러면,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는 구동 우회전 위치 스위치(CP1)을 온 상태로 세팅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치는 카트리지(5)의 설치 완료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5)의 외부 케이스(7)에 있는 토너 투입 포트(73)은 제3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4)의 수용 포트(44)와 마주 접한다. 카트리지(5)의 외부 케이스(7)에 있는 폐현상제 회수 포트(77)은 현상 장치(4)의 방출 포트(45)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카트리지(5)는 경사진 상태의 감광 드럼(30)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또한, 내부 드럼(6)의 현상제 투입 통로(63)은 폐토너 방출구역(36)의 방출 포트와 마주 접하는 반면에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는 외부 케이스(7)내의 토너 투입 통로(73)와 마주 접한다.
③ 구동 우회전 위치 스위치(CP1)과 신/구 판별 스위치(CS)가 온 상태로 세팅됨에 따라 구동기(8)은 제3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을 위치시키기 위해 내부 드럼(6)을 좌측으로 돌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과 접하고 있는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의 상태가 해제되고, 토너 투입 포트(73)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기(8)은 셔터 개폐 레버(82)를 작동시켜 현상 장치(4)의 방출 셔터(46)을 개방시키며, 스크루 드라이브 축(83)으로 하여금 방출 스크루(78)을 구동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현상 장치(4)가 아직은 설명된 바 없는 주 모터에 의해 1분 동안 구동된다. 결과적으로, 현상 장치(4)내의 현상제가 카트리지(5)의 회수 포트(77)를 통해 현상 장치의 방출 포트(45)로부터 폐현상제 저장실(71)로 떨어지고 제3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스크루(78)에 의해 폐현상제 저장실(71) 속으로 방출되어 폐현상제의 회수가 달성된다.
그 다음, 1분간 현상 장치(4)를 구동시킨 후, 현상 장치(4)내의 전체 현상제가 회수되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구동기(8)는 셔터 개폐 레버(82)를 작동시켜 현상 장치(4)의 방출 셔터(46)를 폐쇄시킨다. 그런 다음, 구동기(8)은 스크루 구동축(83)이 방출 스크루(78)을 구동시키는 것을 정지시키면 주 모터에 의한 현상 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④ 다음으로, 구동기(8)은 구동 좌회전 위치 스위치(CP2)가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에 의해 온 상태로 세팅될 때까지 내부 드럼(6)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 종료 상태에서, 내부 드럼(6)의 현상제 투입 포트(63)은 외부 케이스(7)의 현상제 투입 포트(72)와 마주 접하며 포트(72)는 제3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그러면, 구동기(8)는 패들 구동축(80a)로 하여금 패들 축(64a)를 구동시키도록 해줌으로써 패들(64)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내부 드럼(6)내의 현상제 저장실(60)에 있는 현상제가 현상 장치(4)속으로 수용 포트(44)를 통해 공급된다. 현상제 저장실(60)에 있는 미사용된 현상제가 3개의 현상제 투입 포트(72)를 통해 동시에 공급되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 시간이 단축된다. 내부 드럼(6)이 회전할 때, 프레임(9)의 신/구 세팅 로드(92)는 내부 드럼(6)의 신/구 세팅 구역(10)의 활주 돌출부(68a)로 하여금 도면의 좌측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하여서,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를 낡은 것으로서 세팅한다.
⑤ 그리고 나서, 구동기(8)은 구동 우회전 위치 스위치(CP1)이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에 의해 온 상태로 세팅될 때까지 내부 드럼(6)을 회전시킨다. 내부 드럼(6)의 현상제 투입 포트(63)는 제3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방출구역(36)의 방출 포트와 마주 접한다.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포트(65)는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와 마주 접한다.
결과적으로, 현상제 장치는 정상적으로 프린팅하는데 적합하며, 토너의 보충 및 폐토너의 회수가 가능하다. 즉, 패들 축(64a)가 패들 구동축(80a)에 의해 구동되어 패들(64)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토너는 토너 저장실(61)로부터 토너 공급 롤러(43)으로 공급된다. 토너 농도 저절하에서, 구동기(8)은 현상 장치 구동축(81)으로 하여금 토너 공급 롤러(43)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토너를 현상 장치(4)속에 공급한다. 또한, 클리너(34)에서 나온 폐토너는 폐토너 반송 파이프(35)와 폐토너 방출구역(36)을 통해 카트리지(5)의 현상제 저장실(60) 속으로 회수된다. 즉, 현상제 저장실(60)은 폐토너의 회수실로서 이용된다.
⑥ 상기 방식으로 토너를 보충하는 동안 토너 공백이 토너 농도 조절하에서 판별될 때, 교환 표시가 작동 패널(14)(제1도에 도시됨)상에 나타난다. 그 다음 작동자는 작동 패널(14)상의 교환 스위치를 누른다. 현상 장치(4)안의 현상제 캐리어가 저하될 때 토너 저장실(61)이 빈 상태가 되도록 토너 저장실(61)내의 토너량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현상제의 토너 공백 상태 및 저하가 동시에 발생하여 높은 카트리지 교환 효율성을 제공한다.
⑦ 구동기(8)은 교환 스위치의 누름 상태를 검출할 때 제33e도에 도시된 위치로 내부 드럼(6)을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와 마주하는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의 상태가 해제되고, 토너 투입 포트(73)이 폐쇄되며 카트리지(5)가 잠겨진다. 이 상태에서, 구동기(8)은 현상 장치 구동축(81)으로 하여금 현상 장치(4)의 수용 포트(44)에 있는 잔류 토너를 현상 장치(4)내의 회수할 수 있도록 토너 공급 롤러(43)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카트리지(5)가 분리될 때 토너의 스퍼터링(sputtering)을 방지해 준다.
⑧ 그 다음에, 제33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8)은 내부 드럼(6)을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는 프레임(9)의 설치 구멍(90)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트리지(5)가 열려서 분리될 수 있다.
⑨ 그리고 나서, 작동자는 제3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의 사이드 핸들(51)을 잡고, 현상 장치로부터 카트리지(5)를 밖으로 잡아당긴다. 그리고 나서 작동자는 카트리지(5)의 상부핸들(50)을 잡고, 제3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다.
상기 방식으로, 카트리지(5)의 분리, 현상제의 교환, 토너의 보충 및 폐토너의 회수는 단일 카트리지(5)로 단일 분리 동작을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구동기에 관해 이하에 기술한다. 제37도는 제19도의 구동기의 정면 단면도이고, 제38도는 제37도의 구동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39도는 제37도의 구동기를 나타낸 하부 측면도이고, 제40도는 제37도의 구동기를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제41도는 제37도에 도시된 현상 장치 구동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제42a도 내지 제42d도는 제37도에 도시된 패들 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제43도 및 제44도는 제37도의 구동기의 캠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7도 및 제3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구동축(81)의 기어(89a)를 회전시켜 구동축(81)을 회전하도록 하는 단일 구동 모터(85)가 설치된다. 이 구동축(81)은 벨트(88a)에 의해 풀리(89b)를 통해서 구동축(80)의 제1캠(86)과 제2캠(87)의 구동풀리(89c)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2캠(87)은 벨트(88b)에 의해 풀리(89d,89e)를 통해서 스크루 구동축(83)의 구동기어(89f)와 셔터 개폐 레버 구동캠(82a)를 구동시킨다.
카트리지 좌향 위치 검출스위치(CP1), 신/구 판별 스위치(CS), 타이밍 센서(TMH) 및 카트리지 우향 위치 검출 스위치(CP2)가 구동축(80) 주위에 제공된다. 구동축(80)의 아래 부분에는 제3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성 검출 스위치(84)가 제공된다.
제3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88a)에 구동되는 구동풀리(89c)는 제2캠(87)의 캠 홈과 결합하는 핀을 갖는다(홈은 제44도를 참조할 것). 따라서, 셔터 개폐 레버 구동캠(83a)와 스크루 구동축(83)이 구동된다. 셔터 개폐 레버(82)는 결합 금속 이음쇠(82b)와 스프링(82c)을 갖는다. 금속 이음쇠(82b)는 벨트(88b)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캠(82a)의 캠홈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셔터 개폐 레버(82)는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이 셔터의 개폐 상태가 셔터 개폐 레버(82)의 후방 단부에 설치된 셔터 개폐 검출 스위치(STP)에 의해 검출된다.
제4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88a)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86a)는 제1캠(86)의 캠홈과 결합하는 핀을 갖는다(홈은 제43도를 참조할 것). 구동풀리(86a)는 패들 구동축(80a)를 직접 구동시킨다.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한 패들 구동축(80a)는 판스프링(80c)에 의해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 패들 구동축(80a)은 제42a도 내지 제4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오목부(802)의 각각의 면에 형성된 경사돌출부(800,801)를 갖는다. 슬롯이 형성된 스크루 드라이버 형상을 갖는 카트리지(5)의 패들 축(64a)가 패들 구동축(80a)의 오목부(802)내에 끼워질 때, 패들 축(64a)는 제42a도 및 제42b도에서 우측 회전과 관련하여 경사 돌출부(800,801)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좌측 회전과 관련하여, 패들 축(64a)은 경사 돌출부(800,801)의 경사 표면을 따라 활주함으로써, 패들 구동축(80a)는 판스프링(80c)의 힘에 대항하여 제40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패들 축(64a)의 구동을 제한시킨다. 다시 말하면, 패들 구동축(80a)과 패들 축(80)은 일방 클러치를 구성한다.
현상 장치 구동축(81)은 좌측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스크루 드라이버 형상의 수평 돌출부와 우측 단부에 슬롯이 형성된 스크루 드라이버 형상의 수직 돌출부를 갖는 중간 부재(81a) 및, 슬롯이 형성된 스크루 드라이브를 갖는 롤러축(43)에 대해서 수직 평평한 오목부를 구비한 구동축(81b)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축(81)은 도면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갖고 있으며, 현상 장치(4)의 롤러축(43)의 변화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내부 드럼(6), 패들(64,66), 토너 공급 롤러(43), 현상제 방출 셔터(46) 및 방출 스크루(78)은 상기 방식으로 단일 구동 모터(85)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구동기의 동작이 이하에 설명된다. 제4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고, 제46도 및 제4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교환 동작에 관한 타임챠트를 나타낸 것이고, 제48a도, 제48b도, 제49a도, 제49b도, 제50a도, 제50b도, 제51a도 및 제51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제 교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52a도 내지 제52d도는 현상제 교환 동작에 있어서 캠의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45도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MPU)로 구성된 제어 회로(100)은 카트리지 특성센서(84)의 출력으로부터 현상제 및 토너의 특성을 검출하여서 예비 충전 전압, 현상 바이어스 전압 등을 제어하고, 신/구 판별 스위치(CS)의 출력에 따른 교환 순서를 시작하고, 타이밍 센서(TMH)의 출력, 카트리지 우향 위치 검출 스위치(CP1), 카트리지 좌향 위치 검출 스위치(CP2) 및 셔터 개폐 검출 스위치(STP)에 기초한 단일 구동 모터(85)를 제어한다.
제31도의 교환 순서에 따른 동작이 제46도, 제47도 및 제48도 내지 제52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32도 내지 제34도 역시 참조된다. ①, ② 우선 작동자는 카트리지(5)를 현상 장치속에 설치하고 카트리지(5)의 내부 드럼(6)을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는 프레임(9)과 결합하여 카트리지(5)를 잠근다. 그리고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는 제4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우회전 위치 스위치(CP1)을 온 상태로 세팅시킨다. 이 상태에서, 구동기(8)은 제48a도의 상태로 된다.
③ 구동 우회전 스위치(CP1)이 온 상태에 세팅됨에 따라 제어 회로(100)은 교환 동작을 시작하고 모터(85)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두번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제1캠(86)은 역방향(좌측)으로 회전하여 제49a도 및 제49b도에 도시된 위치로 내부 드럼을 좌회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과 마주한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의 상태가 해제되고 토너 투입 포트(73)이 폐쇄된다. 그 다음에, 제어 회로(100)이 모터(85)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한번 수행하여 제2캠(87)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제어 회로(100)은 모터(85)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캠(87)의 정방향 회전을 야기시킨다. 결과적으로, 셔터 개폐 레버(82)가 작동하여 방출 스크루(78)을 구동시키고 주 모터로 하여금 1분간 현상 장치(4)가 구동되도록 한다.
결국, 현상 장치(4)내에 있는 현상제가 현상 장치의 방출 포트(45)로부터 카트리지(5)의 회수 포트(77)를 통해 폐현상제 저장실(71)내로 떨어지고, 제3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스크루(78)에 의해 폐현상제 저장실(71)내로 배출됨으로써 폐현상제의 회수 작업이 달성된다.
그리고, 현상 장치(4)를 1분간 구동시킨 후, 제어 회로(100)은 현상 장치(4)내의 전체 현상제가 회수되었음을 고려할 때, 역방향으로 모터(85)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2캠(87)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 장치(4)의 배출 셔터(46)을 폐쇄하도록 셔터 개폐 레버(8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어 회로(100)은 스크루 구동축(83)이 배출 스크루(78)을 구동시키는 것을 중단시키며 주 모터에 의한 현상 장치(4)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④ 그 다음, 제어 회로(100)은 모터(85)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두번 반복하여 제1캠(86)을 역방향(좌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드럼(6)이 제50a도 및 제5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하면, 내부 드럼(6)은 구동 좌측 위치 스위치(CP2)가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에 의해 온 상태로 세팅될 때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내부 드럼(6)의 현상제 투입 포트(63)는 제3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7)의 현상제 투입 포트(72)와 마주 접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100)은 패들 구동축(80a)로 하여금 패들 축(62)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패들(64)가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내부 드럼(6)의 현상제 저장실(60)내의 현상제가 수용 포트(44)를 통해 현상 장치(4)내로 공급되고, 현상제 교환 동작이 종료된다.
⑤ 그 다음, 제어 회로(100)은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두번 반복하여 제1캠(86)을 역방향(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동 우측 위치 스위치(CP1)이 제51a도 내지 제5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에 의해 온 상태로 세팅될 때까지 내부 드럼(6)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내부 드럼(6)의 현상제 투입 통로(63)은 제3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 구역(36)의 배출 포트와 마주 접한다.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는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과 마주 접한다.
결과적으로, 현상 장치는 정상적으로 프린트하는데 적합하고, 토너의 보충 및 폐토너의 회수가 가능하다. 즉, 패들 축(62)가 패들 구동축(80a)에 의해 구동되어 패들(66)을 회전시킴에 따라, 토너는 토너 저장실(61)로부터 토너 공급 롤러(43)에 공급된다. 토너 농도 조절하에서, 제어 회로(100)은 현상 장치 구동축(81)으로 하여금 토너 공급 롤러(43)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토너는 현상 장치(4)안에 공급한다. 또한, 클리너(34)로부터 나온 폐토너는 폐토너 반송 파이프(35) 및 폐토너 배출구역(36)을 통해 카트리지(5)의 현상제 저장실(60)으로 회수된다.
⑥ 상기 방식으로 토너를 보충하는 동안, 토너 공백이 토너 농도 조절하에서 판별될때, 교환 표시가 작동 패널(14)상에 나타난다. 그러면 작동자는 작동 패널(14)상의 교환 스위치를 누른다.
⑦ 교환 스위치의 누름 상태를 검출할 때, 제어 회로(100)은 모터(85)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수행하여 제1캠(8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구동기(8)은 제33e도에 도시된 위치로 내부 드럼(6)을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외부 케이스(7)의 토너 투입 포트(73)와 마주 접한 내부 드럼(6)의 토너 공급 통로(65)의 상태가 해제되고 토너 투입 포트(73)이 폐쇄되며 카트리지(5)가 잠긴다.
이 상태에서, 제어 회로(100)은 현상 장치 구동축(81)으로 하여금 토너 공급 롤러(43)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현상 장치(4)의 수용 포트(44)에 있는 잔류 토너가 현상 장치(4)내로 회수가능하며, 이로 인해 카트리지(5)가 분리될 때의 토너의 스퍼터링을 막아 준다.
⑧ 그 후, 제어 회로(100)은 모터(85)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두번 반복하여 제1캠(86)을 정방향(우측)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내부 드럼(6)이 오른쪽으로 회전함으로써 내부 드럼(6)의 회전가능한 결합부(67)의 돌출부(67a)가 제33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9)의 설치 구멍(90)에 들어간다. 이것으로 인해 카트리지(5)가 열리므로써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카트리지(5)의 분리, 현상제의 교환 토너의 보충, 패들의 회전 등이 단일 모터(85)를 제어함으로써 캠(86,87)의 기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52a도 내지 제5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방출 셔터(46)은 제2캠(87)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말하면, 모터(8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핀은 캠(87)속으로 들어가고 셔터(46)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제52a도). 이와 반대로 모터(85)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핀은 캠(87)을 따라 캠홈(13)속으로 들어가고 셔터(46)는 개방된다(제52c도). 또한, 모터(85)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핀은 캠홈(제52d도)으로부터 분리된다.
셔터(46)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화상 형성 장치속에서 이상이 발생될 때 모터(85)는 즉시 정지하여 경보를 알린다. 이 경우에, 셔터(46)는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경보가 울리면 사용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제품 제조업체의 보수 기술자를 부른다. 그러나, 셔터(46)가 개방되면 보수 기술자는 그 문제점을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폐쇄시켜야 한다. 셔터의 개폐가 캠(87)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만약 보수 기술자가 캠(87)의 기능에 관해 모르고 있다면, 그는 셔터를 폐쇄 상태에 세팅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런 경우에, 보수 기술자는 구동기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손으로 셔터를 폐쇄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술자가 그것을 점검하는데 2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셔터의 개방 상태에서 현상제 장치의 이상이 검출될 때 조차도, 현상제 장치는 즉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구동기(8)이 셔터를 폐쇄시키고 경보를 울린 후에 멈추게 된다.
이같은 조치 대신에, 장치의 이상이 셔터의 개방 상태에서 검출될 때 작동 패널을 통해 셔터를 폐쇄시키고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구동기를 구동시키는 순서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이 수정이 가능하다.
① 본 실시예의 전술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가 비록 전 사진기로서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역시 토너 현상을 포함하는 다른 인쇄기(예컨대, 정전 기록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② 비록 카트리지의 내부 드럼이 좌우 구역으로 분할되지만, 내부 드럼은 상부 및 하부 구역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③ 비록 구동기(8)가 단일 모터로 구성되지만, 이 구동기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구동 소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을 따라서, 현상제 저장실과 토너 저장실이 현상 장치의 현상제 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현상 장치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투입과 토너의 보충을 현상 장치의 폭방향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설계는 현상제 카트리지가 더욱 짧게 제작될 수 있게 하고 현상 장치 주위의 자유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서, 화상 형성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와 토너가 현상 장치의 넓은 폭방향으로부터 주입되기 때문에, 현상제 공급시간이 짧아지고 토너의 보충이 지연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0)

  1.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충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회전축이 연장되는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 및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에 각각 연관되어 형성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 실린더가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의 위치가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통로로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 및 상기 저장된 토너를 방출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패들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내에서 상기 패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동 회전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내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주입 포트들은 상기 실린더의 회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현상 유닛으로부터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제3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핸들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사이드 핸들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회전을 잠그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상에 형성된 잠금 포올과, 잠겨지기 위해 상기 잠금 포올과의 결합이 가능하고 풀려지기 위해 상기 잠금 포올과 외부적으로 결합이 해제 가능한 결합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에 접합될 회전 돌출부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용의 상기 공동 회전축의 링크부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이 외부의 폐토너를 회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폐토너 회수 포트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3.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급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회전축이 연장되는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현상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 및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에 각각 연관되어 형성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 실린더가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 케이스와; 상기 현상 유닛에서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 하부에 제공된 제3현상제 저장실과; 그리고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이 외부의 폐토너를 회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폐토너 회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4.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충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에 있어서;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 다음에 형성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상기 통로들을 따로따로 개방시키기 위해 제공된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카트리지.
  15. 순환 잠복 캐리어와;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 위의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과;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회전축이 연장되는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 및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에 각각 연관되어 형성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 실린더가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로서,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충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그리고 사용된 현상제를 미사용된 현상제와의 교환과 토너의 보충을 위해 상기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원통형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위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위치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장된 현상제 및 상기 저장된 토너를 상기 현상수단으로 방출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내에서 상기 패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동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내에 형성된 상기 한쌍의 주입포트들은 상기 실린더의 회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현상 유닛으로부터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제3현상제 저장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사이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회전을 잠그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상에 형성된 잠금 포올과, 잠겨지기 위해 상기 잠금 포올과의 결합이 가능하고 풀려지기 위해 상기 잠금 포올과 외부적으로 결합이 해제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잠금 포올로부터 상기 잠금부를 해제시키는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수단에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 돌출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돌출부에 결속될 회전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패들용 상기 공동 회전축의 단부가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단부에 노출되며;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패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공동 회전축의 상기 단부에 결속될 구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시키는 크리너 수단과; 그리고 상기 크리너 수단에 의해 제거된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로 운반하는 토너 운반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이 상기 토너 운반수단으로부터 폐토너를 회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폐토너 회수 포트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연관된 투입 포트와 마주 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고, 상기 미사용된 현상제가 상기 현상수단에 공급된 후에,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폐토너 회수 포트와 마주 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화상 형성 장치로서, 순환 잠복 캐리어와; 순환 잠복 캐리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순환 잠복 캐리어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과;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시키는 크리너 수단과; 상기 크리너 수단에 의해 제거된 상기 토너를 상기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로 운반시키는 토너 운반수단과; 상기 현상 유닛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회전축이 연장되는 원통형 본체와,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보충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다른쪽 일부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그리고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 및 상기 제2현상제 저장실의 상기 통로에 각각 연관되어 형성된 한쌍의 주입 포트를 구비한 실린더가 상기 원통형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 케이스와, 상기 현상수단으로부터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형성된 제3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원통형 본체의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이 외부의 폐토너를 회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기 실린더 상부에 형성된 폐토너 회수 포트를 구비한 카트리지로서, 현상제를 교환하고 토너를 보충하기 위한 현상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와; 그리고 사용된 현상제를 미사용된 현상제와의 교환과 토너의 보충을 위해 상기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의 상기 원통형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화상 형성 장치로서, 순환 잠복 캐리어와; 순환 잠복 캐리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순환 잠복 캐리어 위의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과; 미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제1현상제 저장실과, 상기 현상수단의 현상제 운송방향에 수직하게 상기 제1현상제 저장실 다음에 제공된 제2현상제 저장실과; 제1 및 제2현상제 저장실에 각각 형성된 통로들과; 상기 통로들을 따로따로 개방시키는 셔터 부재와; 그리고 사용된 현상제를 미사용된 현상제와의 교환과 토너의 보충을 위해 상기 부착된 현상제 카트리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30011912A 1992-06-30 1993-06-29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970006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73132 1992-06-30
JP4173132A JP2851208B2 (ja) 1992-06-30 1992-06-30 現像剤カ−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926A KR940000926A (ko) 1994-01-10
KR970006295B1 true KR970006295B1 (ko) 1997-04-25

Family

ID=1595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912A KR970006295B1 (ko) 1992-06-30 1993-06-29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32592A (ko)
EP (1) EP0578439B1 (ko)
JP (1) JP2851208B2 (ko)
KR (1) KR970006295B1 (ko)
DE (1) DE693076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77369S (en) * 1995-01-17 1997-01-14 Fuji Xerox Co., Ltd. Printer
JPH09269640A (ja) * 1996-03-29 1997-10-14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589045B2 (ja) 2004-07-15 2010-12-01 株式会社東芝 トナー容器
JP4176698B2 (ja) * 2004-10-18 200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廃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10124603A (ko) * 2010-05-11 201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549388B2 (ja) * 2010-06-07 2014-07-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20079938A (ko) * 2011-01-06 2012-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6069231B2 (ja) * 2014-01-23 2017-02-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2166667A (ja) * 2021-04-21 2022-11-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回転可能なトナー容器と固定されたアジテータを備え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57196B (it) * 1976-02-16 1982-03-10 Olivetti C E C S P A Cartuccia per il rifornimento della polvere di sviluppo in una macchina copiatrice
JPS59170867A (ja) * 1983-03-17 1984-09-27 Minolta Camera Co Ltd トナ−濃度制御方法
GB2150052B (en) * 1983-11-24 1987-05-28 Ricoh Kk Developer supply system for electrophotographic copier
CA1233873A (en) * 1984-01-20 1988-03-08 Moriyoshi Tsukano Dry-process developer replacing and supply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apparatus
JPS62198884A (ja) * 1986-02-26 1987-09-02 Ricoh Co Ltd トナ−補給装置
JPS63129370A (ja) * 1986-11-19 1988-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像装置
JPS6386671U (ko) * 1986-11-25 1988-06-06
JPH0715609B2 (ja) * 1987-03-03 1995-02-22 三田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ツトのシ−ル開封検知装置
IT1232952B (it) * 1987-11-05 1992-03-11 Honeywell Bull Spa Cartuccia rimovibile di sviluppo xerografico a sviluppatore secco
JPH01291276A (ja) * 1988-05-18 1989-11-22 Hitachi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5020697A (en) * 1988-06-24 1991-06-04 Konic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toner reservoir
JPH0233168A (ja) * 1988-07-22 1990-02-02 Konica Corp 複写機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DE68914402D1 (de) * 1988-11-11 1994-05-11 Konishiroku Photo Ind Toner-Wiedergewinnungsvorrichtung.
US5109254A (en) * 1989-08-25 1992-04-2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JP2578228B2 (ja) * 1989-12-26 1997-02-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トナー現像装置とそ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着脱方法
JPH03210583A (ja) * 1990-01-13 1991-09-13 Ricoh Co Ltd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3273272A (ja) * 1990-03-22 1991-12-04 Konica Corp 画像記録装置の現像剤収納容器
JP2937445B2 (ja) * 1990-09-10 1999-08-23 富士通株式会社 現像剤の交換方法及び現像剤交換カートリッジ
US5237373A (en) * 1991-07-29 1993-08-17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utomatic toner exhausting mechanism
JP2865451B2 (ja) * 1991-07-29 1999-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150627A (ja) * 1991-11-29 1993-06-18 Sharp Corp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51208B2 (ja) 1999-01-27
US5432592A (en) 1995-07-11
KR940000926A (ko) 1994-01-10
EP0578439B1 (en) 1997-01-22
DE69307611T2 (de) 1997-05-07
DE69307611D1 (de) 1997-03-06
EP0578439A1 (en) 1994-01-12
JPH0619307A (ja) 199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799B1 (ko)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970004163B1 (ko)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0352414B1 (ko) 토너 보충 용기 및 토너 보충 장치
RU2411564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проявителя, проя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меющее их
EP2237112B1 (en) Developer storing body,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6052005A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92240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9058711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970006295B1 (ko) 현상제 카트리지와 이것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JP4035384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07093697A (ja) 現像剤供給容器
JPH1020642A (ja) 画像形成装置
JPH06222628A (ja) 画像形成装置
JP4672889B2 (ja) トナー補給装置
JP2873532B2 (ja)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KR10059483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현상제 회수 용기
JP3952705B2 (ja) 画像形成装置
JP3014070B2 (ja) 現像剤カ−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178000B2 (ja) 粉体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6927Y2 (ja) 画像形成装置
JPH0588423A (ja) 画像形成装置
CN109212933B (zh) 显影剂收容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JPH06250485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0368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es in the same
JP3586755B2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