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603A -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603A
KR20110124603A KR1020100044089A KR20100044089A KR20110124603A KR 20110124603 A KR20110124603 A KR 20110124603A KR 1020100044089 A KR1020100044089 A KR 1020100044089A KR 20100044089 A KR20100044089 A KR 20100044089A KR 20110124603 A KR20110124603 A KR 2011012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toner
unit
aug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건
권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603A/ko
Priority to US12/929,022 priority patent/US20110280623A1/en
Priority to CN2011101215083A priority patent/CN102243461A/zh
Publication of KR2011012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는, 미사용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 및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유입구에서 먼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폐토너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토너 수용부 아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TONER CARTRIDGE AND IMAGE FRO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을 사용하여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대전과정, 노광과정, 현상과정, 전사과정, 정착과정을 거치게 된다. 대전과정에서는, 대전유닛이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과정에서는, 광주사유닛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로 광을 주사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감광체에 형성한다. 현상과정에서는, 현상유닛이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로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현상한다. 전사과정에서는, 전사유닛이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정착과정에서는, 정착유닛이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며 그에 의해 인쇄매체에는 소정의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인쇄매체는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 전사과정에서, 감광체 표면에 형성된 모든 토너가 인쇄매체로 전사되지 못하고 실제로는 일부 토너가 감광체 표면에 남아 있게 된다. 이렇게 전사과정 이후에 감광체 표면에 남아 있는 토너는 통상적으로 폐토너(waste toner)로 칭해진다. 폐토너가 감광체 표면에 남아 있게 되면, 대전과정에서 감광체가 일정하게 대전되지 못하여 화상 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토너 제거유닛이 감광체 표면에 남아 있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화상형성장치가 계속 작동하는 동안 폐토너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폐토너를 저장할 수 있는 폐토너 수용부가 필요하게 된다. 그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크기 증가를 가급적 줄일 수 있는 폐토너 수용부가 요구된다. 또한 폐토너 수용부가 수용할 수 있는 폐토너의 용량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된 이후에는 폐토너 수용부에 수용된 폐토너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를 번거롭게 만든다.
폐토너 수용부에는 폐토너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존재한다. 폐토너는 미사용된 토너보다 유동성이 떨어지고 고화되기 쉽기 때문에,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의 유입구를 막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로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폐토너 수용부의 유입구가 폐토너에 의해 막히기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폐토너 수용부가 일체로 통합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는 급지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및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로서, 미사용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 및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유입구에서 먼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폐토너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토너 수용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바닥면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상부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수용부가 수용하는 상기 미사용된 토너를 공급받는 상기 현상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급지유닛과 상기 정착유닛 중 상기 급지유닛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나선부를 갖는 오거; 및 상기 오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거에는 이송된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판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판 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1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오거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오거의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측면부; 및 상기 오거의 아래쪽에 인접한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1측면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측면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제2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폐토너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측면부에는 일 이상의 제2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오거의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판 부재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판 부재는 탄성을 갖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격벽과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유닛; 상기 감광체로 광을 주사하여 상기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광주사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닛; 미사용된 토너를 저장하여 상기 현상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술한 특징을 갖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감광체에 남아 있는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폐토너 제거유닛; 상기 폐토너 제거유닛에 의해 제거된 상기 폐토너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폐토너 수용부로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수송유닛; 및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전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정착유닛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서로 결합된 현상유닛과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3은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제2측면 커버가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상부 케이싱와 제1측면 커버가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6은 토너 카트리지의 부분 절개도;
도 7은 도 2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폐토너 수용부의 사시도;
도 9는 폐토너 수용부의 부분 절개도; 그리고
도 10-13은 폐토너 이송장치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2는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급지유닛(10)은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를 저장하며, 인쇄매체를 한 장씩 공급한다.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 롤러(5)에 의해 진행 경로(2)을 따라 이송된다.
대전유닛(20)은 감광체(3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광주사유닛(40)은 감광체(30)로 광을 주사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감광체(30)에 형성한다.
현상유닛(50)은 감광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현상유닛(50)은 토너 공급롤러(51), 현상 롤러(52), 규제 블레이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공급롤러(51)는 토너를 현상 롤러(52)로 공급하며, 그에 따라 현상 롤러(52)에는 토너 층이 형성된다. 규제 블레이드(53)는 이런 토너 층을 균일하게 만든다. 현상롤러(52) 위에 있는 토너 층은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토너 화상을 현상할 수 있다.
전사유닛(60)은 감광체(30)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폐토너 제거유닛(70)은 전사과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감광체(30)에 남아있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정착유닛(80)은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킨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롤러(5)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미사용된 토너를 저장하며, 토너 공급로(미 도시)를 통해 현상유닛(50)으로 미사용된 토너를 공급한다.
도 2-9을 참조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서로 결합된 현상유닛(50)과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2측면 커버(140)가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상부 케이싱(110)와 제1측면 커버(130)가 제거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폐토너 수용부(16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폐토너 수용부(160)의 부분 절개도이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소모성 부품으로 화상형성장치(1)에 착탈가능하다. 토너 카트리지(100) 내의 미사용된 토너가 완전히 소모되면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형상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 도 3과 같은 토너 카트리지(10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게 되면, 도 2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는 현상유닛(50)과 결합된다. 이때, 토너 공급로(미 도시)가 개방되어 토너 카트리지(100)가 저장하고 있는 미사용된 토너가 현상유닛(5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은 상부 케이싱(110), 중간 케이싱(115), 하부 케이싱(120), 제1측면 커버(130), 제2측면 커버(140)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10)에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착탈과정을 용이하게 만들도록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부 케이싱(110)과 중간 케이싱(115) 사이에 미사용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150)가 형성되고, 중간 케이싱(115)과 하부 케이싱(120) 사이에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1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카트리지(100)에 일체로 통합된다. 제1, 2측면 커버(140)는 상부 케이싱(110), 중간 케이싱(115), 하부 케이싱(120)의 측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는 3개의 케이싱(110, 115, 120)이 아닌 1개의 케이싱, 2개의 케이싱, 또는 3개 이상의 케이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2측면 커버(130, 140) 역시 토너 카트리지(100)에 통합되어 생략될 수도 있다.
토너 수용부(150)는 미사용된 토너를 수용한다. 토너 수용부(150) 안에는 토너 교반기(151)와 토너 공급 오거(152; 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토너 교반기(151)는 토너 수용부(150) 안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시킨다. 토너 공급 오거(152)는 토너 수용부(150)에 수용된 토너를 토너 공급로(미 도시) 쪽으로 이송함으로써, 토너가 현상 유닛(5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교반기(151)와 토너 공급 오거(15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제1측에는 제1, 2커플러(153, 154)가 배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면, 화상형성장치(1)의 구동부(미 도시)가 제1, 2커플러(153, 154)와 연결되며 그에 의해 토너 교반기(151)와 토너 공급 오거(152)가 구동될 수 있다.
폐토너 수용부(160)는 폐토너 유입구(161; 도 4, 8 참조)를 통해 유입되는 폐토너를 수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면 커버(140)에는 폐토너 유입구(1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셔터(141)가 마련되어 있어서 셔터(141)가 폐토너 유입구(161)를 폐쇄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면, 셔터(141)가 이동하여 폐토너 유입구(16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제거유닛(70)에 의해 감광체(30)에서 제거된 폐토너는 현상유닛(50) 안에 있는 오거(55)에 의해 현상유닛(50)의 폐토너 유입구(161)가 있는 방향(예컨대, 도 2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이송된다. 이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이송 벨트(56)가 폐토너를 폐토너 유입구(161) 쪽으로 이송함으로써, 폐토너가 폐토너 유입구(161)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100)의 폐토너 수용부(160)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벨트(56)는 현상유닛(50) 안에 있는 구동 롤러(57)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현상유닛(50)에 있는 오거(55)와 폐토너 이송 벨트(56)가 폐토너 제거유닛(70)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를 토너 카트리지(100)의 폐토너 수용부(160)로 이송하는 폐토너 수송유닛(55, 56)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오거(55)나 페토너 이송 벨트(56) 이외에도 폐토너를 이송할 수만 있다면 폐토너 수송유닛(55, 56)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 아래에 배치된다. 특히,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150)의 바닥면(155)이 폐토너 수용부(160)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폐토너 수용부(160)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토너 카트리지(100)를 최대한 소형화 시킬 수 있고 토너 카트리지(100)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도 최대한 소형화시킬 수 있다.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의 측면에 배치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폭이 커지고 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의 폭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를 소형화시키는데 장애가 된다.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 위에 배치되면, 현상유닛(50)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폐토너 수용부(160)로 이송하는 폐토너 이송 벨트(56)가 길어지고 폐토너 이송 벨트(56)의 경사 각도가 급격해 진다. 따라서 폐토너 이송 벨트(5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증가하고 현상유닛(50)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폐토너 수용부(160)가 토너 수용부(150)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이런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장치(170)는 폐토너 수용부(160)의 폐토너 유입구(161)를 통해 유입되는 폐토너를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먼 쪽으로 이송시킨다 (도 8, 9 참조). 폐토너 이송장치(170)는 오거(180) 및 오거(18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벽(190)을 포함할 수 있다. 오거(180)는 회전축(181)과 회전축(181)에 결합된 나선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90)은 오거(180)의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측면부(191, 192)와 오거(180)의 아래쪽에 인접한 바닥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161)를 통해 유입된 폐토너는 오거(180)에 의해 오거(1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오거(180)를 감싸는 격벽(190)에 의해 폐토너의 이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오거(180)가 회전하는 동안 오거(180)의 나선부(182)가 격벽(190)과 간섭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오거(180)와 격벽(19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오거(19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기어 트레인(175; 도 4, 5 참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의 구동부(미 도시)가 토너 교반기(151)를 구동시킬 뿐 아니라,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트레인(175)에 의해 오거(1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오거(180)는 토너 교반기(151)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오거(180)에는 이송된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판 부재(185)가 형성될 수 있다. 판 부재(185)는 강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격벽(190)에는 판 부재(185)와 대응하는 영역에 제1개방부(195)가 형성된다. 판 부재(185)까지 폐토너가 이송된 후에는, 판 부재(185)가 회전함에 따라 폐토너는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 저장된다. 판 부재(185)에 의해 폐토너가 분산되기 때문에 폐토너의 고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 충진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경우, 폐토너는 제1개방부(195)가 형성된 방향쪽으로 더 많이 분산될 수 있다. 폐토너 수용부(160)는 오거(180)에 의해 제1공간(160a)과 제2공간(16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는 제2공간(160b)이 제1공간(160a)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1개방부(195)는 제2공간(160b) 쪽으로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개방부(195)가 격벽(190)의 제2측면부(192)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격벽(190)의 제2측면부(192)에서만 제1개방부(195)가 형성되었으나, 격벽(190)의 제1측면부(191)에서도 제1개방부(195)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폐토너는 미사용된 토너보다 유동성이 떨어지고 고화되기 쉽기 때문에,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60)의 폐토너 유입구(161)를 막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폐토너 이송장치(170)에 의해 폐토너가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먼 쪽으로 이송된 후에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먼 쪽부터 쌓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경우 폐토너 수용부(160)가 전사유닛(60)을 기준으로 정착유닛(80)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폐토너 수용부(160)는 급지유닛(10)과 정착유닛(80) 중 급지유닛(10)에 가깝게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전사유닛(60)이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한다. 예컨대, 전사유닛(60) 주변의 온도가 180에서 190℃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런 고온은 폐토너의 고화현상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폐토너 수용부(160)가 정착유닛(80)에서 멀리 떨어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서 고온에 의해 폐토너가 고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오거(180)와 격벽(190) 만으로 폐토너가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폐토너 이송장치(170)의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의 증가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고 재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12는 폐토너 이송장치(170)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의 변형 실시 예에서는, 오거(180)에 형성된 판 부재(185)가 탄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탄성을 갖는 판 부재(185)의 크기는 격벽(190)과 일정 부분 간섭될 정도로 결정된다. 이 경우, 판 부재(185)가 회전하면서 격벽(190)에서 이탈과정에서 판 부재(185)에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폐토너가 더욱 잘 분산될 수 있다.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서는, 격벽(190)의 제2측면부(192)의 높이(H2)가 제1측면부(191)의 높이(H1)보다 낮다. 따라서 오거(180)를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 중 일부가 제2측면부(192)를 넘어서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2공간(16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거(180)가 이송하는 폐토너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거(18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작아질 수 있으며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측면부(192)의 높이(H2)를 낮춘 이유는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1, 2공간(160a, 160b)의 크기를 고려한 것이다. 즉, 제2공간(160b)이 제1공간(160b)보다 크기 때문에 격벽(190)의 두 측면부(191, 192) 중 더 많은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제2공간(160b) 쪽에 위치한 제2측면부(192)의 높이를 낮추었다. 본 실시 예와는 달리 제1공간(160a)이 제2공간(160b)보다 큰 경우에서는, 제1측면부(191)의 높이가 제2측면부(192)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변형 실시 예에서는, 격벽(190)의 제2측면부(192)의 높이가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오거(180)를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 중 일부가 제2측면부(192)를 넘어서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2공간(16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거(180)가 이송하는 폐토너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거(18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작아질 수 있으며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측면부(192)의 높이가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한 이유는, 폐토너 유입구(161) 근처에 폐토너가 많이 쌓여서 폐토너 유입구(161)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측면부(191)가 아닌 제2측면부(192)의 높이에 변화를 준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1, 2공간(160a, 160b)의 크기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 예와는 달리 제1공간(160a)이 제2공간(160b)보다 큰 경우에서는, 제1측면부(191)의 높이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서는 제2측면부(192)의 전 구간에서 높이가 변화하였으나, 일부 구간에서만 제2측면부(192)의 높이가 변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폐토너 유입구(161)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제2측면부(192)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에서는 제1측면부(191)의 높이는 일정하고 제2측면부(192)의 높이만 변화하였으나, 제1, 2측면부(191, 192)의 높이가 모두 변화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의 변형 실시 예에서는, 격벽(190)의 제2측면부(192)에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가 형성된다. 따라서 오거(180)를 따라 이송되는 폐토너 중 일부가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를 통해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2공간(16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거(180)가 이송하는 폐토너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거(18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이 작아질 수 있으며 폐토너가 폐토너 수용부(160) 안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면부(191)가 아닌 제2측면부(192)에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를 형성시킨 전술한 바와 같이 폐토너 수용부(160)의 제1, 2공간(160a, 160b)의 크기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 예와는 달리 제1공간(160a)이 제2공간(160b)보다 큰 경우에서는, 제1측면부(191)의 높이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는 제2측면부(192)에만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가 형성되었으나, 제1, 2측면부(191, 192) 모두에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가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격벽(190)의 구조는 도 11-13에 도시된 실시 예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와 같은 실시 예에서 제2격벽(192)에 일 이상의 제2개방부(19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90)은 도 11-13에 도시된 변형 실시 예들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폐토너 수용부(160)의 용적은 토너 수용부(150)가 수용하는 미사용된 토너의 양과 전사효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미사용된 토너의 양이 440g이고 전사효율이 80%인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발생하는 폐토너의 양은 88g(440g×0.8)이 된다. 따라서 폐토너 수용부(150)는 최소 88g의 폐토너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져야한다. 이 경우, 토너 카트리지(100)가 저장하고 있는 미사용된 토너가 완전히 소진되지 전까지는 폐토너 수용부(150)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폐토너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면 새로운 카트리지에 있는 폐토너 수용부가 다시 폐토너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폐토너 수용부(150)가 토너 카트리지(100)에 일체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번거롭게 폐토너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앞선 설명에서는 토너 카트리지(100)와 현상유닛(50)이 별도의 부품이었다. 그러나 토너 카트리지(100)와 현상유닛(50)이 일체로 통합되어 하나의 카트리지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급지유닛
20; 대전유닛 30; 감광체
40; 광주사유닛 50; 현상유닛
60; 전사유닛 70; 폐토너 제거유닛
80; 정착유닛 100; 토너 카트리지
110; 상부 케이싱 115; 중간 케이싱
120; 하부 케이싱 130, 140; 제1, 2측면 커버
150; 토너 수용부 160; 폐토너 수용부
161; 폐토너 유입구 170; 폐토너 이송장치
180; 오거 185; 판 부재
190; 격벽 191, 192; 제1, 2측면부
193; 바닥부 195, 196; 제1, 2개방부

Claims (17)

  1. 급지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및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에 있어서,
    미사용된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 및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유입구에서 먼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폐토너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토너 수용부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바닥면이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수용부가 수용하는 상기 미사용된 토너를 공급받는 상기 현상유닛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급지유닛과 상기 정착유닛 중 상기 급지유닛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나선부를 갖는 오거; 및
    상기 오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에는 이송된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판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판 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1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기 개방부는, 상기 오거에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탄성을 갖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격벽과 간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오거의 양 측면에 인접한 제1, 2측면부; 및
    상기 오거의 아래쪽에 인접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1측면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오거의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제2측면부의 높이가 상기 폐토너 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오거의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에는 일 이상의 제2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오거의 의해 구분되는 상기 폐토너 수용부의 두 공간 중에서 더 큰 공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
  16. 감광체;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유닛;
    상기 감광체로 광을 주사하여 상기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광주사유닛;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닛;
    미사용된 토너를 저장하여 상기 현상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감광체에 남아 있는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폐토너 제거유닛;
    상기 폐토너 제거유닛에 의해 제거된 상기 폐토너를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폐토너 수용부로 이송하기 위한 폐토너 수송유닛; 및
    상기 인쇄매체로 전사된 상기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폐토너 수용부는 상기 전사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정착유닛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44089A 2010-05-11 2010-05-11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10124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89A KR20110124603A (ko) 2010-05-11 2010-05-11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2/929,022 US20110280623A1 (en) 2010-05-11 2010-12-22 Toner cartridge with waste toner stor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1101215083A CN102243461A (zh) 2010-05-11 2011-05-11 调色剂盒以及具有其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89A KR20110124603A (ko) 2010-05-11 2010-05-11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03A true KR20110124603A (ko) 2011-11-17

Family

ID=4491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89A KR20110124603A (ko) 2010-05-11 2010-05-11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80623A1 (ko)
KR (1) KR20110124603A (ko)
CN (1) CN102243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3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WO2015190667A1 (en) * 2014-06-10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2438B2 (en) * 2006-05-18 2010-09-07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JP2007310146A (ja) 2006-05-18 2007-11-29 Toshib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
CA153119S (en) * 2013-04-01 2014-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artridge for printer
JP6524476B2 (ja) * 2015-04-06 2019-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搬送装置、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装置の開口形成方法
JP6641613B2 (ja) * 2015-06-11 2020-02-0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885064A (zh) * 2017-12-13 2018-04-06 珠海维翼打印科技有限公司 挖粉组件和废粉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1208B2 (ja) * 1992-06-30 1999-01-27 富士通株式会社 現像剤カ−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130784B2 (ja) * 2007-05-15 2013-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3003B2 (ja) * 2007-06-22 2010-03-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135314B2 (en) * 2007-12-26 2012-03-13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developing latent ima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35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645525B2 (en) 2014-06-03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885975B2 (en) 2014-06-03 2018-02-06 S-Printing Solution Co., Lt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5190667A1 (en) * 2014-06-10 2015-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141360A (ko) * 2014-06-10 201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465350B2 (en) 2014-06-10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n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0623A1 (en) 2011-11-17
CN102243461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4603A (ko)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35723B2 (ja) 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1898B2 (ja) 画像形成装置、保持部材および画像形成ユニット
JP2006195401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8152005A (ja) 現像装置
JP201620633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20227A (ja)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31675A (ja) 廃トナー移送装置及び廃トナー移送装置を備える電子写真方式印刷機
US83114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053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4290157B2 (ja) 画像形成装置
JP6256297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272679B2 (ja) 廃トナー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393196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
JP535019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70817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P2595002B1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836014B2 (en) Waste toner stor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waste toner storing container
JP2020016785A (ja) 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09939B2 (ja) 廃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US11262687B2 (en) Waste toner storage case,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8297B2 (ja) 画像形成装置
US112215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aining a toner supply bottle having a single bottle body and a supply unit provided near one end of the bottle body
JP505751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8129344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