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42124A - 위치리드장치 - Google Patents

위치리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42124A
KR960042124A KR1019960015177A KR19960015177A KR960042124A KR 960042124 A KR960042124 A KR 960042124A KR 1019960015177 A KR1019960015177 A KR 1019960015177A KR 19960015177 A KR19960015177 A KR 19960015177A KR 960042124 A KR960042124 A KR 96004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ressing
resistance plate
display devi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346B1 (ko
Inventor
야스오 사까이
유따까 쯔레따
데쯔야 스즈끼
쯔요시 시오바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485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146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086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5293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6004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와 입력수단을 가진 위치리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화면상에 배치된 타블렛의 누름위치의 검출타이밍의 제약을 대폭 완화하고 그 검출을 위해 소비하는 CPU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타블렛으로부터의 좌표리드를 위한 전압의 거는쪽을 조정해서 그것에 이러한 전력을 저감하고 정밀도가 양호한 좌표리드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이 장치는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표시콘트롤러, 입력수단으로서의 수평방향 투명저항막과 수직방향 투명저항막으로 이루어지는 타블렛과 좌표리드기간을 생성하는 위치리드기간 신호생성회로 및 좌표리드기간에 표시장치제어신호의 레벨고정을 실행하는 신호고정회로를 사용하고, 위치리드를 실행하기 위해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기간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이 기간표시제어신호에 의한 타블렛으로의 노이즈발생을 없애고, 이 기간을 시간적으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여러개의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위치리드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고, 펜상태 인식회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펜누름에 의해서 얻은 좌표데이타의 생성 후 펜업을 펜상태 인식회로에서 인식하고, CPU에 펜상태 인식신호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무효데이타 폐기처리를 실행하여 정밀도가 양호한 위치리드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리드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리드장치의 제1의 1실시예 형태를 도시한 블럭도.

Claims (10)

  1.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콘트롤러와 입력수단으로서의 타블렛 및 상기 타블렛의 출력신호를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A/D컨버터로 이루어지는 위치리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기간 외에 상기 타블렛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치정보로 변환하는 위치리드기간을 마련하고, 상기 위치리드기간, 상기 표시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상기 표시제어신호 중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신호를 레벨고정하고, 상기 타블렛의 출력신호에 노이즈성분이 혼입하는 것을 회피해서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 상에서의 누름을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수단에 의한 누름의 검출이 중앙처리장치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위치리드기간 내에서 여러회 상기 누름위치정보의 리드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를 액정표시장치로 하고,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주사방향으로 상기 타블렛의 출력신호를 상기 위치정보로 변환할 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주사신호를 상기 표시장치에서의 표시화면의 수평래스터수보다도 1 이상 많은 주사신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리드기간의 개시을 인식해서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통지수단이 그 인식결과를 중앙처리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6.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을 대향배치하고, 상기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 각각에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스위칭소자를 거쳐서 직류전압을 교대로 인가하고,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이 단락된 위치에 있어서의 전압인가측 저항판의 분압을 전압불인가측 저항판의 전극에서 인출하고, 그 후 상기 인출된 분압전압을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탈값으로 변환해서 누름점을 좌표데이타로 해서 출력하는 위치리드장치에 있어서, 누름조작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은 상기 전압인가측의 저항판의 상기 저전위측의 스위칭소자를 비도 통해서 저항판 전체의 전위를 고전위로 해 두고, 상기 직류전압불인가측 저항판의 저전위측과 접속한 누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검출수단에서의 검출결과에서 액정표시장치에서 혼입한 노이즈성분을 삭제하는 노이즈제거수단을 거치고, 상기 노이즈제거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중앙처리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타블렛 상이 눌러져 있는 것을 중앙처리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인터럽트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8.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을 대향배치하고, 상기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 각각에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의 스위칭소자를 거쳐서 직류전압을 교대로 인가하고,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X측 저항판과 Y측 저항판이 단락된 위치에 있어서의 전압인가측 저항판의 분압을 전압불인가측 저항판의 전극에서 인출하고, 그 후 상기 인출된 분압전압을 A/D변환기에 의해 디지탈값으로 변환해서 누름점을 좌표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위치리드장치에 있어서, 누름조작의 개시가 검출되기 전은 상기 전압인가측의 저항판의 상기 저전위측의 스위칭소자를 비도통해서 저항판 전체의 전위를 고전위로 해 두고, 상기 직류전압불인가측 저항판의 저전위측과 접속한 누름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검출수단에서의 검출결과에서 액정표시장치에서 혼입한 노이즈성분을 삭제하는 노이즈제거수단을 거치고, 상기 노이즈제거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인터럽트신호를 사용해서 중앙처리장치에 통지하는 수단과 펜누름 유무의 상태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리드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9. 위치검출용의 여러개의 전극을 갖는 2개의 투명한 저항막이 서로 소정의 미소간격을 갖고 배치된 타블렛을 구비하고, 상기 저항막에 흐르는 전기량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블렛 상에서의 누름수단에 의한 누름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위치리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으로의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에 의한 상기 저항막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1의 수단과 상기 제1의 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를 CPU에 통지하는 제2의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CPU는 상기 제2의 수단에 의한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저항막의 각각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블렛에서의 상기 누름수단에 의한 누름점의 위치의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것을 처리해서 상기 누름점의 위치의 좌표를 구하는 연산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누름점의 위치데이타의 리드 또는 상기 연산처리의 종료와 함께, 상기 저항막 중 상기 한쪽에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해서 다음의 누름의 대기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10. 위치검출용의 여러개의 전극을 갖는 2개의 투명한 저항막이 서로 소정의 미소간격을 갖고 배치된 타블렛을 구비하고, 상기 저항막에 흐르는 전기량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블렛 상에서의 누름수단에 의한 누름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 위치리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블렛으로의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 누름중지에 의한 상기 저항막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1의 수단과 상기 제1의 수단에 의한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 누름중지를 CPU에 통지하는 제2의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CPU는 상기 제2의 수단에 의한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저항막의 각각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타블렛에서의 상기 누름수단에 의한 누름점의 위치의 데이타를 리드하고, 이것을 처리해서 상기 누름점의 위치의 좌표를 구하는 연산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누름점의 위치데이타의 리드 또는 상기 연산처리의 종료와 함께, 상기 저항막 중 상기 한쪽에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해서 다음의 누름의 대기상태로 하고, 상기 제2의 수단에 의한 상기 누름수단의 누름개시의 통지에 따라서 상기 저항막중 상기 한쪽에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상태로 해서 다음의 누름의 대기상태로 하고, 상기 누름점의 위치데이타의 리드동작을 중단함과 동시에, 직전에 얻어진 상기 누름점의 위치의 좌표데이타를 무효인 것으로 해서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리드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5177A 1995-05-12 1996-05-09 위치리드장치 KR100223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85595A JPH08314634A (ja) 1995-05-12 1995-05-12 表示一体型位置読取装置
JP95-114855 1995-05-12
JP31086395A JPH09152939A (ja) 1995-11-29 1995-11-29 位置読取装置
JP95-310863 1995-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124A true KR960042124A (ko) 1996-12-21
KR100223346B1 KR100223346B1 (ko) 1999-10-15

Family

ID=2645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177A KR100223346B1 (ko) 1995-05-12 1996-05-09 위치리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5973A (ko)
EP (1) EP0742531A1 (ko)
KR (1) KR100223346B1 (ko)
CN (1) CN11771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2493B2 (ja) * 1997-06-13 2004-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上の押圧位置検出方法
JP3595137B2 (ja) * 1997-11-14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タブレット装置
JP3934846B2 (ja) * 2000-03-06 2007-06-20 株式会社リコー 座標入力/検出装置、電子黒板システム、受光素子の位置ズレ補正方法及び記憶媒体
US6690156B1 (en) * 2000-07-28 2004-02-10 N-Trig Ltd. Physical object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a graph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R2820869B1 (fr) * 2001-02-13 2003-11-07 Thomson Csf Dispositif d'affichage matriciel a detection de proximite
WO2003019346A1 (en) * 2001-08-22 2003-03-0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sensor, display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for generating position data
KR100449745B1 (ko) * 2002-11-21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잡음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1384981B (zh) * 2006-02-10 2011-07-13 夏普株式会社 触摸面板的坐标位置检测装置
US8400408B2 (en) * 2007-06-13 2013-03-19 Apple Inc. Touch screens with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resistors
JP2009122969A (ja) * 2007-11-15 2009-06-04 Hitachi Displays Ltd 画面入力型画像表示装置
US8487884B2 (en) * 2008-06-24 2013-07-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Touch screen detection and diagnostics
JP5522375B2 (ja) * 2009-03-11 2014-06-1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タイミングコントローラ及び信号処理方法
KR101657215B1 (ko) 2009-09-08 2016-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플링 노이즈 제거 방법
JP2011233019A (ja) 2010-04-28 2011-11-17 Sony Corp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駆動回路、駆動方式、および電子機器
JP5539106B2 (ja) * 2010-08-23 2014-07-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駆動回路、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670124B2 (ja) 2010-08-23 2015-02-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駆動回路、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503103B1 (ko) 2011-03-25 2015-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0921A (ja) * 1986-06-10 1987-12-1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座標入力装置
JP2534422B2 (ja) * 1991-03-12 1996-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一体型タブレット装置
JP2656167B2 (ja) * 1991-05-30 1997-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ブレット入力装置
JPH0553716A (ja) * 1991-08-21 1993-03-05 Smk Corp 座標検出装置
JP2975467B2 (ja) * 1991-11-28 1999-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一体型位置読取装置
US5410329A (en) * 1992-05-22 1995-04-2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integrated type tablet device
US5367130A (en) * 1992-05-27 1994-11-22 Apple Computer, Inc. Graphics tablet scanning and error reduction
JP2955149B2 (ja) * 1993-05-11 1999-10-04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座標検出装置
US5410389A (en) * 1993-08-30 1995-04-25 Xerox Corporation Neutral side force belt support system
JP3310082B2 (ja) * 1993-12-24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一体型タブレットにおける座標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42531A1 (en) 1996-11-13
KR100223346B1 (ko) 1999-10-15
US5945973A (en) 1999-08-31
CN1177129A (zh) 199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42124A (ko) 위치리드장치
JP2975467B2 (ja) 表示一体型位置読取装置
JP3201874B2 (ja)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の座標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507158B (e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mouse touch pad
US20100033437A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CN106648198B (zh) 用于电容触摸感应触摸屏面板的差动电流模式模拟前端电路
KR950006576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타블렛
US5568409A (en) Tablet with system power saving features including reactivation by pen contact after inactive period
JP2008310500A (ja) 入力装置、入力システム
US5909382A (en) Tablet with system power saving features including reactivation by pencontact after inactive period
US8692142B2 (en) Circuit for determining positions of contacts on capacitive position detecting panel,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s on capacitive position detecting panel
JP3201873B2 (ja) 抵抗感圧型タブレットの座標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1117619A (ja) 座標入力装置
JPH1040007A (ja) 位置読取装置
JP2758857B2 (ja) タッチパネル押下検出回路
JP2606068Y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H05324173A (ja) 表示一体型タブレット装置
JPS58221476A (ja) 入力装置
JPH09152939A (ja) 位置読取装置
JP2542953Y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H10254607A (ja) 入力パネルの制御方法
JPH10116153A (ja) 表示一体型位置読取装置
US20040100453A1 (en) Reading control device for four-line resistive touch panel
JPH06161663A (ja) 感圧式タブレットを使用した位置情報入力装置
JP2584536B2 (ja) タッチパネル描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