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9313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9313A
KR960019313A KR1019950046604A KR19950046604A KR960019313A KR 960019313 A KR960019313 A KR 960019313A KR 1019950046604 A KR1019950046604 A KR 1019950046604A KR 19950046604 A KR19950046604 A KR 19950046604A KR 960019313 A KR960019313 A KR 96001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redundant
cell block
column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4920B1 (ko
Inventor
수미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폰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폰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1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 G11C29/806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improved layout by reducing size of deco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및 제2용장 메모리 셀로우(또는 컬럼)(1-1a,1-1b,…)를 각각 갖는 다수의 메모리 셀 클럭(1-1~1-4)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제1용장 로우(또는 컬럼) 선택회로(5-1a,5-2a,…)는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용장 메모리 셀 로우(또는 컬럼)을 액세스하기 위해 메모리 셀 블럭의 각각에 제공되고, 하나의 제2용장 로우(또는 컬럼) 선택 회로(5-1b′,5-1b′,…)는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2용장 메모리 셀 로우(또는 컬럼)을 액세스하기 위해 메모리 셀 블럭의 최소한 두 블럭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장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 1를 설명하는 블록도,
제7도는 제6도의 용장 컬럼 디코더의 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변경안을 설명하는 회로도.

Claims (12)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및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1-1a,1-2a,…,1-1b,1-2b)을 각각 갖는 다수의 메모리 셀 클럭(1-1~1-4);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한 블럭에 각각 제공되어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BK1,…) 및 상기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각각 액세스하는 다수의 제1용장 컬럼 선택 수단(5-1a,5-2b,…)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최소한 하나에 각각 제공되어 제2용장 컬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 및 상기 제2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각각 액세스 하는 다수의 제2용장 컬럼 선택 수단(5-1b′,5-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장 컬럼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Q10,…);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1퓨즈(F11,F11′,…); 상기 제1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컬럼 어드레스 신호(Y2,Y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11,Q11′,…)와;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퓨즈 사이의 제1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컬럼에 선택 신호(RCS11,…)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1게이트 회로(G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장 컬럼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Q20,…);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2퓨즈(F21,F21′,…); 상기 제2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컬럼 어드레스 신호(Y2,Y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Q21,Q21′,…)와;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퓨즈 사이의 제2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에 선택 신호(RCS12,…)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2게이트 회로(G21,G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및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1-1a,1-2a,…,1-1b,1-2b)을 각각 갖는 다수의 메모리 셀 클럭(1-1~1-4);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한 블럭에 각각 제공되어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BK1,…) 및 상기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각각 액세스하는 다수의 제1용장 컬럼 선택 수단(5-1a,5-2b,…)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에 제공되어 제2용장 컬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 및 상기 제2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각각 액세스 하는 단일 제2용장 컬럼 선택 수단(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장 컬럼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Q10,…);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1퓨즈(F11,F11′,…); 상기 제1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컬럼 어드레스 신호(Y2,Y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11,Q11′,…)와;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퓨즈 사이의 제1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컬럼에 선택 신호(RCS11,…)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1게이트 회로(G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장 컬럼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Q20,…);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2퓨즈(F21,F21′,…); 상기 제2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컬럼 어드레스 신호(Y2,Y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Q21,Q21′,…)와;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퓨즈 사이의 제2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에 선택 신호(RCS12,…)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2게이트 회로(G21,G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및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1-1c,1-2c,…,1-1d,1-2d)을 각각 갖는 다수의 메모리 셀 클럭(1-1~1-4);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한 블럭에 각각 제공되어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BK1,…) 및 상기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로우를 각각 액세스하는 다수의 제1용장 로우 선택 수단(5-1a,5-2b,…)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최소한 하나에 각각 제공되어 제2용장 로우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 및 상기 제2용장 로우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각각 액세스 하는 다수의 제2용장 로우 선택 수단(5-1d′,5-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장 로우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1퓨즈; 상기 제1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로우 어드레스 신호(X2,X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퓨즈 사이의 제1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로우에 선택 신호(RRS11,…)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1게이트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장 로우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Q20,…);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2퓨즈(F21,F21′,…); 상기 제2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로우 어드레스 신호(X2,X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Q21,Q21′,…)와;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퓨즈 사이의 제2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로우에 선택 신호(RRS12,…)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2게이트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노멀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1 및 제2용장 메모리 셀 로우(1-1c,1-2c,…,1-1d,1-2d,…)을 각각 갖는 다수의 메모리 셀 클럭(1-1~1-4); 상기 메모리 셀 블럭중 한 블럭에 각각 제공되어 제1용장 로우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BK1,…) 및 상기 제1용장 컬럼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로우를 각각 액세스하는 다수의 제1용장 로우 선택 수단(5-1c,5-2c,…)과; 상기 메모리 셀 블럭에 제공되어 제2용장 로우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 및 상기 제2용장 로우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로우를 액세스 하는 단일 제2용장 로우 선택 수단(5-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장 로우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Q10,…);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1퓨즈(F11,F11′,…); 상기 제1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로우 어드레스 신호(X2,X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1스위칭 트랜지스터(Q11,Q11′,…)와; 상기 제1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퓨즈 사이의 제1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1용장 메모리 셀 로우에 선택 신호(RRS11,…)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1게이트 회로(G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장 로우 선택 수단 각각은, 제1전원 단자(VDD)에 접속된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Q20,…);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다수의 제2퓨즈(F21,F21′,…); 상기 제2퓨즈 중 한 퓨즈와 제2전원 단자(GND) 사이에 각각 접속되고, 로우 어드레스 신호(X2,X2,…) 및 그들 반전된 신호중 한 신호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다수의 제2스위칭 트랜지스터(Q21,Q21′,…)와; 상기 제2프리차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퓨즈 사이의 제2노드에 접속된 제1입력,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과, 각각의 메모리 셀 블럭의 상기 제2용장 메모리 셀 로우에 선택 신호(RRS12,…)를 발생하는 출력을 갖는 다수의 제2게이트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6604A 1994-11-29 1995-11-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0184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94412 1994-11-29
JP6294412A JPH08153399A (ja) 1994-11-29 1994-11-29 半導体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13A true KR960019313A (ko) 1996-06-17
KR0184920B1 KR0184920B1 (ko) 1999-04-15

Family

ID=1780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604A KR0184920B1 (ko) 1994-11-29 1995-11-29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70318A (ko)
EP (1) EP0718767B1 (ko)
JP (1) JPH08153399A (ko)
KR (1) KR0184920B1 (ko)
DE (1) DE695225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6961B2 (ja) * 1995-05-12 2011-09-0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0157344B1 (ko) * 1995-05-25 1998-12-01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퓨즈소자 회로
JP3557019B2 (ja) * 1995-11-17 2004-08-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882369B2 (ja) * 1996-06-27 1999-04-1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CA2202692C (en) * 1997-04-14 2006-06-13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Column redundancy in semiconductor memories
WO1998058410A1 (fr) * 1997-06-19 1998-12-23 Hitachi, Ltd. Memoire a semi-conducteurs
US5867433A (en) * 1997-07-11 1999-02-02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with a novel column decoder for selecting a redundant array
KR100282226B1 (ko) * 1998-06-24 2001-02-15 김영환 반도체 메모리의 구제회로
US6208569B1 (en) * 1999-04-06 2001-03-27 Genesis Semiconductor,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haring redundancy circuits between memory arrays with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1101890A (ja) * 1999-09-28 2001-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0572758B1 (ko) * 2000-11-02 2006-04-24 (주)이엠엘에스아이 로우 리던던시 리페어 효율을 증가시키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1062740B1 (ko) * 2008-12-26 2011-09-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퓨즈 박스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1177968B1 (ko) * 2009-03-04 2012-08-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고집적 반도체 장치를 위한 퓨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294A (ja) * 1984-08-18 1986-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冗長回路
JPS62217498A (ja) * 1986-03-06 1987-09-24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JPS6427100A (en) * 1987-07-23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dundant circuit
US5265055A (en) * 1988-10-07 1993-11-23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y having redundancy circuit
JPH02208898A (ja) * 1989-02-08 1990-08-20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H0317898A (ja) * 1989-06-14 1991-01-25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485418A (en) * 1990-01-16 1996-01-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sociative memory
KR930003164A (ko) * 1991-07-26 1993-02-24 김광호 반도체메모리 리던던시 장치
JP2853406B2 (ja) * 1991-09-10 1999-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950015041B1 (ko) * 1992-11-23 199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우리던던시회로를 가지는 고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50004623B1 (ko) * 1992-12-07 199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던던시 효율이 향상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856645B2 (ja) * 1993-09-13 1999-02-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H07176200A (ja) * 1993-12-17 1995-07-14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4920B1 (ko) 1999-04-15
EP0718767B1 (en) 2001-09-05
DE69522545T2 (de) 2002-04-18
US5570318A (en) 1996-10-29
DE69522545D1 (de) 2001-10-11
EP0718767A1 (en) 1996-06-26
JPH08153399A (ja) 199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531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TMI922474A1 (it) Circuito di ridonanza di colonna per un dispositivo di memoria a semiconduttore.
KR920006997A (ko) 용장회로(冗長回路)
KR960008833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870009384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960008544A (ko) 다중 메모리 뱅크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R2688328B1 (fr) Circuit a redondance de rangees pour dispositif a memoire a semi-conducteurs pour reparer ou remplacer une cellule defectueuse d'un reseau de cellules a memoire.
KR970051182A (ko) 반도체 기억 장치
FR2647583B1 (fr) Dispositif de memoire a semiconducteurs avec bloc redondant
KR96001931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20008768A (ko) 반도체기억장치
KR940010103A (ko) 이중 워드라인 구조인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KR860003603A (ko) 반도체 메모리
KR950009742A (ko) 다수의 메모리 셀을 가진 메모리를 구비한 전자 회로
KR910013287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병렬 테스트방법
KR940016282A (ko) 로오 리던던시 회로
KR920008773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50009279A (ko) 메모리 시험을 실시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20001545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70012708A (ko) 집적 반도체 메모리 장치
DE69132951D1 (de)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KR880000966A (ko) 메모리셀 블록의 선택적 동작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40003040A (ko)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KR910013285A (ko)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
DE69321623D1 (de) Redundanzspeicherzellen mit Parallelprüffunktion enthaltendes Halbleiter-Speicher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