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9298A - 반도체 소자의 신호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신호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9298A
KR960019298A KR1019940031552A KR19940031552A KR960019298A KR 960019298 A KR960019298 A KR 960019298A KR 1019940031552 A KR1019940031552 A KR 1019940031552A KR 19940031552 A KR19940031552 A KR 19940031552A KR 960019298 A KR960019298 A KR 96001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mory cell
signal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149B1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3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149B1/ko
Publication of KR96001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내부 어드레스신호 변환장치(내부 데이타 신호)에 관한 것으로, 디램의 동작시 어드레스(데이타)의 변화가 동일한 어드레스(데이타)를 사용하면서 빈번히 변하는 경우에 자주 사용되는 어드레스 신호(데이타 신호)를 메모리 셀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새로운 어드레스(데이타)의 변환에서 상기 메모리셀에 저장된 어드레스(데이타)를 발생시켜 내부를 동작시키도록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모든 어드레스(데이타)를 입력시키지 않고도 단순히 몇개의 어드레스 신호(데이타 신호)만을 구동시켜 원하는 데이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신호 변환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내부 어드레스신호 변환장치의 개념도.

Claims (10)

  1.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입력버퍼 수단과, 상기 입력된 다수의 외부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 셀 수단과, 상기 입력된 외부 어드레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하기 위한 라이트 디코더 수단과, 상기 특정 메모리 셀에 저장된 어드레스 신호를 읽기 위해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하기 위한 리드 디코더 수단과, 상기 외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어드레스 신호를 절환하여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제1멀티플렉스 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어드레스 신호를 연속적인 내부 어드레스 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상기 외부 어드레스 신호 및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내부 어드레스 신호를 절환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2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제2멀티플렉스 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셀 블럭 수단으로 하여금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리드하도록 순차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멀티플렉스 수단은, 제1의 동작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버퍼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단자로 전달하고, 제2의 동작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출력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입력 버퍼수단으로부터의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가 n개인 경우 n개의 메모리 장치를 가지고 있는 k(k=1,2,3…)개의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수단은, 라이트 동작에서는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데이타 신호 핀에 의해서 선택된 메모리 셀에 상기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리드 동작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버퍼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 셀에 저장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멀티플렉스 수단은, 제1의 동작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입력 버퍼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 전달하고, 제2의 동작에서는 상기 셀 블럭 수단으로부터의 저장된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어드레스 발생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어드레스 신호 변환장치.
  8.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외부 데이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타 입력버퍼 수단과, 상기 입력된 다수의 외부 데이타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셀 수단과, 상기 입력된 외부 데이타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하기 위한 라이트 디코더 수단과, 상기 특정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타 신호를 읽기 위해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하기 위한 리드 디코더 수단과, 상기 외부 데이타 신호 및 상기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타 신호를 절환하여 데이타 발생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제1멀티플렉스 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데이타 신호 변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타 신호를 연속적인 내부 데이타 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타 발생수단과, 상기 외부 데이타 신호 및 상기 데이타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내부 데이타 신호를 절환하여 출력단자로 출력하기 위한 제2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제2멀티플렉스 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멀티플렉스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데이타 신호 변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 수단은, 라이트 동작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타 신호가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상기 데이타를 저장하고, 리드 동작에서는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데이타 신호 변환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31552A 1994-11-28 1994-11-28 반도체소자의신호변환장치 KR10031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52A KR100314149B1 (ko) 1994-11-28 1994-11-28 반도체소자의신호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52A KR100314149B1 (ko) 1994-11-28 1994-11-28 반도체소자의신호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298A true KR960019298A (ko) 1996-06-17
KR100314149B1 KR100314149B1 (ko) 2001-12-28

Family

ID=3753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52A KR100314149B1 (ko) 1994-11-28 1994-11-28 반도체소자의신호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3865A1 (zh) 2014-11-25 2016-06-02 三星电子株式会社 基于概率信息检测半导体存储器的被最频繁存取的地址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149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3462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850004684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880013168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70067348A (ko) 향상된 동기식 판독 및 기록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KR940007884A (ko) 반도체 장치
US4564926A (en) Information memory device with address multiplexing
KR91000177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860009422A (ko) 기억회로
KR930020459A (ko) 간단화된 제어하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융통성좋게 출력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동작방법
KR960015230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920006974A (ko) 다이너믹형 반도체기억장치
KR920003314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890016462A (ko) 제어 데이타 발생 장치
KR960019298A (ko) 반도체 소자의 신호 변환장치
KR970051398A (ko)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회로
KR100205589B1 (ko)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KR980004958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4002696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60038988A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 어드레스버퍼
KR920020491A (ko) 반도체기억장치의 독출회로
JPH0855077A (ja) 情報利用回路
KR970049609A (ko) 단일 메모리를 이용한 이중스택의 제어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2978253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S54123841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memory element
KR97002342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마스킹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