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589B1 -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 Google Patents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589B1
KR100205589B1 KR1019920021785A KR920021785A KR100205589B1 KR 100205589 B1 KR100205589 B1 KR 100205589B1 KR 1019920021785 A KR1019920021785 A KR 1019920021785A KR 920021785 A KR920021785 A KR 920021785A KR 100205589 B1 KR100205589 B1 KR 10020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emory
latch
rea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061A (ko
Inventor
심복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589B1/ko
Publication of KR94001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타임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에서 정상적인 교환동작을 수행하면서 CPU가 타임스위치의 메모리를 억세스하는 타임스위치의 메모리의 억세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교환시스템의 타임스위치에서 시스템클럭의 한주기를 3개의 입출력 구간으로 나누어 타임스위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제어부가 시스템의 유지관리 목적으로 스피치 메모리 및 커넥션 메모리의 상태를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환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한다.

Description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제1도는 종래의 타임스위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피치 메모리 21 : 커넥션 메모리
22-25 : 제1-제4 MUX 26, 27 : 제1-제2카운터
28 : 어드레스래치 29 : 커넥션 메모리래치
30, 31 : 제1-제2래치 32 : 제어부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타임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에서 CPU가 타임스위치의 메모리를 억세스할 시 정상적인 교환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스위칭 방식은 시분할 스위칭 방식을 사용한다.
시분할 스위칭 방식은 시간분할로 입력되는 채널 데이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스위칭 어드레스에 따라 읽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시분할 방식은 보통 타임스위치라는 원칩 IC에 의해 구현된다.
제1도는 종래의 타임스위치 회로의 구성도로서, 직/병렬 변환기(1)는 하이웨이의 직렬형태의 32채널 데이타를 병렬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한다.
제1MUX(2)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1)에서 변환된 병렬 데이타를 시분할되도록 선택 출력한다.
스피치 메모리(3)는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각 채널데이타를 고유의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다시 이를 스위칭 어드레스에 따라 읽어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커넥션메모리(7)는 각 채널간의 스위칭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상기 스피치 메모리(3)와 커넥션 메모리(7)는 한 주기 동안에 각각 한번의 리드(Read)와 라이트(Write) 동작이 수행된다.
제2MUX(12)는 각각 리드(Read) 어드레스와 라이트(write) 어드레스를 상기 스피치 메모리(1)의 어드레스 입력에 인가한다.
제1카운터(11)는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채널 데이타를 상기 스피치 메모리(3)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제1어드레스래치(9)는 상기 스피치 메모리(3)를 읽고자 할때 그 어드레스를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스피치 메모리(3)의 어드레스 입력에 인가한다.
제3MUX(10)는 통상의 스위칭을 위해서 상기 커넥션 메모리(4)의 출력에서 오는 스위칭 어드레스와 상기 제1어드레스래치(9)의 출력에서 오는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상기 제3MUX(10)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는 CPU가 상기 스피치메모리(3)를 읽고자 할때 상기 제1어드레스래치(9)의 내용이 선택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커넥션 메모리래치(8)의 내용이 선택되도록 발생된다.
제4MUX(6)는 상기 커넥션 메모리(7)의 리드(Read) 어드레스와 라이트(Write)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제2어드레스래치(5)는 CPU가 커넥션 메모리(7)를 억세스 할때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제2카운터(4)는 상기 커넥션 메모리(7)에 저장되어 있는 각 채널의 스위칭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타임스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CPU에 의해서 통제 되는데 교환시스템에서는 CPU의 제어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가입자 정보에 따른 스위칭 어드레스를 타임스위치내의 상기 커넥션 메모리(7)에 써줌으로서 가입자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임스위치 회로는 스피치 메모리 및 커넥션 메모리의 리드 및 라이트 동작이 한주기에 한번씩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시분할 스위칭을 하기위해서는 매주기마다 스피치메모리를 각 한번씩 읽고 써야 하며 커먼메모리의 읽기 순서에 따라 정해진 어드레스를 한번씩 읽어야 한다. 만일 CPU가 현재 저장되어 있는 커먼 메모리의 스위칭 정보나 스피치메모리의 저장 데이타를 확인하는 등의 유지관리 목적으로 임의의 어드레스에 따라 스피치 메모리 및 커넥션 메모리를 읽고 쓰게 되며 그 순간의 스위칭 동작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되어 타임스위치의 온라인 점검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타임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면서 외부 CPU가 타임스위치의 메모리를 억세스 하는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 회로의 구성도로서,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 동작 파형도로서, 제3a도는 스피치메모리(20)로 인가되는 어드레스의 파형도이고, 제3b도는 스피치메모리(20)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의 파형도이며, 3c도는 스피치메모리(20)의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파형도이고, 3d도는 제1래치(30)의 출력 파형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교환시스템에서 정상적인 동작외에 유지관리를 위해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내용을 임의로 읽어들이게 되는데 이때 타임스위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메모리를 억세스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스피치메모리(20)로 입력되는 채널데이타는 제1도의 제1MUX(2)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타이며 이 데이타는 채널 ID에 따라 순차적으로 들어오게 된다. 상기 스피치메모리(20)는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각 채널데이타를 고유의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다시 이를 스위칭 어드레스에 따라 읽어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제1MUX(22)는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어드레스를 인가하기 위한 MUX로서 리드(Read) 어드레스와 라이트(Write) 어드레스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어부(32)에서 상기 제1MUX(22)로 인가 되는 선택신호는 상기 스피치메모리(20)를 리드할 시 제2MUX(23)의 출력을 선택하고 라이트시에는 제1카운터(26)의 출력을 선택한다.
상기 제1카운터(26)는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채널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라이트(Write)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커넥션 메모리 래치(29)는 한 주기 앞서서 미리 읽은 커넥션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스위칭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만일 상기 제어부(32)가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임의의 어드레스의 내용을 읽으려고 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32)에서 발생된 어드레스버스의 내용이 어드레스래치(16)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MUX(23)에 의해 어드레스래치(28)의 내용이 일정시간에 선택되도록 상기 제어부(32)에서 선택신호를 상기 제2MUX(23)의 선택단자(S)로 발생하게된다. 즉 상기 스피치메모리(20)를 읽기 위한 어드레스를 상기 스피치 메모리(20)의 어드레스버스로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1-제2MUX(22, 23)를 제어하여 각각 제1카운터(26)의 출력에 의한 라이트(Write) 어드레스, 상기 커넥션 메모리(21) 출력에 의한 스위칭 어드레스, 제어부(32)에 의한 리드(Read) 어드레스가 한 주기의 일정시간 동안 가해지게 된다. 상기 커넥션 메모리(21)는 스위칭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제3MUX(24)에 의해 리드/라이트(Read/Write) 어드레스가 각각 선택되어 상기 커넥션메모리(21)의 어드레스 입력에 가해진다. 상기 커넥션메모리(21)는 상기 제어부(32)에서 발생되어 어드레스래치(28)를 통해 입력된 스위칭 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인 후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라이트 어드레스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2카운터(27)를 사용해 순차적인 리드(Read)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32)는 스위칭 정보를 쓰기 위해서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의 임의의 번지를 라이트(Write)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임의의 번지를 리드(Read)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어드레스는 상기 스피치 메모리(20)를 제어부(32)가 리드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래치(28)을 공유하게 된다. 즉 상기 커넥션메모리(21)는 제3MUX(24)를 통해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리드(Read/Write) 동작은 상기 제어부(32)에서 오는 리드/라이트(R/W)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커넥션메모리(21)나 스피치 메모리(20)를 상기 제어부(32)에서 읽는 경우에 그 출력은 각각 제1-제2래치(22, 23)에 저장되어 제4MUX(25)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32)의 데이타 버스에 전달된다. 상기 제4MUX(25)의 선택신호는 현재 상기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스피치메모리(20)을 읽은 것인지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을 읽는 것인지에 따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32)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제1-제4MUX(22-25) 및 스피치메모리(20) 커넥션메모리(21)의 리드/라이트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2)가 스피치메모리(20)와 커넥션메모리(21)를 억세스할때 각 신호의 파형도는 제3도와 같다. 상기 제3a도에서는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특정 어드레스를 상기 제어부(32)가 리드할때 정상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리드/라이트와 상기 제어부(32)가 유지보수를 위해 라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낸 각신호의 파형도이다. 상기 제어부(32)는 제1카운터(26)에서 출력된 라이트 어드레스를 한주기의 3/8동안 상기 스피치메모리(20)에 인가되도록 하고, 한주기의 1/4동안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어드레스를 인가하고, 다음 한주기의 3/8동안은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에서 출력된 스위칭 어드레스를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2)는 기록시에 상기 스피치메모리(20)로 제3c도와 같은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고 리드시에는 제3b도와 같은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스피치메모리(20)에서 리드되어 출력된 신호는 제1래치(30)에 인가되어 제3d도와 같은 신호로 저장된다.
또한 커넥션메모리(21)의 리드시 출력된 신호는 제2래치(31)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32)는 제3a도의 제어부 어드레스 구간에 상기 제4MUX(25)를 제어하여 상기 제1래치(30)에 저장된 신호 또는 제2래치(31)에 저장된 신호를 리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교환시스템의 타임스위치에서 시스템클럭의 한주기를 3개의 입출력 구간으로 나누어 타임스위치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제어부가 시스템의 유지관리 목적으로 스피치 메모리 및 커넥션 메모리의 상태를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환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교환시스템에서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 회로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며, 메모리 억세스를 위한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32)와,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각 채널데이타를 교유의 어드레스에 저장하고 다시 이를 스위칭 어드레스에 따라 읽어서 출력하는 스피치메모리(20)와, 채널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라이트(Write)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카운터(26)와, 상기 스피치 메모리(20)를 읽고자 할때 상기 제어부(32)에서 발생된 어드레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상기 스피치 메모리(3)의 어드레스 입력에 인가하는 제1어드레스래치(28)와, 각 채널간의 스위칭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커넥션메모리(7)와, 상기 커넥션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한 주기 앞서서 미리 읽은스위칭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커넥션 메모리 래치(29)와, 상기 제1어드레스래치(28)에서 출력된 리드(Read) 어드레스와 상기 커넥션 메모리(29)에서 래치출력된 라이트(Write)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32)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 출력하는 제2MUX(23)와, 상기 제1카운터(26)에서 발생된 라이트 어드레스와 상기 제2MUX(23)에서 선택 출력된 어드레스를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어드레스입력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1MUX(22)와,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채널의 스위칭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제2카운터(27)와, 상기 어드레스래치(28)에서 래치출력된 라이트어드레스와 상기 제2카운터(27)에서 발생된 리드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32)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출력하여 상기 커넥션 메모리(21)의 어드레스 입력으로 인가 하는 제3MUX(24)와, 상기 제어부(32)에서 상기 스피치메모리(3)를 읽고자 할때 상기 스피치메모리(20)의 내용을 래치출력하는 제1래치(30)와, 상기 제어부(32)에서 상기 커넥션 메모리(21)를 읽고자 할대 상기 커넥션 메모리(23)의 내용을 래치출력하는 제1래치(30)와, 상기 제1래치(3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래치(31)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어부(32)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32)의 데이타버스로 출력하는 제4MUX(2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20021785A 1992-11-19 1992-11-19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KR10020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785A KR100205589B1 (ko) 1992-11-19 1992-11-19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785A KR100205589B1 (ko) 1992-11-19 1992-11-19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1A KR940013061A (ko) 1994-06-25
KR100205589B1 true KR100205589B1 (ko) 1999-07-01

Family

ID=1934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785A KR100205589B1 (ko) 1992-11-19 1992-11-19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5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257B1 (ko) * 1999-12-29 2001-09-28 서평원 교환기에서 멀티 채널데이터 그룹 스위칭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061A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8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3470542A (en) Modular system design
KR960008544A (ko) 다중 메모리 뱅크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0226950A2 (en) Memory access control circuit
KR870003431A (ko) 데이타 처리장치
KR960004457B1 (ko)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05589B1 (ko) 타임스위치의 메모리 억세스회로
JP2001195353A (ja) Dma転送システム
CA2340633C (en) Memory supervision
KR920003174B1 (ko) 메모리 액세스 콘트롤러
KR100336152B1 (ko) 마이크로컴퓨터
US4081610A (en) Fast access antiphase control memory for digital data switches
JP2914289B2 (ja) 時分割スイッチの制御方式
JPH0757459A (ja) 半導体メモリ
JPS633392B2 (ko)
JP2590695B2 (ja) 時分割スイッチ回路
US5584021A (en) Binary output signal programmer using stored start and end location and timing signal states
KR0148182B1 (ko) 쿼드러플뱅크 메모리 제어장치
JPH05143283A (ja) データ速度変換装置
KR910006792B1 (ko) 다이랙트 메모리 억세스 컨트롤러의 억세스 메모리 확장회로
KR200148658Y1 (ko) 피엘씨의 입/출력 카드 선택장치
KR950020736A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04324191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56122B1 (ko) 동기식 메모리 소자의 비트별 기록 제어 회로
JPH02276090A (ja)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