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898B1 -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 Google Patents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898B1
KR960013898B1 KR1019950017699A KR19950017699A KR960013898B1 KR 960013898 B1 KR960013898 B1 KR 960013898B1 KR 1019950017699 A KR1019950017699 A KR 1019950017699A KR 19950017699 A KR19950017699 A KR 19950017699A KR 960013898 B1 KR960013898 B1 KR 96001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air
thread
corner por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시라키
후지오 스즈키
카즈노리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지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이소가이 지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기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화한 제1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변형바디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2도의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6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상벽면에 충돌할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7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안벽면에 충돌할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8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상부각부에 충돌할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변형바디의 가로실 통로내에 있어서의 공기유속분포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변형바디의 가로실 통로내에 있어서의 공기유속분포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11도는 상부각부의 곡률반경과 가로실의 비주트래블(飛走 trouble)발생빈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12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D-D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2도의 E-E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제12도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17도는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18도는 제17도의 G-G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19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0도는 제19도의 H-H선 확대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종래의 가로넣음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의 조합도면이다.
제22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종래의 변형바디의 상벽면에 충돌한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제23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종래의 변형바디의 안벽면에 충돌한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4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종래의 변형바디의 상부각부에 충돌한 경우의 그후의 추이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5도는 종래 변형바디의 가로실통로내에 있어서의 공기유속분포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6도는 종래 변형바디의 가로실통로내에 있어서의 공기유속분포를 설명하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7도는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제28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바디의 가로실통로내에 있어서의 상부각부 부근의 가로넣음방향의 공기유속 분포도이다.
제29도는 하벽면의 칫수와 가로실 비주속도 및 가로실 비주트래블 발생빈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제30도는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가로넣음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의 조합도면이다.
제31도는 제7실시예의 변형바디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변형바디 11, 11A : 바디날개
11a : 공기누설용 관통구멍 11b, 11c, 11d, 11e : 공기누설용홈
12 : 가이드구멍(guide 孔) 12a : 상벽면
12b : 안벽면 12c : 하벽면
12d : 상부각부 12e : 하부각부
본 발명은, 에어제트룸(air jet room)에 사용되는 변형바디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가로넣음안정성의 개선, 가로넣음의 고속화, 공기소비량의 삭감을 도모한 변형바디에 관한 것이다.
에어제트룸으로 가로넣음되는 가로실의 비주(飛走)를 안내하는 가로넣음장치로서는 에어제트를 사용한 장치와 변형바디를 사용한 장치등이 있다.
전자의 가로넣음장치는 특개소 55-93844호 공보, 특개소 57-95344호 공보, 특공소 59-2668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후자의 가로넣음장치는 특개소 2-53935호 공보, 실개평 3-383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특개소 55-93844호 공보, 특개소 57-95344호 공보, 특공소 59-2668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에어가이드는 바디의 앞측에 대향배치된다.
에어가이드는 둥근형, 직사각형, 혹은(그)자형의 가이드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가로넣음방향으로 줄지어 설치된 에어가이드의 가이드구멍 열은 가로실통로를 형성하고 가로실은 이 가로실통로내에 비주(飛走)한다. 에어가이드의 가이드구멍 형상의 자유도는 높고 가로실의 비주를 돕는 보조노즐과 같은 노즐의 에어분사위치도 자유롭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이상적인 가이드 구멍형상의 설정 및 이상적인 보조노즐배치의 설정이 행해진다. 이와같은 에어가이드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는 변형바디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에 비해서 가로실비주를 위한 공기이용율이 높고 가로실 비주가 안정적이다는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가로넣음을 행할때는 에어가이드는 세로실을 나누어 세로실개구내로 전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바디질시에는 세로실개구내로부터 세로실의 밑쪽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세로실을 나누어서 에어가이드를 고속으로 출입시키는 동작은 세로실을 손상시킨다.
또 세로실개구내와 세로실밑쪽과의 사이에서 에어가이드를 왕복운동시키는 구성은 에어가이드의 형상으로부터 변형바디의 경우에 비해서 슬래이의 미끄러짐 운동량에 크게된다. 그 때문에 에어가이드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는 에어제트룸의 고속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제21도는 종래의 변형바디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를 나타낸다.
슬래이상(1)에는 변형바디(2)가 세워져 고정되어 있다.
변형바디(2)는 다수개의 바디날개(3)가 가로넣음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바디날개(3)에는 가이드구멍(4)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구멍(4)의 열이 가로실통로(T)를 형성한다.
가로넣음용 메인노즐(5)로부터 사출된 가로실(Y)는 가로실통로(T)내를 비주한다.
가이드구멍(4)는 수평인 상벽면(4a), 수직인 안벽면(4b), 가이드구멍(4)의 개구부(4f)측으로 향해서 완만하게 밑으로 경사진 하벽면(4c), 상벽면(4a)와 안벽면(4b)를 잇는 곡면형상의 상부각부(4d), 안벽면(4b)와 하벽면(4c)를 잇는 곡면형상의 하부각부(4e)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래이(1)의 전면에는 복수본의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이 가로실통로(T)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선단에는 분사구멍(6a)가 뚫려져 있다.
분사구멍(6a)로부터의 분사주류는 제(21)도의 화살표(S)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가로실통로(T)에 따라서 경사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있다.
경사실통로(T)와 변형바디(2)는 일체로 되어 있으며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선단에 형성된 분사구멍(6a)는 가로실통로(T)에 가깝게 접근해 있다.
가로넣음시에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만이 가로실을 나누어 세로실 개구내로 진입하고 바디질시에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만이 세로실 개구내로부터 세로실의 밑쪽을 빠져나간다.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은 폭이 좁게 만들어져 있어 세로실을 나누어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을 고속으로 출입시켜도 세로실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선단의 세로실개구내에 대한 출입거리는 에어가이드의 출입거리에 비해서 적게된다. 그 때문에 세로실 개구내와 세로실의 밑쪽과의 사이로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을 왕복운동시키는 구성은 에어가이드의 경우에 비해서 슬래아(1)의 미끄러짐운동량이 적게된다.
따라서 변형바디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는 에어제트룸의 고속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변형바디(2)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곡면형상의 상부각부(4d) 및 하부각부(4e)의 곡률반경은 가로실통로내의 공기흐름의 흩어짐을 적게하고 프레스에 의한 형빼냄제작의 용이성등을 고려해서 어느쪽의 각부도 2㎜정도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변형바디(2)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에서는 가로실통로(T)내를 비주하는 가로실(Y)의 비주위치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의 주류(S)가 가이드구멍(4)의 벽면에 충돌하는 위치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제22도는 공기주류(S1)이 상벽면(4a)에 충돌한 경우의 최고유속위치 추이와 가로실(Y)의 비주위치(Y1)과의 관계에 대해 가로넣음 상류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낸다.
공기주류(S1)이 상벽면(4a)에 충돌한 경우에는, 충돌후에 공기주류(S1)은 안벽면(4b)측으로 진입하고 상부각부(4d)에 따라서 하방으로 편향하며, 다음에 안벽면(4b)측으로부터 개구부(4f)측으로 추이한다.
최고유속위치의 이와같은 변화 때문에 가로실(Y)는 상부각부(4d)에서의 하향 편향흐름의 영향을 받아서 (Y1)로 나타난 바와같이 하부각부(4e)부근을 비주한다.
제23도에서는 공기주류(S2)가 안벽면(4b)에 충돌한 경우의 최고유속위치의 추이와 가로실(Y)의 비주위치(Y2)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공기주류(S1)가 안벽면(4b)에 충돌한 경우에는 충돌후에 공기주류(S2)가 상부각부(4d)에 따라서 진입하고 개구부(4f)측으로 편향한다.
최고유속위치의 이와같은 변화 때문에 가로실(Y)는 상부각부(4d)에서의 상향 편향흐름의 영향을 받아서 (Y2)로 나타난 바와같이 상벽면(4a)부근을 비주한다.
제24도에서는 공기주류(S3)가 상부각부(4d)에 충돌한 경우의 최고유속위치의 추이와 가로실(Y)의 비주위치(Y3)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공기주류(S3)가 상부각부(4d)에 충돌한 경우에는 충돌후에 공기주류(S3)는 밑쪽으로 진입하면서 약간 개구부(4f)측으로 편향한다.
최고유속위치의 이와같은 변화 때문에 가로실(Y)는 (Y3)로 표시된 바와같은 상부각부(4d)부근을 비주한다.
가로실의 비주속도 및 가로실의 비주안정성은 가로실의 비주위치와 깊은 관계에 있다.
다시말해 가로실의 비주속도 및 가로실의 비주안정성은 가로실통로내의 공기주류 분포와 깊은 관계에 있다.
제25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인접간격(X)를 60㎜으로한 경우의 가로실통로(T)내의 공기유속분포를 나타내고, 제26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인접간격(X)를 80㎜으로한 경우의 가로실통로(T)내의 공기유속분포를 나타낸다.
일점쇄선은 등속도분포선을 나타내고 분포선은 10m/s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Vm으로 표시되는 위치는 최고유속위치로 있다.
제22도에서 표시된 바와같이 비주위치(Y1)부근에서는 개구부(4f)측으로의 편향흐름 분포가 약하기 때문에 비주위치(Y1)부근을 비주하는 가로실(Y)가 가로실통로(T)로부터 튀어나오는 일없이 가로실(Y)의 비주는 안정적이다.
그러나 가로실(Y)의 비주위치(Y1)부근의 공기유속은 최고유속보다도 낮기 때문에 가로실(Y1)을 비주하는 가로실(Y)의 비주속도는 낮게 된다.
가로실(Y)의 비주위치(Y2)부근의 공기유속은 최고유속에 가깝고 비주위치(Y2)를 비주하는 가로실(Y)의 비주속도는 높게된다. 그러나 제23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비주위치(Y2) 부근에서는 개구부(4f)측으로의 편향흐름성분이 강하기 때문에 비주위치(Y2)부근을 비주하는 가로실(Y)의 가로실통로(T)로부터 튀어나오기 쉬워 가로실(Y)의 비주가 불안정하게 된다.
가로실(Y)의 비주위치(Y3)부근의 공기유속은 최고유속에 가깝고 비주위치(Y2)를 비주하는 가로실(Y)의 비주속도는 높게된다. 또 제24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비주위치(Y3)부근에서는 개구부(4f)측으로의 편향흐름성분이 약하기 때문에 비주위치(Y3)부근을 비주하는 가로실(Y)가 가로실통로(T)로부터 튀어나오는 일이 없이 가로실(Y)의 비주는 안정적이다.
따라서 고속이고 안정적인 비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의 공기주류(S)를 상부각부(4d)로 향하고, 가로실(Y)가 상부각부(4d)부근을 비주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가로실통로(T)에 대한 가로넣음용보조노즐의 상대적인 부착위치, 가로넣음용 보조노즐의 부착각도, 분사구멍의 분사지향방향, 분사압력등에 따라서 가이드구멍의 벽면에 대한 공기주류의 충돌위치가 바뀐다.
상술한 바와같이 가로실(Y)의 비주위치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 분사하는 공기주류(S)의 가이드구멍(4)의 벽면에 대한 충돌위치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변형바디를 사용한 가로넣음장치에서는 가로실(Y)를 가로실통로(T)내의 같은 위치, 또한 고속비주가능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비주시키는 것이 어렵다.
특개평 2-53935호 공보, 실개평 3-38378호 공보에서는 변형바디에 형성한 가로실통로내에 있어서 가로실 비주속도의 고속화, 가로실통로로부터의 가로실의 튀어나옴을 방지하는 것을 도모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장치에서는 바디날개의 가이드구멍의 상벽면과 안벽면과의 이루는 각도를 직각 또는 예각으로 설정하여 가로실통로의 상부의 깊이를 깊게하고 있다.
가로실통로 상부의 깊이를 깊게한 통로형상은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흐름을 통로개구부측으로 향하게 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와같은 통로형상으로 있어서도 상벽면과 안벽면을 잇는 상부각부로 가로실을 안정적으로 비주시키는 것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즉, 종래의 가로넣음장치에서는 가로실의 비주속도의 고속화와 가로실통로로부터의 가로실의 튀어나옴에 따른 비주트래블의 감소와 더불어 양립시킴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벽면, 하벽면 및 안벽면으로서 되는 가이드구멍을 가지는 바디날개를 가로넣음방향으로 다수열 설치해서 형성한 가로실통로내를 가로실이 안정적으로 고속비주함을 얻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가이드구멍의 상벽면과 안벽면을 잇는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벽면과 안벽면을 잇는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게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의 가이드구멍의 상벽면과 안벽면을 잇는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1㎜이하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발명에 덧붙여 적어도 일부의 가이드구멍 하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를 상기 상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의 25%∼55%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청구항 3의 어디인가의 발명에 덧붙여 인접하는 바디날개사이로 누설되는 공기의 유량이 상기 상부각부에서 증대하도록 한 공기누설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는 가로실통로의 개구부측 밑쪽으로부터 상부각부로 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분사방향은 가로넣음용 보조노즐의 제조상 및 부착상이 균일하지 못함에 의해서 상벽면 혹은 안벽면에 충돌하는 경우도 적지않고 때로는 하벽면에 충돌할 수도 있다.
상벽면에 충돌한 공기주류는 상벽면에 따라서 안벽면으로 향한다.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한 상부각부에서는 충돌후의 공기주류의 편향을 규제하여 개구부측으로 향하는 편향흐름이 대단히 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벽면에 충돌한 후의 공기주류는 그후 상부각부를 추이하고 가로실은 상부각부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안벽면에 충돌한 공기주류는 안벽면에 따라서 상벽면으로 향한다.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 한 상부각부에서는 충돌후의 공기주류의 편향을 규제하여 개구부측으로 향하는 편향흐름이 대단히 약하게 된다.
따라서 안벽면에 충돌한 후의 공기주류는 상부각부를 추이하고 가로실은 상부각부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하벽면에 충돌한 공기주류는 하벽면에 따라서 안벽면 측으로 향한다.
상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큰 곡률반경의 하부각도에서는 충돌후의 공기주류를 그 곡률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안벽면측으로 편향시켜 그후 상부각부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하벽면에 충돌한 후의 공기주류는 최종적으로는 상부각부를 추이하여 가로실은 상부각부 근방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공기주류가 상부각부에 충돌한 경우,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한 상부각부는 충돌후의 공기주류의 편향을 규제하고 상부각부에 충돌한 공기주류는 상부각부를 추이한다. 따라서 가로실은 상부각부 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1㎜이하로 하는 구성은 공기주류의 편향을 상부각부에서 규제하는 효과를 크게하여 가로실의 비주안정성상 가장 바람직하다.
가이드구멍의 하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를 상기 상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보다도 작게하면 가로넣음용 보조노즐의 분사구멍을 상부각부로 가깝게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하면 상부각부에 있어서의 공기유속이 상승하여 가로실의 비주속도가 높다.
이 경우 하벽면에 있어서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를 상벽면에 있어서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 칫수의 25%∼55%로 하는 구성은 가로실의 가로넣음 안정성 및 고속비주의 달성상 바람직하다.
공기유속의 상승은 요구되는 가로실 비주속도의 달성을 위한 공기소비량의 낮춤을 가져온다.
인접하는 바디날개사이로 누설되는 공기의 유량이 상부각부에서 증대하도록 하면 가로실은 상부각부를 한층 안정해서 비주한다. 상부각부에서 누설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공기누설수단으로서는 상기 상부각부 근방에서 바디날개의 관통설치된 공기누설용 관통구멍, 상기 상부각부 근방에서 바디날개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누설용홈이 있다.
또 상기 공기누설 수단으로서는 상기 상부각부의 벽면에 있어서 가로넣음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가로실 통로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의 경사각을 작게 한 구성이 있다.
더욱이 상기 공기누설수단으로서는 가로넣음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가로실통로와 평행한 면 또는 가로실 통로로부터 떨어지는 경사면을 상기 상부각부의 벽에 설치하는 구성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제11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장치의 장착구성은 제21도와 같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인접간격(X)가 80㎜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변형바디(10)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바디날개(11)에는 (그)자형상의 가이드구멍(12)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구멍(12)의 열이 가로실통로(T)를 형성한다. 가이드구멍(12)는 수평인 상벽면(12a), 수직인 안벽면(12b), 가이드구멍(12)의 개구부(12f)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완만히 밑으로 경사진 하벽면(12c), 상벽면(12a)와 안벽면(12b)를 잇는 둥근활면형상의 상부각부(12d), 안벽면(12b)와 하벽면(12c)를 잇는 둥근활면 형상의 하부각부(12e)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안벽면(12b)로부터 뻗어나온 칫수(Wa)는 9㎜, 안벽면(12b)의 상하칫수(Wb)는 5.5㎜,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안벽면(12b)로부터 뻗어나온 칫수(Wc)는 7㎜로 되어있다. 따라서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어나온 칫수(Wc)는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뻗어나온 칫수(Wa)의 78%정도이다.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을 단순히 가로실통로(T)에 근접시키면 세로실(도면에 표시안함)의 개구내로 출입하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과 바디날개(11)과의 사이 세로실의 굴곡이 크게되어 세로실이 손상한다. 세로실의 손상은 직물품질을 저하시킨다.
상벽면(12a)로부터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분사구멍(6a)까지의 상하방향의 거리(L1) 및 하벽면(12c)의 개구부(12f)측의 선단으로부터 분사구멍(6a)까지의 전후방향의 거리(L2)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이 직물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둥근활형상의 상부각도(12d)의 곡률반경 r은 0.5㎜으로 되어 있으며, 둥근활면형상의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은 2㎜으로 되어있다.
제3도∼제5도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벽면(12a), 안벽면(12b), 하벽면(12c), 상부각부(12d) 및 하부각부(12e)는 화살표 P로 표시되는 가로넣음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가로실통로(T)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다.
상벽면(12a)의 경사면의 경사각 θa, 안벽면(12b)의 경사면의 경사각 θb, 하벽면(12c)의 경사면의 경사각 θc 및 하부각부(12e)의 경사면의 경사각 θe은 어느것이나 10°로 되어있다. 상부각부(12d)의 경사면의 경사각 θd는 2°로 되어있다.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에서의 공기주류(S)는 가로실통로(T)의 개구부(12f)측의 밑쪽에서 상부각부(12d)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의 분사방향은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의 제조상 및 장착상의 불균일도 있어서 상벽면(12a) 혹은 안벽면(12b)에 충돌하는 경우도 적지않고 때때로 하벽면(12c)에 충돌할 수도 있다.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벽면(12a)에 충돌한 공기주류(Sa)는 상벽면(12a)에 따라서 안벽면(12b)측으로 향한다.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2㎜정도로한 종래의 변형바디의 경우에는 충돌후의 공기주류가 상부각부로부터 안벽면에 따라서 하벽면으로 편향하게 된다. 그러나 곡률반경 r을 0.5㎜으로 한 본 실시예의 상부각부(12d)는 충돌후의 공기주류(Sa)의 편향을 규제하여 개구부(12f)측으로 향하는 편향류가 대단히 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벽부(12a)에 충돌한 공기주류(Sa)는 상부각부(12d)를 추이하고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안벽면(12b)에 충돌한 공기주류(Sb)는 안벽면(12b)에 따라서 상벽면(12a)측으로 향한다.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2㎜정도로한 종래의 변형바디의 경우에는 충돌후의 공기주류가 상부각부에서 하부각부에 따라 개구부측으로 편향하였다.
그러나 곡률반경 r을 0.5㎜으로한 본 실시예의 상부각부(12d)는 충돌후의 공기주류(Sb)의 편향을 규제하여 개구부(12f)측으로 함에 편향류가 대단히 약하게 된다. 따라서 안벽면(12b)에 충돌한 공기주류(Sb)는 상부각부(12d)를 추이하고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하벽면(12c)에는 충돌한 공기주류는 하벽면(12c)에 따라서 안벽면(12b)측으로 향한다.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보다도 큰 곡률반경 R의 하부각부(12e)는 충돌후의 공기주류를 적극적으로 안벽면(12b)에 따라서 상부각부(12d)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하벽면(12c)에 충돌한 후의 공기주류는 최종적으로는 상부각부(12d)를 추이하고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공기주류(Sd)가 상부각부(12d)에 충돌한 경우, 곡률반경 r을 0.5㎜으로한 본 실시예의 상부각부(12d)는 충돌후의 공기주류(Sd)의 편향을 규제하고 상부각부(12d)이 충돌한 공기주류(Sd)는 상부각부(12d)를 추이한다.
따라서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가로넣음방향(P)측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일부는 인접하는 바디날개(11)로부터 누설한다.
이 누설비율이 많으면 가로넣음방향(P)측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의 유속이 저하하고 가로실(Y)의 비주속도가 저하한다. 가이드구멍(12)의 벽면에 형성된 경사면은 바디날개(11) 사이로부터의 공기누설을 제어하는 것으로 있으며 이 경사면 가로실(Y)의 고속비주의 향상에 기여한다. 상부각부(12d)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경사각 θd는 다른 경사면의 경사각 θa, θb, θc, θe에 비해서 상당히 작게되어 있다.
경사면의 경사각을 작게하면은 공기누설의 비율이 많게되어 가로실(Y)가 공기누설부위측, 즉 상부각부(12d)측으로 끌어당겨진다. 이 끌어당김작용은 가로실(Y)가 상부각부(12d)부근을 한층 안정적으로 비주하는 것에 기여한다.
제9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인접간격(X)를 80㎜으로한 경우의 변형바디(10)의 가로실통로(T)내의 공기유속분포를 나타낸다.
제10도는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인접간격(X)를 60㎜으로한 경우의 변형바디(10)의 가로실통로(T)내의 공기유속분포를 나타낸다. 일점쇄선은 등속도분포선을 나타내고 분포선은 10m/s단위로 나타내었다.
V/m으로 표시되는 위치는 최고유속위치이다. 변형바디(10)의 가로실통로(T)내의 유속은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나는 종래의 변형바디(2)의 가로실통로내의 유속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고속화 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구멍(12)의 벽면상의 경사면의 존재에 의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로실(Y)의 비주속도 및 가로실(Y)의 비주안정성은 가로실(Y)의 비주위치와 깊은 관계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로실의 비주속도 및 가로실의 비주안정성은 가로실통로내의 공기유속분포와 깊이 관계하며 가로실(Y)가 상부각부(12d)부근을 비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변형바디(10)은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으로 부터의 공기주류(S)가 가이드구멍(12)의 어디인가의 벽면에 충돌해서도 가로실(Y)의 비주를 상부각부(12d)에 규제한다. 이결과 가로실(Y)는 최고유속위치 Vm으로 있는 상부각부(12d) 근방을 종래보다도 안정적으로 또한 고속으로 비주한다.
제11도 그래프의 곡선 E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과 가로실의 비주트래블(trouble)빈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다.
이 실험은 가로실 표준적인면 40번, 직기회전수를 800rpm, 공기유량을 일정한 조건으로 실시한 것이다. 상기 각부의 곡률반경을 2㎜정도로한 종래의 변형바디(2)를 사용한 경우의 비주트래블 빈도를 1/5정도로 작게하는데에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을 1m이하로 하면 좋다.
종래의 변형바디에 있어서의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은 2㎜이상의 영역으로 있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의 상부각부 곡률반경의 변화가 비주트래블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가로실 통로내의 공기흐름 분산을 적게하기 위해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크게하도록 하는 것이 종래의 고려방향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고려와는 완전히 반대의 발상에 기초하여 가로실통로내의 공기흐름의 편향을 억제하여 상부각부에 수속시키는 것에 의해 가로실의 비주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생각이 미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경사각 θa, θb, θc, θe는 일정하지만 경사각 θd보다도 크면 반드시 경사각 θa, θb, θc, θe를 일정하게 할 필요는 없다.
다음 제2실시예를 제12∼제15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벽면(12a), 안벽면(12b), 하벽면(12c) 및 하부각부(12e)의 경사면은 화살표(P)로 표시되는 가로들어옴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가로실통로(T)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부각부(12d)는 제15(a)에 나타난 바와같이 가로들어옴 방향(P)에 평행, 또는 도면 제15도(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로들어옴 방향(P)로 향함에 따라서 가로실통로(T)측으로부터 떨어뜨리는 경사면으로 있다.
상벽면(12a)의 경사면의 경사각 θa, 안벽면(12b)의 경사면의 경사각 θb, 하벽면(12c)의 경사면의 경사각 θc 및 하부각부(12e)의 경사면의 경사각 θe은 어느것이나 15°이상으로 있다. 경사각 θa, θb, θc, θe를 15°이상으로 하면 가로실통로(T)내의 흐름속도가 한층 고속으로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에는 가로실(Y)의 비주속도가 높지만 반대로 가로실을 상부각부(12d)부근에서 안정적으로 비주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상부각부(12d)의 벽면은 제15도(a)에 나타낸 바와같이 0°, 혹은 제15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θd0과 같이 역방향으로 경사시켜 상부각부(12d) 부근으로부터 바디날개(11) 사이의 틈으로 공기를 적극적으로 누설시키면 가로실의 비주안정성을 확보하면서 날림속도를 한층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상벽면, 하벽면 및 안벽면의 전체에 경사면을 설치하지만 이들 벽면의 적어도 1개, 혹은 이들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설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벽면, 하벽면, 안벽면의 어느것도 경사면을 설치하지 않을때에 있어서도 상부각부의 경사각을 적게 설정하면 가로넣음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가로실 통로와 평행한 면으로 하거나 혹은 가로실 통로로부터 떨어지는 경사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부각부로부터의 공기의 누설을 원활하게 행하지 않고 가로실통로내의 공기흐름을 상부각부에 수속시켜 가로실의 비주안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3실시예를 제16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을 0.1㎜,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을 2.5㎜하고, 상부각부(12d)근방의 후방상부에 공기누설용투과구멍(11a)를 설치하고 있다.
공기누설용투과구멍(11a)가 상부각부(12d) 근방에 있기 때문에 공기가 인접하는 바디날개(11)사이를 통과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상부각부(12d)근방의 공기가 공기누설용투과구멍(11a)측에 가까이 끌어당겨지기 쉬워 가로실의 비주위치가 상부각부(12d)부근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가이드구멍(12a)(12b)(12c)(12d)(12e)의 어느것이나 가로실통로(T)측에 들어가는 경사면으로 하고, 이들 경사면의 경사각을 10° 정도로 하면 가로실의 비주속도로 제1실시예와 같은 정도의 속도로 된다.
다음 제4실시예를 제17도와 제18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을 1㎜,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을 1.5㎜으로 하고, 바디날개(11)의 양면에 상부각부(12d)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공기누설용홈(11b), (11c)를 설치한다. 공기누설용홈(11b), (11c)부근에는 인접하는 바디날개(11)사이의 틈이 다른 부위보다도 넓게되어 있어 상부각부(12d)부근의 공기가 대향하는 공기누설용홈(11b)(11c)사이를 통하기 쉽게된다.
이 때문에 상부각부(12d)부근의 공기가 공기누설용홈(11b)(11c)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기 쉬우며, 가로실의 비주위치가 상부각부(12d)부근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가이드구멍(12)의 각벽면(12a)(12b)(12c)(12d)(12e)를 어느것이나 가로실통로(T)측에 들어가는 경사면으로 하고 이들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10° 정도로 하면 가로실의 비주속도도 제1실시예와 같은 정도의 속도로 된다.
다음, 제5실시예를 제19도 및 제20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각부(12d) 및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을 제4실시예와 같게 바디날개(11)의 양면에 상부각부(12d)에서 상방으로 향한 공기누설용홈(11d)(11e)를 설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부각부(12d)부근의 공기가 공기누설용홈(11d), (11e)측에 끌어당겨지기 쉬우며, 가로실의 비주위치가 상부각부(12d) 부근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바디질 할 때의 충격은 안벽면(12b)에 걸리지만 바디날개(11)의 강도는 되풀이 되는 바디질 충격에 견디지 않으면 안된다.
바디날개(11)에 공기누설용홈을 형성시키면 이 형성부위의 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공기누설용홈(11d)(11e)의 형성위치는 안벽면(12b)보다도 앞쪽에 있고 바디질충격을 받아내는 강도를 그만큼 요구하지 않는 부위에 있다.
따라서 공기누설용홈(11d)(11e)의 깊이를 제4실시예의 경우보다도 크게하여 가로실의 비주위치를 상부각부(12d) 부근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는 제4실시예의 경우보다도 한층 높다.
또 가이드구멍(12)의 각벽면(12a)(12b)(12c)(12d)(12e)이 어느것이나 가로실통로(T)측에 들어가는 경사면이고 이들 경사면의 경사각을 10° 정도로 하면 가로실의 비주속도도 제1실시예와 같은 정도의 속도로 된다.
상기한 제1실시예∼제5실시예를 적절히 조합시킨 실시예도 가능하고 상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상벽면(12a)와 안벽면(12b)와의 이루는 각을 직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벽면과 안벽면과의 이루는 각도를 약간의 예각 또는 약간의 둔각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상부각도로 되는 곡면부를 상벽면측, 안벽면측 혹은 양벽면측으로 약간 들어오게 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다음, 제6실시예를 제27도∼제29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구멍(12)의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안벽면(12b)에서부터 뻗은칫수(Wa)가 9㎜, 안벽면(12b)에 있어서의 상하칫수(Wb)가 5.5㎜,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안벽면(12b)에서부터 뻗은칫수(Wc)가 4㎜으로 되어있다.
거리(L1)(L2) 및 그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게 되었지만 안벽면(12b)로부터 분사구멍(6a)까지의 거리가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도 3㎜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로부터의 공기주류(S)는 제2실시예와 같게 상부각부(12d)로 향하게 되어 있다.
제28도의 곡선(D1)은 제27도의 변형바디를 사용한 경우의 가로실통로(T)내의 상부각부(12d)에 있어서의 공기유속을 나타낸다.
가로측은 가로넣음과 보조노즐(6)에서 가로넣음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곡선(D2)는 제2도의 변형바디를 사용한 경우의 가로실통로(T)내 상부각부(12c)에 있어서의 공기유속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와 같게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이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보다 작기 때문에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제2도의 변형바디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분사구멍(6a)를 가로실(Y)의 비주위치로 있는 상부각부(12d)에 가깝게 한 제27도의 변형바디의 사용할시에는 상부각부(12d)에 있어서의 공기유속이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도 전반적으로 높게 된다.
그 결과 가로실(Y)는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도 더욱 고속 비주한다.
제29도의 곡선(F)는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와 가로실(Y)의 비주속도와의 관계를 실험에서 구한 데이터이다.
곡선(G)는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와 가로실(Y)의 비주트래블 발생빈도와의 관계를 실험에서 구한 데이터이다.
가로실(Y)의 비주트래블은 허용시간내에 소정의 가로넣음 말단측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서 파악된다.
이들의 실험에서는 하벽면(12c)의 선단으로부터 분사구멍(6a)까지의 거리(L2)는 일정하게 있으며, 또한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의 공기주류(S)가 항상 상부각부(12d)를 향하도록 하고 있다. 또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의 분사공기유량도 일정하게 되어있다.
양곡선(F), (G)에서 밝혀진 바와같이 하벽면(12c)의 뻗어나온 칫수(Wc)를 짧게해서도 가로실(Y)의 비주트래블 발생빈도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가로실(Y)의 비주속도를 올릴 수가 있다. 하벽면(W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를 4㎜으로 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벽면(W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를 7㎜으로 한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도 가로실 비주속도가 20%정도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뻗은칫수(Wc)를 지나치게 짧게하면 상벽면(12a), 안벽면(12b) 및 하벽면(12c)에 의해서 형성되는 가로실통로(T)의 가진공기흐름 확산제어기능이 약해져 가로실통로(T)내에 있어서의 균형있는 공기유속 분포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로 있으면 가로실 비주속도가 저하하기 시작하고 게다가 가로실(Y)가 가로실통로(T)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에 의한 가로실 비주트래블 발생빈도도 증가한다. 이와같은 문제는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가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a)의 25%를 밑돌면 생기게 된다.
실개평 3-38378호 공보에도 개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하벽면에 있어서의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칫수가 상벽면에 있어서의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칫수보다도 짧은 구성은 종래에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은 상벽면과 하벽면과의 칫수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되어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실험데이터는 상벽면과 하벽면과의 구체적인 칫수관계와 가로실 비주속도 및 비주트래블 발생빈도와의 관계를 추구한 결과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제29도의 실험데이터로부터 판단하면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가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a)의 25%∼55%의 범위로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벽면과 하벽면과의 바람직한 칫수관계의 구성은 제2실시예∼제5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제6실시예에서는 하벽면(12c)의 선단으로부터 분사구멍(6a)까지의 거리(L2)를 제1실시예와 같게하면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a)와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뻗은칫수(Wc)와의 칫수관계를 25%∼55%의 범위로 규정한대로 거리(L2)를 크게해도 좋다.
이와같이하면 바디날개(11)과 가로넣음용보조노즐(6)과의 사이에 생기는 세로실의 굴곡이 적게되어 세로실의 손실이 생기기 쉬운 필라멘트직물등에서는 방지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부각부의 곡률반경 2㎜정도로한 종래의 변형바디를 사용한 경우의 가로실의 비주트래블 빈도를 1/5정도로 감소시키는데에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을 1㎜이하로 하면 달성되지만 제11도의 그래프에서 명확하게 밝힌 바와같이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게하는 것만으로도 가로실의 비주트래블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 제7실시예를 제30도 및 제31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30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하벽면의 뻗음칫수(Wc)가 다른 2종류의 바디날개(11)(11A)를 사용해서 변형바디(10A)을 구성하고 있다.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의 부착부 부근에는 뻗음칫수(Wc1)이 4㎜의 짧은 바디날개(11A)를 사용하고 상기 부착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뻗음칫수(Wc2)가 7㎜의 바디날개(11)을 사용하고 있다.
제3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구멍(12)의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안벽면(12b)로부터 뻗은칫수(Wa)는 9㎜, 안벽면(Wb)에 있어서의 상하의 칫수(Wb)는 5.5㎜로 되어있다. 가로넣음용보조노즐(6)의 관측으로부터 가로실통로(T)의 상류측으로 3㎜의 위치와 하류측으로 15㎜의 위치와의 사이에서는 뻗은칫수(Wc1)이 4㎜의 바디날개(11A)가 사용되며 그외의 부분에는 뻗은칫수(Wc2)가 7㎜의 바디날개(11)이 사용되어왔다.
바디날개(11A)로부터의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의 분사구멍(6a)까지의 거리(L1), (L2) 및 그 외의 구성은 제6실시예와 같게되어 있다.
즉 상부각부(12b)의 곡률반경 r이 0.5㎜,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이 2㎜, 안벽면(12b)로부터 분사구멍(6a)까지의 거리가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도 3㎜짧게 되어있다. 그리고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으로부터의 공기주류(S)는 제6실시예와 같게 상부각부(12d)로 향하게 되어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바디(10A)에서는 제6실시예와 같게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 r이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 R보다도 작기 때문에 가로실(Y)는 상부각부(12d)부근을 안정적으로 비주한다.
제6실시예의 변형바디(10)의 사용시에 비해 가로넣음용 보조노즐(6)부근을 제외한 부분의 바디날개(11)의 하벽뻗은칫수(Wc2)가 3㎜길고, 제30도의 변형바디(10A)의 사용시에는 가로실통로(T)의 개구측의 밑쪽으로 누설되는 공기흐름이 감소하여 상부각부(12d)에 있어서의 공기유속이 전반적으로 높게된다. 이 결과 가로실(Y)는 제6실시예의 경우보다도 더욱 고속으로 비주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상벽면과 하벽면을 잇는 상부각부를 곡면으로 하고 더불어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벽면과 안벽면을 잇는 하부각부의 곡률반경보다도 상기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작게하기 때문에 가로넣음용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주류가 가이드구멍의 어느벽면에 충돌해도 그후의 공기주류의 편향이 상부각면으로 규제되어 가로실이 상부각부 부근을 안정되게 비주하고 고속비주에도 관계치않고 비주트래블의 발생비율을 극히 적게함을 얻는다.
상기 상부각부의 곡률반경을 1㎜이하로 한 발명은 가로실의 비주안정의 확실성을 높인다.
상기 가이드구멍의 하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 뻗은칫수를 상기 상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으로부터의 뻗은칫수 25%∼55%로 한 발명에서는 가로실넣음용 보조노즐의 분사구멍을 가로실의 비주하는 상부각부에 가깝게 해서 가로실통로내의 공기유속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고 가로실비주속도의 고속와 혹은 공기소비량의 줄임을 얻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8)

  1. 상벽면(12a), 하벽면(12c) 및 안벽면(12d)으로서 되어 있는 가이드구멍(12)을 가지는 바디날개(11)을 가로넣음방향으로 다수 나란히 설치해서 가로실통로(T)를 형성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바디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12)의 상벽면(12a)와 안벽면(12b)을 잇는 상부각부(12d)의 곡률반경(r)을 상기 가이드구멍(12)의 하벽면(12c)과 안벽면(12b)를 잇는 하부각부(12e)의 곡률반경(R)보다도 작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12)의 상벽면(12a)와 안벽면(12b)을 잇는 상부각면(12d)의 곡률반경(r)을 1㎜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3. 제1항 및 제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12)의 적어도 일부의 가이드구멍에 있어서 하벽면(12c)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12b)로부터 뻗은칫수(Wc)를 상기 상벽면(12a)에 있어서의 상기 안벽면(12b)로부터 뻗은칫수(Wa)의 25%∼55%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의 변형바디.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바디날개(11)사이로 누설하는 공기유량이 상기 상부각부(12d)에서 증대하도록 한 누설수단을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누설 수단은 상기 상부각부(12d)의 근방에서 바디날개(11)의 관통설치된 공기누설용 관통구멍(11a)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누설수단은 상기 상부각부(12d)의 근방에서 바디날개(11)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누설용홈(11b)(11c)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각부(12d)의 벽면에 있어서 가로넣음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가로실통로(T)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의 경사각을 적게해서 상기 공기누설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8. 제4항에 있어서, 가로넣음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가로실통로(T)와 평행한면 또는 가로실통로(T)로부터 떨어지는 경사면을 상기 상부각부(12d)의 벽면에 설치해서 상기 공기누설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KR1019950017699A 1994-07-05 1995-06-28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KR960013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53939 1994-07-05
JP15393994 1994-07-05
JP11741195A JP3366490B2 (ja) 1994-07-05 1995-05-16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JP95-117411 1995-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898B1 true KR960013898B1 (ko) 1996-10-10

Family

ID=264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699A KR960013898B1 (ko) 1994-07-05 1995-06-28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88470A (ko)
EP (1) EP0691430B1 (ko)
JP (1) JP3366490B2 (ko)
KR (1) KR960013898B1 (ko)
CN (1) CN1037626C (ko)
DE (1) DE69502544T2 (ko)
TW (1) TW30291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1846A1 (fr) * 1999-04-07 2000-10-19 Takayama Reed Co., Ltd. Peigne pour metier a jet d'air et metier a tisser a jet d'air
JP3961318B2 (ja) * 2002-03-14 2007-08-2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BE1015155A3 (nl) * 2002-10-23 2004-10-05 Picanol Nv Spuitmondstuk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inslagdraad in een weefmachine.
CN1328432C (zh) * 2003-01-29 2007-07-25 津田驹工业株式会社 空气喷射式织机用筘
FR2852975B1 (fr) * 2003-03-28 2005-09-09 Burckle Et Cie Ets Dent de peigne et peigne pour machine a tisser a jet d'air incorporant une telle dent
JP5603592B2 (ja) * 2009-12-03 2014-10-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入れ装置
JP5573629B2 (ja) * 2010-11-23 2014-08-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の変形筬
WO2013112684A1 (en) 2012-01-24 2013-08-01 Nike International Ltd. Intermittent weaving splicer
WO2013112712A1 (en) * 2012-01-24 2013-08-01 Nike International Ltd. Multiple layer weaving
CN102619004A (zh) * 2012-04-23 2012-08-01 常州钢筘有限公司 喷气织机用异形筘整体异形筘片
JP5790695B2 (ja) * 2013-04-10 2015-10-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支持体の固定装置
CN103292988A (zh) * 2013-06-04 2013-09-11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主喷嘴安装系统动态特性测量方法及其装置
CN103696100A (zh) * 2013-12-05 2014-04-02 建滔(清远)玻璃纤维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降压节气机构
CN103981618B (zh) * 2014-06-10 2015-07-15 湖州市菱湖重兆金辉丝织厂 一种磁感应梭织结构
ITUB20150706A1 (it) 2015-05-26 2016-11-26 Itema Spa Pettine per telai di tessitura ad aria
CN105483915A (zh) * 2016-01-22 2016-04-13 蔡婷婷 一种喷气织机的引纬机构
JP7184675B2 (ja) * 2019-03-06 2022-12-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入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9106A5 (ko) * 1976-04-13 1979-02-15 Rueti Ag Maschf
JPS5593844A (en) 1979-01-09 1980-07-16 Nissan Motor Wefting apparatus for air jet type loom
DE3000240A1 (de) * 1980-01-05 1981-07-09 Günne Webmaschinenfabrik GmbH & Co KG, 4773 Möhnesee Webmaschine mit einem webfach zur herstellung von frottierware
JPS5795344A (en) 1980-11-28 1982-06-14 Toyoda Automatic Loom Works Weft yarn guide apparatus in jet loom
DE3211996A1 (de) * 1982-03-31 1983-10-20 Grob & Co Ag Blattzahn fuer webblatt
JPS5926688A (ja) 1982-08-03 1984-02-10 高木 福三郎 差込型バルブ
JPS6075644A (ja) * 1983-09-30 1985-04-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2660556B2 (ja) * 1988-08-16 1997-10-08 日産テクシス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338378A (ja) 1989-07-05 1991-02-19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3199451A (ja) * 1989-12-26 1991-08-30 Asahi Chem Ind Co Ltd エアージェットルーム用筬
TW206265B (ko) * 1991-04-01 1993-05-21 Toyoda Automatic Loom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8470A (en) 1996-12-31
EP0691430A1 (en) 1996-01-10
EP0691430B1 (en) 1998-05-20
DE69502544D1 (de) 1998-06-25
TW302913U (en) 1997-04-11
CN1037626C (zh) 1998-03-04
JPH0874143A (ja) 1996-03-19
DE69502544T2 (de) 1998-11-26
JP3366490B2 (ja) 2003-01-14
CN1120085A (zh) 1996-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898B1 (ko) 에어제트룸용의 변형바디
KR101157435B1 (ko) 가스 터빈 연소기의 냉각 구조
BR102016007537A2 (pt) conjunto de superfície aerodinâmica, e, método para intensificar desempenho aerodinâmico
JP2011117098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入れ装置
KR930002368B1 (ko) 유체분사 셔틀레스 직기의 다색위사 삽입장치
JP469669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1084934B1 (ko) 용융금속 도금강대의 제조방법
JP4862479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US43444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etting auxiliary fluid in jet loom
JP3961318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EP2610378B1 (en) Auxiliary nozzle of air jet loom
US4458732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weft into a shed by jetting fluids in a jet loom
CA1096272A (en) Device for inserting a weft yarn in jet operated weaving machines
JP266055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910008043B1 (ko)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JP2005264416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張力付与装置
EP0145824B1 (de) Hilfsblasdüse für eine Luftstrahlwebmaschine
KR20230048354A (ko) 매듭이 있는 실의 생산을 위한 인터레이싱 노즐 및 실을 인터레이싱하기 위한 방법
JPH11140748A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JP3993090B2 (ja)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ノズル
EP0516587A1 (en) Auxiliary nozzle in an air jet loom
KR102516802B1 (ko) 스크러버
CN209816399U (zh) 一种用于具有筘座的喷气织机的引纬系统
US4787423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nserting weft yarn in jet looms
KR830001309B1 (ko)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