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09B1 -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09B1
KR830001309B1 KR1019790003123A KR790003123A KR830001309B1 KR 830001309 B1 KR830001309 B1 KR 830001309B1 KR 1019790003123 A KR1019790003123 A KR 1019790003123A KR 790003123 A KR790003123 A KR 790003123A KR 830001309 B1 KR830001309 B1 KR 83000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fluid
nozzle
guide
guid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47A (ko
Inventor
유스케 이도오
하지메 스즈끼
히로시 아라가와
아끼라 고바야시
쥰조 하세가와
스스무 가와바다
가즈노리 요시다
후지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오속끼 세이사꾸쇼
고마쓰 노보루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쥬오오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오속끼 세이사꾸쇼, 고마쓰 노보루,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쥬오오겐큐쇼 filed Critical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to KR101979000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09B1/ko
Publication of KR83000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한 실시예의 위사를 옆으로 넣는 장치의 양태를 표시하는 간략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간략 측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간략 측면도.
제4도는 기타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간략 측면도.
제5도는 가이드편과 보조노즐과의 위치관계를 표시하는 한 실시예에 기인하는 유속 분포도.
제6도는 제2도의 실시예에 기초한 유속 분포도.
제7도는 종래의 보조노즐을 표시하는 간략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보조노즐을 사용한 경우의 유속 분포도.
본 발명은 스레이(slay)상에 형성되는 유체 및 위사안내 통로에 대하여 보조유체를 분사하는 보조류체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레이상에 형성된 안내통로에 향하여 주노즐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하여 위입(偉入)되는 위사의 비주력(飛走力)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안내통로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설(垂沿)된 보조노즐에서 보조유체를 분사하도록한 위입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보조 유체를 분사하는 보조노즐의 분사구는 보통안내통로에 지향하여 하나의 둥근 구멍이 첨설되어 있다. 또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1-17368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보조노즐로부터의 유체분사 각도가 될 수 있는대로 동노즐에 대하여 직각방향에 가까워지도록 상기한 근둥 구멍의 범위내에 전체로서 하나의 원형상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첨설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들의 유체분 사구는 될 수 있는대로 적은 동력으로 필요한 유속을 얻도록 유체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급적으로 작은 구멍을 첨설하도록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보조유체 분사장치는 특히 위사를 스레이상에 형성된 안내통로내에서 비주시키고자 할 경우에 안내통로의 상, 하 방향에 대한 보조유체의 작용범위, 특히 유체분사 직후의 작용유체역이 좁기 때문에 위사가 비교적 유체의 작용하지 않고 있는 부분을 통하여, 안내통로에 비출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위사에 유체의 작용하지 않는 시기가 자자 겹치게 되므로서, 그 때문에 위입속도가 저하한다든가 최악의 경우는 안내통로에서 비출한 위사가 보조노즐에 걸려서 위입이 조해되는 등 위입이 안전성을 결한다는 큰 결점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한 보조노즐의 문제에 대해서는 안내통로에 대응하는 유체역의 점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큰 분사구를 첨설하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분사구를 확대하면 동력이 극단이 증대한다는 다른 결점이 생긴다. 즉 분화구의 확대에 의하여 분사되는 유체의 유속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유속을 얻을려면 따라서 분사압력을 높히지 않으면 아니된다. 더우기 보조노즐은 위입하는 방향에 다수 배설되어 있고 이것이 직기의 운전중 연속하여 작용하는 이치이므로 그 소비동력은 극히 증대하지 않을 수 없다.
상기한 바와같이 스레이상에 배설된 안내통로에 대하여 보조노즐을 설치하여 위입을 향하는 직기에 있어서는 보조유체 분사장치는 안정한 위입기능을 발휘시키는 것과 동력소비의 증대와는 밀접한 관계를 가짐과 동시에 서로 모순된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장치의 결함을 해소하고 소비동력을 낮게 억제한 그대로 위입의 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도록 보조유체 분사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인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한 실시예인, 위입장치의 개략을 표시한 것이다.
스레이 1상에는 바디 2, 가이드편 3 및 보조노즐 4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편 3은, 선단측에 바디 2에 향하여 반개구한 가이드벽 5가 형성되고, 이것이 위입하는 방향에 다수병설되므로서 가이드벽 5에 의하여 위입하는 방향에 뻗치는 안내통로 6이 형성된다. 또 보조노즐 4는 안내통로 6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설치하고 있고 선단에 보조유체의 분사구 7이 침설된다.
경사 8의 외방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주 노즐이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동주노즐에서, 유체분사에 의하여 위사가 안내통로 6내를 비주함과 동시에 보조노즐 4로부터의 보조유체의 분사에 의하여 위입이 행해진다. 위입이 완료하면 스레이 1의 회동에 의하여 바디 2가 가상선 위치에 달하고 바디치기가 행해지고, 직포W가 형성된다. 또 안내통로 6은 바디의 일부를 변형한 소위 변형바디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가이드벽 5의 형상에 대하여서도 보조노즐에 대응하는 것만을 반개구시키고, 나머지의 가이드편 3의가이드벽 5는 바디치기 때에 경사(經
Figure kpo00001
)가 빠져 나오는 스릿트를 설치한, 대략 크로즈드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혹은 모든 가이드편 3의 가이드벽 5를 반개구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의 위입장치에 사용하는 보조유체 분사장치를 제3도에 기인하여 설명한다. 보조노즐 4는 속이 비여있지만, 선단이 끝이 가늘고 종단에서 폐쇄되어 있다. 등 보조노즐 4에는 가이드벽 5에 지향한 두 개의 보조류체 분사구 7,7이 첨설된다. 이 분사구 7,7은 안내통로 6의 개구부와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조노즐 4의 수립(垂立)방향에 대략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첨설되어 있다. 분사구 7,7에서 분출되는 보조유체는, 각각 보조노즐 4의 중심축선과 직각의 방향보다도, 약간 위를 향하여 분사된다. 상방의 분사구 7은 안내통로 6의 개구부 부근에서 보조류체역이 개구부의 대략 위절반을 덮고, 또 하방의 분사구 7은 그 보조유체가 개구부의 대략 아래절반을 덮도록 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양분사구 7,7의 개구면적은 그들로부터 분사되는 유량의 합계가 제7도에 표시한 종래의 보조노즐의 분사구 11에서 분사되는 유량과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하고, 소비동력의 증가를 방지하고 있다.(예를들면 종래의 분사구 11의 직경이 1.5mm이었든 경우, 제2도의 실시예의 경우의 분사구 7,7은 각각 1.07mm의 직경이 되도록 설정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로서 보조노즐 4의 수립방향에 대략 일직선이 되도록 세계의 분사구 9∼9를 첨설하고 있다. 이 실시예로는 제2도의 실시예보다도 한층더 안내통로 6의 개구부의 상, 하 방향 전역을 확실하게 보조유체역에서 덮을 수가 있다. 또 제4도는 분사구로서 보조노즐 4의 수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릿트 10을 첨설한 것으로서 이 경우는 안내통로 6의 개구부의 상하방향 전역을 덮는 보조유체의 분사에 필요한 길이의 스릿트를 용이하게 첨설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각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분사구 9∼9 혹은 10은 분사되는 유량이 제7도의 종래의 분사구 11의 유량과 대략 동일하도록 개구면적을 설정하고 소비동력의 증가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제5도 내지 8도에 기인하여 종래 장치와비 교하면서 설명한다. 제5도는 가이드편 3과 보조노즐 4와의 배치관계를 표시하는 한 실시예로서, 제6도는 제2도의 실시예의 경우의 a,b,c,d,e의 위치에 있어서의 안내통로 6내의 유속분포를 표시하고 제8도는 제7도에 표시한 종래의 보조노즐을 제5도와 같이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a,b,c,e의 위치의 안내통로 6내의 유속분포를 표시한 도면이다. 제8도의 종래 장치에 대하여 보면, a위치로는 보조노즐 4에서 분사된 직후의 그다지 확산되어 있지 않은 분사유체의 상태이고, 안내통로 6의 상, 하부에 보조유체의 영향을 거의 받고 있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b위치로는 유속의 높은 부분이 안내통로 6내에 이행하고, 보조유체도 확산하고 있으나 특히 안내통로 6의 하부에 영향을 그다지 받고 있지 않는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c위치 이강은 보조유체가 크게 확산하고 안내통로 6내의 대략 전역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유속분포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같이 보조노즐 4의 특성에서 분사유체가 약간 위로 향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안내통로 6내에서 유속분포가 위쪽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유속분포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같이, a 및 b의 위치 즉 분사직후의 상태로 안내통로 6의 상, 하 위치에 보조류의 영향이 없는 큰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의 공간에서 위사가 안내 통로밖에 비출하게 된다. 또 a에서 e위치까지의 보조유체의 유속분포는 안내통로의 위쪽 깊은 쪽으로 집중하여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2분만 안내통로 하측부분에서의 보조유체의 영향도가 약해지고, 종래 장치로서는 위사가 안내통로의 하측부분에서 외부에 비출하기 쉽다는 결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a위치에서는 안내통로의 개구부 부근의 상, 하2개소에 유속 분포의 집중한 부분이 존재하고 이것은 통개구부 전역을 덮고 있다.
b위치로는 상, 하의 유속분포의 중심이 안내통로 6내에 이행함과 동시에 양중심부가 결합한 상태로 상, 하 전역에 확산하고, 상, 하면 다같이 보조유체의 영향을 받고 있다. c위치로는 다시금 보조유체의 확산이 향해지지만 유체의 영향은 안내통로 6의 상, 하면 전역에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상태는 d 및 e의 위치에 있어서도 보조유체의 확산은 진행하지만 전혀 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이상의 a에서 e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보조유체의 확산은 진행하여도, 다음의 보조노즐에서 분사되는 보조유체의 작용하는 직전의 e 위치까지 존속하고 있다. 따라서 위사는 보조유체의 작용에 위하여 안내통로 6내에 확실하게 유지되면서비 주시켜져서 안정한 위입을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조유체 분사장치로서 보조노즐의 수립방향에 보조유체의 분사구를 첨설하므로서 동보조유체의 분사직후로부터 안내통로 개구부의 상, 하전역에 걸쳐서 보조유체의 영향력을 미치게 할 수가고 위사는 동보조유체에 의하여 안내통로외 부에의 비출을 방지하고 안정한 위입을 행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유체의 분출에 의한 소비동력이 증대함이 없고 종래의 경우와 대략 같은 정도로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레이상에 위입방향에 연장하는 유체 및 위사안내통로가 형성되는 동안 내통로에 대응하여 보조노즐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설(垂沒)되고 동 보조노즐의 보조유체 분사구가 상기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벽에 지향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보조노즐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벽이 반개구 상태로 형성된 젯트룸에 있어서 이 가이드벽의 개구부 부근에 달하는 보조유체의 유속분포가 동 개구부의 상, 하 방향 전역에 분포하도록 상기 보조노즐의 분사구를 동노즐의 수립방향에 첨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유체 분사장치.
KR1019790003123A 1979-09-11 1979-09-11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KR83000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23A KR830001309B1 (ko) 1979-09-11 1979-09-11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23A KR830001309B1 (ko) 1979-09-11 1979-09-11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47A KR830001447A (ko) 1983-04-30
KR830001309B1 true KR830001309B1 (ko) 1983-07-06

Family

ID=1921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123A KR830001309B1 (ko) 1979-09-11 1979-09-11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47A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842A (en) Apparatus for weft insertion in a weaving loom
JPS5925889Y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補助流体噴射装置
KR930002368B1 (ko) 유체분사 셔틀레스 직기의 다색위사 삽입장치
KR830001309B1 (ko)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KR100634900B1 (ko) 기계식 직조기용 보조노즐
US4244402A (en) Device for inserting a weft yarn in jet operated weaving machines
JP266055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100371749B1 (ko) 수분사 직기의 위사삽입 노즐
US4440198A (en) Apparatus for guiding weft yarns in a jet loom
US4391305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type weaving loom
US4354533A (en) Auxiliary nozzle for jet looms
KR940007104B1 (ko) 공기 분사식 직기용 보조 노-즐
KR840000301B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입가이드부의 구조
JPS5929700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ガイド装置
KR860002102B1 (ko)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KR840000451Y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가이드 집합체
KR850001114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JP3993090B2 (ja)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ノズル
KR830000798B1 (ko) 제트식 직기에 있어서 위입(緯入)장치
KR830001760B1 (ko)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KR850001113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GB2073791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om
KR840000330B1 (ko) 유체분사식직기에 있어서의 위사가이드
KR810000143B1 (ko) 공기분사식 직기의 에어가이드
KR830001762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