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114B1 -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114B1
KR850001114B1 KR1019810004539A KR810004539A KR850001114B1 KR 850001114 B1 KR850001114 B1 KR 850001114B1 KR 1019810004539 A KR1019810004539 A KR 1019810004539A KR 810004539 A KR810004539 A KR 810004539A KR 850001114 B1 KR850001114 B1 KR 85000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weft guide
wall surface
guid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16A (ko
Inventor
가주노리 요시다
히로시 아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주우오우겡규쇼
고마쑤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주우오우겡규쇼, 고마쑤 노보루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3000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2Auxiliary nozz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제1(a)도, 제1(b)도는 종래의 안내부재의 측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안내장치를 구비한 비이팅(筬打)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제3(a)도, 제3(b)도는 위사안내부재의 일부 확대 측면도이며,
제4도는 제3(a)도, 제3(b)도의 X-X'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디보지체 12 : 바디
13a : 안내부재 13b : 안내부재
14 : 요부 15 : 요부
14a : 전부안내면 15a : 전부안내면
16 : 위사안내통로 18 : 개구
22 : 개구 19 : 보조노즐
본 발명은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젯트직기의 경사개구속으로 원활하게 위사를 통과시키기 위하여서는 바디근방에 위입방향으로 정열한 다수의 위사안내부재를 배치하여 각 안내부재에 측면을 크게 개구시킨 요부(오픈 타입) 또는 위사의 발출(拔出)이 가능할 정도로 작게 개구시킨 요부(클로즈드 타입)를 형성하고 이들 요부에 의하여 위사안내통로를 만듬과 동시에 이 위사안내통로에 따라서 적소에 복수의 보조노즐을 그 공기분사구가 전기한 위사안내통로내로 향하도록 배치시킨 위사안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 위사안내장치에 있어서는 위입할 때 주노즐로부터의 분사공기에 의하여 위사를 위사안내통로내로 송입시킴과 동시에 주노즐만에 의한 위사의 비주(飛走) 거리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노즐로 부터의 분사공기의 도움을 받아서 위사를 경사개구로 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오픈타입의 위사안내장치에 있어서는 각 안내부재에 형성한 요부의 개구가 크므로 공기가 개구로부터 유출하고 공기 소비량이 매우 커질뿐 아니라 이 공기류를 타서 위사가 개구로부터 나와버리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클로드즈타입의 위사안내장치에서는 위사안내통로가 위입방향에서 거의 턴널상이 되므로 전기한 오픈타입의 안내장치에 비하여 공기의 이용효율이 좋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위사안내장치에서도 주노즐로부터의 공기분사만에 의존하는데에도 한계가 생겨서 위입 도중에서 보조공기류를 작용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 보조 공기류를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소정 위치의 안내부재를 중공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위사안내통로내로 지향하는 분사구를 개구시킴으로써 안내부재의 중공속으로 공급한 압력공기가 분사구로부터 위사안내통로내로 보조공기류로서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중공상안내부재는 외형을 다른 안내부재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면서 그 내부에 공기공급용의 중공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위사안내통로로 지향하는 분사구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완성된 중공상안내부재가 다른 안내부재와 외형상 다른것이 되기 쉽거나 또는 위사의 탈출용개구 위치가 다른 안내부재의 개구위치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위입미스를 발생하게 되거나 또한 분사구가 보조공기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개구하지 않는 등의 위입기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함을 일으키기 쉽고 제작상 극히 고도한 기술을 요하지 않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도 일본 특허공개번호 특개소 55-128047호 공보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전기한 오픈타입 및 클로스드 타입의 위사안내 장치의 장점만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면이 크게 개구된 요부 1을 가진 안내부재 2 외, 작게 개구한 요부 3을 가진 안내부재 4를 병용한 위사안내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이 장치에서는 바디보지체 위의 다수의 위사안내부재 2,4중 소정간격으로 배치한 위사안내부재(제1"b"도)의 위사탈출용 개구 5를 바디측을 향하여 비교적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이 위사탈출용 개구 5 위치에 보조공기류 분사용의 보조노즐을 배설(配設)하고, 다른 위사안내부재 4(제1"a"도)의 위사탈출용 개구 6을 전기한 위사안내통로의 바디측 상부에 비교적 작게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종래의 예에서는 공기소비량의 큰 손실과 이에 수반된 위입미스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안내부재내부에 중공통로를 형성할 필요도 없어 안내부재의 제작상 곤난성을 제거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예에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각이 비이팅(筬打)가 종료되어 안내부재 2,4가 수직상이 된 상태에서 각각의 요부 1,3의 속 깊숙히에 있는 내벽면 1a, 3b도 수직상태가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위입시에 있어서 공기류의 충분한 수속(收束)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그 결과 위사안내 통로내의 공기류의 일부가 위사탈출용 개구 5,6으로부터 유출되기 쉽고, 공기 소비량의 증가를 초래할 뿐 아니라 그 개구로부터의 유출공기류를 타서 위사까지도 안내부재 2,4로부터 탈출해버릴 우려가 있고 이것이 위입미스에 연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위입시에 있어서 안내부재 2,4의 요부 1,3의 내벽면 1a, 3a로 향하여 분사된 보조공기류는 이들의 수직상의 내벽면 1a, 3a에 충돌되었을 때 그 일부가 직접 개구 5,6을 향하고 이것이 개구 5,6으로부터 유출하여 위입미스를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종래장치의 결점을 해소시킨 것으로서, 위입시에 있어서 주공기류 및 보조 공기류의 이용효율을 더욱 좋게하고 동력소비를 감소시켜서 안내부재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위사를 안정된 상태로 비주시켜서 위입속도의 보다 고속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한 위입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먼 거리의 위입을 가능하게 하여 고속직기에 있어서 광폭화까지도 실현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한가지 실시예를 제 2,3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은 바디보지체, 12는 바디이다.
13a, 13b는 바디보지체, 11 위에 있어서 전기한 바디 12와 평행하게 병렬시켜 등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위사안내부재로서 각각 위사안내용의 요부 14,15를 가졌으며 이들의 요부 14,15에 의하여 위사안내통로 16을 형성하고 있다.
전기한 위사안내부재 13a, 13b 중 13a는 제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완부(脘部) 17만에 의하여 바디 12측에 크게 개구한 요부 14를 형성하며 그 개구 18로부터 위입된 위사가 탈출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요부 14는 거의 직선상을 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보조노즐 19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부(煎部), 상부 및 하부의 3개의 내벽면 14a, 14b, 14c에 의하여 구획형성되어 있다.
19는 전기한 개구 18 위치에 대응하여 바디보지체 11 위에 배치한 보조노즐로서 2개의 분사공 23을 가지고 있다.
다른 위사안내부재 13b도는 제3(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기한 위사안내부재 13a가 완부 17에 일치하는 제 1완부 20과 전기한 보조노즐 19와 나란히 되도록 연출(延出)시킨 제2완부 21에 의하여 요부 15를 형성함과 동시에 양완부 20,21의 선단을 접근시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작은 개구를 형성하여 위입후에 계속되는 위사의 탈출용 개구 22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개구 22의 전후 폭은 좁게 또한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부재 13b의 요부 15는 거의 직선상을 이루며 보조노즐 19와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부, 상부, 하부 및 보조노즐 19쪽에 위치하고 있는 후부의 4개의 내벽면 15a, 15b, 15c, 15d로서 한정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거의 4각형상을 하고 있다. 또 안내부재 13b의 후부 내벽면 15d 상단부 15d'는 전방(내벽면 15b쪽)으로 곡절되어 전기한 개구 22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한 양요부 14,15의 각 내벽면중 속쪽의 전부 내벽면 14a, 15a는 어느것이나 안내부재 13a, 13b의 수직상태에서 하부가 앞쪽(보조노즐 19와는 반대쪽)으로 들어가도록 약간 경사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와 같이 구성한 위사안내장치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제2도 실선은 위사안내부재 13a, 13b 및 보조노즐 19이 경사 Y의 개구부로부터 나와서 바디에 의한 비이팅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위치로부터 바디보지체 11이 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종광이 상하동하여 경사 Y가 개구운동하여 위사안내부재 13a, 13b 및 보조노즐 19가 제2도 이점쇄선(二點鎖線)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 Y의 개구부에 진입하면 공기류와 함께 위사가 위사안내부재 13a, 13b의 안내통로 16내로 비주되어 위입이 행하여진다.
또 보조노즐 19로부터도 공기류가 분사되어 위사의 이송이 촉진된다.
전기한 실시예에 의한 위사안내장치에서는 위사는 위입된 후 보조노즐 19로부터 분사되는 보조공기류에 의하여 위입방향으로 추진된다.
이 보조공기류는 위사안내통로 16의 하류에 위치하는 위사안내부재 13b의 전부 내벽면 15a를 향하여 경사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그 보조공기류의 분사 위치에 도달한 공기류 및 위사는 위입방향으로 향하는 추진력과 함께 위사안내통로 16의 전부 내벽면 15a쪽으로 적극적으로 압입되는 힘을 받게 되어 위사안내 통로 16내의 공기류 전체가 내벽면 15a 측, 즉 위사탈출용 개구 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향하게 된다.
또 전부 내벽면 15a쪽으로 지향한 공기류는 그 내벽면 15a에 충돌한다.
이 전부 내벽면 15a는 보조노즐 19의 분사방향에 대하여 제2(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앞쪽 아래로 경사된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충돌후의 공기류는 하류 내벽면 15c로 향하는 도면중 아래 방향의 성분을 많이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아래방향 성분이 되는 다량의 공기류에 의하여 위사는 위사탈출용 개구 22로부터 한층 더 떨어진 전부 내벽면 15a와 하부 내벽면 15c가 교차하는 각부(角部) 부근으로 밀려나서 개구 22로부터는 멀어지게 된다.
또한 경사 내벽면 15a를 따르는 선회성분을 가진 공기류는 교차하는 하부 내벽면 15c에 충돌하여 그 선회성분이 격감된다.
그리고 전기한 각부 부근에서는 가이드의 두께 및 폭이 제4도와 같이 작게 해두면 가이드간에 소량의 누설공기류가 생겨서 위사를 각부에 흡인시키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므로 위사를 각부에 안정시키는 기능이 보다 강하게 발휘되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이후 공기류는 하부 내벽면 15c 위를 지나 후부 내벽면 15d를 따라서 상승하여 위사탈출용 개구 22쪽을 향하여 흐르게 되나 이 흐름은 하류쪽에 설치된 다음의 보조노즐 19로부터 분사되는 보조공기류에 의하여서도 적극적으로 전부내벽면 15a 하부로 지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직폭중 소정장소에 설치된 보조노즐 19로부터 분사되는 보조공기류가 위사안내통로 16 내의 공기류에 대하여 차차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기류는 그 안내통로 16내에서 전부내벽면 14a, 15a측과 개구 18,22측과의 사이에서 다소의 사행(蛇行)을 반복하면서도 전체로서는 내벽면 14a, 15a 하부를 따르는 바와 같은 상태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사탈출용 개구 18,22로부터의 공기유출이 극력 방지되므로 위사안내장치로서 공기이용효율을 높혀서 동력소비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위사안내통로 16내의 공기류가 안정된 위치에서 위입방향으로 유효하게 흐르기 때문에 위사의 비주를 안정화 시키고 또한 위입속도의 보다 고속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부재 13b의 요부 15의 내벽면중 후부내벽면 15d의 상단부 15d'를 전방으로 곡절시켰으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공기류가 요부 15의 전부 내벽면 15a에 충돌하여 하방으로 흐른뒤 후부내벽면 15d를 따라서 상승하였을 때 이 공기류를 후부내벽면 15d의 상단부 15d'에 의하여 내벽면 15d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개구 22로부터의 공기유출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하여 공기유출에 수반하는 위입미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위사탈출용 개구 22의 전후폭을 좁게 또한 그 폭이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같아지도록 하였으므로 그 개구 22로부터의 공기유출 및 실의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보조노즐의 배설위치에는 바디측을 크게 개구한 다른 형태를 가진 안내부재가 배설(配設)되어 있으나, 이 안내부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보조노즐을 단순히 안내부재 사이에 배설하기만 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안내부재는 모두 동일한 형태가 되어 제조상 큰 이익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위사안내장치는 위사안내 통로의 전부내벽면을 앞쪽이 아래로 내려가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위입시에 있어서 개구로 부터의 공기 유출을 극력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위사안내장치로서의 공기의 이용효율을 높혀서 동력소비를 대폭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이용효율이 향상된 결과 위사비주의 안정화와 고속화라는 위입기능상 극히 중요한 양요소를 비약적으로 높힐수가 있다.
또 안내부재의 제작을 용이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젯트직기에 있어서는 위사가 공기류만에 의하여 반송(搬送)되어 위사의 구속성이 결핍하기 때문에 광폭화의 실시가 곤란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동력소비의 감소와 위입기능의 대폭 향상에 의하여 광폭화의 실현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Claims (3)

  1. 젯트직기에 있어서, 바디보지체 위에 위입된 위사의 탈출용 개구를 가진 요부(凹部)에 의하여 위사안내통로를 형성하도록 한 다수의 위사안내부재를 바디와 팽행하게 병열시켜서 배설(配設)하고, 전기한 위사안내부재의 위사 탈출용 개구를 전기한 요부의 상부에 비교적 작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동위사 안내부재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동위사안내부재의 위사탈출용 개구위치측에 보조공기분사용의 보조노즐을 배설하고, 또한 모든 위사안내부재의 요부의 진기한 보조노즐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을 하부일수록 보조노즐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은 위사탈출용 개구를 가진 안내부재의 요부 내벽중 보조노즐측에 위치하는 내벽면의 상단을, 요부내의 공기류를 상부내벽면 측으로 안내하도록 보조노즐과 반대쪽에 위치하는 내벽면을 향하여 곡절(曲折)시켰음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거의 4각형상의 요부를 가진 위사안내부재의 위사 탈출용개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동개구의 폭이 좁게 또한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서 같아지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안내장치.
KR1019810004539A 1980-11-29 1981-11-24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KR850001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975 1980-11-29
JP55168975A JPS5947745B2 (ja) 1980-11-29 1980-11-29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ガイド装置
JP55-168975 198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16A KR830007916A (ko) 1983-11-07
KR850001114B1 true KR850001114B1 (ko) 1985-08-03

Family

ID=1587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539A KR850001114B1 (ko) 1980-11-29 1981-11-24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427036A (ko)
JP (1) JPS5947745B2 (ko)
KR (1) KR850001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784U (ja) * 1983-05-04 1984-11-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案内装置
JP2003089948A (ja) * 2001-09-19 2003-03-28 Tsudakoma Corp 織機の緯糸張力付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27036A (en) 1984-01-24
JPS5947745B2 (ja) 1984-11-21
JPS5795347A (en) 1982-06-14
KR830007916A (ko) 198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114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US4125133A (en) Air jet loom with improved air guiding comb
US4401139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om
US4458732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weft into a shed by jetting fluids in a jet loom
KR850001113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JPS5927411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US4440198A (en) Apparatus for guiding weft yarns in a jet loom
KR940007104B1 (ko) 공기 분사식 직기용 보조 노-즐
GB2031033A (en)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Weft into a Shed in a Jet Loom
KR830001762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KR810000143B1 (ko) 공기분사식 직기의 에어가이드
JP2618013B2 (ja) 糸通しノズル
JPS5943411Y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2002115154A (ja) 空気噴射織機用筬
JPS5929700B2 (ja)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糸ガイド装置
KR830001759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의 위사안내장치
KR830002353B1 (ko) 젯트룸(Jetloom)에 있어서의 위입(緯入)장치
JPS5943414Y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空気噴射装置
JPS5947057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830001309B1 (ko)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JPH0226983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S59617B2 (ja) 空気噴射式無杼織機の緯糸插入装置
JPS61194253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S5953376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840000451Y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가이드 집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