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43B1 -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 Google Patents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43B1
KR910008043B1 KR1019880012386A KR880012386A KR910008043B1 KR 910008043 B1 KR910008043 B1 KR 910008043B1 KR 1019880012386 A KR1019880012386 A KR 1019880012386A KR 880012386 A KR880012386 A KR 880012386A KR 910008043 B1 KR910008043 B1 KR 91000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opening portion
auxiliary
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318A (ko
Inventor
요시오 닛따
히로시 스즈끼
마사유끼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2Auxiliary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제1도는 본 발명 보조노즐의 일실시예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개구부에 형성된 칩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칩에 제공된 제1실시예의 보조노즐의 개략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제1실시예의 보조노즐에 제공된 공기분사식 직기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 보조노즐의 성능을 조사하도록 사용된 실험장치의 개략예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실험장치에 의해 얻은, 방출된 보조공기의 앙각과 보조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력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6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 보조노즐의 다른 성능을 조사하도록 사용된 다른 실험장치.
제7도는 제6도의 실험장치에 의해 얻은, 방출된 보조공기의 좌우각과 보조노즐에 공급되기 위한 공기압력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 보조노즐의 제2, 제3, 제4 및 제5실시예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보조노즐의 제6실시예의 개략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 2 : 바디홀더
3 : 바다 4 : 바디브레이드
5 : 홈 6 : 공기안내채널
7 : 위사삽입노즐 8 : 위사센서
9 : 캐치코오드 10 : 보조노즐
11 : 홀더 12 : 노즐본체
21 : 위사 16 : 공기통로
본 발명은, 위사삽입노즐에서 발사되어 경사개구에 형성된 공기안내채널을 통과하는 위사에 보조력을 제공하도록 노즐이 배열된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의 향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보조노즐에서 방출된 공기분사의 지향성을 안정화하는 보조노즐배열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기분사식 직기에는 위사삽입노즐에서 발사된 위사가 경사개구에 위입하는 공기안내채널을 따라 복수의 보조노즐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노즐은 공기안내채널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보조공기를 방출하도록 기능해서 공기안내채널을 관통하는 공기흐름을 향상하여 위입된 위사에 위사피킹보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조노즐은 공기안내채널을 향해 보조공기가 방출되는 노즐개구부가 형성된 노즐본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즐개구부의 형상에 관해,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55-36735호 및 일본국 특개소 57-6615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여러 형상이 제안되어 있다. 전자의 공보는 노즐개구부가 서로 인접하게 분리된 수많은 작은 개구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자는 측방으로 길게 뻗은 단일노즐개구부로 되어 있다.
위사의 종류에 따라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전자의 구성에 있어서, 보조노즐로부터의 공기분사의 지향성은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정하다. 이러한 구성은 수많은 작은 개구부가 위사피킹방향의 하류쪽에 면하는 측벽에 직접 형성되기 때문에 드릴링 또는 전기방전장치에 의해 하나하나 작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작은 개구부의 직경을 약 0.2mm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드릴링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 드릴의 직경이 약 0.2mm로 작으므로 드릴의 파손과 중심이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하나하나 작은 개구를 위해 개구부형성장치를 대단히 조심스럽게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전기방전장치에 의한 경우에 있어서, 방전전극의 직경이 방전전극에 인가된 방전전압에 대해 비교적 적기 때문에 개구부 형성작동중 방전전극이 구부러지는 사고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작은 개구부는 방전전극의 축방향으로 불가피하게 휘어져, 그 결과 공기분출 방향으로 균일한 작은 개구부를 얻는 것은 곤란해진다.
상술한 후자의 구성에 있어서,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이 타종류의 위사에 따라 변화한 경우, 보조노즐에서 분출된 보조공기의 분출방향은 각각의 보조노즐중 특정의 위사피킹방향으로 불가피하게 크게 분산되어 같은 종류의 보조노즐은 여러종류의 위사를 위입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개구부의 형성이 용이하면서,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이 변화할 때 조차 보조공기분출방향으로 안정한 노즐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노즐은 보조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노즐본체로 구성된다. 노즐본체는, 공기통로를 구획하고 위사피킹방향으로 하류쪽에 면하는 측벽을 가진다. 노즐본체측벽은 공기통로와 연통된 노즐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공기는 노즐개구부에서 분출된다. 노즐개구부는 측면개구부분과 축방향개구부분으로 구성되며, 측면개구부분은 공기통로의 축을 관통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뻗는다. 축방향 개구부분은 평면과 평행하게 뻗는다. 축방향 개구부분은, 축 및 측면개구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중간부분에서 측면개구부분과 연결된다.
따라서, 노즐개구부의 측면 및 축방향개구부분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조노즐에서의 보조공기의 분출방향은 좌우 및 상하의 양쪽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조공기 분출방향은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이 변할때 조차 안정되어서 공기안내 또는 위사피킹채널을 향한 보조공기분출의 지향성을 향상한다. 또한, 측면 및 축방향개구부분이 노즐개구부의 형상을 간단하게 하도록 인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노즐개구부의 형성이 매우 용이해서 보조노즐의 생산성을 향상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는 전체도면에 걸쳐 대응부품 및 부분을 지칭한다.
제3도는 직기의 주축(도시하지않음)의 회전에 대해, 경사(1)의 연장방향에 비례하여 제때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한 바디홀더(2)에 고착된 바디(3)로 이루어지는 공기분사직기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바디(3)는 바디(3)의 길이를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바디브레이드(4)를 지녀 각각의 경사(1)에 대한 간격이 인접한 바디브레이드(4) 사이에서 구획된다. 각각의 바디브레이드(4)의 정면모서리에는 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브레이드(4)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홈(5)은 위사피킹의 방향으로 뻗는 공기안내채널(6)을 구성한다. 위사삽입노즐(7)은 공기안내채널(6)의 상류에 설치되어, 선단부분에서 노즐개구부가 공기안내채널(6)의 상류단부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위사삽입노즐(7)은 노즐개구부로부터 가압공기를 분출하도록 작용하여, 위사삽입노즐(7)에 삽입된 위사(21)는 노즐개구부로부터 분출된 가압공기의 영향하에 노즐개구부로부터 발사된다. 위사센서(8)는 공기안내채널(6)의 하류쪽에 설치되어, 위사삽입노즐(7)로부터의 위사(21)의 위사피킹의 완결을 검출한다. 캐치코오드(9)는 위사센서(8)의 하류쪽에 설치되어서, 위사센서(8)를 통과하는 위사(21)의 도입단을 붙잡는다.
복수의 보조노즐(10)이 공기안내채널(6)을 따라 배치되어, 소정간격으로 위치한다. 각각의 보조노즐(10)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의한 것이다. 각각의 보조노즐(10)은 홀더(11)를 통해서 바디홀더(2)에 고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보조노즐(10)은 그 선단이 공기안내채널(6)에 근접하도록 바디(3)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노즐(10)은 선단이 막힌,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노즐본체(12)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보조노즐(10)은 공기공급파이프(14)를 통해서 압축공기원(도시하지않음)에 유동적으로 접속된다. 각각의 보조노즐(10)에는 공기안내채널(6)을 통해서 위사의 위사피킹을 돕도록 노즐개구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개구부(13)로부터의 보조공기가 공기안내채널(6)을 향하여 경사지게 분출하도록 배열되어, 보조공기는 위사삽입노즐(7)로부터 분출된 공기흐름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노즐(10)은 상단부에서 평평해져서 공기안내채널(6)의 하류쪽에 면하는 평평한 측벽(15)을 형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노즐(10)은, 보조공기가 가압하에 흐르는 축방향으로 뻗은 공기통로(16)를 그 내면에 형성한다. 평평한 측벽(15)에는 환형 또는 원통형통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 또는 세라믹의 원통칩(19)이 통공(20)에 끼워져서, 예를들어 접착제에 의해 그 자리에 고착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개구부(13)는 칩(19)내에 형성되고, 공기통로(16)의 축 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뻗고 서로 평행한 두개의 가늘고 긴 측면개구부분(17),(17)으로 구성된다. 두개의 측면개구부분(17),(17)과 축방향개구부분(18) 형성부에 의해 서로 중간부분에서 연결되어서, 두개의 측면개구부분(17),(17)과 축방향부분(18)은 서로 인접한다. 축방향개구부분(18)은 축 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평행하게 뻗어서, 노즐개구부(13)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H형이고,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칩(19)의 축방향으로 뻗어서, 노즐개구부(13)의 축 X2은 원통선단부(26)의 축과 평행이다. 칩(19)은, 공기통로(16) 측면위의 그 표면이 노즐본체(12)의 평평한 측벽(15)의 내표면에서 돌출하지 않도록 통공(20)에 고정적으로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통로(16) 측면위의 칩(19)의 표면은 평평한 측벽(15)의 내표면에서 약간 눌린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개구부(13)의 각각의 측면개구부분(17)은 칩(19)의 두께 L보다 작은 폭 H을 가지고, 두께 L는 노즐개구부(13)의 보조공기흐름통로의 길이에 상당한다. 노즐개구부(13)의 빗금친 부분 A1, A2의 총단면적은 노즐개구부(13)의 나머지 부분보다 작다. 빗금친 부분A1, A2은 두개의 측면개구부분(17), (17)으로의 축방향개구부분(18)의 연장에 상당한다. 노즐개구부(13)는 축 X2이 공기통로(16)의 축 X1과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공기통로(16) 측면위의 노즐개구부(13)의 둘레를 구획하는 칩(19)의 모서리 C는 적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둥글게 해서, 노즐개구부(13)에서 분출된 보조공기의 지향성을 안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분사식 직기의 보조노즐의 작동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노즐(10)을 공기안내채널(6)을 따라 설치한다. 가압공기가 압축공기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보조노즐(10)로 공급된 경우, 보조공기는 공기안내채널(6)의 하류쪽을 향하여 각각의 보조노즐(10)의 노즐개구부(13)로부터 위쪽으로 경사지게 분출된다. 각각의 보조노즐(10)로부터 이와 같이 분출된 보조공기는 위사삽입노즐(7)에서의 공기분출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을 향상시켜, 위사삽입노즐(7)에서의 공기흐름의 작용하에, 위사삽입노즐(7)로부터 발사되어, 공기안내채널(6)을 관통하는 위사(21)에 보조력을 제공한다. 보조노즐(10)의 노즐개구부(13)에서의 이와 같은 보조공기분출동안 수직방향의 보조공기분출은 측면개구부분(17),(17)을 따라 일정범위내에 제한되는 반면, 축방향개구부분(18)에서 분출된 공기흐름은 인접한 공기흐름을 수렴해서, 공기안내채널(6)의 전후방향으로 보조공기의 분출방향을 제한한다. 따라서, 가압공기원에서 노즐본체(12)의 공기통로(16)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이 사용되는 위사(21) 종류가 변하는 것에 따라 변하는 경우라도, 보조노즐(10)에서의 보조공기의 분출을 분출방향이 변하는 것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지해서, 보조공기의 소망의 지향성을 나타낸다. 또한, 노즐개구부(13)가 보조노즐본체(12)에 끼워지도록 칩(19)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칩(19)을 모울드로 성형한다. 따라서, 노즐개구부(13)의 형성은 노즐개구부를 노즐본체에 직접 형성하는 종래의 성형기술에 비해 용이해진다.
이하, 제1실시예 보조노즐(10)의 작용효과를 노즐개구부, 보조공기분출방향 및 보조공기의 압력사이의 관계를 측정한 두 실험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제1실험 (제4도 및 제5도)
본 실험에서는, 세종류의 보조노즐(제1,제2 및 제3보조노즐(10A),(10B) 및 (10C))을 사용하였다. 제5도에 있어서, 곡선 L1, L2,L3은 제1, 제2 및 제3보조노즐(10A),(10B),(10C) 각각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제1보조노즐(10A)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것에 대응되므로, 곡선 L1에 연관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 노즐개구부를 가진다. 제2보조노즐(10B)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곡선 L2에 연관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한 세 개의 측면으로 뻗은 개구부분으로 구성되는 노즐개구부를 가진다. 제3보조노즐(10C)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곡선 L3에 연관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또는 원통형) 노즐개구부(10C)를 가지고 노즐개구부는 직경이 1.4mm이다.
본 실험에 있어서, 가압공기가 공기탱크(23)와 조절밸브(24)를 개재해서 압축공기원(22)으로부터 보조노즐(10A){(10B)(10C)}로 공급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험기기 또는 측정장치가 사용된다. 본 실험에 있어서, 보조노즐의 노즐개구부에서 분출된 공기흐름의 동적압력을 피토관(Pitot tube)(25)으로 측정해서, 흐름율이 가장 높은 부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흐름율이 가장 높은 부분은 보조노즐의 노즐개구부에서의 공기흐름의 중심으로 간주된다. 그후, 측정은,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이 변할 때, 보조노즐의 축에 수직인 수평기준선
Figure kpo00001
4에 상대적인 보조노즐의 노즐개구부의 중심과 공기흐름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Figure kpo00002
3의 각(앙각) Xθ을 결정한다. 앙각 Xθ(도)을 보조노즐에 공급하는 공기압력(kg/㎠)으로 표시한 측정결과를 제5도에 도시한다.
제5도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나타낸다. 원형노즐개구부를 가지는 보조노즐(10C)의 경우에 있어서, 공급된 공기압력의 증가와 더불어 앙각 Xθ이 현저히 감소된다. 측면으로 뻗은 세 개의 개구부로 구성되는 노즐개구부를 가지는 보조노즐(10B)의 경우에 있어서, 앙각 Xθ은 공급된 공기압력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아치형의 곡선형태를 취해, 약 3.4kg/㎠에서 약 2.5도의 최대값을 가지는 반면, 공급된 공기압력이 더욱 증가하면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노즐개구부(10)에 대응하고, H형 노즐개구부를 가지는 보조노즐(10A)의 경우에 있어서, 앙각 Xθ은 공급된 공기압력의 증가와 더불어 단계적으로 증가하지만, 이러한 증가는 약 1°이다. 그러한 작은 앙각의 증가는 어떠한 문제도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 제2실험(제6도와 7도)
본 실험에서 상기 언급한 보조노즐(10A)과 2개의 보조노즐(10B')(10B")을 사용한다. 제7도에서 보조노즐(10B')(10B")은 상기 언급한 보조노즐(10B)에 상당하므로 곡선 C2와 C3과 관련하여 제 7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측방향으로 뻗은 개구부분으로 구성된 노즐개구부를 지닌다. 곡선 C1, C2, C3은 보조노즐(10A)(10B')(10B")의 각각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 또는 측정장치를 제6도에 나타내었으며, 보조노즐에서의 공기흐름의 중심과 보조노즐의 노즐개구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Figure kpo00003
5이 수평기준선
Figure kpo00004
4(제4도와 동일)을 관통하는 수평평면상에 결정된다. 공기흐름의 중심은 상기 기술한 제1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공기흐름의 최고부 흐름비를 측정하여 결정하고, 다음 보조노즐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의 변동시 상기 언급한 수평평면상에 수평기준선
Figure kpo00005
4에 대한 선
Figure kpo00006
5의 우측 또는 좌측각 Yθ+,Yθ-을 측정하여 제7도내지 실험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서 각 Yθ+,Yθ-(도)는 보조노즐로 공급된 공기압력 (kg/㎠)으로 나타낸다.
제7도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나타낸다. 3개의 축방으로 뻗은 개구부분으로 구성된 노즐개구부를 지닌 보조노즐(10B')(10B")의 경우에, 각 Yθ+,Yθ-는 이들의 변화특성이 일반적으로 역인 한편 공급된 공기압력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변화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대응하고 일반적으로 H형 노즐개구부를 지닌 보조노즐의 경우에, 각Yθ+은 공급된 공기압력의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나 이런 증가는 대략 1°로 위사피킹에 곤란을 초래하지 않는다. 유사한 보조노즐 (10B')(10B")이 정반대의 각도변화특성을 나타내는 상기 사실에 관하여, 세부관찰은 상기 언급한 실험에 따르며, 보조노즐(10B')(이것의 Yθ+은 증가된 공기압력에 따라 감소)은 공기통로(16)측 내면의 노즐개구부의 주위부에 "비어(burr)"를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보조노즐(10)의 작동과 효과를 상기 설명한 2개의 실험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양각 xθ과 관련하여, 노즐본체(12)의 공기통로(16)를 통한 보조공기의 전진이 노즐개구부(13)에서 분출되도록 우측각에서 전진방향을 변화시킬 때 공기통로(16)내 보조공기의 속도성분은 측면개구부분(17)의 폭 H(축 X1)방향이 작으므로 측면개구부분(17)내에 소멸됨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2개의 축면개구부분(17)의 각각의 폭 H가 변화되는 또다른 실험(이것의 결과는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보조노즐(10)에 공급된 공기압력의 변화에 대한 양각 Xθ의 변화비는 측면개구부분(17)의 폭 H이 적은 경우에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내 각 Yθ+,Yθ-에 관하여 다음의 판정이 성립된다. 측면개구부분(17)과 축방향개구부분(18) 사이의 교차부분(제1도내 빗금부분)에서의 공기흐름은 교차부분이 노즐개구부(13)를 구획하는 벽표면을 지닌 접촉영역보다 적으므로 노즐개구부(13)의 다른 부분보다 흐름속도가 높다. 그결과, 교차부분내 공기흐름은 노즐개구부의 다른 부분에서의 공기흐름을 수렴시킨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노즐(10)의 제2실시예의 요부이며 복수의 소돌기(27)가 노즐개구부(13)의 내부주변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소돌기(27)는 노즐개구부(13)의 축 X2방향으로 뻗고, 이 구성으로 노즐개구부(13)를 관통하는 공기흐름은 돌기(27)의 길이를 따라 안내되어 보조노즐(10)에서 공기분출의 지향성을 더욱 안정화한다. 돌기(27)는 노즐개구부(13)를 지니는 세라믹제의 칩(19)을 소성하기전에 다이에서 뽑아내어 형성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노즐(10)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노즐(13)는 3개의 축면개구부분(17)과 2개의 축방향 개구부분(18)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측면개구부분(17)은 보조노즐(10)의 공기통로(16)의 축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직각으로 뻗고 각각의 축방향개구부분(18)은 축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과 평행하게 뻗는다. 축방향개구부분(18)은 그 중간부에 인접한 측면개구부분(17)을 연결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노즐의 제4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개구부(13)는 측면개구부분(17)과 축방향개구부분(18)으로 구성된다. 측면개구부분(17)은 보조노즐(10)의 공기통로(16)의 축 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직각으로 뻗고, 축방향 개구부분(18)은 축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평행하게 뻗으며 축방향개구부분(18)은 그 중간부에서 측면개구부분(17)과 연결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노즐(10)의 제5실시예의 요부이며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개구부(13)는 측면개구부분(17)과 2개의 축방향개구부분(18)으로 구성된다. 측면개구부분(17)은 보조노즐(10)의 공기통로의 축X1을 관통하는 가상평면에 평행하게 뻗으며, 2개의 축방향개구부분(18)은 그 중간부에서 측면개구부분(17)과 연결되고 측면개구부분(17)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노즐(10)의 제6실시예의 요부를 설명한 것으로 제1도 내지 제3도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칩(19)의 배치를 위한 환상돌기(28)는 보조노즐(10)의 평평한 측벽(15)의 원형통공(20)의 내부주변표면에서 공기통로(16)의 측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환상돌기(28)는 통공(20)의 내부주변표면에서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뻗고 안쪽 표면이 공기통로(16)를 구획하는 노즐본체측벽(15)의 내부표면과 평평하도록 배치된다.
이런 구성으로, 칩(19)은 통공(20)에 끼워질때 환상돌기(28)와 접촉하게 되는 통공(20)내에 적당히 배치되어 보조노즐(10)의 조립효율을 향상한다. 각각의 보조노즐(10)의 칩(19)내에 형성되는 단일노즐개구부(13)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1도 및 8-11도에 도시한 다양한 노즐개구부(13)를 칩(19)내에 혼합형성할 수 있어, 하나 또는 복수의 다양한 노즐개구부(13)는 나란히 또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노즐개구부(13)를 칩(19)내에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노즐개구부(13)은 보조노즐(10)의 평평한 측벽(15)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노즐개구부(13)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노즐개구부(13)가 보조노즐(10)의 평평한 측벽(15)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내 각각의 노즐개구부(13)의 측면개구부분(17)의 폭 H(제1도)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폭 H은 노즐개구부(13)의 길이 L(제2도)보다 작은 치수임을 알 수 있다.
공기안내채널(6)(제3도)을 바디브레이드(4)의 홈으로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공기안내채널(6)은 바디브레이드에서 떨어져 형성되고 소정거리의 간격으로 위사피킹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공기안내부(도시하지 않았으나 자체로서 알수 있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노즐(10)은 많은 공기 안내부중에서의 몇몇 공기안내부로 조립될 수 있다.

Claims (14)

  1.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은, 보조공기가 흐르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통로를 구획하는 측벽을 지닌 노즐본체와, 노즐본체에 형성되고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노즐개구부로 이루어져, 노즐개구부를 통해 보조공기가 분출되며, 노즐개구부는 노즐개구부의 제1개구부분 형성부와 노즐개구부의 제2개구부분 형성부를 포함하여, 제1, 제2개구부는 서로 직각이 되며, 제2개구부분은 중간부에서 제1개구부분과 연결되어 제1, 제2개구부분이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2. 공기 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은, 보조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통로를 구획하고 일반적으로 위사피킹방향으로 하류쪽에 면하는 측벽을 지닌 노즐본체와, 노즐본체 측벽에 형성되고 공기통로와 연통되는 노즐개구부로 이루어져, 노즐개구부를 통해 보조공기가 분출되며, 노즐개구부는 노즐본체공기통로의 축을 관통하는 평면에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뻗는 제1측면 개구부분형성부와 일반적으로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뻗는 제1축방향 개구부분형성부를 포함하여 제1축방향 개구부분은 중간부에서 제1측면개구부분과 연결되어 제1축방향과 측면개구부분이 서로 인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는 노즐본체측벽의 두께방향으로 뻗고 노즐본체측벽의 두께방향에 직각인 평면에 동일한 단면형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측면개구부분의 폭은 노즐본체측벽의 두께방향내 노즐개구부의 길이보다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측면개구부분내에 축방향 개구부분의 연장의 제1총단면적은 제1총단면적 이외의 노즐개구부의 나머지 총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6. 제2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의 축과 노즐본체공기통로의 축은 이들 사이에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7. 제2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는 노즐개구부가 일반적으로 단면이 H형이 되도록 제1측면개구부에 평행하고 이것의 중간부에서 제1축방향 개구부분과 연결되는 제2측면개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8. 제2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는 노즐개구부를 구획하는 표면상에 형성되고 노즐개구부의 축방향으로 뻗는 각각의 복수의 소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9. 제7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는 제2측면개구부분과 평행한 제3측면개구부분, 제1축방향 개구부분과 정렬된 제2축방향 개구부분을 포함하여, 제2축방향 개구부분이 이들의 중간부에서 제2, 제3측면개구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10. 제2항에 있어서, 노즐개구부는 제1축방향 개구부분과 정렬된 제2축방향 개구부분을 포함하여, 제2축방향 개구부분이 제1측면개구부분과 연결되고 제1측면개구부분에 대하여 제1축방향 개구부분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11. 제2항에 있어서, 노즐본체는 측벽에 통공이 형성되며, 노즐개구부는 노즐개구부가 형성된 칩을 포함하며 칩은 노즐본체통공내에 확실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칩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13. 제11항에 있어서, 보조노즐은 칩과 접촉하는 노즐본체통공의 주변표면상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14. 제2항에 있어서, 노즐본체공기통로의 측표면에서 노즐개구부를 구획하는 주변모서리는 적은 곡률반경을 지니도록 둥글게 홈을 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KR1019880012386A 1987-09-25 1988-09-24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KR910008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41892A JP2711099B2 (ja) 1987-09-25 1987-09-25 空気噴射式織機の補助ノズル
JP62-241892 198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318A KR890005318A (ko) 1989-05-13
KR910008043B1 true KR910008043B1 (ko) 1991-10-07

Family

ID=1708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386A KR910008043B1 (ko) 1987-09-25 1988-09-24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15141A (ko)
JP (1) JP2711099B2 (ko)
KR (1) KR910008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837A (ja) * 1991-11-07 1993-05-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エアージエツトルームにおけるサブノズル
BE1012608A3 (nl) * 1999-04-14 2001-01-09 Picanol Nv Spuitmondstuk voor een weefmachine.
JP2004107819A (ja) * 2002-09-18 2004-04-08 Tsudakoma Corp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飛走制御装置
BE1015155A3 (nl) * 2002-10-23 2004-10-05 Picanol Nv Spuitmondstuk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inslagdraad in een weefmachine.
BE1015261A3 (nl) * 2002-12-19 2004-12-07 Picanol Nv Spuitmondstuk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inslagdraad bij een weefmachine.
US7682231B2 (en) * 2004-01-20 2010-03-23 Greenheck Fan Corporation Exhaust fan assembly
US7547249B2 (en) * 2004-07-15 2009-06-16 Greenheck Fan Corporation Exhaust fan assembly having H-out nozzle
CN103233313A (zh) * 2013-04-23 2013-08-07 浙江理工大学 一种双层喷气织机可调式独立供气装置
CN104762733A (zh) * 2015-04-03 2015-07-08 苏州科润织造有限公司 一种纺织辅助喷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6735A (en) * 1978-09-06 1980-03-1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Oxygen concentration measuring instrument
JPS5766152A (en) * 1980-10-07 1982-04-22 Ishikawa Seisakusho Kk Auxiliary fluid jet apparatus of air jet type loom
NL8007127A (nl) * 1980-12-31 1982-07-16 Rueti Te Strake Bv Inrichting voor het door middel van een stromend medium inbrengen van een draad in het weefvak van een pneumatische weefmachine.
JPH0684576B2 (ja) * 1984-02-17 1994-10-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補助ノズル装置
JPH0318525Y2 (ko) * 1985-03-27 1991-04-18
DE3643058A1 (de) * 1986-11-21 1988-06-30 Picanol Nv Duesen-web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11099B2 (ja) 1998-02-10
US4915141A (en) 1990-04-10
KR890005318A (ko) 1989-05-13
JPS6485346A (en) 198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043B1 (ko) 공기분사식 직기용 보조노즐
JP3366490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EP0184435B1 (en) Multi-nozzle weft insertion device for fluid jet shuttleless-loom
US4125133A (en) Air jet loom with improved air guiding comb
KR100634900B1 (ko) 기계식 직조기용 보조노즐
JPS5851050B2 (ja) ジェット織機における補助ノズル
EP1418262A1 (en) Weft inserting nozzle of air jet loom and pipe as used therein
GB2073790A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m
JPS6367574B2 (ko)
JPH0684576B2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補助ノズル装置
US4081000A (en) Weft insertion nozzle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EP0541489A1 (en) Sub nozzle in a jet loom
EP1143054B2 (en) Weft insert subnozzle
EP0273473B1 (en) Main injector with increased tensioning force for airjet looms
JP7311297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サブノズル
JPH0397939A (ja)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サブノズル
EP3739094A1 (en) Sub-nozzle for air jet loom
JPS6032733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補助ノズル
EP3640382B1 (en) Sub-nozzle for air jet loom
JP2003155644A (ja) 水噴射式織機の緯入ノズル
JP3357278B2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用の変形筬
EP3412812A1 (en) Air jet loom
KR830002726B1 (ko)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입장치
JP2003041456A (ja) 空気噴射式織機用筬
KR20200086417A (ko) 플로우 이중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