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496B1 -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496B1
KR960011496B1 KR1019920014107A KR920014107A KR960011496B1 KR 960011496 B1 KR960011496 B1 KR 960011496B1 KR 1019920014107 A KR1019920014107 A KR 1019920014107A KR 920014107 A KR920014107 A KR 920014107A KR 960011496 B1 KR960011496 B1 KR 96001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alue
determination reference
value
water level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559A (ko
Inventor
타케루 나카무라
미쯔유키 키우찌
사다유키 타마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포량(布量)검지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의 설정수단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압검지수단의 출력파형수와 포량의 관계를 표시한 제1의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압검지수단의 출력파형수와 포량의 관계를 표시한 제2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조 2 : 탱크
3 : 교반날개 4 : 감속기구
5 : 모터 6 : 배수밸브
7 : 급수밸브 8 : 공정제어수단
9 : 설정수단 10 : 수위검지수단
11 : 전압검지수단 12 : 포량판정수단
본 발명은 세탁탱크에 투입된 의류등의 포량(布量)을 검지하여, 포량에 따른 공정제어를 행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탁기의 자동화가 진보되어 포량을 검지해서, 그 포량에 다른 최적한 물 흐름, 공정시간으로 제어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이 포량을 검지하는 종래의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9290호 공보에 표시한 구성이었다. 즉, 소정수위까지 급수한 후, 교반날개를 구동하는 모터를 소정시간 온(ON)하고, 그 후에 모터를 오프(OFF)하여, 그 오프 기간에 모터로부터 발생하는 기전력을 검출하는 기전력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또, 이 기전력검출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세탁기의 포량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포량판정 기준치가 미리 결정된 일정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값이 사용자의 감각과 어긋나 있는 경우나, 교반날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용의 벨트장력의 분균일이나 경년변화등에 의해 어긋나져서, 포량판정 기준치가 실제의 포량의 판정치와 맞지 않은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포량판정기준치가 사용자의 감각에 추종해가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는, 세탁기의 공정을 제어하는 공정제어수단과, 탱크내에 배치한 교반날개를 구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검지수단과, 상기 탱크내의 수위를 설정하는 수위설정수단과, 상기 회전검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탱크내의 포량을 검지하는 포량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포량판정수단은 수위설정수단의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포량판정기준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포량판정기준치가 수위 설정수단으로부터의 수위 설정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되어서, 항상 사용자의 감각에 맞는 값으로 수정되기때문에, 포량판정기준치가 실제의 포량의 판정치와 맞지 않는 일이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세탁기의 공정을 제어하는 공정제어수단과, 탱크내에 배치한 교반날개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탱크내의 수위를 설정하는 수위설정수단과, 상기 탱크내의 포량을 검지하는 포량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수위설정수단으로부터의 포량데이터에 의거하여 학습을 반복하여 포량판정기준치를 갱신해가기 때문에, 포량판정기준치가 사용자의 감각과 어긋나는 경우나, 포량판정기준치가 실제의 포량의 판정치와 맞지 않는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뛰어난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포량검지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구성도로써, 탱크(2)는 상부가 개구되고 밑바닥이 폐쇄되어 있으며, 이 탱크(2)의 내부에 원주형의 구멍뚫린 세탁겸 탈수조(이하, 세탁조라고 호칭한다)(1)가 상기 탱크(2)와 동축관계로 수용되어 있다.(3)은 세탁조(1)의 안쪽바닥에 설치된 교반날개이며, 상기 탱크(2)의 바깥바닥밑에 설치된 회전감속장치(5)를 개재해서 모터(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탱크(2)의 바닥부는 전자(電磁)제어 배수밸브(6)를 개재해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세탁기의 외부로 접속되고, 상기 세탁조(1)위에 뻗어있는 급수라인에는 전자제어 급수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세탁기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세탁기의 전기제어시스템은 공정제어수단(8), 설정수단(9), 수위검지수단(10), 전압검지수단(11)및 포량판정수단(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정제어수단(8)은 설정수단(9)및 수위검지수단(10)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고 모터(5), 배수밸브(6) 및 급수밸브(7)를 순차제어하여 세탁, 헹굼 및 탈수공정을 예정된 순서대로 실행한다. 상기 전압검지수단(11)은 모터(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모터(5)의 회전수의 상관된 물리량중 하나인 모터전압을 검지한다.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상기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을 입력해서 이 전압검지수단(11)의 전압파형수를 계수하고 이 계수한 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포량판정을 행한다.
제2도는 설정수단의 구성도이며, 이 설정수단(9)은 수위설정수단(9a), 수류(水流)설정수단(9b), 세탁설정수단(9c), 헹굼설정수단(9d), 탈수설정수단(9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설정수단(9)에 의해 공정내용을 설정한 후에 운전을 개시하면, 공정제어수단(8)은 수위검지수단(10)으로부터 세탁조(1)내의 수위정보를 입력하고, 소정수위까지 급수밸브(7)를 동작시켜서 탱크(2)내로 급수한다. 다음에, 공정제어수단(8)은 모터(5)를 구동하여 교반날개(3)를 회전시킨다. 모터의 회전개시이후 소정시간이 경과해서 모터(5)의 통전(通電)을 정지하고, 전압검지수단(11)으로부터의 검지된 파형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량판정수단(12)에 입력하여, 포량판정기준치와 비교하고, 세탁조(1)내의 포량을 판정한다. 여기서 포량판정수단(12)의 포량판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세탁조(1)내의 포량과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파형수의 상관을 표시한 것이며, P1,P2, P3의 각 한계치가 포량판정기준치가 되고, 이 3개의 포량판정기준치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포량을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이 포량판정기준치는 애당초 실험에 의해 구하여진 포량과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파형수의 상관에 의해 설정되어 있으나, 여기서 세탁기의 사용자가 상기의 공정에 의해 판정된 포량판정결과에 대해서 불만을 느낄 경우, 예를들면, 세탁기의 포량의 판정결과가 중간량이 되고 포량에 따라서 세탁조(1)내의 수위가「중(中)」에 설정되었을때에, 세탁기의 사용자가 포량에 대해서 수위가 낮다고 느꼈을 경우에는, 수위설정수단(9a)에 의해 설정수위를「고(高)」로 변경한다. 공정제어수단(8)은 이후의 공정은 이 설정수위에 따라서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포량판정수단(12)은 이때의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파형수와 세탁기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후의 설정수위에 따른 포량에 의거하여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을 행한다. 여기서,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금회의 포량판정시의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파형수가 제3도에 있어서 PX이었을 경우, 포량판정수단(12)은 포량을 중간량으로 판정하고, 공정제어수단(8)은 세탁조(1)내의 수위를 「중」으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이 수위에 불만을 느껴서 수위설정수단(9a)에 의해 설정수위를 「고」로 변경하면 포량판정수단(12)은,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포량판정기준치 P1,P2, P3에 일률적으로 일정한 파형수 △Pa를 가산하고, 포량판정기준치를 위쪽으로 시프트하여,
P1(N+1)=P1(N)+△Pa
P2(N+1)=P2(N)+△Pa
P3(N+1)=P3(N)+△Pa
가 되고 다음 회부터 이 새로운 포량판정기준치에 의거하여 포량의 판정을 행한다.
이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에 의해 포량은 전회의 판정에 비하여 보다 많은 방향으로 판정되게 한다. 또, 반대로 포량판정수단(12)이 포량을 다량으로 판정하고, 공정제어수단(8)이 세탁조(1)내의 수위를 「고」로 설정하였을때에, 사용자가 수위설정수단(9a)에 의해 설정수위를 「중」으로 변경하였을 경우는 포량판정수단(12)은,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포량판정기준치P1,P2, P3에 일률적으로 일정한 파형수 △Pa를 가산하고, 포량판정기준치를 아래쪽으로 시프트하여,
P1(N+1)=P1(N)-△Pa
P2(N+1)=P2(N)-△Pa
P3(N+1)=P3(N)-△Pa
가 된다. 이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에 의해, 포량판정수단(12)의 포량판정레벨이, 사용자의 판정기준을 따라 가는 것으로 된다. 또한,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량은 포량판정기준치의 초기치로부터 일정치를 초과하지 않는량으로 제한한다.
다음에,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회의 포량판정시의 전압검지수단(11)의 출력파형수가 제4도에 있어서 Px이었을 경우, 포량판정수단(12)은 포량을 중간량으로 판정하고, 공정제어수단(8)은 세탁조(1)내의 수위를 「중」으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이 수위에 불만을 느껴서 수위설정수단(9a)에 의해 설정수위를 「고」로 변경하면, 이 파형수 Px가 포함되는 중간량의 영역의 수위가 시프트 된쪽의 포량판정기준치 P1만을 다음식
에 표시된 바와 같이, 현재 입력된 파형수 Px와 포량판정기준치 P1의 차에 비례하고 변경하고, 포량판정기준치를 위쪽으로 시프트하여, 다음회부터 이 새로운 포량판정기준치에 의거하여 포량의 판정을 행한다. 이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에 의해 포량을 다량이라고 판정하는 영역이 확대되고, 포량은 전회의 판정에 비해 보다 많은 방향으로 판정되게 된다. 또한,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에 의해 포량판정의 영역(예를 들면 P1으로부터 P2의 사이의 영역)이 좁아지는 경우, 이 영역의 폭은 일정치 Pw이상으로 제한되고, 포량판정기준치는 이 제한을 초과해서 변경되지 않는다. 이 포량판정기준치 변경에 의해, 포량판정수단(12)의 포량판정레벨의 포량의 탱크마다 개별로, 사용자의 판정기준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갱신되어 가기 때문에, 항산 포량판정기준치가 실제의 포량에 따라서 추종해가고, 포량판정기준치가 어긋나서 세탁기의 사용자가 매회 매회 수정을 한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량판정수단으로서 모터전압을 검지하는 전압검지수단을 사용하여 급수한 후에 모터를 운전해서 포량을 판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전압검지수단 대신에 마그넷등의 모터 회전검지수단을 사용하든지, 또는 급수하기전에 모터를 운전해서 포량을 판정하는 방식이나, 교반시의 수위변동을 검지하는 방식등으로도 되고 요는 세탁드럼내의 포량에 상관된 물리량을 검지하는 것이면 된다.

Claims (9)

  1. 세탁조(1)내의 포량에 대응하는 포량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11)과, 이 검지수단(11)으로부터의 포량검지신호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포량검지신호와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기준치가 되는 포량판정기준치를 비교해서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포량판정수단(12)과, 세탁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기준치를 다른 기준치로 변경하는 설정수단(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상기 설정수단(9)에 의해 선택된 포량판정기준치를 기억하고, 다음회의 포량판별시에는 상기 선택된 기준치를 사용해서 포량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9)은 현재 사용되는 포량판정기준치와 상기 검지수단(11)으로부터 출력되는 포량검지신호에 의해 나타내지는 포량검지데이터와의 차에 의거하여 변경되어야 할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세탁조(1)내의 포량의 다소에 대응한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를 가지고, 상기 포량검지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와 비교하고 세탁조(1)내의 포량을 판별해서 세탁, 헹굼수위를 급수하고, 상기 설정수단(9)은 모터(5)회전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수단(12)에 의해 판별되어 급수한 수위가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너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입력하는 입력부(9a)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9a)로 부터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일정치를 가하고, 만족하는 수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의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9)은 변경되어야할 상기 포량판정수단기준치의 변경치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사용하고, 상기 일정치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가할 것인지 또는 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세탁조(1)내의 포량의 다소에 대응한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를 가지고, 상기 포량검지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와 비교하고 세탁조(1)내의 포량을 판별해서 세탁, 헹굼수위를 급수하고, 상기 설정수단(9)은 모터(5)회전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수단(12)에 의해 판별되어 급수한 수위가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너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입력하는 입력부(9a)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9a)로부터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일정치를 가하고, 만족하는 수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의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6. 세탁조(1)내의 포량에 대응하는 포량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11)과, 이 검지수단(11)으로부터의 포량검지신호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포량검지신호와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기준치가 되는 포량판정기준치를 비교해서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포량판정수단(12)과, 세탁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기준치를 다른 기준치로 변경하는 설정수단(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정수단(9)은 현재 사용되는 포량판정기준치와 상기 검지수단(11)으로부터 출력되는 포량검지신호에 의해 나타내지는 포량검지데이터와의 차에 의거하여 변경되어야 할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세탁조(1)내의 포량의 다소에 대응한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를 가지고, 상기 포량검지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와 비교하고 세탁조(1)내의 포량을 판별해서 세탁, 헹굼수위를 급수하고, 상기 설정수단(9)은 모터(5)회전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수단(12)에 의해 판별되어 급수한 수위가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너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입력하는 입력부(9a)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9a)로부터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일정치를 가하고, 만족하는 수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의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8. 세탁조(1)내의 포량에 대응하는 포량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11)과, 이 검지수단(11)으로부터의 포량검지신호를 입력하고, 이 입력된 포량검지신호와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기준치가 되는 포량판정기준치를 비교해서 포량의 다소를 판별하는 포량판정수단(12)과, 세탁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기준치를 다른 기준치로 변경하는 설정수단(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정수단(9)은 변경되어야 할 상기 포량판정기준치의 변경치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사용하고, 상기 일정치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가할 것인지 또는 감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판정수단(12)은 세탁조(1)내의 포량의 다소에 대응한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를 가지고, 상기 포량검지신호를 상기 복수의 포량판정기준치와 비교하고 세탁조(1)내의 포량을 판별해서 세탁, 헹굼수위를 급수하고, 상기 설정수단(9)은 모터(5)회전수를 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량판정수단(12)에 의해 판별되어 급수한 수위가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너무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입력하는 입력부(9a)를 가지고, 상기 입력부(9a)로부터 사용자가 만족하는 수위보다 높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포량판정기준치에 일정치를 가하고, 만족하는 수위보다 낮은 것을 나타내는 입력이 있으면 현쟁의 포량판정기준치로부터 일정치를 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KR1019920014107A 1991-08-09 1992-08-06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KR960011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00592 1991-08-09
JP3200592A JP3070165B2 (ja) 1991-08-09 1991-08-09 洗濯機の布量検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59A KR930004559A (ko) 1993-03-22
KR960011496B1 true KR960011496B1 (ko) 1996-08-23

Family

ID=1642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107A KR960011496B1 (ko) 1991-08-09 1992-08-06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75025A (ko)
EP (1) EP0527452B1 (ko)
JP (1) JP3070165B2 (ko)
KR (1) KR960011496B1 (ko)
CN (1) CN1030845C (ko)
DE (1) DE692157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5041A (en) * 1993-10-13 1996-11-19 Daewoo Heavy Industries, Ltd. Resiliently yieldable tail stock device for use in a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CN1056517C (zh) * 1994-03-30 2000-09-20 刘爱武 一种消瘿化结药物
JPH10505270A (ja) * 1995-06-28 1998-05-2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洗濯機充填制御システム
AU697079B2 (en) * 1995-06-28 1998-09-24 General Electric Company Adaptative water level controller for washing machine
CN1070556C (zh) * 1997-04-10 2001-09-0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布量检测校正方法
KR100221130B1 (ko) * 1997-05-08 1999-09-15 전주범 세탁기의 담요 헹굼방법
US6581230B2 (en) 1998-10-27 2003-06-24 Diehl Ako Stiftung & Co. Kg Method of washing laundry in a motor-driven washing machine
US6038724A (en) * 1998-11-27 2000-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load estimation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6151742A (en) * 1999-03-15 2000-11-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low rate compensation in a washing machine
CN1316096C (zh) * 2002-06-07 2007-05-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衣物量的感知方法
CN100343437C (zh) * 2002-06-07 2007-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衣物量感知装置和方法
CN100451212C (zh) * 2003-06-30 2009-0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洗衣机的衣物量检测装置和方法
KR100596227B1 (ko) * 2004-08-09 2006-07-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동 세탁기의 헹굼행정 제어장치 및 방법
JP3863176B1 (ja) * 2006-03-07 2006-12-27 株式会社京都産業 洗濯装置
WO2008003710A1 (en) * 2006-07-04 2008-01-10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dryer
JP5038818B2 (ja) 2007-08-22 2012-10-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
US9765464B2 (en) 2015-01-22 2017-09-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JP2018537822A (ja) 2015-12-15 2018-12-20 パンドウィ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現場成端用rj45プラグ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09339A1 (fr) * 1977-11-16 1979-06-15 Amiens Const Elect Mec Machine a laver a manoeuvre se referant a la nature des objets a laver
AU566458B2 (en) * 1984-10-19 1987-10-22 Hitachi Limited Fully automated washer
FR2601389B1 (fr) * 1986-07-10 1988-10-07 Ciabem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ve-linge ou seche-linge a detection automatique de la charge de linge.
JP2532522B2 (ja) * 1987-10-30 1996-09-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布負荷量検知装置
JP2892749B2 (ja) * 1990-02-28 1999-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75025A (en) 1994-01-04
EP0527452B1 (en) 1996-12-11
JPH0679085A (ja) 1994-03-22
DE69215786T2 (de) 1997-04-10
JP3070165B2 (ja) 2000-07-24
CN1070703A (zh) 1993-04-07
EP0527452A1 (en) 1993-02-17
DE69215786D1 (de) 1997-01-23
KR930004559A (ko) 1993-03-22
CN1030845C (zh) 199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496B1 (ko) 세탁기의 포량검지장치
KR100643988B1 (ko) 세탁기
JP2000014982A (ja) 全自動洗濯機の制御方法
JP2532522B2 (ja) 洗濯機の布負荷量検知装置
JP3147415B2 (ja) 全自動洗濯機
JP3008318B2 (ja) 全自動洗濯機
JPH0444797A (ja) 洗濯機の布量検知装置
JPS58195589A (ja) 洗濯機
JPH05115671A (ja) 洗濯機
JP3046695B2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装置
JPH09108478A (ja) 洗濯機の制御方法
JPH04220288A (ja) 電気洗濯機の制御装置
JP3125361B2 (ja) 全自動洗濯機
JP2876772B2 (ja) 洗濯機
JP2884760B2 (ja) 洗濯機
JPH05168785A (ja) ドラム式洗濯機の布量検知方法
JPH04338492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5154279A (ja) 全自動洗濯機
JPH02255185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5253384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6280A (ja) 全自動洗濯機
JPH05177084A (ja) 洗濯機
KR100408786B1 (ko) 펄세이터 구동 방법
JPH05115670A (ja) 洗濯機の布負荷量検知装置
JPH04256794A (ja) 洗濯機の負荷量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