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39B1 - 부품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9B1
KR960005539B1 KR1019910008741A KR910008741A KR960005539B1 KR 960005539 B1 KR960005539 B1 KR 960005539B1 KR 1019910008741 A KR1019910008741 A KR 1019910008741A KR 910008741 A KR910008741 A KR 910008741A KR 960005539 B1 KR960005539 B1 KR 96000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hute
carrying
suppl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미나베
Original Assignee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다 미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가와다 미츠구 filed Critical 타이요오 유우덴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2Feeding of components with orientation of th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Chut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품 공급 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부품 공급부 부근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부품 반출부 부근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 전체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 전체의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 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 전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슈우트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부품 공급부 부근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그 앞끝단부분의 종단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부품 반출부의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 부품 공급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슈우트를 형성하는 판체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슈우트를 형성하는 판체의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6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0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21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2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23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4도는, 본 발명 부품 반출부 부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
제25도는, 제24도에 있어서의 가진기구(加振機構)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부품 공급부 2 : 공급 파이프
4 : 기초대 5 : 구동기구
6, 6' : 슈우트 7 : 부품 반출부
8 : 흡착 노즐 10 : 용기
11 : 통형상 부재 12 : 베이스부재
13 : 슬라이드부재 14 : 프레임
41 : 가이드부재 42 : 부재
43 : 부재 45 : 긴구멍
46 : 보울트 47 : 나사구멍
48 : 긴구멍 49 : 보울트
50 : 가진기구(加振機構) 51 : 모우터
52 : 캠 53 : 종동로울러
55 : 돌기 56 : 슬라이더
57 : 로드 58 : 브라켓트
59 : 아암 61 : 직선부분
62 : 조인트 63 : 투명판
64 : 나사 65 : 뚫린 구멍
66 : 나사구멍 67 : 판체
71 : 부품 추출끝단부 72 : 스톱퍼
73 : 유지블록 74 : 스톱퍼
91 : 자석 92 : 아암
93 : 붙임대 a : 부품
본 발명은, 용기에 벌크(Bulk) 형상으로 수납된 부품을, 하나씩 내보내어, 추출하는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칩형상 회로 부품과 같은 부품의 포장형태로서는, 부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나란히 놓고 테이핑한 것을, 로울 형상으로 감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포장된 부품을 추출하는 경우, 로울에서 테이프를 빼내면서, 테이핑의 커버 테이프를 벗기고, 그 속에 나란히 있는 부품을 하나씩 추출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테이핑 포장을 하는 것은, 귀찮고, 코스트가 높아진다.
특히, 근년의 부품의 소형화, 다품종화의 진전에 따라서, 부품의 테이핑 방송을 안하고, 용기에 벌크 형상으로 수납된 부품을 용기로부터 프린트 기판상에 공급하려고 하는 요청이 강해지고 있다.
그래서, 용기에 벌크 형상으로 수납된 부품을 정렬하여 차례로 내보내어, 프린트 기판상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부품을 하나씩 타이밍을 재서 내보내기 위한 에스케이프먼트기구나, 부품을 확실하게 반송하기 위한 진공반송기구 등, 복잡한 기구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부품 공급장치 전체가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용기에 벌크 형상으로 수납된 부품을 하나씩 꺼내어,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핑 릴 방식과 같이, 부품을 하나씩 소정의 위치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품 자동 탑재장치에 넣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고 손쉬운 구조로 원활하게 부품을 하나씩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품을 벌크 형상으로 수용하는 케이스로부터 부품을 일렬로 내보내는 부품 공급부와, 이 부품 공급부로부터 내보내진 부품을 그 자체의 중력에 의하여 활강시켜서 안내하는 슈우트와, 이 슈우트의 앞끝단쪽에 형성된 스톱퍼 및 이 스톱퍼의 바로 앞에 적어도 부품 1개분의 개구부를 연 부품 추출끝단부로 이루어지는 부품 반출부와, 이 부품 꺼내기 끝단부로부터 부품을 집어들어서, 동 부품을 목적하는 반송처로 반송하는 부품 반송체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부품 공급장치에서는, 슈우트내에서의 부품의 자연 낙하의 작용에 의하여, 부품을 부품 공급부쪽으로부터 부품 반출부쪽으로 내보낼 수 있다.
그리고 슈우트에 의하여 안내되어서, 부품 반출부로 보내진 부품은, 스톱퍼에서 정지된다.
스톱퍼에서 정지된 선두의 부품의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반송체에 의하여, 그 개구부의 위치로부터 위방향으로 선두의 부품을 하나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부품은, 부품 반송체에 의하여, 목적의 위치로 반송된다.
스톱퍼의 직전의 부품이 하나 추출되면, 슈우트 속에 있는 부품이 하나분 만큼 앞으로 보내지고, 스톱퍼에 의하여 정지된다.
이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부품 반출부로부터 부품이 하나씩 추출된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의 부품 공급장치는, 기초대(4)의 상하에 붙임 고정된 부품 공급부(1)와 부품 반출부(7) 및 이들을 연결하는 슈우트(6)로 이루어진다.
제2도의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의 기초대(4)는, 측면 "ㄴ"자 형상의 2개의 부재(42),(43)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의 단면 부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위의 부재(42)의 아랫변 근처의 위치에 세로로 긴구멍(45)이 복수개 폭 방향으로 줄지어 뚫려 있다.
또, 아래의 부재(43)의 윗변 근처에, 상기 긴구멍(45)에 대응하여 나사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긴구멍(45)쪽으로부터 끼워서 통해진 보울트(46)가 나사구멍(47)에 들어가 조여 붙임됨으로써, 상하 2개의 부재(42)(43)가 상,하로 연결되어, 측면 "ㄷ"자 형상의 기초대(4)가 조립된다.
이 기초대(4)의 높이, 즉 윗쪽의 부재(42)의 높이는, 상기 긴구멍(45)의 범위에서 가변 조정할 수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초대(4)의 윗쪽의 부재(42)의 위에, 윗쪽으로 개구하는 요홈부를 가지는 가이드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부재(41)는, 기초대(4)의 윗쪽의 부재(42)에 개설된 긴구멍(45)에 끼워서 통해진 보울트(49),(49)로 부재(42)에 붙임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가이드부재(41)는, 동 긴구멍(45)의 범위에서 제1도에 있어서, 좌, 우에 그 붙임 고정 위치를 바꿀 수 있다. 가이드부재(41)의 중심으로부터는, 위끝단이 경사지게 개구한 공급 파이프(2)가 세워져 있다.
부품 공급부(1)는, 베이스부재(12)와, 이 주변에서 기립한 통형상 부재(11)로 이루어지는 용기(10)를 가지고, 베이스부재(12)의 중심에 세로로 관통구멍이 뚫려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2)의 윗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용기(10)의 바닥면은, 상기 관통구멍을 가지는 중앙이 낮아진 것같은 깔대기 형상의 구배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부재(12)는,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고, 예컨대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14)에 복수의 부품 공급부(1),(1)…가 1열로 줄지어 붙임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4)의 바닥면으로부터는, 슬라이드부재(13)가 튀어나와 형성되고, 이것이 상기 가이드부재(41)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이 슬라이드부재(13)의 중심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2)의 관통구멍의 연장상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파이프(2)가 이 관통구멍을 통과하고, 베이스부재(12)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그 위끝단이 용기(10) 속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3)와 가이드부재(41)와의 끼워맞춤을 가이드 수단으로 하여서, 용기(10)를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5)가 기초대(4)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상세한 것이 나타난 바와 같이, 기초대(4)에 붙임 고정된 모우터(51)에 의하여 회전되는 캠(52)이, 프레임(14)에 지지된 종동로울러(53)에 닿아 있고, 모우터(51)의 회전에 의하여, 프레임(14)이 상,하로 구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10)가 상,하 운동하기 때문에, 공급파이프(2)가 용기(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한다. 모우터(51)로서는, 전동 모우터나 공기압 모우터가 사용된다.
이 공급 파이프(2)의 하단에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형상의 슈우트(6)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슈우트(6)에의 하단은, 기초대(4)의 윗쪽의 부재(43)쪽에 마련된 부품의 부품 반출부(7)에 접속되어 있다. 이 부품 반출부(7)는, 상기 슈우트(6)의 하단을 고정한 유지블록(73), 스톱퍼(72)를 구비한다. 유지블록(73)은, 기초대(4)의 바닥편 부분의 위에 붙임 고정되어, 슈우트(6)의 앞끝단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 유지블록(73)의 앞에 스톱퍼(72)가 세워져 형성되고, 여기에 슈우트(6)의 앞끝단이 맞닿아 있다.
슈우트(6)의 끝단은, 부품 추출끝단부(71)로 되어 있고, 거기에는 부품(a)의 1개분의 길이만큼 위 절반이 개구하고 있다. 이 부품 추출끝단부(71)의 위에 부품(a)을 흡착하여, 윗쪽으로 추출하고, 목적의 위치에 반송하기 위한 부품 반송체인 흡착 노즐(8)이 배치된다.
이 흡착 노즐(8)은, 진공을 이용하여 부품(a)을 흡착하는 것인데, 부품 반송체로서, 이 흡착 노즐(8)에 대신하여, 부품(a)을 양쪽에서 끼워서 붙잡는 핸드형 처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여 부품 공급부(1)로부터 부품의 부품 반출부(7)에 이르는 슈우트(6)는, 곡선형상을 그리듯이 구부러져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부품 공급부(1)가 기초대(4)의 윗쪽의 부재(4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전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기초대의 윗쪽의 부재(42)가, 부품 반출부(7)를 고정한 아랫쪽의 부재(43)에 대하여 상하로 신축할 수 있다.
이러므로써, 슈우트(6)가 적당한 곡선을 그리도록 부품 공급부(1)의 붙임 고정 위치를 부품 반출부(7)에 대하여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슈우트(6)가 탄성체의 파이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공급부(1)가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도라도, 그 진동을 흡수하고, 2차 곡선을 유지한다.
이 부품 공급장치에서는, 용기(10)가 상,하 운동함으로써, 공급 파이프(2)의 위끝단이 용기(10) 속에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왕복 운동을 한다.
그리고, 공급 파이프(2)의 위끝단이 용기(10)의 바닥으로부터 올라온 곳에서 용기(10) 속의 부품(a),(a)…이 찔려 무너지고, 공급 파이프(2)의 위끝단이 내려간 곳에서 그 개구부로부터 부품(a)이 하나씩 공급 파이프(2) 속으로 들어간다.
이와같이 하여서, 공급 파이프(2) 속에 들어간 부품(a)은, 그 중력에 의하여, 슈우트(6)로 보내지고, 그속에 1열로 나란히 줄지어서 아래쪽의 부품 반출부(7)쪽으로 차례로 보내진다. 슈우트(6) 속의 선두의 부품(a)은, 부품 반출부(7)의 스톱퍼(72)에 부딪쳐서 정지 당한다.
그리고, 이 부품(a)이 정지된 선두 부품은, 부품 추출끝단부(71)로서, 그곳은 위로 열린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부품 추출끝단부(71)에서, 흡착 노즐(8)에 선두의 부품(a)이 흡착되고, 유지되어서, 슈우트(6)로부터 꺼내어진다. 이것을 되풀이함으로써, 부품 반출부(7)로부터 하나씩 부품(a),(a)…이 꺼내지고, 그때마다 슈우트(6) 속의 부품(a)이 중력으로 하나씩 보내진다.
부품 공급부 추출끝단부(71)로부터 흡착 노즐로 꺼내진 부품(a)은, 목적의 위치, 예컨대, 회로 기반의 소정의 위치로 반송되어, 그곳에 탑재된다.
공급 파이프(2)의 슈우트(6)는 일체라도 좋고, 또한 부품 공급부(1)의 용기(10)는, 붙이고 때는 식의 케이스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부품 공급부(1)는, 1열로 나란힌 줄지게 할 뿐 아니고, 복수열로 배열할 수 있고, 그 높이나 수평위치의 조정 기구도, 나사기구 등으로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4도와 제5도는, 슈우트(6)가 상기와는 별도의 곡선을 그리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들 실시예에서는, 용기(10)로부터 부품 반출부(7)에 이르느 슈우트(6)의 일부에, 직선 부분(61)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의한 전자부품의 공급장치에서는, 전자부품(a),(a)…이 편평한 각형인 경우, 그것들이 슈우트(6)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직선 부분(61)에서 가장 안정된 자세, 요컨대 제6도에서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은 자세로부터, 평탄한 양면을 상하로 향하게 한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같은 자세로 된다.
이 때문에, 그것들이 어느것이나 일정한 자세로 정돈된다. 그리고 이 정렬부에 나란히 줄지은 전자부품(a),(a)…은, 뒤따르는 전자부품(a),(a)…에 밀리고, 차례로 그 자세대로 부품 반출부(7)쪽에 보내진다. 따라서, 부품 반출부(7)에서는, 이들 전자부품(a),(a)…을 일정한 자세로 하나에 추출할 수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이 직선 부분(61)이 부품 공급부(1)와 부품 반출부(7)와의 대략 중간에 수평에 가까운 구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5실시예에서는, 이 직선 부분(61)이 부품 반출부(7)에 다가선 쪽에 어느 정도의 구배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여기에서는 슈우트(6)가 파이프 형상의 것으로서, 그 한쪽 끝단이 부품 공급부(1)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붙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슈우트(6)의 위끝단이 나사식의 조인트(62)를 기초대(4)의 천정부재(42)에 나사끼움함으로써, 상기 공급 파이프(2)의 아래끝단에 줄지어 늘어선 것같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조인트(62)를 상기 천정부(42)에서 벗김으로써, 슈우트(6)를 부품 공급부(1)에서 벗길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슈우트(6)와 공급 파이프(2)를 별도로 하지 않고, 일체로 하여, 슈우트(6)의 위끝단부를 용기(10) 속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삽입하여도 좋다.
또한, 제8도와 제9도에서는, 슈우트(6)의 다른 끝단이 부품 반출부(7)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도록 붙여져 있다.
이들 도면에서 부품 반출부(7)는, 상기 슈우트(6)의 아래 끝단이 삽입되는 유지부재(73)를 가지며, 이 유지부재(73)는, 기초대(4) 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의 유지부재(73)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앞끝단부의 위 절반이 전자부품(a)의 1개분의 길이 보다 조금 긴 부분만큼 열려 있다.
유지부재(73)의 위 절반이 열린 부분의 위 가장자리와 아래 가장자리에서 각각 스톱퍼(74),(72)가 유지부재(73)의 중심을 향하여 뛰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73)의 내경은, 슈우트(6)의 외경과 동일하고, 그 속에 슈우트(6)가 어느정도 빡빡하게 끼워진다. 이 유지부재(73)에 끼워지는 슈우트(6)의 앞끝단쪽은, 역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끝단부의 위 절반이 전자부품(a)의 1개분의 길이보다 조금 길게 열려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우트(6)의 앞끝단부를 유지부재(73)의 속 깊숙히 끼웠을 때, 동 슈우트(6)의 앞끝단의 상,하 끝단면이 상기 스톱퍼(74),(72)에 부딪쳐서 정지되고, 그 위치에서 상기 윗면에 개구부가 서로 맞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거기서 선두의 전자부품(a)을 꺼내는 부품 꺼내기 끝단부(71)로 되고, 이 위에 전자부품(a)을 흡착하고, 윗쪽으로 꺼내기 위한 흡착 노즐(8)이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의 스톱퍼(72)는 슈우트(6)의 끝단면의 중앙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기립하고 있으며, 슈우트(6) 속의 선두의 부품(a)을 상기 부품 꺼내기 끝단부(71)에서 정지시키는 스톱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슈우트(6)를 부품 공급부(1)나 부품 반출부(7)에 간단히 붙이고, 혹은 뗄 수 있도록 하면, 공급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슈우트(6)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고, 각종 부품의 반송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느 것이나 용기(10)에서 부품 반출부(7)에 이르는 슈우트(6)가, 파이프로 되어 있었으나,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판체(67)에 형성된 홈을, 이 판체(67)에 겹쳐 맞춘 투명판(63)으로 막아서 형성되어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판(63)은, 그 통하는 구멍(65)에 끼운 나사(64)를, 판체(67)쪽의 나사구멍(66)에 나사맞춤함으로써, 판체(67)에 맞붙여져 있다.
제10도는, 이와같은 슈우트(6')의 위끝단쪽, 다시말해서 부품 공급부(1)쪽을, 제11도는, 슈우트(6')의 아래끝단쪽, 다시말해서 부품 반출부(7)쪽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서, 슈우트(6')가 판체(67)에 형성된 홈을, 이 판체(67)의 겹쳐 맞춘 투명판(63)으로 막어서 형성하면, 슈우트(6')로 될 홈 속의 전자부품(a),(a)…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만일 전자부품(a),(a)…이 슈우트(6') 속에서 꽉찼을때, 투명판(63)을 판체(67)에서 떼면, 용이하게 그 꽉찬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슈우트(6') 속에 먼지가 찼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슈우트(6')는, 판체(67)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정확한 궤적을 정밀도가 좋게 형성할 수 있고, 파이프처럼 궤적의 변동이 없다.
다음에, 제14도와 제1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여기서는, 부품 반출부(7)의 스톱퍼(72)의 직전의 부품 추출끝단부(71)의 중심축이, 그것보다 앞의 부품 통로의 연장성에 대하여 구부러져 있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부품 꺼내기 끝단부(71)의 도출된 선두의 전자부품(a)에 대한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의 중력은, 상기 선두의 전자부품(a)에 대하여 비스듬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선두의 전자부품(a)에 가하는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의 중력이 비스듬이 작용하여서 분산되고, 선두의 전자부품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과의 마찰력이 저감된다. 이에 의하여, 선두의 전자부품(a)을 꺼낼때에,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이 부품 통로에서 빠져나오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제14도는, 상기 부품 추출끝단부(71)를 그 앞의 부품 통로의 연장선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구부린 경우이다. 이 구부러진 각 θ은, 수평 방향으로 10~45°가 적당하다.
제15도는, 부품 추출끝단부(71)와 그 앞의 부품 통로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잡은 예이다. 여기서는, 슈우트(6)의 말단부의 중심축의 각도가 θ'는, 수직방향으로, 5~45°가 적당하다.
제16도와, 제17도에서는, 부품 추출끝단부(71)의 중심축이 그것부다 앞의 부품 통로의 중심축의 연장선에 대하여 벗어나 있다.
이들 경우도, 상기 제14도나 제15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서, 선두의 전자부품(a)에 걸리는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의 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선두의 전자부품과, 그것보다 앞의 전자부품(a)과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16도에서는, 부품 추출끝단부(71)와 그 앞의 부품 통로인 슈우트(6)의 말단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부품 추출끝단부(71)의 중심축과 그 앞의 슈우트(6)의 말단부의 중심축이 상하로 벗어나 있다.
제16도에서는, 그 벗어남의 양을 δ로 표시하고 있다. 제16도에서는, 슈우트(6)쪽보다 부품 추출끝단부(71)쪽이 높게 되어 있는데, 이것과는 반대로, 슈우트(6)쪽보다 부품 추출끝단부(71)쪽을 낮게 할 수도 있다.
제17도에서는, 부품 추출끝단부(71)의 중심축과, 그 앞의 부품 통로인 슈우트(6)의 말단부의 중심축을, 수평 방향으로 벗어나게 한 것이다.
이 벗어남의 양이 제17도에 있어서 δ'로 표시되고 있다.
다음에, 제18도와 제19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부품 추출끝단부(71)에 자석(91)을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면, 전자부품(a)이 니켈 등의 자성체로 된 전극을 가지는 것 같은, 자력의 영향을 받는 것에서는, 상기 자석(91)의 자력에 의하여 전자부품(a)이 눌려지고, 부품 추출끝단부(71)에서 전자부품(a)이 탈락하기 어렵다.
제18도는 부품 반출부(7)가 세로로 단면된 측면도이고, 제19도는 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자석(91)은, 부품 추출끝단부(71)의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0도와 제21도에도 같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스톱퍼(72) 그 자체가 자석으로 되어 있다. 이 스톱퍼(72)에서 정지된 칩형상 회로 부품(a)은, 그 한쪽의 단자쪽이 자석인 스톱퍼(72)에 흡착되고, 눌려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추출끝단부(71)에 약 5°혹은 그 이상의 구배가 형성되어, 스톱퍼(72)에 흡착된 말단의 칩형상 회로 부품(a)이 그 앞의 칩형상 회로 부품(a)보다 한단 높은 위치에서 흡착 노즐(8)에 흡착된다.
이와 같이, 스톱퍼(72)를 자석으로 하고, 또한 부품 추출끝단부(71)에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칩형상 회로 부품(a)의 흡착 노즐에서의 흡착 착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2도와 제23도에서는, 추출끝단부(71)의 앞에, 자석(91)을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자석(91)은, 탄성을 가지는 아암(92)의 앞끝단에 붙여져 있고, 이 아암(92)의 기초 끝단은, 기초대(4)에서 세워 설치된 붙임대(93)에 붙여져 있다.
이 아암(92)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동 아암(92)이 똑바로 뻗고, 그 앞끝단의 자석(91)은, 슈우트(6)의 위에서 벗어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착 노즐(8)이 부품 반출부(7)의 부품 추출끝단부(71) 위에 오면, 아암(92)이 이것에 눌려서 휘고, 그 앞끝단의 자석(91)이 꼭 슈우트(6)의 말단부 바로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흡착 노즐(8)이 제23도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면, 아암(92)이 스스로의 탄력으로 곧바로 복귀하고, 그 앞끝단의 자석(91)이 또 다시 슈우트(6)에서 벗어난다.
전자부품(a)의 양 끝단의 전극이 니켈 등의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이 자석(91)이 슈우트(6)의 말단부의 바로 위에 오면, 그 자력이 전자부품(a)에 미치고, 전자부품(a)이 슈우트(6) 속에서 움직이기 어렵게 눌려진다.
이 때문에, 슈우트(6) 속에 나란히 줄진 전자부품(a),(a)의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흡착 노즐(8)에서 선두의 전자부품(a)을 흡착, 유지하고, 추출끝단부(71)에서 추출할 수 있다.
또, 자석(91)이 슈우트(6)의 말단부 위에서 벗어나면, 전자부품(a)에 미치고 있던 자력이 해제되고, 전자부품(a)이 그들 중력으로 1개분만 추출끝단부(71)쪽으로 차례로 보내진다.
제24도와 제25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우터(51)의 구동에 의하여, 요오크 기구로 이루어진 가진기구(50)를 개재하여 상기 파이프형상의 슈우트(6)가 진동된다.
즉,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52)의 판면에서 튀어나와 형성된 돌기(55)가 상하 방향으로 긴 궤도를 가지는 슬라이더(56)에 끼워져 있다. 이 슬라이더(56)의양쪽으로부터는, 로드(57)가 돌출설치되고, 이 로드(57)는, 그들 긴쪽 방향으로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기초대(4)에서 돌출 설치된 브라켓트(58),(58)…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51)에 의한 캠(52)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더(56)와 로드(57)가 로드(57)의 긴쪽 방향으로 왕복한다.
로드(57)로부터는 아암(59),(59)…이 돌출 설치되고, 이 앞끝단에 상기 가요성의 파이프형상의 슈우트(6),(6)…가 끼워져 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모우터(51)의 회전에 의하여, 슈우트(6)가 왕복되고, 거기에 진동이 주어진다.
슈우트(6)를 가짐으로써, 슈우트(6) 내에서의 부품(a),(a)…의 정체나 가득참을 방지하고, 차례로 부품(a),(a)…을 부품 반출부(7)쪽으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부품의 중력을 이용하여 그 원활한 반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송된 부품을 하나씩 추출하여 목적의 위치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부품(a)를 벌크 형상으로 수용하는 용기(10)와, 이 용기(1)내로 상단이 돌출된 공급 파이프(2)와, 이 공급 파이프(2)와 상기 용기(10)를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가지는 부품 공급부(1)와, 일단측이 상기 공급 파이프(2)에 연결되어 부품(a)을 그 자체의 중력에 의해 활강시켜서 안내하는 슈우트(6)와, 상기 슈우트(6)의 타단측에 연결되고, 부품(a)을 상방으로 추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부품 추출끝단부(71)와, 이 부품 추출끝단부(71)에서 부품(a)을 정지시키는 스톱퍼(72),(74)를 가지는 부품 반출부(7)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6)의 앞 끝단의 상기 부품 반출부(7)가 거의 수평으로 이루어지고, 부품 반출부(7) 또는 그 보다 앞에 있는 부품 통로에, 자성체 부재를 가지는 부품(a)을 유지하는 자석(9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6)가, 그 일부에 직선부분(61)을 가지는 부품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추출끝단부(71)가 그것보다 앞의 부품 통로의 연장선에 대하여 가로로 벗어나 있는 부품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추출끝단부(71)가 그것보다 앞의 부품 통로의 연장선에 대하여 세로로 벗어나 있는 부품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출부(7)에, 상기 스톱퍼(72),(74)에 정지된 자성체 부재를 가지는 부품(a)을 유지하는 자석(91)이 설치되어 있는 부품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반출부(7)에, 스톱퍼(72),(74)에 정지된 부품(a)보다 앞에 있는 자성체 부재를 가지는 부품(a)을 유지하는 자석(91)이 설치되어 있는 부품 공급장치.
KR1019910008741A 1990-05-31 1991-05-28 부품 공급 장치 KR960005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57942U JPH0730572Y2 (ja) 1990-05-31 1990-05-31 電子部品供給装置
JP90-57942 1990-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539B1 true KR960005539B1 (ko) 1996-04-26

Family

ID=130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741A KR960005539B1 (ko) 1990-05-31 1991-05-28 부품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0730572Y2 (ko)
KR (1) KR960005539B1 (ko)
GB (1) GB2244482B (ko)
HK (1) HK44494A (ko)
IT (1) IT1250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16115U1 (de) * 1992-11-26 1993-03-25 Siemens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MD-Bauteilen aus einem Stangenmagazin zu einem Bestückautomaten
TW348933U (en) * 1992-12-10 1998-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hip component supply equipment
EP0817558B1 (en) * 1994-05-18 2002-08-28 Taiyo Yuden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chip parts and method for same
JP3663651B2 (ja) * 1994-06-15 2005-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3170172B2 (ja) * 1995-03-30 2001-05-2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チップ部品供給ケース
US5853079A (en) * 1994-11-24 1998-12-29 Tdk Corporation Chip feed apparatus and chip feed casing therefor
US5853108A (en) * 1995-08-21 1998-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rts feed apparatus and parts feed method
TW394496U (en) * 1996-10-31 2000-06-11 Taiyo Yuden Kk Chip component feeding apparatus
JP3539618B2 (ja) 1998-07-03 2004-07-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部品搬送装置
JP3520008B2 (ja) * 1999-12-24 2004-04-19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EP2862821B1 (en) * 2012-06-18 2018-07-18 Fuji Machine Mfg. Co., Ltd. Bulk feeder
CN105984713B (zh) * 2016-07-03 2018-11-16 徐州健源有机食品有限公司 一种圆柱形物料的给料装置的给料方法
CN105984714B (zh) * 2016-07-03 2018-11-16 徐州华阳饲料有限公司 一种圆柱形物料给料器的给料方法
CN110844499A (zh) * 2019-11-29 2020-02-28 韦子丽 一种间隔放料装置
CN111230437A (zh) * 2020-01-09 2020-06-05 上海森渺塑模有限公司 一种用于轴套环的辅助安装工具及轴套环的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7442A (en) * 1954-06-23 1959-01-14 Taymouth Ind Ltd A machine for feeding fasteners to a driving tool
GB1017071A (en) * 1961-05-19 1966-01-12 Fisher & Ludlow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delivery devices for delivering components to a station
JPS5791726U (ko) * 1980-11-27 1982-06-05
JPS6239927U (ko) * 1985-08-28 1987-03-10
JPH0753328B2 (ja) * 1986-03-07 1995-06-07 ソニー株式会社 ビス類の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44494A (en) 1994-05-13
ITMI911465A1 (it) 1992-11-29
GB2244482A (en) 1991-12-04
GB2244482B (en) 1994-01-26
GB9111329D0 (en) 1991-07-17
JPH0416726U (ko) 1992-02-12
JPH0730572Y2 (ja) 1995-07-12
IT1250454B (it) 1995-04-07
ITMI911465A0 (it) 199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539B1 (ko) 부품 공급 장치
US4473247A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100341290B1 (ko) 부품실장기
KR910009484B1 (ko) 프린트 배선판위의 칩형회로 요소의 자동설치 장치
JPS639400B2 (ko)
WO2016143597A1 (ja) 物品供給装置
US6966738B1 (en) Automatic feeder for carrier-supported contacts
US6152281A (en) Magnetic bulk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US5165837A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US5246328A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TW201527192A (zh) 導引組裝料件系統及其導引料件台
US4776743A (en) Lead-frame separating apparatus
US2950026A (en) Apparatus for handling annular elements
JPH0651029Y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77303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87677Y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100576587B1 (ko) 전자부품의 공급장치
KR0136537B1 (ko) 솔더볼 자동 이송장치
JP2512261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供給装置
US5067873A (en) Method of separating a component from a row of component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H0484971A (ja) 注射針用キャップ供給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87674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マウント装置
JP2817379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568008B2 (ja) キャップ給送装置
JPS61264792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