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01B1 -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01B1
KR960004701B1 KR1019920021184A KR920021184A KR960004701B1 KR 960004701 B1 KR960004701 B1 KR 960004701B1 KR 1019920021184 A KR1019920021184 A KR 1019920021184A KR 920021184 A KR920021184 A KR 920021184A KR 960004701 B1 KR960004701 B1 KR 960004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 wheel
braking force
degre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839A (ko
Inventor
다까오 모리따
쯔또무 마쯔까와
히로미찌 야스나가
다다오 다나까
아끼히꼬 도가시
야스따까 다니구찌
마사노리 다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히로까즈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6Change of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4Regulation during travel on 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e.g.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mu-split or between front and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or actuators with extern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6Curve braking control, e.g. turn control within ABS control algorith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륜제동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빗방울 센서의 개략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후륜의 제동력 분배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후륜제동력의 제어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온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하중보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횡가속도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륜제동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PCV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후륜제동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13도는 제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14도는 그 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 계통도.
제15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를 타나내는 개략 구성도.
제16도는 종래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배분을 나타내는 도면.
제17도 및 제18도는 배분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배분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1 : 브레이크 페달 12, 52 : 배력장치
13, 53 : 마스타 실린더
151, 152, 153, 154, 154, 551, 552, 553, 554: 휠 실린더
31 : 밸브 하우징 32 : 밸브실
35 : 밸브체 40 : 스프링
73 : 차속센서 74 : 압력센서
76 : 외부기온 센서 77 : 조타각 센서
81, 82 : 전극
본 발명은 전륜제동력과 후륜제동력의 분배를 제어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마스타 실린더에서 발생한 브레이크 액압(이하 마스타 실린더압이라 함)이 4륜의 휠 실린더에 전달되어 각 바퀴에 제동력이 생긴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을 크게 하면 각 바퀴에 발생하는 제동력이 크게 되기 때문에 차량의 감속도가 크게 된다. 차량의 감속도가 크게 되면 후륜 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 후륜의 접지성이 저하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감속도가 커지는 제동(고 G 제동)을 발생시키는 제동상황하에 있어서 마스타 실린더의 액압을 전륜과 후륜의 휠 실린더에 거의 동일한 배분으로 분배하여 전달하면 후륜의 접지성이 저하하고 있기 때문에 후륜이 먼저 로크되고, 차량의 제공 안정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이 적을때는 마스타 실린더압을 그대로 후륜의 휠 실린더에 전달하고 마스타 실린더압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후륜의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액압의 상승율을 낮게되도록 하여 차량의 조기 로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배분(proportioning) 밸브(PVC)를 브레이크 계통에 조립 부착한다.
이하 제15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5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제16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분배를 나타내는 도면, 제17도 및 제18도는 배분 밸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배분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5도는 전륜엔진 전륜구동(FF) 차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X 배관의 브레이크 장치를 표시하며 11은 브레이크 페달이다. 이 브레이크 페달(11)의 누르는 힘은 배력장치(12)를 거쳐 증폭된 후, 탠덤의 마스타 실린더(13)에 전달된다.
이 마스타 실린더(13)는 브레이크 페달(11)의 누름 양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2개의 액압 발생부(도시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액압 발생부는 배관(14)을 거쳐 좌측전륜의 휠 실린더(151)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관(14)의 도중부터 나누어진 배관(16), PCV(172)를 거쳐 우측후륜의 휠 실린더(154)에 접속된다.
또한, 다른 액압 발생부는 배관(18)을 거쳐 우측전륜의 휠 실린더(152)에 접속됨과 동시에 배관(18)의 도중부터 나누어진 배관(19) PCV(171)를 거쳐 좌측후륜의 휠 실린더(153)에 접속된다.
PCV(171,172)는 마스타 실린더(13)에서 발생한 액압을 설정압력까지는 그대로 전달하지만 설정압력부터는 후륜으로의 액압 상승율을 낮게하여 전륜제동력에 대한 후륜제동력의 관계에 꺽은선 특성을 갖도록 설치된 배분 밸브이다. 이 밸브 자체는 공지의 것이지만, 밸브의 액압 특성이 꺽은 선 특성을 갖는 개략 구조에 관하여 제17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7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31은 밸브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31)내에는 내주면의 일부가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밸브실(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실(32)은 큰 직경의 실린더실(33) 및 작은 직경의 실린더실(34)에 의해 구성된다. 실린더실(33)내에는 원통형상의 밸브체(35)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 밸브체(35)이 실린더실(34)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밸브체(35)의 원주면으로부터 그 축방향으로 향하여 그 중심축으로부터 측면으로 향하여, 작동유가 유통하는 구멍(h)이 뚫려있다.
게다가 이 밸브체(35)에 설치된 플런저(36)는 하우징(31)이 뚫려진 가이드구멍(37)내를 미끄러져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실(33)의 일측면에는 휠 실린더로 액압을 취출하는 출력구(38)가 형성되고, 실린더실(34)의 한 원주면에는 마스타 실린더(13)로부터의 액압을 취입하는 입력구(39)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실(34)에는 스프링(40)이 충진되어 있고, 이 스피링(40)의 일단은 밸브체(35)의 한면에 접촉하고 있고, 통상시에는 이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밸브체(35)가 출력구(38)측으로 눌려지며, 밸브체(35)의 주변부와 실린더실(34)의 단부와의 사이에 간격(A)이 형성되고, 밸브가 열려진 상태로 된다. 입력액압(Pi)은 간격(A), 구멍(h)을 거쳐 출력액압(Po)으로서 전달된다.
이 밸브체(35)의 출력구측의 수압면적을 So, 실린더실(34)측의 수압면적을 Si로 하고, 스프링(40)의 힘을 F, 입력액압을 Pi, 출력액압을 Po로 한 경우에 「Pi·Si+F」와 「Po·So」의 대소관계에 의해 밸브체(35)가 좌우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는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간격(A)이 열려져 있게 되므로, 입력액압(Pi)은 그대로 출력액압(Po)으로서 송출된다. 브레이크 페달(11)의 누름량에 응하여 출력액압(Po)은 상승한다.
이 출력액압(Po)이 상승하면 「Po·So」가 증대하기 때문에 입력액압(Pi)이 설정입력(Pi)을 경계로 「Pi·So」>「Pi·Si+F」로 된다. 이 때문에 밸브체(35)가 스프링(40)의 힘에 대항하여 실린더실(34)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35)의 측면단부에 의해 간격(A)이 폐쇄되어 출력액압(Po)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11)의 연속 누름에 응하여 입력액압(Pi)이 상승하고 「Po·So」<「Pi·Si+F」로 되면 제17도에 의한 간격(A)이 열려 입력액압(Pi)의 상승에 의하여 출력액압(Po)이 상승한다. 그리고 이 출력액압(Po)의 상승에 의해 후술하는 간격(A)이 폐쇄되고 출력액압(Po)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19도에 의한 설정압력(P1)부터는 입력액압(Pi)에 대하여 출력액압(Po)의 경사가 적게되도록 변화하고, 설정압력(P1) 이하에서는 출력액압(Po)이 완만히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설정압력(P1)의 크기 및 설정압력(P1) 이하에서는 입력액압(Pi)에 대한 출력액압(Po)의 경사는 스프링(40)의 힘(F), 수압면적(Si,So) 등의 기계적 정수에 의해 일반적으로 결정된다.
다음에 제16도를 참조하여 PCV(171,172)의 기계적 요건에 의해 설정된 차량의 설정제동력 배분과 이상제동력 배분과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4도에 있어서 A는 설정제동력 배분을 나타내는 꺽은 점을 갖는 설정제동력 배분직선이고, B는 차량의 제원에 의해 결정되는 이상제동력 배분을 나타내는 이상제동력 배분곡선이다.
여기에서, 이상제동력 배분은 제동시에 4륜 동시로크를 일으키도록 한 전후륜의 브레이크 배분을 의미하고 있다. 이 이상제동력 배분곡선(B)과 감속도 0.8G의 일점쇄선과의 교차점(P11)은 감속도 0.8G의 급제동으로 전륜 및 후륜이 동시에 로크하는 브레이크 제동력 배분을 나타낸다. 또, 이상제동력 배분곡선(B)과 감속도 0.4G의 일점쇄선과의 교차점(P12)은 감속도 0.4G의 제동으로 전륜 및 후륜이 동시에 로크되는 브레이크 배분을 나타낸다. 통상의 제동으로 발생하는 감속도는 0.2 내지 0.3G이다.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감속도 0.8G 혹은 0.4G의 직선상의 각 점에서는 감속도 0.8G 혹은 0.4G의 제동으로 필요한 총합제동력(전륜제동력과 후륜제동력의 합)이 동일하게 되고 있다.
또, 이 점쇄선으로 표시한 직선은 노면의 마찰계수 μ가 0.8 혹은 0.4인 상태에서 전륜 혹은 후륜이 로크하는 전륜 혹은 후륜의 제동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맑은날의 아스팔트 건조노면의 마찰계수는 μ는 약 0.8 정도이다.
P11점은 μ=0.8의 노면에 0.8G의 급제동을 행한 경우에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로크되는 전후륜의 이상제동 배분을 의미한다. 또한, P12점은 μ=0.4의 노면에 감속도 0.4G의 제공을 행한 경우에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로크되는 이상제동 배분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시에 전륜과 후륜이 동시에 로크되도록 이상제동력 배분곡선(B)이 존재할만도 하지만, 실제로는 후륜의 제동력이 이상제동력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후륜이 전륜보다 먼저 로크되어 있으면 제동안정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설정제동력은 직선(A)으로 표시되고 후륜제동력이 이상제동력 배분곡선(B)을 초월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제, 마찰계수 μ=0.4의 노면에 0.38G의 제동을 행한 경우에는 총합제동력이 0.38G의 직선과 설정제동력 직선(A)의 교차점(P13)에 의해 표시되는 제동력 배분이 되지만, 교차점(P15)에 있어서의 제동력 배분까지 후륜제동력을 올려도 후륜은 로크되지 않는다.
또한, 마찰계수 μ=0.8의 노면에 0.38G의 제동을 행한 경우에는 총합제동력이 0.38G의 직선과 μ=0.8의 직선의 교차점(P14)에서의 제동력 배분으로 표시된 후륜제동력까지 후륜제동력을 크게 올려도 후륜은 로크되지 않는다.
동일한 감속도의 제공을 행한 경우에도 노면상태에 따라서는 전륜제동력을 Bf만큼 감소시키고, 후륜제동력을 이상제동력 배분을 초월하여 Br 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설정제동력 직선(A)을 채용하고 있는 한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상태나 노면상태에 의하여는 후륜제동력에 여유가 있어도 그 양만큼 전륜제동력에 부담을 주어 총합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차량의 선회하는 때에 회전의 정도가 큰 경우에는 외륜측의 후륜제동력에 여유가 있다. 외륜측의 전륜제동력에 부담을 주어 총합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전륜제동력에 부담을 주면, 전륜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발열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계수가 급격히 저하하는 훼드 현상이나, 브레이크유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베이퍼 로크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불리하다. 또한, 제동시의 급강하(nose dive) 발생을 초래하여 제동 안정성을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과 유사한 사상이 개시된 공지예로서 특개평 1-257652호 공보(DE 3742173, FR 2624462, GB 2213543), 특개평 3-125657(GB 2236156, DE 3931853), 특개평 3-208760(DE 4029332, GB 2238092, FR 2654401)이 존재하고 있다.
이들 종래예는, 전자기 밸브에 의해 통상시는 배분 밸브의 작용을 무효화시켜 후륜으로의 제동력 배분을 높이고 전륜 브레이크 장치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며, 앤티 로크(anti lock) 장치가 고정인 때에만 배분 밸브의 작용이 유효하게 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들 종래예에 있어서는, 차량 선회시 제동력 배분까지는 배려하고 있지 않고 배분 밸브는 앤티로크장치의 고장시에 밖에 기능할 수 없고 배분 밸브의 기능을 유효하게 작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선회시에 제동력에 여유가 있는 외륜측의 후륜에 대한 제동력을 내륜측의 후륜에 대한 제동력 배분보다 크게하므로써 선회시에 제동력 안정성 및 제동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후륜제동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 제동시의 제동정도를 검출하는 제동정도 검출수단과 차량의 선회상태를 검출하는 선회상태 검출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배분 밸브와 배분 밸브의 작용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는 전자기 밸브를 좌우의 후륜에 설치하고, 제어수단이, 제동정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제동정도가 설정정도보다 약한 경우에는 배분 밸브의 작용을 무효로 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며 제동정도가 설정정도보다 크면 상기 배분 밸브의 작용이 유효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고, 선회성태 검출수단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선회시에는 차량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하여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제동정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동정도가 설정정도보다 약하고 후륜제동력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전자기 밸브의 작용에 의해 배분 밸브의 작용을 무효로 하여 전륜의 제동력 부담을 경감시키고, 제동정도가 상기 설정정도 이상으로 강하게 되고 후륜제동력에 여유가 없게 되면 배분 밸브의 작용이 유효하게 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용시켜 배분 밸브의 기능에 의해 후륜이 조기에 로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회상태 검출수단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선회시에는,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되도록 상기 설정정도가 보정되므로, 차량 선회시의 하중이동에 의해 로크 한계가 높게되는 선회 외륜측 배분 밸브의 작용이 선회 내륜측 배분 밸브의 작용보다 지연되고, 선회 내륜측 후륜의 조기 로크를 방지하면서 선회 외륜측 후륜의 배분을 크게하여 선회 외륜측 전륜의 제동력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배분 밸브에 의한 후륜의 조기 로크방지 효과를 유효활용하면서 전륜의 제동력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차량 선회시에도 대응한 것으로 되므로 선회시의 제동 안정성에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호한 장치에 의하면 차체에 작용하는 횡가속도를 검출하는 횡가속도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제어수단이,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를 상기 횡가속도에 따라 증대시키거나 선회내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를 상기 횡가속도에 따라 감소시키므로써 선회 내륜측 배분 밸브의 작동에 대한 선회 외륜측 배분 밸브의 작동의 지연을, 차량의 선회상태에 대하여 최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적합한 장치로서 선회상태 검출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속도를 검출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조타각속도가 설정정도 이상인 때에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되도록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므로써 응답성에 대한 우수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적합한 장치로서 제어장치는 차량의 선회시에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를 영(0)으로 하므로써 선회 내륜측의 배분 밸브를 확실히 작동시켜 선회 내륜측 후륜의 조기 로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른 적합한 장치로서 후륜의 로크한계의 높이에 영향을 주는 차량의 제동조건을 검출하는 제동조건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정도를 설정하고 차량 선회시에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므로써 통상 제동시에 있어서도 후륜의 조기 로크를 보다 확실히 방지하면서 제동력 배분을 효과적으로 크게할 수 있고, 차량의 선회시의 제어효과도 일층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이고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하여 전술한 효과와 동일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후륜 제동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빗방울 센서의 개략도, 제3도는 후륜의 제동력 배분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후륜의 제동력의 제어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외부기온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하중보정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횡가속도 보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8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51은 브레이크 페달이다. 이 브레이크 페달(51)을 누르는 힘은 배력장치(52)를 거쳐 증폭된 후 탠덤으 마스타 실린더(53)에 전달된다.
이 마스타 실린더(53)는 브레이크 페달(51)의 누름양에 따라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2개의 액압 발생부(도시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액압 발생부는 배관(54)을 거쳐 좌측전륜의 휠 실린더(551)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관(54)의 도중에서 나누어진 배관(56), PCV(572)를 거쳐 우측 후륜의 휠 실린더(554)에 접속된다.
또, 다른쪽 액압 발생부는 배관(58)을 거쳐 우측 전륜의 휠 실린더(552)에 접속되는 동시에 배관(58)의 도중에서 나누어진 배관(59), PCV(571)를 거쳐 좌측후륜의 휠 실린더(553)에 접속된다.
PCV(571,572)는 제동력이 적은 때는 마스타 실린더압을 그대로 후륜의 휠 실린더에 전달하고, 마스타 실린더압이 설정압 이상이면 후륜의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액압의 상승율을 하강시키도록 기능하는 배분 밸브이며, 그 구성은 제17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에 관하여는 생략한다.
배관(59)상에 있어서 PCV(571)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는 바이패스관(60)이 설치되고, 배관(56)상에 있어서 PCV(572)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는 바이패스관(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관(60,61)에는 각각 상시 개방의 전자개폐 밸브인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PCV 바이패스 밸브(62,63)의 개폐제어는 제어수단을 갖는 컨트롤러(71)에 의해 행해진다. 이 컨트롤러(71)는 마이크로 콤퓨터 및 그 주변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이 컨트롤러(71)에는 입력신호로서 브레이크 페달(51)이 눌려지면 ON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스위치(72), 차속(Vs)을 검출하는 차속센서(73), 브레이크 압력(P), 마스타 실린더(53)에서 출력되는 액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74)(본 실시예에는 2계통 배관의 한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양쪽에 설치되어도 좋다), 빗방울(강우) 상태를 검출하여 맑은날일 때에는 OFF 신호를 출력하는 빗방울 센서(75), 외부기온(T)을 검출하는 외부기온 센서(76),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Hθ)을 검출하는 조타각 센서(77), 각 좌석에 설치되어 사람이 승차했는가를 검출하는 승객검지 센서(78)로부터의 검지신호가 입력되고 있다. 조타각 센서(77)는 선회상태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2도는 참조하여 빗방울 센서(75)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81, 82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극이다. 한쪽 전극(81)으로부터는 촘촘한 형상의 전선(83)이 다른쪽 전극(82)방향으로 신장되어 설치되고, 다른쪽 전극(82)으로부터는 촘촘한 형상의 전선(84)이 인접하는 전선(83)의 사이를 통하여 한쪽 전극(81)방향으로 신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81,8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우량에 의해 단자(a,b) 사이가 단락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하므로서 강우상태를 검출하고 있다.
컨트롤러(71)는 제8도에 나타난 흐름도에 나타난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난 맵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71)는 입력센서(74)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설정압력(후술의 Pb혹은 Pc)으로 되면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닫는 제어를 행하여 PCV(571,572)의 밸브기능을 작용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는 브레이크 계통에 설치된 PCV(571,672)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관(60,61)에 상기 개방의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설치하고, 압력센서(74)로 검출한 브레이크 압력이 설정압력이내이면 마스타 실린더압을 그대로 후륜의 휠 실린더에 전달하고, 압력센서(74)로 검출한 브레이크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월하면,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 제어하여 PCV(571,572)의 기능을 발휘시킨다.
제3도의 사선으로 나타난 영역이 본 장치로 제어가능한 후륜제동력의 기본적 범위를 표시하고 있고, 이상제동력 배분곡선(B)에 나타난 제동력보다도 높은 제동력을 후륜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직선(a,b)으로 표시한 꺽음선(C)은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된 상태로 한 상태에서 제동력 배분을 나타내고 있다. 꺽음선(C)에 있어서의 직선(a)부분 구배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꺽음선(A)에 비하여 급하게 되어 있지만 전륜용 휠 실린더(551,552)에 대한 후륜용 휠 실린더(553,554)의 수압면적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크게(50:50 정도)하므로써 달성되고 있고, 또 꺽임점 및 꺽임점 이하의 특성은 PCV(571,572)의 설정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제4도에 제3도의 꺽음선(C)을 취출하여 나타낸다. 꺽음선(C)은 PCV(571,572)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PCV(571,572)의 입력액압이 P1으로 될때까지 직선(a)에 의해 출력액압이 결정되고, PCV(571,572)의 입력액압이 P1을 초월하면 직선(b)에 의해 출력액압이 결정된다.
한편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입력액압을 증가시키면 입력액압이 P1을 초월하여도 출력액압은 직선(a)의 연장선(점선으로표시)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증가하고, 예를 들어 입력액압이 P3에서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닫으면 입력액압이 증가하여도 PCV(571,572)의 작동에 의해 출력액압은 직선(b)과 교차하는 점(d)까지 유지되고, 점(d)보다 입력액압이 증가하면 출력액압은 직선(b)에 의해 결정된다.
출력액압이 유지되는 이유는 출력액압(Po)이 직선(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통상의 제어상태보다 높게 제18도에 나타나 있듯이 「Po·So」<「Pi·Si+F」로 되로 되어 간격(A)이 닫혀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제8도에 기초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개방 제어하고, PCV(571,572)의 기능을 발휘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이 실질적으로 주행하고 있는 가를 검출하기 위한 차속센서(73)로 검출한 차속이 3km/h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3km/h 이상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72)가 ON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1 내지 S13).
스텝 S13에 있어서 「YES」로 판정한 경우에는 압력센서(74)로 검출한 브레이크 압력, 빗방울 센서(75)의 출력, 외부기온 센서(76)로 검출한 외부기온(T)을 각각 컨트롤러(71)에 읽어 넣는다(스텝 S14 내지 S16).
그리고 제5도의 맵을 참조하여 외부기온(T)에 따른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닫는 바이패스 밸브 폐쇄압력(Pa)을 구한다. 제5도에 있어서 빗방울 센서(76)의 출력이 OFF(맑음)인 때에는 실선으로 표시한 맵을 참조하고, 빗방울 센서(75)의 출력이 ON(비)일때는 점선으로 나타낸 맵을 참조한다. 날씨가 맑은편이 도로의 미끄러짐이 적으므로 폐쇄압력(Pa)은 크게 설정되고 있다. 또 외부기온(T)이 낮으면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폐쇄압력(Pa)은 작게 설정하고 있다. 날씨가 맑은 경우에는 외부기온이 0℃와 5℃를 경계로 3단계로 폐쇄압력(Pa)이 절환되고, 비온 날씨의 경우네는 외부기온이 5℃를 경계로 2단계로 폐쇄압력이 절환된다. 이 때문에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울수록(로크한계가 낮을수록) 폐쇄압력(Pa)은 낮아진다. 폐쇄압력(Pa)의 최대치 40kg/cm2은 제3도에 있는 P10점의 브레이크 압력에 대응한 것으로서 설정되고 있다.
다음에 승객검지 센서(78)로 검지한 승객에 의한 중량 중가분을 추정하고, 제6도의 맵을 참조하여 중량계수(KB)를 구한다(스텝 S18). 중량 증가분을 하기와 같이하여 구한다. 각 좌석에 압전소자를 매설하여 놓고 승객이 있는 것을 이 소자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판정한다. 그리고 앞좌석에 승객이 앉은 경우에는 앞좌석에 앉은 승객의 체중의 몇%가 후륜에 하중으로 가해지는 것으로 산출하고, 뒷자석에 승객이 앉은 경우에는 뒷좌석에 앉은 경우에는 뒷자석에 앉은 승객의 체증의 몇%가 후륜에 하중으로 가해지는가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후륜에 대한 중량 증가분이 산출된다. 제6도의 맵을 보아도 명백하듯이 중량 증가분이 클수록 중량계수(KB)가 증가한다. 이것은 후륜 하중이 증가하면 할수록 후륜의 로크가 발생하기 어럽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스텝 S17에서 구한 폐쇄압력(Pa)에 제6도의 맵을 참조하여 구한 KB를 곱하므로써 후륜 하중으로 보정된 폐쇄압력(Pb)를 구하고 있다(스텝 S19). 이 때문에 후륜 하중이 크고 후륜의 로크가 발생하기 어려울수록(로크한계가 높을수록) 폐쇄압력(Pb)은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 조타각 센서(77)로 검출한 조타각(Hθ)을 콘트롤러(71)로 읽어들여 조타각(Hθ)이 60deg 이하로 있는가 판정한다(스텝 S20,S21). 그리고 조타각(Hθ)이 60deg 이하라면 압력센서(74)로 검출된 브레이크 압력(P)이 상기 폐쇄압력(Pb) 이상인지 아닌지 판정하고(스텝 S22), Pb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11 이하의 처리를 반복하고 Pb 이상의 경우에는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폐쇄 제어된다(스텝 S23).
한편, 스텝 S21의 판정에서 「NO」로 판정된 경우 즉 조타각(Hθ)이 60deg 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차속센서(73)로 검출한 차속(V) 및 조타각 센서(77)로 검출한 조타각(Hθ)으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횡가속도(GYB)가 산출된다(스텝 S24).
그리고 산출된 횡가속도(GYB)에 대응하는 보정계수(KG)를 제7도에 표시한 맵을 참보하여 구한다. 이 보정계수(KG)가 0.2g까지는 외륜측 및 내륜측에서 동일한 값이지만 횡가속도(GYB)가 0.2g 내지 0.6g까지에서는 외륜측이 증가하고 내륜측이 감소하며, 횡가속도(GYB)가 0.6g 이상에서는 0.6g에서의 보정계수(KG)가 유지된다. 이것은 선회정도가 급하게 되면 될수록 외륜측으로 하중이 이동하기 때문에 외륜측이 내륜측보다도 로크되기 어럽게 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스텝 S25).
그리고, 스텝 S19에서 산출된 폐쇄압력(Pb)에 보정계수(KG)를 곱하여 폐쇄압력(Pc)을 산출한다. 선회의 정도가 급하면 급할수록 로크한계가 높은 외륜의 폐쇄압력이 높게되어 로크한계가 낮은 내륜의 폐쇄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압력센서(74)로 검출한 브레이크 압력이 내륜의 폐쇄압력이 되면 PCV 바이패스 밸브(62,63)중 내륜측의 밸브가 폐쇄되고, 그후 상기 브레이크 압력이 외륜측의 폐쇄압력으로 되면 PCV 바이패스 밸브(62,63)중 외륜측의 밸브가 폐쇄된다(스텝 S26,S7). 선회시에 내륜측의 PCV 바이패스 밸브를 외륜측의 PCV 바이패스 밸브보다 빨리 폐쇄하므로써 선회시에 로크하기 쉬운 내륜측의 브레이크력의 상승을 억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륜제동력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10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11도는 PCV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9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실시예는 우선 외부기온(T)으로부터 PCV 바이패스 밸브(62,63)의 폐쇄압력을 구하고, 후륜하중, 선회상태에 의해 폐쇄압력을 보정하도록 한 것이지만, 제1실시예는 폐쇄압력을 예정 설정압력(P2)(제3도중 P10점에 대응하는 압력)으로서 미리 정하고 브레이크 압력(P)이 설정압력 이하이고 로크하기 쉬운 상태로 된 경우, 예를 들어 비가 온 경우는 브레이크 압력(P)이 설정압력(P2)보다 작아도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하여 PCV(571,572)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즉 이 제2실시예에서는 비온 경우에는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닫는 설정압력을 사실상 0(zero)까지 저하시켜 제어를 행하고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기초하여 제2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개방 제어하고, PCV(571,572)의 기능을 발휘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이 실질적으로 주행하고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차속센서(73)로 검출한 차속이 3km/h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3km/h 이상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스위치(72)가 ON 하고 있는가 판정한다(스텝 S31 내지 S38).
스텝 S33에 있어서 「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압력센서(74)로 검출한 브레이크 값(P)을 읽어들이고 그 압력(P)이 설정압력(P2)(예로 40kg/cm2)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34,S35). 이 스텝 S35의 판정이 「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 제어한다(스텝 S36). 이것에 의해 PCV(571,572)의 기능이 발휘된다. 입력액압이 P2 이상으로 되면, 출력액압은 제11도중 e점의 압력으로 유지되고 그후 입력액압이 f점의 압력 이상으로 되면 출력액압은 직선(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증가한다.
그런데 스텝 S35의 판정이 「NO」, 브레이크 압력(P)이 P2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빗방울 센서(75)의 출력을 컨트롤러(71)로 읽어들여 그 출력이 ON인가 판정한다(스텝 S37). 그리고 빗방울 센서(75)의 출력이 ON이라면, 비에 의해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워 후륜이 로크하기 쉬우므로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제어하고, PCV(571,572)의 기능이 발휘된다(스텝 S36). 이 경우는 제동초기부터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닫혀 PCV(571,572)가 가능하고 입력액압이 제11도중의 i점의 압력 이상으로 되면 직선(b)으로 표시되도록 출력액압의 증가가 완만하게 된다.
그런데 스텝 S37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외부기온 센서(76)로 검출한 외부기온(T)을 컨트롤러(71)로 읽어들여 외부기온(T)이 5℃ 이하에 있는 가 판정한다(스텝 S38,S39).
그리고 외부기온(T)이 5℃ 이하로 판정된 경우에는 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워 후륜이 로크하기 용이하므로 PCV 바이패스 밸브(62,63)를 폐쇄 제어하고, PCV(571,572)의 기능이 발휘된다(스텝 S36). 이 경우는 제동 초기부터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폐쇄되어 PCV(571,572)가 기능하고, 입력액압이 상승하여도 출력액압은 h점의 압력으로 유지되고 그후 입력액압이 제11도중 i점 이상으로 되면 직선(b)으로 표시하듯이 출력액압의 증가가 느슨해진다.
한편, 스텝 S39의 판정에서 「NO」로 판정된 경우에는 조타각 센서(77)로 검출한 조타각(Hθ)을 검출하고 조타각(Hθ)이 60deg 이상이라면, 차량이 선회하고 있는가 판정하고, PCV 바이패스 밸브(62,63)중의 선회내륜측의 밸브만 폐쇄 제어한다(스텝 S40-S42).
한편 스텝 S41에서 「NO」라 판정한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 속도(Hv)를 검출하고 그 조타각 속도(Hv)가 100deg/sec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PCV 바이패스 밸브(62,63)중의 선회 내측의 밸브만을 폐쇄 제어한다(스텝 S43,S44,S42).
이같이, 조타각(Hθ)이 60deg 이상인지 혹은 조타각 속도(Hv)가 100deg/sec 이상인 경우에는 차량이 선회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하중이동이 일어나는 외륜측이 PCV 바이패스 밸브를 내륜측의 PCV 바이패스 밸브보다 늦게 폐쇄하여, 외륜의 후륜측의 후륜제동력을 내륜측의 후륜제동력보다 크게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선회시에 브레이크 조작이 행하여져도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이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압력센서(74)를 바꾸어 제동정도 검출수단으로서 G센서(79)를 사용한 것이다. 이 G센서(79)는 차량의 감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컨트롤러(71)내에서는 제13도에 나타낸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처리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압력(P) 및 폐쇄압력(Pa,Pb,Pc)으로 바꾸어 G센서(79)로부터 검출되는 차체감속도(α) 및 컨트롤러(71)내에서 설정되는 폐감속도(αa,αb,αc)를 각각 적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처리내용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차체감속도(α)가 소정치(αb)에 달하면 PCV 바이패스 밸브(62,63)가 폐쇄 작동하여 배분 밸브(571,572)가 효과를 발휘하도록 되고, 차량의 선회시에는 PCV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 작동하여 배분 밸브가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는 차체의 감속도가 내륜측과 외륜측에서 다르게 되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 제3실시예에 표시한 차체 감속도의 이용은 상기와 동일 수법이고, 제2실시예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FR 차량에 사용되는 전후 배관에 적용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밸브 배치로서도 좋고, PCV 바이패스 밸브를 상시 폐쇄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 배분 밸브로서 다른 형식 또는 다른 특성을 지닌 것을 사용하기도 하고, 선회상태 검출수단으로서 횡가속도 센서나 차체 롤을 검출하는 수단을 사용하여도 좋고, 이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20)

  1. 마스타 실린더(53)의 발생액압을 좌우후륜의 휠 실린더(553,554)에 공급하는 유로(56,59)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타 실린더압의 상승정도에 대한 휠 실린더압의 상승정도가 적게되도록 상기 휠 실린더압을 제어하는 배분 밸브(571,572)와, 상기 배분 밸브의 작용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도록 유로에 설치된 전자기 밸브(62,63) 및, 상기 전자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1)을 구비한,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차량 제동시의 제동정도를 검출하는 제동정도 검출수단(74)과, 차량의 선회상태를 검출하는 선회상태 검출수단(77)을 구비하며, 상기 배분 밸브 및 전자기 밸브는 좌우의 후륜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동정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제동정도가 설정정도보다 약한 경우에는 배분 밸브의 작용을 무효로 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동정도가 설정정도 이상으로 강하게 되면 배분 밸브의 작용이 유효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회상태 검출수단의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선회시에는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 있어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상태 검출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조타각이 소정치 이상일때에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되도록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차체에 작용하는 횡가속도를 검출하는 횡가속도 검출수단(73,77,71)을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횡가속도가 소정치 이상일때에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를 상기 횡가속도에 응하여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를 상기 횡가속도에 응하여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가속도 검출수단은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73)과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조타각 검축수단(77) 및, 상기 차속과 조타각에 기초한 연산에 의해 횡가속도(GYB)를 구하는 연산수단(7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상태 검출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타각 속도가 소정치 이상일 때에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가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 선회시에 선회 내륜측 전자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만을 낮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 선회시에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수단은 제동조작 검출수단(72)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브레이크 페달 조작시에만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로크한계의 높이에 영향을 주는 차량의 제동조건을 검출하는 제동조건검출수단(75,76,77,78)을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제동조건에 기초하여 설정정도를 설정하고, 차량 선회시에 상기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조건 검출수단은 빗방울의 유무를 검출하는 빗방울 검출수단(75)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비가 올때 상기 설정정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조건 검출수단은 외부기온을 검출하는 외부기온 검출수단(76)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기온이 낮은 경우에 상기 설정정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조건 검출수단은 후륜의 하중을 검출하는 후륜 하중 검출수단(78)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후륜 하중이 큰 경우에 상기 설정정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정도 검출수단(74)은 마스타 실린더 압력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설정정도로서 설정압력을 사용하고, 상기 검출한 마스타 실린더 압력과 상기 설정압력의 비교에 의하여 전자기 밸브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정도 검출수단은 마스타 실린더와 배분 밸브 사이의 유로에서의 액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정도 검출수단은 차체에 발생하는 감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설정정도로서 설정 감속도를 사용하고, 상기 검출한 감속도와 설정 감속도의 비교에 의하여, 전자기 밸브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밸브는 배분 밸브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마스타 실린더 압력을 휠 실린더에 전달하는 유로(60,61)에 설치된 개폐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19. 마스타 실린터(53)의 발생 액압을 좌우후륜의 휠 실린더(553,554)에 공급하는 유로(56,59)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타 실린더압의 상승정도에 대한 휠 실린더압의 상승정도가 적어지도록 상기 휠 실린더압을 제어하는 배분 밸브(571,572)의 작용을 유효 또는 무효로 하기 위해 유로에 설치된 전자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제동시의 제동정도를 검출하는 제동정도 검출공정(S14)과, 차량 선회상태를 검출하는 선회상태 검출공정(S20,S24)과, 상기 제동정도 검출공정에 의해 검출한 제동전도가 설정정도보다 약한 경우에는 상기 배분 밸브의 작용을 무효로 하도록 상기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무효화공정(S22,S25,S11)과, 상기 제동정도가 설정정도 이상으로 강하게 되면 상기 배분 밸브의 작용을 유효로 하도록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유효화공정(S22,S26,S23,S27) 및, 상기 선회상태 검출공정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선회시에는 선회 외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를 선회 내륜측 전자기 밸브에서의 설정정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보정하는 선회 보정공정(S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로크한계의 높이에 영향을 주는 차량의 제동조건을 검출하는 제동조건 검출공정(S15,S16,S18)과, 상기 제동조건 검출공정에서 검출한 제동조건에 따라 로크한계가 높을수록 높은 설정정도를 설정하는 기준정도 설정공정(S17,S19)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선회 보정공정은 상기 기준정도 설정 공정에서 설정된 설정정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방법.
KR1019920021184A 1991-11-29 1992-11-12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60004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15655 1991-11-29
JP3315655A JP2668748B2 (ja) 1991-11-29 1991-11-29 後輪制動力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39A KR930009839A (ko) 1993-06-21
KR960004701B1 true KR960004701B1 (ko) 1996-04-12

Family

ID=1806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184A KR960004701B1 (ko) 1991-11-29 1992-11-12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32296A (ko)
EP (1) EP0545325B1 (ko)
JP (1) JP2668748B2 (ko)
KR (1) KR960004701B1 (ko)
DE (1) DE692097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7170C1 (de) * 1994-08-01 1995-10-12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Sicherstellung der Bremswirkung von Bremsen von Fahrzeugen bei Nässe
DE19515842A1 (de) * 1995-04-29 1996-10-31 Teves Gmbh Alfred Sollwertgeber
JP3708989B2 (ja) * 1995-05-16 2005-10-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旋回制御装置
DE19628973A1 (de) * 1996-07-18 1998-01-22 Teves Gmbh Alfre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Regelverhaltens eines Antiblockiersystems
DE19628979B4 (de) * 1996-07-18 2008-11-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Regelverhaltens eines ABS
KR100396529B1 (ko) * 2000-10-26 2003-09-02 윤철수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241233B2 (ja) * 2003-07-24 2009-03-1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制御システム
KR100507218B1 (ko) * 2003-10-01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제동력 분배장치
JP5692533B2 (ja) 2012-03-29 2015-04-01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EP3626553A1 (en) * 2018-09-18 2020-03-25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Brake performance optimiz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262B2 (ja) * 1976-12-20 1984-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
JPS5657549A (en) * 1979-10-12 1981-05-20 Akebono Brake Ind Co Ltd Controller for braking of car
JPS6137569A (ja) * 1984-07-31 1986-02-22 Nissan Motor Co Ltd ブレ−キ液圧制御装置
JPS6137568A (ja) * 1984-07-31 1986-02-22 Nissan Motor Co Ltd ブレ−キ液圧制御装置
DE3440541A1 (de) * 1984-11-07 1986-05-15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Elektronisch gesteuerter bremskraftverteiler
US4603921A (en) * 1985-06-06 1986-08-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Brake proportioning system
DE3702682C1 (en) * 1987-01-30 1988-06-09 Daimler Benz Ag Hydraulic dual circuit brake system
JP2540743B2 (ja) * 1987-10-08 1996-10-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ブレ―キ装置
GB2215796A (en) * 1988-02-09 1989-09-27 Fuji Heavy Ind Ltd Antilock brake control method for motor vehicles
DE3805589A1 (de) * 1988-02-23 1989-08-31 Lucas Ind P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msanlage fuer schwerfahrzeuge
WO1990011917A1 (en) * 1989-04-13 1990-10-18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Improvements in fluid pressure-operated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US4982999A (en) * 1989-09-29 1991-01-08 Allied-Signal Inc. Adaptive braking system default activated proportioning valve
JP2762711B2 (ja) * 1990-07-02 1998-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挙動補償装置
JP2623927B2 (ja) * 1990-07-05 1997-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旋回挙動制御装置
DE4033767A1 (de) * 1990-10-24 1992-04-30 Bosch Gmbh Robert Elektro-pneumatische bremsanlage
JP2679415B2 (ja) * 1990-12-21 1997-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力左右配分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9791D1 (de) 1996-05-15
KR930009839A (ko) 1993-06-21
EP0545325B1 (en) 1996-04-10
EP0545325A1 (en) 1993-06-09
JP2668748B2 (ja) 1997-10-27
DE69209791T2 (de) 1996-11-28
JPH05147514A (ja) 1993-06-15
US5332296A (en)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788B1 (ko) 차량의 후륜 제동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6206532A (ja) スキッドコントロール装置を有する液圧式自動車ブレーキ装置
KR960004701B1 (ko) 차량의 후륜제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960004702B1 (ko) 후륜 제동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50014784B1 (ko) 4륜 구동차용 미끄럼방지 브레이크 제어 방법
US4605263A (en) Antiskid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s
JPH1035462A (ja) 車両用加速スリップ制御装置
JPH09109855A (ja) 車輌の挙動制御装置
JP2591389B2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S62275870A (ja) 車両のスキツド制御装置
JP2668750B2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360797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2668749B2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S6019005Y2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KR100224027B1 (ko) 압축공기 브레이크장치
JPH05147516A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KR100976223B1 (ko) 브레이크 제어방법
JPH0611268Y2 (ja) ブレーキ装置
JPH05147519A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H0632220A (ja) 車両の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装置
KR19980025913A (ko) 대형차량의 바퀴잠금방지 및 미끄럼방지용 브레이크 시스템
JPH05147520A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H06263019A (ja) 後輪制動力制御装置
JPH10287225A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JPH06298060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