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02B1 -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02B1
KR960002402B1 KR1019920700030A KR920700030A KR960002402B1 KR 960002402 B1 KR960002402 B1 KR 960002402B1 KR 1019920700030 A KR1019920700030 A KR 1019920700030A KR 920700030 A KR920700030 A KR 920700030A KR 960002402 B1 KR960002402 B1 KR 96000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ielding means
continuous casting
feed nozzle
ga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242A (ko
Inventor
다쓰히또 마쓰시마
세이시로 사이따
마사유끼 이노우에
히로유끼 나까시마
쇼오고 마쓰무라
히로시 이와사끼
류우조 한자와
가쓰히꼬 가와모또
하루오 오오구로
유끼오 모리모또
도시히로 고스게
Original Assignee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176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8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740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5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392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941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54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1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33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74847A/ja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젠사꾸 filed Critical 신닛뽕 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horizontal casting
    • B22D11/047Means for joining tundish to moul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이 응용되는 일반적인 수평연속주조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2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3 및 4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5 및 6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A부 확대도.
제5도는 제5도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후단 몰드의 상세를 나타낸 정면도.
제7a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5 및 6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피드노즐로부터 후단 몰드까지의 종단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B부 확대도.
제8a도는 제7a도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8b도는 제8도에 C부 확대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따른 실시예에 의한 환상 가스켓 주위의 온도 분포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링 둘레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평연속주조에 있어, 주편의 기공 등의 주조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연속주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기타 금속의 빌렛(billet) 등의 연속 주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수평연속주조장치는 설비비, 설치면적 및 운전비가 수직연속주조 장치에 비하여 적게든다. 또 주편의 굽힘에 의한 응력발생이 없고, 주변 내압이 적으므로 벌징(bulging)의 발생도 적다. 특히, 소용량의 주조설비에서는 경계효율이 양호하다. 따라서, 근년에, 빌렛 등의 주조에 수평연속주조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수평연속주조 장치의 주요부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는 턴디슈(21)과 몰드(1)은 턴디슈 노즐(10), 슬라이딩노즐(12) 및 피드노즐(3)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턴디슈(21), 턴디슈 노즐(10), 슬라이딩노즐(12) 및 피드노즐(3)은 각각 지르콘질이나 알루미나질의 통상의 내화물로 만들어져 있다. 몰드(1)은 전단몰드(23) 및 후단몰드(24)로써 되며, 냉각수 W에 의하여 냉각된다. 전단몰드(23)은 동으로 제조되며, 입구측에는 브레이크링이 장착되고 있다. 브레이크링은 질화붕소, 질화규소 등의 내열성 세라믹스로 만들어져 있다. 후단몰드(24)는 흑연으로 만들어진다. 장치에 따라서는 상기 슬라이딩 노즐(12)를 갖고 있지 않은 것도 있다.
몰드(1)내에 공급된 용량 M은 몰드 내주면에 의하여서 냉각되어, 응고쉘 S을 형성한다. 응고쉘S은 브레이크링(2)에 의하여 단면내에서 균등하게 생성되기 시작한다. 브레이크링(2)는, 응고쉘 S가 역방향으로 즉 피드노즐(3)측으로 성장함을 방지한다. 용탕 M이 응고하여 형성된 주편 C는 몰드(1)의 출구측으로부터 핀치로울 등의 인발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인발된다. 주편을 간헐적으로 인발하면, 브레이크링(2)와 응고쉘 S의 단과의 사이에 공극이 생겨 그 공극에 새로이 용탕 M이 유입되어 새로운 응고쉘 S이 생성한다.
상기 공극은 부압(negative pressure)상태로 되어 있어, 슬라이딩노즐(12)와 피드노즐(3) 및 피드노즐(3)과 브레이크링(2)는 단면에는 접합하며, 또 전단몰드(23)과 브레이크링(2)는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을 뿐이므로, 이들의 접합면의 사이로부터 공극내에 공기가 침입한다. 침입한 공기는 용탕 M내에 침입되어, 주편 내부 또는 표면에 잔존하여서 기공 등의 주조 결함의 원인으로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개소 56-74256호 공보 동 특개서 59-66959호 공보에서 개시된 수평연속주조 장치가 있다.
일본 특개소 58-74256호 공보의 수평연속주조 장치는 쇳물 바가지와 그 밑에 배치된 턴디슈를 갖고, 쇳물 바가자의 저면과 턴디슈의 상면의 사이에 시일부재(seal member)로 둘러싸인 밀폐실이 형성되어 있다. 몰드는 노즐과 함께 턴디슈와 일체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실내에 불활성 가스가 공급된다. 이 장치에서는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턴디슈, 노즐, 몰드 등에의 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일본 특개소 58-66959호 공보의 수평연속주조 장치는 노즐 및 노즐과 몰드의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밀폐 덮개부를 갖는 장치, 및 노즐과 경계면을 덮어서 가스시일(gas seal)하기 위한 불활성 가스 주입장치를 갖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노즐과 몰드의 입구 부근에 있어, 주입된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고온의 용융금속이 대기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노즐, 브레이크링 또는 몰드의 교환,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을 가동, 타방을 고정으로한 수평 연속 주조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서는 가동측이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하여 전진 구동되어서 고정축에 접속된다.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53-88630호 공보에서 개시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서는 턴디슈를 탑재한 대차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전진구동되어서, 턴디슈 노즐이 노즐을 통하여 몰드에 접속된다. 또, 일본 특개소 58-168457호 공보에 개시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서는 반대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전진구동되어서 몰드가 노즐을 통해서 턴디슈에 접속된다.
상기 종래의 수평연속주조장치는 모두 몰드 입구 부근의 시일(seal)은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몰드내에 공기가 침입하여 주조결함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몰드 입구 부근의 시일 장치를 갖는 전기 종래의 수평연속주조장치에서는 턴디슈 또는 용강류와 노즐 및 몰드가 일체로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장치는 서로 고정된 접합부를 시일링(sealing)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일장치를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이 가동으로된 주조장치에 적용하고자하면 턴디슈와 몰드의 접속때마다 시일장치를 주조장치에 결합하지 않으면 안되어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
또, 상기 종래의 불활성가스에 의한 시일링 방법 또는 장치는 몰드가 하나의 블록으로써 되어 있는 연속주조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전단몰드와 후단몰드로써된 몰드의 경우의 몰드 사이의 시일링에 대하여는 아무런 시사도 없다.
또,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 관상연장부(슬리이브)가 후단 몰드라고 하면, 상기 종래 기술은 관상연장부를 덮는 금속관을 필요로 한다. 이 결과,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주편은 냉각관에 의하여 직접 수냉되지 않으므로 냉각효율이 낮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수평연속주조에 있어서, 몰드입구 부근의 가스(공기등) 나아가서는 몰드 접속부의 가스(공기등)의 몰드내의 침입을 방지하여, 주편의 기공 등의 주조결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및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이 가동으로되는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 턴디슈와 몰드의 접속과 동시에 몰드 입구측을 시일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 몰드의 냉각을 방해하지 않고, 간단히 구조의 몰드 접속부를 시일링하여 감압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피드노즐과 몰드가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 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여,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피드노즐과 몰드가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이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하여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링 주위로부터 몰드내의 가스의 침입을 방지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턴디슈와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이 가동이며,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축이 전진구동되어서 턴디슈와 몰드가 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연설된 수평 연속주조장치에 있어, 전기 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하여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전기차폐수단이 환상의 주벽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가스켓으로서되며, 이 주벽 및 이 환상 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측에, 타방이 고정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링 주위 및 피드노즐 주위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복수의 몰드가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복수의 몰드의 후단몰드와 전단몰드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복수의 몰드가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와 후단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 흡인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전단몰드와 후단모드의 사이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턴디슈와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펴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합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이 가동이며, 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측이 전진구동되어서 턴디슈와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연결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와,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 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하여 형성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전기 차폐수단이 환상의 주벽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가스켓으로써 되고, 이 주벽 및 이 환상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축에, 타방이 고정축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링 주위 및 피드노즐 주위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이 보다 한층 더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턴디슈와 복수의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와 후단몰드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턴디슈와 복수의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 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와,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와 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링주위, 및 피드노즐주위, 나아가서는 전단몰드와 후단몰드와의 사이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방법은, 턴디슈와 복수의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와 후단 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턴디슈 및 몰드중의 일방이 가동이고, 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축이 전진구동되어서 턴디슈의 몰드가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을 통해서 연결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와,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와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 몰드와 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전기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 수단이 환상의 주벽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 가스켓으로써 되며, 이 주벽 및 이 환상 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축에 타방이 고정축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브레이크링 주위, 및 피드노즐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을 보다 한층더 방지함과 동시에 전단 몰드와 후단 몰드와의 사이로부터 몰드내에의 가스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피드 노즐의 외주에 냉각링이 장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링과 몰드와의 사이에 환상 가스켓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차폐수단의 열적 노화가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속주조장치는 피드노즐에 시일재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피드노즐 내부의 통기를 차단하여 감압효과를 높인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2에 따라 제조한 150mm의 사각 단면형상을 갖고, 길이
6m의 주편의 표면을 깊이 1mm 절삭하여 표면에 나타난 기포의 갯수로 본 발명의 효과를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상기 형상의 주편의 표면 1면당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을 감압하지 않았던 경우, 200 1000개 나타났던 기포수가, 본 발명의 실시예1을 실시한 주편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확인된 기포수는 10개 이하로 억제됨이 판명되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2를 실시한 주편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확인된 기포는 거의 없음이 판명되었다. 이에 따라서, 압연후의 제품 표면에 나타난 결함도 극히 감소하여, 본 발명이 보다 고품질의 주편 제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청구항3 및 4에 의하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는 감압되어 있으며, 차폐수단내의 공기가 몰드내에 침입하는 일은 없으므로 주편에 기공 등의 주조결합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주편품질 및 수율이 향상되며, 또 결함 제거작업으 생략을 기할 수가 있다.
또 턴디슈에 몰드를 접속하면, 주벽의 선단이 환상 가스켓에 접해서 차폐수단내의 기밀(air-tightness)이 자동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몰드 입구측을 시일링하기 위한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장치의 구조는 간단하여 기존의 설비에도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 및 6에 의하면 전단 몰드와 후단 몰드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주편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환상 가스켓의 내측은 감압되어 있다. 그러므로 환상 가스켓 내측의 공기가 몰드 내주면과 응고쉘과의 공극에 침입하여 주편에 기공 등의 주조 결함을 일으키는 일이 억제된다. 또, 몰드 접속부 시일장치는 간단하여, 기존의 설비에도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의하면, 환상가스켓 및 그 주위를 중공냉각링에 의하여 냉각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환상 가스켓은 내열온도 이하로 유지되어 열에 의하여 약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몰드와 브레이크링의 접합부의 기밀이 유지되어 접합부로부터 몰드내에의 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로써, 기포등의 주조결함이 방지되므로, 주편물질 및 수율이 향상하며, 또 결함 제거작업의 생략을 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의하면 피드노즐의 턴디슈측 단면, 외주면 및 몰드측 단면등의 외기(ambient air)가 통과하는 면이 스테인레스강 박(foil) 등의 시일재로 덮어 있으므로 노출 본체의 기포를 통하여 외기가 피드노즐의 내측에 또는 몰드내로 흡입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용탕의 산화, 또는 기공 등의 주조결함이 방지되어 주편 품질 및 수율이 향상되며, 또 결함 제거작업의 생략을 기할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상세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면에 있어서, 몰드(1)과 피드 노즐(3)이 브레이크 링(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몰드(1)와 피드노즐(2)의 사이를 시일링하도록 차폐수단으로서의 환상가스켓(7)이 장착되어 있으며, 환상가스켓(7)에 의하여 브레이크링(2)의 외주의 공극부(6)가 시일링되어 있다. 몰드(1)에는 가스흡인공(9)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흡인공(9)의 일단은 공극부(6)에 연결되며, 타단은 가스흡인장치로서의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 주입시에는 요탕(M)은 턴디슈 노즐(10) 등의 용탕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어, 몰드(1)내로 유입한다. 몰드(1) 내로 유입한 용탕(M)은 몰드(1)에 접하면 냉각되어 응고 쉘(S)을 형성한다. 응고쉘(S)은 핀치 로울 등의 주편인발장치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인발된다.
그 결과, 3중점 근방부(5)에 공극을 일으켜, 그곳에 새로운 용탕(M)이 유입하여 몰드(1)에서 냉각되어 새로운 쉘을 생성함으로써 주조가 계속된다.
여기서, 몰드(1)는 열전도가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브레이크링(2)은 비교적 열전도가 나쁜 내화물등으로 만들어짐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양자의 열팽창 특성의 차이로 인하여 주조시에 몰드(1)와 브레이크링(2)과의 사이에 틈이 생긴다. 또, 브레이크링(2)의 가공 정밀도 등에 의해서도 틈이 생길때가 있다. 통상은 용탕(M)의 탕면은 몰드(1) 보다 상방에 있으므로 용탕(M)의 압력은 대기압보다도 높으며, 따라서 외부로부터 가스가 용탕(M)내로 침입하는 일은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간헐적 인발의 경우, 3중점 근방부(5)를 응고쉘(S)의 선단부가 떨어질 때, 응고쉘(S)가 브레이크링(2)로부터 박리되므로 3중점 근방부(5)에는 진공에 가까운 부압이 순간적으로 발생한다. 이때,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과 3중점 근방부(5)와의 사이에서 압력이 생겨서, 공극부(6)의 가스가 몰드(1)과 브레이크링(2)의 접합면의 틈을 통해서 3중점 근방부(5)로 침입하여 주편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및 2에서는 주조중에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을 감압한다. 그러므로 응고쉘(S)의 인발에 의하여 3중점 근방부(5)에 부압이 발생하였을대 기포침입의 구동력이되는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과 3중점부(5)의 압력차가 거의 없다. 따라서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으로부터 가스가 침입하는 일은 없으므로 주편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피드노즐(3)은 통기성이 양호한 재료로 만들 경우, 효율적으로 공극부(6)을 감압할 수 없다. 이 경우, 피드노즐(3)의 공극부(6)측의 면에 금속판(11)을 부착함으로써 보다 감압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 그리고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의 압력은 기포 침입방지를 위해서는 0Torr에 가까운편이 효과적임은 더말할나위 없으나 그보다도 높은 압력이라도 어느정도 대기압보다 감압함으로써 기포 저감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3중점 근방부(5)에 진공에 가까운 부압이 순간적으로 발생하였을때, 몰드(1)과 브레이크링(2)의 사이의 틈으로 부터 가스가 침입하는데 이 직후에 3중점 근방부(5)의 압력은 용강 헤드에 의하여 대기압보다도 높은 압력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이때 용탕(M)은 몰드(1)과 브레이크링(2)의 틈으로부터 브레이크링 외측의 공극부(6) 안으로 유입하는 경항이 있다. 그러나, 몰드(1)과 브레이크링(2)의 틈에 유입된 용탕(M)은 대단히 얇으므로 몰드(1)에 의하여 곧 냉각되어서 응고하므로 몰드(1)과 브레이크링(2)의 틈으로부터 용탕(M)이 누출하는 일은 거의 일어날 수 없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3 및 4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빌렛을 수평연속주조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라이딩 노들(12)의 프레임(13)의 전단면에 강판제의 주벽(14)이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 노즐(12)의 프레임(13)에 상대한 몰드(1)의 프레임(15)에 강판제의 환상 2중벽(16)이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차폐수단으로서의 환상가스켓(7)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2중벽(16)에는 예를들면 카오울(kaowool)로된 충전재(17)가 삽입되어 있다.
또, 주벽(14)에는 직각으로 가스흡인관(18)이 관통하여 가스흡인공(9)이 공극부(6)로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스흡인관(18)에는 유량조정밸브(19)를 통해서 가스흡인장치(20)가 접속되어 있다. 가스흡인장치(20)에 의하여 공극부(6) 내의 압력은 50Torr 이하로 감압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노즐(12)은 턴디슈(21)에 고정되어 있다. 또, 피드노즐(3)은 금속 호울더(22)에 의하여 몰드(1)측에 고정되어 있다.
턴디슈 노즐(10), 슬라이딩노즐(12), 피드노즐(3) 등 복수의 노즐을 갖는 주조장치는 이들 모든 노즐을 차폐수단으로 둘러싸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부의 노즐을 둘러싸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적어도 브레이크링에 접하는 노즐(예를들면 피드노즐)은 둘러싸도록 한다.
주벽(14)는 강판등 금속판으로 만든다. 주벽(14)의 높이는 턴디슈(21)에 몰드(1)를 접속한때 주벽(14)의 선단이 환상가스켓(7)에 접해서 차폐수단(7)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치수로 한다.
주벽(14) 및 환상가스켓(7)은 가동측 또는 고정측에 장착되는데 예를들면 턴디슈(21)의 철피, 슬라이딩 노즐의 프레임(13), 몰드의 프레임(15) 등에 장착된다.
환상가스켓(7)의 충전재(17)는 카오울, 실리콘 고무등 비교적 유연하고,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가스켓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벽(14)의 전단과 환상 가스켓(7)은 상대적으로 진퇴하므로, 시일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환상가스켓(7)의 두께는 예를들면 20∼30㎜ 정도로 두껍게 함이 바람직하다. 환상가스켓(7)을 가동측 또는 고정측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프레임(13, 15) 등에 가스켓 홈을 형성한다.
환상 가스켓으로서는 제3도의 예이외에 0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차폐수단의 내측을 감압했을때 차폐수단 내측의 압력은 50Torr 이하로 감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턴디슈(21)가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앞으로 움직이게 되며, 슬라이딩 노즐(12) 및 피드노즐(3)을 통해서 몰드(1)에 연결된다. 또, 주벽(14)의 전단이 환상 가스켓(7)에 맞닿아 환상 가스켓(7)의 내측의 기밀이 유지된다.
가스흡인장치(20)에 의하여 환상 가스켓(7) 내측의 공극부(6)의 가스를 흡인하면, 공극부(6)내의 가스의 브레이크링(2), 피드노즐(3) 또는 몰드(1)의 내측에 침입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침입가스에 의하여 주편에 기공 등의 주조결함이 발생함을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는 차폐수단(환상가스켓(7))에 의하여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의 외주를 둘러싼 것이었으나 슬라이딘 노즐(12),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주벽(14)을 턴디슈(21)의 철피에 장착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벽(14)을 슬라이딩 노즐의 프레임(13)에 장착하고 있으나, 몰드의 프레임(15)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환상 가스켓(7)은 슬라이딩 노즐의 프레임(13)에 장착한다.
또, 턴디슈(2)와 복수의 몰드가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의 몰드의 프레임에 주벽(14) 또는 환상 가스켓(7)을 장착한다.
표 1에 SUS 303 스테인레스강 빌렛(한변이 150㎜인 정사각 단면형상)의 수평연속주조에 있어서, 제3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환상가스켓의 내측을 감압한 본 발명예 및 감압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표 1]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5 및 6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빌렛을 수평연속주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리콘고무제의 환상가스켓(7)이 주편(C)를 둘러싸도록 하여 전단몰드(23)의 프레임(15)과 후단몰드(24)의 사이의 틈(g)에 삽입되어, 프레임(15)과 후단몰드(24)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몰드(24)는 흑연판(25)을 유지하는 4개의 주벽블럭(26) 및 인접하는 주벽블럭(26)의 사이에 배치된 코너블럭(2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벽블럭(26) 및 코너블럭(27)은 각각 동 및 강재로서, 냉각수 유로(2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코너블럭(27)에는 냉각수 유로(28)에 직각으로 가스흡인공(9)이 관통해 있다. 가스흡인공(9)은 4개의 코너부에 각각 형성되며, 유로면적은 보다 감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한 크게하는 편이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그 유로면적은 합하여 200㎟로 하였다. 가스흡인공(9)에는 가스흡인관(18)을 통해서 가스흡인장치(20)가 접속되어 있다.
주벽블럭(269) 및 코너블럭(27)의 접합부는 제5도에 나타낸 실리콘 시일재(29)를 사용하여 완전히 시일링되어 있다. 공극부(6)는 응고쉘(S)과 흑연판(25)의 사이의 틈을 통해서 몰드 출구측단(도시하지 않음)의 외부와 연통해 있으므로, 흡인시에 이 틈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량에 비하여 흡인능력이 대단히 크므로 공극부(6)는 200Torr 이하로 감압된다. 그러므로 응고쉘(S)과 전단몰드(23)의 사이의 공극부(6)에 존재하는 공기는 대단히 희박하게 되어 기공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5 및 6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테인레스강재의 환상가스켓(7)이 주편(C)를 둘러싸도록 해서 전단몰드(23)과 후단몰드(24)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몰드(23), (24)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환상가스켓(7)의 내주면에는 전체 내주면에 걸쳐서 슬릿(3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의 4코어에는 각각 흡인공(9)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가스흡인관(18)이 접속되어 있다.
슬릿(30) 및 가스흡인공(9)의 유료 면적은 제1의 실시예와 같이 200㎟로 하였다. 제1의 실시예와 같이 공극부(6)는 응고쉘(S)과 흑연판(25)의 사이의 틈을 통해서 몰드 출구측단(도시하지 않음)의 외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인시에 이틈으로부터 공기가 유입한다.
그러나 유입량에 비하여 흡인능력이 대단히 크므로 공극부(6)는 200Torr 이하로 감압된다. 그러므로 응고쉘(S)과 전단몰드(23)의 사이의 공극부(6)에 존재하는 공기는 대단히 희박해져서 기공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단몰드(23)과 후단의 몰드(24)의 사이에 차폐수단으로서 환상가스켓(7)을 형성하였는데, 후단몰드(24)에 연속하여 다른 몰드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들 몰드의 사이에 차례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적당한 탄성 및 내열성을 갖는 통상의 재료(예를들면 실리콘 고무재의 O링)을 환상 가스켓(7)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스흡인장치에 의한 감압효과를 가급적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조립형 몰드의 접촉면과 같은, 외부로 이어지는 가스흡인장치의 모든 부분을 시일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대책을 실시할때, 환상가스켓의 내측의 압력은 진공에 가까울수록 좋은데 적어도 200Torr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표 2에 SUS 304 스테인레스강 빌렛(한변이 150㎜인 정사각형 단면)의 수평연속주조에 있어서, 제4도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차폐수단(환상 가스켓)의 내측을 감압한 본 발명에 및 차폐수단의 내측을 감압하지 않거나 또는 감압하였는데 진공도가 낮았던 비교예를 나타낸다.
[표 2]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드노즐(3)의 외주에 철제의 냉각링(31)이 끼워져, 시멘트재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냉각링(31)의 내부는 격벽(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냉각링(31)은 환상가스켓(7) 및 그 주위의 냉각효를 높이는데, 폭이 넓은 면(31a)이 몰드(1)의 측벽(32)에 상대해 있다. 냉각링(31)의 배면은 피드노즐 금속 호울더(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냉각링(31)에는 냉각공기공급관(33) 및 냉각공기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냉각공기공극판(33)에는 압축기, 냉각기, 제습기 등에 의하여 구성된 냉각장치(34)가 접속되어 있다. 냉각공기공급관(33)으로부터 냉각링(31)에 공급된 냉각공기는 냉각링(31)내를 거의 일주하여 이를 냉각하여, 냉각공기 배출관(도시하지 않음)을 경유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몰드(1)의 측벽(32)에 환상가스켓(7)의 위치결정을 위한 얕은 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환상가스켓(7)이 삽입된다. 몰드(1)를 탄디슈(21)에 접속할때 환상가스켓(7)은 몰드(1)의 측벽(32)과 냉각링(31)의 전면(31a)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소요의 시일면압(seal surface pressure)이 발생된다.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의 환상가스켓(7)의 주위의 온도분포를 나타낸다. 냉각링의 온도는 실측치이며, 몰드의 온도는 계산치이다. O링 근방의 최고온도는 200℃ 전후로서, 실리콘 고무재의 환상가스켓이 견딜 수 있는 270℃ 보다 충분히 낮은 온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청구항 13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가 제1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냉각링의 단면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냉각링(31)의 단면형상은 L자형을 하고 있으며, 넓은 폭의 면(31a)이 몰드(1)의 측벽(32)에 상대해 있다. 냉각링(31)의 외주(31b)에 환상가스켓 위치결정을 위한 얕은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환상가스켓(7)이 끼워진다. 환상가스켓(7)의 외주측은 몰드 호울더(36)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몰드 호울더(36)는 몰드(1)를 프레임(15)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환상가스켓(7,7)에 의하여 시일링되므로 높은 기밀성이 얻어진다.
제12도∼제14도는 본 발명이 청구항 14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드노즐(3)은 금속 호울더(22)에 의하여 몰드(1)의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있다. 피드노즐(3)은 턴디슈 측단면(3a)이 슬라이딩 노즐(12)의 단면에 또 몰드측단면(3c)이 브레이크링(2)의 단면에 접해있다. 브레이크링(2)은 피드노즐(3)과 몰드(1)의 입구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브레이크링(2)과 몰드(1)와의 접합부로부터의 공기침입을 막기 위하여, 피드노즐(3)의 몰드측단면(3c)와 몰드(1)의 단면사이에 실리콘고무재의 환상가스켓(7)이 장착되어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피드노즐(3)의 턴디슈 측단면(3a), 외주면(3b) 및 몰드측단면(3c) 중 환상가스켓(7)보다도 외측의 단면에 스테인레스강박(37)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스테인레스강박(37)의 두께는 50㎛이다.
상기와 같이 피드노즐(3)의 외기가 통과하는 면에 스테인레스강박(37)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피드노즐(3)의 노즐 본체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가 피드노즐(3)의 내측에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 환상가스켓(7)과 몰드(1)의 접합부를 통해서 몰드(1)내에 공기가 침입하는 일도 없다.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피드노즐(3)의 몰드측 단면(3c)중 환상가스켓(7) 보다도 내측의 단면이 환상의 스테인레그강박(37)으로 덮여 있다. 또, 스테인레스강박(37)으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한 환상가스켓(7)의 과열을 막기 위하여 환상의 스테인스강박(37)의 외경은 환상가스켓(7)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슬라이딩 노즐(12)과 피드노즐(3)의 턴디슈 측단면(3a)의 사이의 기밀성이 높으며, 또 노즐 본체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외주면(3b)로부터의 외기의 침입이 적은 경우에 사용된다. 환상의 스테인레스강박(37)은 노즐 본체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부분으로부터 공극부(6) 내로 외기가 침입함을 막는다.
제1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피드노즐(3)의 턴디슈 측단면(3a), 외주면(3b) 및 몰드측단면(3c)이 스테인레스강박(37)으로 덮여있다.
이 실시예는 피드노즐(3)의 노즐본체의 통기성이 높고, 또 환상가스켓(7)이 그 내열성을 넘는 온도로 높이지 않을때 사용된다.

Claims (20)

  1. 피드노즐(3)과 몰드(1)가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 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7)을 형성하고,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2. 피드노즐(3)과 몰드(1)가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7)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 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9)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3. 턴디슈(21)와 몰드(1)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 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4. 턴디슈(21) 및 몰드(1)중의 일방이 가동이고, 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측이 전진구동되어 턴디슈와 몰드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연결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를 갖고, 전기 차폐수단이 환상의 주벽(14)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가스켓(7)으로 구성되고, 이 주벽 빛 이 환상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축에 타방이 고정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5. 복수의 몰드가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복수의 몰드의 후단 몰드(24)와 전단 몰드(23)의 사이에 차폐수단(7)을 형성하고,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6. 복수의 몰드가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23)와 후단몰드(24)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7)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하여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7. 턴디슈(21)와 몰드(1)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7)을 형성하고,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8. 턴디슈(21) 및 몰드(1) 중의 일방이 가동이고, 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측이 전진구동되어 턴디슈와 몰드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연결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페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와,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섣된 가스흡인장치를 갖고, 전기 차폐수단이 환상의 주벽(14)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가스켓(7)으로 구성되고, 이 주벽 및 이 환상 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측에 타방이 고정축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을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9. 턴디슈(21)와 복수의 몰드(1)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속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와 후단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10. 턴디슈(21)와 복수의 몰드(1)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페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와,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23)와 후단몰드(24)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1. 턴디슈(21)와 복수의 몰드(1)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주편인발방향으로 접속된 수평연속주조장치를 사용한 연숙주조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몰드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싼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23)와 후단몰드(24)와의 사이에 차폐수단을 형성하고, 이 각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주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방법.
  12. 턴디슈(21) 및 몰드(1)중의 일방이 가동이고, 타방이 고정되어, 가동측이 전진구동되어서 턴디슈와 복수의 몰드가 피드노즐(3) 및 브레이크링(2)을 통해서 연결된 수평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과 복수의 몰드중의 최전단 몰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와, 전기 피드노즐 및 브레이크링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고,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9)과, 이 가스흡인공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와, 전기 복수의 몰드의 전단몰드(23)와 후단몰드(24)와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수단과, 이 차폐수단의 내측의 공극부와 통해서 형성된 가스흡인공과, 이 가스흡인공(9)과 접속해서 형성된 가스흡인장치(20)를 갖고, 전기 브레이크링(2)의 외주를 둘러싸서 형성된 차폐수단이 환상의 주벽(14) 및 이 주벽의 전단이 접촉하는 환상가스켓(7)으로 구성되고, 이 주벽 빛 이 환상가스켓의 일방이 가동축에 타방이 고정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의 외주에 냉각링이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기 냉각링(31)과 몰드(1)와의 사이에 환상 가스켓(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에 시일재(37)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의 외주에 냉각링이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기 냉각링(31)과 몰드(1)와의 사이에 환상 가스켓(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의 외주에 냉각링이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기 냉각링(31)과 몰드(1)와의 사이에 환상 가스켓(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의 외주에 냉각링이 고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기 냉각링(31)과 몰드(1)와의 사이에 환상 가스켓(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에 시일재(37)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에 시일재(37)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피드노즐(3)에 시일재(37)가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연속주조장치.
KR1019920700030A 1990-05-09 1991-05-09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KR960002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17664A JP2514852B2 (ja) 1990-05-09 1990-05-09 湯面下凝固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90-117664 1990-05-09
JP14740790A JPH0685978B2 (ja) 1990-06-07 1990-06-07 水平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ブレークリング周りシール構造
JP90-147407 1990-06-07
JP90-70392(??) 1990-07-03
JP7039290U JPH0649411Y2 (ja) 1990-07-03 1990-07-03 水平連続鋳造装置用フィードノズル
JP90-70392 1990-07-03
JP3015422A JP2501138B2 (ja) 1991-02-06 1991-02-06 水平連続鋳造装置
JP91-15422 1991-02-06
JP91-33177 1991-02-27
JP3033177A JPH04274847A (ja) 1991-02-27 1991-02-27 水平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242A KR920703242A (ko) 1992-12-17
KR960002402B1 true KR960002402B1 (ko) 1996-02-17

Family

ID=2751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030A KR960002402B1 (ko) 1990-05-09 1991-05-09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58183A (ko)
EP (1) EP0482214A4 (ko)
KR (1) KR960002402B1 (ko)
WO (1) WO1991017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715A (en) * 1990-08-09 1994-08-09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CN102112279A (zh) * 2009-09-10 2011-06-29 乐金华奥斯株式会社 利用水压或蒸汽压的成型装置和方法
CA2803108C (en) * 2010-06-25 2016-10-18 Schlumberger Canada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in a fluid pump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1271A (en) * 1958-09-29 1960-09-06 Ind Res And Dev Corp Metal feed structure for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3352350A (en) * 1963-10-22 1967-11-14 Olin Mathieson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venting method
US3307229A (en) * 1963-10-22 1967-03-07 Olin Mathieson Vent for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3329200A (en) * 1965-01-05 1967-07-04 Aluminum Co Of America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US3857437A (en) * 1973-03-22 1974-12-31 Technicon Inst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sting metals
JPS5388630A (en) * 1976-12-27 1978-08-04 Uk Nii Metarofu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machine
AT374386B (de) * 1981-10-09 1984-04-10 Voest Alpine Ag Stranggiesskokille
JPS5874256A (ja) * 1981-10-30 1983-05-04 Mitsubishi Heavy Ind Ltd 水平連続鋳造設備
JPS58168457A (ja) * 1982-03-30 1983-10-04 Kawasaki Heavy Ind Ltd 水平連続鋳造装置
US4817701A (en) * 1982-07-26 1989-04-04 Steel Casting Enginee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DE3326657A1 (de) * 1982-07-26 1984-01-26 Steel Casting Engineering, Ltd., (n. d. Ges. d. Staates Delaware), 92667 Orange, Calif. Stranggiessmaschine sowie verfahren zum stranggiessen von metall
US4520860A (en) * 1983-02-28 1985-06-04 Manfred Haissig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GB8401976D0 (en) * 1984-01-25 1984-02-29 Imi Refiners Ltd Casting apparatus
JPH0736122B2 (ja) * 1984-07-24 1995-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ボ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S62183947A (ja) * 1986-02-10 1987-08-12 Nippon Kokan Kk <Nkk> 連続鋳造機のタンデイツシユ
JPS62183947U (ko) * 1986-05-09 1987-11-21
US4774996A (en) * 1986-09-29 1988-10-04 Steel Casting Engineering, Ltd. Moving plate continuous casting aftercooler
JPH0741553Y2 (ja) * 1987-08-31 1995-09-2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水平連続鋳造機のブレークリング取付構造
JPH0335848A (ja) * 1989-06-30 1991-02-15 Sumitomo Metal Ind Ltd 水平連続鋳造方法及び鋳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2214A4 (en) 1994-09-21
US5458183A (en) 1995-10-17
EP0482214A1 (en) 1992-04-29
WO1991017007A1 (en) 199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402B1 (ko) 수평 연속 주조 방법 및 장치
JP3124551B2 (ja) ストリップ鋳造機
US574332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JP4260655B2 (ja) ダイカストマシン用真空装置
JPH0649411Y2 (ja) 水平連続鋳造装置用フィードノズル
JP2501138B2 (ja) 水平連続鋳造装置
JPH04274847A (ja) 水平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2515454B2 (ja) 連続鋳造方法
JPH0441049A (ja) 水平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ブレークリング周りシール構造
JP2514852B2 (ja) 湯面下凝固連続鋳造方法及び装置
JP3156528B2 (ja) 金属の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JP2530389B2 (ja) 水平連続鋳造方法
JPH0685980B2 (ja) 水平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モールド接続部シール装置
JPH0685981B2 (ja) 水平連続鋳造装置におけるモールド入側シール装置
JP2515453B2 (ja) 連続鋳造方法
JPH05208246A (ja) 水平連続鋳造方法
JPH06234057A (ja) 吸引鋳造装置
JPH06114532A (ja) 金属の精密鋳造方法および精密鋳造装置
JPH0756106Y2 (ja) 水平連続鋳造設備
JPH07204824A (ja) 不活性ガス吹込装置
JP2952099B2 (ja) 連続鋳造方法
JP2991841B2 (ja) 連続鋳造方法
KR20230071787A (ko) 금속 주조용 핫 탑을 위치시키고, 기하학적 구조를 제어하고 또한 그 핫 탑의 응력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663720A (ja) 減圧吸上鋳造法
JPH05185191A (ja) タンディッシュから鋳型への注湯方法および注湯ノズ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