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390B1 - 전력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90B1
KR960002390B1 KR1019870700572A KR870700572A KR960002390B1 KR 960002390 B1 KR960002390 B1 KR 960002390B1 KR 1019870700572 A KR1019870700572 A KR 1019870700572A KR 870700572 A KR870700572 A KR 870700572A KR 960002390 B1 KR960002390 B1 KR 96000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s
power
coupled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537A (ko
Inventor
에드워드 미츠라프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1614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23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빈센트 죠셉 로너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70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33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output signal, e.g. bootstrapping the voltag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력 증폭 회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자동차 어댑터 회로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블럭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전력 레벨 선택을 위해 제1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이용되는 과정의 흐름도.
제3도는 내지 제5도는 제1도, 제6도, 제8도 및 제12도의 전력 증폭 블럭에 대한 전력 증폭단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자동차 어댑터 회로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다른 블럭 다이어그램.
제7도는 전력 레벨 선택을 위해 제6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의 흐름도.
제8도는 자동자 어댑터 회로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또 다른 블럭 다이어그램.
제9도는 전력 제어 블럭내의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제8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의 흐름도.
제10도는 자동차 어댑터 회로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또 다른 블럭 다이어그램.
제11도는 전력 레벨 선택을 위해 제10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의 흐름도.
제12도는 자동차 어댑터 회로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의 또 다른 블럭 다이어그램.
제13도는 전력 레벨 선택을 위해 제12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과정의 흐름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배경 기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배터리-동작 무선 송수신기내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다단계 증폭 회로(improved multi-level power amplitying circuitry)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사용되는 것들과 같은 이중 배터리-동작 송수신기내의 전력 증폭기의 최대 전력 출력은 배터리 전압의 크기와 배터리 에너지 보존의 필요성에 의해 결정된다. 자동차의 동작이 일반적인 휴대용 적용범위에서 보다 가장 가까운 고정 스테이션으로부터 더 떨어진 프린지(fringe) 영역내에서 종종 요구되기 때문에, 그러한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가 자동차내에 사용될 때 보다 높은 전송 전력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더우기, 그러한 송수신기의 전송 및 수신 신호가 이중화되므로, 디멀티플렉싱 필터에 앞서며, 멀티플렉싱 필터에 뒤따르는 다른 전력 증폭기와 분리 전력 제어 회로가 외부 자동차 배터리에 의해 출력 전력 레벨을 상승시키는데 필요하다. 그러한 송수신기의 출력 전력 레벨을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해결 방법은 가격이 비싸며, 송수신기 필터, 전력 증폭 및 전력 제어 회로가 이중으로 구성된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세트의 출력 전력 레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이한 공급 전압에 응답하는 값싸고 개선된 전력 증폭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어댑터의 존재를 검출하고, 제1세트의 전력 레벨로부터 제2세트의 전력 레벨로 스위치하는 개선된 다단계 전력 증폭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간략하게 기술하면,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증폭시키고, 다수의 레벨중 하나의 레벨로 상기 증폭된 RF 신호의 크기를 유지시키는 전력 증폭 회로를 포함한다. 이와같은 전력 증폭 회로는, 전력 증폭 ; 제1공급 전압과, 이 제1공급 전압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제2공급 전압중 하나의 전압을 제1 및 제2 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에 인가하는 수단과 ; 상기 인가 수단에 결합되어, 제1공급 전압이 상기 전력 증폭에 인가될 때 상기 다수의 제1세트의 레벨을 선택하고, 제2공급 전압이 상기 전력 증폭에 인가될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보다 더 큰 진폭의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제2세트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자동차 어댑터(180)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0)는 키보드(114), 디스플레이(116), 마이크로폰(110), 스피커(112), 배터리(118), 전력 제어(150), 전압 검출기(140), 전력 증폭기(PA)(122), 순환 회로(124), 전송기 필터(126), 수신기 필터(130), 안테나(128) 및 전송기, 수신기 및 마이크로컴퓨터(120)를 포함한다. 자동차 어댑터(180)는 자동차 배터리(182), 배터리 충전기(184), 전압 조절기(186) 및 안테나(188)를 포함하는데, 그들 모든 것들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제1도의 무선 송수신기(100)를 참조하면, 전력 제어(150)는 전력 검출기(152), 3개의 2진 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120)에 결합되는 감쇠기(154), 차동 증폭(156) 및 전력 제어 구동기(158)를 포함하는데, 상기 소자 모두는 미합중국 특허 제4,523,155호(참조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에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있다. 마이크로컴퓨터(120)는 PA (122)의 8개의 상이한 전력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감쇠기(154)에 인가되는 3개의 제어 신호를 사용한다. 차동 증폭(156)에 인가되는 전압(Verf)은 배터리(118)에 결합된 상업적으로 유용한 전압 조절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PA (122)는 캐스캐이드 증폭단(132 및 134)을 포함하며,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도 있다. PA (122)는 예를 들어, 모토로라 형태의 MHW 808 전력 증폭와 같은 상업적으로 유요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순환 회로(124) 및 안테나(128)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송기 필터(126) 및 수신기 필터(130)는 미합중국 특허 제4,431,977호(참조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에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전압 검출기(140)는 디지탈화된 출력이 Vsw의 크기에 상응하는 종래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모토로라 형채 MC14442 변환기와 같은)이거나, Vsw가 선정된 양으로 Vb를 초과할 때 로우 상태로부터 하이 상태로 출력이 변화하는 종래의 비교기일 수 있다. 전송기, 수신기, 마이크로컴퓨터(120) 및 관련 블럭(110, 112, 114 및 116)은 명칭이 "DYNATAC 셀룰러 휴대용 전화기"인 모토로라 인스트럭션 메뉴얼 제68P8104E60호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4,486,624호에 기술 및 도시된 상응하는 종래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및 다른 모토로라 인스트럭션 메뉴얼은 미합중국, 일리노이 60196, 사움버그, 이스트 엘공퀸 로드 1301 소재의 모토로라 인코퍼레이티드의 서비스 퍼블리케이션 디파트먼트(Service Publication Department) 또는, 미합중국, 사움버그, 이스트 앨공퀸 로드 1313 소재의 모토로라 C&E파트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제1도의 자동차 어댑터(180)에 관하여 언급하면, 전압 조절기(186)은 선택적이고, 점선(183)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우회될 수도 있다. 전압 조절기(186)는 PA (122)의 효율을 보호 및 최적화한다. 예를들어, 전압 조절기(186)는 자동차 배터리(182)의 충전이나, 자동차의 "점프 스타딩(jump starting)"중 야기되는 과전압 상태에 기인한 손상으로부터 PA (122)를 보호한다. 또한 전압 조절기(186)는 최고 전력 레벨에 도달하도록 PA (122)를 인에이블 시키기에 충분히 큰 전압으로 VR및 Vsw를 유지시키므로서 PA (122)의 효율을 최적화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최고 전력 레벨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점선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전압 조절기(186)를 우회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제1도의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0)가 플러그나 다른 방법으로 자동차 어댑터(180)에 결합될 때, 플러그(185 및 187)은, 배터리(118) 대신에 배터리(182)을 배터리 충전기(184) 및 Vsw 내지 VR전압 조절기(186)[또는, 점선(18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배터리(182)로부터 직접]와, 안테나(128) 대신에 안테나(188)을 전송기 필터(126) 및 수신기 필터(13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응하는 리셉터클(receptacles)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전력 제어 구동기(158) 및 PA (122)는 배터리(118)에 의해 제공된 전압(VB)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전압(VR)을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186)를 통해 자동차 배터리(18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조절기(186)은 11V 전압을 제공할 수 있지만, 배터리(118)는 6V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전압 검출기(140)의 VEH 신호를 모니터하여 어댑터(180)의 존재를 감지한다. 전압 검출기(140)가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비교기(예를들어, 모토로라 형태 MC1710 비교기)로 구현된다면, VEH 신호는 Vsw가 선정된 양만큼 VB를 초과할 때 상태를 변화시킨다. VEH 신호의 상태 변화는 어댑터(180)가 존재하는지를 마이크로컴퓨터(120)에 알려준다. 선택적으로, 전압 검출기(140)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예를들어, 모토로라 형태 MC14442)로 구현된다면, VEH 신호는 Vsw 전압의 크기의 디지탈 표시이며, 예를들어, 6V 내지 11V 까지 변화한다.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80)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VEH 신호의 디지탈 값과 이전의 값 또는, 기억된 선정 값을 비교한다[제8 도의 블럭(204)에 대한 아래 설명 참조].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VEH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 송수신기(100)의 동작급(operational class)을 변화시킨다. 동작급은 예를 들어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 급 3으로부터 급 1로 변화되며, 그 역으로의 변화에 대해서도 같다. 동작급 3에 있어서, 전력 제어 구동기(158) 및 PA (122)는 배터리(118)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며, PA (122)에 대해 제1세트의 전력 레벨을 발생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세트의 전력 레벨은 6개의 전력 레벨을 포함한다. 동작급 1로 스위칭할 때, PA (122)에 대해 제2세트의 전력 레벨이 발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세트의 전력 레벨은 8개의 전력 레벨을 포함하고, 2 이상의 전력 레벨은 제1세트의 전력 레벨보다 크기가 큰 레벨을 갖는다. 부가적인 보다 높은 전력 레벨은, 조절기(186)의 전압(VR)이 배터리(118)의 전압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므로, 동작급 1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더우기, 전력 레벨(1 내지 6)의 정확한 값은 안테나(188)과 안테나(128)사이의 이득 변화에 대한 보상을 위하여 급 1로부터 급 3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제1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의 동작은 제2 도의 흐름도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다음 설명은 전압 검출기(140)가 비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흐름도는 개시 블럭(202)에서 시작하며, VEH 신호를 체크하는 결정블럭(204)으로 진행된다. VEH 신호가 어댑터(180)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1상태(예를들어, 2진수 1)를 갖는다면, YES 브랜치가 블럭(206)으로 행해진다. 블럭(206)에서, 송수신기(100)의 동작급은 급 3으로부터 급 1로 변화하게 된다. 다음, 블럭(208)에서, 전력 레벨(SPL)이 제2세트의 8개의 레벨로부터 선택되고, 감쇠기(154)가 SPL을 발생하도록 설정되며, 마이크로컴퓨터(120)가 블럭(214)에서 다른 티스크로 복귀시킨다. 셀룰러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및 모빌 송수신기는 베이스 스테이션 무선국을 통하여 무선 전화 중앙 제어국으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응답하여 전력 레벨을 변환시킨다(미합중국 특허 제4,485,486호 참조). 결정 블럭(204)에서, VEH 신호가 어댑터(180)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상태(예를들어, 2진수 0)를 갖는다면, NO 브랜치가 블럭(210)으로 행해진다. 블럭(210)에서, 송수신기(100)의 동작급은 급 1로부터 급 3으로 변화한다. 다음, 블럭(212)에서, 전력 레벨(SPL)이 제1세트의 6개의 레벨로부터 선택되고, 감쇠기(154)가 SPL을 발생하도록 설정되며, 마이크로컴퓨터(120)가 블럭(214)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제2도, 제7도, 제9도, 제11도 및 제13도의 흐름도는 마이크로컴퓨터(120)에 의해 실행되어질 처리 단계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상업적으로 적절히 이용가능한 마이크로컴퓨터의 명령으로 상기 흐름도의 처리 단계의 코딩은 프로그래밍 기술에 익숙한 루티너(routineer)를 위해 주로 기계적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PA (122)내의 여러 단은, 제1 또는 제2세트의 전력 레벨내의 선택된 전력 레벨에서 그 출력 전력을 설정하고, 송수신기(100)가 자동차 어댑터(180)에 결합될 때 보다 높은 전력 레벨에 도달하도록 PA (122)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공급 전압으로 동작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PA (122)의 최종단(134)에 DC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이한 전압원을 Vsw에 접속시키므로써 제2세트의 전력 레벨이 제1세트의 전력 레벨보다 더 높게되도록 한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제어 구동기(158)는 마이크로컴퓨터(120)에 의해 선택된 레벨에서 PA (122)의 출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132)에 대한 공급 전압을 변화시킨다. 전력 제어 구동기(158)가 또한 전압(Vsw)에도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DC 전압의 보다 높은 레벨은 제2세트의 전력 레벨내에 보다 높은 전력 레벨을 이루기 위하여 구동기 단(132)에 인가될 수도 있다.
PA (122)의 선택적인 구현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들 구현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전력 증폭 회로를 얻을 수 있는 여러 구성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었다. 제3도에 있어서, PA (122)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단(302, 304, 및 306)으로 도시되었으며, 여기에서, DC 전압은 Vsw 또는, 전력 제어 신호에 접속하므로써 여러 단에 인가될 수 있다. Vsw 및 전력 제어 신호에 대한 여러 단(302, 304 및 306)의 접속은 효율, 안정성, 전력 변화의 연속성 및 특수 응용에 기인한 다른 필요 조건과 같은 PA 동작 특성을 최적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가 제1단(402)의 DC 바이어싱 점에 결합되는 PA (122)에 대한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의 DC 바이어싱 점은 개선된 안정성 및 전력 출력 제어 능력을 얻도록 전력 제어 신호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장치는, FET 장치 또는, 순방향 바이어스된 양극성 장치가 PA 단내에 활성 장치로써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증가된 전력 출력을 얻기 위하여 모든 PA 단상의 DC 공급 전압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402 및 404)은 배터리(118)의 전압(VB)에 결합될 수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전력 제어 신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폭단(504, 506 및 508)에 대한 RF 입력 구동 전력을 변화시키는 전자적으로 변화하는 감쇠기(154)에 결합되는 PA (122)의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감쇠기(502)는 가변 바이어스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IN 다이오드나, 가변 저항을 갖는 저항기 네트워크일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난 다양한 특징의 조합은 PA (122)에 대하여 선택된 회로의 적절한 기능화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가능한 보다 높은 전력 레벨을 형성하는 모든 해결 방법에 대한 공통된 주된 특징은 고 전력 레벨이 어댑터(180)가 접속되었을 때, 선택된 PA 단 및 전력 제어 구동기에 공급 전압을 상승시킨다는 것이다.
제6도를 참조하면, 다른 자동차 어댑터(190)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2)를 도시한 것이다. 송수신기(102)는 전력 제어(160), 반전 게이트(142) 및 데이타 버스(114)를 제외하고, 제1도의 송수신기(100)와 동일하다. 전력 제어(160)는 로그 증폭(logarithmic amplifier)(162), 검출기(164) 및 전력 제어 구동기(166)를 포함하는데, 상기 소자 모두는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에 양도되고, (참조 문헌으로 본 명세서의 포함)리챠트 제이. 빌머에 의해 발명된 명칭이 "광범위 동적 범위를 갖는 RF 전력 증폭용 자동 출력 제어 회로"인 1985년 4월 30일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729,016호(참고 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타 버스(144)는 PA (194)의 8개의 전력 레벨 중 하나의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어댑터(190)에 결합된 3개의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반전 게이트(142)는 VEH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어댑터(190)에 결합된다.
어댑터(190)은 전력 제어(192), PA (194), 조절기(191) 및 필터(196)을 제외하고, 제1도의 어댑터(180)와 유사하다. 전력 제어(192)는 제1도의 전력 제어(150) 또는, 제6도의 전력 제어(160)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전압 조절기(191)은 전력 제어(122)에 인가시키기 위한 기준 전압(VR)을 발생하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PA (194)는 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PA (12)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196)은 전송기 필터(126)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기(102)가 플러그나 다른 방법에 의해 어댑터(190)에 결합되었을 때, 배터리 충전기(184)는 배터리(118)에 결합되고, 반전 게이트(142)의 입력은 접지되며, 데이타 버스(144)는 전력 제어(192)에 결합되고, 전송기 필터(126)는 안테나(128) 대신에 PA (194)에 결합되며, 수신기 필터(130)는 안테나(128)대신에 안테나(188)에 결합된다. 어댑터(190)내로 플러그되었을 때, PA (122)의 출력은 선정된 레벨로 설정되고, PA (194) 및 전력 제어(192)는 필터(196) 및 안테나(188)에 인가시키기 위한 소망의 전력 레벨을 발생한다. 데이타 버스(144)는 PA (194)의 소망 전력 레벨을 선택하기 위하여, 3개의 전력 제어 신호를 전력 제어(192)에 인가시키도록 마이크로컴퓨터(120)를 통해 사용된다. 데이타 버스(144)의 전력 제어 신호는 미합중국 특허 제4,523,15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8개의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3개의 2닌 신호일 수도 있다.
제6도의 데이타 버스(144)는 예를 들어, 미합중국 제4,369,516호 및 제4,486,624호에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은 양방향성 직력 데이타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타 버스(144)내의 데이타 라인은 마이크로컴퓨터(120)와, 전력 제어(196)를 제어하기 위해 제1도, 제6도 및 제8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와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는 전력 제어(192)내의 다른 마이크로컴퓨터사이에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메시지는 두 마이크로컴퓨터사이에 전력 레벨 및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90)가 존재할 때가 PA (194)의 현재의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전력 제어(192)내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주기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제6도의 자동차 어댑터(190)는 자동차 배터리(182)의 보다 높은 전압에 결합되는 PA (194)에 의해 PA (122)의 전력 레벨을 상승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90)가 존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VEH나 데이타 버스(144)를 모니터한다. 반전게이트(142)의 VEH 신호는 어댑터(190)가 존재할 때 2진 1상태를 가지며, 어댑터(190)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2진 0상태를 갖는다. 이전에 기술한 바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90)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 전력 제어(192)내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조사할 수 있다. 어댑터(190)가 존재함을 결정함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예를들어, 전송기 필터(126)의 출력에서 11㏈m의 신호를 제공하는지 제1세트의 전력 레벨중 하나의 전력 레벨과 같은 선정된 레벨로 PA (122)의 전력 레벨을 설정한다. 전력 제어(192)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8개의 전력 레벨을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전력 레벨중 선택된 하나의 레벨에서 PA (194)의 출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버스(144)의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제6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의 이전에 기술한 동작은 제7도의 흐름도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있다. 흐름도는 개시 블럭(702)에서 시작되어 VEH 신호의 체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706)으로 진행한다. VEH 신호가 어댑터(190)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1상태(예를들어, 2진수 1)를 갖는다면, YES 브랜치가 블럭(708)으로 행해진다. 블럭(708)에서, 송수신기(102)의 동작급은 급 3으로부터 급 1로 변화된다. 다음, 블럭(710)에서, 전력 레벨(K)은 전력 제어(160)를 사용하는 제1세트의 M 레벨로부터 선택된다. 전력 레벨(K)은 제6도의 전송기 필터(126)의 출력에서 소망 전력 레벨을 발생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블럭(712)에서, 전력 레벨(SPL)은 전력 제어(192)를 사용하는 제2세트의 N 레벨로부터 선택된다. 다음, 블럭(714)에서, 전력 제어(160)는 K 레벨을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전력 제어(192)는 SPL을 발생하도록 설정되며,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72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설정의 N 레벨은 제1세트의 M 레벨내의 최고 전력 레벨의 크기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레벨을 포함한다.
제7도의 결정 블럭(706)에 있어서, VEH 신호가 어댑터(190)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상태(예를들어, 2진수 0)를 갖는다면, NO 브랜치가 블럭(716)으로 행해진다. 블럭(716)에서 있어서, 송수신기(102)의 동작 등급은 급 1로부터 급 3으로 변화된다. 그러면, 블럭(718)에서, 전력 레벨(SPL)이 제1설정의 M 레벨로부터 선택된다. 다음, 블럭(720)에서, 전력 제어(160)는 SPL을 발생하도록 설정되며,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72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제1세트내의 전력 레벨(M)과 제2세트내의 전력 레벨(N)의 수는 특수 적용으로 소망 수의 전력 단계를 발생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8도는 자동차 어댑터(180)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4)를 도시한 것이다. 송수신기(104)는 전력 제어(170) 및 반전 게이트(142)를 제외하고, 제1도의 송수신기(100)와 동일하다. 전력 제어(170)는 전력 검출기(172), 다중화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기(174),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기(176) 및, 전력 제어 구동기(178)를 포함한다. 전력 검출기(172) 및 전력 제어 구동기(178)는 미합중국 특허 제4,523,15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변환기(174 및 176)은 예를들어, 모토로라 형태 MC14442 밑 144111 변환기와 같은 상업적으로 적절히 이용가능한 변환기일 수 있다. 반전(142)는 VEH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어댑터(180)에 결합된다.
제8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는 VEH 신호를 모니터하거나,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변환기(174)를 사용한다. 반전 게이트(142)의 VEH 신호는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 2진 1상태를 가지며, 어댑터(180)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2진 0상태를 갖는다. VEH가 모니터되었다면,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주기적으로 제2 도의 흐름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제8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80)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억된 선정수와 비교되는 디지탈 표시로 Vsw를 변환시키는 변환기(174)를 이용할 수 있다. 변환기(174)는 마이크로컴퓨터(120)의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DPWR 또는, Vsw를 주기적으로 모니터한다. Vsw가 모니터된 경우에, VB및 VR의 디지탈 표시는 어댑터(180)가 존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120)에 의해 기억될 수 있다. 제2도의 흐름도는 "Vsw의 디지탈 표시가 예를들어, (VB+VR)/2와 같은 VB와 VR사이의 전압의 디지탈 표시보다 더 큰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결정 블럭(204)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Vsw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제2도의 흐름도를 주기적으로 실행하고, 선택된 전력 레벨(SPL)을 유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주기적으로 제9 도의 흐름도를 실행한다.
제8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의 서술한 동작은 제9 도의 흐름도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그 흐름도는 개시 블럭(902)에서 시작하여, DPWR이 변환기(174)로부터 입력되는 블럭(904)으로 진행한다. DPWR은 검출기(172)의 출력의 디지탈 표시이다. 다음, 결정 블럭(904)에서, DPWR-SPL의 절대값이 TH 보다 큰지를 확인하기 위해 체크되는데, 여기에서 SPL은 선택적 전력 레벨의 디지탈 표시이며, TH는 선정된 수이다. TH는 보정이 OPWR로 행해지기 이전의 DPWR과 SPL 사이에 존재하여야만 하는 최소차를 나타낸다. OPWR은, 전력 제어 구동기(178)에 결합될 때, PA (122)의 출력의 미세한 조정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아날로그 제어 신호의 디지탈 표시이다. DPWR-SPL의 절대값이 TH 보다 작다면, NO 브랜치가 블럭(908)에서 다른 타스크에 복귀되도록 행해진다. 결정 블럭(906)에서, DPWR-SPL의 절대값이 TH보다 크다면, YES 브랜치가 결정 블럭(910)을 행해진다. 결정 블럭(910)에서는 DPWR이 SPL 보다 큰지를 확인하기 위해 체크가 실행된다. 만일, DPWR이 SPL 보다 크다면, YES 브랜치가 DELTA 만큼 OPWR를 감소시키기 위해 블럭(912)으로 행해진다. DELTA는, 충분히 작게 선택되어 DPWR에서의 결과 스텝이 항상 TH 보다 작도록 하는 선정된 스탭 크기이다. OPWR이 SPL 보다 작다면, NO 브랜치는 결정 블럭(910)으로부터 OPWR이 DELTA 만큼 증가되는 블럭(914)으로 행해진다. 다음, 블럭(916)에서, OPWR이 변환기(716)로 출력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DPWR-SPL의 절대값이 TH 보다 작아질 때까지 흐름도의 처리단계를 반복하기 위해 블럭(904)으로 복귀시키고, 그에따라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90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다음, 제10도는 다른 자동차 어댑터(181)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6)를 도시한다. 송수신기(106)는 전력 제어(151), 반전게이트(142)를 제외하고, 제1도의 송수신기(100)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전력 제어(151)는 자동차 어댑터(181)내의 전력 제어 구동기(189)에 차례로 접속된 감쇠기(155) 및 차동 증폭(157)로 구성되는 부가적 제어 경로를 포함한다. 반전 게이트(142)는 TEH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어댑터(181)에 결합된다. 어댑터(181)는 전압 조절기(186)를 대신하는 전력 제어 구동기(189)를 제외하고, 어댑터(189)와 유사하다. 전력 제어 구동기(189)는 전력 제어 구동기(158)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력 제어(151)내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와같은 경우에는 자동차 배터리(182)가 플러그(185)에 결합된다.
제10도의 송수신기(106)가 플러그 또는, 다른 방법으로 어댑터(181)에 결합될 때, 배터리 충전기(184)는 배터리(118)에 결합되고, 필터(126 및 130)는 안테나(128) 대신에 안테나(188)에 접속되며, 반전 게이트(142)의 입력은 접지되고, 전력 제어 구동기(189)의 입력은 차동 증폭(157)의 출력에 접속되며, Vsw는 VB대신에 VC2에 결합된다. 자동차 어댑터(181)는, 배터리(118)에 의해 공급된 전압의 크기를 초과할 수 있는 전압(VC)을 갖는 PA(122)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을 제공하여 PA(122)의 최대 전력 레벨을 상승시킨다. 이것은 배터리(118)의 전압(VB) 보다 더 큰 크기의 전압을 갖는 자동차 배터리(182)에 전력 제어 구동기(189)가 결합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게 행해진다.
제10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어댑터(181)가 존재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반전 게이트(142)의 VEH 신호를 주기적으로 모니터한다. 동작급 3과 동작급 1 사이의 스위칭과, 제1 또는 제2세트의 전력 레벨로부터의 적절한 전력 레벨(SPL)의 선택된 제2도를 참조로 하여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사한 방법으로 발생한다. 송수신기(106)가 어댑터(18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동작급 3과, 제1세트의 전력 레벨로부터의 전력 레벨(SPL)의 선택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송수신기(106)가 어댑터(181)에 결합되었을 때, 제2세트의 전력 레벨내의 선택된 전력 레벨 유지는 선택된 전력 레벨의 크기가 제1세트의 전력 레벨내의 최대 전력 레벨의 크기를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른다. 이 경우, 전압(VC)는 제2세트의 전력 레벨내의 그러한 선택된 전력 레벨을 얻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단(134)에 결합된다.
제10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의 상술한 동작은 제11도의 흐름도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그 흐름도는 개시 블럭(802)에서 시작되며, VEH 신호의 체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804)으로 진행한다. VEH 신호가 어댑터(181)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상태(예를들어, 2진수 0)를 갖는다면, NO 브랜치는 블럭(806)으로 행해진다. 블럭(806)에서, 송수신기(106)의 동작급이 급 1로부터 급 3으로 변화된다. 다음, 블럭(808)에서, 전력 레벨(SPL)은 중앙 제어 단말기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1세트의 M 레벨중에서 선택된다. 제1세트의 M 레벨내의 전력 레벨은 레벨(M)이 최고 크기를 갖도록 크기의 증가순으로 양호하게 배열된다. 다음, 블럭(810)에서, 감쇠기(154)는 선택된 전력 레벨(SPL)을 유지하기 위해 전력 제어(151)에 의해 필요한 값으로 설정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82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제11도의 결정 블럭(804)에서, VEH 신호가 어댑터(181)의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상태(예를들어, 2진수 1)를 갖는다면, YES 브랜치가 블럭(812)으로 행해진다. 블럭(812)에서, 동작급은 급 3으로부터 급 1로 변화된다. 다음, 블럭(814)에서, 전력 레벨(SPL)은 중앙 제어 단말기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2세트의 N 전력 레벨에서 선택된다. 제2세트내의 전력 레벨의 수(N)는 제1세트내의 전력 레벨의 수(M)보다 크다. 더우기, 제2세트는 제1세트내의 최고 전력 레벨인 레벨(M)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레벨을 포함한다. 다음, 결정 블럭(816)에서, 선택된 전력 레벨(SPL)의 크기는 레벨(M)의 크기와 비교된다. SPL의 크기가 레벨(M)의 크기보다 크다면, YES 브랜치가 블럭(819)으로 행해진다. 블럭(819)에서, 감쇠기(154)는 감쇠기(154)로부터의 출력이 PA (122)로부터의 모든 가능 출력 레벨에 대한 Vref의 크기 이하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되는 최대 감쇠를 설정된다. 결과로서, 전력 제어 구동기(158)는 최대 출력 전압[일반적으로, 배터리(118)의 전압(VB)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전압]을 발생한다. 다음. 블럭(802)에서, 감소기(155)는 전력 제어 구동기(189)를 사용하는 선택된 전력(SPL)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값으로 설정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82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제11도의 결정 블럭(816)에서, SPL의 크기가 레벨(M)의크기보다 크지 않으면, NO 브랜치가 블럭(817)으로 행해진다. 블럭(817)에서, 감쇠기(155)는 감쇠기(155)의 출력이 PA (122)의 모든 가능 출력 레벨에 대한 Vref의 크기 이하로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최대 감소로 설정된다. 결과로써, 전력 제어 구동기(189)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812)의 전압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는 최대 출력 전압(VC2)을 발생한다. 다음, 블럭(818)에서, 감쇠기(154)는 전력 제어 구동기(158)를 사용하는 선택된 전력 레벨(SPL)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값으로 설정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822)에서 다른 타스크로 복귀시킨다.
제12도는 자동차 어댑터(181)와 함께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다른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108)를 도시한 것이다. 송수신기(108)는 전력 제어(171)을 제외하고, 제10도의 송수신기(106)와 실제적으로 동일하다. 전력 제어(171)은 감쇠기(154 및 155)대신에 다중 A/D 변환기(174)와, 차동 증폭(156 및157) 대신에 D/A 변환기(176 및 177)를 포함한다.
제12도의 마이크로컴퓨터(120) 동작은 제3도 및 제9도의 흐름도에 상세히 나타나 있으며, 제13도의 흐름도는 실제적으로 제11도의 흐름도와 동일하다. 흐름도는 개시 블럭(602)에서 시작되며, VEH 신호의 체크가 행해지는 결정 블럭(604)으로 진행한다. VEH 신호가 어댑터(181)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상태(예를들어, 2진수 0)를 갖는다면, NO 브랜치가 블럭(606)으로 행해진다. 블럭(606)에서, 송수신기(108)의 동작급은 급 1로부터 급 3으로 변화한다. 다음, 블럭(620)에서, 변환기(177)는 선택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622)에서 제9도의 블럭(608)에서, 전력 레벨은 중앙 제어 단말기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1 세트이 M 레벨중에서 선택된다. 레벨(1-M)의 크기는 최고 크기를 갖는 M 레벨을 갖는 증가 순서로 배열된다. 다음, 블럭(610)에서, 변환기(176)은 선택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622)에서 제9도의 블럭(902)으로 진행시키는데, 여기에서, 변환기(176)의 출력은 선택된 전력 레벨(SPL)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값으로 조정된다.
제13도의 결정 블럭(604)에서, VEH 신호가 어댑터(181)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상태(예를들어, 2진수 1)를 갖는다면, YES 브랜치는블럭(612)으로 행해진다. 블럭(612)에서, 동작급은 급 3으로부터 1급으로 변화된다. 다음, 블럭(614)에서, 전력 레벨(SPL)은 중앙 제어 단말기에 의해 명령된 바와 같이 제2세트의 N 전력 레벨에서 선택된다. 제2세트의 N 레벨의 레벨(M)의 크기 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포함한다. 다음, 결정 블럭(616)에서, 선택된 전력 레벨(SPL)의 크기가 M 레벨의 크기와 비교된다. SPL의 크기가 M 레벨의 크기보다 크다면, YES 브랜치는 블럭(619)으로 행해진다. 블럭(619)에서, 변환기(176)은 그 최대 출력으로 설정된다. 결과로써, 전력제어구동기는 최대 출력 전압[일반적으로, 배터리(118)로부터의 전압(VB)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전압]을 발생한다. 다음. 블럭(902)으로 진행시키는데, 여기에서, 변환기(177)의 출력은 선택된 출력 레벨(SPL)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값으로 조정된다.
제13도의 결정 블럭(616)에서, SPL의 크기가 M 레벨의 크기보다 크지 않다면, NO 브랜치가 블럭(617)으로 행해진다. 블럭(617)에서, 변환기(177)는 그 최대 출력에서 설정된다. 결과로써, 전력 제어 구동기(189)는 최대 출력 전압(VC2)[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182)의 전압 크기보다 약간 작은 전압]을 발생한다. 블럭에서 제(617)의 선택적인 구현은 변환기(177)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 구동기(189)가 배터리(118)에 의해 발생된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출력 전압을 발생하도록 한다. 다음, 블럭(618)에서, 변환기(176)는 선택되고, 마이크로컴퓨터(120)는 블럭(622)에서 제9도의 블럭(902)으로 진행시키는데, 여기에서 변환기(176)의 출력은 선택된 전력 레벨(SPL)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값으로 조정된다.
요약하여, 특이한 다단계 전력 증폭 회로가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동작시키기 위하여 자동차 어댑터내로 삽입가능한 휴대용 무선 송수신기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기술하였다. 자동차 어댑터의 존재를 검출하므로써, 전력 증폭는 휴대용 동작을 위해 제1세트의 전력 레벨 보다 더 큰 레벨을 포함하는 제2세트의 전력 레벨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단계 전력 증폭 회로는, 배터리-동작 무선 송수신기가 다른 전력원으로부터 동작하기위해 어댑터에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무선 송신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용 전력증폭 회로에 있어서, 출력 RF 신호를 발생하도록 RF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단(122)와 ; 각각의 제1및 제2전압원(118,182)으로부터 제1공급 전압과, 상기 제1공급 전압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제2공급 전압중 한 전압을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시키기 위한 수단 ; 상기 인가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공급 전압이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될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하나의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제2공급 저압이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될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과,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임의 레벨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적어도 한 레벨을 포함하는 제2세트이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120)과 ; 상기 선택 수단 및 증폭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세트의 레벨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레벨에서 출력 RF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122)은 적어도 제1및 제2종속 접속된 증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원(118)은 배터리이고, 상기 인가 수단, 선택 수단 및 유지 수단은 상기 배터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원(182)은 어댑터 수단(180)내에 위치되고, 상기 인가 수단은 상기 어댑터 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원(182)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수단(180)은 상기 제2전압원과 상기 인가 수단 사이에 위치한 전압 조절 수단(1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수단(180)은 상기 제2전압원에 결합된 충전 수단(184)을 포함하고, 상기 인가 수단은 상기 어댑터 수단에 결합될 때, 상기 충전 수단을 상기 제1전압원에 더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120)은 마이크로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150)은, 출력 RF 신호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수단(12,154,156) ; 상기 제어 신호에 결합되어 구동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2수단(158)을 포함하여, 상기 증폭 수단은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RF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0. 제1전압원(118)을 가지며, 상기 제1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전압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전압을 제공하는 제2전압원(182)에 결합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용 전력 증폭 회로에 있어서, 출력 RF 신호를 발생하도록 RF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단(122)와 ; 상기 제2전압원에 상기 증폭 수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185) ; 상기 제2전압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140, 142) ; 상기 제2전압원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제1세트의 레벨중 한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제2전압원이 존재할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과, 상기 제1세트의 레벨의 임의 레벨의 크기보다 더 큰 적어도 한 레벨을 포함하는 제2세트의 레벨중 한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120)과 ; 상기 선택 수단 및 증폭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세트의 레벨중 상기 선택된 레벨로 출력 RF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원(182)이 어댑터 수단(180)내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증폭 회로가 상기 어댑터 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140,142)은, 입력과, 출력으로서의 제어 신호를 갖는 반전 게이트(142)이며,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어댑터 수단으로부터의 접지 신호를 상기 반전 게이트 수단의 상기 입력에 결합하고, 상기 반전 게이트 수단은 상기 반전 게이트 입력이 접지되었을 때 제2상태를 갖는 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반전 게이트 입력이 접지되지 않았을 때 제1상태를 갖는 신호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수단은 제어 신호가 제1상태를 가졌을 때 제1세트의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어 신호가 제2상태를 가졌을 때 제2세트의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3. 출력 RF 신호를 발생하도록 무선 송수신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제1전압원(118)에 결합된 제1증폭 수단(122)과, 제1세트의 레벨중 선택된 하나의 레벨로 상기 출력 RF 신호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한 제1유지 수단(160)을 포함하고, 출력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상기 제1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전압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전압을 제공하는 제2전압원(182)에 결합된 제2증폭 수단(194)에 결합 가능하며, 제2세트의 레벨중 선택된 하나로 상기 증폭된 출력 RF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제2유지 수단(192)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2증폭 수단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142) ; 상기 제2증폭 수단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선정된 하나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120) ; 상기 제2증폭 수단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임의 레벨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적어도 한 레벨을 포함하는 상기 제2세트의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120)과 ; 상기 제2세트의 레벨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레벨을 상기 제2유지 수단에 인가하기 위한 수단(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122,192)은 적어도 제1및 제2종속 접속된 증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원(118)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폭 수단, 상기 제2세트의 레벨중 하나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인가 수단은 어댑터 수단(19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원(182)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수단(190)은 상기 제2전압원과 상기 제2증폭 수단 사이에 위치한 전압 조절 수단(1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90)은 상기 제2전압원과 상기 제1전압원 사이에 충전 수단(1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소정의 한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마이크로컴퓨터(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유지 수단 각각은, 출력 RF 신호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수단(164,162)과 ; 상기 제어 신호에 결합되어 그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RF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수단(1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2. 무선 전송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신호용 전력 증폭 회로에 있어서, 출력 RF 신호를 발생하도록 RF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수단(122)와 ; 제1및 제2전압원(118,182)로부터 제2공급 전압과, 제1공급 전압과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제2공급 전압중 하나의 공급 전압을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인가 수단에 결합되어, 제1공급 전압이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되었을 때 제1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공급 전압이 상기 증폭 수단에 인가되었을 때 제2상태를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140,142), 상기 발생수단에 결합되어, 제어 신호가 제1상태를 가질 때 제1세트의 레벨중 하나를 선택하고, 제어 신호가 제2상태를 가질 때 상기 제1세트의 레벨과, 상기 제1세트의 레벨중 임의 레벨의 크기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포함하는 제2세트의 레벨중 하나의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120)과 ; 상기 선택 수단 및 증폭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세트의 레벨중 상기 선택된 한 레벨로 출력 RF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원(182)은 어댑터 수단(180)내에 배치되고, 상기 인가 수단이 상기 어댑터 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140,142)은, 입력과, 출력으로서의 상기 제어 신호를 갖는 반전 게이트 수단(142)이고, 상기 인가 수단은 어댑터 수단으로부터의 접지 신호를 반전 게이트 수단의 상기 입력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KR1019870700572A 1985-11-01 1986-10-08 전력 증폭 회로 KR960002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94,026 US4636741A (en) 1985-11-01 1985-11-01 Multi-level power amplifying circuitry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US794,026 1985-11-01
US794026 1985-11-01
PCT/US1986/002140 WO1987002843A1 (en) 1985-11-01 1986-10-08 Multi-level power amplifying circuitry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537A KR880700537A (ko) 1988-03-15
KR960002390B1 true KR960002390B1 (ko) 1996-02-16

Family

ID=2516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572A KR960002390B1 (ko) 1985-11-01 1986-10-08 전력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36741A (ko)
EP (1) EP0248033B1 (ko)
JP (1) JP2579473B2 (ko)
KR (1) KR960002390B1 (ko)
CN (1) CN1006269B (ko)
AU (1) AU582078B2 (ko)
CA (1) CA1264067A (ko)
DE (1) DE3683848D1 (ko)
IL (1) IL80141A (ko)
WO (1) WO1987002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16B2 (ja) * 1984-08-14 1994-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4885798A (en) * 1987-01-28 1989-12-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JPS648733A (en) * 1987-06-30 1989-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S6446324A (en) * 1987-08-14 1989-02-20 Fujitsu Ltd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ransmission power of portable radio equipment
JPS6485431A (en) * 1987-09-28 1989-03-30 Toshiba Corp Radio telephone system
US5029233A (en) * 1987-10-09 1991-07-02 Motorola, Inc. Radio arrangement having two radios sharing circuitry
US4875038A (en) * 1988-01-07 1989-10-17 Motorola, Inc.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acknowledge back paging system
US4825193A (en) * 1988-01-07 1989-04-25 Motorola, Inc. Acknowledge back pager with adaptive variable transmitter output power
US4891637A (en) * 1988-01-07 1990-01-02 Motorola, Inc. Acknowledge back pager with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frequency
US4882579A (en) * 1988-01-07 1989-11-21 Motorola, Inc. Code division multiplexed acknowledge back paging system
US4823123A (en) * 1988-01-07 1989-04-18 Motorola, Inc. Knowledge back pager with frequency control apparatus
JPH0650825B2 (ja) * 1988-01-29 1994-06-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JPH01220919A (ja) * 1988-02-29 1989-09-04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JPH0759109B2 (ja) * 1988-04-20 1995-06-21 日本電気株式会社 終話処理機能付自動車電話端末機
US5203020A (en) * 1988-06-14 1993-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2583578B2 (ja) * 1988-07-01 1997-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ケット電話機
US5150031A (en) * 1988-09-30 1992-09-22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system
US5095528A (en) * 1988-10-28 1992-03-10 Orion Industries, Inc. Repeater with feedback oscillation control
US5170494A (en) * 1988-12-08 1992-12-08 Nokia Mobile Phones Ltd. Two piece radio telephone
GB8828635D0 (en) * 1988-12-08 1989-01-11 Hewlett Packard Co Rf amplifier bias circuit
US4989261A (en) * 1988-12-09 1991-01-29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supply intercept with reference output
JPH02202252A (ja) * 1989-01-31 1990-08-10 Toshiba Corp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充電器
JP2773228B2 (ja) * 1989-04-20 1998-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5164652A (en) * 1989-04-21 1992-11-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type and modify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KR910007680B1 (ko) * 1989-04-26 199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이동 무선전화기의 rf 전력 레벨 제어회로
US4989260A (en) * 1989-05-17 1991-01-29 The Quaker Oats Company Transmitter with power reduction to compensate for varying radiated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switching between batteries and AC power
US5142279A (en) * 1989-06-05 1992-08-25 Motorola, Inc. Acknowledge back paging system having the capability of matching variable length data messages to pager addresses
JPH0775324B2 (ja) * 1989-08-18 1995-08-0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ES2073541T3 (es) * 1989-12-05 1995-08-16 Nec Corp Unidad amplificadora de potencia que utiliza un modulo amplificador de potencia.
JP2616098B2 (ja) * 1990-02-27 1997-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
JP2647730B2 (ja) * 1990-06-01 1997-08-2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電話装置
TW198152B (ko) * 1990-10-18 1993-01-11 Hitachi Seisakusyo Kk
GB9025007D0 (en) * 1990-11-16 1991-01-02 Orbitel Mobile Communications Mobile radio telephone
BR9106405A (pt) * 1990-12-20 1993-05-04 Motorola Inc Circuidade de controle de energia,telefone celular de acesso multiplo de divisao de tempo
JPH04239251A (ja) * 1991-01-11 1992-08-27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アダプタ
JP3058923B2 (ja) * 1991-01-11 2000-07-04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アダプタ
US5444867A (en) * 1991-01-11 1995-08-22 Kabushiki Kaisha Toshiba Adapter unit for adaptively supplying a portable radio telephone with power
JPH04319899A (ja) * 1991-04-19 1992-11-10 Fujitsu Ltd 自動車電話付属回路
US5287555A (en) * 1991-07-22 1994-02-15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GB2258370B (en) * 1991-08-02 1995-09-06 Technophone Ltd Cellular telephone
US5265271A (en) * 1991-09-23 1993-11-23 Motorola, Inc. Low battery detector
US5303395A (en) * 1991-11-06 1994-04-12 Mitsubishi Consumer Electronics America, Inc. Power control with a constant gain amplifier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JP2776105B2 (ja) * 1992-01-07 199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への電力供給方法
EP0559187B1 (en) * 1992-03-06 1998-11-04 Fujitsu Limited Adapter for connecting a portable telephone to a mobile telephone
US5333176A (en) * 1992-04-30 1994-07-26 Murata Machinery, Ltd. Cellular hand held portable speakerphone system having an interface adapter
JP2935311B2 (ja) * 1992-07-24 1999-08-16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充電回路
JPH06260996A (ja) * 1992-10-02 1994-09-16 Nokia Mobile Phones Ltd セルラ電話用出力増幅システム
US5457814A (en) * 1993-10-02 1995-10-10 Nokia Mobile Phones Ltd. Power boost system for cellular telephone
US5436548A (en) * 1992-11-25 1995-07-25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KR950007973B1 (ko) * 1992-11-27 199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송수신기의 고주파 출력레벨 보상회로
US5332928A (en) * 1992-12-10 1994-07-26 Threepenny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drain reducer
AU5986594A (en) * 1992-12-30 1994-08-15 George H. Grindley Jr. Programmable child paging system
JPH06276146A (ja) * 1993-03-19 1994-09-30 Fujitsu Ltd 移動電話装置
FI99180C (fi) * 1993-04-26 1997-10-10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radiopuhelimen käyttämiseksi ulkoisen vahvistinlaitteen kanssa ja menetelmässä käytettävä radiopuhelin ja vahvistinlaite
US5432473A (en) * 1993-07-14 1995-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mode amplifier with bias control
JP2570588B2 (ja) * 1993-07-29 1997-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受信装置
JP3158833B2 (ja) * 1994-01-27 2001-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無線装置
US5629599A (en) * 1994-05-31 1997-05-13 Motorola, Inc. Rechargeable battery-powere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ntegral vibrating means
US5697074A (en) * 1995-03-30 1997-12-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rate power control loop for a transmitter
US5732335A (en) * 1995-04-28 1998-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xternally controlled output power by means of antenna keying
US5689815A (en) * 1995-05-04 1997-11-18 Oki Telecom, Inc. Saturation prevention system for radio telephone with open and closed loop power control systems
US5754962A (en) * 1995-07-27 1998-05-19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 operable or non-operable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radio and a vehicle kit
JP3039613B2 (ja) * 1995-08-28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増幅器
US5623227A (en) * 1995-10-17 1997-04-22 Motorola, Inc.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mplifier for use in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5621354A (en) * 1995-10-17 1997-04-1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error corrected amplification in a radio frequency system
JP3309271B2 (ja) * 1996-07-09 2002-07-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5752172A (en) * 1996-08-16 1998-05-1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istributed transmitter output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radio telephone
US5898908A (en) * 1996-10-09 1999-04-27 Ericsson, Inc. RF gain enhancement for cellular telephone
US5802167A (en) * 1996-11-12 1998-09-01 Hong; Chu-Chai Hands-free device for use with a cellular telephone in a car to permit hands-free operation of the cellular telephone
FR2758024B1 (fr) * 1996-12-30 1999-01-29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amplificateur de puissance pour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DE19705447B4 (de) * 1997-02-13 2006-02-02 Robert Bosch Gmbh Funkgerät
US6230031B1 (en) 1997-03-31 2001-05-08 Oki Telecom, Inc. Power amplifying circuitry for wireless radio transceivers
US6236863B1 (en) 1997-03-31 2001-05-22 Oki Telecom, Inc. Comprehensive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for radio telephones
US6148220A (en) *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US6029074A (en) * 1997-05-02 2000-02-22 Ericsson, Inc. Hand-held cellular telephone with power management features
US6185431B1 (en) 1997-06-18 2001-02-06 Oki Telecom, Inc. Mobile station closed loop output power stability system for weak signal conditions
US5999832A (en) * 1997-07-31 1999-12-07 Vannatta; Louis J.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nsmit power of a communication device
US6011323A (en) * 1997-09-30 2000-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providing for auxiliary battery conservation in adapters
US6038457A (en) * 1997-12-05 2000-03-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owering an accessory
US6097973A (en) * 1997-12-19 2000-08-01 Motorola, Inc. Electronic circu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940910A1 (en) * 1998-03-03 1999-09-08 Robert Bosch Gmbh Power amplifier for a radio transmitter and mobile telephone with a radio transmitter
GB2339113B (en) * 1998-06-30 2003-05-21 Nokia Mobile Phones Ltd Data transmission in tdma system
US6133792A (en) * 1998-09-17 2000-10-17 Telefonaktei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ower amplifier saturation
DE19858836A1 (de) * 1998-12-19 2000-06-2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Audiosystem
JP2000332542A (ja) * 1999-05-20 2000-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多段電力増幅器のバイアス回路及びそのバイアス供給方法
US6734724B1 (en) 2000-10-06 2004-05-11 Tropian, Inc. Power control and modulation of switched-mode power amplifiers with one or more stages
US6941152B2 (en) * 2001-04-24 2005-09-06 Ipr Licensing, Inc. Wireless subscriber network registration system for configurable services
FR2824972B1 (fr) * 2001-05-17 2003-12-26 Sagem Selection de puissance d'emission dans un radiotelephone
US6515541B2 (en) * 2001-06-13 2003-02-04 Skyworks Solutions, Inc. Multi-level power amplifier
US7039435B2 (en) * 2001-09-28 2006-05-02 Agere Systems Inc. Proximity regulation system for use with a portable cell phon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516748U (en) * 2001-10-26 2003-01-01 Kye Systems Corp Wireless transmitting circuit with adjustable radio frequency transmitting power
US6892080B2 (en) * 2001-11-27 2005-05-10 Arrista Technologies, Inc.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telephone cradles
US6624702B1 (en) 2002-04-05 2003-09-23 Rf Micro Devices, Inc. Automatic Vcc control for optimum power amplifier efficiency
DE10218828A1 (de) * 2002-04-26 2003-11-06 Siemens Ag Mobilfunkgerät mit Sendeleistungsbeschränkung
US6685334B2 (en) 2002-04-30 2004-02-03 G-5 Electronics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a solar powered device
US20040072554A1 (en) * 2002-10-15 2004-04-15 Triquint Semiconductor, Inc. Automatic-bias amplifier circuit
US7010284B2 (en) * 2002-11-06 2006-03-07 Triquint Semiconductor,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power detector circuit coupled to sample signal at interior node of amplifier
US20040070454A1 (en) * 2002-10-15 2004-04-15 Triquint Semiconductor, Inc. Continuous bias circuit and method for an amplifier
US7136667B2 (en) * 2003-10-28 2006-11-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equipment arrangement for power control, radio terminal equipment and secondary terminal unit
US7177370B2 (en) * 2003-12-17 2007-02-13 Triquint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rchitecture for dual-mode linear and saturated power amplifier operation
GB2411547A (en) * 2004-02-27 2005-08-31 Nec Technologies Dynamically determining a power class of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7498953B2 (en) * 2004-11-16 2009-03-03 Salser Jr Floyd Stanley Smart transmitter for utility meters
EP1708358A3 (en) * 2005-03-11 2006-12-06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driving volt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E102006056342B4 (de) * 2005-11-30 2011-07-14 VTECH Telecommunications, Ltd., New Territory System und Verfahren zur Registrierung eines drahtlosen Handgeräts
US20080003956A1 (en) * 2006-06-29 2008-01-03 Paul Stanley Rutkowski Apparatus and method for FM transmitting audio at optimal power levels
KR100765790B1 (ko) 2006-06-30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의 가변 전원공급 장치 및 방법
US8798564B2 (en) * 2009-03-17 2014-08-05 Provigent Ltd. Transmitter with replaceable power amplifier
US8611836B2 (en) * 2010-08-25 2013-12-17 Skyworks Solutions, Inc. Amplifier gain adjustment in response to reduced supply voltage
US11483778B2 (en) * 2019-07-16 2022-10-25 Molex CVS Bochum GmbH Compensator system with feedback
US11272459B2 (en) * 2019-11-07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wireless device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CN114946084A (zh) 2020-01-24 2022-08-26 京瓷Avx元器件(圣地亚哥)有限公司 用于具有模态天线的天线系统的射频rf放大器电路
US11533688B2 (en) * 2021-03-17 2022-12-20 T-Mobile Usa, Inc. Dynamic switching of user equipment power clas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424A (en) * 1960-12-20 1962-11-20 Packard Bell Electronics Corp Radio receiver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the supply voltage
US4307455A (en) * 1978-02-27 1981-12-2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supply for computing means with data protected shut-down
DE2911998C2 (de) * 1979-03-27 1985-11-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romversorgung für einen Mikroprozessor, der elektrische Einrichtungen,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steuert
US4414623A (en) * 1980-10-01 1983-11-08 Motorola, Inc. Dual deadman timer circuit
JPS5851634A (ja) * 1981-09-24 1983-03-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方式
JPS5981113U (ja) * 1982-11-25 1984-06-01 日本電気株式会社 出力電力制御回路
US4523155A (en) * 1983-05-04 1985-06-11 Motorola, Inc. Temperature compensated automatic output control circuitry for RF signal power amplifiers with wide dynamic range
WO1985000082A1 (en) * 1983-06-17 1985-01-03 Prutec Limited Transmitter with power amplifier control
JPS60223231A (ja) * 1984-04-19 1985-11-07 Nec Corp 無線通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8033B1 (en) 1992-02-05
AU582078B2 (en) 1989-03-09
JPS63501258A (ja) 1988-05-12
WO1987002843A1 (en) 1987-05-07
IL80141A (en) 1990-07-12
US4636741A (en) 1987-01-13
EP0248033A1 (en) 1987-12-09
IL80141A0 (en) 1986-12-31
CN86107133A (zh) 1987-06-10
DE3683848D1 (de) 1992-03-19
EP0248033A4 (en) 1987-11-02
JP2579473B2 (ja) 1997-02-05
KR880700537A (ko) 1988-03-15
AU6543986A (en) 1987-05-19
CA1264067A (en) 1989-12-27
CN1006269B (zh) 198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390B1 (ko) 전력 증폭 회로
US5303395A (en) Power control with a constant gain amplifier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US6782244B2 (en) Segmented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
US4602218A (en) Automatic output control circuitry for RF power amplifiers with wide dynamic range
US63136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hone transmit power amplification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EP0482502B1 (en) Power amplifier and mobile radio apparatus with the same
US5029298A (en) Transmitter circuit
JPH0376430A (ja) 携帯無線機
GB2363925A (en) Reduction of mobile phone transmitter amplifier distortion due to output mismatch
KR100793134B1 (ko) 매칭장치
KR950007973B1 (ko) 휴대용 무선송수신기의 고주파 출력레벨 보상회로
US6259682B1 (en) Closed loop transmitt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accuracy over a wide range of power levels having means for maintaining constant loop gain
EP0751626A2 (en) Radio transmitter
KR910007654B1 (ko) 이동식 무선전화기의 rf전력 제어회로
KR910007680B1 (ko) 휴대용 이동 무선전화기의 rf 전력 레벨 제어회로
US617574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a power level in an RF boos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H0442623A (ja) 送信電力制御回路
JP4048589B2 (ja) 携帯電話機の送信電力制御方式
GB2316561A (e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by selecting stored values of supply and/or bias voltage in dependence on measured output power
JPS5885644A (ja) 送信出力制御方式
JP3180429B2 (ja) 移動電話装置
JPH05268139A (ja) 電力増幅回路
JPS6119232A (ja) 可搬型無線機における自動送信出力電力制御装置
JPH09199960A (ja) 電力増幅器
JPH09148945A (ja) 送信出力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