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4787A -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4787A
KR950034787A KR1019950003756A KR19950003756A KR950034787A KR 950034787 A KR950034787 A KR 950034787A KR 1019950003756 A KR1019950003756 A KR 1019950003756A KR 19950003756 A KR19950003756 A KR 19950003756A KR 950034787 A KR950034787 A KR 95003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conductive layer
layer
processing step
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또 고또
미찌오 니시무라
마사유끼 모로이
Original Assignee
윌리엄 이. 힐러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이. 힐러,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이. 힐러
Publication of KR95003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8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the storage electrode having multipl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Weting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메모리 셀 내에 판형 적층 셀 캐패시터를 갖는 동적 RAM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제1절연층〔MTO층(20),(28)〕 및 제2절연층〔BPSG층(21),(29)〕은 순서대로 반도체 기판(10)상에 형성되고; 이들중, 최소한 제2절연층은 에칭 처리되어,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며, 이 제조공정에 사용된 에칭 용액은 1.6-6wt%의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2.5-10wt%의 플루오르화 암모늄을 함유한다.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의 에칭을 비율은 적절히 설정될수 있고, 여러 층들이 우수한 제어성으로 에칭될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표면은 에칭 처리 후에 평탄하게 되고, 균일한 에칭 동작이 수행될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RAM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메모리 셀의 상기 제조 방법에서 다른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9도는 메모리 셀의 상기 제조 방법에서 다른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Claims (9)

  1.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을 순서대로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최소한 상기 제2절연층을 에칭하는 단계; 및 상기 에칭 처리 단계시에 1.6-6wt%의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2.5-10wt%의 플루오르화 암모늄을 함유하는 에칭 용액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이 저온에서 실리콘 산화물 성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은 표면이 평탄화되도록 에칭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캐패시터가 메모리 셀 내에 형성될때, 상기 제1절연층이 층간 절연막으로서 형성된 다음, 제2절연층이 상기 제1절연층 상에 형성되며; 최소한 제2절연층이 에칭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2전도층이 적층 셀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전도층 상에 하부 전극으로서 박충될때, 상기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이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순서대로 형성되는 처리 단계; 상기 제2절연층이 평탄화되도록 에칭되고,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제1전도층 상에 노광되는 처리 단계; 노광된 상기 제1절연층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상기 제2전도층이 상기 제거 영역상에 형성되는 처리 단계; 상기 제2절연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이 상기 처리 단계 이후에 에칭되는 처리 단계; 에칭 처리 이후에, 유전막이 상기 제1전도층 및 상기 제2전도층의표면 상에 형성되는 처리 단계; 제3전도층이 상부 전극으로서 상기 유전막 상에 형성되는 처리 단계; 상기 제1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이 상기 제3전도층 상에 순서대로 형성되는 처리 단계; 및 상기 제2절연층이 평탄화되도록 에칭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 캐패시터가 하부 전극으로서 사용된 상기 제1전도층만으로 형성될때, 유전막이 상기 제1전도층 상에 형성되는 처리 단계; 상부 전극이 상기 유전막 상에 형성되는 처리 단계; 상기 제1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이 상기 상부 전극 상에 순서대로 형성되는 처리 단계; 및 상기 제2절연층이 평탄화되도록 에칭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셀 캐패시터가 핀(fin) 형태로 형성될때, 상기 제1절연층이 또한 상기 전도층의 핀 부분 바로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층이 상기 메모리셀의 소오스 영역에 접속되는 동안, 상기 상부 전극 상에 있는 상기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은 또한 상기 메모리 셀의 드레인 영역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영역상에서, 접촉 혹은 상기 제1절연층 및 제2절연층을 포함하는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방법.
  9. 제1항내지 제8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서, 최소한 상기 제2절연층을 에칭하는데 사용되고, 1.6-6wt%의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2.5-10wt%의 플루오르화 암모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용액.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3756A 1994-02-25 1995-02-25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KR950034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2744 1994-02-25
JP05274494A JP3355504B2 (ja) 1994-02-25 1994-02-25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ッチング液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787A true KR950034787A (ko) 1995-12-28

Family

ID=1292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756A KR950034787A (ko) 1994-02-25 1995-02-25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69646A1 (ko)
JP (1) JP3355504B2 (ko)
KR (1) KR950034787A (ko)
TW (1) TW288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444A (en) * 1995-09-14 1998-12-08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with reduced aspect ratio contact hole
JP2977077B2 (ja) * 1996-08-16 1999-11-10 ユナイテッド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プ ツリー型コンデンサを備えた半導体メモリ素子
JP3210262B2 (ja) * 1996-08-16 2001-09-17 ユナイテッド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プ ツリー型コンデンサを備えた半導体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JP3188843B2 (ja) * 1996-08-28 2001-07-16 ステラケミファ株式会社 微細加工表面処理剤及び微細加工表面処理方法
JP2000164586A (ja) 1998-11-24 2000-06-16 Daikin Ind Ltd エッチング液
JP3903215B2 (ja) * 1998-11-24 2007-04-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エッチング液
JP2001203334A (ja) * 1999-11-10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キャパシタを有す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27080B1 (ko) * 2005-05-25 2009-11-13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Bpsg막과 sod막을 포함하는 기판의 에칭액
CN111363551B (zh) * 2020-03-19 2021-11-30 常州星海电子股份有限公司 超大功率光阻玻璃芯片刻蚀用腐蚀液及腐蚀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3228C2 (de) * 1991-07-12 1994-05-26 Siemens Ag Verfahren zur Dotierstoffkonzentrationsbestimmung mittels Ätzratenbestimmung in Borphosphorsilikatglasschichten für integrierte Halbleiter
US5180689A (en) * 1991-09-10 1993-01-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Tapered opening sidewall with multi-step etch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88168B (ko) 1996-10-11
JP3355504B2 (ja) 2002-12-09
JPH07240474A (ja) 1995-09-12
EP0669646A1 (en) 199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3711A (ko) 캐패시터가 적층되어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960036062A (ko) 고집적 반도체장치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930020676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950021710A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50034787A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시에 사용된 에칭 용액
KR950010018A (ko) 절연재로 채워진 홈에 의해 형성되는 필드 절연영역을 갖는 반도체 몸체를 포함한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950024341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KR950030397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0152175B1 (ko)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70077665A (ko)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970053822A (ko)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JP256936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960026870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40008072A (ko) 반도체 소자의 고축적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970018556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970003963A (ko) 캐패시터의 전하저장 전극 형성 방법
KR970054549A (ko)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960026829A (ko) 반도체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제조방법
KR960002789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970054125A (ko)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KR970054212A (ko) 반도체 소자의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KR970018560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S6455852A (en) Semiconductor device
KR950021495A (ko) 전하저장전극 형성방법
KR970054002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