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529B1 -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 Google Patents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529B1
KR950012529B1 KR1019900001261A KR900001261A KR950012529B1 KR 950012529 B1 KR950012529 B1 KR 950012529B1 KR 1019900001261 A KR1019900001261 A KR 1019900001261A KR 900001261 A KR900001261 A KR 900001261A KR 950012529 B1 KR950012529 B1 KR 95001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rse
thread
stroke
cent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827A (ko
Inventor
다까미 스기오까
Original Assignee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마니 쇼오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마니 쇼오따 filed Critical 데이진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827A/ko
Priority to KR101995002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36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with a rotating guide for traversing the yarn
    • B65H54/2839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with a rotating guide for traversing the yarn counter rotating guides, e.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트래버스 장치를 조립한 권취기의 개략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1실시예의 트래버스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유니트의 상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5도는 및 제6도는 사조가 트래버스 될때의 사의 주고 받는 상태를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설명하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트래버스 장치 4 : 콘택트 로울러
5 : 보빈홀더 6 : 보빈
7 : 패키지 8 : 트래버스 지점
9 : 슬라이드블록 10 : 프레임
U : 유니트 U1, U2 : 부재
W : 권취장치 Y : 사조
23, 24 : 날개형 부재(제1트래버스 수단)
25, 26 : 날개형 부재(제2트래버스 수단)
본 발명은 사조의 고속 권취 형상이 좋은 콥웨빙이 없는 패키지를 얻기 위한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트래버스 장치로서는 예컨대 특공소 53-22178호 공보, 특공소 46-36258호 공보, 특개소 59-194977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쪽의 사가이드에서 다른 한쪽의 사가이드에 주고 받기할때 일순간에 사조가 자유상태, 즉 사조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트래버스 단부에 있어서 패키지의 변이 높아지는 일이 생겨 사질이 나빠지거나 콥웨빙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권취속도가 5000m/min을 넘는 사조의 권취에 있어서의 트래버스 전환(반전)시의 사조의 관성에 의해 사조가 휘청거려 상기 폐단이 현저하게 발생하였다.
상기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공소 54-3985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채용되어 왔으나 트래버스 단부의 약간의 거리에서 밖에 작용하지 않고, 트래버스 전환시의 사조의 타성에 의한 사조의 휘청거림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고, 패키지 단면에서 사조가 빠지는, 이른바 하니스 스킵(harness Skip)이 발생했을 때는 권취가 불가능해질 경우가 있었다.
상기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트래버스가이드의 상류의 규제가이드를 이 규제가이드가 고정 가이드이기 때문에 트래버스 중심측에 크게 접근시킬 필요가 없고, 사조의 굴곡각이 커져서 사조가 당겨지거나 사조의 장력이 높아져서 사질이 나빠지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트래버스 지점(支點), 이 트래버스 지점하류에 설치된 사조를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 이 트래버스된 사조를 권취하는 보빈을 장착한 보빈홀더, 이 보빈 홀더상의 보빈에 압접되는 콘택트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사조의 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가 트래버스 지점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하류에 설치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양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사조를 이동시키는 제1트래버스 수단과, 이 제1트래버스 수단 하류에 제1트래버스 수단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양단을 향하여 사조를 이동시키는 제2트래버스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을 향하여 이동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을 향하여 운반하고, 이어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다른쪽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을 향하여 이동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1트래버스 수단에 주고 받기하여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에서 중심을 향하여 운반하고, 중심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순차주고받기 하도록 하여 사조를 트래버스 하도록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에 의해 종래기술에 부수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특히,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으로 운반된 사조가 제1트래버스 수단에 걸어맞춤될때에 트래버스 지점과,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사조가 콘택트 로울러와 접촉하는 점이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위치, 또는 이 일직선에서 약간 굴곡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트래버스 중심과 반대방향으로 약간 굴곡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2트래버스 수단의 사가이드로 인도된 후에 이 제2트래버스 수단의 사가이드에서 사조를 해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을 향하여 이동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을 향하여 운반하고, 이어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다른쪽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을 향하여 이동하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1트래버스 수단에 주고받기하여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끝에서 중심을 향하여 운반하고, 중심으로 운반된 이 사조를 제2트래버스 수단에 순차 주고받게 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한쪽의 사가이드에서 다른 한쪽의 사가이드에 주고 받기할때에 사조가 자유상태가 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되고, 트래버스 끝부분에 있어서 패키지의 변이 높아지지 않으며 사질이 나빠지지 않고 콥웨빙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권취기를 정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사조(Y)는 도시되지 않은 연신장치에 의해 연신되고, 트래버스 지점이 되는 스네일가이드(8)를 통과하여 권취장치(W)에 의해 권취된다. 권취에 있어서, 사조(Y)는 트래버스 장치(3)에 의해 좌우(제1도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로 트래버스되면 콘택트 로울러(4)의 P점에 도달되고, 콘택트 로울로(4)에 의해 마찰구동되는 보빈홀더(5)에 장착된 보빈(6)상에 패키지(7)로서 권취된다.
사조(Y)의 트래버스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트래버스 장치(3)에 의해 행해진다.
슬라이드 블록(9)에 프레임(10)이 돌출설치되고, 프레임(10)에는 콘택트 로울러(4)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콘택트 로울러(4)의 상류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유니트(Vl)(Vr)가 볼트(20)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9)에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유니트는 (U1) 및 (U2)로 도시하는 2부재로 구성되고, 부재(U1),(U2)에는 축(11)이 베어링(15,1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축(12)이 베어링(17,1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축(13)이 베어링(19,2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또한 축(14)이 베어링(21,2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각 축(11,12,13,14)의 끝부분에는 각각 보스(11a,12a,13a,14a)가 형성되고, 보스(11a,12a,13a,14a)에는 각각 사조를 트래버스하기 위한 날개형 부재(23,24,25,26)가 고착되어 있다.
날개형 부재(23,24,25,26)는 그들 날개형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면이, 사조가 트래버스됨으로써 형성되는 면과 서로 직교하도록, 혹은 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날개형 부재가 형성되는 면이 사조의 주행 방향으로 하류 방향을 향하여 경사(본 실시예에서는 30도)져 있다.
또, 축(11,12,13,14)의 각각에는 상하의 베어링 쌍(15,16),(17,18),(19,20)(21,22)에 끼워지는 중간위치에 기어(27,28,29,30)가 키이(31,32,33,34)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기어(27,29)는 서로 맞물려 있고, 또, 기어(28,30)도 서로 맞물려 있다. 그리고, 기어(35,36)가 서로 맞물려져 있고, 또, 기어(27,28)는 각각 기어(35,36)와 맞물려 있고, 기어(27)과 (28)가 서로 역회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우·좌측의 날개형 부재(23,24)는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사조를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날개형 부재(23,24)를 제1트래버스 수단이라 한다.)
한편, 하부 우·좌측의 날개형 부재(25,26)는 트래버스의 중심근방에서 바깥방향을 향하여 사조를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이하, 날개형 부재(25,26)를 제2트래버스 수단이라 함).
유니트의 부재(U1)에 가이드레일(37)이 지지부착되고, 또 유니트의 부재(U2)에 가이드레일(38)이 지지부착되어 있다.
상부 우·좌측의 날개형 부재(23,24)의 상류 및 하부 우·좌측의 날개형 부재(25,26)의 하류에는 가이드 레일(37,38)이 위치되어 있고, 가이드레일(37,38)의 형상은 상기 날개형 부재(25,26)에서 운반될때에 가이드레일(37,38)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조의 이동 속도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선정되어 있다.
상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3)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우측끝에서 운반된 사조가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근방에 도달하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으로부터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좌측 끝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 주고 받게 되고, 이 하부 좌측의 날개(26)에 의해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좌측 끝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좌측 끝에 있어서, 사조는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좌측끝방향에서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는 상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4)에 주고 받게 되어 트래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방향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이 사조를 상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4)에서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에 주고받고 하여,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우측 끝방향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우측끝에 있어서는 사조를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에서 상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3)에 주고 받게 되며, 이하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조를 트래버스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유니트(Vr,Vl)사이에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39,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기어(39)는 좌측의 유니트(Vl) 기어(35)와 맞물리고, 우측의 기어(39')는 우측 유니트(Vr)의 기어(36)와 맞물고 있다.
또, 기어(39,39')는 각각 프레임(10)에 고착된 축(도시않음)에 베어링(도시않음)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에 고착된 축(도시않음)에 베어링(도시않음)을 통하여 기어(45)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기어(45)는 유니트(Vl)의 기어(36)와 맞물고 있다.
프레임(10) 선단부(제2도 좌측)에는 모우터(43)가 고착되고, 모우터(43)의 출력축(43a)에는 기어(44)가 지지부착되어 있다.
기어(44)와 기어(45)는 맞물리고 있으며, 유니트(Vr)(Vl)가 모우터(43)에 의해 구동된다.
모우터(43)는 사조 권취중 소정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주위에서 소정의 주기, 진폭으로 회전수를 변화시켜 패키지(7)에 리본와인딩(ribbon wind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5도 내지 제6도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사조의 구조 받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면중, 원으로 두른 숫자는 사조의 주고받는 순서를 순번으로 나타낸다.
시점①에 있어서의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 의해 사조(Y)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사조(Y)가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좌측끝 턴닝부에 도달하면(②의 상태), 사조(Y)는 우측방향으로 향하여 회전하는 상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4)와 접촉되는데,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는 다시 좌측 방향으로 사조를 운반하고, 사조(Y)와 콘택트 로울러(4)와의 접점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 또는 상기 직선에서 약간 굴곡된 위치에서 사조(Y)는 가이드 레일(38)와 걸어 맞춤하여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서 벗겨진다.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서 벗겨진 사조(Y)는 상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4)에 의해 제6도의 ③으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우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④에서 표시하는 바와같이 사조(Y)가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중심근방으로 운반되면 사조(Y)는 상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4)에서 소정거리(L) 떨어져서 또 하류측에 있는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와 걸어 맞춤하여 ⑤로 표시된 바와같이 우측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사조(Y)가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끝에 도달하면, 즉,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에서 운반된 사조(Y)가 턴닝부에 도달하면(⑥의 상태) 좌측 방향으로 향하여 회전하는 상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3)와 사조가 걸어맞춤 되지만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는 다시 우측 방향으로 사조를 운반하고, 사조(Y)와 콘택트 로울러(4)와의 접점이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 또는 상기 직선에서 트래버스의 중심과 반대방향으로 약간 굴곡되는 위치에서 사조(Y)는 가이드 레일(38)과 걸어맞춤하여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에서 벗겨진다.
이 경우에 사조(Y)가 트래버스 지점과 콘택트 로울러(4)의 프린팅점을 연결한 가상직선에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5)에 벗겨진 사조(Y)는 상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3)에 의해 제5도의 ⑦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⑧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조(Y)가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근방으로 운반되면 사조(Y)는 날개형 부재(23)에서 소정거리(L) 떨어지고, 또 하류측에 있는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와 걸어맞춤하여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 의해 운반된다.
사조(Y)는 가이드레일(37)과 걸어맞춤하여 상부 우측의 날개형 부재(23)에서 벗겨지고, 사조(Y)는 ①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하부 좌측의 날개형 부재(26)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운반된다.
이하, 상기 주고 받기가 반복되고, 보빈홀더(5)에 장착된 보빈(6)상에 패키지(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율, 즉,(콘택트 로울러에서 제2트래버스 수단까지의 거리(H))/(제2트래버스 수단에서 제1트래버스 수단까지의 거리(L))=(1/1.1)로 하였으나 이 비율은(5/1)-(1/4)의 사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과대하면(즉, 사조(Y)가 트래버스 지점과 콘택트 로울러(4)의 프린트(접촉)점을 연결한 가상 직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β)가 과대하면 사조(Y)가 날개형 부재(23),(25)와 날개형 부재(24),(26)사이에서 당겨져 모우가 발생하나, 신도의 불균일이 생기거나, 사조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된다. 반대로 이 비율이 과소하면 특히 고속권취시에 있어서 트래버스 턴닝부에서 사조가 관성력에 의해 안정되지 않고 콥웨빙이 발생하는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래버스 장치(3)를 콘택트 로울러(4) 위에 배치하였으나 트래버스 장치를 사조(Y)를 끼고 콘택트 로울러(4)에 대향배치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사조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날개형 부재가 형성하는 면이 사조의 주행방향으로 하류방향을 향하여 30도 경사지게 되어 있었으나 다른 배치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개의 축에 날개형 부재를 1개 고착하였으나, 1개의 축에 복수개의 날개형 부재를 고착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4축에 날개형 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나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양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사조를 이동시키는 제1트래버스 수단과 트래버스 스트로우크 중심에서 양단을 향하여 사조를 이동시키는 제2트래버스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축의 수는 더 많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보빈홀더를 갖는 수동 권취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갖는 자동권취기라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홀더에 2개의 패키지를 권취하는 트래버스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1개 또는 2개 이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트래버스 수단과 상기 제2트래버스 수단이 서로 역회전하는 사가이드를 갖는 회전날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제1트래버스 수단과 상기 제2트래버스 수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사가이드를 갖는 무단체(無端體)로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래버스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고속권취에 있어서도 변이높은 일이없는 양호한 권취 상태의 패키지를 얻을 수 있고 권취된 사조의 품질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조를 트래버스 할때 발생하는 트래버스 전환부에서의 사조의 지연(HXtanα, H:프리렝스(free-length),α:트래버스 각도)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조(Y)와 콘택로울러(4)와의 접점이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 또는 약간 굴곡되는 위치까지 운반되기 때문에 트래버스 전환부에서의 사조의 여유나 느슨함이 없고, 변이 높아지거나 콥웨빙을 방지할 수 있고, 경도가 균일한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트래버스운동을 위한 제1트래버스 수단(23,24)과,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의 하류에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2트래버스 수단(25,26)을 포함하며, 사조(Y)를 제1 및 제2트래버스 수단(23,24:25,26)간에 교호하여 이동시켜 그 한 선단에서 타선단으로 상기 소정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를 트래버스시키며,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23,24) 및 제2트래버스 수단(25,26)은 서로 역회전하는 사가이드가 구비된 회전날개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사조(Y)를 소정 트래버스 스트로우크를 가로질러 전후로 트래버스시키는 트래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는 제1회전축 주위로 한 선단에서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스핀들 수단(11,12)과, 상기 제1회전스핀들 수단에 이웃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평행한 제2회전축 주위로 상기 제1회전스핀들 수단의 일단에 대항한 선단에서 상기 제2트래버스 수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스핀들 수단(33,34)을 포함하며, 사조(Y)의 주행방향에 상기 제1 및 제2트래버스 수단에서 기울어진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트래버스 수단이 동시에 상기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사조(Y)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조(Y)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프레임(1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23,24)는 적어도 한쌍의 상기 회전날개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의 회전날개형 부재의 중심은 상기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상기 선단 가까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트래버스 수단(25,26)도 적어도 한쌍의 상기 회전날개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트래버스(25,26)의 회전날개형 부재의 중심은 상기 제1트래버스 수단(23,24)의 상기 회전날개형 부재의 회전중심의 정면과 상기 트래버스 스트로우크의 선단가까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KR1019900001261A 1989-02-04 1990-02-02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KR95001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050A KR950010681B1 (ko) 1989-02-04 1995-07-25 사조의 트래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384 1989-02-04
JP1026384A JP2627658B2 (ja) 1989-02-04 1989-02-04 糸条のトラバース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050A Division KR950010681B1 (ko) 1989-02-04 1995-07-25 사조의 트래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27A KR900012827A (ko) 1990-09-01
KR950012529B1 true KR950012529B1 (ko) 1995-10-18

Family

ID=1219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261A KR950012529B1 (ko) 1989-02-04 1990-02-02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49002A (ko)
EP (1) EP0382104B1 (ko)
JP (1) JP2627658B2 (ko)
KR (1) KR950012529B1 (ko)
CN (1) CN1023783C (ko)
DE (1) DE690082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4986B1 (en) * 1989-04-28 1994-11-09 TEIJIN SEIKI CO. Ltd. A yarn traversing apparatus
US5282582A (en) * 1989-04-28 1994-02-01 Teijin Seiki Co., Ltd. Yarn traversing apparatus
IT1243391B (it) * 1990-11-23 1994-06-10 Savio Spa Dispositivo posafilo con elementi guidafilo rotanti su due piani inclinati convergenti
EP0622324B1 (de) * 1993-04-29 1998-01-14 Maschinenfabrik Rieter Ag Flügelchangiereinrichtung
CN101475108B (zh) * 2009-01-09 2011-10-05 江阴市华方新技术科研有限公司 粗纱的并纱装置
ITBS20110178A1 (it) * 2011-12-20 2013-06-21 Marzoli Spa Filatoio con dispositivo di oscillazione longitudinale dello stoppin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54884C (ko) * 1938-10-20
GB1108933A (en) * 1964-05-29 1968-04-10 Leesona Holt Ltd Improvement in winding machines
US3333782A (en) * 1965-04-29 1967-08-01 Leesona Corp Winding machine
US3491962A (en) * 1965-12-16 1970-01-27 Ingham S Roberts High speed winder
US3650486A (en) * 1968-05-20 1972-03-21 Toray Industries Yarn travers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rotary blade type
JPS5948357A (ja) * 1982-09-08 1984-03-19 Toray Ind Inc 糸条巻取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114641B1 (de) * 1983-01-19 1986-05-28 b a r m a g Barmer Maschinenfabrik Aktiengesellschaft Aufspulmaschine mit Flügelchangierung
US4505437A (en) * 1983-01-29 1985-03-19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Apparatus for winding a plurality of yarns
DE3664131D1 (en) * 1985-03-15 1989-08-03 Barmag Barmer Maschf Wi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27658B2 (ja) 1997-07-09
US5149002A (en) 1992-09-22
JPH02243471A (ja) 1990-09-27
DE69008209D1 (de) 1994-05-26
CN1044794A (zh) 1990-08-22
EP0382104A3 (en) 1990-12-19
EP0382104A2 (en) 1990-08-16
CN1023783C (zh) 1994-02-16
EP0382104B1 (en) 1994-04-20
KR900012827A (ko) 1990-09-01
DE69008209T2 (de) 199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337A (en) Yarn guide assembly for winding machine
KR950012529B1 (ko) 사조의 트래버스 장치
RU20107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стовой намотки натуральных или синтетических нитей, подаваемых с большой скоростью
KR950010681B1 (ko) 사조의 트래버스장치
KR950005416B1 (ko) 사조의 트래버어스 장치
US4819422A (en) Arrangement for winding a double yarn onto a cross-wound spool
DE69816215T2 (de) Spinnereimaschine und ihr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2733794B2 (ja) 糸条の綾振り装置
JP2618038B2 (ja) 糸条のトラバース装置
US4696436A (en) Multi-position yarn spinning/winding apparatus
JP2612084B2 (ja) 糸条のトラバース装置
US5282582A (en) Yarn traversing apparatus
JP2756854B2 (ja) 糸条の綾振り装置
JP2740968B2 (ja) 糸条のトラバース装置
US3018974A (en) Multiple bobbin winding apparatus for yarn and the like
JPH0678154B2 (ja) 綾振装置
JP2511686B2 (ja) 糸条のトラバ―ス装置
JPS58224970A (ja) 巻取装置
DE3341474A1 (de) Vorrichtung zum umspinnen eines spinnfaserstrangs mit spinnfasern
JPH0129243Y2 (ko)
JPS587590B2 (ja) 糸条巻取装置
JPH01162683A (ja) 紡績機械のトラバース装置
JPH02270767A (ja) 糸条巻取機
JP2000136450A (ja) 糸掛器具および糸掛方法
JPS63288866A (ja) トラバ−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