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086B1 -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 Google Patents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086B1
KR950007086B1 KR1019910001398A KR910001398A KR950007086B1 KR 950007086 B1 KR950007086 B1 KR 950007086B1 KR 1019910001398 A KR1019910001398 A KR 1019910001398A KR 910001398 A KR910001398 A KR 910001398A KR 950007086 B1 KR950007086 B1 KR 95000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pper alloy
alloy wire
copper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090A (ko
Inventor
아키히토 쿠로사카
수에지 차바타
하루오 토미나가
켄이치 미야우치
미치오 코이케
타카시 니씨다
히로히토 타케무라
토씨히토 와타나베
카주미치 카사이
타카오 츄보이
Original Assignee
후지꾸라 덴센 가부시끼가이샤
카가야 세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8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30415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꾸라 덴센 가부시끼가이샤, 카가야 세이치 filed Critical 후지꾸라 덴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0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01B5/04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wound or coile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제1도는 본 발명의 다중코어 결합선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다중코어 결합선의 선경과 인장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선 2 : 도체
3 : 절연층 4 : 보호층
5 : 이중코어 결합선 6 : 접착층
A : 은 0.1%를 포함한 에나멜선,
B : 은을 포함하지 않은 에나멜선
C : 상기 A를 이용한 다중코어 결합선
D : 상기 B를 이용한 다중코어 결합선
본 발명은 자기헤드 배선에 사용되는 도체의 동합금선과, 절연전선과 도체인 동합금선을 갖는 다중코어 결합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전기 도전율, 인장력과 신율을 갖는 선경(線經) 90㎛ 이하인 세선(細線)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경이 0.1mm 이하인 동(銅)세선이 점차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장비의 개발에 따른 자기헤드용 동선과 코어선 분야에서 선경 50㎛ 이하인 세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동선의 세선작업에 있어서, 권선시에 선이 끊어지거나 선의 터미날이 굽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동세선이 자기헤드의 중공부를 통해 페라이트 코어부에 권선될때, 선의 터미날이 굽어져서 중공부를 통해 선을 통과시키는 것이 어렵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것이 실제로 발생하면, 권선을 수동으로 작업해야 하는 비상수단이 취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성력화(省力化)를 위한 로보트를 사용한 자동권선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선의 끊어짐과 굽어지는 현상은 생산성의 감소를 어찌할 수 없이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자기헤드 권선용 동선에 사용되는 동세선의 인장력, 신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전기 도전율의 감소없이 굽힘저항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동선제를 동선의 인장력을 증대하는데 이용되는 일반적으로 방법인 높은 수축율로 인발하는 인발법으로 동세선이 만들어질때, 선의 신율이 감소되어 원하는 신율을 얻을 수 없고, 선 완제품의 전기 도전율이 저하된다. 한편, 감소된 동세선의 신율을 증대하기 위해 완전히 유연하도록 어니일링시키면, 원하는 인장력과 굽힘저항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사항을 감안하여, 전기 도전율의 감소없이 향상된 굽힘저항을 가지며, 권선시 선의 끊어짐과 굽힘을 방지할 수 있는 동합금선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개량된 동합금선으로 제조된 다중코어 결합선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광범위한 연구후에, 본 발명이 완성되었으며, 0.01%의 은과 잔부의 동과 불순물로 구성된 합성물의 동합금선이 제공되었으며, 상기 동합금선은 40%의 수축율을 갖는 선재를 연발하고 상기 선재를 27kg.f/mm의 인장력과 5% 신율을 갖도록 반어니일링(Half Annealing)하여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의 상기 동선과 상기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층으로 된 절연전선을 제공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코어로서 서로에 대해 평행되게 결합된 2개 이상의 상기 절연전선으로 결합된 다중코어 결합선을 제공한다.
본원의 동합금선은 0.01% 은(Ag)과 잔부의 동(Cu)과 불순물로 이루어진 동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은의 함량은 무게비로 0.02에서 0.5% 범위에 있다. 동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단단한(tough pitch) 등일 수 있으나 가능하면 무산(無酸)동이 사용된다. 무산동의 순도는 99.9% 이상이 요구된다.
은 함량이 0.01% 보다 적다면 불충분한 은 함량은 유연온도(재결정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여 동합금선이 에나멜과정 등에서 완전히 유연해지는 경향이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선재의 은 함량을 0.01% 이상으로 맞춘다. 역으로 0.5%를 초과한 은 함량으로는 도체의 저항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가격이 상승되는 폐해를 갖는다.
무산동의 산소함량을 30ppm 이하로 맞춘다. 30ppm 이상이면 산화물의 비금속 불순물량이 증가하여 인발시 선의 끊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원에 이용되는 무산동은 얼마간의 피할 수 없는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으나 상기 불순물의 총량을 0.0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합성물을 갖는 동합금을 사용하여 종래의 주조법으로 선이 주조되고, 40% 이상의 수축율로서 종래의 인발법으로 인발하여 요구되는 외경 즉, 50㎛의 다중세선을 얻는다. 인발은 각 단계로 나누어져 형해진다. 예를들어, 직경 16∼20mm의 선이 주조되어 지경 1~2mm의 선으로 인발된다. 그런후, 선이 완전 어니일링(완전 유연처리)되도록 선을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어니일링하고, 40% 이상 바람직하기는 90%이상, 더욱 바람직한 것은 99.9%의 수축율로 선을 인발하여, 목적하는 바의 외경, 예를들면 50㎛를 갖는 세선을 얻는다. 여기서 언급된 40% 이상의 수축율이란 선의 목적하는 바의 외경을 얻기 위한 최종 인발 단계후의 선의 수축율이 40% 이상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일련의 인발단계에서 적절히 어니일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시에 최종 인발에서의 선의 수축율이 40%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수축율이 40% 이하라면 동합금선은 제조후 요구되는 인장력을 가질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에 언급된 대로 40% 이상의 수축율로 인발되어져야 하는 선재는 반어니일링의 열처리를 하여야 한다. 여기서 “반어니일링의 열처리”란 재결정이 중간정도로 진행되도록 일반적인 냉간가공금속에 행하여지는 열처리를 말한다.
그러므로, 반어니일링의 열처리가 행하여진 조건을 각각 넓은 범위로 맞출 수 있는 온도와 시간을 포함한다. 주로 재결정의 활성에너지에 맞는 온도 및 시간조건을 선별하는데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조건 즉, 반어니일링의 열처리의 온도 및 시간을 27kg.f/mm2이상 가능하면 27∼35kg.f/㎟의 인장력과 5% 이상 가능하면 5∼15%의 신율을 갖도록 맞춘다. 불활성가스 분위기와 같은 비산화분위기에서 반어니일링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합금선이 27kg.f/㎟ 이하의 인장력을 갖는다면 권선과정에서 원하는 굽힘력이 얻어질 수 없고 선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선의 신율이 5% 이하이라면 코일형상으로 잠긴 선은 소위 스프링 벽으로 굽혀지지 않아 권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27kg.f/㎟ 이상의 인장력과 5% 이상의 신율과 같은 적합한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서 반어니일링의 열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선에서 직경이 90㎛ 이하 바람직하기는 50㎛ 이하인 세선을 얻는다.
이로서 얻어진 동합금선은 필요 이상의 인장력과 적합한 신율을 가지고, 계속되는 에나멜단계에서 인장력과 신율과 같은 기계적 성질의 권선의 코어에 요구되는 지수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선은 권선단계에서 끊어지지 않고 우수한 굽힘저항을 가져 예를들면, 권선단계에서 자기헤드의 중공부를 가져 자기헤드의 페라이트 코어부에 감을때 동합금선의 터미날이 굽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전기 도전율을 저하시키지 아니하며 굽힘력, 인장력과 신율과 같은 선의 기계적 성질을 증대시켜 권선단계에서 동합금선의 끊임과 굽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절연전선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절연전선은 도체인 상기 설명된 동합금선과 상기 도체를 덮은 절연층으로 구성된다. 절연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폴리아미드 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히단토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포름알데히드, 폴리비닐부틸알데히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절연피복재를 종래 방식으로 피복한 후 구어서 형성시킨다. 피복재중 결합성(solderability)의 면에서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절연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상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절연층의 두께는 10㎛ 이하 바람직하기는 5㎛이다. 게다가, 필요시 절연층위에 보호층을 마련할 수 있다.
절연층등에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히단토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포름알데히드, 폴리비닐부틸알데히드, 에폭시수지와 실리콘수지와 같은 절연피복재를 피복한 후 구어서 형성시킨다. 보호층 대신, 폴리아미드등으로 만들어진 자동윤활(self-lubricating)층 또는 폴리비닐부틸 알데히드, 폴리아미드등으로 만들어진 자동결합(self-bonding)층이 상기 절연층위에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연전선은 또한 90㎛ 이하의 소직경의 전기세선이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중코어 결합선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코어 결합선을 나타낸다. 제1도에서 부호 1은 절연선을 나타낸다. 절연선(1)은 절연층(3)이 피복된 도체(2)와 절연층(3)을 피복하는 보호층(4)으로 구성된다.
도체(2)는 상기에서 설명된 동합금선으로 만들어지며, 그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직경이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50㎛ 이하, 바람직하기는 40㎛ 이하가 좋다.
도체(2)위에 절연층(3)이 피복된다. 절연층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히단토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포름 알데히드, 폴리비닐부틸 알데히드, 에폭시수지와 같은 절연 피복재를 종래의 방식으로 피복한 후 구어서 형성시킨다. 피복재중 결합성의 면에서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절연층(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상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절연층(3)의 두께는 10㎛ 이하 바람직하기는 5㎛이다.
게다가 절연층(3)위에 절연선(1)을 형성하기 위해 보호층(4)을 피복시킨다.
보호층(4)은 절연층(3)등의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나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보호층(4)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히단토인, 폴리이미드, 폴리비닐포름 알데히드, 폴리비닐부틸 알데히드, 에폭시수지와 실리콘수지와 같은 절연 피복재를 종래 방식으로 피복한 후 구어서 형성시킨다. 피복재중 결합성의 면에서 폴리우레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보호층(4) 대신에 나일론등으로 만들어진 자동윤활(self-lubricating)층 또는 폴리비닐부틸 알데히드등으로 만들어진 자동겹합(self-bonding)층이 절연층(3)위에 피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절연선(1)의 두개를 배열시켜 접착수지 조성물로 서로를 평행되게 접합시켜서 이중코어 결합선을 형성시킨다. 제1도에서 부호 6은 접착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접착층을 나타낸다.
접착수지 조성물로서, 폴리아미드, 폴리비닐부틸 알데히드, 폴리술폰, 폴리술폰에테르, 에폭시수지, 페녹시수지등과, 상기 설명된 수지들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와 이소시안 화합물, 아미노 프라스트 화합물 또는 무수산과 같은 경화제와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를 열거할 수 있다.
접착층(6)의 두께는 1㎛에서 10㎛로 순차적일 수 있으나, 얇을 수록 바람직하다.
이중코어 결합선(5) 또한 상기의 접착수지 화합물로 이용하지 않고 제작될 수 있다. 즉, 보호층(4) 또는 절연층(3) 그 자체를 접착수지 화합물로서 동시에 사용할 수있다. 이는 보호층(4) 또는 절연층(3)을 이루는 수지화합물을 적합하게 선택하고 그의 두께를 적절히 맞추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선은 절연선(1)의 2개를 길이 방향에 따라 서로 간헐적으로 접착시키므로 얻을 수 있는 것일 것이다.
다시말해, 결합부와 비결합부가 이중코어 결합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더우기, 절연선(1)의 3개 이상을 서로 평행으로 배열결합시켜 다중코어 결합선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다중코어 결합선은 도체의 직경이 작은 것에 비해 고 인장력을 갖고 있어 선재에서 분리하여 결합하거나 자동권선할때 끊어지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체의 직경이 작음에도 도체의 저항이 증가하지 않아서 권선수를 증가하더라도 직류저항이 증가하지 않는다. 더우기, 무산동은 높은 주파수특성을 가져 낮은 전송손실로 10MHZ 이상의 신호전송을 한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예로 자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시험 1∼6]
은(Ag)을 산소 8ppm과 다양한 양으로 불순물 0.006%를 함유하는 무산동에 첨가하여, 외경 16mm의 동합금선을 답성형(dip forming)으로 얻는다. 그 전후 99.9%의 수축율로 선을 연속 인발기에서 인발하여 직경 40㎛의 세선을 얻는다. 이 세선으로 도체를 만들기 위해 어니일링노에서 반어니일링 열처리를 한다.
도전율이 이들 도체에서 측정된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시험 1-6)
Figure kpo00001
표 1의 결과로 은의 함량이 무게비로 0.5% 이하일때 도전율은 실질적으로 IAC S 100%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7∼9]
은(0.1%)을 산소 8ppm과 불순물 0.006%를 함유한 무산동에 첨가하여, 외경 2.6mm의 동합금선을 딥성형으로 얻는다. 그후 선을 인발하여 직경 50∼1270㎛의 선을 만든후 600℃의 어니일링노에서 완전히 어니일링된다.
다양한 수축율로 인발하여 직경 40㎛의 세선을 얻는다.
인장력과 신율이 이들 도체에서 측정된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시험 7-9)
Figure kpo00002
표 2의 결과에서 수축율 40% 이하일때, 반어니일링 열처리전의 선의 인장력이 27kg.f/㎟ 이하이어서 충분한 인장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10∼12]
은(0.1%)을 산소 8ppm과 불순물 0.006%를 함유한 무산동에 첨가하여 외경 16mm의 동합금선을 딥 성형으로 얻는다. 그후 선을 인발하여 직경 1.27mm의 선을 만든후 완전 어니일링한다. 이 선은 99.9% 이상의 수축율로 인발되어 직경 40㎛의 세선이 얻어진다.
상기 세선을 각각의 도체로 만들기 위한 반어니일링 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시험 10), 600℃에서 반어니일링 행한 것(시험 11)과 700℃에서 반어니일링 한 것(시험 12)로 제조된다.
각각의 인장력과 신율이 이들 도체에서 측정된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시험 10-12)
Figure kpo00003
표 3의 결과로 반어니일링 열처리를 행하지 않은 세선은 인발로 경(硬)해져 신율이 감소하고 유연성이 나빠진다. 반어니일링 열처리를 행하는 세선은 아주 연(軟)하게 되어 적절한 인장력을 갖지 못한다.
[시험 13]
직경이 13㎛로 된 것을 제외하고 시험 3에서 얻어진 동일한 도체를 폴리우레탄 피복재로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4㎛를 갖는 폴리우레탄 절연층을 도포하여 구어서 세선을 만든다.
이 세선에서 절연층의 핀홀수, 절연파괴전압, 인장력, 신율과 결합성이 측정된다. 핀홀수는 JIS-C-3003K에 따라 에나멜선의 5m당 갯수로 나타낸다.
결합성은 2초동안 380℃에서 선이 결합물로 피복될때 양호하다고 판정한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나고 있다.
[표 4]
(시험 13)
Figure kpo00004
[제1예]
페녹시수지 피복재가 시험 13에서 얻어진 절연세선(외경 : 38㎛)위에 도포되어 그 위에 두께 1μ인 접착층으로 도포하고 굽는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두선을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배열하여 약 200℃의 열처리로 통과시켜 양선을 서로 밀착시켜 양선이 접합되도록 접착층을 녹여서 이중코어 결합세선을 만든다.
이중코어 결합세선의 각종 성질이 표 5에 나타나 있다.
[표 5]
(제1예)
Figure kpo00005
제2도는 은 0.1% 함유한 에나멜선(A), 은을 함유하지 않은 에나멜선(B), 에나멜선(A)를 사용한 이중코어 결합선(C)와 에나멜선(B)를 이중코어 결합선(D)의 각각의 선경(線經)과 인장력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표에서 선의 인장력은 은의 첨가로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제2예]
은 0.01% 함유하고 직경 16mm인 동합금선을 인발하여 직경 2.6mm의 선재를 만든다. 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노에서 완전 어니일링 한 후, 선재를 99.9% 이상의 수축율로 인발하여 직경 40㎛의 세선을 얻는다. 그런후, 이선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 400℃의 온도로 어니일링시켜 반연(半軟) 상태로 전환시켜 인장력 35kg.f/㎟와 신율 5%의 은함유 동합금세선을 제조한다.
[제3예]
제2예의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유지시간 즉 어니일링 시간 보다 긴 유지시간을 갖기 위해 제3예에서의 선의 진행속도를 서서히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예의 작업진행과 동일하게 제3예의 작업진행을 시키며, 이로서 인장력 2kg.f/㎟와 신율 14.5%의 은함유 동합금 세선이 제조된다.
[제4예]
은 0.1% 함유하고 직경 16mm인 동합금선을 인발하여 직경 2.6mm의 선재를 만든다. 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노에서 완전 어니일링 한 후, 선재를 인발하여 직경 52㎛의 세선을 얻는다. 그런후, 이선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노에서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 완전 어니일링하고, 이렇게 해서, 얻어진 선을 40.%의 수축율로 인발하여 직경 40㎛의 세선을 얻는다. 이후,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 400℃ 온도로 어니일링시켜 반연(半軟) 상태로 전환시켜 인장력 2kg.f/㎟와 신율 11%의 은함유 동합금세선을 제조한다.
[비교 제1예]
제3예의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유지시간 즉 어니일링 시간 보다 긴 유지시간을 갖기 위해 제2예에서의 선의 진행속도를 서서히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예의 작업진행과 동일하게 진행시켜 인장력 23.3kg.f/㎟와 신율 16.5%의 은함유 동합금 세선이 제조된다.
[비교 제2예]
제2예의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유지시간 즉 어니일링 시간 보다 긴 유지시간을 갖기 위해 제3예에서의 선의 진행속도를 서서히하고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온도를 300℃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예의 작업진행과 동일하게 진행시켜 인장력 41kg.f/㎟와 신율 2.5%의 은함유 동합금 세선이 제조된다.
[비교 제3예]
최초 재질이 무게비 99.9%의 무산동선(직경 : 16mm)이며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온도가 300℃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예의 작업진행과 동일하게 진행시켜 인장력 28kg.f/㎟와 신율 10%의 순동세선이 제조된다.
[비교 제4예]
최초재질이 무게비 0.005%의 은함유 동합금로드(직경 : 16mm)이며 연속진행 어니일링노에서의 온도가 300℃로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예의 작업진행과 동일하게 진행시켜 인장력 32kg.f/㎟와 신율 7%의 은함유 동합 세선이 제조된다.
[비교 제5예]
제4예에 사용된 동일 동합금선을 인발하여 직경 2.6mm의 선재를 얻는다. 이를 불활성가스 분위기노에서 완전 어니일링 시킨후, 인발하여 직경 43㎛의 선을 얻는다.
더우기, 불화성가스 분위기의 연속진행노에서 완전 어니일링 시킨후, 얻어진 선을 수축율 13.5%을 가지며 직경 40㎛이며 인장력 25kg.f/㎟와 신율 18%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은함유 동함금 세선이 제조된다.
제2부터 4예와 비교 제1부터 4예에서의 얻어진 동합금 세선(동세선 포함)의 각 도전율(% IACS)이 측정된다. 동 혹은 동합금선의 외주에 에나멜을 도포시켜 구운후, 이들이 연하여졌나를 시험한다.
더우기, 선을 자기헤드의 페라이트 코어부 주위에 감아서 권성의 용이성을 시험한다.
얻어진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kpo00006
상기 표 6에서, 99%∼100% IACS의 고도전율을 갖는 동합금세선은 구운후에 연(軟)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용이하게 권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 제1부터 5예에서 얻어지는 동합금 또는 순동세선은 99∼101% IACS의 아주 높은 도전율을 갖는다. 그러나, 제1예의 연속진행 어니일링 시간보다 긴 어니일링 시간을 비교 제1예에서 얻어지는 동합금 세선과 수축율이 13.5%로 낮은 비교 제5예에서 얻어지는 동합금 세선은 에나멜을 구운후 연(軟)함을 보이지 않으나, 권선단계에 불적합한 인장력을 가져 낮은 굽힘저항으로 권선하기가 어렵다.
또한, 제2예의 연속진행 어니일링 시간보다 짧은 어니일링 시간을 갖는 비교 제2예와 얻어지는 동합금세선은 에나멜을 구운후 연(軟)함을 보이지 않으나, 권선단계에서 불적합한 신유로 스프링-백(spring back)을 일으켜 권선을 어렵게 한다. 더우기, 비교 제3예에서 얻어진 은을 함유하지 않는 순동세선과 비교 제4예에서 얻어진 0.005% 은을 함유하는 동합금 세선은 인장력이 감소되게 에나멜을 구으므로서 연(軟)해져서, 굽힘저항이 나빠져 권선하기가 어렵게 된다.

Claims (13)

  1. 동합금선이 0.01%∼0.5%의 은과 잔부의 동과 불순물로 구성되고, 상기 동합금선이 상기 합성물을 갖는 선재를 40% 이상의 수축율로 인발하는 단계와 반어니일링(Half annealing)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2kg.f/㎟ 이상의 인장력과 5% 이상의 신율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 동합금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선의 인장력이 27∼35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선의 신율이 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선.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동으로서 무산동(無酸銅)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선.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선의 외경이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합금선의 외경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합금선.
  7. 절연선이 도체로서의 동합금선과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동합금선이 0.01%∼0.5%의 은과 잔부의 동과 불순물로 구성되고 상기 동합금선이 상기 합성물을 갖는 선재를 40% 이상의 수축율로 연발하는 단계와 반어니일링(Half annealing)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27kg.f/㎟ 이상의 인장력과 5% 이상의 신율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절연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전선이 90㎛ 이하의 직경을 갖는 전기세선(細線)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선.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선.
  10. 제7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위에 보호층으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선.
  11. 다중코어 결합선 코어로서 2개 이상의 절연선이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선이 각각이 도체로서의 동합금선과 상기 도체를 도포하는 절연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합금선이 0.01%∼0.5%의 은과 잔부의 동과 불순물로 구성되고 상기 동합금선이 상기 합성물을 갖는 선재를 40% 이상의 수축율로 연발하는 단계와 반어니일링(Half annealing)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2kg.f/㎟ 이상의 인장력과 5% 이상의 신율을 갖도록 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코어 결합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위를 보호층으로 피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 결합선.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절연선이 직선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간헐적으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어 결합선.
KR1019910001398A 1990-02-01 1991-01-28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KR950007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818 1990-02-01
JP2-22818 1990-02-01
JP2022818A JPH03230415A (ja) 1990-02-01 1990-02-01 銅合金線材
JP2-334098 1990-11-30
JP33409890 1990-11-30
JP?2-334098 1990-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90A KR920000090A (ko) 1992-01-10
KR950007086B1 true KR950007086B1 (ko) 1995-06-30

Family

ID=2636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398A KR950007086B1 (ko) 1990-02-01 1991-01-28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06701A (ko)
EP (1) EP0440184B1 (ko)
KR (1) KR950007086B1 (ko)
DE (1) DE69122135D1 (ko)
MY (1) MY106101A (ko)
SG (1) SG68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055A (ko) * 2013-11-20 2015-05-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퓨즈 쵸크코일용 합금권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812A (en) * 1995-08-28 1997-07-08 Porta Systems Corp. Telephone line surge protector module with fast-acting, high resistance heat coil assembly
SG83129A1 (en) * 1999-05-17 2001-09-18 Hitachi Cable Extra fine copper wi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918397B2 (ja) 2000-04-11 2007-05-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耐密着性無酸素銅荒引線、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7544886B2 (en) * 2005-12-20 2009-06-09 Hitachi Cable, Ltd. Extra-fine copper alloy wire, extra-fine copper alloy twisted wire, extra-fine insulated wire, coaxial cable, multicore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98493B1 (ko) * 2006-07-13 2008-01-2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가스실드아크용접용 무도금 솔리드와이어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용접방법
KR100820498B1 (ko) * 2007-02-07 2008-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굽힘 특성이 우수한 미세 동축 케이블
US20110193442A1 (en) * 2007-10-12 2011-08-11 Kengo Yoshida Insulated wire, electrical coil using the insulated wire, and motor
JP5476649B2 (ja) * 2008-04-03 2014-04-23 住友電工ウインテック株式会社 絶縁電線
US8658576B1 (en) 2009-10-21 2014-02-25 Encore Wire Corporation System,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of same for reduc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during installation of wire or cable
JO3139B1 (ar) 2011-10-07 2017-09-20 Shell Int Research تشكيل موصلات معزولة باستخدام خطوة اختزال أخيرة بعد المعالجة الحرارية.
DE112012005535T5 (de) * 2011-12-28 2014-09-11 Yazaki Corporation Ultrafeines Leitermaterial, ultrafeiner Leiter, Verfahren zum Vorbereiten eines ultrafeinen Leiters und ultrafeinener Leitungsdraht
US9352371B1 (en) 2012-02-13 2016-05-31 Encore Wir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electrical wire and cable having a reduce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US11328843B1 (en) 2012-09-10 2022-05-10 Encore Wir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electrical wire and cable having a reduce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required pulling force
US10056742B1 (en) 2013-03-15 2018-08-21 Encore Wire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on application of a wire pulling lubricant
FR3024798B1 (fr) * 2014-08-06 2018-01-12 Nexans Conducteur electrique pour des applications aeronautiques
SG10201408305YA (en) * 2014-12-11 2016-07-28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Bonding wi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SG10201408586XA (en) * 2014-12-22 2016-07-28 Heraeus Materials Singapore Pte Ltd Corrosion and moisture resistant bonding wire
JP2016162676A (ja) * 2015-03-04 2016-09-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SG10201509913XA (en) * 2015-12-02 2017-07-28 Heraeus Materials Singapore Pte Ltd Silver alloyed copper wire
CN108778573B (zh) * 2016-03-03 2021-11-16 H.C.施塔克公司 通过增材制造制备金属部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9031A (en) * 1943-08-26 1951-07-03 Enfield Rolling Mills Ltd Copper base alloys
GB567603A (en) * 1943-08-26 1945-02-22 Enfield Rolling Mills Ltd Copper base alloys
DE975448C (de) * 1952-05-28 1961-11-30 Siemens Ag Kurzschlussring fuer Magnete von elektromagnetischen Schaltgeraeten, insbesondere Schuetzen
US4059437A (en) * 1975-07-02 1977-11-22 Phelps Dodge Industries, Inc. Oxygen-free copper product and process
JPS6043905B2 (ja) * 1979-09-14 1985-10-0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導電性耐熱銅合金材の製造方法
US4352134A (en) * 1979-11-19 1982-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etic head assembly with corrosion resistant conductive wire
JPS5770244A (en) * 1980-10-15 1982-04-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Heat-resistant and anticorrosive copper alloy for electric conduction
SE449784B (sv) * 1985-09-13 1987-05-18 Scandinavian Solar Ab Festanordning
US4734254A (en) * 1986-12-15 1988-03-29 The Nippert Company Enhanced machining anneal resistant copper allo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9055A (ko) * 2013-11-20 2015-05-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퓨즈 쵸크코일용 합금권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6101A (en) 1995-03-31
DE69122135D1 (de) 1996-10-24
US5106701A (en) 1992-04-21
SG68581A1 (en) 1999-11-16
EP0440184A1 (en) 1991-08-07
EP0440184B1 (en) 1996-09-18
KR920000090A (ko) 199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086B1 (ko) 동(銅)합금선과 절연전선으로 구성된 다중코어 결합선
US8143517B2 (en) Extra-fine copper alloy wire, extra-fine copper alloy twisted wire, extra-fine insulated wire, coaxial cable, multicore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62474B2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4288844B2 (ja) 極細銅合金線
JP2000294053A (ja) 安定化複合超電導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531922A (ja) 超伝導テープの製法
JPH01289021A (ja) 銅被覆鋼撚線の製造方法
JPH0352523B2 (ko)
JP3050554B2 (ja) マグネットワイヤ
US5217943A (en) Process for making composite ceramic superconducting wires
JPH0278108A (ja) 撚絶縁電線
JPS6276216A (ja) 高周波電線
JPH04341708A (ja) 極細多芯平行接着線
JP2000169918A (ja) 極細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602546B2 (ja) 極細エナメル線
JP2582680B2 (ja) 共割れ現象防止の内層皮膜を有するはんだ付け可能な自己融着性ポリエステルイミド絶縁電線
JPH09282953A (ja) Nb3Al超電導線材とその製造方法
JPS6313205A (ja) 電子機器用電線の導体
JP3257703B2 (ja) パルス又は交流用電流リード及び前記電流リードにa15型化合物超電導撚線を接続する方法
JPH11213761A (ja) 複合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419055B2 (ja) 絶縁電線
JPS63264818A (ja)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の複数の細いストランドからなる導線を含む可撓性電気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H05121237A (ja) コイル装置
JPH07118223B2 (ja) はんだ付け可能な軽量耐熱マグネットワイヤ
JPH07153320A (ja) 多層絶縁電線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