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52B1 -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52B1
KR950004052B1 KR1019870701211A KR870701211A KR950004052B1 KR 950004052 B1 KR950004052 B1 KR 950004052B1 KR 1019870701211 A KR1019870701211 A KR 1019870701211A KR 870701211 A KR870701211 A KR 870701211A KR 950004052 B1 KR950004052 B1 KR 95000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fluid
cooking apparatus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087A (ko
Inventor
말틴 보스 피터
죤 보스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말틴 보스 피터
죤 보스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틴 보스 피터, 죤 보스 데이비드 filed Critical 말틴 보스 피터
Publication of KR88070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3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the frying liquid being heated outside the frying vessel, e.g. by pumping it through a heat exchanger
    • A47J37/1238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the frying liquid being heated outside the frying vessel, e.g. by pumping it through a heat exchanger and the oil being returned to the frying vessel by means of a spray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23L5/12Processes other than deep-frying or float-frying using cooking oil in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 조리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이동형 개비넷상에 착설된 제1도에서 보인 장치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커어버를 개방하여 보인 제1도 장치의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서 보인 콘베이어수단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제7도의 C-C선 방향에서 본 콘베이어수단의 측면도,
제6a도는 제7도의 D-D선 방향에서 본 콘베이어수단의 정면도,
제6b도는 제7도의 E-E선 방향에서 본 콘베이어수단의 전개판 정면도,
제7도는 콘베이어수단의 평면도,
제8도는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체가 결합된 본 발명 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9도는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가 곁합된 본 발명 장치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 조리장치에 유체탱크의 형태로 부가적인 필터수단이 결합된 것을 보인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조리장치에 유체탱크의 형태로 부가적인 필터수단이 결합된 것을 보인 정면도,
제12도는 가정용으로 적합한 본 발명의 체4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을 청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레이식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기존 조리장치를 완전히 바꾼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조리유체가 담긴 통또는 용기내에 조리될 음식물이 놓이는 기존의 침지식 조리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음식물은 이러한 침지식 조리장치에서 조리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유체는 기를이나 물이다.
일반적으로 침지식 조리장치는 다량의 조리유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조리유체는 자주 교환해 구어야 하며또한 고가의 배출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조리유체가 조리될 음식물에 스프레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의하며 음식물이 조리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 조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음식물 조리를 위한 연속공급과 자동화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조리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조리유체 스프레이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 조리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공급단부로부터 배출단부로 조리될 음식물을 이송하기 워한 콘베이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레이수단은 상기 조리될 음식물이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리방법을 제공하는바, 이 조리방법은 저장수단에 조리유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조리유체를 스프레이수단으로 이송하는 단계, 공급단부로부터 배출단부로 조리될 음식물을 이송하는 단계와, 조리될 음식물이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스프레이수단을 배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체3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조리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조리유체 스프레이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 조리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조리될 음식물올 수용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수용수단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레이수단은 조리될 음식물이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조리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조리유체 스프레이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 조리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배치된 트레이 수단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레이수단은 조리될 음식물이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집촉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따라서, 본 밭명의 조리장치는 조리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조리유체 스프레이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 조리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과,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환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동심원상의 벽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레이수단은 조리될 음식물이 상기 스프레이수단으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화된 관점에 따라서, 콘베이어수단, 수용수단, 트레이수단 또는 동심원상의 실린더수단등은 이를 통하여 조리유체가 스프레이될 수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좋기로는 콘베이어수단, 수용수단, 트레이수단 또는 동심원상의 실린더수단등이 다공형 또는 망체형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좋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음의 설명은 본 믿명 조리장치의 실시형태들을 단순히 예를를어 설명한 것이다.
제 1도-제 3 도에서는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조리장치(10)의 제 1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하우징(l2)과 콘베이어수단(14)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2)은 이 하우징(12)의 하측부(18)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 커어버(16)로 구성된다.
제4도에서는 하우징(12)만을 별도로 도시하였고 커어버(16)는 개방상태에 있음을 보였으며, 제5도-제7도에서 콘베이어수단(14)을 도시하였다. 커어버(16)는 제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단면이 원호형이며 한쌍의 단부판(20)(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어버(16)에는 두개의 내부 배플판(24)(26)과 조리시에 반생되는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28)이 구비되어 있다 단부판(20)(22)과 배플판(24)(26)에는 각각 이들의하측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30)(32)(34)(36)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있다.
커어버(16)는 단열재료 구성되거나 단열재가 결합구성되며 그 저면측에 투명재료로 되어 있는 검사창(3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어버(16)의 저면에는 손잡이(40)가 달려있다.
하우징(12)의 하측부(18)에는 한쌍의 단부판(42)(44)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단부판(42)(44)은 이들의 각상부에 절결부(46)(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부(18)에는 한쌍의 내부 배플극이(50)(52)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배플판(50)(52)은 이들의 각상측부에 절결부(54)(56)가 형성되어 있다.
커어버(16)를 닫았을때에 단부판(20)(22)은 각각 단부판(42)(44)상에 배치되고 배플판(24)(26)은 각각 배플판(50)(52)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절결부(46)는 단부판(20)과 단부판(42) 사이에 간극부(58)를 형성하고 절결부(48)는 단부판(22)과 단부판(44) 사이에 간극부(60)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절결부(54)는 배플판(24)과 배플판(50) 사이에 간극부(62)를 형성하고 절결부(56)는 배플판(26)과 배플판(52) 사이에 간극부(64)를 형성한다, 이들 간극부(58)(60) (62)(64)는 각각 플랩(30)(32)(34)(36)으로 폐쇄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부판(2()}, 배플판(24), 플랩(30,34)과 커어버(16)가 제1체임버를 둘러싸고, 배플판(24,26), 플랩(34,36)과 커어버(16)는 제2체임버를 둘러싸고단부판(22), 배플판(26), 플랩(32,36)과 커어버(16)는 제3체임버를 둘러싼다. 이것은 제2도에 명확하게 도시되었다.
하우징(l2)의 하측부(18)에 형성된 저면부는 조리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통(66)을 구성한다. 이 저장통(66)은 하측부(18)의 각 정면벽(68)과 배면벽(70), 그리고 배플판(50)(52)으로 구성된다. 이 저장통(66)은 그 저면벽(72)이 제3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정면벽(68)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조리장치(10)는 저장통(66)내에 용입되어 있는 조리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가열수단은 저장통(66)의 저면벽(72)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가열수단은 전기 저항형대의 가열소자(74)로 구성된다. 그리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및 유도가열로 조리유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여 적당한 가열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10)는 저장통(66)으로부터 노즐장치(76)로 조리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며, 노즐장치는 저장통(66)으로부터 펌프와모우터 조립체(80)로 연장된 흡입라인(78)으로 구성된다. 배출라인(82)이 겊프와 모우터 조립체(80)로부터 노즐장치(76)로 연장되어 있다. 커어버(16)를 닫았을때에 노즐장치(76)의 하측으로 조리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조리장치(10)는 조리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식 필터 트레이(84)가 노즐장치(76)로부터 조리유체가 스프레이되어 조리될 음식물에 접촉하고 저장통(66)으로 회수되기전에 이 조리유체를 여과하도록 착설된다. 이 이동식 필터 트레이(84)는 게2도와 제3도에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동식 필터 트레이(84)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개방부(86)를 통하여 조리장치(1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필터수단은 또한 저장통(66)내에서 흡입라인(78)의 유입구에 배치되는 다른 필터(88)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통(68)에는 배출콕크(90)가 구비되어 있어 저장통(66)으로부터 조리유체가 주기적으로 배출되고 새로운 조리유체가 공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리징치(10)에는 부가적으로 조리유체를 보충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충저장탱크(92)가 구성될 수있다. 콘베이어수단(14)은 단부판(42)(44)과 배플판(50)(52)의 상측변부에 놓인다. 이 콘베이어수단(14)에는 공곱단부(102)와 배출단부(104)가 구비되어 있다. 공급단부(102)에는 호퍼(94)가 착설되어 있으며 배출단부(l04)에는 배출슈트(96)가 착설되어 있다. 콘베이어수단(l4)에는 별도로 구동모우터(98)가 착설되어 있다.
제l도에는 호퍼(94), 배출슈트(96)와 구동모우터(98)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도와 제3도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의하여 도시를 생략하였다. 콘베이어수단(14)은 공급단부(102)로부터 배출단부(104)로 조리될 음식물을 이송토록 되어 있다. 음식물은 하우징(12)내로 들어가서 조리영역(100)을 지나면서 조리될 것이다.
콘베이어수단(14)은 음식물이 뒹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콘베이어수단(14)은 이를 통하여 조리유체가 스프레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스프레이된 조리유체가 저장통(66)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콘베이어수단(l4)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콘베이어수단의 단 실시형태가 제5도-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제7도에서 도시된 콘베이어수단(106)은 외부프레임(108)과 두 셋트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110)(112)로 구성된다. 제5도와 제7도에서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는 두 선으로 표시하고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는 단일 선으로 표시하였다. 이들 두 세트의 와이어(110)(112)는 파상형의 형태이며,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톱니형이거나 싸인곡선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단축(stub axle)(114)이 외부프레임(108)의 각 종방향 부분에서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구동휠(116)이 각 단축(l14)에 고정적으로 착설된다. 구동휠(116) 사이에는 구동축(118)이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118)의 각 단부는 각 구동휠(116)상에서 단축(1l4)의 축선에 대하여 편심되게 착설되어 있다.
와이어(112)세트의 각 와이어는 그 일측단의 구동축(118)에 연결되어 있다. 이는 와이어(112)세트의 각와이어의 직선단부(120)가 콘베이어수단(l06)의 평면에 실제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한다. 이는 구동축(118)에 와이어(112)시트의 와이어의 단부를 연결하는 적당한 연결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구동축(118)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측(I18)에 착설된 와샤(도시하지 않았음)의 형태일 수있다. 따라서 와이어(I12)세트의 와이어단부가 와샤에 고정된다.
와이어(112)세트의 각 와이어는 그 타측단부가 외부 프레임(108)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 각 통공(122)에 삽입된다. 와이어(112)세트의 이들 와이어 단부는 통공(12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공(l22)은 각 단부에서 지지대(126)에 연결된 전개판(124)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126)는 외부프레임(108)에 연결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와이어(110)세트의 각 와이어는 그 일측단부가 외부 프레임(108)의 단부(130)에서 부호(132)로 보인 위치에 고정적으로 착설되어 있다.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의 타측단부는 전개판(124)에 고정적으로 착설되어 있다. 이는 제5도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교차와이어(134)는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를 안정되게 연결하고 교차와이어(136)는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를 안정되게 연결한다.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와 교차와이어(134)(136) 사이의 간극은 콘베이어수단(l06)을 통하여 조리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한다.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는 외부 프레임(108)에서 와이어(1l2)세트의 와이어에 대하여 교호로 배치되어있다. 이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콘베이어수단(106)이 제1도에서 보인 장치의 콘베이어수단(14)으로서 사용될때에 단축(114)은 모우터(98)에 연결된다.
또한 제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조리장치(10)가 이동형 개비넷(164)에 착설되는 경우 콘베이어수단(106)이 콘베이어수단(14)으로서 사용될때에 외부 프레임(108)의 각 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지지대(128)는 캐비넷을 지지한다. 따라서 외부 프레임(108)에는 모두 4개의 지지대(128)가 연결된다. 각 지지대(128)에는 콘베이어수단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캐비넷(164)의 측부에 접하는 지지면(129)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제3도와 제5도-제7도에 도시된 조리장치(10)의 실시형태는 특히 음식물이 연속공급되어 자동으로 조리되는 과정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8도에 도시된 장치(138)의 실시형태는 음식물이 한번 공급되어 한번에 조리되는 배치방식(batchtype)의 조리과정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8도에 도시된 조리장치(138)는 콘베이어수단(14)이 원통체(cylinder)(140)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조리장치(10)와 유사하다. 이 원통체는 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배플판(24)(26) 사이에서 조리영역(100)의 전 길이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적당한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가 제8도에서 화살표로 보인 바와같이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원통체(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착설된다. 이 원통체는 상기 언급된 모우터에 연결된 축(162)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축(162)은 단부판(20)(22)과 배플판(24)(26)에 착설된다. 원통체(140)는 예를들어 망체로된 다수의 통공을 갖는 형태가 좋으며 그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놓인다.
제9도에서 보인 조리장치(142)의 실시형태는 역시 배치방식의 조리방법에 이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제9도에서 보인 조리장치(142)는, 콘베이어수단(14)이 트레이(144)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서 보인 조리장치(10)와 유사하다. 트레이(144)는 하우징(12)에 고정적으로 착설되고 그 길이는 내부 배플판(24)(26) 사이에서 조리영역(100)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트레이(144)는 내부 배플판(50)(52)의 상측변부상에 안치된다.
하측부(18)의 전면벽에는 트레이의 삽입이 용이하고 하우징(12)의 내부로부터 트레이(144)를 분리해내기 쉽도록 도어(146)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144)는 망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조리될 음식물이 여기에 놓인다.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1도-제3도와, 제5도-제7도에서 보인 장치(10)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리될 음식물은 호퍼(94)로 공급된다. 이 호퍼(94)의 배출단부에는 호퍼(94)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적당한 계량장치(도시하지 않았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유체가 가열소자(74)로 가열된다. 요구된 조리온도에 이르렀을때에 펌프와 모우터 조립체(80)가 작동하여 노즐장치(76)로부터 조리유체를 스프레이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단축(114)의 하나에 연결된 모우터(98)가 구동된다. 구동휠(116)이 구동축(118)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측 구동휠(116)이 회전한다.
구동휠(1l6)의 회전으로 와이어(l12)세트의 와이어는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에 대하여 동시에 상하전후 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축(118)으로부터 원격한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 단부는 통공(122)내에서 움직인다. 와이어(l12)세트의 와이어의 이러한 운동으로 음식물은 콘베이어수단(106)을 따라 이동된다. 콘베이어수단(106)을 따라 음식물이 이동하는 것은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가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의 연속된 결점(nodes)(158)상에서 음식물이 들추어지고 밀리게 되어 이루어진다·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의 운동이 통공(122)에 의하여 배출단부(104)에서 제한되므로 배출단부(104)에서의 이러한 운동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써 배출단부(104)에서 콘베이어수단을 따라 음식물이 이동하는 속도가 늦추어진다. 이는 음식물이 배출슈트(96)로 용이하게 옮겨지게 하는 것이다.
음식물은 공급단부(102)로부터 하우징(12)내로 콘베이이수단(106)을 따라 이동한다. 음식물은 콘베이어수단(106)을 따라 옮겨지고 플랩(30)(34)을 밀고 조리영역(100)으로 들어간다. 조리영역(100)에서 음식물은 노즐장치(76)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의 입자로 스프레이된다. 음식물이 조리영역(100)을 통과할때에 조리된다.
조리정도는 음식물이 조리영역(100)을 통과하는 시간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의 운동속도에 의하여 조절되고 또한 구동모우터(98)의 속도에 의하여 조절된다. 따라서 구동모우터(98)는 속도가변형 모우터이다.
또한 조리정도는 조리유체의 온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감지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조리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저장통(66)내에 착설될 수 있다. 다른 온도감지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조리영역(10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조리영역(100)에 착설될 수 있다. 조리장치(10)에는 가열소지(74)로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온도제어기(도시하지 않았음)와 온도감지기에 따라서 가열소자를 주기적으로 통전 및 단전시키는 제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수단은 온도장치기에 연결되어 저장통(66)내 조리유체의 최적한 온도와 조리영역(100)내의 최적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된 음식물은 플랩(64)(60)을 밀고 하우징(12)을 나와서 배출단부(104)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 음식물은 배출슈트(96)로 옮겨진다. 이는 음식물이 배출슈트(96)측으로 안내되도록 콘베이어수단(106)의 배출단부(104)에 착설된 편향판(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슈트가 측부에 착설되지 않고 콘베이어수단(106)의 종방향 단부에 착설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된 음식물은 포장등을 위하여 준비된다.
제8도에서 보인 조리장치(138)의 실시형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커어버(16)를 열그 원통체(140)에 조리될 음식물을 넣는다. 원통체(140)에 음식물을 채워넣은 후에 커어버(16)를 닫는다. 조리유체를 가열히여 요구된 조리온도에 이르렀을때에 펄프와 모우터조립체(80)를 작동시켜 노즐장치(76)로부터 조리유체를 스프레이한다.
다른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가 구동되어 축(162)을 회전시킨다. 이르써 원동체(140)가 회전한다. 다공형 또는 망체로 만들어진 형태인 원통체(140)는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가 원통체(140)내의 음식물에 접촉하여 음식물이 익도록 한다. 타이머(도시하지 많았음)기 조리시간을 조절토록 착설될 수 있다. 타이머는 축(162)을 회전시키는 모우터와 펌프와 모우터조립체(80)에 연결된다. 제1도-제3도와 제5도-제7도의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온도감지기가 이 조리장치(138)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음식물이 요구된 시간동안 조리되었을때에, 모우터가 정지되고 조리된 음식물을 원통체(140)로부터 꺼낸다.
제9도에서 보인 조리장치(142)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어(146)를 열고 트레이(144)를 꺼내 이에 조리될 음식물을 얹는다. 트레이를 다시 하우징(12)내로 집어넣는다. 조리유체가 가열되고 요구된 조리온도에 이르렀을때에 엄프와 모우티 조립체(8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음식물을 익히도록 노즐장치(76)로부터 음식물에 조리유체를 스프레이한다. 트레이(l44)가 다공형이거나 망체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와 같이 이를 통하여 조리유체가 스프레이될 수 있다.
장치(142)는 제8도의 장치(138)에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타이머(도시하지 않았음)로 조절될 수있다. 음식물이 조리된 후에 트레이(114)를 하우징(12)로부터 당긴다.
제1도-제9도에서 보인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는 조리유체를 여과하기 위한 부가적인 필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인 필터수단의 한 실시형태가 제10도와 제11도에서 본 발명 장치에 결합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 필터수단은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150)의 형태이다. 이 탱그(150)는 협소부(156)로 저장통(66)에 연결된다. 탱크(150)에 수용된 유체는 저장통(66)에 수용되어 있는 조리유체의 밀도보다 훨씬 큰 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저장통(66)에 수용된 조리유체는 탱크(150)내의 유체위에 뜬다. 충분한 양의 유체를 탱그(150)에 부어 배출콕크(90)의 레벨까지 협소부(150)를 채운다. 배출콕크(152)가 탱크(150)로부터 유체를 배출토록 착설되어 있다.
사용시에 탱크(150)가 채워진다(반면에 저장통(66)에는 조리유체가 비어있다]. 그리고 두 유체가 섞이지 않도록 조리유체를 저장통(66)에 서서히 붓는다. 그리나 이들 두 유체가 섞이어도 두 유체의 밀도차이 때문에 분리될 것이다. 저장통(66)과 탱그(150)를 비울 필요가 있을 경우 먼저 배출콕크(90)를 통하여 저장통(66)을 비우고 나서 배출곡크(152)를 통하여 탱크(150)를 비운다. 조리과정에서, 특히 사용된 조리유체가기름인 경우에 조리유체는 혼탁해질 것이다.
기름으로 조리할 경우 이 기름을 과옅시키면 조리된 음식물이 탄 맛이 나게할 것이다. 또한 이 기름에는음식물 부스러기등이 섞이어 탄화될 것이다. 또한 이들 음식물 부스러기가 가열소자(74) 부근에 달라붙어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소자가 저장통(66)의 외부에 착설되어 있는 경우에 단화된 음식물 부스러기가 가열소자(74)에 달라붙지는 않을 것이다.
탱크(150)가 사용되는 경우, 기름에 섞인 음식물 부스러기는 중력하에 저장통(66)의 저면측으로 하강하고 협소부(156)를 통하여 탱크(150)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음식물 부스러기는 조리용 기름으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기름에 섞이거나 기름에 섞이어 남지는 않게 된다.
저장통(66)은 배출콕크(90)를 통하여 하루에 한번씩 그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반면에 탱그(150)내의 유체는 일주일에 한번씩 배출하는 것이 좋다. 조리유체로서 기름이 사용되는 경우 탱크(150)내의 유체는 대개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조리유체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어 조리유체는 기름 또는 물 등이다. 기름을 사용하면 음식물은 스프레이로 튀겨지고 물을 사용하면 음식물이 스프레이로 찌는 결과를 가쳐을 것이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조리유체는 요구되는 경우 저장통(66)에 부가적으로 보충되는 것이 아니고 저장탱크(92)에 보충된다
제1도-제11도에서 보인 장치는 재3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이동식 캐비넷(164)에 착설될 수 있다. 제1도-제l1도에서 보인 본 발명 조리장치의 실시형태들은 주로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2도는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12도에서는 스프레이수단(182)과 동심원상의 원통체 수단(184)으로 구성되는 조리장치(180)를 보인 것이다.
동심원상의 원통체수단(184)은 배출파이프(188)에 동심원상으로 착설되고 환상공간부(214)를 형성하는 내부원통체(196)와 외부원통체(198)로 구성된다. 외부원통체(198)는 배출파이프(188)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배출파이프(l88)에 착설된다. 내부원통체(196)는 모우터(200)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파이프(188)에 착설된다. 외부원통체는 그 외면둘레에 수직의 만곡된 날개(202)가 착설되는 것이 좋다. 또한 외부원통체(198)에는 그 기부에 환상판체(212)가 착설되어 내부원동체(196)와 외부원통체(198) 사이의 환상공간부(214)에 놓인 음식물이 이에 얹힐 수 있게 되어 있다.
내부원통체(196)와 외부원통체(198)는 조리유체가 이들을 통하여 스프레이될 수 있도록 다공형 또는 망체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스프레이수단(182)은 두개의 직립형 배출파이프(186)(188)로 구성된다. 이들 배출가이프(186)(188)에는 다수의 통공(190)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조리유체가 스프레이된다. 두 스프레이수단(182)이 두 배출파이프(186)(188)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스프레이수단(182)은 단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배출파이프는 내부원통체(198)와 외부원통제(198)가 이에 착설되어야 하므로 꼭 필요하다. 배출파이프(186)(188)는 펌프(194)로부터 연장된 공통라인(192)에 연결되어 있다. 펌프(194)는 흡입라인(204)을 갖는다. 흡입라인(204)은 조리유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유체탱크(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이 착설되어 조리유체 탱크내의 조리유체를 가열토록 되어 있다. 이러한가열수단은 제1-제11도의 실시형태에 권련하여 연급된 것과 유사한 형태이다.
펌프(194)는 클러치(206)를 통하여 모우터(200)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우터(200)는 클러치(208)를 통하여 기어(210)에 연결되고 이는 내부원통체(196)와 외부원통체(198)의 하나 또는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2도에서 보인 전체장치는 덮개(도시하지 않았음)가 달린 하우징(역시 도시하지 않았음)내에 설치된다.하우징은 단열재로 되어 있거나 이러한 단열재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 하우징은 원통형이 좋으며 그 크기가 높이 30cm×직경 30cm가 좋다. 또한 조리유체 저장탱크가 동심원상의 원통체수단(184)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프레이수단(l82)으로부터 스프레이되었으나 소모되지 않은 조리유체가 재가열과 재사용을 위하여 조리유체 저장탱그로 회수된다.
제12도에서 보인 조리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조리될 음식물이 내부원통체(196)와 외부원통체(198) 사이의 환상공간부(214)내에 놓인다. 그리고 조리유체는 가열수단으로 가열된다. 요구된 조리온도에 이르렀을때에 클러치(206)가 작동하여 모우터(200)는 펌프(194)를 작동시킨다. 펌프(194)는 배출파이프(186)(]88)의 동공(90)으로부터 조리유체를 스프레이하기 시작한다.
배출파이프(l86)의 통공(190)인로부터 스프레이된 일부의 조리유체는 날개(202)에 부딪쳐 외부원통체(198)가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외부원통체(198)의 회전으로 환상공간부(214)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익게될 것이다.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었을때에 클러치(206)가 멀어져 펌프(194)가 스프레이수단(182)으로 조리유체를 펌핑하는 것을 중지한다. 그리고 클러치(208)가 결합되어 모우터(200)가 내부원통체(196)와 외부원통체(198)의 하나 또는 모두를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작동으로 건조과정에 듣어가며 조리된 음식물에 남아있는 과잉의 조리유체를 제거한다.
그리나, 조리장치(180)는 건조과정 없이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므로 클러치(208)와 기어(2l0)를 조리장치(180)로부터 생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조리장치(180)에는 제1도-제11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 유사하게 온도감지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형태의 장치는 조리될 음식물을 가열통내에 침지하는 종래의 침지식 조리장치에 비하여 조리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가 조리유체로서 기록이 사용될때에 음식물은 침지식 장치에 비하여 매우 만족스럽게 조리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음식물의 표면을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방출되기전에 그을리게 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가 종래 침지식 조리장치에 비하여 고온으로 음식물이 조리됨을 입증한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음식물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리된 음식물의 맛이 보다 좋고 기름기를 덜 느끼게 한다.
또한 소모된 조리유체의 양은 매우 적으며 음식물에 스프레이된 조리유체는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재가염과 재사용을 위하여 조리유체 저장통으로 회수된다. 또한 상업용으로 실계된 본 발명의 조리장치, 즉 제1도-제11도에서 보인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침지식 조리장치의 경우 보다 연기가 적게 난다. 따라서 고가의 배기장치가 필요치 않다. 이러한 장치로부터 조리시에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는데에는 배기관(28)만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대부분 방출되는 연기는 수증기이므로 주위를 더럽히지는 안는다.
또한 연기의 배출에는 배기관(28)만을 필요로하므로 조리방식이 한층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제조리 과정이 밀폐장소에서도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은 플랩(30)(32)(34)(36)으로 페쇄된 조리영역(10)의 내부에서 유지되고 배기관으로부터 배기되는 연기가 조리영역(1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2) 내부의 압력은 약간 높아 조리영역(100)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열이 조리영역(100)에서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플판(24)(26)을 따라서 하우징(12)의 모든벽이 적당한 단열재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및 배출라인(78)(82)도 딘열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너지를 줄이고 조리유체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 장치는 저장통(66)과 탱크(150)를 비우고 이에 적당한 세척용제를 체워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펌프와 모우터 조립체(80)가 작동하여 세척용제를 노즐장치(76)고 스프레이한다. 이는 흡입 및 배출라인(78)(82)과 하우징(12)의 내부를 세척한다. 세척과정이 끝나면 저장동(66)과 탱크(l50)로부터 세척용제를방출한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제12도에서 보인 장치인 경우 가정용으로 사용되며, 이는 조리시에 연기가 곡히 적게 발생한다. 이는 조리방식이 소규모이기 때문이다. 원통체수단(184)에는 이 원통체수단(184)의 내부 조리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연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제12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가 결합될 수있다.
또한 제12도에 도시된 조리장치는 얼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단열재가 결합될 수 있다. 원통체수단(184)의 하우징과 덮개는 단열재료 구성되거나 단열재가 결합될 수 있다.
원통체수단(184)은 세척용제를 사용하여 제1도-제11도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유사하게 세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장치는 닭고기조각, 다른 고기조각, 물고기, 중국음식, 파스타(pastas), 채소 및 쇠고기를포함하는 여러가지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숙련된 자이면 어느정도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1. 하우징(12), 조리유체용 저장수단인 저장통(66), 하우징(12)에 위치된 스프레이수단인 노즐장치(76), 저장통(66)으로부터 노즐장치(76)로 조리유체를 이송시키는 수단, 조리장치(10)의 공급단부(102)로부터 배출단부(104)로 하우징(12)을 통하여 음식물을 나르기 위한 콘베이어수단(14.106)으로 구성되되, 사용시노즐장치로부터 스프레이되는 조리유체가 콘베이어수단(14,106)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과 접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노즐장치(76)가 위치되며 조리유체는 콘베이어수단(14;106)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된 조리장치(10)에 있어서, 콘베이어수단(14;106)이 하우징(12)을 통과하는 음식물의 통과방향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세장부재의 와이어(1l2,110)세트를 포함하되, 와이어(112)세트중 몇개의 와이어가 파상형이며 이동가능하여 사용시 콘베이어수단(14,106)에 놓인 음식물이 딩굴면서 전진하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110)세트중 몇개의 와이어가 파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와이어(112)세트의 모든 와이어가 파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와이어(110)세트의 모든 와이어가 가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파상형이 톱니형이거나 싸인곡선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교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7. 제1,2,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가 교차와이어(134)에 연결되고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가 교차와이어(136)에 연결되어 조리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간곡이 와이이(112,1l0)세트와 교차와이어(134,136)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가 각 단부중 일단부에서 구동축(118)에 연결되고 다른단부는 자유로이 이동되되, 구동축(118)이 구동훨(116)에 연결되어서 구동휠이 회전할때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가 전후상하방향의 주기적 운동을 하도록하여 콘베이어수단(14,106)을 따라서 음식물을 이송시키는것을 특징으로 아는 조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콘베이어수단(14 ,106) 이 와이어(112 ; 110)세트를 지지하는 외부 프레임(l08)과 구동휠(l16)을 또한 포함하되,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의 자유단부가 외부 프레임(108) 일부분의 통공(122)에 수용 가능하고 구동휠이 외부 프레임(108)의 단부(130) 근처에 설치되고 와이어(110)세트의 와이어의 단부가 각각 외부 프레임의 상기 부분과 외부 프레임(108)의 단부(13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108)의 상기 부분이 외부 프레임의 각각의 종방향 측면 사이로 연장되고 외부 프레임(108)의 단부(130)에 가까이 위치된 전개판(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1. 제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와이어(112)세트의 와이어가 구동축(118)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각각의 와셔에 의하여 구동축(1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2. 제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구동휠은 한쌍의 구동휠(116)을 포함하고 구동축(118)이 구동휠의 각각의 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구둥축이 구동휠(116) 사이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2)이 연속으로 배치된 제],2 및 제3체임버를 포함하고, 사용시 콘베이어수단(14: 106)을 따라서 이송된 음식물이 조리장치(10)의 공급단부(102)에서 하우징(12)으로 들어가 제1체임버로부터 제2체임버, 제3체임버를 지나 조리장치(10)의 배출단부(104)에서 하우징(l2)을 떠나도록 노즐장치(76)가 제2체임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2 및 제3체임버는 피벗가능한 플랩(34,36)이 설비된 내부 배플판(24,26)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고, 사용시 음식물이 공급단부(102)로부터 하우징(l2)을 통하여 배출단부(104)로 콘베이어수단(14,106)을 따라 통과하도록 피벗가능한 플랩(30,32)이 조리장치(10)의 공급단부(102)와 배출단부(104)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5. 제1,2,4,5,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호퍼(94)가 조리장치(10)의 공급단부(102)에 설치되고 배출슈트(96)가 조리장치(10)의 배출단부(104)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6. 제I,2,4,5,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시 노즐장치(76)로부터 스프레이된 초과 조리유체는 저장통(66)으로 복귀하고 노즐장치(76)를 통하여 재스프레이되기 전에 이동식 필터 트레이(84) 및 필터(88)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7. 제1,2,4,5,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조리장치가 또한 조리유체용 보충 저장탱크(92)를 포함하되, 보충 저장탱크(92)는 보충 저장탱크(92)에 부가적인 조리유체를 더 함으로써 저장통(66)의 조리유체의 양이계속 보충될 수 있도록 저장통(66)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8. 제1,2,4,5,8,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조리장치가 조리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소자(74)아 배출라인을 경유하여 조리유체를 노즐장치(76)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와 모우터 조립체(80)를 또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9.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조리장치(10)를 제공하는 단계, 저장통(66)에 조리유체를 저장하는 단계, 하우징으로부터 조리유체를 스프레이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2)에 노즐장치(76)를 위치시키는 단계, 저장통으로부터 노즐장치(76)로 조리유체 이송수단에 의하여 조리유체를 이송시키는 단계, 음식물을 공급단부(102)로부터 조리장치(10)익 배출단부(104)로 콘베이어수단(14;106)을 따라서 이송시키는 단계, 음식물이 공급단부(102)로부터 배출단부(104)로 이송될때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노즐장치(76)로부터 음식물로 조리유체를 스프레이하는 단계로 구성된 음식물 조리방법에 있어서, 음식물이 콘베이어수단(14;106)에 의하여 공급단부(102)로터 배출단부(104)로 딩굴면서 전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방법.
KR1019870701211A 1986-04-23 1987-04-23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KR950004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H558986 1986-04-23
PCT/AU1987/000119 WO1987006445A1 (en) 1986-04-23 1987-04-23 Cooking apparatus
AUPH5589 1987-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087A KR880701087A (ko) 1988-07-25
KR950004052B1 true KR950004052B1 (ko) 1995-04-25

Family

ID=377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1211A KR950004052B1 (ko) 1986-04-23 1987-04-23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66505A (ko)
EP (1) EP0302868B1 (ko)
JP (1) JP2662523B2 (ko)
KR (1) KR950004052B1 (ko)
CN (1) CN87103689A (ko)
AT (1) ATE91070T1 (ko)
AU (1) AU611081B2 (ko)
DE (1) DE3786400T2 (ko)
DK (1) DK678587A (ko)
FI (1) FI88864C (ko)
HK (1) HK53097A (ko)
NO (1) NO168922C (ko)
WO (1) WO1987006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236B1 (ko) * 2005-02-22 2006-12-05 한종필 다기능 쿠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141B1 (ko) * 1987-09-07 1991-01-21 하우스쇼꾸힌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연속 증자장치
FR2646589B1 (fr) * 1989-05-03 1991-08-30 Julian Yvon Procede et dispositif de cuisson automatique de produits alimentaires
JP2604238B2 (ja) * 1989-07-20 1997-04-30 ハウス食品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JP2750907B2 (ja) * 1989-07-20 1998-05-18 ハウス食品株式会社 連続式フライヤー
CA2011344A1 (en) * 1989-10-10 1991-04-10 Louis D. Dunckel Egg cooking and packaging process and apparatus
FR2661086A1 (fr) * 1990-04-18 1991-10-25 Spid Sarl Dispositif de cuisson en continu de produits alimentaires par immersion dans un bain d'un liquide chaud tel que de l'huile.
US5131835A (en) * 1990-12-26 1992-07-21 Kraft General Foods, Inc. Method for cooking dough products
US5189948A (en) * 1991-02-05 1993-03-02 Beltec International Low temperature spiral conduction vapor cooker and process
JPH0722167Y2 (ja) * 1991-05-14 1995-05-24 株式会社是沢鉄工所 穀類の蒸煮装置
JPH07502435A (ja) * 1991-12-20 1995-03-16 ヴォス インダストリー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調理装置
US5615606A (en) * 1991-12-20 1997-04-01 Vos Industries Pty. Ltd. Conveyor
US5666876A (en) * 1991-12-20 1997-09-16 Vos Industries Ltd. Cooking apparatus
US5315921A (en) * 1991-12-26 1994-05-31 R. E. Davis Chemic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ating waste food material
ATE159157T1 (de) * 1992-05-26 1997-11-15 Vos Ind Ltd Kochgerät
US5346715A (en) * 1993-06-30 1994-09-13 Robert Fertel Breadfood freezing method
US5721001A (en) * 1993-11-10 1998-02-24 Hisaka Works Limited Fried food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E19529555A1 (de) * 1995-08-11 1997-02-13 Otto Nocke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ortionsweisen Fritieren in wenig Fett
US5707676A (en) * 1996-03-11 1998-01-13 Einstein Bros. Bagels, Inc. Process for making frozen bagel shapes
US5664482A (en) * 1996-09-13 1997-09-09 Beltec International Hydrostatically-sealed atmospheric spiral spray cooker
WO1999048410A1 (en) * 1998-03-24 1999-09-30 Vos Industries Limite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oking apparatus
US6067899A (en) * 1998-12-29 2000-05-30 Heat & Control, Inc. Breaded products fryer
US6582745B1 (en) * 1999-07-09 2003-06-24 Robert Theodore Northern Self-basting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US7798058B2 (en) * 2003-01-21 2010-09-21 Frito-Lay North America, Inc. Fryer atmosphere control for mold form fryer
US20050226984A1 (en) * 2004-04-08 2005-10-13 Addington Donald 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aracter-shaped snack food product
US20060083831A1 (en) * 2004-10-14 2006-04-20 Caridis Andrew A Forming and cooking with controlled curtain spillage
US20060112835A1 (en) * 2004-11-30 2006-06-01 John Healy Automatically basting cook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KR100796322B1 (ko) 2006-12-06 2008-01-21 이은관 튀김옷 도포장치
JP5402208B2 (ja) * 2009-04-23 2014-01-29 味の素株式会社 連続炒め装置
US20120070553A1 (en) * 2010-09-20 2012-03-22 Conagra Foods Lamb Weston, Inc. Conveyor-based fry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WI551826B (zh) * 2011-07-15 2016-10-01 Xinyu Liu A kind of furnace control method
CN102986755A (zh) * 2011-09-14 2013-03-27 苏州优尔食品有限公司 一种油幕式油炸机
CN103081958A (zh) * 2013-02-26 2013-05-08 叶羽纺 淋油式油条、油饼机
CN103238642B (zh) * 2013-05-27 2015-01-14 宋永久 非浸泡式无余油食品生产机
JP5688539B1 (ja) * 2013-06-10 2015-03-25 株式会社ニチレイフーズ 食品連続炒め装置、食品連続炒め方法及び炒め食品を製造する方法
CN103404545B (zh) * 2013-08-09 2016-01-20 王波 肉排加工装置
CN105394113A (zh) * 2015-11-16 2016-03-16 安徽一鼎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麻球全面浇淋翻炸设备
US10463187B2 (en) * 2016-02-26 2019-11-05 Provisur Technologies, Inc Cook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448650B2 (en) 2016-05-05 2019-10-22 Provisur Technologies, Inc. Spiral cook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6614844B (zh) * 2016-12-07 2019-01-22 翟卫娟 一种带有定型功能的烙饼装置
US20180360267A1 (en) * 2017-06-20 2018-12-20 Michael Reischmann Combination Outdoor Cooktop And Grill With Split Cover
BE1025368B1 (fr) * 2017-07-04 2019-02-08 Philippe Donfut Appareil pour la préparation d'aliments cuits en parties découpées et en présence de matière grasse
CN108812733A (zh) * 2018-08-27 2018-11-16 连云港市连云区黄海水产品养殖专业合作社 新型喷淋式油炸机
CN109691469A (zh) * 2019-02-26 2019-04-30 张峰见 一种油炸食品加工生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634A (en) * 1913-08-04 1915-02-09 Julius Kerber Pasteurizer.
US1921231A (en) * 1929-07-12 1933-08-08 Jourdan William Apparatus for cooking
US1927786A (en) * 1932-01-13 1933-09-19 Doughnut Machine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oking doughnuts and the like
US2141362A (en) * 1937-03-05 1938-12-27 Leland H Platt Washer for fruits, vegetables, and the like
GB621821A (en) * 1946-11-08 1949-04-20 Crittall Kitchen Equipment Co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oking of food
US3140776A (en) * 1963-02-08 1964-07-14 Western Electric Co Reciprocating linear feeder
US3297125A (en) * 1964-08-28 1967-01-10 Int Harvester Co Static fruit conveyor
AT350251B (de) * 1976-06-01 1979-05-25 Kagerer Eisen Kunststoff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eckmuffen an den enden von kunststoffrohren
GB1523700A (en) * 1976-06-21 1978-09-06 Heat Contro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4366749A (en) * 1976-06-21 1983-01-04 Heat And Control,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US4047476A (en) * 1976-07-21 1977-09-13 Liebermann Benno E Apparatus for cooking food articles
DE2820624A1 (de) * 1978-05-11 1979-11-15 Demag Ag Mannesmann Kuehlbett fuer walzgut
US4582047A (en) * 1979-07-26 1986-04-15 Hester Industries, Inc. High humidity steam cooker with continuously running conveyor
US4383604A (en) * 1980-10-16 1983-05-17 Vallourec Device for the transfer of long products particularly bars or tubes
US4581989A (en) * 1982-03-08 1986-04-15 Idea Network Company, Inc. Convection food heating
US4439459A (en) * 1982-03-08 1984-03-27 Swartley John S Convection food heating
US4701340A (en) * 1985-12-09 1987-10-20 Lincoln Foodservice Products, Inc. Impingement and steam ov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products
US4754700A (en) * 1986-03-03 1988-07-05 Bichel Ronald A Apparatus for cooking vegetables
US4875407A (en) * 1986-08-27 1989-10-24 Jitsuo Inagaki Sterilizing method for treatment of fresh fruits and apparatus used for the method
US4745854A (en) * 1986-09-24 1988-05-24 Buckley John T Apparatus for improved preparation of fried foods
US4784053A (en) * 1987-02-11 1988-11-15 Meyer Metalcraft Specialties, Inc. Food product coo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236B1 (ko) * 2005-02-22 2006-12-05 한종필 다기능 쿠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53097A (en) 1997-05-02
FI884875A0 (fi) 1988-10-21
KR880701087A (ko) 1988-07-25
CN87103689A (zh) 1987-12-02
FI884875A (fi) 1988-10-21
NO875405D0 (no) 1987-12-22
NO875405L (no) 1988-02-10
AU7308687A (en) 1987-11-24
JPS63503208A (ja) 1988-11-24
EP0302868A4 (en) 1989-04-24
EP0302868A1 (en) 1989-02-15
NO168922B (no) 1992-01-13
AU611081B2 (en) 1991-06-06
FI88864B (fi) 1993-04-15
DE3786400T2 (de) 1994-02-17
WO1987006445A1 (en) 1987-11-05
FI88864C (fi) 1993-07-26
NO168922C (no) 1992-04-22
DK678587A (da) 1988-02-18
DK678587D0 (da) 1987-12-22
EP0302868B1 (en) 1993-06-30
ATE91070T1 (de) 1993-07-15
DE3786400D1 (de) 1993-08-05
JP2662523B2 (ja) 1997-10-15
US5066505A (en) 199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052B1 (ko)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US5570626A (en) Cooking apparatus
US4706556A (en) Potato chip manufacturing machine
US4478140A (en) Fryer with oil circulation and conveyor
CN1138456C (zh) 感应加热器
USRE42732E1 (en) Rotary blancher for processing food product
CN1426285A (zh) 用于食品制备的多功能组合装置
CN210383594U (zh) 一种自助炒饭售卖机
US4600596A (en) Automatic food cooking machine
CN211722720U (zh) 全自动化烹调系统
CN216776678U (zh) 自动肠粉机器
US3499380A (en) Automatic food cooking machine
US5165330A (en) Fryer with a rotary spiral food conveyor
CN216796413U (zh) 一种卤蛋熟制用恒温水浴加热装置
CN209950304U (zh) 肠粉制作装置
CN209871564U (zh) 传送布带清洗机构及肠粉制作装置
CN209965170U (zh) 粉皮翻叠机构及肠粉制作装置
CN209950305U (zh) 加料单元、加料机构及肠粉制作装置
US2713302A (en) Corn-popping machine
SU11394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жар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950012965B1 (ko) 농산물 세척장치
CN219475576U (zh) 一种用于脆骨香肠的金属检测设备
CN112244252B (zh) 一种油炸花生的方法
CN112167540B (zh) 一种肠类产品卤制装置
JP2932556B2 (ja) 自動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