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00B1 - 카아드처리기 - Google Patents

카아드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00B1
KR950003500B1 KR1019910015191A KR910015191A KR950003500B1 KR 950003500 B1 KR950003500 B1 KR 950003500B1 KR 1019910015191 A KR1019910015191 A KR 1019910015191A KR 910015191 A KR910015191 A KR 910015191A KR 950003500 B1 KR950003500 B1 KR 95000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transport path
cabinet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27A (ko
Inventor
카즈미 후꾸다
히데오 우라따
코이찌 카네하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09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58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2922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105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아드처리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의 변형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표처리부의 기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B-B의 단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핀치로울러의 진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핀치로울러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제7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핀치로울러의 끼워맞춤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선 C-C의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선 D-D의 단면도.
제10도는 처리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제11도는 처리기가 표자동판매기로서 사용된 경우의 처리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제12도는 표공급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3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아드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제14도는 종래의 표식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표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조의 기구를 도시한 개념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A-A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작표시부 2, 2' : 캐비닛 본체
3 : 처리제어부 4 : 렌키이
5 : 키이스위치 6 : 표시패널
7 : LED 100 : 표처리부
101 : 표출입구 102 : 호퍼스태커
103, 202 : 캐비닛 104 : 표
105 : 손잡이 106 : 송출용 로울러
107 : 도입용 로울러 108, 109 : 안내판
110, 111 : 가압판 112 : 인장코일 스프링
113, 204 : 인쇄헤드 114 : 인쇄기
115, 205 : 재생헤드 116, 206 : 기록헤드
117 : 대기부 118∼126, 208∼215 : 구동로울러
127, 220∼222 : 타이밍벨트 128, 137a, 137b, 224 : 인장로울러
129, 218 : 핀치로울러 130, 130' : 표공급장치
131, 132 : 맞물림로울러 133, 134 : 도출측공급로울러
135, 136, 135', 136' : 공급벨트 138 : 표안내판
139 : 도입측 공급로울러 140 : 분리로울러
141 : 일방향플래퍼 142 : 절환플래퍼
143∼149 : 광감지기 151 : 고정축
152, 155 : 베어링 153, 158, 162 : 스냅링
154 : 진동축 156 : 진동축 끼워맞춤베이스부
157 : 나일론 와셔 159 : 진동정지판
160 : 축끼워맞춤부 161 : 핀치로울러 끼워맞춤부
163 : 운송기저부 164 : 스토퍼부재
165 : 비틀림코일스프링 166 : 운동안내부
200 : 카아드처리부 201 : 카아드출입부
203 : 카아드유형감지기 207 : 판독전극
217 : 리테이너 219 : 펄스모우터
본 발명은 카아드를 넣고 뺄때 각종 정보를 기록판독하는 카아드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행료판독등에 있어서의 통행료수납시스템의 단말장치로서 적합한 카아드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장소에서 입구 및 출구로 분리되어 있는 장거리유료도로등에 있어서, 이용구간 및 이용한 차량종류에 따라 요금을 징수하는 통행료시스템에 사용된다. 그래서, 차량의 종류와 이용시간 및 날짜 또는 입구의 정보등이 기록되어 있는 표를 발행해서 사용자에게 건내주고, 작동자가 출구에서 사용자로부터 표를 모아서, 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료를 받는 통행료수납시스템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고속도로카아드로 불리우는 신용카드 및 표 또는 선불카드인 분리지불플레이트등의 카아드를 처리하는 카아드처리가 단말장치로서 상기 설명한 유료도로등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카아드를 이용하는 표가 주류이나, 펀치카아드를 이용하는 표가 상기 이외에 공지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표처리부(12), 표시부(13), 제어부(14) 및 플레이트처리부(15)가 제14도에 도시한 외형과 같이 일체형의 본체(11)내에 조립되어 있다.
요금이 청산되는 경우에는 표를 본체(11)상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16)를 개재해서 표처리부(12)로 공급한다. 반면, 표를 새로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표처리부(12)로부터 배출구(17)로 보낸다.
제어부(14)에는 차유형을 입력하는 동작버튼(18)과 텐키이(19) 그리고 무료요금증서 등의 특별처리를 하는 동작버튼(20)이 설치되어 있다. 또, 키이플레이트 및 분리지불플레이트 등의 플레이트를 플레이트처리부(15)에 넣고 빼기 위한 키이플레이트 삽입부가 본체(11)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는 유료도로의 입구에 표자동판매기로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나, 출구에서 표식별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고속도로 카아드용의 영수증발행기(22), 카아드처리기(23) 등과 함께 공동으로 사용된다. 영수증발행기(22)에는 영수증을 발행하는 동작버튼(24) 및 영수증발행구(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아드처리기(23)에는 카아드를 넣고 빼기 위한 카아드출입구(26)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소 62-9436호 등에는 종래의 표처리기(12)의 구체적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제15도 및 동도의 화살표 A-A의 단면도인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27)의 출입시 각종정보를 기록판독하기 위하여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로 표(27)가 지지되면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드럼(28)이 수직측(30)을 중심으로 고정된 방향(제15도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구동된다. 드럼(28)의 외주면의 일부에, 4개의 풀리(31) 내지(34)상에 뻗어있는 엔들리스벨트(29)가 감겨 있으며, 또 이 엔들리스벨트(29)는 드럼(2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표(27)의 삽입구(16)상에 대향하고 있는 풀리(31)는 핀치로울러(35)로 압압된다. 따라서, 표(27)는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 사이에서 위치하며 풀리(31)와 핀치로울러(35) 사이에 표(27)를 밀어 넣으므로써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공급된다.
드럼(28)의 한쪽에는 표(27)의 호퍼스태커(hopper stacket)(36)가 배치되어 있고, 이 호퍼스태커(36)는 단말장치가 표식별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주로 스태커로서 기능한다. 한편, 호퍼스태커(36)는 단말장치가 표자동판매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주로 호퍼로서 기능한다. 삽입구(16)측의 호퍼스태커(36)쪽에는, 이 호퍼스태커(36)에 적재되어 있는 새로운 표(27)를 하나씩 송출하기 위한 송출용로울러(3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출용로울러(36)와 드럼(28) 사이에는 호퍼스태커(36)로부터 송출된 표(27)를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 사이로 공급하는 안내로울러(2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출구(17)쪽의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 사이에는 호퍼스태커(36)쪽이나 배출구(17)쪽으로의 핀(27)의 공급을 절환하는 절환 플래퍼(39)가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단말장치가 표식별기로서 사용되면, 절환 플래퍼(39)는 제1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 사이에서부터 공급된 표(27)는 호퍼스태커(36)쪽으로 안내되며, 반면, 상기 장치가 표자동판매기로 사용되면, 절환 플래퍼(39)는 제15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드럼(28)과 엔들리스벨트(29) 사이에서부터 공급된 표(27)는 배출구(17)쪽에 대향하고 있는 풀리(34)와 이 풀리(34)에 의해 구동되는 핀치로울러(40) 사이로 공급되므로, 배출구(17)로부터 표(27)가 발행된다.
드럼(28) 주위에는, 삽입구(16)로부터 차례로 제1재생헤드(41), 기록헤드(42), 제2재생헤드(43) 및 인쇄헤드(4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27)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가 재생헤드(41),(43)에 의해 판독되어, 필요한 정보는 기록헤드(42)에 의해서 표(27)에 기록되고, 또한, 필요한 정보는 인쇄헤드(44)에 의해 표(27)에 인쇄된다.
또한, 표(27)에 대한 인쇄헤드(44)의 인쇄위치는, 제16도에 있어서 표의 발행시와 회수시에 상하로 이동하므로, 기록헤드(44)는 축(30)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6도의 (45), 표(27)의 통과를 감지하는 광센서이다.
제14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종래의 카아드처리기에 있어서 출구등에서 표(27)와 함께 동시에 신용카아드를 처리하기는 원할때는, 미리, 표(27)에 신용카아드의 날짜등을 가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처리기에 있어서, 표(27)는 표처리부(12)의 호퍼스태커(36)로 깊숙이 들어가므로, 표(27)를 처리하기 전에 신용카아드를 처리하지 않으면, 표(27)에 신용카아드의 정보등을 기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표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표(27)를 삽입구(16)에 삽입하면, 드럼(28)은 항상 회전하고 있으므로 즉시 처리를 완료한 후에 표(27)가 호퍼스태커(36)안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동작처리의 단계로서, 카아드처리기(23)로 신용카아드등의 표이외의 카아드를 미리 처리한 후 표처리기로 표(27)를 처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동작의 애로점이 있음과 동시에 동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아드의 임시대기기능을 부가하므로써 단시간내에 복수의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아드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아드처리기는, 카아드를 넣고 빼기 위하여 캐비닛의 일단부쪽에 형성된 출입구와, 카아드를 임시로 대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타단부쪽에 형성된 대기부와, 상기 카아드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일단부쪽에 형성된 호퍼스태커와, 상기 대기부와 상기 출입구를 연결하는 운송로를 따라 상기 카아드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운송수단과, 상기 카아드의 정보를 판독/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운송로의 절반부에 배치된 재생/기록수단과, 상기 대기부로부터 운송된 상기 카아드를 상기 출입구쪽이나 상기 호퍼스태커쪽의 어느 한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기록수단과 상기 출입구 사이의 상기 운송로상의 절반부에 설치된 절환 플래퍼와, 상기 출입구와 상기 재생/기록수단 사이의 상기 운송로의 절반부로 상기 호퍼스태커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카아드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카아드처리기가 표자동판매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호퍼스태커에 적재되어 있는 카아드가 공급수단에 의해 운송로측으로 공급되면, 이들 카아드는 운송수단에 의해서 재생/기록수단을 경유해서 대기부에 도달하여, 이 대기부에서 임시로 대기한다.
그후, 운송수단은 이번에는 출입구쪽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카아드를 공급하도록 다시 동작된다. 이 운송동작동안, 필요한 정보가 재생/기록수단에 의해서 카아드에서 판독되거나 카아드에 기록된 후, 이들 카아드는 출입구쪽으로 카아드를 안내하는 절환 플래퍼에 의해서 출입구를 개재해서 캐비닛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카아드처리가 식별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카아드가 출입구를 개재해서 캐비닛안으로 들어가면, 이들 카아드는 운송수단에 의해서 대기부로 운송된 후 이곳에서 임시로 대기한다.
그후, 운송수단은, 이번에는 출입구쪽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카아드를 공급하도록 다시 동작된다. 이 운송동작동안, 필요한 정보가 재생/기록수단에 의해서 카아드에서 판독되거나 카아드에 기록된 후, 이들 카아드는 호퍼스태커쪽으로 카아드를 안내하는 절환 플래퍼에 의해서 호퍼스태커안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카아드처리기에 의하면, 캐비닛안에는 직선으로 형성된 운송로가 설정되고, 운송수단에 의해서 운송로를 따라 카아드를 왕복이동시키며, 한편, 카아드의 출입구와, 호퍼스태커와, 출입구쪽 혹은 호퍼스태커쪽의 어느 한쪽으로 카아드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절환 플래퍼와, 카아드의 재생/기록수단과, 카아드의 대기부가 운송로의 일단부에서부터 차례로 설치되어 카아드가 상기 대기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기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뒤엉킴이 없이 복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작이 간단하고 처리속도가 빠른 카아드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아드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에는, 상기 운송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구동로울러와, 이들 구동로울러에 걸쳐서 감겨 있는 엔들리스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주표면과 압착되어 상기 카아드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치로울러와, 상기 카아드의 일측단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와 상기 핀치로울러의 사이드상의 상기 운송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운송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치로울러가 상기 카아드의 운송방향과 수직인 선에 대해서 고정된 각의 범위내에서 그의 축이 진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아드처리기에 있어서, 카아드는 벨트와 핀치로울러 사이에 위치하여 운송안내부에 의해서 안내를 받으면서 이송된다. 이때, 핀치로울러는 카아드의 이동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카아드의 왕복이동시, 카아드는 운송안내부 방향으로 힘을 받아, 그의 축단부는 항상 운송안내부에 대향해서 밀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아드처리기에 의하면, 카아드의 왕복운송방향에 상관없이 자기헤드 및 인쇄헤드 등의 기록을 기록/판독하기 위한 장치와 카아드의 운송방향에 수직인 위치사이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위치이탈에 의한 자기기록의 판독시의 오차를 방지하고 인쇄시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카아드의 한 측면과 단부상에의 전송안내부는 항상 고정된 힘에 의해 압압되면서 카아드가 이송되므로, 경사에 의한 기록의 판독시의 오차를 방지하고 비정상 기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안내부와 카아드의 한 측면 사이의 조절은, 운송안내부의 타단부만이 기준으로서 사용되므로 종래방법보다 훨씬 용이하고 제조시의 작업정밀도가 덜 요구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유료도로에서 요금수납시스템의 단말장치인 표식별기로서 본 발명의 카아드처리기가 적용되는 경우의 단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표식별기에 있어서는, 캐비닛본체(2)상에 접는형의 동작표시부(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표식별기의 본체(2)에는, 표출입구(101)가 설치되어 있는 표처리부(100), 표이외의 카아드용의 출입구(201)가 설치되어 있는 카아드처리부(200) 및 이들 부를 제어하는 처리제어부(3)가 내장되어 있다.
동작표시부(1)상에는, 텐키이(4)와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키이스위치(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접촉에 의해 입력가능한 특수처리용의 표시패널(6)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패널(6)의 화면상에는 "처리버튼"표시되고, 이 표시된 처리버튼에 의해서 상호 동작방식으로 필요한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표처리부(100)의 호퍼스태커(102)의 상부표면상에는 차량종류등을 입력하기 위하여 5개의 동작버튼을 가진 도시하지 않은 키이보오드가 장착되어 있다.
또, 표식별기의 본체(2)의 변형예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본체(2')와 본체(2)와는 키이스위치(5)를 설치하는 위치가 다른 점과, 출입구의 개폐를 표시하는 적색과 녹색의 LED(7)가 존재하는 점과, 텐키이(4)의 존재여부를 제외하고는 그이외의 부재는 거의 유사하다. 변형예의 본체(2')에 있어서는, 본체(2')의 앞쪽의 상부위치에 키이스위치(5)가 배치되고, 이 키이스위치(5) 근방에 LED(7)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2')에는 텐키이(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표처리부(100)의 개략평면구조를 도시한 제3도와, 상기 제3도의 선 B-B의 단면을 도시한 제4도에 있어서는, 표처리부(100)가 일괄적으로 표를 처리하며, 종래의 처리부와 마찬가지로 표자동판매기로서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캐비닛(103) 앞쪽에 형성된 출입부(101) 위쪽(제3도의 상부)에는, 도로사용자가 표를 분실한 경우 재발행하기 위하여 새로운 표(104)가 적재되어 있으며, 이들 새로운 표(104)와 사용된 표(104)중에 결합이 있는 표(104)를 빼내기 위한 호퍼스태커(102)가 본체(2)의 캐비닛(103)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105)가 설치되어 있는 호퍼스태커(102)의 양쪽상에는, 새로운 표(104)를 호퍼스태커(102)로부터 송출하기 위한 송출용 로울러(106)와, 새로운 표(104) 및 사용된 표(104)중 결합이 있는 특정표(104)를 호퍼스태커(102)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용 로울러(107)가 각각 캐비닛(10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호퍼스태커(102)에는 이들 송출용 로울러(106) 및 도입용 로울러(107)와 교차하는 한쌍의 안내판(108),(109)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안내판(108),(109) 사이에는 호퍼스태커(102)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한쌍의 가압판(110),(111)이 대향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 가압판(110),(111)은 인장코일 스프링(112)을 개재하여 각각의 안내판(108),(109)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압압된다.
그래서, 안내판(108) 및 가압판(110) 사이에 삽입된 새로운 표(104)는 가압판(110)을 개재하여 인장코일스프링(112)에 의해서 송출용 로울러(106)쪽으로 압압되고, 안내판(108) 및 가압판(11) 사이로 공급된 사용된 표(104)등은 가압판(111)을 개재하여 인장코일 스프링(112)에 의해서 도입용 로울러(107)쪽으로 압압된다.
상기 설명한 출입구(101)의 뒤쪽(제3도에 있어서 오른쪽)에는, 표(104)상에 문자, 기호등을 인쇄하는 인쇄헤드(113)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기(114)와, 표(104)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기록부에서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재생헤드(115)와, 표(104)에 새로운 자기정보를 기록하는 기록헤드(116)가 순차배치되어 있다. 또, 표처리부(100)의 가장 뒤쪽단부상에는 표(104)가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대기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식별기로서 설명하였으나, 표자동판매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쇄헤드(113)에 의한 표(104)상의 인쇄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인쇄헤드(113)는 표(104)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거나, 복수개의 라인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표(104)의 운송로는 표처리부(100)내에 형성하여, 출입구(101)에서부터 인쇄헤드(113), 재생헤드(115) 및 기록헤드(116)를 개재해서 대기부(117)와 연결되도록 한다.
운송로를 따라 표(104)를 왕복운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로울러(118)∼(126)가 표(104)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캐비닛(10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왕복시 회전운동이 가능한 펄스모우터의 작동을 개재하여, 하나의 타이밍벨트(127)가 왕복식으로 회전하는 이들 구동로울러(118)∼(126)에 걸쳐서 감겨있으며, 타이밍벨트(127)의 늘어짐은 구동로울러(119) 및 (120) 사이에 배치된 인장로울러(128)에 의해 제거된다. 또, 운송로를 교차하여 캐비닛(103)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핀치로울러(129)가 인쇄헤드(113)의 반대쪽에 위치한 구동로울러(122)를 제외한 구동로울러(118)∼(121) 및 (123)∼(126)에 대해서 당접하고 있다.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로울러(129)는 고정축(151)의 일단부쪽상에서 베어링(152)가 스냅링(153)을 개재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고정축(151)은, 진동축(154)의 판형상의 접촉단부(154a)와 직각으로 만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진동축(154)은 베어링(155)을 개재하여 원통형 베이스단부(154b)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진동축 끼워맞춤베이스부(156)에 대하여 나일론와셔(washer)(157) 및 스냅링(158)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진동축끼워맞춤베이스부(156)의 일단부측에는, 접촉단부가 진동축(154)의 접촉단부(154a)의 베이스단부(154b)쪽상의 표면근방과 대향하고 있는 판형상의 진동정지판(159)이 확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진동축(154)의 회전가능 영역을 규제하게 된다. 한편, 진동축끼워맞춤베이스부(156)의 타단부축상에는 U자형상으로 구부러진 판형상의 축끼워맞춤베이스부(160)가 고정되어 있고, 이 진동축끼워맞춤베이스(156)는 회전가능하게 축끼워맞춤베이스부(160)를 거쳐서 스냅링(162)을 개재하여 관통하고 있는 핀치로울러끼워맞춤축(161)에 고정되어 있다. 이 핀치로울러끼워맞춤축(161)은 핀치로울러(129)의 고정축(151)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운송기저부(163)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핀치로울러(129)는 중심으로서 핀치로울러끼워맞춤축(161)에 대해서 회전한다.
또, 운송기저부(163)의 핀치로울러끼워맞춤축(161) 근방에는 스토퍼부재(164)가 설치되어 있고, 축끼워맞춤베이스부(160)내의 핀치로울러끼워맞춤축(161)은, 비틀림코일스프링(165)이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비틀림코일스프링(165)은 그의 일단부가 스토퍼부재(164)와, 그의 타단부가 축끼워맞춤베이스부(160)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여, 카아드등에 대해서 핀치로울러(129)를 미는 작용을 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166)은 운송안내부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핀치로울러의 진동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104)가 운송되는 경우, 핀치로울러(129)는 비틀림코일스프링(165)의 부세력에 의해서 표(104)에 대하여 밀리게 된다. 또, 핀치로울러(129)는 베어링(153)을 개재하여 고정축(151)에 접속되어, 회전시 마찰력이 작아진다. 그러나, 핀치로울러는 부세력에 의해 압압되므로, 운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진동축(154)에 토오크를 가하면, 고정축(151)과 핀치로울러(129)는 운송면과 평행으로 유지되면서 운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회전된다. 이때의 회전범위는 진동축(154)의 접촉단부(154a)가 진동정지판(159)에 대해서 맞닿는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고정축(151)의 경사각은 진동정지판(159)의 고정위치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1∼2°이다.
고정축(151)이 중심으로서 진동축(154)에 대해서 진동하여 경사지게 되면, 핀치로울러(129)는 중심으로서 경사진 고정축(151)에 대해서 회전하므로, 표(104)는 진동축(154)쪽에 가로폭방향으로 접근한다.
제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표(104)가 운동되면, 고정축(151)은 시계방향으로 진동하여, 표(104)의 위치는 아래쪽으로 조정된다. 또, 표(104)가 제6(b)도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운송되면, 고정축(151)은 반시계방향으로 진동하여, 표(104)의 위치는 또한 아래쪽으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표(104)의 위치는 표가 어느 방향으로 운송되더라도 한쪽방향(실시예에 있어서는 아래쪽)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핀치로울러 진동기구가 제공되면 표의 위치는 운송방향에 관계없이 한쪽방향으로 조정되므로, 예를 들면 판독/기록방향이 반대이어도 폭방향으로 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카아드의 치수제어도 용이하게 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스태커(102) 뒤쪽에는, 출입구(101)와 인쇄헤드(113) 사이의 운송로측으로 상기 설명한 송출용 로울러(106)에 의해서 호퍼스태커(102)를 당기면서 새로운 표(104)를 공급하는 표공급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표공급장치(130)의 주요부는, 송출용 로울러(106)쪽에 위치된 한쌍의 맞물림로울러(131),(132)와, 운송로 쪽에 위치된 한쌍의 도출측 공급로울러(133),(134)와, 이들 맞물림로울러(132),(132)와 도출측공급로울러(133),(134)에 걸쳐서 감겨있는 한쌍의 공급벨트(135),(136)와, 맞물림로울러(131),(132)와 도출축공급로울러(133),(134)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공급벨트(135),(136)의 늘어짐을 제거하는 인장로울러(137a),(137b)와, 도출측공급로얼러(133),(134)와 서로 맞닿아 있는 구동로울러(121) 및 핀치로울러(129)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새로운 표안내판(138)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맞물림로울러(131), 도출측공급로울러(133) 및 인장로울러(137a)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의 작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다른쪽의 맞물림로울러(132), 도출측 공급로울러(134) 및 인장로울러(137b)는 상기 회전과 동시에 제3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 송출용 로울러(106)와 맞물림로울러(132) 사이에는, 맞물림로울러(131)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호퍼스태커(102)밖으로 빠져나온 새로운 표(104)를 맞물림로울러(131),(131)쪽으로 공급하는 도입축 공급로울러(139)와, 이 도입측 공급로울러(139)와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도입측 공급로울러(139)와 역방향으로 통과를 체크하는 분리로울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인장코일 스프링(112)에 의해서 송출용 로울러(106)에 대해서 밀려나온 새로운 표(104)는 도입측 공급로울러(139)와 분리로울러(140) 사이로 송출용 로울러(106)의 회전에 의해서 공급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로울러(140)의 작동에 의해서 맞물림로울러(131),(132) 사이의 공급벨트(135),(136) 사이의 틈새로 단지 한매의 표(104)만이 공급된다. 따라서, 표는 이들 공급벨트(135),(136)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도출축공급로울러(133),(134)로부터 새로운 표안내판(138)을 개재하여 상호 맞닿아 있는 구동로울러(121)와 핀치로울러(129) 사이의 운송로상으로 공급된다.
또한, 표(104)가 움직이는 방향을 규제하는 일방향플래퍼(141)는 이들 새로운 표안내판(138)과, 서로 맞닿아 있는 구동로울러(121)와 핀치로울러(129) 사이에 캐비닛(103)에 대해서 진동방식으로 피벗지지되어 있으며, 표(104)가 대기부(117)로부터 출입구(101)쪽이나 호퍼스태커(102)쪽으로 운송될때, 일방향 플래퍼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부재를 개재해서 그의 접촉단부쪽에서 제3도에 있어서의 위쪽으로 부세되어, 표(104)는 새로운 표안내판(138)으로부터 표공급장치(130)쪽으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표(104)가 인쇄헤드(113)쪽으로부터 출입구(101)쪽으로 운송되는 경우 및 호퍼스태커(102)내에서 이동하는 표(104)를 회수하는 경우에 의존하여 표(104)의 운송방향을 절환하는 절환 플래퍼(145)는, 구동로울러(119)와 (120) 사이의 운송로의 절반부상의 캐비닛(103)에 대해서 진동방식으로 피벗지지되어 있으며, 이 절환 플래퍼(142)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솔레노이드 등의 플래퍼구동수단에 의해서 요동된다.
이상 설명한 송출용 로울러(106)와, 도입로울러(107), 인쇄기(114), 구동로울러(118) 내지 (126), 표공급장치(130), 플래퍼구동수단등의 동작시간은 본체(2) 뒤쪽에 내장되어 있는 처리제어부(3)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표(104)의 통과를 검출하는 광감지기(143)∼(149)가 표공급장치(130)의 도출측 공급로울러(133),(134)와 일방향 플래퍼(141) 사이, 호퍼스태커(102)와 절환 플래퍼(142) 사이등의 운송로의 절반부에 각각 배치되어 검출신호를 처리제어부(3)에 출력한다.
표처리부(100)의 처리순서를 표시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자가 체크배리어, 출구등에서 고객인 도로사용자로부터 표(104)를 받아 스텝 A1에서 출입구(101)로 표(104)를 삽입하면, 광감지기(143)가 그것을 감지하여 스텝 A2에서 펄스모우터는 앞쪽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표(104)는 운송로를 따라 대기부(117)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광감지기(144)가 표(104)의 통과를 감지하면, 스텝 A3에서 재생헤드(115)는 표(10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고, 스텝 A4에서 표(10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A4에서 표(10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가 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A5에서 소정시간 그대로 운송이 계속되고 광감지기(145)가 표(104)의 통과를 검출한 후 펄스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표(104)는 대기부(117)에서 임시로 정지하게 된다.
임시대기기간중에선, 스텝 A6에서 도시하지 않은 각종 처리버튼, 텐키이(4)등을 사용하여 동작표시부(1)의 표시패널(6)상에 표시된 통행료의 청산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현금으로 통행료를 지불하는 대시에 고속도로카아드, 신용카아드, IC카아드 등으로 통행료를 청산할 경우, 통행료 수납계원으로 카아드데이타가 판독되도록 도로사용자로부터 받은 상기 카아드를 카아드처리부(200)의 출입구(201)로 삽입하여, 모든 것이 정상이라는 것을 표시패널(6)에서 확인한 후, 상기 설명한 동작버튼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스텝 A7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표처리부(100)의 펄스모우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표(104)가 대기부(117)로부터 기록헤드(116)쪽으로 운송되며, 표(104)가 광감지기(146)에 의해서 감지된 때에는 스텝 A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드로 청산하는 경우, 기록헤드(116)는 통행료, 이용날짜 및 시간 또는 출구데이타 및 청산수단에 관련된 정보와 카아드에 기록된 데이타를 표(104)에 기록한다.
또, 스텝 A9에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재생헤드(115)로 판독하여, 스텝 A10에서 기록되어 있는 정보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A10에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정되면, 스텝 A11에서 필요한 기록데이터를 인쇄헤드(113)로 표(104)의 소정위치에 인쇄하고, 스텝 A12에서 절환 플래퍼(142)가 호퍼스태커(102)쪽으로 절환되어, 스텝 A13에서 표(104)는 호퍼스태커(102)로 들어간다. 이때, 펄스모우터는 광감지기(147)로 표(104)의 통과를 확인한 후 작동정지된다.
상기 스텝 A4나 A10에서 표(104)에 있어서의 기록이 비정상이라고 판정되면, 표(104)는 호퍼스태커(102)로 들어가지 않고, 스텝 A14에서 절환 플래퍼(142)가 출입구(101)쪽으로 절환되어 표(104)로 출입구(101)로 복구한다. 이때, 펄스모우터는 광감지기(148)로 표의 통과를 확인한 후 작동정지된다.
또한, 표(104)의 삽입이 잘못된 경우에는, 출입구(101)로부터 반환된 표(104)는 다시 정확하게 출입부(101)로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록이 비정상인 경우에는, 새로운 표(104)의 발행등의 처리를 표시패널(6)상에 표시되는 처리버튼에 의해서 수행한다. 그러나 동작은 표(104)의 손상, 분실등의 경우에 요구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의 특수처리는 각종 카아드가 무효인 경우에도 수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104)를 임시로 대기시키는 대기부(117)가 표처리부(10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표(104) 및 기타 카아드의 처리절차의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우수한 가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처리부(100)를 표식별기로서 설명하였으나, 제11도에 도시한 표자동판매기로서 사용해도 된다. 우선, 스텝 B1에서 초기동작으로서 전원의 ON상태로 되고, 스텝 B2에서 동작표시부(1)의 표시패널(6)상에 표시되는 동작을 개시하기 이한 동작버튼을 누른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B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펄스모우터를 앞쪽으로 회전하고, 송출용 로울러(106)와 표공급장치(130)를 작동시켜 1매의 표(104)를 호퍼스태커(102)밖으로 뽑아내어 재생헤드(115)쪽으로 이송한다.
그후, 표(104)의 통과가 광감지기(149),(144)에 의해서 감지되면, 스텝 B4에서 재생헤드(115)는 표(104)내의 자기정보를 판독하고, 스텝 B5에서 상기 표(104)가 새로운 표인지의 여부나, 그의 안쪽, 바깥쪽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B5에서 표(104)가 정상으로 판정되면, 표는 그대로 계속 이송하여 광감지기(145)가 표(104)의 통과를 감지한 후 펄스모우터는 작동정지되어, 스텝 B6에서와 같이 표(104)는 대기부(117)에서 임시로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기상태는 차량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누름버튼이 동작할때까지 지속된다.
그후, 스텝 B7에서 작동자가 차량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누름버턴을 작동하면, 스텝 B8에서 펄스모우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표(104)는 대기부(117)에서부터 기록헤드(116)쪽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광감지기(146)로 표(104)의 통과가 감지되면 스텝 B9에서 차량종류, 날짜 및 시간이나 입구등의 정보가 기록헤드(116)에 의해서 표(104)에 기록된다. 그후, 스텝 B10에서 이와 같이 기록된 정보가 재생헤드(115)에 의해서 판독되어, 스텝 B11에서 상기 표의 기록이 정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B11에서 표(104)의 기록이 정상으로 판정되면, 스텝 B12에서 필요한 정보가 인쇄헤드(113)에 의해서 표(104)이 인쇄되고, 스텝 B13에서 표는 그대로 출입구(101)로 이송된다. 이때, 광감지기(148)로 표(104)의 통과가 감지된 후 펄스모우터는 작동정지된다.
스텝 B14에서 출입구(101)로 이송된 표(104)를 작동자가 도로 사용자에게 건내준다. 표(104)가 출입구(101)를 개재하여 빠져나간 것이 광감지기(143)로 감지되면, 스텝 B15에서, 펄스모우터가 다시 앞쪽으로 회전하고, 송출용 로울러(106)와 표공급장치(130)는 1매의 표(104)를 호퍼스태커(102)로부터 꺼내서 재생헤드(115)쪽으로 보내도록 작동된다. 그후, 광감지기(149),(144)에 의해 표(104)의 통과가 감지되면 스텝 B16에서 재생헤드(115)가 표(104)의 자기정보를 판독하고, 스텝 B17에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표(104)가 새로운 표인지 또는 그의 안쪽, 바깥쪽이 바르게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B17에서 표(104)가 정상으로 판정되면, 표는 그대로 계속 운동되고, 광감지기(145)로 표(104)의 통과가 감지된 후 펄스모우터는 작동정지되어, 스텝 B18에서 표(104)는 대기부(117)에서 임시로 대기한 후 스텝 B7으로 복귀한다.
상기 설명한 스텝 B5, B11 및 B17중 표(104)가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스텝 B19로 이동하며, 스텝 B20에서 절환 플래퍼(142)는 호퍼스태커(102)쪽으로 절환되어, 스텝 B21에서 비정상 표(104)는 호퍼스태커(102)로 들어가나, 광감지기(147)에 의해 이 비정상 표(104)의 통과가 감지된 후 처리는 스텝 B3으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상상태의 표(104)를 대기부(117)에서 임시로 대기시켜서 차종을 선택하는 버튼을 작동시킨 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표(104)를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처리부(100)의 처리모우드가 입구, 출구, 체크배리어 및 게이트를 발행하는 후속표에 대한 것이어도, 이 처리모우드의 절환동작은 동작표시부(1)로부터 처리제어부(3)로의 명령에 의해서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표공급장치(130)에 있어서는, 하나의 벨트(135)가 도입측 공급로울러(139), 맞물림로울러(131),(132), 도출축공급로울러(133) 및 인장로울러(137a)에 걸쳐서 감겨있고, 다른 벨트(136)가 맞물림벨트(132), 도출축공급로울러(133),(134) 및 인장로울러(137b)에 걸쳐서 감겨 있으며, 양벨트(135),(136)는 맞물림로울러(132)와 도출축공급로울러(133) 사이에서 서로 포개어져 있고, 표(104)는 이들 벨트(135),(136) 사이에 위치되어 새로운 표안내판(138)으로 운송된다. 그러나, 표공급장치(130)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2도에 도시된 표공급장치(130')에 있어서는, 한쪽 벨트(135')는 도입축공급로울러(139), 맞물림로울러(131),(132), 인장로울러(137d), 도출축공급로울러(133) 및 인장로울러(137c),(137a)에 걸쳐서 감겨있고, 다른쪽 벨트(136罕)는 맞물림로울러(132a)와 도출축공급로울러(134)에 걸쳐서 감겨 있으며, 양 벨트(135'),(136')는 인장벨트(137d)와 도출축공급로울러(133) 사이에서 포개어져 있고, 표(104)는 이들 벨트(135')와 (136罕) 사이에 위치되어 안내판(136)쪽으로 운송된다.
제13도는 카아드처리부(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카아드처리부(200)는 상기 설명한 표(104)이외의 선불카아드인 고속도로카아드, 신용카아드인 분할지불플레이트나 IC카아드등의 각종카아드를 일괄적으로 처리한다.
이러한 카아드처리부(200)에 있어서는, 출입구(201)로부터 캐비닛(202)의 후단부까지 직선으로 운송로가 형성된다. 캐비닛(202)에 있어서는, 운송로를 따라 카아드출입구(201)로부터 연속적으로 카아드의 유형을 검출하는 카아드유형감지기(203)와, 고속도로 카아드등의 인쇄가능한 카아드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감온성 인쇄헤드(204)와, 신용카아드등의 카아드에 있어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자기재생부의 자기정보를 판독하는 재생헤드(205)와, 이 자기기록부에 새로운 자기정보를 기록하는 헤드(206)와, IC카아드등의 카아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전극(207)이 설치되어 있다.
운송로를 따라 카아드를 왕복운동시키는 복수개의 구동로울러(208) 내지 (215)가 카아드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비닛(202)에 부착되어 있다. 또, 가압로울러(216)가 감온성 인쇄헤드(204)에 대항하여 접촉하고 있고, 구동로울러(213),(214)는 각 운송로를 가로질러 재생헤드(205)와 기록헤드(206)의 반대쪽에 있다. 한편, 운송로를 가로질러 판독전극(207)과 대향하고 있는 리테이너(217)가 또한 캐비닛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 운송로를 가로질러 캐비닛(202)에 부착된 핀치로울러(218)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201)와 감온성 인쇄헤드(204) 사이에 위치된 구동로울러(208),(209)와, 구동로울러(213) 및 (214) 양쪽상에 위치한 구동로울러(212),(215)에 대향하여 접촉하고 있다.
각각의 구동로울러(208) 내지 (215)는 재생헤드(205) 및 기록헤드(206) 아래쪽에 설치되어 왕복회전가능한 펄스모우터에 의해서 각각 타이밍벨트(220) 내지 (222)를 개재하여 동시에 회전구동되고, 이들 펄스모우터(219), 감온성 인쇄헤드(204), 재생헤드(205), 기록헤드(206), 판독전극(207) 등의 작동은 카아드유형감지기(203)등으로부터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처리제어부(3)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동도에 있어서 (224)는 인장로울러이다.
따라서, 작동자가 도로사용자로부터 받은 카아드를 요금청산시 출입구(201)를 삽입하면, 펄스모우터(219)는 카아드를 캐비닛(202)으로 잡아당기도록 앞쪽으로 회전한다. 카아드유형감지기(203)가 고속도로카아드로서 카아드를 감지한 경우에는, 현재의 잔액이 재생헤드(205)로 판독되어 본체(20)에 내장된 처리제어부(3)로 출력된다. 그후, 이때 사용된 통행료가 청산되고, 잔액등은 기록헤드(206)에 의해서 고속도로카아드에 기록된다. 펄스모우터(219)가 고속도로 카아드를 출입구(201)로 이송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설명한 처리가 필요시 재생헤드(205)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잔액등은 감온성 인쇄헤드(204)에 의해서 인쇄된다.
카아드유형감지기(203)에 의해서 카아드가 분리지불플레이트등의 신용카드인 것이 감지되면, 이 신용카아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재생헤드(205)로 판독되어 처리제어부(3)로 출력된다. 그후, 펄스모우터(219)는 이 카아드를 출입구(201)로 보내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IC카아드인 경우에는, IC카아드를 판독전극(207)까지 운송하고, 그 안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처리제어부(3)로 출력한다. 그후, 펄스모우터(219)는 IC카아드를 출입구(201)로 보내도록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Claims (2)

  1. 카아드를 넣고 빼기 위하여 캐비닛의 일단부쪽에 형성된 출입구와, 카아드를 임시로 대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타단부쪽에 형성된 대기부와, 상기 카아드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일단부쪽에 형성된 호퍼스태커와, 상기 대기부와 상기 출입구를 연결하는 운송로를 따라 상기 카아드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에 설치된 운송수단과, 상기 카아드의 정보를 판독/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운송로의 절반부에 배치된 재생/기록수단과, 상기 대기부로부터 운송된 상기 카아드를 상기 출입구쪽이나 상기 호퍼스태커쪽의 어느 한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기록수단과 상기 출입구 사이의 상기 운송로상의 절반부에 설치된 절환 플래퍼와, 상기 출입구와 상기 재생/기록수단 사이의 상기 운송로의 절반부로 상기 호퍼스태커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카아드를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드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에는, 상기 운송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구동로울러와, 이들 구동로울러에 걸쳐서 감겨 있는 엔들리스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주표면과 압착되어 상기 카아드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치로울러와, 상기 카아드의 일측단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와 상기 핀치로울러의 사이드상에 상기 운송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운송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치로울러가 상기 카아드의 운송방향과 수직인 선에 대해서 고정된 각의 범위내에서 그의 축이 진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드처리기.
KR1019910015191A 1990-08-31 1991-08-31 카아드처리기 KR950003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28098 1990-08-31
JP2-228098 1990-08-31
JP22809890A JP2865830B2 (ja) 1990-08-31 1990-08-31 カード類処理装置
JP3-29220 1991-01-31
JP02922091A JP3241052B2 (ja) 1991-01-31 1991-01-31 カード類処理装置
JP91-29220 199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27A KR920005027A (ko) 1992-03-28
KR950003500B1 true KR950003500B1 (ko) 1995-04-13

Family

ID=2636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191A KR950003500B1 (ko) 1990-08-31 1991-08-31 카아드처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94785A (ko)
KR (1) KR950003500B1 (ko)
AU (1) AU635859B2 (ko)
FR (1) FR2666429B1 (ko)
GB (1) GB2248958B (ko)
HK (1) HK22595A (ko)
MY (1) MY1068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862A (en) 1994-10-18 1999-10-12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medium and for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edium
JP3620362B2 (ja) * 1998-10-16 2005-02-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ード記録装置
JP3806271B2 (ja) * 1999-07-09 2006-08-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カード取引装置
US7192208B2 (en) * 2003-09-02 2007-03-20 Futurelogic, Inc. Rewritable card printer
US20080153580A1 (en) * 2003-09-12 2008-06-26 Igt Bezel interface for a card loading system
US7494414B2 (en) * 2003-09-12 2009-02-24 Igt Gaming device having a card managem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irculating data cards
US8057296B2 (en) 2003-09-12 2011-11-15 Igt Gaming device including a card processing assembly having vertically-stacked card holders operable with thermally-printable data cards and portable card changeover machines
US20080153581A1 (en) * 2003-09-12 2008-06-26 Igt Card loading system for a data card unit
US8197334B2 (en) 2007-10-29 2012-06-12 Igt Circulating data card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CN102306406A (zh) * 2011-03-02 2012-01-04 曾蕴仪 一种卡片回收装置
CN102637307B (zh) * 2012-04-27 2015-02-04 严惠明 可互相切换的停车场双发卡收费装置
CN106710007B (zh) * 2016-12-05 2019-01-11 北京万相融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实名验票制的快速检票验票方法及其系统
CN106846502B (zh) * 2016-12-29 2019-08-30 中国铁道科学研究院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磁介质热敏车票自动检磁设备
CN108133241A (zh) * 2017-12-21 2018-06-08 安徽汉高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公路自助发卡车辆身份识别装置及发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018602A (ko) * 1970-12-21 1972-06-23
GB8319865D0 (en) * 1983-07-22 1983-08-24 Access Control Developments Lt Ticket reading device
FR2566941B1 (fr) * 1984-06-29 1986-12-19 Dassault Electronique Dispositif de traitement de titres cartonnes, propre a la creation et/ou au controle du titre
JPS61276089A (ja) * 1985-05-31 1986-12-0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搬送制御装置
FR2587131B1 (fr) * 1985-09-12 1987-11-20 Bull Transac Lecteur encodeur de carte d'identification
JPH0782556B2 (ja) * 1986-11-28 1995-09-06 株式会社テック 券発行機
DE3881268T2 (de) * 1987-04-23 1994-01-13 Oki Electric Ind Co Ltd Fahrkartenverarbeitungsendgerät.
EP0335229B1 (en) * 1988-03-30 1993-09-22 Kabushiki Kaisha Sanyo Denki Seisakusho Fare adjustment machine for prepaid card type tickets
US5043561A (en) * 1988-09-28 1991-08-27 Kabushiki Kaisha Toshiba Fare collection system using a boarding ticket and additional money card
GB2230635B (en) * 1989-04-14 1993-05-26 Sanyo Electric Works Automatic fare collection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5859B2 (en) 1993-04-01
US5294785A (en) 1994-03-15
GB2248958B (en) 1994-08-10
FR2666429A1 (fr) 1992-03-06
HK22595A (en) 1995-02-24
KR920005027A (ko) 1992-03-28
MY106876A (en) 1995-08-30
GB9118557D0 (en) 1991-10-16
GB2248958A (en) 1992-04-22
AU8267991A (en) 1992-03-05
FR2666429B1 (fr)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500B1 (ko) 카아드처리기
JPH07187454A (ja) 文書整合システム
EP0965955B1 (en) Sheet dispensing mechanism in a banking machine
EP0965953B1 (en) Sheet dispensing mechanism
JP3241052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2865830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2891520B2 (ja) 有料道路用端末機
JP2971249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3965291B2 (ja) 磁気処理装置および券類処理装置
EP0627711B1 (en) Bank note conveyance device in island of amusement machines
JPH07325942A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2580668Y2 (ja) カード印字部の送り装置
JPH0962896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異物排除方法
JPS6121714Y2 (ko)
JPS6121713Y2 (ko)
JP3505322B2 (ja) カード発行機
JP3406190B2 (ja) 媒体カセットと媒体処理装置
JPS6025639Y2 (ja) 有料道路用端末機
JP2915755B2 (ja) 磁気カードリーダ
JPH0733185B2 (ja) 帳票類搬送装置における搬送路開放装置
JPS6132449Y2 (ko)
JPH0732690A (ja) 通帳取扱装置
JPH0476691A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H0535927A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H0512563A (ja) クレジツト取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